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직무분석 및 역량모형 개발

        문이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사회 다방면에서 일어나는 급속하고 다각적인 변화 물결에 따라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보편적 권리의 개념을 담은 평생교육의 이념적 특성상 공공 평생교육의 역할 또한 더욱 강조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영역 평생교육 정책의 수행 주체로서 평생교육사에 초점을 두고, 평생교육 환경변화에 따라 공공영역 평생교육사가 수행하는 직무 변화와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의 두 가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책무(duty)와 과업(task)은 무엇인가? 둘째, 평생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분석을 통해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책무(duty)와 과업(task)을 담은 직무모형을 도출하였다. 비교확인법을 통해 현재 시점에 맞는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책무(duty)와 과업(task)을 도출하여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직무모형 초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심층면접을 통해 향후 신규로 추가되거나 강화될 직무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 워크숍을 거쳐 직무모형 잠정안을 마련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직무모형에 대한 타당도 조사와 정교화 작업을 거친 결과, 6대 책무와 28개 과업으로 구성된 직무모형을 확정하였다. 6개의 책무는 ‘조사·분석’, ‘기획·개발 및 성과관리’, ‘네트워킹’, ‘학습자 성장지원’, ‘학습문화조성’, ‘운영·지원’이며 각각의 책무는 3~7개의 과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담은 역량모형을 도출하였다. 역량모형의 구조는 공공영역 조직생활의 기초가 되는 기반역량과 직무 수행 전문성과 관련된 전문역량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문헌분석, 심층면접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거쳐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역량모형 잠정안을 마련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역량모형에 대한 타당도 조사와 정교화 작업을 거친 결과, 7개 기반역량, 5대 전문역량군 내 18개 전문역량 및 73개 행동지표로 구성된 역량모형을 확정하였다. 전문역량군은 ‘평생교육 전문성’, ‘전략적 사고’, ‘변화 관리’, ‘관계형성 및 확장’, ‘공공조직 적응’이며 각 전문역량군은 3~5개의 전문역량으로 구성하였고 각 전문역량은 3~5개의 행동지표를 포함한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책무와 전문역량 간의 연계성을 확인하고자 6대 책무별 전문역량군의 필요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각 책무별로 모든 전문역량이 평균값 및 내용타당도비율(CVR)을 충족하여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핵심 책무 수행에 대해 전문역량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직무와 역량의 구성에 관한 논의이다. 첫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책무 및 과업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축소·생성되는 변화를 거쳐 왔다. 또한 향후에도 새로운 과업이 등장하거나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 현장의 전문가로서 그 책무와 과업이 전문적 정체성 중심으로 재구조화되고 있다. 둘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성공적 직무 수행을 위해 지식, 기술, 태도의 다양한 역량을 요구받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내재적 역량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다음으로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공공성’과 ‘전문성’ 확보에 관한 논의이다. 첫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공공성’이라는 철학과 가치에 기반한 역량 발휘 및 직무 수행이 필요하다. 둘째, 공공영역 평생교육 현장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역량 기반’ 접근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평생교육사가 폭넓은 직무를 수행하고 다양한 필요 역량을 요구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영역 세분화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된 평생교육 환경에 따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책무(duty)와 과업(task)을 핵심 직무 위주로 현행화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사의 필요 역량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미미한 실정에서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필요 역량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 셋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핵심 직무와 필요 역량을 동시에 밝힘으로써, 평생교육사의 양성과정과 보수교육 과정개발, 채용과 배치, 평가 등에 활용할 만한 중요한 준거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에 기반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과 역량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등 구체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공공영역 평생교육사에 관한 연구는 공공영역 평생교육기관의 유형을 구분하여 더욱 심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평생교육사의 직책에 따른 필요 역량 및 리더 역량을 도출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is emphasized following the rapid and multifaceted changes occurring in many aspects of society. Lifelong education aims for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l, and the role of public lifelong education for this is emphasized. This study focused on lifelong educators as the implementers of public sector lifelong education policies and attempted to newly identify the changes in duties performed by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and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perform their duties with changes in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Accordingly,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are the duties and task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with changes in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Second, what competencies are needed for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with changes in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job analysis, a job model containing the duties and tasks of a lifelong educator in the public sector was derived. Through the comparative confirmation method, the duties and tasks of a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appropriate to the current situation were derived and a draft job model for a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was created. Afterwards, through in-depth interviews, data on jobs that would be newly added or strengthened in the future were collected, and a tentative job model was prepared through an expert workshop. As a result of conducting a validity study and elaboration on the job model through a Delphi survey, a job model consisting of 6 major duties and 28 tasks was confirmed. The 6 duties are ‘Research·Analysis’, ‘Planning·Develop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Networking’, ‘Learner Growth Support’, ‘Creating a Learning Culture’, and ‘Operation·Support’, and each duty consists of 3 to 7 tasks. Second, a competency model containing the competencies necessary to perform the dutie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was derived. The structure of the competency model was divided into basic competencies that are the basis of organizational life in the public sector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related to job performance expertis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and expert opinion surveys, a provisional plan for a competency model for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was prepar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idity and elabor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through a Delphi survey, a competency model consisting of 7 basic competencies, 18 professional competencies within the 5 major professional competency clusters, and 73 behavioral indicators was confirmed. The professional competency clusters are ‘Lifelong Education Expertise’, ‘Strategic Thinking’, ‘Change Management’, ‘Relationship Formation and Expansion’, and ‘Public Organization Adaptation’. Each professional competency cluster consists of 3 to 5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each professional competency Includes 3 to 5 behavioral indicators. In order