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헤어학과 선택동기와 학과 수업 만족도가 직업 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원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impact of hair major selection motive and lecture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to help career job decision for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related to career guidance counseling for hair-related universities and professors. To achieve this goal, I conducted an online survey from November 13 to December 20, 2019 with students in 20s and above as survey subjects. I analyzed factors affecting motive selecting hair as a major, lectur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as a priority. The motive to select hair as a major consisted of three factors: personal vision, popular vision, and economic vision. Lecture satisfaction was composed of four factors: lecture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cognitive satisfaction, and subject satisfaction. There were three factors on career decision-making certainty, purpose, and research.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based on factor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rade, and preferred job affect the motive to choose a major, class satisfaction, and job decision. In the case of motivation to choose a maj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vision, and large differences in class satisfaction was cognitive satisfaction. Lastly, in job decision-making, certainty was the greates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mpact of hair major selection motive on lecture satisfaction, lecture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in order of personal vision, economic vision, and public vision. Especial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ognitiv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only in two factors: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vis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hair major selection motive on career decision-making, certainty and research increased with higher personal vision,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in economic vision. Purpose tend to increase when popular and economic visions become higher. Lastly,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mpact of lecture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certainty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in order of cognitive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ubject satisfaction, and purpos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in order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ognitive satisfact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with higher satisfaction on lecture had higher certainty in plans and efforts needed for their careers. That resul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balance the practical classes and theoretical classes for students to maximize interest However, it 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ze results above with fundamental limitation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college and graduated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a follow-up study with an even distribution of research subjects would be necessary. In addition, this study had difficulties in explaining due to the lack of prior research on the major of hai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research on major of hair is needed. 헤어학과 선택동기와 학과 수업 만족도가 직업 결정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헤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과 선택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직업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헤어학과 학생들에게는 직업 결정에 도움을 주고, 헤어 관련 학교 및 교수들에게는 취업지도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헤어학과 학생 20대 이상 남녀를 조사대상자로 설정하여 2019년 11월 13일부터 12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방법을 통한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검증을 실시하기에 앞서 학과 선택동기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학과 선택동기는 개인적 비전, 대중적 비전, 경제적 비전의 3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만족도는 교육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의 4개 요인이, 직업결정은 확신성, 목적성, 연구성의 3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검증을 한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과 선택동기, 교육만족도, 직업결정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순서대로 연령, 학년, 헤어학과 선택동기, 헤어교육에서 중요한 내용, 선호하는 관련 직업, 자격증취득여부, 적성검사여부에서 학과 선택동기는 개인적 비전과 경제적 비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고 교육만족도는 인식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결정에서는 확신성이 가장 높은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학과 선택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수업만족은 개인적 비전, 경제적 비전, 대중적 비전, 순으로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고 관계만족과 인식만족은 공통적으로 개인적 비전, 경제적 비전 2요인에서만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학과 선택동기가 직업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확신성과 연구성 에서는 개인적 비전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고 공통적으로 경제적 비전에서는 영향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목적성은 대중적 비전, 경제적 비전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다. 넷째, 수업만족도가 직업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확신성은 인식만족, 관계만족, 교과만족 순으로 목적성은 수업만족에서 연구성은 관계만족, 인식만족 순으로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업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본인이 결정한 직업을 위해 어떤 계획과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확신도도 높은걸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업내용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실기수업과 이론수업의 비중을 맞추고 교과목의 구성을 전반적으로 잘 편성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위와 같은 결과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에 편중되어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점을 가진다. 이에 연구대상 분포를 보다 고르게 실시하여 표본의 일반화를 도출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헤어학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설명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헤어관련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미용과 재학생들의 학과 및 전공 선택 요인과 만족도 : 광주광역시 4년제 재학생 중심으로

