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필라테스 교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지도자를 중심으로

        장혜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지도자를 중심으로 필라테스 교습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알아봄으로써 필라테스 정착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중 하나인 눈덩이 표집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현재 필라테스 지도자로 활동 중인 자로 경력 4년 이상의 연구참여자 8명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과 관련자료 수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텍스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필라테스 지도자들의 교습 시 느끼는 문제점으로 지도에 관련된 문제, 시설에 관련된 문제, 비용에 관련된 문제가 나타났다. 첫째, 지도에 관련된 문제로는 필라테스 지도자들은 초보시절 재활의학 지식부족으로 인하여 교습 진행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회원이 필라테스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은 무리한 요구로 수업진행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초보 지도자들의 경우 실전 경험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에 관련된 문제로 필라테스 전문시설이 아닌 복합시설에서 교습을 하게 됨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또한 같은 공간 내 여러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기구사용의 제한과 집중력 저하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용에 관련된 문제이다. 필라테스 대중화가 급변하게 진행됨에 따라 필라테스 비용에 대한 적절한 가격 형성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저가 가격으로 회원을 모집하고자 하는 센터가 우후죽순으로 생기며 필라테스의 저비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반면 일반인들은 필라테스는 고비용이라는 인식으로 진입에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인들과 지도자 상호간의 비용에 관련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필라테스 교습의 개선방안으로 지도자의 역량강화, 회원들에게 명확한 지도방향에 대한 이해 제시, 복합시설 내 전문성 강화 체제구축, 필라테스 교습소간의 동반자적 협력관계 구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경험이 풍부한 상위 레벨의 지도자에게 강의를 듣거나 기술 습득, 워크샵 참석, 인턴과정에 따른 훈련 등의 과정이 더욱 보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둘째, 지도자들은 회원과의 충분한 대화를 통하여 지도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통한 회원의 이해를 높임으로 교습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해 가고 있었다. 셋째, 복합시설 내 전문성 강화체제 구축이다. 복합시설에서는 필라테스 전문성 활성화를 위하여 지도자들이 원만하게 교습할 수 있도록 환경개선과 전문적인 기구도입이 요구된다. 한 공간에서 다른 수업이 진행될 경우 기구배치와 사전에 수업담당 지도자들이 서로 수업동선에 대한 의견을 나누어 조절하고 있었다. 넷째, 필라테스 교습소간의 협력관계 구축이다. 자신의 역량개발이나 고객관리에서만 그치지 않고 전문성과 시장성을 동시에 키우기 위해서는 경쟁업체간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구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blem of Pilates lessons and its improvement plan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 snowball sampl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8 subjects having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working as a current Pilates instructo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related data collection, where after analyzing the tex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problems that Pilates instructors feel when they teach were problems related to teaching, problems related to facility and problems related to costs. First, for the problems related to teaching, the Pilates instructors were having difficulties as they could not effectively cope with teaching due to the lack of rehabilitation medicine when they were learners. In addition,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class due to impractical requests from the members during the Pilates, and for beginning instructors,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lack of practical experience. Second, for the problems related to facility, as the instructors taught in the complex facility and not the professional Pilates facility, some problems were presented. In addition, as many lessons were progressed in the same space, problems such as limitations in the use of apparatus and the deterioration of concentration have occurred. Third, it is a matter of cost. As the popularization of Pilates progresses rapidly without proper price formation for Pilates costs, centers that want to recruit members at low prices sprang up everywhere, and so the cost of Pilates is getting cheaper.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public believes Pilates is expensive thereby making them hesitant to join, and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cost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the instructor. Next, as an improvement plans for Pilates lessons, it was shown that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leaders, giving member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direction of the lesson,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strengthening expertise in complex facilities, and establishing a partnership relationship between Pilates schools were needed. First, to strengthen their expertise, the instructor have argued that they need to listen to experienced top-level instructors, acquire skills, attend workshops, and reinforce the training according to the internship. Second, instructors should clearly communicate their directions through sufficient dialogue with members, and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members through this, they are solving the problems that appear during teaching. Third is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strengthening expertise in complex facilities. In a complex facilit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introduce professional organizations so that instructors can smoothly train in order to vitalize the Pilates expertise. When there is another class in one space, instructors in the class were adjusting their opinions about the class movement as well as instrument placement. Fourth, it is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ilates schools. Not only developing one's own competencies or managing customers, but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marketability at the same time, it was shown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artnership relationship with competitors.