to confirm the connection between the dutie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derived through research, the required level of professional competency clusters for each of the 6 major responsibilities was verified. As a result, all professional competencies for each duty met the average value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confirming that professional competencies are required to perform the core dutie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discussion on the composition of duties and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First, the duties and task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have undergone changes that have been reduced and created over time. In addition, as new tasks are expected to emerge or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the duties and tasks of lifelong educators as exper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re being restructured around professional identity. Second,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are required to have a variety of competencies in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successfully perform their duti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and among these, the need for intrinsic competencies is more emphasized. Next, there is a discussion on securing the ‘public nature’ and ‘expertise’ of lifelong education history in the public sector. First, in order to secure the expertise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competency and perform duties based on the philosophy and value of ‘publicness’. S기획econd, beyond analyzing jobs in the public sector lifelong education field, a ‘competency-based’ approach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confirmed that lifelong educators perform a wide range of duties and are required to have various necessary competencies, suggest the need for segmentation of the professional areas of lifelong educa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the duties and task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were implemented focusing on core duties. Second, in a situation where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necessary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is minimal, the necessary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were empirically revealed by targeting field experts. Third, by simultaneously revealing the core duties and necessary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stablished important standards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ors' 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recruitment, placement, and evaluation. Lastl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fic efforts are needed, such as developing a curriculum to develop the capabilities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public sector and a diagnostic tool to measure capabilities. Second, research on the history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public sector needs to be further deepened by distinguishing the type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public sector. Third,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search to derive the necessary competencies and leader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lifelong educator.

      • 군단위 지역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연구

        신명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군단위 지역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부안지역주민이 인식한 평생학습 요구, 둘째, 부안지역주민의 평생학습 만족정도, 셋째, 부안지역주민이 인식한 평생학습도시의 발전방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은 부안군민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를 위한 자료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배경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요구 및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은 ²검정, t검정 및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와 방법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안지역주민의 평생학습 인식과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부안 지역민들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문해교육, 새로운 정보화교육, 시민참여교육 순으로 요구하였으며, 평생교육프로그램 미참여와 불만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민의 평생학습을 위한 접근성 및 시간적인 배려, 평생학습시설 및 프로그램 내용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안군민들은 부안군이 직접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지역 기관들에 의해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기를 바라고 있다. 둘째, 부안지역주민의 평생학습 만족 정도는 저소득 가계 보다는 고소득가계가 강좌에 대한 참여목적을 성취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고, 접근성과 시설의 편의성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것은 중산층 이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무직에 종사하는 지역민들의 접근성 편의를 위한 조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부안지역주민들은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지역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평생학습도시 발전을 위해서는 생계형 교육, 문화예술·시민교양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부안군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으로는 평생교육에 대한 정보제공과 상담, 평생교육시설 확충, 과정개발과 보급이 필요함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gram of Buan county residents and the direc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development. For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first, lifelong learning needs perceived by Buan local residents, seco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Buan local residents, and third, Buan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lifelong learning city was investigated. As a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50 Buan-gun residen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derive data analysis results for statistical processing, and ²-test,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lifelong education needs and program satisfaction according to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se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lifelong learning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uan residents were found to be very high. The residents of Buan reques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the order of literacy education, new information educat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The people of Buan County preferred that Buan County directly operat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they hope that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will be operated by local organizations. Second, as for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of Buan residents, high-income households rather than low-income household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achieve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courses, and perceived that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were low. This suggests that alternatives are needed to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for the middle class and above, and to facilitate accessibility for local people working in office