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심리적 변인, 인터넷게임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

        김정숙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소년들에게 학교는 사회적 환경에 바르게 적응할 수 있는 힘을 기르게 하고 온전한 인격체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들의 생활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청소년들의 사회화 과정에서 공식적․비공식적 영향력을 지닌다. 현대사회에서 학교생활의 중요성을 볼 때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사회전반의 적응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척도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청소년들이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안정된 미래를 열어주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조사 연구

        김미경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문제점을 탐색하여 특수학급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는데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대전·충남 지역의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 283명중 무선 표집한 200명을 대상으로 질문 조사하였다. 총 회수된 131부의 질문지 중 응답이 충실하지 않은 7부를 제외한 124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했으며 통계분석은 SPSSWIN(Ver10.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배경 변인별로 분류하고 수집된 자료를 부호화 하여 변인별로 빈도(f)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변인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2검증을 하였다.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실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활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편성하고 있다는 응답이 79.8%이며 이 중 59.8%가 활용은 잘 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여 사실상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필요와 의의를 지지하면서도 현실이 지극히 미비하고 불만족스러운 것임을 드러내는 반응인 것 같다. 여기에는 구체적인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형태가 어떠한지에 대한 질문에서 교과, 활동영역별 등으로 나눈 분권의 형태가 60.2%로 많았다. 이는 선행 연구, 김춘일 등 (1995)이 수행한 ‘학교 중심 특수교육과정의 실태와 문제점 연구’에서 같은 항목에 대한 반응이 전 교과(영역)를 묶은 단권의 형태가 56%라는 결과와 상치된 결과로 하나의 갖추어진 문서로서의 단권 형태보다는 실제 활용이라는 면에서 분권 형태를 선호하는 경향으로 바뀌었음을 시사한다. 셋째,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시 참여하는 구성원이 어떠한지를 알아본 반응에서 82.3%가 일부 직원만이 참여한다는 반응을 보여 학생의 요구에 맞는 교육을 전제로 하는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의 기본 절차를 배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지역 사회 인사, 학부모, 교사 등이 공동 참여하여 하나의 팀이 되는 편성 조직의 개선이 필요함을 엿볼 수 있다. 넷째,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에는 아동의 장애 상태와 발달의 정도를 진단, 평가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 결과에 따라 개별화 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진단 평가가 편성작업에 관계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87.9%가 그러한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53.2%는 장애 판별 검사도구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이는 김춘일 등 (1995)의 연구에서는 11.3%로 나타나 전문적인 진단 평가 도구의 활용도가 높아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교육과정은 시·도 교육감(또는 시·도 교육장 위임)의 승인을 얻어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실제로 승인을 얻어 사용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59.7%가 감독청의 승인을 받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승인을 받아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승인 형태가 형식적(65.3%)이라고 응답하고 있어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실제에 소홀하고 있음을 반증했다. 이에 실질적으로 교육과정 관계 규정의 정신에 입각해서 시·도교육청에서는 신중하고도 발전 지향적인 태도로 특수학급 교육과정을 검토, 승인하여야 할 것이다.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실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지침의 작성 및 활용에 대한 설문의 반응은 96.8%가 필요와 의의를 지지하면서도 작성하지 않거나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54.9%로 특수학급 교육과정 정상 운영 면에서 어떤 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느냐에 중요성이 있다고 볼 때 그 원칙과 지침 또는 계획이 없다는 것은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아직 각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이해와 실제 편성 및 운영 자체에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크게 미흡함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해 앞으로 교육과정 전문가, 장학사 등이 체계적인 검토와 연구를 하여 개선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에서 개별화 계획이 살아있는지의 여부는 그 교육과정이 그 학교, 그 아동에게 적절한 교육과정이 되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개별화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는가를 알아본 질문에서 100%가 그렇다고 응답하여, 선행 연구(김춘일 등, 1995) 결과의 71%에 비교해볼 때, 발전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의 실천을 좀더 확인하기 위해 개별화 계획과 학교 교육과정과의 관련을 묻는 질문에서 78.7%가 개별화 계획을 학교 교육과정 안에 포함시키고 있고 21.3%는 별도로 작성한다고 응답하여 이 또한 선행연구(김춘일 등, 1995)와 유사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셋째, 교과활동에 있어 교육과정 안에 계획, 실천, 평가의 원칙과 구상이 담겨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85.4%가 수립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계획이 없는 14.6%에 해당하는 학교에 대해서는 감독청이나 학교의 주의가 요구된다. 넷째, 치료 교육활동의 계획, 실천, 평가의 구체화 방안을 수립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65.3%가 별도의 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대부분의 특수학급에 치료 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계획 자체를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특수학급아동에게도 의무적으로 치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직업, 진로 교육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의 반응에서 99.1%가 별도의 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했는데 초등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조사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으며 진로교육은 교육기본법 제 21조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는 만큼 초등학교에서도 수준에 맞는 직업에 대한 소양과 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내용들을 수집하고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특별활동의 운영에 있어 구체적인 계획, 실천, 평가 방안이 작성, 활용되고 있는가를 알아본 질문에서 41.1%만이 수립되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특수학급의 경우 한 명의 교사가 여러 분야의 계획을 혼자서 구체화 할 수 없는 데다가 기타 잡무가 많은데서 오는 폐단이라 여겨진다. 이점에서 지역이나 가까운 특수학급끼리 모여서 역할분담을 한다면 교육과정의 구체화와 특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일곱째, 특수교육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특수하고 전문적인 교육에 필요한 시설 및 설비, 교재·교구가 대단히 부족한 점 일 것이다. 