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폭력을 경험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극복력과 조직지원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슬기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문 개요 본 연구는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극복력과 조직지원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극복력과 조직지원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여,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고 양질의 간호사를 지속적으로 보유하여 환자 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소재 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최근 1년 이내 환자, 보호자, 의사, 간호사, 기타 인력에게 폭력(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신체적 폭력)을 1회 이상 경험한 간호사 117명으로 2021년 8월 18일부터 10월 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Scheffe'-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 나이는 29.88±6.21세이었고, 20대가 80명(68.4%), 여성이 104명(88.9%), 학사 이하가 97명(82.9%), 종교 없음이 88명(75.2%), 미혼이 88명(75.2%)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6.81±6.34년이었고, 2-4년이 39명(33.3%)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일반간호사 97명(82.9%), 내과계 32명(27.4%), 3교대 99명(84.6%), 경력개발단계 KCNⅠ 47명(40.2%)으로 가장 많았다. 폭력 경험은 언어적 폭력 평균 2.12±0.58점으로 117명(100%) 모두가 경험하였으며, 신체적 위협 1.65±0.49점으로 114명(97.4%), 신체적 폭력 1.15±0.17점으로 80명(68.4%)이 경험하였다. 모든 폭력 유형에서 가해자는 환자가 평균 2.41±0.79점으로 111명(94.9%), 보호자 1.94±0.66점으로 108명(92.3%), 의사 1.51±0.42점으로 101명(86.3%), 간호사 1.29±0.41점으로 70명(59.8%), 기타인력 1.07±0.19점으로 25명(21.4%)순이었다. 2) 대상자들의 극복력은 평균 3.76±0.48점(5점 만점)이었고, 조직지원인식은 4.05±0.90점(7점 만점), 이직의도는 3.54±0.65점(5점 만점)이었다. 대상자들의 이직의도를 문항별로 살펴본 결과, ‘업무에 비해 월급이 낮다.’ 4.3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본 병원에 근무하면서 다른 직종으로 옮기려고 실제로 노력한 적이 있다.’ 2.8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이직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결혼여부(t=–2.41, p=.018), 현 근무부서(F=3.83, p=.003), 총 임상경력(F=2.64, p=.027), 근무유형(t=–3.60, p<.001)이었다. 4) 극복력, 조직지원인식, 이직의도에 대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직의도는 극복력(r=-.44, p<.001), 조직지원인식(r=-.6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극복력과 조직지원인식은 양적(+) 상관관계(r=.46, p<.001)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5)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들(결혼여부, 현 근무부서, 총 임상경력, 근무유형)과 극복력, 조직지원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9.23, p<.001), 폭력을 경험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지원인식(β=-.33, p<.001)이었으며, 다음으로는 극복력(β=-.28, p=.040)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정된 결정계수로 나타난 이직의도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0%(Adj. R2=.30)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의 극복력과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한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고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한 조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극복력과 조직지원인식을 높이기 위한 간호사의 요구도 파악과 업무분장,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Impacts of Resilien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in Tertiary Hospital Nurses who Experienced Violence Lee, Seulki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Graduate School of Nursing Su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ising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by identifying the impacts of resilien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who experienced violence, affirming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nurses who experienced violence and turnover intention, and reducing nurses’ turnover intention and retaining qualified nurses continuously.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ith convenient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at a tertiary hospital from 117 nurses who experienced violence within one year from August 18 to October 1,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6.0 Statistical Program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Scheffe'-test.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es: 1.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29.88±6.21 years old. There were 80 (68.4%) nurses in their 20s, 104 (88.9%) females, 97 (82.9%) nurses who graduated from a bachelor’s degree or less, 88 (75.2%) nurses who had no religion, and 88 (75.2%) nurses who didn’t married. Total clinical career was 6.81±6.34 years on average and 2-4 years appeared the highest (39 nurses, 33.3%). In addition, there were 97 (82.9%) general nurses, 32 (27.4%) nurses working 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99 (84.6%) nurses who were working in three shifts, and 47 (40.2%) nurses who were in the career development stage of KCNⅠ. Verbal violence was scored at 2.12±0.58 points on average and experienced by all 117 (100%) nurses; physical threat was scored at 1.65±0.49 points and experienced by 114 (97.4%) nurses; and physical violence was scored at 1.15±0.17 points and experienced by 80 (68.4%) nurses. In terms of the perpetrator in all violence types, patient was scored at 2.41±0.79 points on average (111 patients, 94.9%), caregiver was scored at 1.94±0.66 points (108 caregiver, 92.3%), doctor was scored at 1.51±0.42 points (101 doctors, 86.3%), nurse was scored at 1.29±0.41 points (70 nurses, 59.8%), and others was scored at 1.07±0.19 points (25 others, 21.4%). 