jobs. Third, local residents of Buan recognize tha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regional development. It is recognized that livelihood education and cultural arts and civil education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lifelong learning city. It was found that the main policies for 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in Buan-gun recognized the need for information provision and counseling on lifelong education,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nd cours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평생교육과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장가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rceptions on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backgroun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lifelong education? Thir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backgroun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and a total of 189 surveys were analyze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ubject of the survey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of survey’s background variable and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χ² (Chi-square) was performed.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more than 80% showed affirmative response in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perception degree, degree of interest, degree of importance of personal life, degree of the provision of self-development, degree of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lleviation of the gap in educational opportunity, degree of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out the whole life, degree of grasping the lifelong education target, degree of importance in activating the reg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continuously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econd, from the perception degree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lifelong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and education career. Third, from the perception degree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 career, and the area of the student’s dis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s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ways to provide information and continuos promotion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needs of lifelong education to the group of young age and low education career must be provided. Second, the active support in lifelong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 mental disabilities is needed. Third, mor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to improve occupational ability needs to be developed and various forms of education must proceed such as online education that can exceed the limits of time and distanc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rogram and the situation. Fourth, practical support such as budget for educational activity and cost support(transportation costs, activity costs, etc.) is required. Fifth,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human networks by public relations or dispatching handouts and official document for cooperation. Sixth, it is necessary to seek measures to secure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 order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utilize human resources such as teachers who have special education teacher qual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평생교육과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89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 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é 검정, 우선순위 문항에 대해서는 χ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평생교육 개념 인식 정도, 관심도 정도, 개인의 삶에 대한 중요도 정도, 자기발전 제공 정도, 삶의 질 향상 정도, 교육 기회격차 해소 정도, 전 생애 필요도, 평생교육의 대상 파악 정도, 지역 활성화에 대한 중요도, 지속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사에서 80% 이상의 긍정적 응답을 보였다. 둘째, 평생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인식 정도는 연령과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인식 정도는 연령, 교육경력, 담당 학생의 장애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령이나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 집단에 대해 평생교육 중요성과 필요성 인식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홍보 및 정보 제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적 장애를 가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적극적인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직업능력신장을 위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프로그램 내용이나 상황 등에 따라 시간과 거리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온라인 교육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 활동을 위한 예산 및 경비 지원(교통비, 활동비 등)과 같은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다섯째, 인적 네트워크에 의한 홍보나 유관기관의 협조공문 및 유인물 발송을 통해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여섯째,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전문인력 확보방안을 모색하고, 특수교사 자격을 소지하고 있는 교사 등의 인적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대학평생교육원 음악 관련 수업의 운영 현황 및 흥미도와 만족도 조사

        이나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 개설된 음악 관련 수업의 현황을 알아보고,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흥미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비교하여 평생교육원의 음악 교육이 활성화되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 개설된 음악 관련 수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 재학 중인 성인 학습자 11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학습자의 흥미도와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SPSS WIN Ver 26.0을 사용하였고, ANOVA와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비교·분석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 41개 중 평생교육원에서 음악 관련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는 비학위제, 학위제로 나눠 운영되고 있다. 그 중 학위제만 운영하는 학교 8곳, 비학위제만을 운영하는 학교 12곳있으며 비학위제와 학위제를 동시에 운영하는 곳은 6곳이다. 둘째, 학습자의 전체적인 흥미도의 평균은 4.06이고, 만족도의 평균은 3.99로 학습자의 만족도에 비해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흥미도를 비교한 결과, 학습자의 성별, 연령, 직업 형태, 음악 장르, 음악 종류, 학습 기간, 수업 종류, 연습 시간은 학습자의 흥미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자의 수강 유형에서 학위제로 수강하는 학습자와 비학위제로 수강하는 학습자의 흥미도를 비교해본 결과, 비학위제(4.18)로 수강하는 학습자의 흥미도가 학위제(3.8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학습자가 취미 활동의 일환으로 음악을 배우거나 학습할 때 또는 자발적으로 음악 수업에 참여할 때 음악에 대한 흥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특별히 비학위제로 수강하는 학습자의 흥미도에서 “나는 음악 관련 TV 프로그램이나 라디오를 자주 청취한다.”와 “나는 음악을 하면 스트레스가 풀린다.”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넷째,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학습자의 연령, 음악 장르, 음악 종류, 학습 기간, 수업 종류, 연습 시간, 수강 유형은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자의 성별, 직업 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서 남자와 여자의 만족도를 비교해본 결과, 여자(4.04)가 남자(3.73)보다 학습 만족도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p<0.5) 직업 형태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를 비교해본 결과, Full Time(4.19) 근무를 하며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Part Time(3.83) 근무를 하며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보다 만족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5).