        김보경 광주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미용관련 재학생들의 학과를 선택하는 동기, 학과를 선택하는 영향요인, 학과 만족도, 학과 선택 만족/불만족, 전공 선택 동기를 알아보기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은 광주광역시 4년제 미용학과를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17년 9월 0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99부를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학과 선택 동기는 학교 선택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헤어, 피부 전공의 경우 네일아트 전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교 선택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전공에 따른 학과 선택 영향요인과 직접 영향요인 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피부 전공의 경우 헤어나 메이크업 전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과 선택영향 요인과 하위 요인별 직접 영향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전공에 따른 학과 만족도와 하위요인별 전공 만족도, 경제적 만족도, 지역 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네일아트, 피부 전공의 경우 메이크업이나 헤어 전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과 만족도와 하위별 전공 만족도, 경제적 만족도, 지역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전공에 따른 학과 선택 만족/불만족 행동의 하위별 불만족 행동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피부 전공의 경우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 전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만족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전공에 따른 전공 선택 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전공별 학과 선택, 학과선택 영향, 학과 만족도, 학과 선택 만족/불만족 행동은 조금씩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전공 선택 동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미용관련 재학생들의 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을 찾아 보완하고, 재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이며, 입학 전 학생들의 학과 선택 시 고려사항과 영향을 받는 내용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대안을 준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광주광역시 4년제 대학교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학과 및 전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형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Department of School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eople have to face a variety of choices throughout their lifetime. One of the primary choices they should deal with is about career. It is highly significant for the individuals to choose and decide as respects their career. The decision comes to have special importance in their time at university since it is this time in which they make preparations for the decision of her concrete future career for the first time, and then carry it out. Focusing on undergraduates' actu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that several factors such as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type ha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it reveals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guiding and counselling about undergraduates' future career. The questions relevant to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factors like academic year, school record,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what difference does the demographical change of undergraduates bring about regarding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ty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in what way or degree do the subordinate factors of department satisfac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what relations are there between career decision typ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tudy worked with 507 undergraduates at H University located in Chuncheon-si (as of April, 2013) to measure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type and the asp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n carried out various analyses including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year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record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relationship and the dependent career decision type. School record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aptitude learning, career vocation, the rational career decision typ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uitive career decision type. Aptitude learning reveals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vocation, social relationship, career identity, the rational career decision ty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career vocation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relationship,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cial relationship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identity, the rational career decision ty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identity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ye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uitive career decision type and the dependent career decision type. The rational career decision type reveals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it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uitive career decision type. The dependent career decision type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t is shown that the demographic change of undergraduates causes difference in career identity and the dependent career decision typ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Difference is shown in social relation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respect of academic year. There shows difference in aptitude learning, the rational career decision ty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respect of school record. There also shows difference in all of the three sub-factors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he dependent career decision type in respect of department. Third, aptitude learning, one of the sub-factors of department satisfaction, exercises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career identity has positive and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the rational and dependent career decision types have influence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a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The rational type exercises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the dependent type has negative influence on it. To raise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school record, make a rational career decision, and be guided to establish career identity. It certainly takes much time and effort to solve the career and vocational problems in an effective way. Accordingly, an adequate infrastructure in the university is essential to provide career education and counselling step by step from the time of their entrance. And also much needed are systematic career counselling and guidance for undergraduates by department, and professional learning programs and career counselling tailor-made for majors should be prepared to deal with positively the complex and various career environment. Keywords :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typ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사람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많은 선택을 하게 된다. 