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교의 포교사상과 실천방법에 관한 연구

        박은자(지성)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불교의 포교사상과 실천방법에 관한 연구」에 관하여 제Ⅱ장에서 불교포교의 정의와 기원에 대해서, 불교포교의 본질과 포교의 구성과 포교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제Ⅲ장에서 불교포교의 사상적 배경으로 자비(慈悲), 보은(報恩), 평등(平等), 보살사상(菩薩思想)의 위주로 살폈다. 제Ⅳ장에서 불교포교의 실천방법을 3가지 관점인 종교적․교육적․사회적 측면에서 고찰해보았는데, 첫째의 종교적 실천방법에서 신행․보시행․복전행의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는 일상적인 부처님의 모습 그대로가 교육포교의 실천방법이면서 교육포교의 당위성과 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의 사회적 실천 방법에서 고찰한 것은 부처님은 생활 속에서 늘 상담을 통한 포교로 수없는 중생들을 교화하셨는데, 그 당시 사회적 위치로 보아 상당한 계급에 있었던 승만 부인의 교화를 승만 부인의 십대수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포교의 실천에서 핵심이 되었던 사상의 하나인 사무량심의 실천이 불교포교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고찰했다. 제Ⅴ장에서 불교포교의 현대적 의의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을 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의 수많은 특징과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또한 현대와 불교포교와의 관계를 규명해보고, 불교포교의 의의와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언급해보았다. 지금까지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은 불교포교사상의 실천방법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부처님의 인격은 지혜(智慧)와 자비(慈悲)로 표현되며 깨달음을 통한 완벽한 인격을 갖추고 수없는 중생들을 교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부처님은 성도(成道)하신 이후 고통 받는 사람들을 직접 만나서 많은 사람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그들의 심리적인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그들의 근기에 맞추어 교화하셨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 韓國佛敎 布敎 現況과 發展方案 硏究

        李亨烈(法印)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propag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ways to promote propag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pagation of Korean Buddhism. Propagation is evangelism, propagation, and edification, and the core elements of propagation are Buddhist meetings, sermons, and Buddhist ceremonies. Looking at the Buddhist textual basis for propagation, propagation means aiming for three things: ⓵ attaining Buddhahood, ⓶ achieving the happiness and interests of worldly beings, and ⓷ one of the three treasures offering (三寶供養). In additi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propagation can be summarized as authority and sermons, practice and sermons above. Korea carried out large and small propagation activities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hrough the Three Kingdoms, Unified (三國) Silla (新羅), Balhae (渤海), Goryeo (高麗), and Joseon 朝鮮).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uddhism was transmitted and practiced, Unified Silla and Balhae saw the flourishing of Doctrinal Buddhism and Seon (禪) Buddhism, in the Goryeo Dynasty, the policy to favor Buddha and the Tripitaka Koreana (高麗大藏經), and in th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suppression policy. can In April 1895,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rohibition on entry of monks was lifted, and from 1921, Venerable Yongseong (龍城)'s missionary activities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particular, for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innovative propagation activities were developed under the new name of 'Daegakgyo (大覺敎)'. In the 1920s, children's propagation activities, the establishment of Gyeongseong (京城) Buddhist Relief Center and Gyeongseong (京城) Nursing Home, Buddhist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Buddhist culture propagation began. After liberation in 1945 and going through the Korean War, Korean Buddhism could not escape from the situation of the era of confusion and poverty. However, in the 1960s, Venerable Seokju (昔珠)'s document propagation activities, Dongguk University College Student Buddhist Association's founding, Jang Gyeong-ho (張敬浩)'s Buddhist book propagation company establishment and publication, Seo Chang-up (徐昌業)'s dissemination of Buddhist hymns in the 1970s, and many Buddhist universities were established with the beginning of Daewon Buddhism Gangwon. is reaching From 1980, the Buddhist community also began to develop democratization and civic movements, and since 1990, various Buddhist civic movements have been developed. In the 2000s, it began to focus its efforts on resolving conflicts between “religion and religion” and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Based on the experience gained in this process, modern propagation proposes to proceed with the subject and object of propagation,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propagation. First, the subject of propagation is the Sangha, the foundation of Buddhism in the future. The propagation should be led by monks and lay believers. However, in modern times, monks are required to have all-round cap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such as planning, finance, religious administration, public relations, organization, welfare, and culture, not only for Buddhist training and rituals, but also for professional temple management. In a word, the foundation of future Buddhism should be the Sangha. Second,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MZ generation as a target of propagation and a plan to satisfy their needs should be prepared. Research on organizational structure of fairness and consultation and one-on-one customized missionary service should be conducted by dividing schools and temples. Schools and temples can play a big role in the formation of village educational communities to nurture talents needed by the future society.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value of temples, healing, spiritual education value of care, and rich humanistic foundation become specialized educational assets. Third, the content of propagation, that is, the content must be prepared. Buddhist cultural contents can satisfy various needs of the future society, such as alternatives to human alienation caused by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ecuring self-identity. This propagation method can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media. First of all, the mediating factors of propagation include meditation, meditation, meditation, chanting, chanting, and meditation. The activities of the temple include volunteer work,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propagation media include TV, newspapers, literature, movies, and the Interne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erspective on propagation and warfare as a future propagation direction, to demand a propagation sensitivity that meets the spiritual demands of the times, and to actively utilize sma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cience. At the same time, with the construction of a new Buddhist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a mutually fair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priests and the masses in the vertical structure centered on monks.