      • 필라테스 지도자의 지도과정에서 추구되는 전문성 강화에 관한 연구

        장영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447

        The number of Pilates instructor certifications has rapidly increased recently. In the absence of official verification procedures or standards for the domestic Pilates instructor qualification process, the issue of Pilates instructors` professionalism has emerged. Currently, research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Pilates instructors is very insufficient; although the need for research on this topic has been raised, a practical understanding and theoretical basis to support it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plain the meaning of professionalism reinforcement in the Pilates instruction process by professional Pilates instructors, and to theorize about their background, thoughts, and perspective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research,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eight people who have been teaching Pilates in the field for more than 10 years and qualified as international Pilates instructors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Pilates Feder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One to three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Strauss, Corbin, 1998). A total of 189 concepts, 61 subcategories, and 19 integrated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data analysis using open coding. The following paradigm was derived through axis coding. Causal conditions were “a leader's interest in life and introductory experience”, “determining career”, and “beginner's Pilates experience”; contextual conditions were “burden”, “aptitud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members” and “trial and error”; the resulting central phenomena were “care for health and job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develop Pilates leadership ability”.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were “necessity of class change”, “act for health”, and “member's wish for positive chang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accumulating experience/time/effort”, “self-reflection”, “self-management”, “open attitude”, and as a consequence of this, “enhancement of competency”, “work harder”, and “formation of values as a leader” were found.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stages for the Pilates leaders to increase their leadership ability were divided into “acceptance stage”, “intermediate inspection stage”, and “restart stage”. The core category through selective coding was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through free will”. The central phenomenon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explained based on the “theory of selfishness”, and the core category was Nietzsche's “will to power (authority)”, which discusses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Pilates instructor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bout Pilates leaders in that it found factors related to professional reinforcement from the experiences of Pilates instructors. In addi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situations and processes experienced by the Pilates leader,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rofessionalism of those seen in the field. As a result, a theoretical model was provid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hoosing Pilates instructor as a profession and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through free will 최근 필라테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증 수가 급격히 많아졌고 이와 관련하여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국내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과정에 대한 공식적인 검증 절차나 기준이 없으며 현재 필라테스 지도자들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와 이를 뒷받침할 이론적 근거가 적절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기에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필라테스 지도자들이 필라테스에 입문하면서부터, 국제 자격증을 취득한 후 지도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문성 강화에 대한 요인과 그들의 생각, 관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것들이 경험적으로 생성되어가는 과정과 해석 등을 통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여, 현실적 사유와 행위의 의미를 알아보고 지도자들의 해석적 방식으로 설명하여 상호작용을 통하해 나타나는 실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필라테스 지도를 현장에서 10년 이상해오고 있으며 국제필라테스연맹에서 인정하는 국제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을 갖춘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1-3회에 걸친 심층 면담을 실행하였고 면담자료는 근거 이론 연구 방법(Strauss, Corbin, 1998)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 코딩을 이용한 자료 분석을 통해 개념 총 189개, 하위범주 61개, 통합범주 19개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을 통해 나타난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다. 인과적 조건은 ‘지도자의 삶에 대한 관심과 입문 경험’, ‘진로를 결정함’, ‘초보자의 필라테스 경험’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부담감’, ‘적성에 맞음’, ‘회원과의 정서적 유대감’, ‘시행착오’였으며, 이에 따른 중심현상은 ‘건강챙김과 직무만족’, ‘필라테스 지도능력의 발전 의지’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수업방식 변화의 필요성’, ‘건강을 위한 행위’, ‘회원이 긍정적 변화가 있길 바라는 마음’이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경험/시간/노력을 쌓아감’, ‘자기 성찰’, ‘자기 관리’, ‘열려있는 태도’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더 노력하기’, ‘역량 증대’, ‘지도자로서 가치의식의 형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정분석을 통해 필라테스 지도자들이 지도능력 상승을 위한 주요 단계는 ‘수용단계’, ‘중간 점검 단계’, ‘재시작 단계’로 구분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선택 코딩을 통한 핵심범주는 ‘자유의지를 통해 전문성 강화해나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중심현상은 '이기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설명하였고, 핵심범주는 니체의 '권력(힘)에의 의지'로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 강화 과정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필라테스 지도자의 경험으로부터 전문성 강화 관련 요인을 찾고 그 과정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필라테스 지도자에 대한 연구와 차이가 있으며, 지도자가 경험한 다양한 상황과 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바라본 이들의 전문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필라테스 지도자를 직업으로 선택하고 자유의지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해나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론적 모형을 제공하였다.

