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상담교사를 위한 학교상담 사례개념화 도구 개발

        성혜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상담의 특수성에 기초하여 학교상담 사례개념화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여 학교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교상담 사례개념화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학교상담 사례에서 발견되는 사례개념화 요소들을 수집하여 요소 항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조사 설문을 실시하여 요구도가 낮은 항목을 제외함으로써 44개의 요소 항목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평정을 실시하여 학교상담 전문가 5인이 이들 44개의 요소들을 상호배타적인 성격을 가진 14개 유목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유목분류 결과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기존의 44개 요소 항목이 32개 요소로 축소되었다. 유목분류 및 내용분석 결과 정리된 14개 유목은 ‘내담자 인적사항’, ‘상담 경위’, ‘상담 태도 및 요구’, ‘현재 문제’, ‘개인·심리적 특성’, ‘가정적 특성’, ‘학교·또래 특성’, ‘위기 진단’, ‘문제의 원인 추론’, ‘핵심문제’, ‘자원 및 위험·보호요인’, ‘상담목표’, ‘상담계획’, ‘지원체계’이었고, 각 유목에는 최소 1개에서 최대 4개까지의 요소 항목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나타난 유목들은 내담학생 개인을 비롯한 가정적 특성과 학교·또래 특성을 포함하며, ‘문제의 원인 추론’, ‘자원 및 위험·보호 요인’, ‘지원체계’ 유목에 있어서도 가정과 학교 요소를 고려하여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는 일반상담과 달리 개인을 둘러싼 가정과 학교의 협력이 필수적인 학교상담의 특수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위기 진단’ 유목을 포함하여 내담학생의 문제를 진단함으로써 앞으로 발생 가능한 문제를 예방하고자 하는 학교상담의 예방적 특성이 반영되었다. 다음 단계에서 실시한 다차원 척도 분석은 정리된 유목 간 관계와 구조를 밝힘으로써 유목들을 재배치하여 보다 효율적인 도구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자료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14개의 유목들을 두 개씩 짝지어 유사성 평정 자극을 구성하고 학교상담 현장전문가 3인을 포함한 전문상담교사 14인에게 유목간의 비유사성을 1점(매우 유사하다)에서 10점(매우 다르다)의 점수로 평정하게 하였다. 이렇게 평정된 자극을 다차원 척도법으로 분석하고 합치도(stress)와 해석가능성을 고려하여 2차원 축을 구성하였다. 공간좌표 상에 나타난 유목 간 거리와 차원축을 중심으로 해석한 결과 연구자는 학교상담자들이 두 가지 차원에서 학교상담 사례를 개념화함을 알 수 있었다. 1차원은 ‘정보탐색 vs 상담계획’ 차원이고, 2차원은 ‘상담 외적 vs 상담 내적’ 차원이다. 이 때, 1차원 축을 토대로 학교상담 사례개념화의 단계를 구분할 수 있으며, 각 단계에서 2차원 축의 상담 내적 측면과 상담 외적 측면이 유기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차원축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유목들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병렬적으로 재배치하여, 유목별 요소를 나타냄으로써 최종적인 학교상담 사례개념화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상담의 특수성에 근거하여 학교상담의 경험적 사례들을 분석하고, 사례개념화 요소들을 정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분류된 유목들의 구조와 유목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교상담 모형에서 제시하는 단계별 사례개념화 요소를 제시하고, 상담자가 각 단계에서 상담 장면 외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적 배경을 고려하여 내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드러내는 내적 요인인 문제 및 요구를 진단, 상담을 계획할 수 있게 하였다는 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상담활동을 전담하는 전문상담교사가 학교에 배치되고, 학교상담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물은 학교상담자 교육자료 및 학교상담 수퍼비전에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여 전문상담교사들의 전문성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kinds of school counseling case conceptualization factors exist based on the specialty of the school counseling, and to develop school counseling case conceptualization tool to utilize it in the school counseling session by analyzing its structure and meaning. To attain this research goal,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organized case conceptualization sub-factor items foun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ol counseling case through the database research. Based on this database, deman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xclude items that have low demand finally, total 44 items were remained. Next, a professional rating was also conducted by 5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o put these 44 items into 14 mutually exclusive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category classification analysis, 44 items decreased to 32 items. 14 categories that were designed by category classification and contents analysis are as follows; ‘Client Profile’, ‘Clients’ Condition and Circumstances’, ‘Counseling Attitude & Needs’, ‘Present Issue’, ‘Individual &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 Genetic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School & Peers ’, ‘Crisis Diagnosis’, ‘Inferring Cause of the Problem’, ‘Key Issues’, ‘Enabling, Risk, & Protective Factors’, ‘Counseling Objectives’, ‘Counseling Planning’, ‘Supporting System’. Each Category consists of at least one sub-category to a maximum of four sub-categories. The sub-categories created by the research result include cli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ose of his or her family and peer, and family and school factor should be considered even in the categories of ‘Inferring Cause of the Problem, ‘Enabling, Risk, & Protective Factors’, ‘Supporting System’. This result appears to reflect the specialty of school counseling that requires cooperation of individual’s family and school unlike other general counseling. It also reflects preventive characteristics of school counseling that has intention of preventing prospective problems by diagnosing client’s problems through ‘Crisis Diagnosis’ category and others.