이에 교육과정 관련 시설 및 설비, 교재·교구의 확충 계획이 교육과정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81.5%가 포함되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선행 연구( 김춘일 등, 1995)의 결과(38%)와 비교해 볼 때, 특수교육 관련 교재 교구가 많이 확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교사 재량에 맡기기 보다는 책임 있는 기관에서 특수학급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일반교육과정 및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수정 연구들을 활발히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에는 반드시 경험 많은 현장 교사들을 적극 참여시켜 현실성 있는 교육과정 수정안의 개발을 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의 요구에 맞는 교육을 전제로 하는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의 구심점을 고려하여 지역 사회 인사, 학부모, 교사 등이 공동 참여하여 하나의 팀이 되는 편성 조직의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과정 관계 규정에 따라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신중하고도 발전 지향적인 태도로 특수학급 교육과정을 검토, 승인하여야 하겠다. 넷째, 학생의 능력에 맞는 적절한 특별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을 위한 치료교육 및 진로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이와 관련된 개별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충남 지역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국의 특수학급이나, 지역별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여 적용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질문지에 의한 조사 결과이므로 그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특수학급 담당교사 및 교육과정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Special class is basically required to comply with regular school curriculum, just being allowed to make some change in consideration of special school curriculum(the Ministry of Education; 1998), and local authorities or teachers in charge are entirely empowered to prepare curriculum for special class and put it in practice. However, it's feared that having special-class teachers totally responsible for curriculum is likely to result in producing course curriculum(Kim Chun-il, Lee Yu-hun; 199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delve into what problems there were in constructing and fulfilling special-class curriculum in an effort to lay some foundation for creating better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from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For data processing, SPSSWIN(Ver10.0) program was employed.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by background variables and encode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f)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x2 test was carried out to see whether their respons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s requested for an authorized organization to make large-scale research to make feasible curricula for special school and regular curricula available for special class, instead of leaving every curriculum-related matter to teachers, and highly experienced teachers must participate in that research to make curricula more authentic and workable. Second, as special-class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address learner needs, local personage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join forces in mapping out better curriculum in response to learner needs. Third, local authorities should deal with special-class curriculum in a more discreet and productive way. Four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suitable for student ability, and it's needed to offer remedial education, secure itinerant teacher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develop computer programs available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Since the geographical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south Chungcheong provi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교과서 활용도에 관한 연구

        장지성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논문 요약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교과서 활용도에 관한 연구 장지성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전공 (지도교수 : 한승록) 본 연구는 2000학년도부터 시행되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교과서 활용도, 그리고 관심도와 활용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제 7차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교과서의 활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과 충남에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학교급 및 지역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문헌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상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가설Ⅰ-1>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성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Ⅰ-2>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직경력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Ⅰ-3>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학력수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Ⅰ-4>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근무지역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가설 Ⅱ-1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교과서의 활용도는 교사들의 성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2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활용도는 교직경력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3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활용도는 연수의 양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4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활용도는 교사들의 근무지역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수준에 따라 활용도 수준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현재의 관심도 및 활용도, 그리고 관심도와 활용도와의 관계를 분석·검증 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수준은 단계 0(무관심의 단계)이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도 대부분 ‘단계 3(운영의 단계)’ 이하의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배경 변인별 관심도 수준의 차이는 경력별, 지역별, 학력별에 따라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의 가설 <Ⅰ-1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성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정되었으며, 가설<Ⅰ-2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경력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05) 가설<Ⅰ-3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지역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05) 가설 <Ⅰ-4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학력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05)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서 활용 수준은 거의 대부분 ‘3수준(기계적 활용 수준)’이었으며, 연구 대상 교과 중 ‘총론’, ‘국어’, ‘수학’, ‘사회’ 교과에서는 교직 경력별에 따라 활용도 수준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가설 Ⅱ-2 :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도는 교사들의 교직 경력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교과서 활용도 전체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각 하위영역에서도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또한 연구 대상 교과 중 ‘전체활용도’, ‘국어’, ‘수학’, ‘과학’, ‘영어’ 교과에서는 연수의 양별에 따라 활용도 수준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가설 Ⅱ-3 : 초등학교 교과서의 활용도 수준은 교사들의 연수의 양별에 따라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긍정되었다. 