      • 필라테스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지도자 이미지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4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ability on his image as instructor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at Pilates Studio Center. That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nfluences the continued participation of the Pilates Studio Center membership in exercise by age and Pilates career and determine the relations of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ability to his instructor image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In this study, the subject was adult women members who are taking exercise at Pilates Studios located in Seoul (Gangnam, Seocho and Songpa) and southernGyeonggi-do (Seongnam, Suwon and Yongin). Among a total of 370 copies of questionnaire handed out, 313 copies (85%) were used after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15% of lost or insincere responses. For data processing, correla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IBM SPSS v. 25 and AMOS 18.0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mong Pilates members there was difference in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by age and, among its subfactors, athletic ability (F= 2.453, p=.046)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p<.05. Specifically, age 50 to 59 (M= 4.00) or age 40 to 49 (M= 3.88) revealed higher athletic ability than age 30 to 39 (M= 3.61). Second, by their dwelling patterns Pilates learners showed no difference in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Third. it was revealed that among Pilates learners there is difference in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by workout career and, among its subfactors, exercise habits (F= 3.653, p= .027)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p<.05. Specifically, over 3 years of exercise habits (M= 3.79)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1 to 3 years (M= 3.75) or under 1 year (M= 3.50). Fourth, it was revealed that Pilates instructor’s communication ability makes effects on his instructor image. Specifically, the result of correlations between Pilates instructor’s communication ability, instructor image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showed that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ubfactors of communication ability), quality, professionalism, role, awareness/attitude (subfactors of instructor image), and athletic ability, exercise habits, exercise environment, interest in exercise and exercise companions (subfactors of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have all significant correlations at the level of p<.01. Fifth, it appeared that Pilates instructor’s communication ability makes effects on the learners’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while the goodness-of-fit of the relation (F= 65.513) between Pilates instructor’s communication ability and athletic ability under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was sig=.001 in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a reliable result of analysis on the regression model of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That is, it turned out that Pilates instructor’s communication ability makes positive effect on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In sum, age and workout caree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Pilates Studio participants, were turned out to make positive (+) effect on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while Pilates instructor’s communication ability makes positive (+) effect on the instructor’s image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 exercise. 이 연구는 필라테스 스튜디오의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지도자의 이미지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이 연구는 필라테스 스튜디오센터 회원들의 연령 및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지도자 이미지와 운동지속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강남, 서초, 송파)와 경기도 남부(성남, 수원, 용인) 소재의 필라테스 스튜디오에서 운동하고 있는 성인 여성회원으로 설정 하였다. 설문지는 총 370부를 배포하였으나 그 중 15%는 분실 또는 불성실 하게 응답하여 제외하였고, 85%로인 313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처리는 통계 프로그램인 IBM SPSS 25.0ver과 AMOS 18.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요인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필라테스 회원의 연령에 따른 운동지속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운동능력(F=2.453, p=.046) 요인은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운동능력의 30세~39세 (M=3.61)보다 40세~49세(M=3.88), 50세~59세(M=4.00)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라테스 수강자의 주거형태에 따른 운동지속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필라테스 수강자의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지속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지속의 하위요인 중 운동습관(F=3.653, p=.027) 요인이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운동습관의 3년 이상(M=3.79)는 1년 이상~3년미만(M=3.75)과 1년 미만(M=3.50)이 과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필라테스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지도자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필라테스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지도자이미지 및 운동지속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하위요인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지도자이미지의 하위요인 자질, 전문성, 역할, 의식/태도, 운동지속의 하위요인 운동능력, 운동습관, 운동 환경, 운동관심, 운동친구 간 모든 요인은 p<.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필라테스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수강자의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라테스 지도자의 커뮤케이션 능력과 운동지속 중 운동능력의 관계(F=65.513)에 대한 모형 적합도는 sig=.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운동지속의 회귀모형에 대한 분석결과는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필라테스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났다. 따라서 필라테스 스튜디오 운동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연령과 운동 경력은 운동지속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라테스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지도자의 이미지 및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 필라테스 지도자의 교수행동 및 수업내용 분석연구

