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지역 초등학습자의 학습태도 변화를 위한 디자인 교육 방안 연구

        전명현 부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습자들의 학습태도는 학습동기에 의해 결정되며 교사는 학습자의들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수업 환경을 체계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주입식 수업방식은 체계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지 않으며 학습자의 학습태도 또한 적극적이지 못한 수업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디자인 교육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초등 디자인교육의 수업 방법과 차별화된 방법으로 켈러(1938, John. M. Keller)의 ARCS(주의집중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 동기 모델 과정을 적용하였고, 초등학습자들의 학습태도 변화를 분석하여 초등학습자에게 적합한 디자인 교육 방법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기초계획 수립, 실험 설계 및 실행, 결과 분석의 3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기초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부산 전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초등학습자를 대상으로 디자인 수업에 임하는 학습자들의 학습태도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교육방법은 초등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아닌 교사가 주도하고 학습자들은 그 수업내용을 쫓아가는 주입식 교육방법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학습자들의 태도나 감정은 고려하지 않은 채 디자인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학습자들의 집중력과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 켈러는 ARCS 동기 모델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저하에 대한 부분을 지적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주의집중, 관계성, 자신감, 만족감에 집중하는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초등교과목 중 특히, 디자인 교육은 학습자들의 창의력을 발달시킬 수 있고,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다방면으로 접근시킬 수 있는 교과목이다. 따라서 디자인교육은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주입식 교육 방법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생각하고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켈러의 ARCS 동기 모델은 학습자중심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적용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변화를 주고자 하는 디자인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 가설1 : ARCS 동기 모델을 적용한 디자인수업과 일반 수업은 학습태도에 차이를 보일 것이다. 연구 가설2 : ARCS 동기 모델을 적용한 디자인수업은 학습자들의 학습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전 후 학습자들의 학습태도를 점수로 환산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작한 ‘학습태도’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총 4차시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ARCS 동기 모델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일반 수업에 비해 학습자들의 학습태도 점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ARCS 동기 모델을 적용한 수업이 일반적인 수업보다 학습자들의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박영실(2010)의 「ARCS 전략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습자들의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ARCS 전략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학습자들의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RCS 동기 모델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고 학습동기를 향상시켜 줌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연구 대상과 교과에 한정된 것으로써 그 이외의 학습자와 교과목에 일반화시킬 수 없으며, 실험집단 및 적용 교과의 확대를 통하여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따른 성취압력과 학업성취의 관계 : 학업동기, 학습태도, 학업적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전경진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따라서 성취압력과 학업성취의 관계가 어떤 상관이 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여러 정의적 특성 가운데 학업동기와 학습태도, 학업성취에 대한 자아개념들을 검사하여 특성의 수준에 따라 성취압력과 학업성취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학교 2, 3학년 남학생, 여학생들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중학생의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대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교육방법과 중학생 교육활동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정의적 특성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학습태도의 하위변인과 학습자의 성취압력 및 학업성취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정의적 특성 수준에 따른 학습자의 성취압력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정의적 특성 수준에 따른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간의 차이는 어떠한가? 다섯째, 정의적 특성 수준에 따른 성취압력과 학업성취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남구에 소재한 시내중심권의 남자 중학생 2,3학년 220명과 여자 중학생 2,3학년 160명을 대상으로 성취압력, 학업동기, 학습태도, 학업자아개념검사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적은 2006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의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영어, 한문의 8개 교과목 지필고사 결과로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압력 인식정도 조사결과 어머니의 압력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압력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정의적 특성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는 학업적 자아개념(r=.11, **p<.01), 학습태도(r=.20, *p<.05)가 학업성적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학습태도의 하위변인과 학습자의 성취압력 및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는 학교공부태도와 학업성취(r=.6, **p<.01), 교우관계태도와 성취압력이(r=.14, **p<.01)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정의적 특성 수준에 따른 학습자의 성취압력에 대한 지각의 차이에서, 학업동기 수준에 따라 성취압력 인식의 차이가 (t=2.57, p<.05) 유의미 하였고 학습태도 수준에 따라 성취압력 인식의 차이가(t=2.70, **p<.01)유의미하고,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성취압력 인식의 차이는 (t=2.93, **p<.01)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넷째, 정의적 특성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간의 차이에서는, 높은 자아개념을 가졌을 경우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t=2.61, **p<.01)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정의적 특성 수준에 따라 성취압력과 학업성취의 상관관계는 학습동기가 낮은 수준일 때의 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의 상관이 성취압력이 증가할수록 학업성취도 점수도 증가하는 (r=.22, *p<.05)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중학생의 경우 동기가 낮은 수준일 때 자발적으로 학습을 하는 방법에 익숙해지기까지 성취압력을 주어 학업성취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본연구의 제한점은 인천광역시 남구 소재 2개 중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로 전체청소년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연구도구나 학업성취도 검사지가 모두 표준화 과정을 거치지 못했기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무리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한다면, 고등학생들의 경우도 동기수준이 낮은 학습자에게 성취압력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도구를 표준화된 것으로 사용하여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 정의적 특성(학업동기, 학습태도, 학업적 자아개념), 성취압력, 학업성취