그 중 하나가 진로 선택이다. 개인에게 있어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대학 시기에는 최초로 구체적인 미래의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시기이며, 그 실행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더욱 중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에 대한 대학생의 구체적이고 행위적인 노력인 진로준비행동에 초점을 맞춰 진로결정에 필요한 대학생들의 학과만족도, 진로정체성,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여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년, 성적,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학과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별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13년 4월 현재 춘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H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7명을 대상으로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측정하여 독립t검증, 분산분석(ANOVA),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연구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결과에서 학년은 성적,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대인관계,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성적은 적성학습, 진로직업,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직관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적성학습은 진로직업, 대인관계, 진로정체감,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직업은 대인관계,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대인관계는 진로정체감,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진로정체감은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직관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은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직관적 진로의사결정유형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은 진로준비행동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는 성별에서 진로정체감과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에서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서는 대인관계, 진로준비행동에서 차이가 있었다. 성적에서는 적성학습,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진로준비행동에서 차이가 있었다. 계열에서는 학과만족도 하위 3개요인 모두와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학과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학과만족도 하위요인 중 적성학습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합리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이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리적 유형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의존적 유형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적이 향상되어야 하고,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진로정체감이 확립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진로정체감은 단시일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자기와 환경에 대한 탐색과 참여를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적절한 자극을 통해 자기성찰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또한 저학년부터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진로 및 취업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입학과 동시에 진로에 대한 순차적인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을 제공할 수 있도록 대학 내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공별 대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상담 및 지도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고, 복잡하고 다양한 진로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분야별 전문 교육프로그램과 진로상담이 필요하다. 주요어 :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준비행동

      • 관광전공 외국인유학생의 학습동기, 학과만족도, 대학충성도와의 영향관계 연구

        이나탈리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은 세계적 견지에서도 산업화로 인한 고도성장과 더불어 문화적으로도 한류라는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영향은 관광산업 분야의 빠른 성장세로 이어졌으며, 한국의 역동적인 면모는 많은 외국 학생들에게 한국이라는 국가의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좀 더 나아가 한국의 발전에 대해 더 알고자 하는 욕구는 한국 대학의 교육을 받고자 하는 동기로 이어졌다. 대학은 고급인재를 육성하는 기관으로 국가 경쟁력에 큰 영향력을 미치며, 대학교육은 개인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가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한다. 산업의 고도성장에 따른 경영 및 경제를 배우기 위해 많은 유학생들이 한국에 온 것처럼 한류에 따른 한국의 관광산업의 눈부신 성장이 관광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유학생들의 관심을 이끌었고 결과적으로 빠르게 관광전공 외국인유학생수가 증가하고 있다. 관광전공 외국인유학생들이 한국에 잘 적응하여 관광 선진국으로서의 학문적 영역과 현실적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한국과 자국에 큰 자산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외국인유학생들의 학습동기, 학과만족도, 대학충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학과 만족도와 대학 충성도 사이에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동기가 학과 만족도와 대학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 소재 관광전공 학과 및 학부를 개설하고 있는 19 개 대학을 선정한 후,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이 300명 이상인 대학만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석·박사 과정의 유학생들과 어학연수 과정의 유학생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018년 1월 3일부터 2월 5일까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한 자기기입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 (SNS) 방법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코딩(Data Coding)을 거쳐 사회과학조사 패키지인 SPSS 20.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에서 외적 및 내적 동기는 학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기에서 내적동기는 대학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외적동기는 부정적인 영향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과만족도는 대학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더 적극적이고 주관적으로 참여하며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고, 선순환으로 대학충성도 역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관광산업에 매력을 느껴 한국을 찾은 관광학부 유학생들의 학교 충성도에 대한 연구 결과가 장기적으로 외국인 유학생에게 개인적, 국가적으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고등학교 『정치』교과목의 이수 여부와 학과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연구 : 인천 지역 정치외교학과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신선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지식 기반 사회의 도래로 직업 세계와 인력 구조가 크게 변화함에 따라 이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 육성과 개개인의 직업 능력 개발을 위해 교육 구조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제7차 교육과정이 도입·시행되고 있다.