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next step in order to develop more efficient tool by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each category and reorganizing them. To find the structure of the data, similarity rating stimuli was developed, by pairing 14 categorie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cluding three professional field counselors in school evaluated dis/similarity between each category, marking scores from one (very similar) to ten (very different). Based on these rating stimuli, two-dimensional scale was created, by analyzing stimuli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onsidering stress function and interpretation. The result of interpret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category and the dimensional scale shown in the space matrix revealed that school counselors conceptualized school counseling case based on these two kinds of dimensions. One-dimension is on ‘Information Search vs Counseling Planning’ level, and two-dimension is on ‘Problem and Needs-Situational Condition’ level. By using one dimensional scale, the step of case conceptualization can be identified, and each step should correlate to ‘Counseling Internal vs Counseling External’ category on the two-dimensional scale. The final school counseling case conceptualization tool was developed by classifying each category by each step and rearranging them in a row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dimensional scale.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se findings is the fact that the experimental cases of school counseling were analyzed based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school counseling. Also, this study has crucial meaning that organizes case conceptualization factors for the first time. An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this study provides a case conceptualization factors by each step found in the school counseling model by understanding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the classified category, and enables counselors to plan counseling program after diagnosing clients’ problems and needs considering situational condition in each step. At this point whe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re distributed in the school and the school counseling is introducing in earnest, these findings will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school counseling education materials and the school counseling supervision, and ultimately it will provid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ith professionalism.

      • 상담과정 기반의 학교상담자 셀프 수퍼비전 모형 개발

        정옥신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과정 기반의 셀프 수퍼비전 모형을 개발하고 학교상담자 발달단계에 따라 구분되는 셀프 수퍼비전 구성 내용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학교상담실무자 FGI 및 상담심리 전문가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셀프 수퍼비전의 성격과 특징, 목적, 구성요소 및 상담과정별 내용을 도출하여 예비 모형을 구안하고, 4명의 전문가 1차 평가, 30명의 학교상담실무자 2차 평가, 5명의 전문가 3차 평가를 통해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고 학교상담자 발달단계별 셀프 수퍼비전 구성내용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셀프 수퍼비전의 목적은 4가지로 ‘상담 전문성과 상담 서비스의 질적인 향상’, ‘상담자 자기각성과 자기성찰 및 자기돌봄 증진’,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는 내면화 훈련 과정’, ‘전문가 수퍼비전에 대한 수용과 분별 및 능동적인 태도 형성’으로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는 ‘핵심과업’과 ‘자기성찰’의 2가지로 나타났으며 상담초기, 중기, 종결기의 각 단계마다 ‘핵심과업’은 학교상담자가 점검해야 할 목록으로 제시하였고 ‘자기성찰’은 질문으로 제시하였다. 상담과정 기반의 셀프 수퍼비전 최종 모형은 총 43가지의 세부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학교상담자 발달단계에 따라 입문기에 해당하는 초심자일수록 상담언어기술을 훈련하는 내용으로 나타났고 성장기와 숙련기일수록 상담의 방향성과 사례개념화를 훈련하는 차별화된 ‘핵심과업’ 내용이 도출되었으며 ‘자기성찰’은 발달단계와 관련 없이 모든 단계에서 중요하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셀프 수퍼비전 연구를 확장하였고 학교상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셀프 수퍼비전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supervision model based on the counseling process and to specify the contents of the self-supervision which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school counselor. For this purpose,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with FGI and counselor psychotherapist in school counseling, the researcher made a preliminary model by deriving contents, characteristics, purpose, components and counseling process of self-supervision. The final model was derived from three evaluation steps, including the first evaluation by four counseling experts, the second evaluation by 30 school counselors, and the third evaluation by five counseling experts. And the self-supervis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chool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 was suggested. Concretely, the purpose of self-supervision wer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ounseling expertise and counseling service', 'Counselor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and Self-Care Promotion', 'Internalization training course that applies theories to the field', and 'Acceptance of professional supervision and formation of discernment and active attitude'. The main components were 'core task' and 'self-reflection'. In each stage of early, middle, and final stage, 'core tasks' were presented as a list to be checked by the school counselor. 'Self-reflection' was presented as questions. The final model of self-supervision based on counseling process consisted of 43 detail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school counselor, the beginner is trained in counseling language skill. In the growing and the skilled period, differentiated 'core tasks' were trained counseling direction and case conceptualization. 'Self-reflection' was important at all levels regardless of developmental level. This study extended self-supervision studies and is significant that the school counselor presented self-supervision contents which can be utilized in counseling scene.