2. Resilience was scored at 3.76±0.48 points on averag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4.05±0.90 points, and turnover intention 3.54±0.65 points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turnover intention by item, ‘lower salary compared to duty’ appeared the highest at 4.36 points and ‘I’ve tried to move to other jobs while working at this hospital’ was the lowest at 2.81 points. 3.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include marital status (t=–2.41, p=.018), present working department (F=3.83, p=.003), total clinical career (F=2.64, p=.027), and working type (t=–3.60, p<.001).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urnover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44, p<.001)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r=-.63, p<.001). Resilien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r=.46, p<.00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variabl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marital status, present working department, total clinical career, and working type), resilien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β=-.28, p=.040)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β=-.33, p<.001). Overall, approximately 30% of the variability in turnover intention was explained by the six variables in this study (Adj. R2=.30, F=9.23, p<.0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came in nurses who experienced violence, the less the turnover intention wa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duce nurses’ turnover intention and increase retention inten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Nurses’ demand should be figured out and division of works and adequate compensation should be given to increase resilien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폭력을 경험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예측모형

        장문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Roy의 적응 모델을 기반으로 폭력을 경험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검정한 공분산 구조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은 즉각적 행위 변화를 일으키는 초점 자극으로, 초점자극에 대한 네 가지 적응모드는 신체생리적 반응,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공감만족으로 설정하였으며, 부적응 반응은 소진으로 개념화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월 11일부터 2월 29일까지 B 광역시에 소재하는 지역응급의료기관 이상의 21개 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근무 중 적어도 6개월 이내에 폭력 경험이 있는 간호사 26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모델적합도 지수는 GFI=.91, RMR=.04, CFI=.91로 적합하였지만, /df=3.53, AGFI=.84, RMSEA=.10, NFI=.88, TLI=.87로 권장수준에 미치지 못해 가설적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지수(MI)를 이용하여 내생 잠재변수의 오차항을 연결하여 모형을 수정한 결과, /df=2.61, GFI=.93, AGFI=.88, RMR=.04, RMSEA=.08, NFI=.92, TLI=.92, CIF=.95로 모든 적합도 지수가 권장수준을 충족하여 수정한 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2)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은 신체생리적 반응과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명력은 각각 6%와 13%이었다. 자아존중감에 영향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폭력경험 순으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9%이었다. 공감만족에 영향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폭력경험 순으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7%이었다. 소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은 공감만족, 폭력경험, 자아존중감과 신체생리적 반응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95%이었다. 3)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은 신체생리적 반응,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공감만족에 직접효과가 있었고, 폭력경험, 신체생리적 반응, 자아존중감과 공감만족은 소진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폭력경험은 공감만족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소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직접효과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소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공감만족에 직접효과와 공감만족을 매개로 소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만족이며, 신체생리적 반응, 공감만족과 자아존중감은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측면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폭력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고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만족과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체계의 강화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소진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아동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중년남성의 자아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순란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아동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중년남성의 자아인식에 대해 현상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중년남성은 가정폭력의 주 가해자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1997년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가정폭력법) 이전 아동기를 보낸 중년남성이 경험한 아동기 가정폭력 경험이 주 가해자로 나타난 현상에 대해 폭력을 바라보는 자아인식에서 오는 다른 이면을 갖고 있는 현상은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가정폭력법에서 추구하는 가정회복의 관점에 피해자를 지원하는 것은 주 가해자를 이해하고 함께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로는 40~60대를 중년으로 정의하고 가정폭력으로 법원 상담위탁 처분자 3인과 가정폭력 경험이 있고 가정 문제를 겪은 2인,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4인으로 중년남성 9명을 선정했다. 연구 방법은 Amedeo Giorgi의 ‘심리학적 현상학’이다. ‘심리학적 현상학’은 연구 참여자의 심리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체험 본질구조에 중점을 둔 ‘반성과 자유 변경의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Giorgi의 심리학적 현상학은 연구 참여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심리적인 부분을 잘 나타내고 현상과 이면을 함께 연구하기에 적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자료수집은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8월30일까지 약 8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접자료, 상담일지, 메모 등 보조적 참여 관찰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가 제시한 4단계의 심리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질적 분석의 절차를 따랐다. 