      • 美術學習態度, 情緖知能 및 自我槪念이 美術學業成績에 미치는 影響

        안재영 弘益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the present study, art-academic achievementas well as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there are recognize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mong various defining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art-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in middle·high schools are selected to be the objects of study.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and art-academic achievementthatselected to be variable factors of study, the interrelationship among such variable factors verified firstly, and the degree of prediction of art-academic achievement by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are mediating variables analyzed. Though these analysis, we tried to help the program development which is realized an understanding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f research which saw fine-arts educational spots in the school, such as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can be realized, and can promote art-academic achievement, the fine-arts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an advance a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self concept, and management. Hypotheses The hypotheses used for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Hypothesis 1]The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and art-academic achievementof learners in middle·high schools and subordinate factors are emotionally related significantly. [Hypothesis 2]The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of learners in middle·high schools enable significant prediction of the art-academic achievementand its subordinate factors. [Hypothesis 3]The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and art-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inmiddle·high schools have effects on the art-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Method 1. Subjects: Subjects in the present study were 1,006learners inmiddle·high schools col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2. Measures: "Scale of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An, Jae-Young,2005),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Kim,Tae-Eun, Kim,Yong-Rae,2003), and "Self-Concept Scale" (Kim, Yong-Rae, 1995) were used forthe collection of data. 3. Data processing: The materials collected are subject to the correlationalanalysis and multi-recurrent analysis with SPSS/PC+ 11.0. All hypotheses were scale to the t-test and F-test with a significant level of p<.05. Results The results of testing on the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all art-academic achievement, the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a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of inside and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top, and according to different of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 art-academic achievement has meaningful difference, so it analyze the influence of art-academic achievement and the who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class exception, sex students. Second, between an inside, high school whole student, and class exception, sex students' school related attitudes in ar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self-concept, and art-academic achievement, it was a meaningful calm superior wholly, and their art-academic achievement are also so high that students'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are high.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not mutual sector rela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earch variable. Third,the original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that whole students are the low rank factors of a school related attitudes in art, the interest-school related attitudes in art, and the common-like school related attitudes in art brought about the result which gives influence meaningly to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records the result of having analyzed about to which a high school whole student and class exception, sex students school-related attitudes in a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self-concept give influence to art-academic achievement inside. but, the preparation-school related attitudes in art which is the low rank factor of a school related attitudes in art cannot affect the whole student at art-academic achievement. Also, law rank factor of the emotion intelligence which is an independent factor, emotion understanding, empathy,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al independence brought the whole high student the result which gives influence so that it may be meaningful in art-academic achievement inside. but, The emotion accommodation which is the low rank 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n emotion adult relation cannot affect the whole student at art-academic achievement. And, the general school self-concept which is whole students studies self concept, the morality self-concept, and the home self-concept have affected art- academic achievement so that it may be very meaningful.