      • 교사의 지각된 학교상담역량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연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역량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 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상담역량이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상담역량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의 16개의 중․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하는 현재 학교상담역량보다 교사가 기대하는 상담역량이 더 높았다. 교사 역할 중 학생지도에서 교사 스스로가 역할 수행에 대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성별에 따라 남교사보다 여교사의 상담역량에 대한 기대수준, 직무스트레스, 정서적 고갈이 높았다. 서울지역 교사보다 경기도지역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높았다. 고등학교 교사보다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상담역량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적 고갈이 높았다. 연령과 경력에서 상담역량의 기대수준이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연령이 높고, 경력이 높을수록 현재 학교상담역량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상담역량,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상담역량의 현재수준은 소진의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 상실간의 부적상관관계를 기대수준은 개인적 성취감의 상실에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하위요인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결과는 교사가 지각하는 상담역량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이 소진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성취감의 상실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이다. 상담역량에 대해 현재수준 및 기대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적 성취감의 상실, 즉 개인의 노력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낳지 못하여 자신의 일을 무의미하게 보는 것이 경향을 보인다. 이는 학교상담에 대한 스스로의 기대수준이 높은데 반해 상담에 대한 개인의 상담능력에 대한 한계로 좌절로 인하여 상담상황에 대한 중압감으로 연결되어 소진까지 경험하게 된다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상담역량의 기대수준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보였다. 교사는 초심 상담자의 모습으로 상담에 대한 현재수준보다 높으나 학생과의 상담에서 적절한 정서적 교류를 유지하는 어려움과 심리적인 부담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뒷받침할 수 있다. 학교현장에서의 교사는 자신의 상담능력에 대해 끊임없이 의심하며 자신감이 부족한 모습이며, 상담에 있어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지각하며 이러한 스트레스 상황이 소진으로까지 연결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상담역량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에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상담역량에 대한 준비가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인임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상담역량이 교사의 소진과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상담역량의 기대수준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보였다. 이는 상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위해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통해 내적인 자신감을 높여 교사들이 경험하게 되는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의 상실 등의 소진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 학교상담자의 일-가정 갈등수준이 가정소진 및 직장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도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에 학교상담자가 도입된 것은 2005년으로 일진회 문제 등 학교폭력의 심각성이 점차 증대되면서 문제의식으로 대두되던 시점부터이다. 정부에서는 학교폭력에 대한 대책 마련으로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초․중등교육법 제 19조 2항)을 공포함으로써 학교상담자인 전문상담교사를 배치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2005년 9월 처음으로 전문상담순회교사를 선발할 수 있는 정원 308명을 확보하여 각 지역교육청에 배치하였으며, 2006년에는 전문상담교사 정원 265명을 확보하여 2007년 3월에 상담을 전담으로 하는 전문상담교사를 학교에 배치하였고, 2007년 9월 사립학교에도 배치되었다. 2012년 9월에는 전직상담교사 250명(현직 교과교사 중 전문상담교사자격증을 소지한 교사 중 특별채용), 신규임용교사 250명을 선발하여 전문상담교사로 활동하게 되었으며, 2013년 3월에는 사립학교에 전문상담교사(신규, 전직) 463명이 충원되어(김희대, 2013), 2013년 12월 기준으로 현재 공립학교 903명, 사립학교 678명으로 총 1,581명의 전문상담교사가 단위학교 및 교육청에 배치된 상태이다. 또한, 전문상담사,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등을 포함하여 계약직 전문상담인력으로 3,764명이 Wee클래스 및 Wee센터 등에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전문상담교사는 신규배치, 전직배치, 혹은 전문상담사라는 계약직 형태로 다양한 루트를 통해 배치되고 있는데, 제도적인 장치와 역할에 대한 규정이 모호하여 전문상담교사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도명숙, 2008).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을 때, 전문상담교사의 가장 큰 어려움은, 이들은 학교현장에서 상담전문가인 동시에 교사로서의 이중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상황에서 역할갈등 및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김정숙, 2010)는 것이다. 또한 상담업무 외에도 다중업무의 수행을 요구받는 상황에서 이로 인한 역할갈등과 역할의 모호성을 경험하고 있으며, 교사와 교직원과의 관계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 같은 과중한 업무와 개인적 갈등은 심리적 소진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Maslach& Goldberg, 1998). 상담자의 소진에 대한 연구가 확장되면서 최근 학교 상담자의 소진을 다룬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김정숙, 유금란, 2010; 배호영, 2011; 서문희, 2011; 서지영, 2011; 손혜진, 2010; 이미진, 2012; 이지혜, 2012; 이현아, 이기학, 2009). 이러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동일한 직무 환경과 스트레스 속에서 유연한 적응력을 보이는 상담자가 있는 반면에, 쉽게 소진이 되어 자신과 타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즉, 동일한 환경이더라도 같은 정도의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을 받아들이는 개인의 주관적 지각에 의해서 스트레스의 정도가 결정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오은화, 2010). Brill(1984)에 의하면 소진이란 장기간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나오는 적응좌절의 마지막 단계이다. 