연구 결과로는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Giorgi가 제시한 4단계의 분석 절차 방법에 따라서, 5개의 범주에 13개의 의미구성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13개의 의미구성 요소에는 56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56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는 203개의 의미단위로 세분화하였다. 첫 번째의 범주로 중년남성이 갖는 폭력경험 인식으로 ‘폭력경험은 어떻게 인식되어 있는가?’에는 3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15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이며, 아동기 폭력경험 인식은 중년남성에게 부정적 기억으로 인식되어 있다. 이로인해 자신이 생활하는 일상에 내재 된 두려움으로 나타나기도 하였고 어른인 척 행동해야 했다. 폭력경험의 대부분은 신체폭력 경험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가정 내에서 폭력이 일어날 때 도움받을 수 있거나 중단할 수 있는 법적인 제재가 없었다. 두 번째 범주는 중년남성이 갖는 폭력인식에서 습득된 폭력은 어떠한 현상을 갖는가로 ‘폭력의 습득이 주는 폭력 현상’이다. 여기에 포함된 현상으로 3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10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이며, 자신 또한 일상적인 폭력을 하였고 강압적인 눈짓이나 자신보다 약자인 아내나 자녀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범주로는 중년남성은 어떠한 눈으로 바라보는가의 과정으로 ‘폭력을 바라보는 시선’이며, 여기에는 3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13개인 하위 의미구성 요소이다. 중년남성은 폭력에 대해 회피로 대응하는 모습과 술 탓이라 말하고, 자신 또한 피해자로 바라보았다. 가족에게는 친밀한 관계에서 아내와 자식을 가르치기 위한 훈계라고 생각하고 욱하는 성질과 남자는 원래 말보다는 행동하는 것이 남자다움이라고 표현하였다. 네 번째 범주는 중년이 되어 자신을 바라보는 ‘자신에 대한 애착’ 과정으로 2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8개의 하위 의미구성 요소이다. 중년이 되니 자신에 대해 새롭게 인식되어지는 것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어릴 적 자신을 때리던 아버지도 이해가 되고 또한, 자신도 가족을 힘들게 한 것에 후회가 되었다. 좀 더 능력 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지만 자신 또한 어릴 적 폭력경험으로 자신감 없이 살아왔고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호소한다. 마지막 범주인 다섯 번째는 중년남성은 어떤 삶의 인식을 갖고 살아가는가로 ‘자신에 대한 성찰’이다. 여기에는 2개의 의미구성 요소와 10개 하위의미구성 요소로 중년이 되었지만 ‘아빠’라고 부를 수 있었던 사람이 있었고 자신을 ‘아빠’라고 불러주는 가족이 생겼다. 인정받고 싶었고 일에 몰두하다 보니 가족을 소홀하게 되어 가족과의 추억도 많지 않다. 혼자 남겨지게 되는 것은 아닌지 두렵고 외롭다. 관계 맺는 데에 어려움을 가지고 살아왔기에 이제는 혼자서 자유롭게 살고 싶은 욕구도 있다. 그렇지만 역시나 가족과 집밥 먹으면서 사는 소소한 일상을 살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중년남성이 갖는 자아인식을 심리적 현상학으로 분석함으로써 주 가해자인 중년남성의 관점을 공감적으로 기술하였다. 둘째, 가정폭력법이 제정되기 전 아동기를 보낸 중년남성의 아동기 가정폭력 경험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셋째, 가정폭력 주 가해자인 중년남성 또한 주 가해자이면서 보호받지 못한 아동기 폭력피해자임을 제시하였다. 넷째, 가정회복을 위한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함께 주 가해자를 보다 공감적으로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이 병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가해자인 중년남성의 심리와 가정폭력 본질의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자기이해를 통해 중년남성이 치유적 경험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혔다. 여섯째, 가정회복을 위한 가족구성원 모두의 치유는 불가분의 관계로 사회적 접근과 함께 종교적, 철학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가정이 폭력으로부터 회복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사회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 가정폭력노출경험이 청소년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태자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solution for the children to adapt themselves to home by examining the impacts onto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youths based on the level of exposition to parental violence at home. To do that, the domestic violence was divided into conjugal violence and children violence according to the inflicted type of victim. This violence was again divided into depression, attack, problematic behavior, and social dwarfing by the experience level. The systemiz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le and female students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the City of Gumi and 316 sheets were collected from them to observe their maladjusted behavioral pattern. In order to see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violence on to the maladjusted juvenile behaviors, the correl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o find out the exposed experience level and maladjusted behavior level of the youth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against the students.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review the exposed experience to conjugal violence, the exposed experience to violence inflicted to the children, and the maladjusted behaviors for the youths as survey subjec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lso to see the influence on the inappropriate behaviors by experience in exposure to such domestic violence, the regression analysis was followed up.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in brief about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verbal violence appeared more commonly than the physical violence in the husband and wife violence. In the violence on to the children, the verbal violence was indicated more common, also. Second, in the maladjusted behaviors, the depression was shown with more common frequency than any other type of maladjusted behavior and then others appeared in the frequency order of problematic behavior, social dwarfing, and attack. Third, as the conjugal violence occurred highly, the children violence showed up from the correlative analysis. The higher the exposure experience to verbal violence, the higher the maladjusted behavior took place. Fourth, as to the influence on depression due to the domestic violence exposure, it had a positive significance of influence when the verbal violence and abuse were severe.