      • 함석헌의 씨알사상을 통해 본 한국평생교육의 대안적 탐색

        양윤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함석헌의 씨알사상을 통해 한국평생교육의 대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씨알사상을 기반으로 개인주의나 공리주의에 대한 대안과 보완적인 차원에서 향후 한국평생교육의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함석헌의 씨알(시민)사상에 나타난 ‘스스로 함’을 고난의 경험을 통해 획득한 ‘양심의 자유를 통한 자라남’, 즉 자발적 참여의 네트워크와 공동체의 호혜적 규범, 그리고 사회적 신뢰’라고 정의한다. ‘스스로 함’이 한국평생교육의 화두로 등장한 배경은 오늘날 한국평생교육이 처한 국가 및 시장주도 평생교육에 의한 극심한 개인화 현상에 기인한 것이고, 이에 따라 ‘스스로 함’의 형성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한국평생교육의 과제가 되고 있다. 평생교육은 국가 - ­시장 - ­시민사회라는 세 가지 중심축이 상호 협력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스로 함’은 ‘나’로부터 시작해서 ‘시민사회’로 확장되면서 생성되지만, 결국에는 그것이 국가로 확대되고 시장으로 외연을 넓혀나갈 것이다. ‘시민사회’는 국가와 시장의 매개체 역할을 하면서 국가나 시장의 실패를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방어기제이다. 또한 평생교육이 본래적 사명과 책무를 감당하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을 지속하기 위한 기반이면서 평생교육의 주체가 된다. ‘나’와 ‘너’, 그리고 ‘우리’를 특징으로 하는 대안적 평생교육은 획일적 사고와 통제라는 인위(人爲)에서 벗어나 인간 본연의 자유로운 모습을 강조하면서, 국가와 시장의 이기적인 억압에 눌려있던 시민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시민사회의 공공선을 중시하게 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목적과 연구방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Ⅱ장은 평생교육 과제로서의 씨알사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씨알사상의 세 가지 원리인 자연적 자아를 일깨우는 ‘스스로 함’의 원리, 주체적 자아를 가능하게 하는 ‘맞섬’의 원리, 공동체적 접근 원리로서의 ‘서로 울림’의 원리, 그리고 자주적 삶을 위한 고난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왜 씨알사상인가? 에서는 씨알사상을 통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발전에 대한 인식의 전환, 지식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평생교육은 개인화를 벗어나 공동체의 성장을 지향해야 하는데, 이는 개인의 ‘양심의 자유를 통한 자라남’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했다. Ⅲ장은 한국평생교육의 특징과 한계라는 제목으로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나타난 평생교육정책의 특징과 한국평생교육에 대한 비판을 교육 정책적 시각과 직업능률 개발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국가 및 시장주도 평생교육과 씨알사상을 고찰하면서 국가 및 시장주도 평생교육은 무엇이며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국가 및 시장주도 평생교육과 씨알사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향후 보편적이고 고유성을 지닌 평생교육이 요청된다는 것이다. 이는 시민사회의 평생교육은 국가나 시장의 실패를 보완하는 완충작용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개인이 공동체와 호혜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진정한 시민이라고 할 수 있다는 함의를 본 연구는 제언해주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안적 한국평생교육으로서 씨알사상에 함의 된 내용의 실천은 전 세계적 시민보편교육으로 한국평생교육개념의 확장, 개인적 학습과 사회적 학습의 교류, 그리고 학습공동체의 건설이라는 명제의 실현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을 제언해 주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씨알사상을 통해 한국평생교육의 제도화 극복, 소규모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그리고 사회적 배제의 해소 등이 실현될 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해 주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한국평생교육의 대안적 차원에서 한국적 고유의 함석헌 씨알사상을 기반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함석헌 씨알사상이 추구하는 한국평생교육의 대안을 마련하는 기본적인 수단 중 하나가 ‘스스로 함’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함석헌 사상의 핵심인 ‘스스로 함’을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인 ‘양심의 자유’를 회복하고, ‘자라남’의 영속성을 이룰 수 있다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함석헌의 씨알사상이 성인학습을 담당하는 모든 주체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들 성인학습자들이나 시민사회의 단체, 또는 집단들이 자신들의 영역에서 고유한 사명의식과 목적을 가지고 학습자들에 부합하는 대안적 평생교육을 제공한다면, 개별 시민들의 삶의 질은 물론 그들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환경인 직업능력개발의 긴장감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는 실천적인 의의를 지니게 된다.