상담자는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도 자신보다는 내담자의 심리적 건강에 많은 관심을 두고 희생하도록 훈련받는데, 지속적인 배려와 보살핌을 제공하다가 에너지가 떨어지게 되면 자신을 미비한 존재로 느끼게 되고, 결국 스스로의 인생에서도 주도성을 상실하고 조직의 요구에 심한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Corey, 1996). 이러한 과정에서 얻게 되는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을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한 상담자의 직무 만족도 저하는 내담자와의 관계와 상담 효과성에 결정적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소혜정, 2005). 이러한 심리적 소진은 학생들과의 상담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상담자로 하여금 직장소진이나 가정소진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학교상담자의 경우 90% 이상이 여성임을 보았을 때 일이나 가정에서의 역할요구나 여겨지는 갈등에 따라서 소진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기존의 남성과 여성의 역할영역이 많이 달라지게 되었다. 기혼자 중에서 취업을 한 여성들은 직장에서 요구되는 역할, 어머니로써의 역할, 아내로써의 역할 등 일반적으로 다중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기혼 여교사의 경우에는 교직에서 주어지는 역할과 함께 전통적인 한국 여성이 가지는 역할도 같이 수행해야 한다고 스스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과 가정의 두 역할 간의 상반된 기대로 인하여 발생하는 역할 갈등을 겪게 된다고 하였다(이원표, 1983; 재인용). 또한, 김경순(2000)은 기혼 여교사가 미혼 여교사에 비하여 가사, 육아 등으로 인해 전문직으로서 교사의 역할에 더 열중할 수 없어 부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기혼 여교사의 갈등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고 하였다. 특히, 기혼 학교상담자의 경우에는 가정에서의 역할, 교사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상담자로서의 역할, 즉, 타인에 대한 민감성이나 감수성이 더해지기 때문에 주어지는 역할이 많아짐으로써 역할 갈등 및 소진은 더욱 클 수 밖에 없다. 실제로 교사가 소진될 경우에는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이나 관심을 잃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조력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조력자 자신에 대해서도 별 볼일 없으며 중요하지 않은 존재로 느끼게 된다(Raquepaw & Miler, 1989). 이러한 가정 및 직장에서 요구되는 역할 갈등은 남성과 여성에게 주어지는 가사노동 시간과도 관련이 있다. ‘200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연보’에 따르면, 한국 직장여성의 주당 근로시간은 약 44시간으로 OECD 최상의 수준이며, 평균의 34.3시간보다 10시간이나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또한 ‘생활시간조사(2009)’에 의하면, 하루 평균 성인 남성의 평균 가사노동시간은 24분인데 반해, 여성의 가사시간은 2시간 38분이다. 즉, 근로시간 뿐 아니라 가사노동에 할애하는 시간이 여성이 월등히 많기 때문에 일-가정 갈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일-가정의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일과 가정의 역할갈등과 균형이라는 과제가 중요시 되었고, 일-가정 갈등(WFC)개념에 입각하여, 갈등의 원인 및 발생양상과 결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를 개인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일-가정 갈등은 불안, 우울, 삶의 행복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가영희, 2006; 장재윤, 2003; 김재엽, 2009; 이주일 외, 2010; 이주희, 2000), 직무·조직적 측면에서 보면, 조직몰입이나 이직의도,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임효창, 2005). 또한 일-가정 상호관계에서 여성들은 많은 갈등과 촉진을 경험하게 되는데 일-가정 갈등일 경우 이두영(2003)의 연구에서는 갈등이 심한 사람일수록 직무만족도가 낮고, 임효창 등(2005)은 기혼직장인들의 직장-가정 갈등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연구에서 일-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처럼 최근 일-가정 간의 부정적 상호관계인 ‘갈등’에 대한 연구가 많으며 여성들의 경우 직무만족이 어렵다는 논의가 많다(박지원, 2007; 임희정, 2000). 일-가족 갈등과 관련된 주요한 결과변수로 일 만족이 연구되고 있으며, 일-가족 갈등과 일 만족과의 관계는 현재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Bruck, Allen & Spector, 2002). 이러한 연구들을 보았을 때 일-가정 갈등이 직무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며 상담자로 하여금 소진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국외의 또 다른 연구에서는 직장여성의 건강에 있어 일-가정 갈등(WFC) 개념에 대한 초점을 맞추며 갈등요인에 따른 육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및 우울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그 외의 많은 연구에서 일-가정 갈등(WFC)을 일-가정(WIF :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과 가정-일 (FIW :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의 양방향적인 갈등으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되어 왔다(Frone, 1997). 일-가정 갈등은 여성 종사원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이자 점차적으로 개인생활의 만족도 저하, 직무 불만족,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증가 등 조직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선행연구에 나타났다(Osman & Lulu, 2006). 이러한 선행연구들에서 볼 수 있듯이 직장과 가정이라는 두 곳에서 역할간 갈등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일-가정에서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가정 갈등은 심리적으로 소진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정서적인 고갈이나 상담자로 하여금 내담자를 대하는 태도에 대한 비인간화, 개인적이거나 직업적인 성취감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보았을 때 학교상담자는 직장인으로, 특히 직장 여성으로서 일과 가정에서의 갈등수준에 따라서 가정에서의 소진과 직장에서의 소진을 모두 경험할 수도 있고, 오히려 가정에서의 소진을 직장에서 보상받으려는 심리로 인하여 직장에서는 더욱 유능한 상담자가 되기 위하여 노력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문상담교사 및 전문상담사인 학교상담자들의 일-가정 갈등수준이 직장 및 가정에 대한 심리적 소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학교상담의 역사와 맥락을 함께하는 전문상담교사 및 전문상담사의 제도 개선에 도움이 되며, 나아가 학교상담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 개발