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judged that the domestic violence has a great influence to the maladjusted behaviors on the part of youths,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leading role in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outputs, the following could be solutions to assist their better adaption for the purpose to resume or recover the deteriorated capability by way of comprehending what difficulty lies in before them and how serious level exists in those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domestic violence. First, the school social worker, who has the most frequent contact with the juveniles at the site of school and also is easy to have contact the juveniles, needs to intervene in them with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in a timely manner. To prevent and solve the juvenile problem,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ystemization of welfare and activation for the school society. Second, the related social bodies and identities should give notice about the seriousness of domestic violence as a social issue, deal with preventive measures more positively, and provide the support to the juveniles under domestic violence more practically. Third, though it may be true that aggressive activities are being performed recently in almost each local government with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established under the execution of law, various programs lecturing courses on a regular base should be opened and operated to foster the healthy family culture above all with a goal to preclude the disintegration of family and make a healthy family through supporting the identification establishment for whole family members and enhancing the consciousness. Lastly, the domestic violence is not confined to the household that matters but related to the juvenile problem in the society, and for this reason, this should not be left unatended. For this problem, the government authorities have to get involved in this positively and refresh this with a renewed mind-set among the people in the nation. To solve this seriousness, the intrinsic approach to domestic problems should be done, the increase in interactive and communicative time is a must, domestic value should be settled down based on the honor of intertwined responsibilities and personaities inside the family. To get it realized, the anti-violence organizations and civil groups for the youths need to set up the mentor-mentee sisterhood relationship for the alienated youths due to the domestic violence, which eventually gives the warmth and care to them. They also show the sound social model to them by designating the mentor for substitution of vacant parentship for their proper progres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and substantial social work system in place for the youths. 본 연구는 가정폭력가정 자녀의 부모에 의한 폭력경험 정도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자녀의 적응을 돕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정폭력을 유형별로 부부폭력과 자녀폭력으로 나누었고, 가정폭력의 경험 정도에 따라 우울, 공격성, 문제행동, 사회적 위축으로 나누었고,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미시 소재 남녀 중 ㆍ 고등학교 316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정폭력노출경험이 청소년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 정도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의 수준이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부폭력 노출경험, 자녀폭력 노출경험, 부적응행동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폭력에서는 신체폭력보다 언어폭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폭력에서도 언어학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해서는 우울이 다른 부적응행동보다 높게 나타났고, 문제행동, 사회적 위축, 공격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폭력이 높을수록 자녀폭력이 높아짐을 상관분석을 통해 나타났고, 언어폭력 노출경험과 신체폭력경험이 높을수록 부적응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언어폭력과 언어학대가 높을수록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이 다음세대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에게 부적응 행동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을 경험한 자녀의 적응수준의 어려움이 무엇이며, 어느 정도 심각한지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손상된 능력의 향상이나 회복에 목적을 두고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의 학교 사회복지 사는 청소년을 가장 관찰하기 쉽고 가정폭력 노출경험 청소년에게 조기개입을 하여야 하고 학생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제도화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관련사회단체들은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알려 사회문제로 이슈화 하고 가정폭력 예방 활동을 보다 적극화 하여 가정폭력 청소년에 대한 지원을 더욱 내실화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건강가정지원센터가 개소되어 법 제도 하에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가족 구성원 전체의 정체확립을 돕고 의식을 개혁하여 가정파탄을 예방하고 건강한 가정을 만든다는 목표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기 강좌를 설치․운영하여 건강한 가족 문화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정폭력은 해당가정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바로 청소년 사회의 문제로 연계되기 때문에 가정폭력을 방관할 수 없고 이에 관하여 국가가 적극 개입함으로써 가정폭력에 대한 국민들의 문제의식을 새로이 할 필요가 있고,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요 한 것은 가정 내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파악하여 가족 간에 상호작용과 대화시간을 늘리고 가족간 책임과 인격의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가정관의 정착을 위해 가정폭력 관련기관 및 청소년 민간단체는 가정폭력으로 소외된 청소년들의 멘 토-멘 티 결연을 적극 추진하여 가정폭력 노출경험 청소년들에게 따뜻한 관심과 사랑을 쏟아주고 부모의 빈자리 역할에 멘 토 지정 하여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사회인의 본을 보여주며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며,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청소년사회사업제도의 정착화가 필요하다 하겠다.