셋째,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의 관계에서는 관심도가 높을수록 활용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가설 Ⅲ : 초등학교 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수준에 따라 활용도 수준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전체활용도 및 하위영역 중 ‘총론’, ‘국어’, ‘수학,’ ‘영어’에서 긍정되었으며 ‘사회’, ‘과학’ 영역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아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관심도에 있어서 교사들의 학력별, 경력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활용도 측면에서는 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보다 연수를 많이 받은 교사가 교과서 활용도의 결과가 높게 나온 것으로 보아 보다 체계적이고 알찬 연수를 많이 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주었다. ABSTRACT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Stages-of-Concern and their Practical Use of Textbook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Jang, Ji Sung major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Dep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Supervised by Han, Seung Lock. Ph.D)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the practical use of textbook on the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ecause of the government-centered curriculum development tradition in our country, the teachers have seldom experienced about curriculum development and evaluation. As a result, they have not been interested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active using the textbook based on the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out the stages of concern, the levels of using textbook and the relation between them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swered at step 0 (the stage of indifference) concerning the level of teachers' interest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rest almost responded at step 3 (the stage of management). In the light of teachers' background some variation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different levels of interest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career, region of school, and academic background. In this study, hypothesis I-1 was rejected: 〈The stage of teachers' concern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gender〉. However, hypothesis I-2 was accepted : 〈The stage of teachers' concern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p〈.05) Hypothesis I-3 was accepted: 〈The stages of teachers' concern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region of school〉(p.〈.05) Hypothesis I-4 was accepted: 〈The stages of teachers' concern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p.〈.05) Second, regarding the level of using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at level 3 (the stage of mechanical use). In the area of ‘generalities,’ ‘Korean,’ ‘mathematics,’ and ‘sociology’, with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the level of practical use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career. Accordingly, Hypothesis II-2 was accepted in the area of 'generalities" as well as ‘Korean,’ ‘mathematics,’ and 'sociology’, with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 〈The level of teachers' use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 In the subjects of ‘Korean,’ ‘mathematics,’ ‘science,’ ‘English,’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teachers' training. Accordingly, hypothesis II-3 was accepted :〈the level of teachers' use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teacher's training〉 Last,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the levels of using textbook, the more interested teachers are in educational curriculum, the more textbooks teachers are using practically. Accordingly, among the sub-areas, hypothesis III was accepted in ‘generalities,’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except in ‘sociology,’ ‘science’ :〈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ractical use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s' interest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과 기대에 관한 조사 연구

        서제선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등학교 부장교사에 대한 학교행정가와 교사들의 역할기대와 역할 수행에 관한 반응수준을 알고, 능률적인 학교경영에 참여하며, 원활한 역할수행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좌역할, 지도·조언 역할, 연락·조정 역할, 통제역할, 인간관계 조성 역할, 업무 추진 역할 등 여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24문항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 연구를 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경상북도 포항시, 영덕군 관내 중등학교 74개교를 중심으로 학교 행정가와 교사 343명을 선택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24문항을 5점 척도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을 비교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0.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학교행정가와 교사로 구분하여 t검증으로 처리하였다. 중등학교 부장교사에 대한 학교행정가와 교사들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반응 수준을 토대로 조사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에게 바라는 기대는 대체로 교사 쪽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제 역할에서는 학교행정가와 교사 모두 상대적으로 낮게 기대되었다. 