      • 도심 소형포교당의 운영과 포교방향에 관한 연구

        정기옥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도심 취약지역 소형포교당의 열악한 운영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형포교당에 적합한 운영과 포교 방향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논자는 한국 도심포교의 역사와 포교 현황 그리고 성장 요인을 살펴보고 변화된 한국 사회 속에서 불교포교의 방향성을 새롭게 정립하려고 하였으며, 특히 도심의 소형포교당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주요 사찰들은 대부분 산속에 있으면서 승가의 수행처나 강원 아니면 문화재 관람용 사찰이기 때문에 구조나 기능적으로 신도 관리나 교육포교 등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교통문제도 커다란 장애 요인 중 하나였지만, 사찰들이 주로 승가 위주로 운영되면서 재가자들에 대한 신행 상담이나 교리 교육 등 신도들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는 없었다. 이렇게 소극적이던 불교가 도심 포교당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것은 대중들의 강한 종교 욕구에 부응하고, 개신교를 비롯하여 타 종교의 급속한 확대에 위기의식을 느꼈으며 그리고 경제성장과 사회변동으로 도시민들의 문화 주체 의식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도심 포교당의 등장은 불교의 대중화라는 점에서 현대 한국불교의 가장 큰 변화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는 서구적 개념의 경제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을 경험하게 되었으며, 도시 집중으로 인하여 인간 소외 현상과 스트레스는 심각해졌다. 이러한 사회변화 속에서 상대적으로 종교욕구는 분출하였지만, 불교계는 이런 욕구를 제때에 간파하지 못하고 산중 사찰에서는 ‘자발적으로 사찰을 찾는 사람으로만 구성하는’ 구습의 포교를 지속하였다. 불교계나 종단에서 신흥도시와 도심 변두리 등 경제 여건이 열악하고 어려운곳(소외되고 취약한 지역)에 관심을 갖지 않고 소홀히 함으로써 전통종교인 불교는 그 영향력을 급속히 상실해 가고 있다. 그러는 사이에 타 종교의 교세는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거듭해왔다. 도심의 소외 지역 포교 방법과 전략 설정은 이런 위기 속에서 불교계의 선결과제가 되었다. 도심에는 대형포교당이 소수 있고 도심 변두리나 주변 경제 여건이 좋지 않은 지역에는 창건한지 오래지 않은 소형포교당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런 소형포교당들은 전반적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소형포교당들이 유지 발전과 불교 저변 확대를 위해 꾸준히 성장해 가는 방법과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본 연구는 소형포교당에 맞는 운영과 포교방향을 제시하고 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사찰과 포교당의 구분은 분명하지는 않으나 보통 아래와 같이 구분하고 있다. 산속에 있는 절은 포교보다는 찾아오는 신도 위주로 운영해 왔기 때문에 절의 규모가 작아도 대개 사찰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편 도심으로 들어와 처음부터 포교를 목표로 설립했고 포교를 주된 기능으로 운영하고 있는 절은 규모가 커지고 신도수가 확장되어도 포교당, 포교선원으로 부르고 있다. 혹자는 포교사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논자는 논문의 주 연구 대상인 취약지역 소형포교당의 범위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려고 한다. 도심의 변두리나 신도심 개발지역, 도심에서도 경제력이 취약한 지역 그리고 주위에 교회 전도관은 많고 사찰은 없어서 불교가 필요한 지역에서 소형으로 포교당을 설립하고 불교포교에 전념하고 있는 곳이다. 그 객관적인 기준은 첫째, 도심의 빌딩이나 다세대 주택 그리고 편의시설 등의 일부에 입주하여 소규모로 설립하고 포교하는 곳. 둘째, 신도 가족 축원장 기준 300세대 이하이며 신도수 600명 이내인 곳. 셋째, 상주 재적 승려 수가 1-2명 이내인 곳이다. 위와 같은 요건을 충족하면 소형포교당으로 분류할 것이다. 소형포교당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건물 관리비나 운영진의 활동비 그리고 포교비용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소형포교당 설립자들은 일반적으로 설립 자금도 부족하고 포교 방법과 운영관리 및 신행활동 지도의 대안도 없이 포교당만 설립해 놓으면 잘 운영 되리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개인 포교당의 반수 이상이 3년 이내에 양도하거나 문을 닫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개인 손실도 크지만 관련 불자들의 실망감과 더불어 불교 저변 확대 및 삼보정재의 막대한 피해가 되고 있다. 포교는 조계종의 3대 종책 사업이고 한국불교의 미래가 포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불교에서 포교가 갖는 정확한 위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포교의 노하우가 널리 공유되거나 전달되지도 않고 있다. 또한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고 소형포교당에도 적합한 포교방법이나 기법 등이 체계적으로 개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는 성장한 포교당의 학술적인 부분 즉 이론에 치우쳐 추상적이고 문장이 어려워 소형포교당에서는 실제 적용이 되지 않고 있다. 도심에 소형포교당의 포교가 성공적으로 유지되려면 사회 변화와 환경에 맞는 포교 마인드도 중요하지만, 포교활동에 있어서 마케팅적 개념 도입과 포교방법, 운영 관리 및 새로운

      • 佛敎 布敎에 있어서 인터넷 活用 硏究

        김정석 東國大學校 佛敎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fundamental purpose of Buddhism is to accomplish a pure Buddhist nation(Sukkavati) by entering into nirvana through perfect enlightenment. If the enlightenment was the first urgent step to accomplish this fundamental purpose, the establishment of Sukkavati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public by doing good for the world recompense socially would be the complete phrase. From the view point of history, the enlightenment of an individual is possible, but actually simultaneous enlightenment of all public is too much difficult. Taking into account this reality, therefore, it's necessary to lead the enlightenment of the public by preaching more effectively what an individual enlightened. In answering to this need,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delivering and preserv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imes have been used. Classifying these roughly, they are divided into three ; the method utilizing personal media, the method using printing media, and the method using electric wave media. Internet among the electric wave media is possible for exchanging multimedia information mutually without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as well as mending and complementing the information at any time in case of need, so it rises an the most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 the age of inform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erefore, the necessity for applying internet positively for the most effective propagation of Buddhism in this age of inform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comes to the fore. Especially, nowadays, the religious power of Korean Buddhism boasting of the perpetual history for 1600 years or more falls behind by Protestantism and Catholicism in Buddhism-Propagation in the cyber world utilizing internet, called as the flower of the information age, as well as is backward by newly flown Protestantism in many departments of real world such as temple, educational institution, social welfare institute, newly made company, press · broadcasting, medical institution, priest, preacher, the religious ceremony of the Buddhist, etc. Facing up to the reality, to overcome the problem and to conform a right mental culture by becoming the ideological prop of approaching 21 century, it needs in Buddhism to concentrate our energies on Buddhism-Propagation to the youth, college(graduate school) students, professional workers, and businessmen those who will become the leading part of 21 century. In addition, the more delicate preparation for Buddhism-Propagation utilizing internet should be made that's because most of all, these classes account for the highest rate in using internet. Also, each temple and company should play the role of the advanced base for oversea propagation by generalizing the internet use by the Buddhist through internet education, promoting professionalism of each newly made company and professional institution by utilizing internet website, constructing integrated Buddhist internet channel in the dimension of whole religious order for people all over the world to understand more easily Korean Buddhism. Finally, facing up to the reality that now Protestantism and Catholicism have enlarged their religious power by utilizing internet positively, there must be a study on what Korean Buddhism has prepared for the Buddhism-Propagation in the age of inform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of 21 century until now, and what will have to be prepared from now on, and a more deep study on the method of utilizing internet, the most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to propagate Buddhism positively.