        오지선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지도자의 교수행동과 수업내용을 분석하여 필라테스 지도자의 교수행동변인의 패턴과 수업내용구성의 특징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필라테스 지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료수집은 현재 2005년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구청 또는 체형관리센터, 문화센터, 학원에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여성 필라테스 지도자 10명을 선출하여 지도자의 수업상황을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녹화된 지도자의 수업장면을 5초관찰 - 5초기록의 간격 관찰 기록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지도자의 행동을 상호작용 변인과 교수행동변인, 수업분위기 변인별로 크게 분류하여 관련된 모든 하위 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및 백분율의 자료처리를 하였다. 또한 수업내용 분석에 있어서는 같은 조건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내용의 심층적 분석을 위해서 교수행동분석에 참여했던 필라테스 지도자 중 연구조건을 만족시키는 7명의 대상자를 선발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선발된 7명의 필라테스 지도자 수업을 각각 일일 60분 단위로 주당 2회씩, 5주간에 걸쳐 10회분 수업을 비디오 촬영하였고 수업 내용구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경우 수업 전, 후에 지도자와의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비디오 촬영과 지도자와의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수업내용 분석표를 이용하여 지도자의 수업진행과정을 있는 그대로 가능한 한 상세하게 관찰, 기록하는 서술적 관찰법(이용숙, 1998 ; 탁영희, 1997)으로 기록하였으며 수업내용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지도자의 말이나 상징, 그리고 연구자 자신이 참여자로서 경험한 것이나 현장구성원들과의 대화 내용에 대한 분석은 제외하고 학습내용만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 처리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교수행동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분위기의 분석결과 수업분위기 요인의 발생빈도의 평균을 살펴보면 신체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시청학습활동, 대기활동, 수업관리활동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필라테스 지도자의 교수행동에 대한 자료 처리결과는 학생과의 합류활동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신체접촉, 안내, 강의활동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정적행동 피드백과 부적행동 피드백 활동의 빈도는 매우 적은 수준이었다. 셋째, 필라테스 지도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은 학습 전체 상호작용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개인 상호작용 활동, 집단 상호작용 활동 순서였다. 다음으로 수업내용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내용은 warm-up, main exercise, modification, cool-down으로 구성되어 졌으며 각각의 지도자에 따라 수업내용이 다르게 구성되어 졌다. warm-up → main exercise → warm-up의 순서로 진행시킨 지도자가 있는가하면 warm-up → main exercise → modifications으로 cool-down이 없이 지도하는 지도자가 있었다. 둘째, 필라테스 지도자의 warm-up수업내용을 보면 필라테스 지도자 각자가 계발한 스트레치 체조나 요가 동작을 첨가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 준 후 warm-up의 수업내용으로 들어가는 수업형태가 있었다. 셋째, 10차시까지의 수업을 보면 warm-up과 cool-down의 프로그램은 같았고 main exercise와 modifications이 매 차시마다 다르게 구성되어졌다. 넷째, 초급자 수준의 필라테스 수업 이다보니 같은 내용이 반복되어 사용되어져 회원들에게 반복되고 지루한 수업이라는 상황에서 짐볼, 써클, 밴드, 아령이라는 기구를 사용하여 흥미를 일으켰다. 다섯째, 필라테스 수업에 있어서 음악의 다양성이다. 보통 필라테스는 음악을 틀지 않거나 조용한 분위기 안에서 수업을 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몇 명 지도자는 서로 다른 분위기의 음악을 틀어 개성이 있는 필라테스 수업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필라테스 수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필라테스 특성을 고려하여 지도자가 수업 전에 충분한 수업계획을 통해 수업운영의 구조화와 강의, 감독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가 과제중심의 신체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도록 하며, 교정 기술피드백의 교수단서의 제공으로 학습과제를 명료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ilates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s and instructional contents, identify patterns of their teaching behavior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content composi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Pilates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10 female Pilates instructors in charge of a Pilates program for adult females at a ward office, a body type management center, a cultural center, or a private institute in Seoul as of 2005 were selected for data collection; then, their instruction was videotaped. The recorded instructional scenes were measured by the interval-based observation recording method of 5-second observation and 5-second recording. The instructors' behaviors were largely classified by interaction, teaching behavior, and instructional atmosphere variables; then,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throug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of all relevant sub-variables. To analyze instructional contents, 7 Pilates instructors who met the terms of the research were selected from those that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of teaching behaviors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f instructional contents provided in the same conditions. Each of the seven Pilates instructors was videotaped during their instruction in 10 sessions, for five weeks, two sessions a week, 60 minutes a session and a personal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instructors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if necessary to improve an understanding of instructional content composition. Data collected through videotaping and the personal interview with instructors were recorded by the descriptive observation method (Lee, 1998; Tak, 1997) to observe and record the process of their instruction as precisely as possible by using an instructional content analysis table; only learning contents were analyzed, except their words, symbols, the researcher's own experiences as a participant, and conversation with local members, in order to analyze instructional contents effectively. After analyzing data collected through this method and procedure, the results for teaching behaviors can first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ean of occurrence frequency (%) of instructional atmosphere factors, physical activities (A) made up the most part (81.3%), followed by listening learning activities (I) (14.1%), waiting (W) activities (4.20%), and instructional management (M) activities (.3%). Second, as for Pilates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s, joint activities with learners made up the most part (43.7%), followed by