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 : 자기 주도 학습을 중심으로

        김하영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문학은 가치 있는 내용을 정서적인 언어로 표현하여, 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영역이 다. 학습자는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함으로써 바람직한 삶의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 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시문학의 교육은 교사가 주도하는 지식 전달이 우선시 되 고 있으며, 학습자들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수업을 정착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교육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 려고 한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에 따른 교과서와 그 목표와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교수, 학습 방법을 운용하고 있다. 개정된 문학 교육의 방향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참여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을 개선하고, 타인과의 상호 작용을 통한 다양한 체험과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국어 교육의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면서 독서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한 학기 한권’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자료 와 정보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해 나가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넷째, 과정 중 심 평가를 확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현대시 교육은 학습자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작품의 의미를 되새기고, 내면화하여 문학에 대한 상상력과 창의력, 창작 능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러한 교수, 학습 설계를 위해서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은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이다. 교사에 의한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학습자들 스스로가 자신의 요구에 따라 학습 목 표를 설정하고, 학습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의 시 교육은 다양한 방법과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틀에 박힌 수 업 방식으로는 학습자들의 창의성과 능동적 감상 능력, 문제 해결력을 길러주지 못하기 때 문이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의 바탕이 될 수 있는 이론을 ‘자기 주도 학습’으로 설 정하고 현대시 교육에 적용해 보았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시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2015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육 과정 내용을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습자 중심 시 교육의 기본 토대가 되는 자기 주도 학습 이론의 특징과 모형 을 분석하고, 기존의 시 수업 모형을 분석하여 보완점을 찾아냄으로써 새로운 자기 주도적 시 학습의 모형을 설계하였다. 자기 주도적 시 학습의 모형을 토대로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 록된 정지용의 ‘향수’를 가지고 3차시에 걸친 수업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그 중 2차시의 수 업계획안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 지도안을 완성해 봄으로써,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의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결론에서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을 위한 본론의 내용을 요약하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 통한 효과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의 내용이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되어, 꾸준히 검토되고 보완되길 바란다. 그리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다양한 작품들을 접하고, 능동적인 자세로 문학 활동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 활성화 방안

        동현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양질의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을 국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미술교육 과정과 교육과정 운영 사이에 마찰이 관찰되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교육과정에 대응하지 못하는 교육공간이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 과정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에 대한 이해와 공간 실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천적 개선 방법의 탐색을 위해 다중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학습자 중심적 교육관을 가지고 그것을 반영한 미술교육공간 조성 경험이 있는 현직 고등학교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최종적으로 3명의 미술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2개 학교에 현장 답사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에는 자신이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교직 문화와 공간 맥락 안에서 미술교육공간을 조성한 과정 및 결과 그리고 개인적 경험에 대해 묻는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내용은 현장 답사 중에 찍은 사진, 연구자가 작성한 노트, 녹취, 학교 홈페이지 자료, 연구참여자가 제공한 자료, 신문기사 등이다. 수집한 내용을 규합,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 구성요소 결정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교에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이 구성되는 원리를 정리하였다. 사례를 통해 본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의 구성요인은 총 14가지였으며 이는 다시 정의적 영역, 제도적 영역, 환경적 영역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은 미술교사의 의지와 관리자의 협력, 행정실의 조력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었는데, 이는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 구성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 결과였다. 특히, 학교 공간에 관계하는 구성원의 성격과 미술에 대한 인식 같은 질적 요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첫째, 미술 및 미술 교과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이해와 인식 부족, 둘째, 구성원의 인식이나 가치관, 성격 같은 질적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의 질적 격차를 예방할만한 국가 수준 규정안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이 국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일반화되기 위한 두 가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과정에 대응하는 고등학교 미술과 교구 및 시설·설비 규정안 마련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각 시·도 교육청에서 별도로 학교급별 미술과 교구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미술교육공간에 대한 시설·설비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필자는 기존의 교구 종목을 기초로 하여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내용을 보강한 새로운 교구 종목 기준표를 작성하였고, 각 영역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서울시교육청 기준 53개였던 교구 종목의 개수를 167개로 구체화할 수 있었다. 또한, 회화, 서예, 조소, 판화, 디자인 영역의 교구 종목들을 효율적으로 미술 활동에 끌어올 수 있는 이상적인 공간면적과 시설·설비 기준을 그림과 표로 자세히 제시하였다. 둘째, 학습자가 참여하는 미술공간 구현을 통한 학교 구성원 인식개선이다. 이를 위한 실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각 사례학교의 공간 맥락에 따라 실제로 적용 및 응용할 수 있는 학습자 참여 미술공간 조성 방법과 수업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미술실은 학습자가 시각기호로 타인과 대화하며 사회를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생성하는 관계적인 예술공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관계를 통해 새로운 공간 의미가 생성되는 것을 경험할 때 미술과 미술교과에 대한 진정한 공감과 인식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술교육공간의 개념미술화는 학교가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 공간을 환영하고 지속적인 협력 안에서 발전할 수 있게 하는 현실적인 실천방안이 될 수 있다.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은 시각편향 시대에 학습자가 다양한 물성을 이용한 표현과 감상 활동을 하면서 사회와 관계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각기호’와 ‘감각’의 훈련장이다. 이곳에서 학습자는 몸의 다양한 감각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미술 활동을 통해 세계와 소통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절제하는 자유로운 인간으로 성장한다.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삶’과 ‘앎’의 통로로서의 미술교육공간을 조성하려는 미술 선생님들에게 이 연구가 부족하나마 힘이 될 수 있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to improve and revitalize a high-quality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in national and public high schools. At present, in the art education field of Korean high schools, a conflict is being observed between the learner-centered art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at the center of the conflict, there is an educational space that cannot properly respond to the curriculum. Therefore, in order for the learner-centered art curriculum to be effectively practiced in school field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and its spatial practice. To explore practical improvement method, a multi-case study approach was used in this study.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incumbent high school art teachers who hav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viewpoint as well as experience in creating an art education space. Finally, three art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field trips to two schools were conducted. In the interview,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k the teachers about the process and result of creating an art education space as well as their personal experiences within the context of the teaching culture and space of their school. The contents of collected data included photos taken during the field trip, notes written by the researcher, recordings, data on school website, data provided by research participants, and newspaper artic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the components of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and based on this, the principle to compose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in the school was established. A total of 14 components of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were found through case studies,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e affective domain, institutional domain, and environmental domain.