      •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경험에 대한 조사연구

        조이현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들의 직장 내 폭력경험실태를 파악하고, 폭력 발생 시 대처, 폭력예방에 대한 인식도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된 기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3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209명의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로 2017년 3월 8일부터 3월 2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경험 특성으로 최근 1년간 발생한 폭력경험 중 유형별로 언어적 폭력 92.8%, 심리적 위협 65.6%, 신체적 폭력에서는 37.8%, 의사의 치료가 필요한 정도의 심각한 신체적 폭력에서는 4.8%, 성희롱은 26.8%에서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폭력 유형에 따른 위험정도에서는 언어적 폭력, 심리적 위협, 신체적 폭력, 성희롱, 심각한 신체적 폭력 순으로 조사되었다. 폭력 가해자는 환자, 보호자, 의사, 간호사,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경험에서 언어적 폭력은 성별, 연령, 현 부서경력, 현 근무부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응급실은 모든 근무부서 중 폭력경험이 가장 높은 곳으로 나타났다. 셋째, 폭력발생 원인 및 상황에서는 가해자가 환자일 경우‘질병과 관련된 고통을 화풀이함’이 가장 높았고, 보호자일 경우‘의료서비스에 대한 불만’, 의사일 경우‘의사소통의 오해’, 간호사일 경우‘나의 실수로 의료사고가 발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폭력경험 후 대처 및 반응에서는 ‘대화를 통해 상대방을 진정시키려고 노력함’이 187명(89.5%), 표준편차 3.25±1.45로 가장 높은 대처 및 반응으로 나타났다. 대처문항 중 정서중심 대처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2.77±1.05(Cronbach´α .902), 문제중심 대처에서 1.06±.54 (Cronbach´α .926)로 나타났다. 다섯째, 폭력예방 및 대처방안 인식도 조사에서‘직원 간에 존중하고 개방적인 대화 및 협조하는 분위기를 조성 한다’가 62.2%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간호사들은 환자로부터 언어적 폭력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폭력의 원인으로는 간호사가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요인이 많아 의료서비스 개선에 기관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며, 폭력경험 후 대처에서는 정서 중심 대처가 문제 중심 대처보다 높았다. 폭력예방 및 대처방안으로 직원 간 존중하고 협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의료기관의 시설과 시스템의 개선 및 법적대응 강화, 수준 높은 폭력예방교육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 가정폭력 목격 및 경험과 학교폭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임희복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정은 인간의 성격과 행동패턴을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기관인데도 불구하고 부모에게 학대받은 학생들은 부모의 폭력행동을 모방하거나 학대로 인한 자신의 분노를 풀기 위해 반사회적 행동이나 폭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학생의 문제 행동은 학대경험의 부정적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폭력비행이나 폭력범죄 학생들의 대부분은 성장과정에서 학대받은 학생으로 밝혀져서 아동학대와 학생폭력과는 높은 인과관계가 있다고 설명 할 수 있다. 따라서 폭력적인 가정에서 성장하고 있는 아동이 지니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는 각종 내전 및 전쟁중의 아동이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보다 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목격 및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경험적 탐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접근방법을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검증 하고자 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어린 시절 가정폭력의 목격 및 경험과 학교폭력의 실태는 어떤 수준인가? 둘째, 어린 시절 가정폭력의 목격 및 경험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 또는 피해행동에 어떤 관계에 있는가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각 변수간 기술적 분석, 가정폭력 목격 및 경험 정도와 학교폭력과의 관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가정폭력 목격의 경우 목격한 경험이 높을수록 학교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 경험에 따른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에 대한 결과는 가정폭력의 하위영역별 폭력 중 방임적 폭력, 성적 폭력의 경험이 클수록 학교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적 폭력 경험이 클수록 학교폭력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폭력 가해자·피해자에 대한 접근은 가정폭력의 희생자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된다고 볼 수 있겠다. 무엇보다도 학교폭력 해결을 위해서는 중요한 것은 가정 내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먼저 보완하여 가정 내에서 대화시간을 늘리고, 아동의 자긍심을 확대시켜 주기 위한 가정 환경적 대책 마련과 학교현장 내에서의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을 해야 한다. 학교현장 내에 학교상담교사제도의 내실 있는 운영, 학교사회사업제도의 정착화가 필요하다 하겠다.