      • 한국불교 미디어의 포교기능성 강화를 위한 연구 : 방송과 인터넷에 대한 불교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최진구 동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6

        Modern religion has selected to form a bond with the media so as to restore humanity for a new culture through religion. The typical propagation has taken traditional ways teaching doctrines to the limited numbers of believers in the closed space including sermon halls, churches and cathedrals. However, propagation of modern society goes beyond the boundary of the limited space as well as goes open and public involving the media more actively and in a variety of ways. This change is the product of the age, created by the contemporary information age with the combination of religion and the media. Thus, missionary activities through the media should be based on the responsibility of recovering humanity and creating social value as well as the purpose of fulfilling a religious missionary. Therefore, the thesis identifies how and which range receivers take the Buddhism media outlets. Also the thesis suggests the desired direction of propagation media after showing the frequency, motivation, relations toward the Buddhism media which is be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arely-found multi-religious society in the world in a unique way. The study conducted both referenc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propagational functions of each media outlet and the attitude of receivers. In order to obtain a nation-wide sample, the scope of the empirical study includes buddhists living in Seoul, Busan, Ulsan, Daegu, Daejeon and Gwangju. This thesis first examined the status of Buddhism media outlets and the roles of the missionary functions and lai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empirical research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ers. In empirical research, the analysis on the propagational functions and the reality of Buddhism media outlets was applied on the basis of the demographic breakdown. Then the thesis collected data with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m utilizing the SPSS so that it could figure out how the pollee sees Buddhism media outlets, which form they prefer, how much they expect and are satisfied with the roles of them as the propagational media.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thesis presents the objective and scientific directions to follow the constructive propagational functions by going over how Buddhism media outlets implement their mission and therefore, anticipates to help to some extent improve missionary work of the outlets as the representative Korea Buddhism propagational medi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Buddhism missionary media and increase their functionality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facing a new media era. So the study is intended to establish the identity such media and propose the objective and scientific measures to reinforce missionary work. The author intended to study the status, roles and academical base of the missionary media in depth, however, it is regretful that the lack of the existing research led to the insufficient development of the structured theoretical reasoning. The author hopes to that see more research on the matter will produce better development. The number of the studies on Buddhism broadcasting is limited as seen from the research cases considering that the history of the religious broadcasting reaches 60 years. And relevant researches were frequently found between the early 1990s and the mid 2000s but they have been hardly found recently since late 2000s. The researches are in the stagnating phase with the limited numbers of previous researches and the restricted availability of the internal data from religious broadcasting organizations including audience rating. The studies on the Buddhism-related Internet activities are only conducted at intermittent symposium and contribution to the religious magazines which means systematic and academic studies are almost not happening. With this regar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esis does not give general and objective roles of Buddhism media a clear direction for its sharpened missionary work since roles and functionality are based on the pollee's evaluation. Second, 521 believers out of unlimited numbers can not be appropriate enough in terms of representativeness of samples, which hinders the generalization of the theory. Third, the believers' perception on the media outlets were presented in the survey, however, the identification for other important variables and the analytic work on the correlations of the results were limited. Therefore, a follow-up study with a more comprehensive sample survey and in-depth research can help build the theoretical foundation about the missionary work of Buddhism media outlets and enhance the its capacity. The author expects to see more studies with profound researches. The author would like to suggest how the further studies should be directed. Buddhism TV appears to be aware that it's time to significantly modify broadcasting propagational strategies developing new contents. To do so, first, Buddhism should make concentrated supports avoiding overlapped investments. That is to say, they should take a select and concentration strategy. Second, they should develop a variety of good programs so that viewers can participate more. Third, they should raise the quality by assigning professional workforce. Those visible efforts for practice mentioned can attract more viewer with various tastes and eventually have access to the bigger missionary purposes. When it comes to programming, the strategy should be created on the basis of the analyzing viewing time by age and trends in order to optimize the adjacent effect. The adjacent effect can be found in their 50s most and in teenagers least. So the specific time the certain age group views the program and the trend of viewing should be reflected. The length of the program also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adjacent effect. The program shorter than 10 minutes shows the high spillover effect. Also, how similar the programs in different channels has the adjacent effect. For instance, the adjacent effect is shown to be high when there are no similar programs or there is one and it turns decreasing when there are more than two similar ones. The audience ratings depend a lot on the quality factors, that is, good quality programs have higher audience ratings. Nevertheless, viewer ratings are fundamentally decided by viewing time. In other words, the expected number of the viewers determine the ratings. Thus, it seems that the more expected viewers, the stronger adjacent effect. The advantage of television is the capacity to convey image and sound and socially vulnerable class can easily access it, which means it is the medium that different kinds of service can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main viewers. For example, programs targeting foreigners can have relevant language subtitles or ones targeting the disabled can have not only subtitles but also sign language or scene description voice service to raise the broadcasting quality. If the efforts mentioned above applied to the production and programming, the aim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enrich missionary practice. Along with the changed life style pattern, no one in reality can deny that the influence of the old form of media is gradually on the wane. Coping with the reality, the existing media, so-called old media, are now on the process of working on ways to promote coexistence by blending with and cooperating with new media. It does not necessarily means the medium of radio has lost its competitive edge. It was already expected that the number of radio listeners would decrease in the flood of new media. But the thing is efforts it should be made to maintain a group of the fixed number of the listeners without losing them anymore. The critical clue can be spotted 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adio because the intrinsic property the specific outlet has is the basic requisite with regard to defining the existence of the medium. The trait which makes radio the influential medium is all the messages are thoroughly conveyed through the auditory organ. It means messages from radio consist of nothing but sound and silence, which is why radio is called ‘blind media.' Radio's being dependent on hearing creates the unlimited imaginary world beyond the time and space to the listeners and brings media effects stirring emotional and immediate reaction rather than systematic and logical reaction. Particularly, as the sense of hearing is more sensitive and immediate than any other senses, radio can readily get closely into listeners' daily lives. Another charm of radio is a sense of closeness. An excessive sense of closeness can drive away others than regular listeners when they happen to listen to the show but regular ones value it due to the very deviant charm. No other mass media can compete with radio over this intimate atmosphere radio sends out. Buddhism radio transformed from a channel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to the exclusive radio broadcast for Buddhists and started to air the news on the Buhhdism world through IPTV, satellite TV and cable TV. This appears to be an attempt to exceed the limit of radio medium, which is believed to obtain positive feedback from Buddhists once it gets to the settlement phase. Actually the comprehensive programming of Buddhism radio has been controversial amongst members of the inside circle, scholars and experts. Such concerns were raised by the government policy and exclusively specialized programming is proved to get positive response from believers. Religious culture in the new media era has been unpredictably yet variously developed with the Internet environment. Religions are largely affected by Internet as organized and operated online. Literally the Internet is the most noticeable tool as propagational tool in the new media age. Although many researches are needed to follow, both ‘Internet temples' and conventional temples should take full advantage of the Internet. One thing to concern so far is the success of ‘Internet temples' can not be forejudged yet. The first task to be done is developing a wide array of programs of Buddhism doctrine which can serve different age groups and knowledge levels. The successful website would be equipped with various differentiated strategies not to mention having movies. Instead of sticking to congregational Mass accepting the tendency of individualism can help to design the website which allows users to approach their interests in accordance of personal traits. Several necessary conditions should be met in order for the temple's website to effectively function for the missionary work. First, the website should provide users with messages which are expected to produce propagation effects. The website of the head temple of the Jogye Order is almost full of temples' promotional articles and fails to carry messages which can persuade the society and the general public. Second, how probable prospective Buddhists can lead a religious life online matters. Considering that no matter where they are they can be Buddhists, and actual cyber Buddhists can emerge only if the online sermon and prayer registration is possible. Third, active two-way communication will guarantee the propagation effects and philosophical interview and professional counseling are necessary to make cyber Buddhists. Therefore, online Buddhist counseling psychologists should be trained and placed. Fourth, the temple website can not be an isolated island but a passage connecting one's world to the other's and should provide foreign language pages.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is in the very beginning phase as among parish head temples, only a few temples including Jogyesa Temple and Songgwangsa Temple runs foreign language pages. Although recent smartphone craze prompt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applications concerning different religions enabling the faithful to lead their religious lives wherever and whenever, most of them are about Catholics and Protestants. The Thousand Hands Sutra and the Heart Sutra are the Buddhism-related applications available and they do not provide chanting or interpretation owing to copy right issues. Simple notices or news about Mass taking place over the country through twitter can be a practical way to promote. It is now time for Buddhism to become interested in online missionary work through smartphone and devote itself to coming up with new contents through consistent investment to attract children and teens who tend to be individualistic. Therefore, it is an urgently needed to conduct the research on how to propagate the religion adequately through smartphone. In the rapid-changing modern society, the concept of the generation and the border is disappearing with the expansion of the Internet network. To keep pace, new ways of missionary work should be cultivated. With regard to the propagation utilizing the Internet, the further research assignment can cover the religious culture accepting and even taking advantage of video cultures and reorganization of the existing order by consolidating the community solidarity in the different space far from the traditional physical space. Experts should produce good quality contents and secure the copyright. Head temples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nourishing the information-oriented mindset, the talents and facility investment, which ultimately can advance the website qualities at branch temples. In the methodological aspects of the propagation, the assignment the modern propagation is to get to the reason why the current measures fail to communicate in the changed culture and social conditions and furthermore to demonstrate new ways of delivery. In addition, the feasible ways of propagation through media outlets should be arranged by accommodating the change and trends of modern culture as well as building a viable culture area in order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 연등축제를 통해 본 불교문화 포교 연구