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was composed through the will of the art teacher, the cooperation of the manager, and the assistance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which was the result of the complex interac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qualitative components such as the personality of people related to the school space and their perception of art had a large interaction. Th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includes; First,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about art and art subject, and second, the lack of national-level regulations that can prevent the qualitative gaps of space that may occur depending on the qualitative components such as the school members' perception, values, and personality.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wo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to generaliz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to national and public high schools. The first plan is to prepare regulations for high school art education tools and facilities in line with the learner-centered art curriculum. In Korea, each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eparately proposes standards for art education tools by school level, but there are no standards for facilities in art education spaces. Therefore, based on the existing list of tools, this researcher prepared a new list of art education tools that reinforced the insufficient contents, and verified their validity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in relevant fields. As a result, the number of art education tools, which was 53 based on standard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could be increased to 167 in more detail. In addition, the ideal art education space and standards for facilities that can efficiently use the art education tools in the fields of painting, calligraphy, sculpture, engraving, and design for art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detail in figures and tables. The second plan i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through the realization of an art space where learners can participate. In order to explain the practical method for this, the method of creating a learner-centered art space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according to the spatial context of each school as well as the lesson plan was presented in detail. The art room can be a relational art space in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society and create a meaning of life while communicating with others with visual symbols. When the learners experience the creation of a new spatial meaning through the relationship, they can have true empathy with art and art subject and their perception can change. In this context, the conceptualization of art education space can be a practical plan for schools to welcom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and develop it in continuous cooperation.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is a training space for “visual signs” and “senses” where learners learn how to relate to society while doing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various physical properties in this era of visual bias. Here, the learners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art activities that use various senses of the body and, in the process, grow into free human beings who can control themselv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small help to school teachers who are trying to create an art education space that can serve as a channel for “life” and “knowledge” of students.

      •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위한 실행연구

        김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삶과 미술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미술은 인류 역사의 출현과 함께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미술과 인간의 삶은 서로 공생해 왔다. 그러나 정작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이유들로 하여금 미술이 학생의 삶과 동떨어진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보완하려는 노력으로 학교 안팎에서는 삶과 미술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학습할 수 있는 수업이 필연적인 교육방법으로 등장하였다. 통합에 대한 관심과 현장 적용을 위한 연구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업 운영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여 진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기존 수업의 연장선으로서 교사 주도 아래 이루어지는 통합미술 수업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통합미술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국내외 두 교수의 수업 현장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중심 통합미술교육이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하고 이를 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지금까지 통합미술교육은 이론적 논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나는 질적 연구 방법인 3E(Experience, Enquirying, Examining), 즉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지자료조사를 활용하여 현장을 보다 깊이 있고 생생하게 관찰하고 살펴봄으로써 통합미술교육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기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사례를 통해서 본 학습자 중심 통합 지향 미술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가? 셋째,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에 대한 실행연구의 성과는 어떠한 미술교육학적 의미를 가지는가? 첫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두 교수의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 중심의 통합미술교육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서는 직접 성인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두 번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천하였으며, 세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두 번의 실행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성과를 미술교육학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간성, 공간성이 주는 ‘분위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달리 말하면, 교사와 학생이 체험하는 시간성과 공간성 속에서 만들어지는 독특한 분위기가 학습자 중심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천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이다. 통합 지향 통합미술수업 분위기 속에서의 시간성이란 한 수업이 가지는 표준화된 시간성 속에서도 학생들이 작업에 필요한 시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학생마다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제공한다. 즉, 분리된 시간 단위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경험하는 다른 체험 속 시간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통합 지향 통합미술수업 분위기 속에서의 공간성은 다른 수업에서 하지 못하는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대화를 통해 상상의 공간을 경험하도록 하며, 정서적 체험의 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는 통합미술교육은 교육자에 따라서, 수업에 참여하는 대상에 따라서 다르게 계획과 실현되고 있었다. 두 교수자의 경우 학습자 중심 통합미술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우선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학습자들을 최대한 분석하고자 학습자가 전공자인지, 비전공자인지는 물론 취미와 환경적인 요인까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히 여기고 있었으며 학습자들을 최대한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성향과 상황의 이해는 학기마다 강의계획서를 수정하도록 하였고 학생을 가르친다기보다는 학습자들로부터 배운다는 자세로 수업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두 번의 실행연구를 통해 발견한 특징은 교사와 학생의 학습 체계는 다르며. 학습자들은 일시적인 재미를 찾아서 이동하며, 아이디어의 표현에 있어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작업을 원하면서도 ‘자신만의 것’을 찾고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예상하지 못한 효과로 인한 새로움,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호기심이 컸으며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한 분위기와 교사와 학생 사이에 형성되는 끈끈한 유대감은 수업의 안정감과 만족감을 고취시키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에서 학습자가 보이는 통합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생활 속에서 미술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미술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미술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반응과 표현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학생들이 지향하는 통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등학생 연구 참여자들은 ‘재미있을 것 같아서’, ‘남는 수업을 위해서’, ‘많이 경험을 위해서’ 수업을 수강한다고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미술을 전공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수업을 통해 ‘재미’나 ‘흥미’를 원하는 학생들의 경우 교사의 지시를 잘 따르고 통합의 적용에서도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스로 통합을 시도하기보다는 연구자가 임의로 제시한 통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눈에 띄는 실력 변화를 위한 전문적인 배움을 원하는 학생들의 경우 평소 자신이 표현하기 어려워하는 것이나, 자신 있는 표현들을 찾아 통합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모습은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해결을 위해 통합을 취하는 방식으로 드러났다. 