      •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류정선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 특성을 파악하고 참여자의 학습동기와 학습성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참여자의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가 지각하는 학습동기는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가 지각하는 학습성과는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가 지각하는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2018년도 A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문화예술회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집된 323부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는 다양한 강좌를 선택하고 지속해서 학습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지인 소개를 통해 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고 실기 위주의 교육을 선호한다. 둘째,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는 높은 학습지향형 학습동기를 갖는다. 배경 변인에 따라서는 연령, 소득수준 지역에 따라 학습동기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나이가 많고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동기가 높다. 셋째,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는 학습력에 대한 학습성과를 가장 높게 지각한다. 배경 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고, 기혼자 집단일수록 학습력에 대한 학습성과를 높게 지각한다. 또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력에 대한 학습성과를 높게 지각하고,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문화적 성과를 높게 지각한다. 넷째,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동기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학습지향형 학습동기가 높으면 학습력에 대한 학습성과가 높고, 목표지향형 학습동기가 높으면 삶의 질에 대한 학습성과를 높게 인식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요구에 적합한 문화예술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참여자의 학습을 지속시키고 학습성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ticipant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rts lifelong learning programs (hereinafter called “The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on learning outcomes of the participants. To achieve the purpose, four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of The Program? Second, what is the learning motivation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The Program? Third, what is the learning outcomes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The Program? Fourth, what is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on learning outcomes by participants? Three hundred and twenty-three adult participants of The Program at “A” metropolitan cit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use of SPSS 2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Program tend to take a variety of classes continuously in The Program. In addition, they apt to participate through information from others and are more likely to take in a practical class. Second, participants in The Program have a high learning-oriented motivation. The motivation of learning varies by their age and income level. More specifically, the higher at the age and income, the higher learning motivation. Third, participants perceive academic achievement as the highest learning outcome. The higher age and married, the higher the perceived learning ability. However, the lower at the income, the higher social and cultural performance. Finally, learning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affects learning outcomes. The higher the learning-oriented motivation, the higher the outcome of academic ability. At the same way, the higher the goal-oriented motivation, the higher the perceived learning outcomes of the quality of life.

      •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 요구 분석 : 음성군을 중심으로

        한기연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결혼이주여성들과 평생교육기관 운영자들의 요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탐색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네 가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생활양식은 어떠한가?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결혼이주여성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넷째, 평생교육기관 운영자들의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는 음성군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132명과 결혼이주여성 평생교육기관 운영자 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에 대한 질문지는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설문내용을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질문지를 제작하였다. 2017년 6월 7일부터 7월 30일까지 음성군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주민자치센터, 각 평생교육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중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는 설문조사를, 평생교육기관 운영자들을 대상으로는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자가 대신 기입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 대해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전체적인 반응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전개한 다음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은 자녀 양육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는 돌볼 사람이 없음이 62.1%, 사교육비 및 양육비용이 22.7%로 나타났으며, 자녀교육에서의 애로사항으로 이중문화로 인한 정체성의 혼란이 77.3%, 사교육비가 11.4%로 나타났다. 취약계층인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자립 지원과 지역사회 내 일자리 연계를 통해 다문화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취업후 직장에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는 있으나, 결혼이주여성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참여하게 된 계기는 남편이나 주변사람 소개 46.9%, 문자메시지 28.8%, 가정통신문 10.6% 등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이 참여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에서는 한국어교육 (93.2%), 출산 및 자녀양육 프로그램(14.4%)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은 한국 생활의 기본으로 정착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으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이 초기 정착 지원을 위한 한국어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사항으로는 교육시간 부족(53.0%), 홍보를 통한 참여자 모집(15.9%), 훌륭한 강사 초빙(12.9%)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해 가장 필요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에서 한국어교육(6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교육 프로그램(11.3%), 자녀와의 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6.1%)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절한 운영방법에 대해서는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받는 교육(71.2%), 가정방문교육(20.5%), 사이버교육(8.3%)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의 참여 욕구가 높으며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결혼이주여성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적극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한다. 넷째,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해 중점적으로 운영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은 한국어교육(73.9%)이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 및 가족교육(26.1%), 직업교육(21.7%), 자녀교육(21.1%)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은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69.6%), 기관의 충분한 예산과 시설 확충(21.7%)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초기에는 정착지원을 위한 교육인 한국어, 컴퓨터, 운전면허교육에 집중되어 왔지만 이제부터는 프로그램 담장자 및 강사들의 역량강화 등 질적인 변화를 시도해야 하며, 결혼이주여성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적 지원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