        고봉조 위덕대학교 불교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미래는 글로벌 문화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포교 패러다임을 문화포교라 한다. 불교의 문화포교의 바탕으로는 합창단 공연, 찬불가 보급과 같은 불교음악, 불화나 조각 등의 불교미술, 부처님의 사상과 이념을 전하는 동시에 언어의 미학적 가치 실현을 중시하는 불교문학 등을 우선 들 수 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문화포교의 영역에서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획을 시도하고 있는데, 일상생활 속에 불교문화의 실상을 일반 대중에게 거부반응이 없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 종단별로 실시하고 있는 템플스테이나 각종 수련 프로그램들이 그 예이다. 문화포교를 어떠한 방식으로 정의를 내리더라도 ‘문화’를 가치고 내건 포교패러다임은 현대 포교의 핵심적이고 중심적인 영역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한국 불교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문화포교사업 활동들 중 연등축제에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그 의미와 발전방향을 탐색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현대 포교의 핵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문화포교 중 연등축제에 주목되었다. 축제는 원시사회부터 지속되어 진행되어온 문화적 현상으로 우리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로 진행되어 왔으며, 종교성과 예술성, 유희성이 적절히 배합되어 있는 대표적인 문화영역이다. 따라서 종교성, 역사성, 예술성, 유희성 등을 두루 갖추고 있는 축제는 불교문화포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연등축제는 1973년부터 고려시대 유등제의 전통을 잇는 제등행진으로 시작되어 이후 오랜 기간 불교계의 대표적 문화행사로 자리 잡아 왔으며, 특히 1996년부터 단순한 제등행렬을 넘어서서 전통 등 전시회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행사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문화축제로 발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무형문화제 122호로도 지정되고 서울시의 전통문화축제로 지정되었으며, 외국인의 관심과 참여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불교문화포교의 대표적 문화행사로 손색이 없는 연등축제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불교문화포교와의 관계성과 밀접성을 검토한다.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오고 있는 연등축제의 역사를 확인하고, 연등축제의 본바탕이라 할 수 있는 고려시대의 연등회가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시행 되고 있는 연등축제의 현황과 그 구성과 성과 등을 통해 1,700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 전통문화 축제임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1995년 지방화시대 개막 이후 지역문화축제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국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가운데 연등축제가 어떠한 과정으로 뿌리를 내릴 것인가를 연구한 논문이다. The future is the age of global culture. The paradigm of propagation recently appeari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is called the propagation of culture. The foundations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t culture include Buddhist music like choir performance and the dissemination of Buddhist hymn; Buddhist art like Buddhist painting or sculpture; and Buddhist literature that spreads Buddha’s thought and compassion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realization of the aesthetic value of language. Meanwhile, recently, various plans are attempted to newly jump in the area of the propagation of culture, and they would spread the reality of Buddhist culture to the general public without repulsion. Temple stays or various training programs, carried out by each religious order, are examples. No matter how the propagation of culture may be defined, the propagation paradigm putting up ‘culture’ as value becomes the core and central area of the contemporary propagation. Thus, various projects for the propagation of culture i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sorting out the past and present of the Lotus Lantern Festival and exploring the meaning and development direction are surely important task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Lotus Lantern Festival, of the propagation of culture, which rapidly emerges as the core of the contemporary propagation. A festival is a cultural phenomenon continued since the primitive society, which has been carried out in close relation with people’s lives, and it is a representative area of culture in which religious, artistic, and entertaining qualities are appropriately mixed. Thus, the festival with religious, artistic, and entertaining qualities is the core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t culture. The Lotus Lantern Festival today began with the lotus lantern parade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lantern festival in the Goryeo Dynasty in 1973 and has been settled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event in the Buddhist community for a long time, and especially, it has developed into a cultural festival, in which various cultural events were harmonized with each other, including the traditional lantern exhibition beyond simple lantern parade since 1996. Recently, as it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122 and a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 of Seoul, foreign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gradually increase.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Lotus Lantern Festival, which is worthy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event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t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s its relationship and intimacy with the propagation of Buddhist culture. This study would examine Lotus Lantern Festival passed down and carried out till now since the beginning of the Lantern-lighting Ceremon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foundation of the Lotus Lantern Festival, through its history, status, composition, and performance to reveal that it is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al festival with a history of 1,700 years. In addition, the number of local cultural festivals has sharply increased since the opening of the age of localization in 1995, but they do not meet the people’s cultural nee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in which the Lotus Lantern Festival would put down roots.