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미술학업성적의 개인차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미술학습태도와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과 미술학업성적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정의적 차원에서 학습자들에게 바람직한 미술교육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중등미술교과 학습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미술학업성적과 관련된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을 연구변인으로 선정하고 미술학업성적과 변인들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변인들의 미술학업성적에 대한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을 독립변인으로, 미술학업성적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 미술학업성적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독립변인의 상·하 수준별 미술학업성적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에 따라 선정된 독립변인들과 미술학업성적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셋째,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에 따라 선정된 독립변인들이 미술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중·고등학교 미술교육현장에서 미술학업성적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 1,006명을 6개의 시·도 에서 임의로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도구는 「미술학습태도척도」(안재영, 2005), 「정서지능척도」(김태은·김용래, 2003),「자아개념척도」(김용래, 1995)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1.0 Version을 사용하여 차이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모든 가설과 통계치는 의미수준 p<.05에서 t검증과 F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이 미술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 상·하 수준별에 따라 미술학업성적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가설 2〕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에 따라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자아개념 및 미술학업성적간에는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이 있다. 〔가설 3〕중·고등학교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 학습자들의 미술학 습태도,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은 미술학업성적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친다. 위의 가설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 상·하 수준별로 미술학업성적 평균에서, 미술학습태도 전체는 상집단 83.06이 하집단 74.39보다 유의미하게 높고, 정서지능 전체도 상집단 83.03이 하집단 74.68 보다 유의미하게 높다. 자아개념 전체도 상집단 82.30이 하집단 75.49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 모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교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 학습자들의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자아개념 및 미술학업성적간에는 모두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이었고, 학습자들의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그들의 미술학업성적도 높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연구변인들간에는 다상호선형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다중회귀분석을 하여 독립변인의 미술학업성적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셋째, 중·고등학교 대상전체, 학교급별 및 성별 학습자들의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이 미술학업성적에 영향력을 주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이 미술학업성적에 공동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미술학습태도, 정서지능, 학업자아개념, 비학업자아개념 순으로 중학교의 경우는 20.7%, 23.1%, 15.7%, 26.0%이고, 고등학교의 경우 30.4%, 37.7%, 20.2%, 40.8%였다. 남자학습자의 경우 24.6%, 27.4%, 16.0%, 30.8% 이고, 여자 학습자의 경우 21.2% 48.8%, 40.8%, 26.1% 였다. 그리고 세 변인이 미술학업성적을 공동으로 영향을 주는 정도는 대상전체의 경우 22.6%, 25.8%, 16.8%, 28.1%였던 결과, 대상전체 학습자들은 미술학습태도의 하위요인인 독창적 미술학습태도, 흥미적 미술학습태도, 협동적 미술학습태도는 미술학업성적에 의미 있게 영향을 주고, 준비적 미술학습태도는 대상전체 학습자들 미술학업성적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대상전체 학습자들은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 정서이해, 감정이입, 정서표현, 정서독립은 미술학업성적에 의미 있게 영향을 주고, 정서융통, 정서대인관계는 대상전체 학습자들 미술학업성적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대상전체 학습자들의 학업자아개념인 학교일반자아개념, 학업능력자아개념은 미술학업성적에 의미 있게 영향을 주고, 비학업자아개념인 성격자아개념, 도덕자아개념, 가정자아개념은 미술학업성적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상황학습이론에 의한 맥락제공수업이 학습전이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승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구성주의를 철학적 배경으로 한 상황학습이론에서 강조하는 '맥락'을 수업에 제공하여 학습전이와 학습태도 면에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상황학습이론에 의한 맥락제공수업은 학습전이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상황학습이론에 의한 맥락제공수업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상황학습이론을 고찰하고 맥락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본 후, 이를 수업에 제공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맥락의 특징을 단원의 특성에 맞게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상황학습이론에 의한 맥락제공수업이 학습전이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첫째, 상황학습이론에 의한 맥락제공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제공받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학습 내용의 전이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본 연구자는 학습자가 쉽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새로운 학습 내용과 더불어 그 내용을 적용할 기회를 함께 제공하며, 개개의 분리된 문제가 아니라 문제해결을 위해 여러 개의 하위 문제를 구성하여 문제 해결과정을 하나의 흐름으로 계속해서 경험할 수 있도록 맥락을 제공하는 수업이 학습전이를 증진시키리라 예상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맥락제공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간에 학습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맥락을 제공한 수업은 학습자들이 자신과 관련 있는 내용을 배운다는 인식을 갖게 하여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상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남구에 소재한 가 초등학교 3학년 2개 반 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을 위한 학습 과제는 초등학교 수학과 3학년 2학기 여러 가지 문제(1), 표와 막대그래프 등 2개 단원이었다. 실험은 1998년 11월 23일부터 12월 11일까지 3주(12차시)동안 행해졌는데,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맥락제공수업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전통적인 일제 수업 지도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 처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가 제작하고 수학과 전문가의 검증을 받은 전이 검사지(Cronbach alpha = .7610)를 사용하였고, 학습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지로는 수학과에 대한 자아개념, 학습에 대한 태도 및 학습 습관에 관하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작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검사 결과에 대한 두 집단의 학습 전이도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고, 학습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학습이론에 의한 맥락제공수업을 받은 집단은 전통적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더 높은 학습전이력을 나타내었다(F =8.805, p< .05). 둘째, 상황학습이론에 의한 맥락제공수업을 받은 집단은 전통적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학습태도에서 더 긍정적이었다(t =2.010, p< .05). 