      •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폭력반응 및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경은 공주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violence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nd the effect of violence reaction and resilience on nursing work performance. The study subjects were 190 nurses who have at least 6 months of working experiences in Regional medical institutions and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located in C province, G province, and 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0 to September 18, 2020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survey to measure general characteristics, experience of violence, response to violence, resilience, and performance of nursing wor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5.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experience of violence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as 2.04 (±0.73) out of 5, the average of violence response was 2.71 (±0.79) out of 5, the average of resilience was 3.62 (±0.79) out of 5, and the average of nursing work performance was 3.72 (±0.54) out of 5.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violence experience were found by age (F=3.18, p=.044), total Clinical Career (F=3.35, p=.011)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department (F=8.10, p<.001)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3.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violence response were found by gender (t=2.54, p=.012), age (F=5.85, p=.003), total clinical career (F=5.77, p<.001), emergency department work experience (F=6.00, p<.001) and experience of turnover due to violence (t=3.93, p<.001)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4.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resilience were found by martial state (t=-2.61, p=.010), total clinical career (F=3.19, p=.015) and emergency department work satisfaction (F=7.16), p<.001)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nursing work performance by age (F=14.22, p<.001) martial state (t=-4.17, p<.001), final education (F=4.07, p=.018), total clinical career (F=7.69, p<.001), emergency department work experience (F=4.97, p=.001), job position (F=8.64, p<.001), emergency department work satisfaction (F=5.38, p<.001) and types of emergency department (t=2.15, p=.032)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6.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which is between violence experience and resilience(r=.62, p<.001), between nursing work performance and violence response (r=20, p=.004). 7. Influencing factors upon nurse work performanc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ere resilience (β=.55, p<.001), violence response(β=.15, p=.008), emergency department work experience over 10 years (β=.20, p=.017).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49%(F=8.98, p<.001) on nurse work performance. In conclusion, it is observed that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on the nurse work performance were violence response, resilience, and emergency department work experience over 10 years. Henc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and to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in hospital working sites where they can express and manage violence response, and especially to manage a work environment where nurses can work for more than 10 years and empowerment, in order to enhance work performanc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In addition, contents dealing with prevention and coping drill of violence within hospital should be included to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course and reflected to the curriculum, so that they can be trained in advance. Key words: violence experience, violence response, resilience, nurse work performance, emergency department nurse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폭력반응 및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C도에 위치한 지역응급의료기관 2개소, 지역응급의료센터 5개소, G도에 위치한 지역응급의료기관 1개소, 지역응급의료센터 3개소, K도에 위치한 지역응급의료센터 1개소 등 12개소 응급의료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90명이었다. 자료는 일반적 특성, 폭력경험, 폭력반응, 회복탄력성, 간호업무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0년 9월 10일부터 9월 18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은 5점 -ⅰ- 만점 중 평균평점 2.04(±0.73)점, 폭력반응은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2.71(±0.79)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3.62(±0.79)점, 간호업무성과는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3.72(±0.54)점이었다. 2.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경험은 연령(F=3.18, p=.044), 총 임상경력(F=3.35, p=.011), 응급실 근무만족도(F=8.1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반응은 성별(t=2.54, p=.012), 연령(F=5.85, p=.003), 총 임상경력(F=5.77, p<.001), 응급실 근무경력(F=6.00, p<.001), 폭력으로 인한 이직경험(t=3.9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결혼상태(t=-2.61, p=.010), 총 임상경력(F=3.19, p=.015), 응급실 근무만족도(F=7.16,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연령(F=14.22, p<.001), 결혼상태(t=-4.17, p<.001), 최종학력(F=4.07, p=.018), 총 임상경력(F=7.69, p<.001), 응급실 근무경력(F=4.97, p=.001), 직위(F=8.64, p<.001), 응급실 근무만족도(F=5.38, p<.001), 응급실 유형(t=2.15, p=.03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6.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 폭력반응 및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간호업무성과와 회복탄력성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r=.62, p<.001), 간호업무성과와 폭력반응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20, p=.004). -ⅱ- 7.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회복탄력성(β=.55, p<.001), 폭력반응(β=.15, p=.008), 10년 이상의 응급실 근무경력(β=.20, p=.017)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이 간호업무성과의 영향 변인에 대한 설명력은 49%이었다(F=8.98, p<.001). 결론적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는 폭력반응, 회복탄력성, 10년 이상의 응급실 근무경력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고, 폭력반응을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는 병원 실무 현장에서의 교육 및 훈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고, 특히 간호사가 10년 이상 근무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임파워먼트를 적극 도모해야할 것이다. 또한 병원 폭력발생 예방 및 대처와 관련된 내용이 학부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에 포함시켜 미리 훈련되도록 교육과정에 반영이 요구된다. 주요어: 폭력경험, 폭력반응, 회복탄력성, 간호업무성과, 응급실 간호사