통제 역할에 대해 부장교사에게 그 직위에 해당하는 통제 기능을 법적으로 부여하여 학교 업무가 원활하게 운영되게 하여야겠고, 부장교사는 학교 업무 전반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킴은 물론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조정역할에 있어, 행정가는 부장교사에 대해 기대도 낮고 역할수행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보고 있으며, 교사는 부장교사에 대해 기대를 많이 하나 역할수행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이는 부장교사가 불신 당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부장교사는 업무상의 문제 해결안을 행정가에게 전문적 소신을 가지고 건의하고, 일반 부장교사 또는 관계자와의 원활한 교신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솔선 수범하여, 활성화된 학교 경영의 중추적인 역할수행을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가 보는 부장교사의 인간관계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부장교사는 학교 구성원의 인화를 구성하는데 탁월한 능력을 연마하여야 하고, 관리자에게 맹종이 아닌 정당하고 건전한 방향에서 건의하는 자세와 동료 부장교사나 교사들에게는 고집이나 권위 의식을 배제하여, 협동하고 융화시키려는 분위기 조성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직무수행에 있어, 행정가나 교사 모두 기대에 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부장교사가 학교 경영의 직무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업무의 표준화, 간소화, 전문화의 방법을 터득하기 위한 끊임없는 자기 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밝힌 본 연구의 결론에 비추어 볼 때, 부장교사는 학교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끊임없는 자기개발을 해야겠고, 행정가-부장교사-교사로 연결되는 교량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활성화된 학교 경영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토록 해야 하며, 협동과 융화를 통해 학교 구성원들과 인간적인 유대 관계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reaction level about repulsive with role expectation of school administrator and teachers about secondary school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know, and take part in efficient school management, and is smooth that to grope direction for is repulsive the purpose put. To achieve this purpose, that do assessor, that do counsel role, mediation role, control role, divide and investigated 24 problems by six areas human relations furtherance role, business propulsion role etc.. Method of study did investigation research, and an investigation tool chose school administrator and 343 teachers laying stress on Kyongsang-bukdo Pohangsi, Yeongdeokgun within the jurisdiction secondary school 74 opening of a schools using question magazine. Collected questionnaire 24 problems by 5 points measure expectation level and achievement level compare, and produc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ecause using SPSSWIN 10.0 that analysis method is figure program, and divide by school administrator and teacher and handled by t verification. Is repulsive with role expectation of school administrator and teachers about secondary school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for if summarize result that is diagnosed on the basis of reaction level as following be. First, expectation which desire to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appeared high in artfulness on the whole, but school administrator and all teachers expected relatively low in control part. School business must do to be operated smoothly giving control function that correspond to the position to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about control role by legal, and active carriage of that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does to refurbish professionalism for school business whole is required naturally. Second, in mediation role, administrator expectation low and while is repulsive sees that do not consist well, but teacher about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expectation much not even repulsive that do not consist well see. This is judged that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is encountering disbelief.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in the work problem solution inside to administrator special belief have and recommend, and role of smooth communication with general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or official spontaneously initiative setting an example, activated school management of important that repulsive do must. Third, head of a department teacher's human relations which teacher sees is not getting in expected value, because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excludes stubbornness or authority living to carriage and colleague head of a department artfulness which must improve excellent ability composing school constituent's harmony among men, and memorializes from right and wholesome direction that blind obedience is not to administrator, must cooperate and try in atmosphere furtherance to fuse. Fourth, in job achievement, administrator or all teachers will be fliping that is trying hard than expectation, but must develop continuous own to understand method of standardization, simplification, specialization of business to handle line of duty of school management that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goes first. When se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will have to do so that may must develop continuous own to do so that may refurbish professionalism about school business, and achieve important role of activated school management because achieving bridge role that is linked as administrator - head of a department teacher - teacher faithfully, and must develop school constituents and 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cooperation and harmony.

      • 중등학교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워크플로우 모델링에 관한 연구

