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수

        이상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공군의 정규장교를 양성하는 공군사관학교는 주어진 임무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구성원인 생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결정하는 변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수로 개인특성 변수, 인간관계 변수, 심리적 변수를 설정하고 이 변수들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고 훈육담당관의 생활지도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연구자가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개인특성 변수별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학교생활적응은 인간관계 변수 및 심리적 변수와 관계가 있는가, 셋째,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학교생활적응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변수는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군사관학교 생도 46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수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학교생활적응 검사(Baker & Siryk, 1984), 동기관계(Sharabany, 1980) 및 선배의 인간중심적 태도 검사(Tausch, 1979), 자아 정체감(박아청, 1986) 및 자아강도 검사(김재환외, 1989)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연구문제별로 상관분석, 분산분석, 사후분석(Scheffe), 동시투입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 변수 중 성, 종합성적, 수진정도, 종교유무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여생도, 종합성적이 부진한 생도, 수진을 자주 가는 생도, 종교가 없는 생도가 그렇지 않은 생도에 비해 학교생활적응력이 떨어졌다. 둘째, 인간관계 변수 및 심리적 변수는 학교생활적응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동기관계가 좋고 선배로부터 인간중심적 태도를 느끼는 생도와 자아가 통합되어 있으며 자아가 강한 생도는 학교생활적응을 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교생활적응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예측변수를 밝히기 위해 세 가지 변수영역별로 동시투입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특성 변수는 9.7%, 인간관계 변수는 30.8%, 심리적 변수는 49%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들 세 가지 변수영역을 모두 포함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대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62.2%를 설명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및 내무생활에 대해 현재의 상대평가 보다 절대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모든 생도들이 열심히 학교생활에 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평가로 등급을 나누고 종합성적을 부여하면 성적이 좋은 소수의 생도만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종합성적이 좋으면 자신감이 생기고 학교생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동기가 부여되나 그렇지 못한 대다수의 생도는 학교생활에 대해 자신감 상실과 어떻게든 졸업만 하겠다는 소극적 생활방식을 고치기 어려울 것이다. 둘째, 여생도는 스스로 미래에 대한 확신과 능력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며 체력적인 측면에서 학교생활적응이 곤란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여생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해 훈육담당관은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강한 자아강도, 체력향상을 목표로 지도해야 한다. 셋째, 효율적 의사소통 기술과 동료상담프로그램 등을 통해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친밀한 동기관계와 선배로부터 느끼는 인간중심적 태도는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이며, 자발적인 충성심과 복종심을 가지게 할 것이다. 넷째,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 생도 개인의 정체감 확립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정체감 형성을 위해서 사관학교 교육의 방향과 초점을 외적인 자세와 결과 보다는 내부 지향적인 동기와 노력하는 과정 자체에 더 큰 중요성을 두고, 생도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To accomplish the given mission and educational goals of Korea Air Force Academy(KAFA) which trains formal Air Force officers, KAFA must pay attention to relative variables to cadets' adjustment to academy. First, I set up three kinds of variables - demographic, human relation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hich seemed to relate to cadets' adjustment and then provide instructors with a good way for helping cadets' adjustment by testing the 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 and cadets' adjustment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of this research. First, how cadet's adjustment scores differ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human relations/psychological variables and cadets' adjustment scores? Third, what variables are the best efficient to predict cadets' adjustment? Th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465 cadets at KAFA by questionnaire,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SACQ)(Baker & Syrik, 1984), Intimate Friendship Scale(Sharabany, 1980), Senior Person-Centered Attitude(Tausch, 1979), Ego-identity Scale(Park, 1986) and Ego-Strength Scale(Kim. et al., 1989).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Scheffe's test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sex, academic achievement, medical examination and religious belie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adet's adjustment. Cadets were more likely to adjust to academic life when their gender were female, they accomplished academic achievement well , they had a good physical fitness and they had religious belief. Second, human relation and psychological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SACQ. This means that having intimate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perceiving person-centered attitude from senior, integrating ego-identity and having strong ego-strength are good to academic adjustment. Third, to test predictor variable relative to academic adjustment by 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on SACQ, demographic variables accounted for 9.7%, human relation variables accounted for 30.8%, psychological variables accounted for 49%, and these three kinds of variable accounted for 62.2% on SACQ. The conclusion based on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 and military conduct scores should be rated by absolute evaluation not by relative evaluation. If many cadets perceive a good academic achievement by an absolute evaluation, they will have self-confidence and be more motivated. Second, female cadets thought that they had less capable than male cadets and they had some troubles with physical fitness. To improve female cadets' academic adjustment, instructors must pay attention to female cadets' positive ego-identity, strong ego-strength and physical training. Third, the course of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 and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can help KAFA cadets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Intimate classmate relations and seniors' person-centered attitude from seniors will raise academic adjustment and spontaneous royalty and obedience. Fourth, achieving cadet's individual ego-ident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academic adjustment. To achieve desirable ego-identity, instructor had better focus on internal motives and process of making effort than external outcome and product. And it is necessary for a cadet to be aware of and gain an understanding of oneself, in the process of ego-identity formation.