      • 소규모 도심지 포교사찰 계획

        최세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5

        최근 불교의 대중화를 위하여 도시곳곳에 소규모 말사나 포교당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사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의 경우 근린생활시설을 임대하거나 주택을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어 본격적인 포교활동을 위한 기능을 적절하게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처음부터 사찰용도로 설계된 단일건물의 도시사찰들도 그 건물대부분을 인근지역의 일반신도들을 위한 예불공간으로 할애되고 있어 원활한 포교기능의 수행에 부적합하다. 또한 사찰건축의 현대화를 위한 성숙된 논의와 경험의 부족으로 많은 사찰건축이 여러 가지 건축적 문제를 안은 채 지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도심지 포교사찰에 대한 성격규정과 기능해석을 통하여 도심지 포교사찰의 설계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심지 포교사찰의 성격과 역할을 규정하고 사례분석과 문헌조사를 통하여 도심지 포교사찰의 나아가야 할 기본방향을 모색하였다. 도심지의 협소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공간의 수직화 방법을 모색하였다. 전통사찰에서 나타나는 불당까지의 과정적 공간을 도시에 맞게 재해석, 재구성하였다. 인사동길의 특정대지를 계획부지로 선정하여 일반대중들이 자연스럽게 사찰에 들어와 불교와 부처를 접하고 자아성찰 할 수 있도록 기본 계획안을 통해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도심지 사찰의 기본적 성격은 불교를 널리 알리는 포교당이다. 전통산지사찰은 수행위주의 수도공동체적 성격을 띠면서 예불공간중심의 기능구성 을 하고 있다. 도시로 들어오게 되면서 대중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포교당의 역할이 중요시된다. 주거지에 위치한 사찰이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 소극적인 포교활동을 수행한다면 도심지에 위치하는 사찰은 일반대중이 더 많이 불교와 접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기존 도시사찰 건축계획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도시사찰들은 포교활동을 위한 기능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고 예불기능과 신도복지기능위주로 구성되었다. 몇몇 사찰만이 불교회관, 공연장등과 같은 지역사회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2) 모든 종교건축은 참배자가 聖에까지 어떻게 진입하는가 하는 접근과정이 중요시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시사찰들은 협소한 대지조건에 의해 단일 건물로 형성하여 기능공간들을 단순히 적층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통사찰에 나타나는 불당까지의 과정적 공간은 찾아보기 힘들다. (3) 사찰이 도시에 등장하면서 불교라는 통념과 도시내의 인지성을 이유로 대부분 전통적 형태의 영향아래에 있다. 이는 전통사찰의 이미지에 가까운 사찰을 원하는 건축주의 요구에 가까울지 모르지만 도시의 주변상황에 맞지 않고 기능상 불합리하다. (4) 전통사찰에서는 물리적 상징요소와 환경적 상징요소들이 전통적 배치에 입각해서 형성되는 심리적 상징요소와 함께 나타난다. 그러나 도시사찰은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물리적 상징요소만을 사용하고 있다. 셋째, 바람직한 도심지사찰의 건축계획방향은 다음과 같다. (1) 도심지포교사찰의 기능공간을 속적영역, 중간영역, 성적영역의 3단계로 구성한다. 사람들의 접근이 용이한 저층부나 진입부에 인근 지역의 일상적 기능을 연속적으로 구성한다.(속적영역) 대중들이 쉽게 불교와 접할 수 있도록 불교관련 전시·문화·홍보기능을 수용한다. 불교에 관심을 가지고 오는 사람들을 위해 다양한 세미나 및 교육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교육기능공간을 수용한다.(중간영역) 주거지에 위치한 사찰에 비해 일반신도의 수가 적으므로 예불공간을 소규모로 구성한다. (성적영역) (2) 협소한 대지에서 요구되는 기능공간을 수용하기 위하여 수직적 공간구성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통사찰에서 나타나는 불당까지 이르는 과정적 공간을 도시에 맞게 재해석, 재구성하여야 한다. (3) 도시라는 주변 상황과 기능구성을 고려한 현대적 사찰형태를 취하여야 한다. (4) 전통사찰에 나타나는 상징요소들을 분석하여 도시라는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많은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도심지사찰에 들어와 불교와 부처를 접하고 자아성찰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공간구성방법을 제안한다. (1) 저층부에 외부의 일상적 기능을 수용하고 상층부에 종교적 행위공간을 둔다. 불당과 법당을 분리하여 법당은 대중들의 접근이 용이한 지하층에 두고 불당은 예불행위만을 담당하도록 소규모로 계획한다. 법당의 경우 법회외에 다양한 문화전시프로그램을 수용하여 지역문화공간으로 제공한다. 저층부는 외부에 대하여 개방적인 공간구성을 하여 대중들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다. (2) 저층부와 상층부를 중정이란 수직적 Void공간으로 연결하고 각 기능공간들의 위계에 따라 수직적 레벨을 달리한다. (3) Void공간을 통하여 중정에서 일어나는 불교관련 행위들, 불당에 놓여진 부처, 불당에서 예불하는 신도들의 모습과 대중들은 시각적인 교류를 함으로서 그들의 종교적 행위로의 참여를 유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소규모 도심지 포교사찰을 통해 전통문화거리인 인사동길을 따라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전시문화공간의 흐름속에 대중들이 불교관련정보를 얻고 자연스럽게 불교와 접할 수 있고 종교적 행위를 유발하는 공간으로 제공될 것이다. Recently a new type of temple called small size urban temple is appeared here and there in cities to let people be familiar with buddism. Most of small size urban temples use some part of commercial buildings in rental bases or their own detached houses which are renovated. They reveals functional problems as temples performing missionary works. And similar problems are found in other temples originally designed as temples. Without careful examination on the architectural problems of existing small size urban temples and mature discussion about the issues related to the modernization of temples, especially small size urban temples, many small size urban temples having such problems will be reproduced. This research proposes a specific design solution for a site, but it is organized to be appliable to the design of other small size urban temples in general as follows: 1) First of all, the study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and required function of small size urban temple as an emerging type of temple which will be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temple, 2) it suggests a way of vertical integration of space to minimize the waste of space and maximize the emotional feeling as a religious space following the organizing concept of processional spaces found in traditional temples, and 3) it proposes the design of a small size urban temple for a site in Insa-dong, where people will drop naturally and meet budda, buddism for self-examination.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asic role of the modern urban temple is to make buddism be known in everywhere. A traditional temple in a mountain has focused on the function of worship space to be characteristic of a monastery. As it comes into city, the propagation for public has become more important role than worship in temple. If a temple located in a residential area performs propagative activity negatively as with regional community space, a temple in a city can give the public much opportunity to meet budda and buddsm. And also it can propagate positively. Second, the research identifies four architectural problems in already existent urban temples; function, space, form, symbol (1) Worship and welfare spaces for believers occupying the mose of spaces of existing temples rather than the space for propagation. Few temples contribute a place for meetings and performance to the regional society. (2) The process approaching a holy space is very important to all the religious architecture. But in most urban temples, function of spaces are just piled up in one building because of confined site situation. You can not expect the wonderful process provided by traditional temples. (3) As temples are coming into cities, many temples are newly built following the line of traditional style because it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style of temple. they may meet the desire of clients who want to be build a temple looking like a traditional temple. but they do not go with the surroundings and are not appropriate to accomodate required functions. (4)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symbolic elements appear with psychologic symbolic elements formed by traditional order. But exiting urban temples use only visual elements like the element of physical symbol. Third, the desirable design direction of a urban temple can be identified as follows (1) The space of a urban propagation temple are divided into 3 zone; mundane zone, intermediate zone, and holy zone. People can easily approach the low level, the entry part and use them continuously taking the role of ordinary function(mundane zone). It takes on the function of exhibition, culture and information giving you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buddhism easily. It also has the function of training, seminar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public interested in buddhism(neutral zone). It has smaller worship space than that of a temple in residential area common believers(holy zone). (2) The confined site situation makes that temple have vertical space system to pile up all functions. In this course, the processional spaces approaching to the buddist altar in a traditional temple should be reinterpreted and reorganized to accomodate the urban context. (3) The small size urban temple can take modern form as far as it accommodates required functions well and goes well with the surroundings (4) The elements of traditional symbol in a traditional temple are analyzed then adap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ourth, the followings suggest the way of space organization to make the public drop in the temple naturally and meet buddha, buddhism for self-examination. (1) The low level contains the ordinary function of the street and the higher level contains religious function. A shrine is separated from a sermon hall and planned for only worship in small. The sermon hall in basement will guarantee the easy access of the public. It also offers local cultural space for various cultural exhibition programs. (2) The vertically void space called courtyard connects the low level with the higher level. It has different vertical level arranged in accordance with a certain order. (3) You can see all events in courtyard through the void space such as buddha sitting in the shrine, activities concerned with buddhism, and believers praying. All this visions make the public join to religious acts. Through this small size urban temple project, spaces where the public can get informations about buddhism, approach to buddhism easily and ultimately be a believer in the continuous flow of cultural space of Insa-dong traditional street will be provided.