그리고 학습태도의 하위 영역을 살펴보면 흥미와 목적의식, 자율학습과 학습기술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서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에 우월감, 자신감, 성취동기, 주의집중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effect of Context-provided Instruc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on the transfer of learning. 2) to examine the effect of Context-provided Instruc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on the learning attitude. In this study, the context means the concrete problem situation in real life which should be solved by the application of some going-to-be-given information and it should guide learners to apply the going-to-be-given information in solving problem. One of the most out standing features of the context is to stimulate learning by providing some going-to-be-given information together with an opportunity to use it. The context-provided instruction provides the situation which is well-acquanted to children, so that the children find and discuss the problem without difficulty. Then children understand the problem and find the solu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74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 the first group provided with the context-provided instruction, the second group provided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As research instruments, transfer test and attitude test were conducted in written test form. ANCOVA and t-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use of the context-provided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nsfer of learning.(p < .05) 2) The use of the context-provided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ing attitude.(p < .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made the conclusions as follows : 1) The use of context-provided instruc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transfer of learning. 2) The use of context-provided instruc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learning attitude. For further studies, it is needed to examine clearly th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s of the context-provided instruction.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 effect s of that instruction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ing tasks.

      • 観光日本語学習者の情意的要因と 達成感の関係分析

        굴호자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외국어를 학습, 습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간 행동의 정의적 요인이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동기와 태도와 불안감은 중요한 정의적 요인 중 필수적인 요소로 구분 되고 있고, 학업성취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관광관련학과에서 관광일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정의적인 특성인 학습동기, 학습태도, 불안감이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습동기, 학습태도, 불안감을 측정하고 분석하고, 학업성취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동기, 태도, 불안감에 관한 여러 문헌의 선행 조사와 그 이론적 배경 위해서 관광관련학과에서 관광일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를 위한 동기, 태도, 불안감, 학업성취감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하를 하였다. 설문의 결과를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첫째, 관광관련학과에서 관광일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동기는 1)일본어학습인자, 2)일본어문화이해 인자, 3)관광인 인자, 4)상승지향 인자, 5)유능감 인자의 5개의 인자가 추출이 되었다. 그중에 일본어문화이해가 가장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에 일본어학습, 상승지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관련학과에서 관광일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태도는 1)기대감, 2)수업태도, 3)일본어에 대한 태도 의 3인자가 추출이 되었다. 그중에 수업태도 인자가 학업성취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관련학과에서 관광일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불안감은 1)실수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 2)수업에 대한 불안감, 3)실력이 부족한 것에 대한 불안감, 4)학습에 대한 불안감, 5)대인 불안의 5인자가 추출이 되었다. 그중에 학습에 대한 불안이 학업성취감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본문화이해 동기와 기대감 태도 간에, 일본어학습동기와 기대감태도 간에, 일본어학습동기와 수업태도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일본어 학습동기와 실수 불안감 간에, 일본어학습동기와 수업에 대한 불안감 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섯째 수업태도와 실수 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 간에, 수업태도와 수업불안 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정보문해능력과 학습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문해능력이 기본 능력이 되고 있는(Reigeluth & Garfinkle, 1994; ALA, 1998; Trilling & Hood, 1999) 지식 정보화사회로의 변환은 학교 교육을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으로 변환시키고 있다. 여러 가지 구성주의적 학습 방법 중 문제중심학습은 적절한 정보를 찾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학습 능력,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 등을 그 목표로(Barrows, H., 1996, Samford PBL initiative, 2000에서 재인용) 하고 있어 지식정보화사회가 요구하는 능력들을 배양시키기에 적합한 교수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문해능력은 학습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써, Pitts(1995)나 Todd(1991) 등의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 있어서 정보문해능력과 학업성취간의 긍정적 상관관계를 밝힌 바 있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이 주요 관심사가 되는 학교교육에서는 학습효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 중 학습자 요인으로 학습태도를 들고 있다(Welberg, 1970, 윤철훈, 2000에서 재인용). 특히,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조건으로 하는 학습자 중심의 문제중심 학습환경에서는 과목에 대한 긍정적인 학습태도와 정보문해능력이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필요요건(Goodin, 1991)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 학습환경의 하나로 이미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학습자 특성 변인으로 학습자의 정보문해능력과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를 설정하고 이 두 요인이 학습자의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한 세부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정보문해능력이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컴퓨터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정보문해능력과 컴퓨터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의 상호작용 효과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K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학습자 87명을 대상으로 주 1회 45분 수업을 4주간 실시하였다. 