physical contact (23.1%) and guiding and lecturing activities (18.7%). On the other hand, correctional technique feedback formed 4.1%, followed instructional management (3.7%), supervising (1.9%), and encouraging activities (1.5%) while positive and negative behavior feedback was on the very low level. Third, as for interaction between a Pilates instructor and a learner, the entire learning interactive activities made up the most part (73.6%), followed by personal interactive activities (26.3%) and group interactive activities (.0%). Next,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struction consisted of warm-up, main exercise, modification, and cool-down, which varied by instructors: some instructors implemented it in the order of warm→up→ main exercise→warm→up and other instructors conducted it in the order of warm→up→main exercise→ modifications, without cool-down. Second, for warm-up instruction, Pilates instructors added stretching or yoga that they developed for themselves to relieve muscular tension and then entered warm-up instruction in some cases. Third, as for 10-session instruction, the same program was used for warm-up and cool-down while main exercise and modifications varied by sessions. Fourth, since the instruction was at the early stage for beginners with repetitive contents and thus could make members bored, such instruments as gimball, circle, band, and dumbbells were used to arouse their interest. Fifth, many kinds of music were used in Pilates instruction. Usually, Pilates instruction was implemented without music or in a quiet atmosphere. Several instructors provided characteristic Pilates instruction with different atmospheres of music.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lement Pilates instruction efficiently, it is necessary for an instructor to use the time for supervising, lecturing and structuralization of instructional management efficiently through sufficient instructional plans before instruction in consideration of properties of Pilates to allow learners to spend much time in task-based physical activities and to implement learning tasks clearly and accurately by providing the teaching clue of correctional technique feedback.

      • 필라테스 회원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전문성이 지도효율성 및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한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which can contribute the expertise of Pilates instructors and can occupy the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he improvement of expertise in the Pilates industry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Pilates instructor’s Expertise on teaching efficiency and re-enrollment Intention recognized by members of Pilates. This study selected the members who participate in Pilates program in Pilates center, commercial sports center and public author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373 questionnaires in total were distributed, 350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non-collected questionnaires and 23 questionnaires with the same answers. For th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it consists of 35 questions including 14 questions used in Seo & Kim(2012), Park & Lee(2013), Cho, Lee, & Yeo(2013) to measure the expertise of instructors, 8 questions used in Duda & Nicholls(1989), Seong(1995) to measure the teaching efficiency, 4 questions used in Lee(2005), Lim(2005) to measure the re-enrollment intention and 9 questions for demographic factors, all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e data processing, 22.0 Version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sub factors of instructor expertise in the order of instruction skills, practical skills, member management, emphasis on basic principles influence to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recognized among sub factors of teaching efficiency. Second, the sub factors of instructor expertise in the order of teaching skill, practical ability influence to the satisfaction recognized among sub factors of teaching efficiency. Third, the sub factors of instructor expertise in the order of practical ability, member management, teaching skill and emphasis on basic principles influence to the re-purchase intention which is sub factor of re-enrollment intention. Fourth, the sub factors of instructor expertise in the order of emphasis on basic principles, member management influence to the word of mouth intention which is the sub factor of re-enrollment intention. When put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gether, the expertise of Pilates instructor influences to the teaching efficiency and re-enrollment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is factor is very important. Accordingly, Pilates instructors should try to improve the expertise continuously in order to the teaching efficiency and the re-enrollment intention of members. In addition, if business operators encourage and support the participation to the various educations and training program of instructors, provide the venue in which the instructors can share the knowledge about teaching, it can bring more positive management achievement as well as the quality improvement of instru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회원이 지각하는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이 지도효율성과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 제고에 이바지하고 필라테스 산업 시장에 있어 지도자 전문성 제고를 통한 경쟁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필라테스 전문센터와 일반 휘트니스센터 및 공공기관에서 필라테스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회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373부를 배포하고 미 회수된 설문지와 일괄 응답 된 설문지 23부를 제외한 35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지도자의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해 서수진, 김영미(2012), 박문수, 이태용(2013), 최미영, 이창섭, 여정권 (2013)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14문항, 지도효율성은 Duda와 Nicholls(1989), 성창훈(1995)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8문항, 재등록의도는 이정아(2005)와 임현주(2005)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4문항, 인구통계학적 9문항 총 3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조사 도구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22.