        손현동 한국교원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831

        2007년 3월부터 학교현장에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됨에 따라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돕기 위해 수퍼비전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상담교사를 위한 수퍼비전은 학교상담의 예방적, 발달적, 종합적인 성격에 부합되며, 전문상담교사들의 역할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를 위한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을 개발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헌고찰과 실태․요구 조사를 통해 수퍼비전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을 구성하였다. 학교상담 수퍼비전에 대한 요구조사는 우선 전문상담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문헌고찰과 요구에 대한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77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학교상담 수퍼비전 요구분석 질문지’를 개발하여 116명의 전문상담순회교사에게 실시하였다. 두 번째, 일반상담, 학교상담 수퍼비전 이론과 교사 장학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학교상담 수퍼비전 진행과정과 실시 방법을 모색하였다. 설정된 학교상담 수퍼비전의 목표는 아홉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개념화를 할 수 있고, 효율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하며, 상담과정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둘째, 자문의 절차에 따라 개입전략을 수립하며 교사와 학부모 대상 연수를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다. 셋째, 학생을 둘러싼 체제(학부모, 교사, 행정가, 지역사회 등)를 지원하고, 정확한 사정을 할 수 있고, 정보를 제공하며 적절한 절차에 따라 의뢰할 수 있다. 넷째, 학교상담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프로그램 개발, 실행, 평가 할 수 있다. 다섯째, 대집단 생활지도 내용을 조직하고 전달할 수 있다. 여섯째, 높은 인지, 정서, 윤리, 정체성 수준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일곱째, 직접․간접 서비스를 지원하는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여덟째, 학생의 지원체계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한다. 아홉째, 업무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갖는다. 이 목표들을 다시 소목표로 나누었으며, 각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수퍼비전 내용을 구성하였다. 전문상담교사는 초급, 중급, 숙련의 발달단계마다 특징을 보일 것이며, 그 방향은 발달 전체 영역에서 전문적인 복잡성(complexity)이 나타나는 것과 함께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개발된 학교상담 수퍼비전 과정은 크게 네 가지 국면과 하위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입국면은 ‘관계형성’과 ‘계약’, 준비 국면은 ‘분석’, ‘수퍼비전 영역과 목표설정’, ‘개입방법 고안’, 실행국면에서는 ‘개입 실행’과 ‘실제 적용’, 마지막으로 수퍼바이저와 전문상담교사간 ‘수퍼비전에 대한 평가’와 ‘종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국면 간에는 순환적인 과정이 이루어지며, 각 국면 내에서도 순환적인 과정이 이루어진다. 각 수퍼비전 과정을 설명하면서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개입하는 방법들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개입방법으로서 수퍼바이저의 역할과 양식, 그리고 방식을 어떻게 선택할 것인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개발된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은 발달모형에 근거하고 있으며,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중심으로 수퍼비전 목적과 목표가 설정되었고, 수퍼비전 과정과 개입방법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즉, 개발된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은 발달모형에 기초한 통합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다. 개발된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은 학교상담의 특성과 전문상담교사들의 역할을 고려한 수퍼비전 모형으로, 전문상담교사들의 전문성 향상과 발달을 돕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고등학생이 지각한 도움추구 접근-회피요인이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준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단위학교 상담 장면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갭’의 원인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학교 내에 설치된 Wee클래스에서 진행되는 상담을 학교상담으로 정의하고, Wee클래스 학교상담에 대한 학생들의 도움추구의도를 조사하였으며,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접근요인(심리적 불편감, 상담 유용성 기대, Wee클래스 환경, 교사-학생 애착)과 회피요인(사회적 낙인, 자기 은폐)으로 설정하여 접근-회피요인의 영향력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도움추구 접근요인이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도움추구 회피요인이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도움추구 접근요인과 도움추구 회피요인이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정도는 어떠한가?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중에서 남녀공학교, 남학교, 여학교를 1개교씩 총 3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총 9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불편감 척도를 통하여 학생들의 주 호소 문제 유형을 분석하고, 주 호소 문제를 포함한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불편감 문제에 대하여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Wee클래스 학교상담의 ‘서비스 갭’ 실태를 실증적인 자료로 제시하였다. 둘째, 성차를 기준으로 도움추구 접근요인, 도움추구 회피요인,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는지 분석하여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성별이 집단화 되어있는 학교유형별(남녀공학교, 남학교, 여학교)에서도 같은 결과가 산출되어 성차에 대한 설명력을 뒷받침해주어 성별 차이에 따른 Wee클래스 운영 및 홍보에 대한 차별화 전략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대다수의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상이하게 남학생의 도움추구의도가 여학생보다 높게 분석되어 성차의 도움추구의도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을 지속적으로 탐색해야 함도 제기하였다. 