연구절차는 수업 전 학습자의 정보문해능력 및 컴퓨터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4주간에 걸쳐 문제중심학습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학습자들이 4주간 제출한 개인별, 조별 과제 등을 기반으로 해당 과목 교사가 평가하였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이원분산분석(Two-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정보문해능력이 문제해결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도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6.567, p<.05). 이는 학습자들이 문제해결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정보문해능력이 필수적이라는 기존의 주장을 뒷받침해 주고 있으며, 학습자가 지식을 교사로부터 그대로 전달 받아 내면화시키는 수업과는 달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인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해 학습자의 정보문해능력과 같은 학습자 특성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결과이다. 둘째, 학습자의 컴퓨터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가 문제해결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도 .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8.179, p<.01). 이는 긍정적인 학습태도가 높은 성적에 영향을 준다는 Bloom(1976)과 여러 연구자들(Klausmeier, 1966; Lindgren, 1972; 유기섭, 1987; 정기상, 1988; 박기석, 신숙철, 1999; 윤철훈, 2000)의 주장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결과이며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 역시 높은 학업 성취를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셋째, 학습자의 정보문해능력과 컴퓨터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정보문해능력이 문제해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하기 전에 학습자들에게 정보문해능력을 기를 수 있는 사전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본 연구는 정규적인 컴퓨터 교육을 약 7개월간 받은 중학교 1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초등학교, 혹은 고등학교나 대학교 학습자의 경우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에 따라, 각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 중 정보문해능력과 컴퓨터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에 한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이 두 가지 특성 뿐 아니라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생각할 때, 인지적, 정의적 및 환경적인 영역에서의 다양한 학습자 특성을 포함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 환경에 한하여 정보문해능력과 컴퓨터 과목에 대한 학습태도의 영향을 실험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수업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학습환경이 존재하므로 문제중심학습 환경 이외의 다양한 학습환경에서 각각의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Information based society which information literacy is the basic ability changes the school education into constructive learning environment. Problem based learning(PBL) is the proper learning environment to educate the ability for information based society, because PBL aims at improving the skills for searching and using information, solving problems,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Pitts(1995) and Todd(1991) report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achievement and that information literacy is one of the key elements affecting achievement. In the school learning which student's improvement on achievement is important, learning attitude is one of the main elements affecting learning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 in PBL environment. In this paper, information literacy level and the learning attitude for computer science a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have to be considered for PBL.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ill be explored: First, does the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have an effect on achievement in PBL? Second, does the learning attitude for computer science have an effect on achievement in PBL? Third, doe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learning attitude for computer science have an effect on achievement in PB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5 students drawn from seventh grader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Before they were put into treatment, information literacy and learning attitude for computer science tests were execu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oth tests, students were divided into high/positive or low/negative groups. During 4weeks students learned in PBL environment and submitted personal assignment, group assignment and final proj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F=6.567, p<.05). This supports established assertion that information literacy is essential for successful problem solving. Second, the learning attitude for computer sc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F=8.179, p<.01). This supports established assertion that positive learning attitude for subject has a positive effect on achievement.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and learning attitude for computer science does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 학습자 참여수업이 오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학교 2학년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조승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확률은 현재 실생활에서 일기예보나 운동경기, 복권 추첨등과 같이 많은 일상적인 상황과 결부되어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이러한 점 때문에 수학교육과정에서 확률 교육의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중학교에서의 확률 교육은 확률 개념의 지도보다는 계산 패턴에 따라 여러 가지 복잡한 사건의 확률을 구하는 형식적인 알고리즘 중심의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많은 학생들이 확률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확률에 대한 오개념을 많이 갖게되고, 확률 단원을 배우면서 수학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등을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확률단원에 있어서의 오개념 유형과 원인에 관한 연구는 많았으나 실제로 정작 중요한, 오개념 형성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구체적인 수업 모델 제안등)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확률 개념에 있어서 오개념 형성을 예방하고,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수학 학습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수업 모델 제안이 필요하고, 실제로 이를 적용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현장에서 교사들이 실제로 확률 수업을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다음 두 가지를 연구 문제로 선정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습자 참여 수업이 연구문제 가. 