      • 간호사의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연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과 재직의도를 조사하고,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재직의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였다. 자료는 J도에 소재한 2개의 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중 설문에 동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230부가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구대상자는 모두 여성이었으며, 연령은 29세 이하가 47.8%로 가장 많았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63.9%로 많았으며,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70.0%로 가장 많았다. 임상경력은 10년 이상이 32.6%로 가장 많았고, 현 부서 근무기간은 1∼3년 미만이 49.1%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0.4%로 많았고, 근무부서는 병동이 65.2%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가 84.8%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상자의 폭력경험은 평균 15.16±13.44점이었고, 하위영역은 언어적 폭력 5.32±4.37점, 신체적 위협 4.73±4.94점, 신체적 폭력은 5.11±6.80점이었다. 회복탄력성은 평균 3.29±0.51점이었고, 하위영역은 강인성 3.11±0.61점, 지속성 3.42±0.54점, 낙관성 3.26±0.69점, 지지력 4.02±0.61점, 영성 2.85±0.74점이었다. 조직몰입은 평균 2.91±0.55점이었고, 하위영역은 사명감 3.03±0.62점, 자긍심 2.88±0.69점, 재직욕구 2.75±0.73점이었다. 재직의도는 평균 5.17±1.34점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경험의 차이는 결혼여부(p=.033), 임상경력(p=.001), 현 부서 근무기간(p<.001), 직위(p=.014), 근무부서( p=.005), 근무형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는 현 부서 근무기간( p=.024), 직위(p=.003), 근무형태(p=.02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는 연령(p=.002), 결혼여부(p=.003), 임상경력(p<.001), 현 부서 근무기간(p=.005), 직위( p<.001), 근무형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의 차이는 연령(p=.002), 결혼여부(p<.001), 학력(p=.007), 임상경력(p=.026), 직위(p=.001), 근무형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대상자의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 재직의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재직의도는 폭력경험(r=-.16, p=.014)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복탄력성(r=.40, p<.001), 조직몰입(r=.4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덟째,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변수들의 재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9.4%로 나타났다. 학력(β=0.14, p=.014), 근무형태(β=0.14, p=.041)와 회복탄력성(β=0.17, p=.005), 조직몰입(β=0.40, p<.001)이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학력, 근무형태, 회복탄력성, 조직몰입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재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규명이 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멘토링 및 코칭프로그램, 회복탄력성 강화교육의 제공, 상사의 지지, 간호인력관리 및 역량강화교육 등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i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violence experience, resilienc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intention to stay at work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nurses' intention to stay at work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ir intention to stay at work.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the institution to which the researcher belongs. For the dat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2021 to August 31, 2021 for those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at two hospitals located in J‐province, who agreed to the questionnaire, 230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ver. 25.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ll subjects were female, and the age of the subjects was 29 years or younger, which consist of 47.8%, the most. As for marital status, 63.9% were single, and as for education, university graduates accounted for the most at 70.0%.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as the most at 32.6%, and those who worked in the current department for less than 1 to 3 years accounted for the most at 49.1%. As for the position, the majority was general nurses (90.4%), and in terms of work department, the ward accounted for the most at 65.2%, and as for the type of work, three‐shift work was the most common at 84.8%. Second, the subjects’ violence experience averaged 15.16±13.44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verbal violence 5.32±4.37 points, physical threat 4.73±4.94 points, and physical violence 5.11±6.80 points. The average resilience score was 3.29±0.51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tenacity 3.11±0.61 points, persistence 3.42±0.54 points, optimism 3.26±0.69 points, support 4.02±0.61 points, and spirituality 2.85±0.74 points. The average organization commitment score was 2.91±0.55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a sense of mission 3.03±0.62 points, self‐esteem 2.88±0.69 points, and desire to work 2.75±0.73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was 5.17±1.34 points. Third, as for the differences in violenc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p=.033), clinical experience (p=.001), current department working period (p<.001), position (p=.014), and working department. (p=.005), and work type (p<.001). Fourth, as for the differences in resilience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rrent department working period (p=.024), position (p=.003), and work type (p=.025). Fifth, as for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 commi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2), marital status (p=.003), clinical