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지도자 전문성 하위 요인 중 지도기술, 실기 지식능력, 회원관리, 기본원리강조 순으로 지도효율성의 하위 요인 인지된 기능수행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 전문성 하위 요인 중 지도기술, 실기지식능력 순으로 지도효율성의 하위요인 인지된 지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 전문성 하위 요인 중 실기지식능력, 회원관리, 지도기술, 기본원리강조 순으로 재등록의도의 하위요인 재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 전문성 하위 요인 중 기본원리강조, 회원관리 순으로 재등록의도의 하위요인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은 지도효율성과 재등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필라테스 지도자들은 지도효율성과 회원들의 재등록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본인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자기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경영자는 필라테스 지도자들에게 다양한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를 독려·지원하고, 지도자들 간의 수업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의 장을 제공해준다면, 필라테스 지도자의 질적 수준 향상과 더불어 긍정적인 경영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 요가 및 필라테스 지도자 이미지가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수련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서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6

        국문초록 요가 및 필라테스 지도자 이미지가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수련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최 서 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능력 그리고 수련자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어떠한 상관성과 영향력이 있는지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요가 및 필라테스 수련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서울, 경기 및 대전지역의 요가, 필라테스 센터에서 운동을 하는 수련자를 대상으로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중 편의표집표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검수한 결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6부를 제외하고, 344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이미지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성별, 연령, 월 소득, 수련 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성별, 연령, 월 소득, 수련 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수련자의 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성별, 연령, 월 소득, 수련 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요가 및 필라테스 지도자의 이미지가 수련자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요가 및 필라테스 지도자의 이미지가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요가 및 필라테스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수련자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요가 및 필라테스 지도자의 이미지가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수련자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필라테스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참여자의 수업 만족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

        김영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431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수업만족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분석, 규명하는데 있다. 즉, 필라테스 참가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 수업만족, 심리적 웰빙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수업만족 및 심리적 웰빙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나아가 이들 변인간의 직간접적인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수도권의 필라테스 개인 스튜디오 이용 회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460명을 표집하였다.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388명이었다. 통계처리 방법은 SPSSWIN 25.0을 활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규명하기 위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T 검정 및 F 검정,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등의 기법이 활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정에 따른 리더십 유형, 수업만족, 심리적 웰빙은 차이가 있다. 즉, 연령, 운동의 목적, 참여경력 및 참여횟수에 따라 리더십유형은 차이가 있다. 성별과 참여경력 및 참여횟수에 따라 수업만족, 연령과 참여 목적과 참여횟수에 따른 심리적 웰빙은 차이가 있다. 둘째, 필라테스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리더십 유형의 하위요인 거래적 리더십은 수업만족의 하위요인 사회적 수업만족, 변혁적 리더십은 수업만족의 하위요인 교육적 수업 만족, 서번트적 리더십은 수업만족의 하위요인 신체적 수업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필라테스 지도자의 유형은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친다. 즉, 리더십 유형의 하위요인 거래적 리더십은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 삶의 목적, 변혁적 리더십은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 자아수용, 개인성장과 자율성, 긍정적인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필라테스 참여자의 수업만족은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친다. 즉, 필라테스 참여자의 수업만족의 하위요인 사회적 수업만족은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교육적 수업만족은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 자아수용, 개인성장과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필라테스 자도자의 리더십 유형은 심리적 웰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업만족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수업만족은 필라테스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type of Pilates leader and clas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urpos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leadership type, clas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ilates participan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 clas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analyze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Pilates private studio memb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population and sampled 460 people using convience sampling. Excluding non-response or insincere response data, the number of cas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388. As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o identify validity and reliability using SPSSWIN 25.0, T test and F tes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ere used.