셋째, 남들과 다른 경험을 위해 수업을 신청한 학생들의 경우 새로운 아이디어를 키워 나가거나, 다양한 시각을 위한 시도로 통합하였다. 이들은 앞의 두 부류보다 조금은 자연스러운 통합을 시도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이처럼 학생들은 같은 활동 속에서도 학습자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다른 통합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행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삶의 맥락 속에서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두 교수가 학습자 중심의 통합교육이 자연스럽게 가능하였던 것은 배움 속에서 익힌 몸의 학습을 실천의 장으로 가져왔기 때문이다. 미술은 이성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성적 학습은 오랜 시간 반복적인 몸의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물을 보지 않아도 그릴 수 있으며, 본인도 모르게 그려지고, 고민하지 않아도 보이는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 1945)가 말하는 몸틀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 모습은 교사의 최소한의 개입으로 학습자들이 스스로 익히는 도제식 수업과도 비슷하다. 이뿐만 아니라, 두 교수자의 삶을 교육적으로 만든 것은 이들에게 영향을 준 교육자와 디자이너와의 관계 맺기 속에서 이루어졌다. 두 교수자가 관계 속에서 보인 몸의 학습은 세 가지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수자의 전달이 아닌 학습자가 스스로 보이지 않는 상호 울림 속에서의 배움이 있었다. 둘째, 관계 속에서 말과 개념을 흉내내거나 전이되는 관점에서의 배움과 셋째, 타인의 입장으로 들어가서 타인에 대한 경험을 통해 배움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나는 교사의 몸의 학습이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천하는 데 이루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해석을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학습자 중심 통합미술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며 학습자와 함께 배움을 이루어가는 것이다. 통합지향 미술교육은 총체적인 눈을 가지기 위한 몸의 학습으로 나와 타인을 볼 수 있고 소통을 이루어 가는 통로로 더 나아가 나를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게 해 준다. 학습자 내면의 성장뿐만 아니라 주변으로 그 관점을 확장시켜 더 나은 삶을 함께 이루어나갈 수 있는 학습자 중심 통합 지향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적 관심을 기대하며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주요어 : 통합미술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실행연구, 몸의 학습 Life and art have an indivisible relation. It’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art has accompanied the emergence of human history. Art and human life have coexisted with each other for ages. However,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rt is made up of content that is far from student's life. To compensate for this situation, classes that can view and learn from life and art classes integrating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emerge as an inevitable education method. Although interest and research for field application are gradually expanding, class management still does not focus on the learner and integrated classes led by teachers as an extension of existing curricular are widespread. To address this issue, I examined the classrooms of two professors who are teaching integrated art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spects of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and to consider them from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 Art integration has often been done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However, I tried to understand art integration by utilizing 3E’s (Experience, Encouraging, and Examining),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namely,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the materials acquired from field research to observe the field in depth.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seen through cases both domestic and abroad? Second, how is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implemented? Third, wha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art pedagogy of the result of the action research on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In order to answer the first question,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hrough observing the classes of two professors. To answer the second question, I performed two integrated art classes for adults and high school students. To answer the third question, I looked at the achievements of art education through two action research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at the ‘atmosphere’ given by time and spac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unique atmosphere created in the time and space experienced by teachers and students is important for practicing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Time in the atmosphere of integrated art class despite the standardized time frame of one class, is such that teachers recognize that students require different time frames to work on their artwork and provide enough time for each student to complete their artwork. Instead of viewing it as a separate time unit, teachers consider time as an experience. In addition, I found that space in the atmosphere of art integration makes it possible to freely do what other classes cannot do, to experience the imaginary space through dialogue, and create a place for a wide emotional experience. Next,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planned and real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ducator and students. In the case of two professors I observed, in order to practice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was a priority. To analyze learners as much as possible they considered it important to understand whether each learner was majoring or not majoring in art, as well as each learner’s hobbie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tendencies and situation was required for the professor to revise the syllabus every semester and they learned from students rather than teaching them.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discovered through two action research studies are that the learning system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s different. The learners moved in search of temporary fun and were looking for something they called “their own” even if they wanted to make art that anyone could recognize as their own idea. Students were very curious about the use of new materials and methods due to the unexpected effects. The atmosphere of free choice and strong conne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encouraged a sense of stability and satisfaction in the class. In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students integrate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they experience art in their lives, how they approach art, and what art means to them. In this regard, I tried to examine students’ reactions and expressions by type and analyzed the integration that the students aimed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chosen as research participants that could be classified as taking classes “for fun”, “for improve art skills”, and “for the sake of more experience”. First, regardless of majoring in art, students who wanted “fun” and “interest” through the class followed instructions well and used various expressions in the application of integration. However, rather than attempting to integrate themselves, they were not able to work beyond the suggested integration by the teacher. Second, in the case of students who wanted a professional learning experience to improve their skills, they usually found integration difficult to express by themselves or found it difficult to integrate while displaying confident expressions. This turned out to be a way for the students to take integration to solve their problem. Third, in the case of students who wanted to have different experiences from others, these students developed new ideas or attempted to integrate different perspectives. They attempted a little more natural integration than the previous two categories. In this way. the students integr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arner's tendency and circumstances even when performing the same