셋째, Wee클래스 상담 경험 유무로 집단을 분류하여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Wee클래스 상담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Wee클래스 상담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가 낮은 결과를 검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단위학교의 Wee클래스 운영 방법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넷째, 도움추구 접근요인과 도움추구 회피요인이 Wee클래스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에 미치는 설명력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Wee클래스 학교상담을 추구하도록 하기 위해 도움추구 접근요인인 심리적 불편감, 상담 유용성 기대, Wee클래스 환경, 교사-학생 애착 관계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더불어 도움추구 회피요인으로 설정한 사회적 낙인에 대한 인식 개선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Wee클래스는 부적응 학생만을 위한 곳이 아니라 학생 모두의 정서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곳이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하고,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질 높은 상담 서비스를 경험해보게 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다수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상담 경험은 Wee클래스가 정서적 지지와 성장을 위한 조력 공간임을 학생들에게 인지하게 하여 Wee클래스 상담, 학교상담 도움추구의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도로 심리적 불편감에 대한 해결만이 아니라 학생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정서적인 지지와 성장 지원적인 조력을 받는 곳으로 Wee클래스, 학교상담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causes of the 'service gap' that exists in each unit school counseling scene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boost students' Wee-class school counseling help-seeking intention. School counseling was defined as counseling conducted in the school's Wee-class, and the students' help-seeking aims for the Wee-class school counseling were studied. Approach factors (discomfort, counseling usefulness expectation, Wee-class setting, teacher-student attachment) and avoidance factors (social stigma, self-concealment) were established to examine the effect of approach-avoidance factors in a overall perspective. For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in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degree of effec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elp-seeking approach factors on the Wee-class school counseling’s help-seeking intention? Second, what is the impac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ssistance-seeking avoidance factors on the Wee-class school counseling’s help-pursuit purpose? Third, what is the relative effec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elp-seeking approach factors and avoidance factors on the Wee-class school counseling help-seeking intention? To prove this, 917 students were chosen at random from general high schools in Seoul, including one mixed gender school, one boys-only school, and one girls-only school, and the findings were aggregated as follows. Firstly, the types of students’ main pleading problems were analyzed via psychological discomfort scale, and the intention to seek help with Wee-class school counseling was analyzed about the mental discomfort problems experienced by students including the main complaint problems, as well a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service gap’ of the Wee-class school counseling occurring at school sites was presented as empirical data. Second, by assessing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e help-seeking approach factor, help-seeking avoidance factor, and Wee-class school counseling help-seeking intention, it was established that significant results were produced from all factors based on gender differences. Explanatory power for gender disparities is explained by the getting the same results were computed by school type (mixed male and female school, boys-only school, girls-only school),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a gender-specific differentiation approach for Wee-class operation and promotion. In contrast to most prior research, male students’ help-seeking aim was examined higher than female students’, suggesting that the meaningful influence of gender difference on the intention to seek help should be continually studied. Third, the outcome of dividing group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have encountered Wee-class counseling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ntention to seek help in Wee-class school counseling, we verified the result that students with Wee-class counseling experience had lower intention to seek help in Wee-class school counseling than students without Wee-class counseling experience, indicating the need to improve the Wee-class management way. Fourth, the importance of students’ Wee-class school counseling help-seeking approach factors, psychological discomfort, counseling usefulness expectation, Wee-class setting,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ere proved to pursue Wee-class school counseling by examining the explanatory power of