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leadership type, clas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specifications. In other words, leadership types differ according to age, purpose of exercise,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number of particip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s according to class satisfaction, age, purpose of participation, and number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gender,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number of participation. Second, it affects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adership type of Pilates leader. In other words, transactional leadership, a sub-factor of class satisfaction, social class satisfac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ducational class satisfaction, and servant leadership, a sub-factor of class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class satisfaction. Third, the type of Pilates leade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transactional leadership,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urpose of life, and transformative leadership,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lf-acceptance, individual growth and autonom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urth, the satisfaction of Pilates participants in class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Pilates participants' sub-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Social class satisfaction affect self-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urpose of life, and educational class satisfaction,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 growth and autonomy,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urpose of life. Fifth, Pilates self-help leadership type not only directly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indirectly through class satisfaction. In other words, class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ilates leader's leadership typ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필라테스 지도자의 라포형성이 참여자의 운동만족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류혜란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15

        본 연구는 필라테스 지도자의 라포형성이 참여자의 운동만족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22년 현재 서울, 경기, 인천, 경남 지역의 필라테스 센터 회원들 10대에서 50대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배포하였고 303명의 답변을 회수하여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79명의 설문 내용을 토대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7문항, 지도자와의 라포형성에 16문항, 운동만족도 11문항, 운동지속의사 4문항, 총 38문항으로 구성되어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 및 일원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라포형성의 차이에서 연령에 따른 라포형성은 20대가 가장 높았고, 필라테스 수업유형에 따른 라포형성은 개인레슨이 높았으며, 필라테스 실력에 따른 라포형성은 잘함이 가장 높았다. 둘째,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 및 지속 의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른 필라테스 만족도는 20대이하, 필라테스 수업유형에 따른 만족도는 개인레슨, 실력에 따른 필라테스 만족도는 잘함이 가장 높았다. 지속 의사의 차이를 보면, 연령에 따른 지속 의사는 20대 이하, 필라테스 참여 기간에 따른 지속 의사는 1년 이상이 높았고, 실력에 따른 지속 의사는 잘함이 가장 높았다. 셋째, 지도자의 라포형성이 필라테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라포형성은 필라테스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포 하위요인 중 지도자의 예의 바른 행동과 정보공유 행동이 필라테스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의 라포형성이 필라테스 지속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 라포형성은 필라테스 지속 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포 하위요인 중 정보공유 행동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도자와의 라포형성이 잘될수록 참여자의 필라테스 운동 만족도와 지속 의사가 높아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ilates instructor's rapport formation on participants' exercise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For this study, as of 2022,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nline to male and female Pilates center members in their teens to 50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Gyeongnam regions, and 303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279 responses were collected, excluding insincere answer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IBM SPSS 26.0 program.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consisted of 7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16 questions on rapport with the instructor, 11 questions on exercise satisfaction, and 4 questions on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for a total of 38 questions, measured on a 5-point Likert scal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n the difference in rapport 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rapport formation according to age was the highest in the 20s, private lessons were the highest in rapport formation according to Pilates class type, and rapport formation according to Pilates skills was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satisfaction with Pilates by age was 20s or younger, the satisfaction by Pilates class type was the highest with private lessons, and the satisfaction with Pilates by skill was the highest.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continuing intention, the continuing intention according to age was 20 years old or younger, the continu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Pilates participation period was higher than 1 year, and the continuing intention according to skill was the highest. Third, in the effect of the instructor's rapport formation on Pilates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rapport 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ilates satisfaction. appeared to be Fourth, in the effect of the instructor's rapport formation on the Pilates continuation intention, rapport form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ilates continuation intention, and among the rapport sub-factors,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rapport with the instructor, the higher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Pilates exercise an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 스포츠교육학 전공생의 석사과정 경험에 관한 자기연구