      • 불교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포교사의 소그룹활동 실태를 중심으로

        신선영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 논문에서는 포교사의 소그룹활동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불교적 자원봉사활동의 주체로써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불교적 자원봉사 역사와 포교사 활동내용은 문헌 고찰을 통해 규명하고 소그룹별 활동의 실태를 파악·분석하는 조사연구로써 포교사의 소그룹별 자원봉사활동 현황과 당면문제를 정립하며 불교 자원봉사활성화를 위해 포교사의 팀활동 실천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불교의 보살행과 그 실천관은 자원봉사정신과 일치하고 있으며 포교사 소그룹활동 실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팀장의 특성은 주로 사회·경제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직업을 가지고 있는 4∼50대 남성이며 포교사고시제도 이후 배출된 포교사로써 적극적인 활동을 보이고 사회 참여적인 욕구 의식이 높은 분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을 운영하는데 있어 예산수립과 팀원의 조직화 그리고 팀원과의 관계형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해본다. 첫째는 포교사들의 내적 동기 유발과 중도탈락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포교활동의 인정·보상체계가 도입되어야 하며 둘째로는 포교사뿐만 아니라 일반대중의 다양한 욕구에 따른 전문적 지식과 기술 습득이 요구되므로 프로그램의 전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셋째는 포교사들의 행정적인 제반 업무와 프로그램기획과 개발, 팀활동에 대한 지원 및 관리 등은 기능별로 구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포교사단 사무국의 기능과 역할이 확대, 운영되어져야 한다. 포교사의 팀활동이 불교자원봉사를 실천하고 더 나아가서는 불교의 지역복지의 적극적인 참여를 주도하는 주체로써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점차 부각시켜야 하며 포교사는 소신껏 자신의 능력을 불교사회복지 증진에 귀중한 자원으로 환원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ctivities of small preachers groups and to seek the method to activate the Buddhist voluntary service. This study clarified the history and preaching activities through related reference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mall preachers groups, to arrange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small preachers groups in order and to present the practical pattern of preachers team activ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The Bodhisattva conduct and its practice view are in harmony with voluntary spirit. The search into, and analysis of, the actu al condition of small preachers groups showed that the leaders of the teams were mainly males of 40 to 50 years of age who have a relatively stabile job and have been stabilized socially and economically, and that preachers, who have been produced after the start of the preacher notice system, have been positive in their preaching activity and have preference for the area in which they have much desire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that the budget making, team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with team members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the operation of the teams. So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 First, a system of recognizing and rewarding for the preaching activity should be adopted in order to motivate the heart of preachers and to prevent the dropouts. Second, the program should be specialized because expertise and skills are needed to meet the various demands from the preachers and common people as well. Third,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ecretariat of preachers group should be expandedly operated because it is desirable to classify the administration of preachers, program planning and development, support for, and manag ement of, team activities by function. The team activity of preachers should be enhanced in it simportance and necessity as the subject taking lead in practicing the Buddhist voluntary service and i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Buddhism in regional welfare, and the preachers should be able to turn their abilities to valuable resources at their disposal to promote Buddhist social welfare.