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시대변화 추세에 맞추어져 계열의 특성 및 단위학교 실정에 따라 진학 및 취업을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양질의 교육 내용을 제공하여 바람직한 교육 활동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제상 사회과 심화선택과목 ‘정치’교과목의 교육 목표와 필요성, 진로성에 주목하여 고등학교 사회과 심화선택과목으로 ‘정치’교과목을 학습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학과만족도 및 학업성취도를 통해 교육적 차원에서 그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정치’교과목의 교육적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천 지역 소재 4년제 대학의 정치외교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통계·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심화선택과목으로 ‘정치’교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정치’교과목의 학습경험이 정치외교학과 선택 및 전공 수업과의 상관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정치’교과목의 학습경험이 학생들의 진로선택을 돕고, 계열성 있는 학과 공부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으로 ‘정치’교과목을 진로교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둘째, 학과만족도의 경우 ‘정치’교과목 이수집단이 비이수집단에 비해 학과만족도 20문항 중 12문항에 대해 평균점수가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는 인식만족의 2문항의 경우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인 학과만족도는 ‘정치’교과목 이수집단과 비이수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양하여 ‘정치’교과목 이수와 비이수만을 변인으로 하는 본 연구에는 한계가 있었다. 셋째, ‘정치’교과목 이수집단과 비이수집단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해 본 결과 ‘정치’교과목의 학습경험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영향 변인의 통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나 대학의 고학년일수록 취업준비나 진로 걱정으로 전공 공부에 열중하며 학업성취를 높이고자 하는 것은 진로 방향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넷째, ‘정치’교과목 이수와 비이수가 아닌 단순히 학과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평점 4.0이상, 2.0~3.0미만, 3.0~4.0미만의 경우는 학과만족도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통계 수치에 대한 학과만족도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고학년일수록 취업의 높은 문턱에서 스펙을 올리기 위해 재수강을 통해서라도 학점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과만족도가 낮은 학생이어도 필요에 의해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정치’교과목 이수유무에 따른 정치외교학과 대학생들의 학과만족도와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진로성은 교육적 차원에서 효율성과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의 적성과 흥미에 따른 선택권은 인정하고는 있으나, 그 선택권의 범위와 주체가 명확하지 않은 점과 연구 과정에서 학과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통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이 존재하고, 도입·시행되는 한 그 효과성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변인 분석 연구에 있어서 변인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통제에 근거하여 교육과정 효과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적응수행의 구조적 관계: 진로포부 매개효과와 학과만족도 조절효과 중심으로

        장현정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0

        We have tried to cope with the changing world,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predicting and preparing for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change. The environment, culture, education, medical care, and organization are making plans to cope with change, and the organization focused on finding and nurturing talent who can adapt to the change. However, it is not the current situation of yesterday tha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organization selects new employees through various procedures based on the talent image of excellent talent, but before they can adapt to the organization. In the end, it remains an important task to find and nurture these talents by knowing what kind of talents can adapt to changing external situations from various angles. Therefore, I would like to look for various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adaptation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who will become members of the future organizational society, and study how these variables can be applied to universi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aspir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aspi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daptation performance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verification, we tried to find out what ro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aspirations play in improving adaptation performance, and what kind of support is needed in university departments to improve career aspir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Subjects for inquiry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do colleg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aspirations affect adaptive performance? Second, Second, do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affect their ability to cope with crisis situation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adapt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are components of adapt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s? Third, does career aspiration affect the performance of adaptation?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s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daptation performance? Third, does department satisfaction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aspiration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1,363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and self-reported online survey data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daptation performance, career aspiration,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department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spir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daptation performanc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MOS 25.0 statistical program. Bootstrap was us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spir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daptation performanc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MOS 25.0 statistical program. Bootstrap was us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odel. The AMOS 25.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cademic department satisfac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aspirations, and the two-step approach of Ping (1996) was applied. The major results sho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had an effect on adaptation performance. I think this is also a characteristic of performing adaptation, such as adapting to the situation and solving complex problems creatively.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spirations. Among the constituent concepts of career aspiration: achievement aspiration, leadership aspiration, and education aspiration, i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eadership variables. Third, it was found that career aspiration has an effect on adaptation performance. Fourth,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daptation performance, career aspira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handling emergencies or crisis situations, solving problems creatively, and Demonstrating interpersonal adaptability, which are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adaptation performance. Fifth,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career aspiration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majors was partially adopted. The sub-variables of college subject satisfaction, department satisfaction, department social awareness satisfaction, and school social awareness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ut faculty-stud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The sub-variables of college subject satisfaction, major subject satisfaction, department social awareness satisfaction, and university social awareness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ut faculty-stud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우리는 변화하는 세계에 대처하고자 노력해 왔으나, 그 변화의 속도와 방향을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한계가 나타났다. 