activity. Las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instructors was the most important when implementing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First of all, integr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professor's life for the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o work. The reason why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was naturally possible for the two professors is because they brought embodied learning into a field of practice. Art can be applied only when rational learning is done. This rational learning is accomplished through repetitive embodied learn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can be said that objects can be drawn without seeing them, drawn without their knowledge, and formed by the body frame that M. Merleau-Ponty(1945) said, can be seen without worrying. It is similar to the apprenticeship-style teaching that learners learn on their own with minimal teacher intervention. In addition, what made the lives of the two professors educational was their relationship with the educator and designer who influenced them. Embodied learning that the two professors showed in the relationship was confirm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re was learning in the mutual resonance (nonverbal way like information echoing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learner) that the learner could not see themselves, not focusing on the professor’ delivery. Second, there was learning in terms of imitating or transferring words and concepts in a relationship. Third, I found that learning through experience of others was possible by entering the position of others. Therefore, I tried to derive the interpretation that the learning of teachers’ bodies has importance in practicing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he role of teachers in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is not to teach students, but to learn with students. Art integration is embodied learning in order to have a holistic eye which allows you to see yourself and others and understand the world around you by going further as a pathway for communications with others. Art education centered on learners can expand their perspectives to the surroundings as well as the inner growth of learners. The study concluded in expectation of my research in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hat learners can experience inner growth as well as the expand their perspectives to the periphery to live better lives together. Keywords : Art integration, Learner-Center, Learner Understanding, Embodies Learning

      •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 특성, 학습참여동기, 학습장애요인과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

        성영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obstacle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gender, age, residenc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Second, how does th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 their satisfaction on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ird, How does learning obstacle factors (learning environment, distance learning program media environment, self-efficacy toward medi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teraction)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distance learning program affect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urveys and statistical tests were used to conduct such studi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both of online survey and offline direct survey targeting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 distance learning program. Through this, a total of 263 surveys were collected, and 252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11 copies with insincere or missing valu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in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gender, age, job status, and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in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place of residence and the period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y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factors, three factors of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accounted for 26.1% of satisfaction with the distance learning program,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goal-oriented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t was found that learning-oriented motivation have a greater effect than goal-oriented motiv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o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y learning obstacle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distance learning program. If implic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plan and develop a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can satisfy the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goal-oriented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or media environment included in learning obstacle factor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did not become an obstacle to learning. However, since adult learners engage in lifelong learning while conducting daily life, such as balancing work and learning, therefore planning, developing a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can increase satisfaction on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by reflecting various learning obstacles through learner analysis an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will be required. 본 연구는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 특성, 학습참여동기, 학습장애요인과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 특성(성별, 연령, 거주지, 학력, 직업 유무, 평생교육 경험 정도)에 따라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목표지향적, 활동지향적, 학습지향적 동기)는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장애요인(학습 환경,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매체환경,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능력, 상호작용)은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통계적 검증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오프라인 직접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통하여 총 263부의 설문이 수거 되었고,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결측치가 있는 11부를 제외한 252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에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및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 및 직업 유무, 최종학력에 따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와 평생교육 참여 경험정도에 따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참여동기 요인별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에 포함된 목표지향적, 활동지향적, 학습지향적 참여동기 세 요인은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를 26.1% 설명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 중 목표지향적 동기와 학습지향적 동기가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지향적 동기가 목표지향적 동기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장애요인별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안하면 첫째,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지향적 동기와 목표지향적 동기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원격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장애요인에서 학습 환경이나 매체 환경은 거의 학습에 장애가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인학습자는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등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평생학습에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자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학습장애요인을 반영하여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 및 교수설계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 학습자 참여 융합교육 수업설계 모형 개발