      • 일본 가톨릭 교회사에 있어서의 포교보호권과 교황들의 칙서에 따른 수도회 사이의 갈등에 대한 고찰

        윤여옥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4

        15-16세기는 포르투갈과 스페인 두 나라에 있어서 신대륙발견과 더불어 대항해시대(大航海時代)의 시작이기도 했다. 이들 두 나라가 신대륙을 발견하게 된 동기는 무역거래를 통해서 이익을 남기는 것도 있었지만, 동시에 이 이익금을 통한 그리스도교의 이슬람교 정복이라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이 대항해시대(大航海時代)는 식민지정책의 시작이기도 했기에, 새 정복지에서의 신자들을 보살피기 위해서, 그리고 새로 발견한 정복지에서의 원주민에 대한 복음선교의 필요성을 느낀 교회당국은 포르투갈과 스페인 두 나라의 국왕에게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의 권한을 줌으로써, 그리고 지역을 나누어 줌으로써 서로가 불화없이 그들의 경제적 도움에 힘입어 신자들의 영적생활의 유지와 원주민에 대한 복음선교를 행하고자 했다. 이러한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은 점차적으로 식민지에서의 국가 관리들의 횡포와 이에 따른 피지배자인 원주민과의 갈등, 그리고 정치와 밀착된 삶에서 오는 선교사들의 갈등 등 많은 문제점을 빚기도 했다. 또한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은 포르투갈과 스페인 이 두 나라의 왕에게 속해 있었던 관계로 선교사의 활동범위도 당연히 두 나라의 국토와 식민지와 무역국에 걸쳐 있었음으로, 아직 두 나라가 들어가지 않았으나 선교사가 먼저 들어간 곳에서, 특히 상업이 발달해 가는 와중에 있던 시대의 흐름을 고려해 볼 때 비식민화 된 나라에서의 선교사들의 충돌은 당연한 일이기도 했다. 이러한 시대적 여건 속에서 인도의 식민지에서의 국가관리들의 횡포와 윤리적 타락 등 문제점을 깨달은 포르투갈 왕은 교황에게 의뢰하여 이제 말 첫 발을 내딛고 있던 예수회를 포르투갈의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속으로 불러들임으로써 예수회의 동양에서의 선교가 시작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가운데 프란치스코·하비에르 신부는 무역상인이던 알바레스와 그를 통해 알게 된 안지로(彌次郞)를 통해 이제까지의 식민지에서의 원주민들과는 다른 일본인을 알게 되고 안지로(彌次郞)를 통해 보여준 일본인의 지식욕(知識慾)에 이끌려 일본에 선교의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그러나 포르투갈의 식민지도 아니었고, 이미 전통종교와 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고, 동시에 중세에서 근세로 넘어가면서 전국시대(戰國時代)에서 통일국가를 형성하려고 하고 있던 일본에서의 선교는 예수회에게 이제까지와는 다른 선교방침이 요구되었고, 이로써 교황을 통한 예수회의 일본포교독점권(日本布敎獨占權)을 가져오게 하였다. 초기의 오다 노부나가(織用信長)의 도움과 프란치스코·하비에르 신부의 포교순응방침(布敎順應方針)을 이어받은 예수회 동인도 순찰사 알렉산더·바리냐노 신부의 정신을 바탕으로 교회의 발전은 별 무리가 없이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하극상에 의한 정치적 변화와 무역을 통해 부국강병책을 노린 국가 위정자들, 특히 도요토미 히데요시(臣秀吉)와 도쿠가와 이예야스(德用家康)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을 무시하게 되었고 또한 당시 지리상으로 명확하지 않던 일본에 대한 관계 때문에 탁발수도회의 일본진출이 시작되었고, 이는 다시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을 둘러싼 교황칙서를 불러오게 하였다. 또한 이는 예수회의 일본 위정자와의 관계를 어렵게 만들었고, 동시에 예수회 내에서의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을 뛰어넘은 스페인 출신의 선교사와 다른 국가의 선교사 사이의 간격을 벌려놓게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제반 여건 속에서 먼저 서론으로 일본에서의 그리스도교의 현대까지의 그리스도교의 흐름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어서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의 기원과 동기에 대해서 살펴보고, 셋째로 당시의 일본의 시대적 흐름과 더불어 예수회의 동양포교에 이르게 된 동기와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과 일본의 포교독점권(布敎獨占權)을 쥔 예수회의 일본포교에서의 위정자들의 관계와 더불어 일본포교를 위한 예수회의 방향, 그리고 일본인관(日本人觀)의 상이함에서 오는 예수회 내에서의 회원들의 갈등을 살펴보고, 넷째로 일본포교를 갈망하던 탁발수도회의 일본진출의 동기와 일본에서의 예수회와는 다른 포교방향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예수회와 탁발수도회의 일본에서의 교황들의 칙서들에 따른 갈등과 예수회 내에서의 탁발수도회에 대한 입장에서 온 민족 간의 갈등 등을 살펴보며, 현 시대의 시각에서 당시의 일본 내에서의 포교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조명하고자 했다. 일본의 가톨릭 교회는 1549년 예수회 선교사 프란치스코·하비에르 신부가 가고시마(兒島)에 첫 발을 들여놓음으로써 씨가 뿌려지기 시작하였고 많은 선교사들의 노력에 의해서 그 씨는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각 시대의 위정자들의 야심에 의해서 그 성장은 멈춘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그 뿌려진 씨앗은 250년이라는 긴 박해 속에서도 보이지 않았지만 줄기차게 성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것이 긴 박해가 끝나던 1865년 나가사키(長)의 오오우라 천주당(大浦天主堂)에서 파리외방선교회의 프치쟝 신부와 우라카미(浦上)지역의 신자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세상에 얼굴을 내밀게 되어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이다. 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지상의 그리스도교 신자에게 내려진 사명이자 유언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이는 사제, 수도자, 평신도를 막론하고 모든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각자의 처지 속에서 이 사명을 위해서 경주해야 할 것이다. 이제 일본은 그동안의 긴 박해와 군국주의(軍國主義)의 역경을 벗어나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시대적 여건에 부응하면서 발전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들이 신자숫자의 반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의 현실을 감안해 볼 때 무력으로가 아닌 그들의 안식처가 될 수 있는 교회의 모습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목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됨과 동시에 이를 일본 가톨릭 사제들과 수도자들과 신자들은 힘을 합쳐 노력과 연구를 거듭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이 각 수도회와 선교회가 영합해 있으며 동시에 세계국제화에 따라 많은 나라에서 저마다의 풍습과 습관을 바탕으로 살아오고 있는 일본이라는 땅의 그리스도교 복음화를 위한 노력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In 15 16 centuries, it was new era to develop new land and sailing for Spain and Portugal. "The motivation to develop the new land was profit through trade and also conquering Islam through the profit. However, the colonial policy was started in this sailing era. In the new colonies, the head office of the church gave an authority (Jus Patronatus) to the kings of Spain and Portugal for missionary work in the new colonies without trouble. These " Jus Patronatus " had gradually caused many problems due to oppression of government officials, frictions with the natives at the colonials and troubles for missionaries because of close subservience with political issues. The Kings of Spain and Portugal had the authority on the Jus Patronatus, therefore, the missionary work was related to the colonials of bath countries and their trading countries. Considering business development at the moment, the missionaries had trouble with their missionary activity in the non colonial countries. In this age, the king of Portugal had understood the problems of the oppression fron government officials and their depravity in the colony of "India". The king requested the Pope to subordinate the Society of Jesus to their jus Patronatus. Therefore, the missionary work of the Society was started the oriental country. At that moment, Father "Francisco Xavier" had known a Japanese by the name of "Angero" through Alvares io was a business man. Francisco Xavier started missionary work in japan with high expectations of the Japanese converting to Catholicism. However, Japan was not a colony of Portugal and had her traditional religion and own language. Japan was also in a state of transition to become a unified country at that moment. Therefore, the Society of Jesus needed a different way for its missionary work in Japan. The king of Portugal got the Jus Monopoly in Japan from the Pope. In the early stage, the development of the church went smoothly due to the spirit of Father Francisco Xavier and his successor Father Valignano, Inspector of Eastern India. However, politicians such as Tiyotomy Hideyoshi and Tokugawa Iyeyasu disregarded the Jus Patronatus of Spain and Portugal. Medicans started to launch missionary activities into Japan due to geographically unclear relation with Japan. This led up to the Breve of the Pope because of the Jus Patronatus, and it deteriorated the relationship with Japanese politicians. Moreover, it poiso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the Society of Jesus along the line of their countries of origin. In this paper, under these situations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Church up to present time will be briefly considered in the introduction. Then, the origin and motivation of the ins Patronatus, the Jus Monopoly in Japan will be mentioned. In the third part, the motivation for the missionary work of the Society of Jesus in the oriental countries, ti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of Jesus and Japanese politicians, as we 1 as internal problems of the Society of Jesus will be discussed. In the fourth Var. the motivation of the Medicans advance in Japan, and the difference of missionary orientation between Midicans and the Society of Jesus will be covered. Lastly, the frictions between Midicans and the Society Jesus due to the Breve of the Pope, and the position of the Society of Jesus towards Midicans will be considered. Also the problems related to the missionary work at that time will be highlighted. The Catholic faith in Japan was initially seeded by Francisco Xavier, missionary, into Kagoshima prefecture, Japan in 1549 and has been grow up by many missionaries afterwards. However, it looked like it had been stopped from time to time, because of politicians. It had been maintained alive but concealed under persecution for 250 years. It came out to the attention of the world due to meeting of Christians from Uragami with Father Petitjean form Paris Missionary Society at Uoura Catholic Church located in Nagasaki up to the present Catholic Church in Japan.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according to Jesus' last will, is an appointed task bestowed upon every Christian. Therefore, everybody has to do its best, to meet this mission. The Church in Japan has overcome severe persecutions and militarism and is actually trying to adjust to internationalism. Half of the faithful are foreign workers. The Church, as a Mother, has the responsibility to greet all those new members in her womb. In order to do so, every catholic (priests, brothers, sisters and laity) must work together to find new solutions to build a new Church, house for all. If this research could help in an humble way the missionaries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foreign workers living in Japan to open a new pastoral path, I would be rewarded.