        지철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he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develop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increases. As the result of this trend, the education for increas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is regarded as serious. This is because a competitive individual can be brought up by the education followed by increasing the abilit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M.O.E) tries to construct the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NEIS) aiming at maximizing the usag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mproving the problems of existing C/S system. The planned NEIS is constructed by the dispersed database system, and it is expected to be located in as a paradigm in the education field.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of secondary school duties accompanied by the analysis of the demands of users must be preceded to meet the new educational paradigm and to construct the effective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be used at the scene of labor. If the construction of NEIS is followed by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secondary school duties, it can be expected to deduct the jobs of teachers, to make the most of the teaching-learning courses, and to construct the stable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without wasting the enormous national budget and time.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fficiency or the practical use of the system by designing the workflow model to automatize the secondary school duties and by analyzing and applying at the existing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This whole processes are done by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methodology based by the workflow method to automatize the processes of secondary school duties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oject of constructing the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promoted by MOE to realize the electronic governmen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plan to construct, to manage, and to apply the more reasonable, suitable, and desirable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 학교체육시설에 따른 초등학생의 정서안정도와 체육수업만족도의 차이

        설유화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학교체육시설의 규모 및 확보가 초등학생의 정서안정도와 체육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체육시설의 실질적인 확보ㆍ운영과 효과적인 체육수업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4개 초등학교에서 350명(남자193명, 여자157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Window용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학교체육시설의 규모(학생 1인당체육공간면적)가 정서안정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T-test, 상관관계분석, 회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교별 응답(범주형 자료)에 대해 비모수 기법인 경우 교차분석 (p)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체육시설의 규모가 학생들의 정서발달 전체에 영향을 준다고 단정적으로 이야기 할 수 없으나 몇 가지 하위요인(공격성, 긴장수준 등)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체육시설의 규모(학생 1인당 체육공간면적)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면적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수업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즉, 학생 1인당 체육공간면적이 크다고 하여 학생들의 체육수업만족도가 높은 것은 아니었다.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만족하지 못하는 요소들을 살펴보면 학생 1인당체육공간면적이 매우 협소한 학교의 학생들은 좁은 운동장에 많은 응답률을 보였고, 실내체육관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학교건립연도가 오래된 학교의 경우 운동장이나 체육시설이 낡아 만족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서안정도와 체육수업효과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정서안정도가 낮은 경우 체육수업의 효과가 낮아지는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서안정도의 하위 영역 중 긴장수준이 체육수업의 효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내체육관 보유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체육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업효과를 제외한 체육수업만족도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실내체육관을 보유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적절한 규모의 운동장 확보 및 실내체육관 건립은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뿐만 아니라, 수업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학교체육시설을 확보할 때에는 지대, 건축비용 등의 경제적 논리에 의해 학교체육시설의 확충이 결정되기보다는 충분한 규모의 운동장, 기상상태 및 주변 환경 등에 구애 받지 않는 실내체육관건립 등을 통해 학생들의 움직임 욕구를 해소하고 실질적인 체육수업공간을 마련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서건강 및 체육수업만족도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성과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위원회의 평가인식 분석

        안영국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 배경 및 구성방법을 바탕으로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실제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교사와 학부모들이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활동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에 있어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급 학교에서 학교운영위원회의 위원으로 참여하였거나, 참여중인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위원의 선출방식과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과 운영 절차에 대해서 학부모와 교사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운영위원회 참여 실태와 전반적 인식에서 응답자들은 학교운영위원회에 참여한 기간이 학부모들은 '6개월', 교사는 '1-2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운영위원회를 맡게 된 동기"로는, 학부모들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맡는 경향이 있으며, 교사는 타의에 의해 맡게 되는 경향이 많으므로, 활동의 활성화 측면에서 커다란 기대를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원의 선출은 학부모들이 자율적으로 위원을 선출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직선으로 선출하고 있으며, 학부모들 보다 교사들이 자신들이 집단을 대표하여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학교운영위원회의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는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활동에 대해서 교사와 학부모들의 평가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활동을 위한 회의 소집절차 및 자료제공에 관한 인식, 학교운영위원회 규정에 따른 심의 사항을 심의 활동한 경험여부를 알아보았다. 또한 회의시 위원간의 갈등 정도와 회의 분위기의 활성화 정도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활동에 대해서 이에 참여하고 있는 학부모와 교사들에게 이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29개 문항으로 질문하였다. 각 문항의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나 학부모들은 학교운영위원회에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자신이나 집단의 의견을 표현하고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학교운영위원회가 활성화되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위원들이 활발한 참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심의활동 수준은 학부모와 교사가 모두 낮다고 볼 수 있으며, 심의활동이 개방적이고, 다양하기보다는 경직되고, 권위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회의개최에 대한 통보시기는 학부모들보다 교사들에게 더 일찍 통보되는 경향이 있었다. 