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형자산 재평가가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회계기준과 법인세법의 차이를 중심으로

        최희갑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K-IFRS (the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s to be wholly introduced in 2011, it seems that its influence on the financial statements of corporations will be great. In particular, regarding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the previous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No.5 was amended to introduce K-IFRS in advance and revaluate tangible assets selectively in 2008. However, as K-IFRS is introduced in 2011, the revaluation of corporate assets will be actively executed. The revaluation of assets based on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is closely related to the corporate tax law since the taxable income is calculated based on the net profit for the current term according to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and the corporate tax law. Such a difference is also shown in terms of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In other words, while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allows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the corporate tax law does not allow such a revaluation in principle. As a result, the net profit for the current term becomes different from the taxable income based on the corporate tax law on the balance sheet, making it highly necessary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revaluation of assets on the corporate tax law. Therefore, regarding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orporate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Also, the influence of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on the corporate tax law and the related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have been continuously discussed by corporations and related institutions. Throughout this study, the regulations of the current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and corporate tax law have been compared, review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Focu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on corporate taxes for each business year has been analyzed. Also, the influence and problems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and corporate tax law have been figured out, while the improvement methods have been sugges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the revaluation of assets based on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the corporate tax law does not allow such a revaluation except for some special cases. As a result, even if profits and losses for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occur due to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it has been found that the taxable income becomes same before and after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after all through the tax adjustment for the inclusion in gross revenue and the exclusion from gross revenue. In other words, under the current corporate tax law,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does not influence the corporate tax at all. Also, due to a difference between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and the corporate tax law, there seem to be more matters related to the tax adjustment regarding the revaluation of assets, increasing the cooperation costs for the payment of taxes. As an improvement method for such a problem, it has been suggested to make the revaluation of assets based on the selection of a corporation.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corporation from misusing the revaluation of assets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profits and losses for the current term, it has become necessary to suggest specific conditions for the revaluation of assets. Secondly, in terms of the ut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orporate tax law have been suggested. As shown in the background for the introduction of K-IFRS, the interested parties of a corporation need more proper accounting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reflecting real economic conditions in the rapidly-changing accounting environment. In order to respond to such a demand, the corporation can’t help focusing on the generation of proper accounting information. Since the corporate tax law only allows the acquisition cost of assets,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still more important than the attribute of the proper accounting information. Because of such a difference, regard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revaluation of corporate assets, decisions could be made by focusing more on the disadvantage of the increasing cooperation costs for the payment of taxes without the effect of decreasing taxes based on the revaluation of assets than the advantage of providing the user of accounting information with useful and proper information. Also, it is possible to cause a result which could go against the intention of the interested parties that need proper accounting information. As an improvement method for such a matter, the corporate tax law allows the revaluation process, while the variations caused by the revaluation process of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are not recognized by the realized profits and losses but reflected to the capital. By following such a way, it is possible not to cause any change to the matters related to the tax adjustment and carry out the follow-up management conveniently.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taxpayers with the necessary proper tax and accounting information which reflect the real economic conditions without making them pay additional taxes. Thirdly, the current value of the tangible assets possessed by a corporation represents the current value of the future cash flow generated by the assets. Such a value could only be generated under the condition that corporate assets could be used in the future to create profits. However, if there is no possibility for recovering the value of assets after it declines due to a certain factor, it would be more proper to think that corporate assets could make no profit in the future (and vice versa). Therefore, when the value of corporate assets declines,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regards such a decline as the realized profits and losses (the losses of the revaluation process) for the current term. However, since the corporate tax law does not recognize the losses of the revaluation process as real losses, it does not cause the reduction effect for corporate taxes. The improvement method for such a matter could be to allow such benefits as tax deductions or exemptions during the revaluation of corporate assets in the business year when corporate assets are revaluated by the corporate tax law. In such a case, it is possible to have the variations related to the revaluation process for each subject business y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mend regulations to apply tax privileges in the opposite way. As shown above, the tax privileges of the corporate tax law could provide a corporation with the effect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liquidity in the business year for the revaluation process, by actually reducing the burden for corporate taxes. Throughout this study, only the effects of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on corporate taxes has been analyzed. The influence on other tax laws has not been studied in a comprehensive way. It seems to be necessary to carry out additional studies and reviews for the revaluation of assets regarding other tax laws than the corporate tax law.