환경, 문화, 교육, 의료, 조직 등에서 변화에 대처하고자 방안을 세우고 있으며, 조직에서는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조직에서 우수인재의 인재상을 두고 다양한 절차를 걸쳐 신입사원을 선발하여도 조직에 적응하기도 전에 일탈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는 문제는 어제 오늘의 상항은 아니다. 결국에는 어떤 요건을 갖춘 인재가 다각도로 변화하는 외부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지를 알고 이러한 인재를 발굴, 육성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았다. 이에 미래 조직사회의 구성원이 될 대학생들의 적응수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찾아보고, 이러한 변인을 대학교육에 어떻게 적응할 수 있을지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적응수행간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와 긍정심리자본과 진로포부간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적응수행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심리자본과 진로포부는 어떠한 역할을 하고, 대학생의 진로포부 향상을 위해 학과에서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포부는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거쳐 적응수행의 구성요소인 위기상황 대처, 창의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포부 관계에서 학과만족도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생에게 긍정심리자본, 적응수행, 진로포부, 학과만족도에 대한 자기보고식 온라인설문을 실시하고, 최종 1,363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긍정심리자본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유의성을 검토하기 위해 부트스트랩을 사용하였다. 긍정심리자본과 진로포부 관계에서 학과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5.0 프로그램과 Ping(1996)의 2단계 접근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은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위기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복잡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등의 적응수행의 특성과도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은 진로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포부는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심리자본과 적응수행의 구성요소인 위기상황대처와 창의적 문제해결, 대인관계적응 관계에서 진로포부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과 진로포부 관계에서 학과만족도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 및 진로스트레스 조사연구

        이진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differences by college major and gender in college students' (1) Department Satisfaction(DS), (2) Career Maturity(CM), and (3) Career Stress(CS); and the correlation among the three factors abo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profoundly the current status of the college students' career matter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uitable career guidanc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to help college students make the right decisions on their career.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693 third-year students of "K" University, selected from each college major group using cluster random sampling. The students had a test on the three factors. The test material for DS was a questionnaire designed by Ha Hye-sook(2000). The test material for CM was CMI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Hyun-ok(1989) and revised by Kim Bong-Hwan(1997). The test material for CS was the re-revised version of the test standardized by Kim Dong-jo(2003) and revised by Seo Yu-jin(2007). The responses in the tests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1) Differences by college major and gender in DS, CM and CS Firstly, there are meaningful college major differences in DS, both total DS and all the subclasses. In overall DS and Curriculum Satisfaction, Relation Satisfaction, Engineering ranked the top; and in General Satisfaction and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Medical Science and Pharmacy ranked the top. Secondly, there are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in DS. Male students recorded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in both overall DS and all the subclasses. Thirdly, there are meaningful college major differences in CM, both total CM and all the subclasses. In total CM, Involvement, Independence, Compromise, Humanities ranked the top; and in Decisiveness, Education ranked the top; and in Orientation, Medical Science and Pharmacy ranked the top. Fourthly, there are partially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in CM. In Decisiveness and Orientation, male students recorded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however, the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ough in total CM, Independence, Compromise, fe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r level than male students, the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ither. But Involvement was the only subclass that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ve a meaningfully higher level than male students. Fifthly, there are meaningful college major differences in CS. In total CS, Medical Science and Pharmacy ranked lower level than Social Science, Engineering, Natural Science, Arts and Athletics. Sixthly, there are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in CS. In total CS, female students recorded higher level than male students. (2) Correlation among DS, CM and CS Firstly, there is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DS and total CM. There is overall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S subclasses and CM subclasses; however, there is partially negative correlation in some subclasses. Secondly, there i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DS and total CS, and between DS subclasses and CS subclasses. Therefore, as the DS gets higher, the CS gets lower. Thirdly, there i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CM and total CS, and between CM subclasses and CS subclasses. Therefore, as the CM gets higher, the CS gets lower. In conclusion, there are significant college major and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DS, CM and CS; and there are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all the three factors.