      •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 연구 :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이신후 대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살면서 빠른 정보의 변화와 지식을 습득하고 자기개발을 통해 직업을 가지고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노후를 준비하고 자기 역량 강화와 알찬 여가생활을 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배경으로 평생교육이 활성화되고 수요와 학습하고자하는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통합과 자아실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수요가 증가됨으로 기관과 학습자, 강사의 서로의 입장을 생각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 운영과 학습자가 필요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기관의 증가에 비해 평생교육기관은 프로그램의 관리와 운영상의 어려움, 특히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질 관리를 통해 내실 있는 운영을 해나가야 하는 사회적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더불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 역시 프로그램 선택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평생교육사업을 진흥하고 국민의 평생학습 경험을 체계적으로 관리·지원하려는 국가의 의지와 노력이 다양한 영역에서 가시화되면서 양질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울산발전연구원, 2010). 그러므로 체계적인 프로그램은 계획하고 운영하기 위해 본 연구를 통해 서로에 대한 중요도 인식차이를 분석하여 차이를 알아봄으로 담당자는 성인학습자와 강사의 인식차이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고 성인학습자는 강사와 담당자의 인식차이의 정보를 습득하고 강사는 담당자와 성인학습자의 정보를 습득 할 수 있으며 정책기반자는 인식차이의 정보를 통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바른 정책을 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결정하는 자료가 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대구·경북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탐색하였다. 둘째, 운영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대구·경북지역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지자체 1곳, 평생교육진흥원 2곳, 문화원 1곳, 대학부설기관 2곳, 사업장부설기관 5곳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담당자, 프로그램을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프로그램을 강의하고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일부터 2017년 4월 8일 일주일간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지 조사가 이루어졌고 총 300부를 배포하여, 291부가 회수되었으며, 분석에 적합하지 않고 무응답의 설문지 9부를 제외한 총 291부가 자료로 사용하여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관련 집단의 중요도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 처리를 하였다. 조사대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관련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고 연구가설1, 가설2의 중요도 인식 검증을 위해 t검정(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으로는 LSD 검증(p<.05)를 실시하여 사후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 1>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근무·참여기관, 월 평균 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남성과 여성은 교육내용이 어떤 구성으로 진행되는지에 따라 중요도 인식이 다르고 젊은 연령대는 높은 연령대 보다 운영시설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고학력일수록 저학력 보다 행정서비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시도평생교육진흥원에 근무하고 참여하는 대상자는 지자체, 대학원교육원, 문화센터 보다 교수-학습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교수-학습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2>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집단의 교육내용, 교수-학습,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행정서비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담당자 보다 성인학습자와 강사는 교육내용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강사 보다 담당자와 성인학습자는 교수-학습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담당자 보다 성인학습자와 강사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며, 성인학습자 보다 담당자와 강사를 행정서비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교육제공자 강사는 성인학습자의 운영요소 중 교수-학습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강사는 더 전문적인 교수법으로 열정적으로 수업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성인학습자들이 프로그램에서 보다 만족을 느끼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담당자는 지속적인 강사관리를 통해 우수한 강사를 발굴하고 계획한대로 교육하고 교수법과 열성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지 감독·관리한다면 수준 높고 성인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강사는 운영요소 중 행정서비스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담당자는 교수-학습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기 때문에 강사가 원활하고 체계적은 프로그램 진행을 위해 프로그램 행정지원과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안내와 학사운영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강사는 담당자가 충분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더욱 효과적인 교수법을 연구하여 성인학습자가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쉽고 프로그램이 종강할 때까지 이탈하지 않고 수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된다면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다양하며 더 유용한 프로그램은 운영할 수 있도록 후속연구와 프로그램의 기획, 개발, 지원,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We live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age and learn the information change and knowledge quickly. Through the self - development, we are trying to prepare the old age with 100 years of age through the self - development, strengthening our capacity and giving us full leisure life. In this context, lifelong education is becoming more active, demands for learning and learning are increasing,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erefore, the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integration, self - The learner, and the instructor should be able to plan and operate the systematic program and the program that the learner needs. In contrast to the increase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institutions,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faced with a social need to manage their programs through management and operational difficulties, especially quality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e learner who participates in lifelong education is increasingly faced with difficulties in program selection. In this situation, as the will and efforts of the government to systematically manage and support the lifelong learning experience of the people are promoted,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s emphasized as part of efforts to secure and systematically manage lifelong learning programs. Therefore, in order to plan and operate the systematic program,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ult learner and the instructor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importance awareness to each other through this study, The learner can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recognition difference. The lecturer can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learner and the adult learner. The policy-based person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to provide the right policy for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It is aimed to be the data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 was used. First, demographic variables of related groups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perated in Daegu and Gyeongbuk were searched. Second, in order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the operational factors of the related groups, one local governments, two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ne cultural institute, two university - affiliated institutes that carry ou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 The person who runs the program at the five workplaces, the adult learn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 lecturers who are lecturing the program, from April 1, 2017 to April 8, 2017,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300 copies were distributed. 