help-seeking approach variables and help-seeking avoidance factors on Wee-class school counseling help-seeking intent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Furthermore,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raising awareness of social stigma as a role in students’ eluding help were discussed. Wee-class should educate students’ perceptions that Wee-class is not just for maladapted students, but to assist the emotional growth of all students. For this, the necessity of allowing students to experience high-quality counseling service was underlined. Students will learn that Wee-class is a place for emotional support and growth as a result of the counseling experience involving multiple students, which will help to improve negative impressions of Wee-class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ing help-seeking intention. With these try, we believe that Wee-class and school counseling may be used as a venue for students to get emotional and supportive help, allowing them to completely express their potential while also addressing psychological discomfort.

      • 초등학교 5, 6학년 학교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명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폭행, 무단 결석, 음주와 흡연, 학교 폭력 등 전체 범죄 중 14세 미만의 소년 범죄가 증가, 즉 학생 비행의 저연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대처 방안으로 상담을 요청하는 아동 내담자도 상당수에 이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의 발달특성에 적합하고, 교육과정의 목표와 부합하며 수요자의 요구가 반영된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내용구성,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로 한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초등학교 교육목표, 5, 6학년 발달 특성, 미국의 학교상담 목표, 미국 초등학교의 학교상담 목표, 수요자의 요구조사, 목표 설정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검토해 설정했다. 먼저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를 살펴보고, 5, 6학년 아동의 발달 특성을 신체 및 운동기능 발달, Piaget 인지발달, 정서발달, Erikson과 Selman의 성격 및 사회성 발달,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Havighurst의 발달과업, Ginzberg와 Tuckman의 진로발달, 성 역할 발달로 살펴보았다. 한국에는 아직 학교상담의 목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미국 학교 상담자학회(ASCA)의 목표, 미국 초등학교의 학교상담 목표로 2개 주 즉, 위스컨신주와 미주리주의 학교상담 목표를 참고했다. 학교상담 활동의 선택과 실행을 위한 기초를 제공받고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요구조사 문항을 선정하고 전문가의 자문으로 수정?보완하였다. 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로 요구도가 높은 34개 항목이 학교상담의 목표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학교상담 목표의 타당성 확인을 위해 교육과정의 교과, 특별활동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5, 6학년 전 교과의 독립된 단원, 선택활동, 예시에서 그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상담 목표는 아동의 교육발달, 진로 발달, 인성/사회성 발달의 통합적 발달을 목적으로 34시간의 목표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내용구성은 설정된 목표를 중심으로 학교 상담의 목표와 발달 특성의 적합성, 수요자의 흥미와 능력, 현실적인 여건, 하나의 활동과 다른 활동과의 관련성, 사회적인 요구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1시간은 초등학교 수업시간에 맞춘 40분으로 총 34시간으로 하였다. 내용은 프로그램은 교사가 읽고 활용할 수 있는 활동 안내서와 아동이 실제로 활용하는 구체적인 활동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 회기마다 도입, 활동의 실제, 정리의 단계로 진행되고, 활동의 목표와 영역, 준비물, 유의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아동용 활동지는 각 활동에 필요한 읽기?쓰기 자료와 함께 조별 활동자료, 직접 잘라서 활용할 수 있는 실물크기의 자료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의 대상, 시간, 진행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일부를 실험 운영하여 프로그램을 평가했다. 실험 운영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1개교 6학년 1개 학급 26명을 대상으로, 6월 10일부터 7월 24일 까지 7주간 이루어졌으며, 그 내용은 요구조사에서 높은 요구정도를 보인 항목으로 15시간 운영했다. 실험 운영의 만족도 평가는 도움됨, 매우 도움됨의 빈도와 비율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운영이 끝난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 의견과 프로그램 각 회기 중 아동의 경험보고서 분석 및 연구자의 관찰도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더 보완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제언해보면, 첫째, 학교와 지역 간의 협력 측면으로 한국은 아직 학교 상담에 대한 지원체계가 부족한 현실이다. 가정, 학교, 사회기관이 연계하여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지도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아동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도자 연수와 지원의 측면으로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보다 능률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학교상담 프로그램 체험의 연수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검정 측면으로 보다 나은 학교 상담 프로그램을 위해서 수요자의 요구를 보다 실제적으로 수용하고, 현장 지도자들에 대한 면접 조사 및 운영하며, 나아가 다년간의 전체프로그램 실행에 의한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꾸준히 수정,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 상담의 계열성 측면으로 발달적이고 체계적인 학교 상담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학교 급과 학년, 학교 실태, 각 지역에 맞는 다양한 학교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지길 기대해 본다. ※ 이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Juvenile delinquency under the age of 14 such as violence, absence without permission, drinking and smoking, violence