        손승원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199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ort pedagogy master experience from non-physical education major graduate student’s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study used a self study. Specifical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research notes, individual interviews, and related documents for two years.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ontent analysis, inductive and deductive coding procedure. For the trustworthiness of this study, triangulation, member checking, and expert meeting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irst semester(‘unfamiliar first encounter’) categorized from ‘together but thought differently’ and ‘entering to academic world.’ The second semester(‘boundary between unfamiliarity and familiarity)’ categorized from ‘being conscious of familiarity’ and ‘bridging theory and field through reflection.’ The third semester(‘tempering process’) categorized from ‘insufficient knowledge’ and ‘defender on the borderline.’ The fourth semester(‘patience to come out of egg shell’) categorized from ‘difficulty of academic writing’ and ‘belonging to the academic commun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sport pedagogy master experience of sport instructor who did not have physical education major background. This study implies that re-conceptualization of sport pedagogy need to be discussed from not only theoretical level but also sport field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스포츠지도자이면서 체육비전공자인 연구자 ‘나’의 스포츠교육학 전공 석사과정 경험을 들여다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연구를 활용했다. 구체적으로 자료수집은 2년간의 석사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자 ‘나’의 연구일지, 대학원생 동료 및 생활스포츠지도자 면담, 수업자료 등 관련 문헌이다. 자료분석은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코딩과 세그멘팅을 통해 영역을 분류하고 구조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상위범주, 중범주, 하위범주를 도출했다.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다각도 검증, 전문가 협의회, 구성원 간 검토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첫 번째 학기(‘낯선 첫 만남’)는 ‘동상이몽’과 ‘학문에 입문’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학기(‘낯설음과 익숙함의 경계’)는 ‘익숙함의 경계’와 ‘반성의 장(場)’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학기(‘담금질의 과정’)는 ‘설익은 앎’과 ‘경계선 위의 수비수’로 나타났다. 네 번째 학기(‘알을 깨는 시간’)는 ‘학문적 글쓰기의 어려움’과 ‘학문공동체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체육비전공자이면서 생활스포츠지도자인 ‘나’의 스포츠교육학 전공 석사과정 경험의 의미를 학문적 측면과 생활스포츠 현장 측면에서 논의했다. 본 연구를 통해 스포츠교육학의 재개념화가 이론적 수준뿐만 아니라 실천적 수준에서도 활발히 논의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남성 필라테스 지도자 되기 : 필라테스 남성 지도자가 겪는 역할 수행의 어려움과 극복 전략

        전형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1606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중심적인 문화가 지배적인 필라테스 환경에서 남성 지도자가 역할을 수행하며 겪는 어려움과 극복 전략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남성들이 지도자로서 잘 정착해 나갈 수 있는 환경과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유목적적 추출방식을 활용하여 해당 영역에 전문 능력을 확보하고 활발한 지도 활동을 하고 있는 남성 필라테스 지도자 8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과 문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석 및 해석 과정에서 구성원 간 검토 및 동료 연구자 협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가지의 문화와 3가지의 어려움 및 3가지의 극복 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남성 지도자들이 그동안 지도자로서의 경험하게 되는 문화는 ‘필라테스는 여성의 운동’, ‘여성의 그룹 문화’로 나타났으며, 남성 지도자들이 그동안 지도자로서의 역할 수행하며 겪은 어려움으로는 ‘여성 중심의 근무 환경’, ‘여성 지도자 선호’, ‘여성 회원과의 거리 두기’로 나타났으며 앞서 열거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여성의 니즈 파악’, ‘맨즈 필라테스로의 목적 인식 전환’, ‘여성 지도자와의 협업’이 도출되었다. 필라테스는 양성의 기대 역할이 다르며, 서로의 차이점을 인정하고 협력하는 과정을 통해 시너지를 도출하는 종목이기에 남성 지도자들이 여성 중심의 필라테스 문화에서 남성 지도자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남성 지도자 개인은 물론 필라테스 종목 전반에 걸쳐서 개혁을 단행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남성 지도자 본인의 역량 계발을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남성 지도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양성평등적인 교육 환경을 지향하도록 구조적인 변화 또한 시행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필라테스 남성 지도자, 극복 전략, 역할 수행의 어려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the environment and plan for male to settle down as a instructor understanding their difficulty by grasping the difficulty of male instructor executing the role under the Pilates environment which female centering culture is dominant and the overcome strategy. Eight male Pilates instructors securing professional ability in relevant area and having active instruct activity are selected as participant using purposeful extraction method for the study and analyzed collecting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s wit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Review between members and fellow researchers discussion is execute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to secure the integrity of data. Based on the result of this, two cultures, three difficulties and three overcome strategy are drawn. The cultures male instructors experienced as an instructor in the meantime are shown as ‘Pilates is female exercise’ and ‘female group culture’, and the difficulties male instructors experienced executing the role as an instructor in the meantime are shown as ‘female centered work environment’, ‘prefer female instructor’, and ‘distancing with female member’, and ‘understanding the needs of female’, ‘convert purpose awareness as men’ Pilates’, and ‘cooperate with female instructor’ are drawn as the strateg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listed before. It is important to solve social structural problem to positioning male instructors as male instructor under female centered Pilates culture because the expected role of each gender is different and Pilates is an exercise can draw synergy through the process recognize the difference of each other and cooperate, and it can be a driving force to execute the innovation on overall Pilates as well as personal male instructor. So, the recognition for male instructor in overall society as well as the effort to develop own ability of male instructor should be improved and structural change to pursue gender equity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be execu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