불참 위원이 없이 모두가 참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위원들의 개인적인 스케줄을 고려하여 최소한 7일 전에는 통보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자료의 배부가 당일에 이루어질 경우 안건에 관하여 신중한 논의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며,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도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안건에 대한 자료는 회의소집 통보시 제공하여 안건에 대한 검토 후, 회의에 참석토록 하는 것이 회의의 효율성과 신중한 결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심의할 수 있는 사항들은 대체로 사전심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많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는 사후심의가 이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대해서는 학부모와 교사 모두가 심의해 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하여 학교운영지원비와 학교발전기금의 조성 운영 및 사용에 관하여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학교운영위원회의 회의는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체로 의견 대립은 심하지 않으나, 교장과 학부모와 교사간에 부분적인 의견대립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학부모와 교사의 교장에 대한 의견대립은 교장의 독단적인 학교운영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학부모의 요구와 간섭이나 교사의 학교운영에 대한 이의제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학부모와 교사간에는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권위적인 태도에서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에 대하여 교사와 학부모들의 평가는 학교운영위원회 회의시 참관 인원의 범위 및 회의 공개 정도, 학교운영위원회의 지역별 협의체 구성 및 참여 범위,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내·외의 다른 학부모조직과의 협조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에 대하여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학부모와 교사들로 하여금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하여 7가지 문항을 제시하고, 이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회의에서 각 위원들의 발언 빈도에 대해서는 교장과 학부모위원의 발언 빈도가 자주인데 반하여, 상대적으로 교사와 지역위원의 발언 빈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언 빈도로만 본다면 학교운영위원회는 교장과 학부모가 이끌어 간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학교운영위원회가 모든 교사와 학부모에 대하여 개방적인 자세로 모두를 참여시키는 회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가급적이면 홍보를 활발히 하여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의견을 나누는 공간으로 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운영위원회의 지역별 협의체 참여 실태에 대한 물음에서 학부모의 34.3%가 '학부모 지역별 협의체'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학부모 지역별 협의체가 학교 운영에 미칠 효과에 대하여 학부모와 교사 모두 '교육에 관한 정보교류가 활발해져서 학부모위원의 교육에 대한 식견이 높아질 것이다'는 반응이 높게 나와 협의체 구성 및 참여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우는 교사의 의견이나 요구를 반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 학부모와 교사의 지역별 협의체가 학교 운영에 미칠 효과에 대하여 학부모 협의체의 경우는 개별적인 식견이 확장되는데 반하여, 교사 협의체의 경우는 집단화하여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학교운영위원회가 다른 학부모 조직과의 협조는 대체로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학교운영위원회에 참여하면서 운영에 있어 문제점과 개선에 관해서 학부모와 교사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 학교발전기금의 조성 및 관리 방안에 대해서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개선점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에 있어서의 문제 인식과 개선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기 위하여 12개 문항을 제시하고 학부모와 교사들로 하여금 답하도록 하였다. 먼저 학교운영위원회가 활성화되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학교운영위원회가 활성화되는데 있어 방해가 되는 요인이라는 것은 '회의가 형식적으로 진행된다'는 것과 '위원인 교사와 학부모들의 수동적인 활동'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의에 주체적이며,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자세를 갖도록 이 활동이 매우 중요하며, 의미있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학교운영위원회를 1년에 몇 회 정도 개최하는 것이 적당한가"에 대하여 학부모와 교사 모두 1년에 '5~7회'가 가장 적당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은 '8~10회'로 나타나, 2개월에 1회, 또는 3개월에 2회 정도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 운영에 필요한 재원 확보를 위해 학교발전기금을 조성하는 것에 대하여 학부모의 71.6%, 교사의 80.0%가 '그렇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학교발전기금 조성방법으로는 학부모, 동창, 지역사회 인사 등 모두를 대상으로 기금을 조상한다. 그리고 모금된 기금은 학교운영위원회와 교장이 함께 관리하도록 한다. 현재 교사회나 학부모회는 법정기구가 아니므로 학교에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되지만, 교사회나 학부모회를 법정기구화하고, 이들 기구가 학교운영위원회와 긴말한 협조관계를 갖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장 초빙제와 교사 초빙제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면, 학부모와 교사 모두 '원칙적으로는 찬성하나 절차는 수정·보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학교운영위원회의 개선점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방안을 3가지만 고르게 하였다. 학부모의 경우는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교육과 연수를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교사회 및 학부모회를 각 학교에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이들 기구를 통해 일반교사 및 일반 학부모의 의견이 학교운영위원회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한 회의 자료 정보를 회의에 앞서 충분한 시간을 두고 제공하도록 한다' 학교운영위원회의 활동에 대한 다음 관련 인사들의 관심도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보면, 학부모들은 학교운영위원회의 활동에 대하여 "교장"의 관심이 가장 높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다음은 "학부모 위원", "교사 위원", "지역 위원" 순으로 관심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학생들"들의 관심이 가장 낮다고 생각하고 있다. 다섯째,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성과에 대한 평가로는 학교운영위원회의 활동에 대한 관련 인사들의 관심도 평가,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으로 학교운영상의 변화에 대한 평가, 그리고 이로 인하여 좋아진 점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으로 인하여 학교운영상에 나타난 변화에 대하여 7가지 문항을 제시하고 이에 대하여 반응하도록 하였다.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먼저 학부모들은 7개 영역 전 영역에 걸쳐 좋아졌다는 반응이 70%이상을 넘고 있다. 좋아짐 정도를 보면, '민주성', '운영의 투명성', '공동체 의식', '자율성', '효율성', '책무성', '합리성' 순으로 좋아졌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을 통해 학교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교 있다고 평가하는가"에 대하여 학부모의 92.2%, 교사의 71.2%가 '변화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의 24.2%는 '별로 그렇지 않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학교운영위원회 때문에 좋아진 점"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학교가 학부모에게 방과후 활동 등 학교활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학교의 주요 사항을 결정하는 과정이 투명해진 점', '교사 및 학부모 등 여러 집단의 의견을 학교운영에 반영할 수 있게 된 점', '내 자녀뿐만 아니라 다른 자녀 교육문제까지도 공유하는 공동체 의식을 갖게 된 점', '학부모로서 학교운영에 대하여 보다 잘 이해하게 된 점' 순으로 좋아졌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현재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만족스럽다' 반응이 77.8%로 높은데 반하여, 교사들은 '불만족스럽다'는 반응이 52.4%로 불만족스러워 하고 있다.