      • 부모의 학대, 방임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채미경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3차년도(2012)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교 3학년 2,25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부모의 학대와 방임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자아정체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부모의 학대, 방임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은 낮아지고 자아정체감 또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의 학대, 방임,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대와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임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도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학대와 방임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부모의 학대와 방임을 감소시키고 청소년들의 자아정체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Ego-identity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ird-year date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2(KCYPS)’, and analyzes 2,259 third-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stistics, Pearson coefficien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analys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study used bootstrap. The finding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dolescent abused and neglect from parents was negatively influenced on school adjustment, ego-identity. and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dolescents’ ego-identi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etween parental abuse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adolescents’ ego-identi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etween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me, school, and local community need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ego-identity of adolescents, who are suffering from parental abuse and neglect, for school adjustment.

      • 아동의 자기격려 및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이은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children’s self-encouragement, self-esteem and school-life adjustmen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couragement and school-life adjus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life adjustment were stated. Also, the power of explanation to the school-life adjustment, which self-encouragement and self-esteem has, was analyzed as well. To meet the goal,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he subjects were 308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Kyung-gi province, who were in grades 5 and 6. The self-encouragement is measured using an examination tool consisted of 25 questions, which was first developed by Chae Young Kee and Kyung Ja Hong (2008b) and modified by Ae-jin Kim (2009). The tool for measuring self-esteem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Bo Ga Choi and Gwee Yeon Jeon (1993). The school-life adjustment was measured by a tool developed by Jung Sun Im (1993) which was revised by Yun Hee Yu (1994).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encouragement and self-esteem have positive relationship. Especially, cognitive self-encouragement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elf-esteem. Second, Self-encouragement is prov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o school-life adjustment. All the sub factors of self-encouragement are turned out to be related to all the sub factors of school-life adjustment.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cognitive self-encouragement is mostly related to school-life adjustment. Third, Self-esteem and school-life adjustment also have positive relationship. Social self-esteem, which is one of the sub factors of self-esteem, is ascertained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chool-life adjustment. Forth, Cognitive self-encouragement and active self-encouragement,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self-encouragement, are analyzed to have 43% power of explanation to school-life adjustment, whereas all the sub factors of self-esteem have 46.5% power of explanation to school-life adjust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self encouragement and self-esteem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life adjustment, and each sub factor affects other factors. Therefore, it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it is important to train students to have high self-encouragement or to have high self-esteem in order to help children’s school-life adjustment.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격려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기격려 및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하며, 자기격려와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설명력을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자기격려 측정 도구는 기채영과 홍경자(2008b)가 개발한 아동의 자기격려 척도를 김애진(2009)이 25문항으로 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학교생활적응 측정도구는 임정순(1993)의 ‘아동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검사지’를 참고로 유윤희(1994)가 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격려와 자아존중감 간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인지적 자기격려가 자아존중감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자기격려와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격려의 모든 하위요인과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이 상관이 있으며 특히 인지적 자기격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자기격려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기격려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대해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기격려의 하위요소 중 인지적 자기격려와 행동적 자기격려만이 학교생활적응에 대해 43%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의 모든 하위요인이 46.5%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자기격려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이며 각각의 요인들은 서로에 대해 정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격려를 훈련하도록 하거나 자기격려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은 학교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다는 면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빈곤아동의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자기조절학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순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빈곤상황에 처해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자기조절학습이 구조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이하 KCYPS)의 자료 중에서 1차년도 초등학교 4학년 패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그 중 기초수급가정과 차상위계층의 아동 301명을 빈곤아동으로 정하였다. AMOS 18.0을 사용하여 2단계 분석절차를 거치는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자아탄력성과 자기조절학습을 이중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잘한다는 기존 연구의 과정에서 더 나아가 자아탄력성과 자기조절학습과 같은 보호요인이 매개하는 과정을 밝힌 것이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이지 못한다 해도 아동의 내적 인성 특성인 자아탄력성과 자기조절학습과 같은 학습부분에서의 개입을 통해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빈곤아동의 교육이나 학업지원활동을 주요 사업영역으로 간주되어 온 기존의 학교복지 프로그램들을 지지하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아동의 심리정서적 특징을 강화하고 개발시켜주는 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결과이다. 둘째로, 부모양육태도는 자기조절학습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초등학교 4학년은 본격적인 학습이 시작되는 시기로서, 억압이나 방임, 폭력 등 부정적인 방식이 아닌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 등의 긍정적 방식의 양육태도와 자기 조절의 학습방법의 습득을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자기조절학습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탄력적인 아동이라 하더라도 학습태도와 결과에 의해 자신의 학교생활적응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빈곤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자기조절학습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인들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이 요구되어 진다. 