in school has been increased , which means age-lowering of Juvenile delinquency. There have been many children who want counsel to cope with these kinds of trou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chool counseling program for earlier preventing the troubles which could happen to the students. Research question consisted of goal setting of school counseling program for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ontents organization and effect of the program. In the process of goal setting, the educational aim of Korean elementary school,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5th and 6th graders were considered. In addition, the school counseling aim of America, American elementary school and need research of demander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aim and curriculum were also examined. Childre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was considered bodily and kinesthetic, cognitive, emotional development, personality-sociality, moral, developmental task and career, gender role development. Because Korea haven't set the goal of school counseling yet, this study inferred the goal of ASCA and that of Wisconsin and Missouri in order to check American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goal. And also check Korean elementary school of prior study. Need analysis items were selected for reflecting demanders' needs and providing basis of choice and performance of school counseling activity. They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experts' consultation. Need analysis investigated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s a result, 34 highly demanded items were selected as a school counseling goal.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selected school counseling goal, this study analyzed subjects an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nd it was verified in the independent units of 5, 6th grades' all subjects, optional activities, examples. Consequently. the goal of school counseling consisted of detailed goals of 34 hours for the purpose of integrative development of academic, career, personal and social as pects. Organizing contents considered the goal of school counseling, the appropriation of development characteristics, demander's interests and abilities, reality, social demands and relation between activities etc. 1 class hour is 40 minutes of elementary school class and total 34 class hours. This program has activity guide for teachers and concrete workbooks for children's real activities. Each sessions is made up of three stages of introduction, real activity and completion. And it presents the aim of activity, domain, something to be prepared and attended. Workbook for children contains reading, writing and group work materials. They are real sized materials which can be cut by children themselves. For the performing stage, the target, time and the process were suggested. And the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partial experimental performance of the program. Experimental performance was conducted at one 6th grade class, 26 students, at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angsan, Kyoungsangnam Province. This was performed for 7 week, from June 10th to July 24th. It was for 15 hours with the highly needed items at the need analysis. Satisfaction evaluation about experimental performance is appeared to be generally positive at the ratio and frequency of 'helpful' and 'very helpful'. And after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children's opinion about the program, analysis of children experience report during each session and observation of investigator were conducted. Followings are suggestions for more improved study. first, looking at the side of cooperation with school and local community, support for school counseling has lacked. Establishing cooperative school counseling system among home, school and local organization is more helpful to the children development.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uld have more chances of school counseling training. This is for more effective school counseling through leadership training and support. Third, at the program evaluation aspect, demanders' needs should be accepted more actually, performing interview survey of the teachers and performance. Furthermore, there also should be continuous change and supplement based on overall program results for several years. Finally, at the systematic aspect, for more developing and organized school counseling, more various programs are expected appropriate for each schools, school conditions, locations which are not handled in this stud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