        권혜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육 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혹은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개 발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으로서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반영하는 참여적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실제 맥락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준과 의견을 설계과정에 체계적으로 반영함으로서 최적화된 결과물이 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해 관계자로서 중점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학습자는 학습에 대한 권한 및 책임을 지니고 있으므로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학습자의 경험 및 실생활을 기반으로 한 융합교육 분야에 있어서 참여적 설계는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핵심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습자 참여적 설계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상황이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국내 초등학교 맥락에서의 학습자 참여적 설계의 모형이나 전략에 관한 선행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학습자 참여적 설계는 연구학교나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단편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학습자의 설계과정에 대한 참여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다소 낮은 수준에 한정되어 있다. 교수자 혹은 교수설계자 주도의 설계로 인하여 학교 수업에서 학습자의 경험과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는 점은 초등학교 맥락에서의 융합교육의 효과적 실현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과정에 학습자의 경험과 요구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반영하고 설계 과정에 학습자를 유의미하게 참여시켜 학습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 요컨대, 교육 현장에서 최적화된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참여적 설계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설계 및 의사결정 과정에 학습자를 참여시켜 융합교육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실천하기 위한 모형과 상세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특히 설계 전체 단계를 안내하기 위한 처방적 성격을 지닌 절차 모형을 구성하고 각 단계의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할을 안내하기 위한 상세 지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참여 융합교육 수업설계 모형은 무엇인가? 둘째, 개발된 설계 모형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다음의 절차로 수행되었다. 우선 경험적 탐색을 통하여 참여적 설계의 절차와 지침을 도출한 후 선행문헌 고찰을 통하여 초기 모형을 개발하였다. 초기 모형의 타당화를 위하여 전문가 타당화 검토와 현장 평가를 실시하였다. 교수설계 전문가와 참여적 설계 경험 교수자 6인이 예비 타당화를 포함한 총 세 차례의 전문가 타당화 검토에 참여하였다. 현장 평가에는 초등학교 담임교사 1인과 해당 학급 20인이 참여하였다. 현장 평가 과정을 통하여 본 모형과 상세 지침이 적용된 설계와 실행 과정이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 활동 즐거움, 교사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질문지와 인터뷰,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학습자 참여 융합교육 수업설계 모형과 27개의 상세 지침이 개발되었다. 모형은 ‘설계 과정 및 방법 협의’, ‘팀 구성’, ‘학습자 설계 역량 향상’, ‘융합주제 선정’, ‘성취기준에 따른 활동 및 평가 설계’, ‘교수자에 의한 정교화’, ‘설계 평가’, ‘실행’, ‘평가 및 환류’ 총 9개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의 단계를 실제 참여적 설계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준비단계와 반복적 평가 기반의 설계 두 단계로 구분하였다. 특히 참여적 설계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 평가와 수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반영한다. 이에 대한 교수자 반응 중 강점으로는 모형이 반복적, 순환적 구조로 되어있어 학습자 및 교수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수정하기 편리하여 질 높은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 설계의 전반적인 단계를 파악하기 쉽도록 모형이 구성되어 있다는 점, 설계 전 단계를 포함하고 있어 설계 과정이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약점으로는 학습자 역량 향상 단계에서 접하는 개념이 학습자에게는 다소 생소하여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약점을 고려하여 상세 지침에 예시를 포함하여 제시하였으며 효과적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그림 자료를 함께 제시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학습자에 대한 반응 중 강점으로는 설계 과정을 통하여 학습 목표와 활동, 평가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되었고 학습을 할 때 보다 효과적인 전략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의 관계가 증진되었다는 점, 그리고 학습에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교수자 및 학습자 반응과 함께 참여적 설계를 통한 교육적 효과성 측면에서 사전 사후를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0.03), 학습 활동 즐거움(0.00), 교사관계(0.04)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가 융합 교육을 학습자와 함께 설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Participatory design is emphasized as a method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class and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ield. It can systematically reflect the perspective of stakeholders.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methods in instructional design, develop effective learning by including learners who are key stakeholders and experts in their own experiences. In addition, learner can be given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or learning, thereby enhancing performance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ory design has been variously applied in the field of convergence education where the more the learner 's experience and the relation with the real life are, the more effective learning is possible. The 2015 curriculum emphasizes core competency-centered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happier learning, thus increasing the need for participatory design.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ior literature on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in the context of instructional design.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a previous study on the model or strategy of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applied to the Korean context in which the national curriculum exists. The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has been attempted mainly in research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but the debate on it has been lacking so far. Participation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learner is limited to the weak level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and the instructor and instructor design actively design and direct the learning. This suggests that effective convergence education is not realized in school classes becaus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learner are not fully reflected in the school cla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learner in the design process and organically involve the learn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model that assigns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or learning to the learner and design effective les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and detailed guidelines for effec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by participating learners in design and decision making process. We developed a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asily understand the entire design stage and developed detailed guidelines for guiding the role of learners and instructors at each stag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to develop as a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model for convergence education (2)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velop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was adopted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model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exploration. First, through the empirical exploration, the procedures and guidelines of participatory design were derived, and then an initial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6 instructional design experts participated to a validation test and validation tests were done in three times. On-site validation was conducted by a class teacher and 20 students were attended. To figure out the effecton learners’ self-efficacy for learning,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joyful about learning activity, questionnaires, interview, pre-post test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a procedure model, 27 specific guidelines to learner participatory method were suggested. The model is composed of 'design process and method consultation', 'team composition', 'learner design competency improvement', 'convergence topic selection', 'activities and evaluation design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refinement by teachers' , 'execution', 'evaluation and reflection'. As a result of the on-site evaluation showed that, adopting model might have positive influence on learners' elf-efficacy for learning,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joyful about learning activity. Also it verified that the model is useful model to guide the teacher to design the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learner .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learner participation design. Morep ract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adaptation this model to diverse context, and the factors effecting on use of model remained as questions for future studies.