      • 중등학교 창의성 교육 실태 분석

        고경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의 창의성 교육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서,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교사의 성별, 직급별, 학교 크기별로 분석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교사의 성별로는 남자교사가 66명, 여자교사가 186명이고, 직급별로는 담임교사 147명, 부장교사 61명, 비담임교사 44명이며, 학교 크기별로는 20학급 이하의 학교 교사 57명, 21∼35학급의 학교 교사 126명, 36학급 이상의 학교 교사 66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 도구는 본 연구자의 자작 설문지로서 모두 5개 영역으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창의성 교육에 대한 만족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지도 실태, 창의성 지도 자료 실태, 창의성 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26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도구로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교사들의 성별, 직급, 학교의 크기에 따른 번도 분석과 창의성 교육의 하위척도에 대해 교차 분석(χ^2)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한 물음에서 창의성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교사의 성별, 직급, 학교 크기에 관계없이 창의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가장 창의성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창의적인 인물에 대한 특성에 대해서도 호기심이 강한 사람이 창의적인 인물과 가장 부합하는 특징이라고 생각하였으며, 다음으로 개방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서 창의적인 사람은 호기심이 강하고 개방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에 대해서 창의성 교육을 시킬 필요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창의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직급에 따라서는 부장교사와 담임교사는 비담임교사보다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을 하였다. 창의성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미래사회에 대한 변화에 적응하고 대비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교사들에게 창의성 교육의 만족정도에 대한 물음에서는 약간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며, 교사의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교사가 남자교사보다 더욱 부정적으로 여겼으며, 교사의 다른 특징에서도 창의성 교육이 학교에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고 있었다. 창의성 교육과 학업성취도, 지능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창의성 교육이 학업성취도, 지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창의성은 학업성취도와 지능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정도를 알아본 결과에서는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더욱 이해를 잘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이해를 잘하고 있다고 응답을 하였다. 교사의 직급에 따라서는 부장교사가 매우 잘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을 하였으며, 담임교사와 비담임교사는 창의성 교육에 잘 이해하고는 있다고 응답하였다.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떤 동기를 통해서 관심을 갖게 되었는가에 대해서 교사들은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통해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책을 통해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저해요인이 되는 것으로 현재의 입시중심의 교육제도가 가장 저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다음으로, 획일적이고 규제적인 학교문화라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응답은 현재의 학교가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는데 입시중심의 획일적이고 규제적인 학교문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생각을 반영한 것이다.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 교사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들은 교육을 받을수록 좋으며, 반드시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 교사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창의성 교육에 대한 지도실태를 알아본 결과에서는 창의성 교육을 실시해 본 경험이 1년 미만으로 적거나, 창의성 교육을 실시해 보지 않은 교사들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학교 크기가 클수록 창의성 교육을 실시해 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을 많이 하여, 학교의 특성으로 학교 크기가 클 수 록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창의성 교육을 실시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창의성 교육의 중점사항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사고를 유발하는 발문과 다양한 사고의 수용분위기를 조성하는 방법을 중점으로 실시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창의성과 가장 관련 교과목으로 예능관련 교과라고 응답하였으며,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기 가장 효과적인 시간으로는 교과시간이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하였다. 이러한 응답은 창의성 교육을 다른 특별한 시간을 할애하여 실시하는 것보다는 교과시간에 실시를 하여, 창의성을 개발시켜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현재의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으로는 창의성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과 자료가 부족한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창의성 지도 자료의 실태에서 대해서는 교사들은 창의성 지도자료가 필요하다고 대부분의 교사가 응답을 하였으며, 현재의 학교에 있는 창의성 지도자료의 확보정도에 대해서는 전혀 없는 학교에서 근무를 하고 있다는 교사들이 과반수 이상이었으며, 교사들이 생각하기에 지도자료가 충분하게 확보되어 있는 학교는 거의 없다고 응답하였다. 창의성 지도자료를 확보하는 방법으로는 교과연구회에서 작성된 자료를 활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스스로 제작하여 활용한다는 응답도 많이 나와, 현재의 창의성 지도자료를 확보하는데, 전문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 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 결과에서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의 선행요건으로 창의적인 교육환경이 가장 우선적으로 조성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는데, 이것은 현재의 창의성 교육의 저해요인인 획일적이고, 입시중심의 학교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관련기관에서 지원을 하는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한 방법은 프로그램과 자료지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응답을 많이 하여, 현장교육에 프로그램과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냈으며, 프로그램과 자료지원이 절실하다고 생각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으로는 일정기간마다 연수를 실시하여,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는데 교사들의 능력을 더욱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할로도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학습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창의성 교육을 위한 지도자료를 어떻게 제작하고 활용되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교사들은 교과연구회 중심으로 제작하고 활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료의 방향에 대해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서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개별화로 이루어 져야 한다는 의견에서는 담임교사가 부장교사와 비담임교사보다는 더욱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효율적인 창의성 교육 실천 방안으로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특기, 적성 교육활동을 통한 창의성 훈련반 운영과 창의성에 관심 있는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창의성 교육의 인식, 이해정도, 지도실태, 자료실태,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에서는 교사들의 특성인 성별, 직급, 학교 크기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창의성 교육을 이루기 위해서 개방적인 학교환경과 더욱 많은 프로그램과 자료의 확보가 필요하고, 창의성 교육을 다른 특별한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교과시간에 교과 지도와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들의 연수를 통한 교사교육의 필요성 등을 창의성 교육의 실시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을 알 수 있다.