291 copies were collected. 291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mportance of the related groups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related groups,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he t-test and one-way analysis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LSD verification (p <.05) was used for post -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udy Model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ge, final education, working and participating institutions, and monthly average income.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importanc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education contents and younger ages were more important than older ages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income.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income,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Teaching - learning is more important. <Study Model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contents, teaching - learning,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and administrative service of rela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group. Adult learner and instructor perceived education contents more important than instructor, And adult learners and instructors perceiv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as more important than the person in charge, and recognized the manager and instructor as more important than the adult learn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ecause the instructor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instructional elements of the adult learners, the instructor should try to pass the lessons with a more professional teaching method so that the adult learners can feel more satisfied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supervisor is in charge of continu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y providing high-quality, high-quality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adult learners by constantly supervising and supervising the lecturers through excellent instructor management, Institutions will be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long learning programs. In addition, the instructor recognizes administrative servic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administration and the instructor recognizes teaching-learning a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e instructor must provide program administration support, program guidance, The learner will study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provide sufficient administrative services so that adult learne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program and will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class without leaving until the program ends.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is being implemented will be activated and systematically operated. It is hoped that future research and program planning, development, support, and evaluation will be actively pursu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o operate diverse and more useful programs.

      •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의 평생교육 요구분석 : 남양주 지역을 중심으로

        김도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oday we are living in an era of globalization. In order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continuous learning is required. These educational needs have led to the rise of lifelong educ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various forms of continuing education.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English lifelong education has become more urgent in the global age.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explore more options to increase learner satisfaction to meet the needs for adult learners' English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an English lifelong learning program established and operat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needs for English lifelong education. For this study, 100 adult learners of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in Namyangju City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Except for 34 unreliable questionnaires, 66 on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oftware program.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Results indicated that most respondents had a high interest in English, but they themselves considered it low. More than 80% of respondents claimed that English education was essential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Most respon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English lifelong education. They also said knowledge acquisition of English was the highes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biggest obstacle to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lack of time. Most respondents (74.2%) believed that highly qualified instructors we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Many findings tended to be influenced by specific demographics. Unlike female respondents, mal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English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cope with changes in social life and to stay competitive. Respondents aged 50 to 59 showed the highest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meanwhile respondents under 49 more strongly considered degree or employment-related programs in selecting an English program to participate compared to respondents over 60. Respondents with employment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job-related motives and had more difficulty in participating in English lifelong education because of child care & housework, economic difficulty, lack of time, and lack of proper English education programs than their counterparts. Respondents who are married with employed or married children indicated that their English level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respondents who are unmarried or married but without children. Married respondents with unemployed or unmarried children claimed they participated in English lifelong education for promotion and other jobs.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distance to the institution interfered with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Finally, respondents with more than 3 years of English learning period said that they participated in English lifelong education for social coping and competitive objectives.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is result showed remarkable difference in choosing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English lifelong education. We conclude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need adopt an active and systematic approach to providing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adult learners across various demographics. 