      •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방안 연구

        김수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문법 능력을 향상시키고 국어 문화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기르기 위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으로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은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학습을 주도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2장에서 구성주의와 생태학에 대하여 살펴보고 학습자 중심 문법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함양해야 할 문법 능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 능력을 문법 이해 능력과 문법 적용 능력으로 나누어 문법 적용 능력을 다시 분석 능력과 표현 능력으로 세분화하였다. 3장에서는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의 구체적인 구조와 단계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의 문법 교수·학습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2015년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방향과 관련한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학교 현장 주체인 학습자 집단과 교사 집단의 문법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셋째,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요인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의 접근 원리를 밝혔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의 구조와 구체적인 실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에서는 학습자의 문법 능력과 관련된 내용을 ‘지식-적용’으로 제시하게 되는데, ‘지식’을 제시하고 구성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교사’가 주도하고 지식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표현하는 단계에서는 점차 ‘학습자’로 책임이 이양된다. 여러 논의를 바탕으로 개발한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은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문법 교수·학습 상황을 위하여 고안한 것이다.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은 지식의 이해에서 적용으로, 교사 주도에서 학습자 주도로 변화하는 과정을 반영한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소통을 중요시하며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탐구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국어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고 검증하는 단계를 제시하였다. 중학교 두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고 교수‧학습 방법의 차이가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실험 집단에서는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모형의 절차와 단계를 적용하였고, 통제 집단에서는 강의식 수업을 기반으로 교사가 기존에 해 오던 방식대로 수업을 하였다. 4차시에 걸쳐 품사 단원을 모두 학습한 이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품사 관련 문법 성취도와 문법 태도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실험 집단에서는 수업 후 성취도에서 높은 향상을 보였으며 반면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으로 문법 수업을 진행했던 통제 집단에서는 수업 후 성취도 검사 결과에서 낮은 향상을 보였다. 사전‧사후 태도 검사 결과에서 역시 실험 집단의 경우 흥미(0.72↑), 자신감(0.92↑), 학습 동기(0.66↑) 영역에서 높은 향상도를 보였으며, 통제 집단의 경우 실험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는 낮은 향상도를 보였다.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은 성취도뿐만 아니라 태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교수‧학습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바람직한 문법 능력을 기르고, 문법 현상에 대한 흥미를 바탕으로 국어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여성성인학습자 특성유형과 학습참여요인 및 학습성과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민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평생학습에 참여한 여성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유형과 학습참여요인 및 학습성과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생학습 참여경험이 있는 여성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을 독립변인으로 삶의 질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영향력을 탐색하고자한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연령, 학력, 배우자, 자녀,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 삶의 질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여성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은 삶의 질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셋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있는가? 이다. 조사대상은 부산 전지역을 4개 권역으로 나누어 20세이상 60세미만 여성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717부를 배포하고 결측치를 제외한 최종 68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학습자특성유형은 학력, 배우자, 자녀,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고, 학습참여요인의 참여동기는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참여저해요인은 연령, 학력, 배우자, 자녀,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습성과인식은 배우자,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고, 삶의 질은 학력, 배우자, 자녀,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의 참여동기, 학습성과인식은 삶의 질과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습참여요인의 참여저해요인은 삶의 질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은 직업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다. 삶의 질에 영향력이 높은 변수는 학습성과인식의 신체적영역, 가정생활영역, 사회활동영역, 학습자특성유형의 학습애착, 학습효능감, 학습참여요인의 목표지향동기, 성향적저해요인, 상황적저해요인의 순이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유형인 배움의 즐거움과 관심도의 유지 및 강화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학습과 관련된 정보파악의 용이성 및 활용도를 높이고, 연령을 기본 축으로 각 발달단계상 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생애맞춤형 학습프로그램의 통합적이며 전략적인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를 높이기 위해 맡은 역할의 전문적인 수행이 가능하도록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의 적응을 돕는 공인자격증 및 평생학습의 기회제공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저해요인을 낮추기 위해 구조적 역량개발 및 일과 학습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과 정책적 노력이 상설화되어야 한다. 셋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체력 증진, 외모의 변화, 가족관계, 인맥형성, 대인관계의 활성화 등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이고 질 높은 프로그램의 기획 및 연구개발을 기대한다.