experience (p<.001), current department working period (p=.005), position (p<.001), and work type (p<.001). Sixth, as for the differences in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2), marital status (p<.001), education (p=.007), clinical experience (p=.026), position (p=.001) and work type (p<.001). Seventh,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violence experience, resilienc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the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violence experience (r= ‐.16, p=.014),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r=.40, p<.001) and organization commitment(r=.49, p<.001). Eighth,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intention to stay at work, the explanatory power of all variables fo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was found to be 39.4%. It was found that education (β=0.14, p=.014), work type (β=0.14, p=.041) and resilience (β=0.17, p=.005), and organization commitment (β=0.40, p<.001)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Conclusio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dictive variables affecting nurses’ intention to stay at work were found to be education, work type, resilience,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the organization commitment, the higher the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Therefore, to increase nurse's intention to stay at work, it is necessary to have mentoring, coaching program, provision of resilience strengthening education, supervisor's support, nursing manpower management and competency strengthening education.

      • 특성화고 여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의 가해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친구관계 질의 조절효과

        전혜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bjectivity of this study is to verify control effect of quality in relationship with friends regarding the effect experience in family violence of girl students attending a specialized high school have on a harmful and injury act of school violence and to provide foundation of a variety of treatment programs and prevent family and school violence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placed emphasis on the experience of the students exposed to fighting parents or violence at home and was carried out in the field such as bodily assault, extortion, threat, curse, intemperate language, harassment, compulsion, and bullying in a harmful and injury act of school violence.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positive quality in relationship with friends caused the students exposed to family violence to reduce a harmful and injury act of school violence.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girl students attending a specialized high school in Incheon. Survey method is that after a questionnaire is distributed, description will be given and data will be collected through the form of self recording typ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wit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 19.0. As a result of this, students who have a history of child abuse have been found to be susceptible to a harmful and injury act of school violence. However, positive quality in relationship with friends helped a harmful and injury act of school violence decrease dramatically and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t. This study is an important attempt in terms of providing foundation of various solution pla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 harmful and injury act of school violence by verifying the fact that positive quality in relationship with friends plays an important mediational role in the effect experience in family violence have on a harmful and injury act of school violence 본 연구는 특성화고 여학생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가해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구관계 질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폭력과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과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의 근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폭력에의 노출경험과 실제로 부모에게 학대를 받은 경험으로 가정폭력경험을, 신체폭행, 물건 갈취, 위협, 협박, 욕설, 폭언, 괴롭힘 및 강제행동 시키기, 집단따돌림 영역으로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피해행동을 정의하고 첫째, 특성화고 학생의 가정폭력 경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친구 관계의 질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특성화고 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구관계의 질이 조절 효과를 갖는가? 와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천에 위치한 1개 특성화 고등학교 여학생 200명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설문요령을 설명하고 자기 보고식 응답 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가정폭력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학교폭력가해 및 피해행동이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폭력경험의 하위유형에 있어서 살펴본 부부폭력 노출경험과 자녀학대경험 중에서 자녀학대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학교폭력가해 및 피해행동이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해자와 피해자가 분리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가해경험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피해경험도 가지고 있으며, 피해경험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가해경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행동의 영향에 있어서 친구관계의 질이 긍정적일 때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폭력경험이 많은 학생이라 할지라도 긍정적 친구관계의 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것은 학교폭력의 가해 및 피해행동을 줄이는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가해 및 피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친구관계의 질이 중요한 조절변인이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학교폭력가해 및 피해행동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다양한 해결방안의 마련에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