급속한 사회의 변화 속에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학습을 해야 한다. 이러한 교육적 요구는 다양한 형태의 평생교육기관들의 등장과 함께 평생교육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특히 평생교육법 제2장에 근거하여 지방자치단체의 평생교육에 대한 역할이 확대 되어 가고 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최근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남·여를 불문하고 노인세대의 삶의 만족차원에서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점 확대되는 양상도 눈에 띈다. 사회·문화·경제 등 전 영역에 걸쳐 그 속도가 빨라지는 세계화와 더불어 영어를 배우려는 성인학습자의 욕구도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한편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학습자의 교육 수준이 향상되는 가운데 다양하면서도 수준 높은 교육의 기회가 주어지기를 바라는 성인 학습자의 욕구가 확대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성인 학습자의 영어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 충족을 위해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양주시 지방자치단체가 설치·운영하고 있는 평생학습관에서 영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학습자들의 제반 배경적 특성을 살펴보고, 영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남양주시 소재 평생학습관에서 영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자료화에 어려움이 있는 34부를 제외하고 성실하게 답변한 6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영어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는 높은 반면, 자신의 영어수준은 낮다고 인식하였다. 응답자의 80%이상이 실력 또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영어교육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았으며, 필요 분야로는 말하기와 듣기를, 참여 프로그램으로는 여가활용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평생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상이 90%가 넘는 응답률을 보였고, 참여 동기로는 지식 획득 자체의 보람을, 참여 저해 요인으로는 시간의 부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평생교육의 발전 고려사항으로 우수한 강사섭외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영어학습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점에서, 영어 평생교육의 참여 동기인 사회생활의 변화에 대처하고 경쟁에 뒤지지 않기 위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셋째, 성인 영어학습자의 연령에 따른 차이점에서, 50~59세 집단이 영어에 대해 높은 흥미와 관심도를 보였고, 참여 영어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49세 미만의 집단에서는 학위취득 또는 취업관련 프로그램을 특히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동기에서, 49세 미만의 집단은 전반적으로 직업과 관련된 참여 동기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성인 영어학습자의 직업유무에 따른 차이점에서, 직업이 있는 경우에는 승진, 전문성 제고, 정보획득, 취업 등 직업과 관련된 참여 동기를 직업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직업이 있는 학습자는 육아 및 가사, 경제적 어려움, 시간의 부족, 알맞은 영어교육 프로그램이 없어서 영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성인 영어학습자의 가족 상태에 따른 차이점에서, 결혼하여 자녀가 취업하였거나 결혼한 상태의 가족 집단에서 미혼 또는 결혼하였으나 자녀가 없는 집단 보다 자신의 영어수준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하여 자녀가 미취업 또는 미혼인 집단은 승진 및 다른 직업을 위해 영어 평생교육에 참여한다는 참여 동기를 다른 집단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이들은 평생학습관의 거리문제가 영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다른 집단 보다 높게 응답하였다. 여섯째, 성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학습기간에 따른 차이점에서, 영어 학습기간이 3년 이상인 집단에서 영어 평생교육의 참여 동기로 사회생활의 변화에 대처하고 경쟁에 뒤지지 않기 위해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관은 성인 학습자가 영어 회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듣고, 말하기 위주의 강좌 편성과 함께 능력 있는 강사 섭외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연령대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감에 따라, 연령대별 눈높이에 맞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평생학습관은 직업유무, 가족 상태에 따른 다양한 계층의 성인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점차 직장인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사가 높아지고 있다. 평생학습관은 직장인들의 시간에 맞게 프로그램을 배정할 필요가 있겠다. 다섯째, 현재 고용이 안정되지 않은 사회현상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려는 성인 학습자들의 영어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평생학습관은 이들의 요구를 잘 살펴서, 적극적으로 수렴해 나가야 할 것이다.

      •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분석

        박명경 백석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분석 본 연구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을 통해서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자료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 마련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학습자 관리 및 지원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냄으로써 평생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둘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과의 관계. 셋째, 성인학습자 학습동기와 관계몰입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넷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와 관계몰입을 매개로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다섯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은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마지막으로 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평생교육기관에서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 3월 강원지역 국·공립대학 평생교육원에 수강중인 성인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 분석한 후 타당도 등을 점검하고 보완하여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전국 국·공립대학 평생교육원에 수강중인 성인학습자 1,200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1,148부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0 Program 및 AMOS 22.0 Program을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실증적인 인과관계 추론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1차적으로 SPSS 22.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판별타당도에서는 상관분석및 Varimax 직각회전을 통한 요인분석으로 하였으며, 신뢰도 확보를 위해 신뢰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측정변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별 차이검증을 위한 독립표본인 t검증(t-test)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2차적으로 AMO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위해 측정문항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로는 첫째, 분석결과 모수(경로계수)의 추정치는 참여지속의도가 =1.051, C.R.=6.026로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내어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은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결과 모수(경로계수)의 추정치는 학습동기 =.984, C.R.=15.974로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직접효과(.456)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 사이에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변인 간 경로 즉,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 -> 학습동기 -> 참여지속의도에서 매개효과(2.265**)가 유의수준 p<.01에서 검증되었다. 다섯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이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변수 간 인과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은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에 차이성을 검증한 결과를 보면 성인학습자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소득수준, 직업, 참여 프로그램 수, 이용경로에 따라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이 가장 중요한 변인임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학습동기, 관계몰입의 활용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성인학습자의 지속적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참여를 위해서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관계마케팅전략 도입과 실천이 필요하다. 후속연구에서는 국공립대학이 아닌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 대학조직 내에서 평생교육원에 대한 기관장 및 보직자들의 관심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 대학평생교육기관, 관계마케팅전략, 성인학습자,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