      • 영어 읽기자료에 대한 학습자 선호도 연구

        김대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습자의 분류 기준을 성별, 학년, 계열, 성적 등으로 상정하여 학습자의 기호를 분석한 결과 장르와 주제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지문의 길이에 있어서는 분류기준간 큰 차이를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실시한 분석의 결과를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장르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르는 소설이었으며 가장 기피하는 장르는 기피되어지는 장르는 논문이었다. 설문 대상을 학습자의 성별이나 학년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설문 결과와 약간씩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차이는 장르에 대한 기호를 파악하여 그에 알맞은 읽기자료를 제시할 때 분류기준 별로 각각 다른 장르를 통하여 학습자의 읽기자료에 대한 몰입을 유도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소설에 대한 선호도가 이처럼 높게 나타난 것은 학습자들이 그들의 목표어 능력만으로 충분히 독서능력을 신장 시킬 수 있는 교재로서의 영어 소설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주제에 있어서는 연예 분야 관련 주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치 분야 관련 주제에 대한 기피반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은재(2002)의 연구결과에서는 유머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점과 비교할 때 차이를 지닌다. 또한 주제와 관련한 선호도 조사에서도 학습자의 분류기준에 따른 분석을 시도 하였을 때 설문 결과와 조금씩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학습자에게 읽기자료에 대하여 흥미를 갖도록 읽기자료의 주제를 조정할 때 학습자의 분류기준별로 나누어 살필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학습자의 집중력을 고려한 읽기자료의 분량과 관련한 지문 길이에 대한 선호양상은 100단어에서 150단어 가량의 지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문에 대한 선호를 분류 기준 별로 나누어 살폈을 경우에는 분류기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이것은 학년이나 성별 또는 계열이나 성적에 따라 집중력을 잃지 않고 읽을 수 있는 글의 분량에 큰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나타난 지문의 길이에 대한 학습자 기호는 분류기준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학습자의 정의적 여과장치를 낮추는 방법으로 읽기자료의 장르와 주제 그리고 지문의 길이 등에 대한 조정을 하고자 할 때 각 학급의 구성 성별과 연령, 계열이나 성적등과 같은 학습자 특성에 따라 그 차이를 두어야함을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의 학급 구성의 경향을 고려하면 양성학급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아직도 동성 구성의 학급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는 교육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결과는 상당히 유용한 정보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또한 계열을 구분하여 학습자의 기호를 분석한 결과는 고등학교 1학년이 지난 후부터는 계열 선택을 하도록 하는 현재의 교육 제도 하에서 학습자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읽기자료 선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학년이나 성적도 대다수의 학교에서 학급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도출 된 결과는 현장에서의 읽기자료의 선정 및 구성에 좋은 참고가 된다. 이런 면들을 고려해 볼 때 일반적이고 획일적인 읽기자료의 구성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독해수업에 사용될 텍스트로서의 읽기자료의 보편성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지역의 학습자들 즉,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현재의 고등학생으로 한정한 연구 결과였다. 분석 결과 나타난 분류기준에 따른 학습자 기호의 차이는 특정 지역의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한분석결과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은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닌 교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 전 단계에서 학습자에 대한 파악을 하고자 할 때 반드시 이루어져야하는 점이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좀 더 종합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많은 수의 표본 집단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즉 표본의 범위를 좀 더 넓게 하여 지역과 학교를 초월한 광범위한 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의 읽기자료에 대한 기호를 고려하는 데에 있어서도 더 많은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후행연구가 이루어질 필요도 있다고 본다. 주제나 장르 지문의 길이뿐만 아니라 글의 서술 방식이나 자료를 제시하는 매체 등에 대한 기호도 학습자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석할 필요가 있는 부분들이다 교사가 학습자의 기호에 대한 다양한 경우의 수를 고려할수록 학습자의 입장에서 접근하기 용이한 형태의 읽기자료를 선정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조사는 학습자를 능동적인 학습의 주체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니며 교사로 하여금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돕는 발판이 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학습자의 기호를 고려한 읽기자료의 선정은 교사의 몫이라는 측면에서 실제 교수의 난점은 교사가 겪게 되는 부분들이며 따라서 교수가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입장을 고려한 자료에 대한 기호를 분석할 필요도 있다. 교사는 실제 교수현장에서 학습자뿐이 아닌 다른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교사의 기호에 대한 후행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읽기자료의 구성은 실제로 학습자의 기호 외에도 다른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고려의 초점은 항상 읽기자료의 교수에 있어서의 효율성에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Considering reading as conversation between the writer and reader, readers usually prefer the specific forms of articles and learners as readers, too. Therefore, a teacher should select materials which are focused on the learners' preferences, and these efforts will make students self-activated leaners. In addition, we should analyse the learners' preferences with some criteria: gender, grade, students' course, and score. Following the above statements, this study analyses the prefer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pyung, In-cheon, and presents the results First, the most preferred Genre was the novel and it shows that the novel is very useful in encouraging students to be self-activated. On the contrary, the least preferred genre were dissertations or thesis like the kinds of articles needed logical thinking, and the results varied across subjects. Second, the most preferred theme was the entertainments related with TV or radio stars. On the contrary, the least preferred theme was politics, and in each subject, the result shows some differences between criteria like the case of genre. Third, about the length of the article, most learners preferred the article with 100 words or 150 words,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criterion. According to this study, we can find that preferences of learners are very diverse and the information can be the basis of editing materials for reading instruction, but it is not reasonable to arrange materials biased to only learners' preferences because actually learners may be going to face various kinds of articles after class. So, to make the effective materials, such preferences should only be applied to the beginning of materials.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ery useful in editing the materials for reading, and the research like this should be carried out in more broad sites and more various subjects if possible.