      • 音樂布敎方法論 硏究:찬불가를 중심으로

        김춘호(도영)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75

        불교음악이란 부처님의 덕을 소리로 찬탄하는 문화포교의 중요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음악의 소리는 표현 방법에 따라서 성악과 기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역사적 기준으로는 전통적 음악과 현대적 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불교의 대표적인 전통 음악에는 범패가 있고 근대이후 도입된 음악으로 서양음계로 표현되는 찬불가가 있다. 전통적 기악으로는 불전사물이 있으며, 1900년대 이후부터는 피아노를 비롯한 각종 악기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불교음악의 영역 중에서 본고는 서양음악 기보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창작 찬불가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찬불가는 1920년 이후 대중 포교를 위하여 사부대중이 함께 법회에서 불덕을 찬탄하게 하며 참여의식을 높이고자하는 당시 스님들의 불교포교 방법으로 시작 된 것이다. 현대 찬불가의 초석을 놓은 인물로는 백용성, 권상노, 조학유 등이 대 표적이다. 1960년 이후 정운문의 불교 동요와 1970년대 최영철의 의식용 찬불가는 찬불가 활성화의 토대가 되었으며 확산, 보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시대상황에 따라 찬불가의 음악적 배경은 여러 가지 특성을 보이고 있고 1990년 이후 동․서양 두 형식이 혼합 되거나 각자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폭넓게 발전하였다. 2000년 이후 찬불가의 발전은 상장례에서 염불자원 봉사시 조가(弔歌) 부르기 등 생활 실천적으로 혹은 산사음악회와 같은 대형화로 확산되며 불교문화포교를 대표하는 음악포교사 또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 찬불가의 활용 목적은 법회의식이나 각종행사에서 합창단의 음성공양만이 아니라 사부대중이 함께 불덕을 노래로 찬탄하는데 있다. 때문에 찬불가 활용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는 향후 불교포교에 큰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찬불가의 의미와 역할기능, 찬불가의 음악적 배경, 찬불가 유형과 활용실태 분석, 찬불가 활동현황, 찬불가 활용과 활동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이다. 특히 초기찬불가 곡의 음악적 양태 분석과 법회의식이나 각종행사에서의 찬불가 활용이나 활동실태현황 검토는 찬불가 발전 방향의 새로운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주요 부분에는 다음가 같은 연구들이 포함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여러 경전 내용으로 살펴본 찬불가의 의미와 기원, 역할기능, 자세 그리고 음악포교의 의의와 필요성 및 음악적 특징 등을 연구하였다. 찬불가의 기원은 부처님 당시 주요 제자들이 가르침을 게송으로 노래하기 시작한 것이 그 시작으로 볼 수 있다. 삼보에 귀의한다는 의미를 구음으로 내면서 찬불가는 시작되었다. 현대의 창작 찬불가는 1900년대 초서양문화의 유입으로 시작되었으며, 현대 음악과 결합하여 여러 방면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제3장에서는 찬불가의 변천과정을 5기로 구분하여 제1기는 찬불가 도입기(1920〜1945), 제2기는 창작찬불가 개화기(1950〜1970), 제3기는 창작찬불가 정착기(1970〜 1980), 제4기는 창작찬불가 발전기(1980년〜1990), 제5 기는 창작찬불가 전환기(2000〜현재)로 나누었고 찬불가의 음악적 배경과 영향, 활성화 모습 그리고 주요 작사자와 작곡자의 음악적 양태 등이다. 제4장에서는 찬불가의 유형을 기능에 따라서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즉 의식용 찬불가, 재일‧절기 및 특별 법회의 찬불가 그리고 계층별 특성을 고려하여 만든 찬불가, 각종 행사의 효과를 높이고자 만든 일반 행사(연주용) 찬불가 등이다. 법회의 유형과 기능에 따라서 그것에 부합할 수 있는 찬불가가 만들어져야만 창작찬불가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기여할 수 있다. 제5장에서는 사찰 합창단 활동실태에 대한 것으로 지역별 합창단 수, 운영 실태, 활동 현황, 불교교리 및 음악적 수준 정도, 만족도, 찬불가 활용을 위한 사찰에서의 노력, 찬불가 곡의 음악적 선호도와 지향점, 문제점 등을 분석하였다. 현재의 사찰 합창단은 그 열성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종단과 사찰의 지원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합창단 지휘자 양성, 다양한 창작찬불가 작사‧작곡, 합창단 연수 등의 분야에서 지원이 필요하다. 제6장에서는 찬불가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대중 동참을 위한 제창(齊唱)의 필요성, 창작 의식찬불가의 다양화, 경전에 근거한 노랫말 확대와 다양한 음악적 선율 수용, 찬불가 활용주체의 인식변화 촉진 그리고 찬불가 관련 전문화 구성으로 찬불가 심의 기구 조직, 찬불가 작품 선별기준, 관현악 및 실내악 창단 필요, 전문 인재 발굴 및 양성교육기관, 창작찬불가 음반 제작 보급, 찬불가활용과 활동 기획 강화, 다양한 악기사용 등이다. 특히 음악포교 발전과 찬불가 활용화 방안모색으로 음악법회 프로그램 모형을 만들어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경전내용으로 살펴본 결과 찬불가는 불법과 덕을 찬탄하고 환희하며 감사의 마음과 공양의 의미 등이 담겨 있고 삼라만상의 모든 불법과 덕의 소리이며, 무상과 무아를 깨닫게 하는 음의 세계이다. 따라서 법전에서 찬불가활동은 가르침에 감사하며 찬탄하고 공양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