그럼에도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존 연구에서는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 뿐 아니라 자아탄력성과 자기조절학습이 빈곤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들로서 어떻게 구조적으로 관여하는지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에 비빈곤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피고 각각의 집단에 적용할 차별화된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추후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주요어 : 빈곤아동, 학교생활적응,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자기조절학습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structural correlates in parental attitude, ego-resili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give protec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poverty. Panel data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for the 4th graders in primary school was used and 301 cases were analysed. AMOS 18.0 was used, and the results from dual analysi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hows below. Positive parental attitude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during Ego-resili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work as the dual mediators. This indicates the more positive attitude parents show, the better school adjustment children accomplish. It also explains the better school adjustment is possibly accomplished by means of children's inner character traits, such as Ego-resili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 intervention of learning, and calls for the counseling programs which strengthen and develop children's psycho-emotional characteristics. This result supports the positive effect of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poverty and the existing welfare program in school learning. This study analyzes structural correlations among parental attitude, Ego-resili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poverty. Multi-dimentional analysis on other variations, which have potential influenc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needs to be done. While existing studies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correlations, and proves the structural model of the three complementary factors -parental attitude, Ego-resili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poverty. We expect that additional studies investigate how school adjustment of the poor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at of children in non-poverty. and find specialized strategies applicable to each group.

      •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옥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초등학교 아동들은 자기중심성으로부터 점차 탈피하고 사회성이 왕성하게 발전하여 사회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본적인 태도와 자질을 학습하게 되는 시기이다. 아동은 학교에서 또래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사회적 행동을 익히게 되며, 타인의 감정이나 조망을 마치 자신의 것처럼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배우게 된다. 이러한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발달은 청소년기의 또래 관계 뿐 아니라 이후 성인기의 건강한 대인관계에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가진다. 또한 아동의 학교생활 중 학업성적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하여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학교생활적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각 영역간의 설명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구리시에 소재하는 G초등학교 5학년 아동 122명, 6학년 아동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s(1980)의 IRI(조망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 검사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박금옥(1998)이 개발한 청소년용 사회적 능력 질문지를 초등학생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사용한 한미현(2005)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문은식(2001)의 학교생활적응행동 검사, 김용래(1993)의 학교적응 척도, Epstein(1976)의 학교생활 질 척도, Garlongton(1984)의 학교생활적응척도 등을 참조하여 김택호(2004)가 수정․보완한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2010년 4월에 실시한 중간 성취도평가 결과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WIN(version 16.0)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른 공감능력, 사회적 능력,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독립변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공감능력, 사회적 능력,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공감능력, 사회적 능력,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배경 변인으로 학년에 따른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서는 6학년이 더 높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공감능력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적 능력과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조망취하기는 수업참여, 학습노력, 학습의 지속성, 학습행동 통제, 교우관계, 교사관계, 규칙준수, 환경적응, 일반적응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아동의 공감능력 전체와 학업성취도간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독립변수 중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상상하기로 나타났다. 즉 상상하기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대인적응성이 수업참여, 학습노력, 학습의 지속성, 학습행동 통제,교사관계, 규칙준수, 일반적응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주도성은 수업참여, 학습노력, 학습의 지속성, 교우관계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사회 참여도는 교우관계, 교사관계, 환경적응, 일반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사회적 능력 전체와 학업성취도간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독립변수 중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아동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은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위해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는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고 공감능력 및 사회적 능력의 향상을 위한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at the time of learning a variety of principal attitudes and talents that are necessary for social life by vigorously improved sociality and escaping from self-centeredness. The children learn a method of interaction with peers in school, social behavior, and understandable and acceptable attitude as if others' emotion and view are theirs. Such an improvement in empathic and social ability has a great meaning because it is significant in peer relationship during an adolescent period and a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adulthood. Besides, as the academic achievement takes an important part in school life, strived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school life adaptation by observing relationship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effects empathic and social ability have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descriptive power in each of scopes. The study was conducted toward 122 students of the 5th grade and 133 students of the 6th grade at G elementary school in Guri, Gyeonggi-do. To measure the children's empathic ability, used an empathic ability questionnaire that was David's IRI(viewing, imaginization, empathic concern) and Bryant's Empathy Awareness Test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ark, Sung Hui and to measure social ability, used Han, Mi Hyeon's scale that was the re-constitut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Geum Ok(1998) of social ability for the adolescent. Besides, to achieve the degree of school life adaptation, used of School Life Adaptation Test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Taek Ho(2004) by referring to School Life Adaptation Behavior for school life developed by Mun, Eun Sik(2001), School Adaptation Scale developed by Kim, Young Rae(1993), School Life Quality Scale developed by Epstein(1976) and Adaptation Scale developed by Garlongton(1984). Used the results of mid-achievement test in April, 2010.