      • 고급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접속 표현 교육 방안

        김선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ose contents for educa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for the advanced Korean learners by examining learners’ usage patterns and errors of conjunctive expressions. Understanding and using of conjunctive expressions properly is able to use as a strategy for writing as well as reading. This paper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in Korean educational courses, and analyzed the usages and errors of conjunctive expressions the learners made in their writing to utilize the conjunctive expressions as a strategy. In Chapter 2, defini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is explained, and they are categorized into meaning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The element of vocabulary which has conjunctive function in the length of a sentence or more is defined as conjunctive expressions. And in order to meet convenience of education, not only conjunctive adverbs but also idiomatic expressions are studied in the paper, and the terms in semantic category are defined in a simple way. In Chapter 3,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is described. By studying teaching materials of regular Korean educational course, it is found that conjunctive expressions are taught and learned as a category of vocabulary. By interviewing the teachers who teach Korean language in the fiel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writing, understandings of conjunctive expressions by the teachers, direction of education of conjunctive expressions and the actual feedbacks of the teachers on the practical writings of their students are studied. In doing so, it is found that in case of teaching conjunctive expressions teaching and learning of vocabulary shall be accompanied by teaching and learning of functional aspect of the language, while teaching and learning of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shall be separated. In Chapter 4,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ading materials of textbook, writings written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writings written by advanced Korean learners, tendencies of usage of conjunctive expressions are studied to analyze their errors in the expressions. Due to the fact that a learner studies and learns a written language based on a textbook, it is believed that reading materials of textbook can be considered as good example to learners. Therefore reading materials of textbook can be a standard to analyze their writings.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found that learners use conjunctive expressions twice often than the other two groups are compared, and they show a different tendency in frequently used conjunctive expressions than the others. In this Chapter, the needs of continuous education of semantic category of conjunctive expressions, applications of conjunctive expressions in the length of paragraph as well as sentence, and education of utilizing the conjunctive expressions which are essential are identified to the advanced learners. In Chapter 5, based on the studies from Chapter 3 and 4 the examples of educational plan of conjunctive expressions are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a study of conjunctive expressions is made including conjunctive adverb and idiomatic expressions in aspect of education, the education contents are composed based on the practical writings of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and new and refreshing point of view of teaching and learning conjunctive expressions is suggested by including the omission of unnecessary conjunctive expressions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본 논문은 고급 한국어 학습자가 작문에서 사용하는 접속 표현의 양상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접속 표현 교육 내용을 구성해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접속 표현의 쓰임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한국어 읽기뿐만 아니라 쓰기 수행 시 하나의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접속 표현의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 접속 표현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실제 학습자의 작문에서 사용된 접속 표현의 양상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에 맞게 접속 표현을 정의하고 연구에서 분석한 접속 표현을 목록화 하였으며 기존 연구들을 참고하여 접속 표현의 의미를 범주화 하였다. 문장 이상의 단위에서 접속 기능을 하는 어휘적 요소를 접속 표현으로 규정하고 교육의 편의를 고려하여 접속 부사뿐만 아니라 관용 표현을 포함하였으며 의미 범주의 용어를 쉽고 단순하게 정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접속 표현의 교육 현황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정규 과정의 교재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접속 표현은 어휘의 개념으로 교수·학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교사 인터뷰를 통해 쓰기 교육의 현황, 접속 표현에 대한 교사 인식, 접속 표현의 교육 방향, 실제 작문에서 교사들의 피드백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속 표현에 대한 교육은 어휘 교수·학습뿐 아니라 기능 교수·학습과 연계하고 입말과 글말에서 사용하는 접속 표현을 구분해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4장에서는 교재 지문, 원어민 그리고 고급 학습자의 작문을 비교 분석하여 학습자의 접속 표현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이후 학습자 작문에 사용된 접속 표현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쓰기 학습 수행 시 교재의 읽기 지문을 모범으로 삼기 때문에 교재의 읽기 자료는 학습자 작문을 파악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세 집단의 자료 분석 결과 학습자는 교재의 읽기 지문과 원어민에 비해 2배 정도 접속 표현을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고빈도로 사용하는 의미 범주도 두 집단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의 자료 분석을 통해 고급 학습자에게 접속 표현의 의미 범주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문장 단위뿐 아니라 단락 이상의 단위에서 사용하는 접속 표현 활용 교육, 필요한 접속 표현만 사용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5장에서는 3,4장에서 확인한 내용을 중심으로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접속 표현의 교육 내용을 구성해서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접속 표현에 접속 부사뿐만 아니라 교육적 관점에서 관용 표현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과 한국어 학습자와 원어민의 실제 작문을 바탕으로 교육 내용의 구성을 시도했다는 점, 그리고 접속 표현 생략을 교육 내용에 포함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SNS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지된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장재홍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와 학습내용,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인지된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각 변인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경기도 도시에 소재한 공립초등학교 6학년 135명으로 하였으며, SNS 활용 수업 후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 중 무응답 및 성실하지 않은 응답을 제외하고 총 107명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SNS 활용 수업은 질의·응답, 토의·토론, 실시간 자료 공유, 과제 제출, 투표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은 학습몰입에, 학습몰입은 학습만족도와 인지된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 상호작용과 학습만족도, 학습자 상호작용과 인지된 학습성과 사이에서 학습몰입이 매개하여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학습 환경 및 학습자 배경 등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던 변인들이 구체적으로 고려되지 않았으며, 학습자의 SNS 사용경험 횟수, 사용 숙달도 등 SNS 이용 특성에 따른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SNS 유형과 특징에 따라 다양한 SNS 종류로 연구를 다양화 할 수 있으며, 수업 유형을 체계화 하여 수업의 목표에 따라 SNS의 사용 효과를 가장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