확률의 오개념 형성 예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나.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표본은 서울시 소재 N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중 1학기말 수학합산 점수가 평균에 가까운 2개반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각각 35명씩 총 70명(35명×2개반=7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반은 확률 단원 전체를 본 연구자가 제안한 학습자 참여 수업 모델로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지도하였고, 동수, 동조건의 비교반은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 즉, 교사 주도의 설명 위주 강의식 수업 방법으로 지도하였다. 이때, 표본수의 한계와 확률단원 수업시수 관계상 실험기간이 짧은 점은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검사도구는 '연구문제 가'의 경우 국내외 확률 오개념 연구에 관한 학위논문과 수학교육과 관련된 학회논문집, 학술지, 수학저널 등을 중심으로 확률의 오개념에 관련된 문헌들을 수집 분석하여 전문가의 지도 조언을 받아 검사문항을 구성하였다. 적용실험이 끝난 후 실험반, 비교반의 오개념 형성 정도를 검사하여,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SPSS를 이용하여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나'의 경우 한국교육개발원이 제작하였고 이미 여러 연구에서 사용된 바 있는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실험반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역시 t-검정(Paired Samples t-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검사 결과는 실험반과 비교반의 점수 평균의 차를 t-검증한 결과 p값이 0.024로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학 학습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반의 학습자 참여 수업 모델 적용 전·후의 검사 결과는 수학 학습 태도의 8개 하위 변인 중 흥미도, 자신감, 성취동기, 목적의식과 같은 네 가지 요인이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우월감, 주의집중, 자율학습, 학습기술적용과 같은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자 참여 수업 모델을 적용하고 나서 위의 네 가지 요인과 마찬가지로 평균이 높아졌음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습자 참여 수업은, 첫째, 확률 단원 지도시 오개념 형성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수학 학습 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므로 확률 단원 지도시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방법보다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e probability is very important in modern times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our everyday experiences such as a weather forecast, sports, and a lottery. So, the importance of the probability has been constantly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However, the probability learning in middle schools has been centered on algorithm rather than concept understanding. Many students formed misconception on the probability and have been losing interest and confidence in mathematics because they do not fully understand the probability concept. In spite of these problems, studies on the specific methods - for instance, specific class models - to prevent misconception are not sufficient even 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misconception patterns in the probability and the causes of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class model which prevents misconception, interests learners, and results in the affirmative change of the learning attitude in mathematic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furnish data that teachers can refer to teaching the probability at school. For this study, the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 1. What influence the learner-participation class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have on prevention misconception? 2. What influence the learner-participation class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have on the change of the learning attitude in mathematics? Two classes of 35 in each class a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class and a control class. The classes are composed of second-year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who had similar average marks in mathematics in "N" middle school in Seoul. In the experimental class, the researcher taught students with a variety of material using the learner-participation class model. In the control class with the same number of students and the same conditions as the experimental class, the researcher taught students in the traditional explanation-centered teaching method lead mainly by a teacher for the most part. There was a limit in that the period of the study was somewhat short and the size of the sample was not big enough. For the subject 1, the test form was developed by consulting experts, collecting and analyzing papers, mathematics journals on misconception of the probability. After the experiment, the comparison of the miscon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made by t-test using SPSS. For the subject 2, the pre and post experiments were made using the examination tools that were made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already used in many studi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nalyzed by paired samples t-test,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on misconcep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marks in 5% of the significance leve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024) In the other experiment on the change of the learning attitu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5% of the significance level in 4 subordinate variable factors such as interest, achievement motive, confidence, and purpose mind out of 8 factors in the math-learning attitude. On the contrary,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4 variable factors such as a sense of superiority, concentration, self-studying, and the application of learning skills. However, the average marks in the latter 4 factors increased as well.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come to a conclusion as follows ; The learner-participation class model, - has an affirmative influence on prevention of misconception in teaching the probability in mathematics class. -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explanation-centered teaching method because it worked affirmatively on the change of the learning attitude in mathematics.