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used SPSS WIN(version 16.0) program, sought empathic and social ability, school life adaptation, and average and standard-devi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nducted independent variable t-test. To analyze a relationship among empathic and social ability,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used Correlation Analysis. Besides, used Multiple Moderating Regression to identify what effects the empathic and social ability,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ave on each other. The following results derived through such the process. First, empathic and social ability by the grade showed a big gap grade, on the other hand, the 6th grade students showed a high academic achievement so it shoed a meaningful difference. Empathic ability by gender was shown more highly in woman than in man so it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social ability,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empathic abilit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aptation, in particular, viewing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effort, learning continuity, leaning behavior control, peer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rule observance,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general adaptation. Third, entire children's empathic abilit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variable that had a meaningful effect out of independent variables was "imaginization", name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imaginization,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Fourth, social abilit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adaptabilit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lass participation, learning effort, learning continuity, leaning behavior control, teacher relationship, rule observance and general adaptation. Proactivit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effort, learning continuity, peer relationship. Social participation had an effect on peer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general adaptation. Fifth, entire children's social abilit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sociality, interpersonal adaptation, social participation, proactivity and popularity out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as children's empathic and social ability had the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 variety of programs at home, school and society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for improving empathic and social ability.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be used as the resource data for raising children's school life adaptation and improving empathic and social ability.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순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인 4개 학교에 재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학교생활적응은 성별,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전공분야별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학교생활적응은 경영학과가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성숙도 또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결정성 요인에서는 학년과 전공분야에서 조명신소재과가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결정수준에서는 성별·학년·전공분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도 전체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학습활동 적응정도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영역 중 학습활동만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생활적응 정도의 하위요인인 학습활동의 정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 수준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수준과 학교생활적응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적응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는 학습활동 적응정도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도 높고, 진로결정수준도 높다. 진로결정에서는 성별·학년·전공분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적응간 상관관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꾸준한 학습활동인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 자신의 생각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chool life adapt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tudents on the career maturity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To achieve the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accordingly. First,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on the career maturity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of students of specialized schools by their background factors? Second, regarding the effects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life in specialized high schools on their career maturity? Third, from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life in specialized high schools on their level of career decision? Fourth,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career maturity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sampling students attending the Meister and 4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and Kyeongi region. The result of survey was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s package program. First,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on the career maturity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of students of specialized schools by their background factors, a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drawn from i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the students’ gender and school years, whereas it varied with the students’ major field of study, with the business major students adapting better to the school life. Moreover, it is found that the career maturity does not vary with the students’ gender neither. Of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maturity, the students’ school year and major field of study, the determinant fa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fluential, with the major of new lighting material showing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come. Last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the level of students’ career decision by their gender, school years and major field of study. Second, regarding the effects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life in specialized high schools on their career matur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found betwee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o the overall career maturity. Yet, it is found that a student with a higher adaptation level to educational activities tends to have a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Third, from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life in specialized high schools on their level of career decision, it is found that the educational activity is the only sub-factor of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at influences the students’ level of career decision. The result implies that a student involved more in educational activities tends to have a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Fourth,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career maturity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howed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career maturity and betwee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Ye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found between the career maturity and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Conclusively, the study shows that a student with higher level of adaptation to educational activities tends to have a higher career maturity and a higher level of career decision as wel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level of career decision depending on their gender, school year and major field of study.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uch results implies that the thoughts of students grows through the consistent activities in career education.