      • 체육계열 대학생의 학과만족도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안보영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3

        본 연구는 현 사회에 문제점 중 하나인 일반화 된 대학 진학, 그로 인해 체육계열 대학생들이 부딪히는 학과와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사회진출의 방해요소가 되는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현재 경기도 소재의 대학 중 체육전공을 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7년 04월15일부터 05월1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2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3부를 제외한 217명의 응답내용으로 최종 분석에 활용 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성별, 학년을 두었고 독립변인에는 학과만족도, 종속변인에는 진로장벽을 두었다. 또한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고등학교시절에 경험한 체육교사의 진로상담에 대한 실태조사를 위한 문항으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학과만족도 설문문항의 신뢰도는 cronba’s a .940, 진로장벽 설문문항의 신뢰도는 cronba’s a .909로 모두 .7이상의 α값을 보였고, 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TATA SE/ 14.0Ver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통계기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육계열대학에 진학한 대학생들은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사회적 인식 만족이 긍정적일수록 학과만족이 높게 나왔고, 이는 학과에 대한 사회인식만족이 체육전공 대학생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고등학생 시절 경험한 진로상담을 조사한 결과 아직까지 체육교사가 학업성적 위주의 지도를 하는 경우가 많고 체육계열 고등학생이 진학할 수 있는 대학들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부족한 실정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진로발달 과정인 고등학생 시절에 진로상담이 중요하고 필요로 하는 상황이지만 대학입학 이전 충분한 상담을 받지 못하고, 진학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시절의 적절한 진로상담과 피드백이 있다면 체육입시생이 향후 대학에서 경험하게 될 진로장벽을 완화할 수 있는 최소한의 노력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physical education college students’ department/major satisfaction on career barriers that serves as a discouragement to their social advancement, all triggered by college entrance, one of the problems of our current societ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t a certain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s of 2017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15th April 2017 to 10th May 2017, and the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220 students were applied to the convenience sampling process. Excluding 3 questionnaires that were determined to be insincere, the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217 students were applied to the final analysis. Within the questionnaire used as the survey instrument, gender and grade were set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epartment satisfaction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career barrier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he questions were constructed to examine the actual status of career counseling provided by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the physical education college students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As for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the reliability of the department satisfaction-related questions was cronba’s a .940, and the reliability of the career barrier-related questions was cronba’s a .909. The questions in both cases indicated an α value above .7, and the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STATA SE/ 14.0Ver was used to analyze the input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statistical methods, and the acquired results are as follows. Initially, those physical education college students who positively recognized their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indicated a high department satisfaction level. It is determined that their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in their department can serve as a measure that resolves the career barriers experienced among physical education college students.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reer counseling experienced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ill tend to focus their teaching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that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still lack college-related information and knowledge. As described, although the career counseling provided during high school years, a period when students’ career path gets developed, is important and essential, it was found that most students are not provided with sufficient counseling prior to their college entrance. It is determined that providing adequate career counseling and feedbacks during high school years could be the minimum efforts that can be made to alleviate the career barriers to be experienced by students as they attend college in the future.

      • Holland 직업선택이론에서의 일관도, 일치도, 변별도와 학과 만족도 및 진로 결정도 :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김현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2

        본 연구는 Holland 직업선택이론의 주요 개념인 일관도, 일치도, 변별도와 학과만족도 및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전문대학생 193명이 참여하였으며, 측정도구는 Holland 직업흥미유형을 탐색하는 직업선호도검사(S)와 학과만족도 및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관도와 일치도는 학과만족도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변별도가 높을수록 학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관도와 일치도는 진로미결정 점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변별도가 높을수록 진로미결정 점수가 낮은 것으로, 즉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변별도 수준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자신의 학과에 만족하고, 진로결정수준도 높음을 의미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search Holland job selection theory which includes the consistency, congruence, differentiation and satisfaction on their majors and career decision level. This study joins 193 college students, and used job preference examine which based on Holland job interest type, and used paper which is about the career decision level.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seeking the relationship of transition. As a result, first, consistency, and congruence didn't show the heeding related with satisfaction on their majors. It showed high satisfaction on their majors when the differentiation is high. Second, consistency and congruence didn't show the heeding related with career pendency, when differentiation is high it shows low career pendency, that is course selection is high. This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 who has high differentiation level, is satisfied with their majors and career decision level,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