      • 초등학교 교사의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 수준에 따른 학교 조직의 효과성 연구

        노병순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의사결정에의 참여를 극대화하고,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학교운영을 위한 학교장 중심의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과 학교조직 효과성과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사의 성별, 직위, 경력에 따라 교사의 단위학교 자율경영인식 및 학교조직 효과성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2. 초등학교 교사의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따라 학교조직 효과성의 전체 및 하위 영역별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3.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별로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따라 학교 조직 효과성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교육청 6개 지역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중에서 학교 급지를 고려하여 각 5개 학교씩 총 30개 학교를 표집하여 학교당 30부씩 총 9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810부를 회수하였으며,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부수를 제외하고 737부(81.9%)를 유효 자료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에 따른 학교조직 효과성 측정을 위한 두 가지 종류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측정 도구는 강영구(2000), 박계용(2001), 홍관석(1997)이 사용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학교단위 자율경영 영역 항목을 교육과정 편성?운영, 인사관리, 재정관리, 시설?설비 조성관리, 대외관계의 5개 영역으로 나누어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교조직 효과성의 측정 도구는 Hoy와 Ferguson(1985)에 의해 제안되고 하갑수(1986)의 학교 효과성 평정척도를 기초하여 박회륜(1992)에 의해 개발?적용된 학교조직 효과성 변인을 활용하였으며, 목표달성, 조직통합, 조직유지, 조직적응의 네 차원으로 총 3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문제별로 다음과 같은 통계 처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제 1>에서 교사의 성별, 직위, 경력별 분석을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경력별 분석은 일원변량분석(ANOVA)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문제 2>를 분석하기 위하여는 일원변량분석과 집단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 사후검증을 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문제 3>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의수준 5%를 사용하며, 자료의 모든 통계처리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수준에 따른 학교조직 효과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교사의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 및 학교조직 효과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위와 경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수준에 따라 전체적인 학교조직 효과성과 하위영역 인 목표달성, 조직통합, 조직유지, 조직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수준에 따른 학교 효과성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위 및 경력과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수준에 따른 학교조직 효과성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인식에는 초등학교 남교사와 여교사간에 차이가 없으며, 하위 영역인 교육과정, 인사관리, 재정관리, 시설관리, 대외관계에서도 남교사와 여교사간의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한 반응도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인식에서와 마찬가지로 초등학교 남교사와 여교사간에 차이가 없으며, 하위 영역인 학업성취, 목표지향성, 조직통합, 조직유지, 조직적응에서도 남교사와 여교사간의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단위학교 자율경영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하위 영역인 교육과정, 인사관리, 재정관리, 시설관리, 대외관계에서도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학교조직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조직 효과성의 하위 영역인 학업성취, 목표지향성, 조직통합, 조직유지, 조직적응에서도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경력이 많은 교사가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단위학교 자율경영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하위 영역인 교육과정, 인사관리, 재정관리, 시설관리, 대외관계에서도 높게 인식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경력이 많은 교사가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학교조직 효과성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하위 영역인 학업성취, 목표지향성, 조직통합, 조직유지, 조직적응에서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수준이 높은 교사가 낮은 교사에 비해서 학교조직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하위 영역인 학업성취, 목표지향성, 조직통합, 조직유지, 조직적응에서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교사와 여교사는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수준에 따라 학교조직 효과성을 달리 생각을 하는데, 남교사는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의 상위수준에서 여교사에 비해서 학교조직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여교사는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의 하위수준에서 남교사에 비해서 학교조직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단위학교 자율경영 인식과 학교조직 효과성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단위학교 자율경영 실현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교조직 효과성도 높아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위학교 자율경영과 학교조직 효과성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학교조직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자율경영을 실현하는 정책이 단위학교에서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즉, 앞으로 단위학교 자율경영에 대한 요구와 필요는 점차 증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그에 따라 상급 행정기관으로부터의 지시와 간섭에서 벗어나 단위학교에서 교장, 교사,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로 창의적 교육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것은 곧 학교 경영의 궁극적인 목적인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teachers' awareness levels of school-based management affect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 organiz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 the teachers have different awareness levels of school-based management or effectiveness of a school system according to their gender, duty, and career?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 system as an overall or subdomains and the teachers' awareness of school-based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 system according to the teachers' personal history or their awareness level of school-based manag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737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30 school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meaning in teachers' awareness of school-based management or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their gender, bu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duty and career. 2.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an overall school organization and its subdomains like objective attainment, organizational maintenance, organizational adjustment, and organizational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awareness levels of school-based management. It shows tha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chool-based manage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 organization among the subdomains. 3. The teachers' gender and awareness level of school-based management have influences on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 organization, but there is no meaning in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career, duty, or awareness level of school-base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