      • 대안학교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 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조은희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학교 청소년과 일반학교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력과의 관계를 실증적이고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학교 청소년과 일반학교 청소년들 간에는 자아탄력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안학교 청소년과 일반학교 청소년들 간에는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대안학교 유형 중 ‘재적응형 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만13세-1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선정은 대안교육센터에 기재된 대안학교별 연락처를 통해 해당 학교에 전화 요청으로 이루어진 임의 표집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역적으로 서울4곳, 전남1곳, 부산1곳을 대상으로 14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어 133부가 회수 되었고, 비교집단으로서 일반학교 청소년들은 중 만13세에서 19세 사이의 중·고등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서울의 강북2곳, 강남1곳, 경기 1곳, 전남 1곳, 대구1곳으로 총285부가 배부되어 282부가 회수 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로서 이해리, 조한익(2005)에 의해 한국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를 검증(r=.86, P<.0001)한 것으로 개인내적 특질과 외적 보호요인 안에 총1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력 척도로는 유윤희(1994)가 중고생에게 알맞도록 수정, 보완(Cronbach α=.79)한 것으로 4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학교 청소년과 일반학교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차이(t=-2.39, F=5.74, p< .05)를 보였다. 평균에 있어 일반학교 청소년(N=282)들이 지각한 평균(179.35)에 비해 대안학교 청소년(N=133)들이 지각한 평균(187.40)이 8.05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안학교 청소년과 일반학교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학교 청소년(N=282)들이 지각한 평균(79.20)에 비해 대안학교 청소년(N=133)들이 지각한 평균(81.60)이 2.4가 더 높은(t=-2.02, F=4.08, p< .05)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안학교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안학교 청소년들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의 요인이 학교생활적응력을 잘 설명하고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개인내적특질에서는 ‘자기효능감(63.5%)’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목표와 희망(53.0%)’, ‘의미추구(50.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안학교 청소년들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개인내적 특질의 ‘공감과 수용’은 39.2%의 설명력만을 보였다. 외적보호요인에서는 ‘학교에서의 돌봄과 기대(54.3%)’,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52.3%)’, ‘지역사회에서의 돌봄과 기대(50.6%)’ 순으로 설명력을 보였으며, ‘학교에서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은 44.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ly and specifically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among adolescents of alternative school. A total of 415 students(133 alternative school and 282 regular school adolescents) were subjects of this study. The Ego-Resilience scale(Harriot Lee, Han-Ik Jo. 2005) and the School Life scale(Youn Hi Yoo. 1994) were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ego-resilience average of alternative school adolescents appeared high. Second, alternative school adolescents also showed a visible difference i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compared to regular school adolescents. Thirdly, according to the ego-resilience of alternative school adolescents, they showed static correlation i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primary factor in the perception of the ego-resilience of the alternative school adolescents explained clearly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 관계: 두려움과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지선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및 관여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두려움 및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3곳의 초등학교 5학년 남ㆍ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한 척도에 답하도록 하였다.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및 관여 양육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에 대한 지각 척도(POPS) 중 어머니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사용하였고,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학교생활적응척도(SA)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두려움 및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 초기 청소년 기질 척도 개정판(EATQ-R)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8.0을 사용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산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 (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및 관여 양육행동과 대부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아동의 두려움 및 의도적 통제와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와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및 관여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두려움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두려움의 억제적인 특성이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결과를 동시에 이끌어 내기 때문에 한쪽 방향으로 더 우세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그 원인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셋째,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및 관여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대부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및 관여 양육행동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로써 아동이 적응적으로 학교생활을 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부모의 개입, 더 나아가 치료적 개입에 있어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함의를 갖는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o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300 students sampled from 5th grade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The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on fear and effortful control items selected from the Early Adolescent Temperament Questionnaire-Revised(EATQ-R),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scales of Perceptions of Parents Scales(POPS), and School Adjustment(S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s, and testifying procedures for the mediation effect which was offered by Baron and Kenny (1986)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how positive correlations both with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children's fear and effortful control in general. Second, there is no mediation effect of children's fear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lack of mediation effects of fear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fear characteristics, such as inhibition behavior, can cause both positive or negative outcomes. Third, children's effortful control has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It implies that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indirectly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children's effortful control.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parents to offer autonomy support for their children and involve in their children's daily events, which enhance their children's effortful control for him or her to adjust schoo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