      • 학습전략 지도가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영어듣기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경숙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영어듣기 학습에서 사용하고 있는 학습전략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학습전략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습전략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필수 전략과 선택 전략을 선정하여 학습 훈련 지도모형에 의해 실험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학습전략을 지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남 거제시 소재 J초등학교 5학년 10개 반 중 영어 듣기 능력평가에서 동질성이 확보된 2개 학급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선정하여, 실험반은 학습 내용과 학습전략 지도를 병행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반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교수법에 따른 내용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기간은 4월 4주부터 7월 1주까지 총 12주간의 실험기간을 통하여 학습전략 지도가 초등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전략의 사용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면, 통제반의 평균이 사전, 사후검사 모두 실험반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실험반은 통제반보다 더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특히 실험반의 남자집단의 경우 평균이 크게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반의 상위집단의 평균은 증가한 반면, 통제반은 감소하였고, 하위집단의 경우, 실험반의 평균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통제반보다 더 높았으며, 실험반의 향상도가 통제반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집단별 학습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반의 평균은 증가하였지만 통제반의 평균은 약간 감소하여 학습전략 지도가 학습태도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성별비교에서 남자 실험반의 평균은 증가하였고, 여자의 경우는 변화가 없었으며, 통제반의 남녀집단의 평균은 모두 감소되었다. 상위, 중위, 하위집단의 경우 실험반의 평균은 향상되었으나, 통제반의 경우 하위집단을 제외한 두 집단의 평균은 감소되었다. 셋째, 연구 집단별 듣기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반의 평균이 통제반보다 더 높았다. 학습전략 지도를 통한 듣기능력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수준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듣기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자와 여자 집단의 실험반의 평균이 통제반보다 높았고, 상위, 중위, 하위집단의 경우 실험반의 평균이 통제반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중위와 하위집단의 경우 실험반의 평균은 통제반보다 크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해서 학습전략 지도를 통한 영어 학습이 영어 학습 태도와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학습전략 지도가 영어 듣기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으나, 다른 언어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그리고 전략선정에 있어서 단원의 특징에 따라 그에 적합한 학습전략이 선정되어 수업계획이 이루어져야 되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학습전략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학습기술 훈련이 중학생의 학습태도, 학습동기,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수학과목을 중심으로

        윤순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목을 적용한)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태도, 학습동기,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기술 훈련이 중학생의 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습기술 훈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습기술 훈련이 중학생의 수학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 소재 A중학교 학생 30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자기 관리, 수업참여, 과제해결, 정보처리, 시험관리, 5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학습기술 프로그램을 학습하는 학습기술 훈련이고 종속변인은 학습태도, 학습동기 그리고 학업성취이다.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차이 검증과 집단간 차이 검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기술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학습태도 점수가 학습기술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 집단에 비하여 높게 나왔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된 t-test 결과 t=5.770이고, p=.000 이므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 학습기술 프로그램과 수업 참여 학습기술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구체적인 학습행동에 관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어 본 연구의 학습태도의 하위요소인 학습 행동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습기술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 집단에 비해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된 t-test 결과 t=4.302이고, p=.001 이므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kins(1992)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개인별 성격과 특성에 알맞은 지속적인 개별 상담과 동기 부여가 뒷받침된다면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학습기술 훈련이 학습자의 수학과목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된 t-test 결과 t=2.142이고, p=.041 이므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Rafoth와 Lear(1993)의 연구에서 학습기술훈련이 학업수행에 영향을 끼질 수 있는지 실험해 본 결과 학습기술은 학생들의 기억에 관한 지식과 기억처리에 관한 지식, 그리고 효과적인 기억 방법에 관한 지식을 증가시킴으로써, 학업수행에 강력하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것은 교사와 학생 상호간 가장 지루해하며 학습자편에서는 주입식으로만 학습하게 되는 도형의 성질과 증명 단원을 선정하여 학습보조물의 이용, 발견학습법등 적절한 학습기술을 집중적으로 투여하였고, 학습자 스스로 추론하고 이해하며 발견하고 정리하여 지식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학과 학업성취도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더불어 하위학습자들에게 적시 적절한 보상과 칭찬, 강화 그리고 반복학습으로 학습훈련 프로그램이 적용되었고, 그 결과 수학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기술이 학습자의 학습태도, 학습동기, 수학학업성취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상위학습자와 하위학습자간에 수준차이가 심한 수학교과목에서 학습동기의 개선과 효과적인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서는 단원별로 적합한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계발활동이나 재량활동시간에 학습기술 프로그램을 학습자에게 집중적이고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정착시킨다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태도가 형성되어 학업성취에 많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주요어 : 학습기술, 학습동기, 학업성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