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method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harmony between the current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and corporate tax law regard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and the corporate tax law on corporate taxes. 2011년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이 전면 도입되면서 기업의 재무제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형자산 재평가와 관련하여 K-IFRS를 조기에 도입하고자 종전의 기업회계기준서 제5호를 개정하여 2008년부터 선택적으로 유형자산을 재평가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2011년부터 K-IFRS가 도입되면서 기업의 자산재평가가 본격적으로 시행될 전망이다.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자산재평가는 법인세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당기순손익을 근거로 하여 과세소득을 산정하기 때문이다. 기업회계기준과 법인세법은 규정상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유형자산 재평가와 관련해서도 양자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기업회계기준은 유형자산 재평가를 허용하지만, 법인세법은 원칙적으로 재평가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하여 결산서상 당기순손익과 법인세법상 과세소득이 달라 자산재평가가 법인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유형자산 재평가와 관련하여 기업회계와 세무회계가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유형자산 재평가가 법인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기업이나 관련 기관에서 계속적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형자산 재평가와 관련하여 현행 기업회계기준과 법인세법상의 규정을 비교하여 검토․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형자산 재평가가 각 사업연도의 법인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현행 기업회계기준과 법인세법간의 차이가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자산재평가를 법인세법에서는 특별히 정하는 예외 사항을 제외하고는 재평가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기업회계기준에 의해 유형자산 재평가손익이 발생하여도 손금불산입․익금불산입의 세무조정을 거쳐 결국은 유형자산 재평가 전․재평가 후의 과세소득이 같아지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현행 법인세법 하에서는 유형자산 재평가가 법인세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서 기업회계기준과 법인세법간의 차이로 인하여 자산재평가시 세무조정사항만 증가되어 납세협력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자산재평가를 기업의 선택에 맡기는 것을 제시하였고 다만, 자산재평가를 기업이 당기손익 조절목적으로 악용하지 못하도록 자산재평가 요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둘째, 회계정보의 유용성 측면에서 법인세법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K- IFRS의 도입배경에서 보듯이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회계환경 하에서는 경제적 실질을 반영한 목적적합한 회계정보를 더 필요로 하고 있으며, 기업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목적적합한 회계정보의 산출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다. 법인세법은 자산의 취득원가만을 인정하므로 목적적합한 회계정보의 속성보다는 아직도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더 중요시 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기업의 자산재평가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 회계정보이용자에게 목적적합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보다는 자산재평가로 인하여 아무런 세금 감소효과도 없이 납세협력비용만 증가하는 단점에 더 비중을 두어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목적적합한 회계정보를 필요로 하는 이해관계자들의 의사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법인세법은 재평가를 허용하고, 그 대신 기업회계기준에서 재평가와 관련하여 발생한 재평가증․감액에 대하여 실현된 손익으로 인식하지 않고 자본에만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세무조정사항도 증가하지 않고 사후관리도 간편하며, 또한 납세자에게 추가적인 세금부담 없이 납세자가 필요로 하는 경제적 실질을 반영한 목적적합한 세무․회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유형자산의 현재가치는 그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의미한다. 이것은 기업이 보유하는 자산을 미래에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만 가능하다. 하지만 자산의 가치가 특정요인에 의해 하락하여 더 이상 회복가능성이 없다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은 미래에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또는 그 반대). 따라서 기업회계기준은 자산의 가치 하락시 그 가치 하락 분만큼 현재시점에서 실현된 손익(재평가손실)으로 간주하여 당기손실로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법인세법은 재평가손실을 손금으로 인정하지 않아 법인세감소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은 기업의 자산재평가시 법인세법에서 자산을 재평가 한 사업연도에 세액공제나 세액감면혜택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재평가 한 사업연도 마다 재평가감액과 재평가증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세제혜택이 반대로 적용되도록 법규를 개정하여야 한다. 이처럼 법인세법의 세제혜택이 기업의 입장에서는 재평가 한 사업연도에는 법인세부담이 실질적으로 감소하여 기업의 유동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는 유형자산 재평가가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만을 분석하였고, 기타 세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하지는 못하였다. 법인세법을 제외한 기타 세법에 대하여도 자산재평가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연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기업회계기준과 법인세간의 차이가 법인세에 미치는 문제점에 대하여 현행 기업회계기준과 법인세법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결정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 영어 문법 평가 유형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의 신념

        허진영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orean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bout English grammar testing type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172 pre-service English teacher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in Seoul, Korea. The Survey was composed of 25 questions. The respondents needed to refer to 9 examples of English grammar tests to answer the questions. Suggested sample tests c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4 types of response required of the learner. The survey questions were 9 items on respondents’ background, 1 item on their belief in the need of evaluating grammatical knowledge, 1 item on their judgment on the way the sample tests assessing learners, 2 items on the test effectiveness, 2 items on their preference of test use from a personal view, 2 items on their preference of test use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and 8 items on their evaluation on the test usefulness. The responses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hought that the one that measuring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through four skills(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was written composition, which belongs to the free constructed response. Second, man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chos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s(metalinguistic judgments type) as the most effective one to measure learners' grammatical ability, while choosing multiple-choice(selected response type) as the most ineffective one. From a personal view, most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o use gap-filling(constrained constructed response type) to test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ere likely to use multiple-choice(selected response type) to test learners’ grammatical competence. Third,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evaluations on the sample tests’ usefulness were high in the order of written composition(free constructed response type), gap-filling ‧ sentence combining ‧ paraphrase, completion, cloze(constrained constructed response type), error identification(selected response typ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s(metalinguistic judgments type), and multiple-choice(selected response type). The written composition(free constructed response type) was scored highest in construct validity, authenticity, interactiveness, and impact, but lowest in reliability and practicality. Contrastively, multiple-choice(selected response type) was rated highest in reliability and practicality, whereas lowest in construct validity, authenticity, interactiveness, and impa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lieve that the less controlled the test is, the more it assesses the examines’ grammatical knowledge in an integrative way. Second, taking account of the fact that respondents preferred to use gap-filling(constrained constructed response type) and regarded its test usefulness highly, it seems that they would like to use a test which they think to be useful. Third, however, there seems to be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ir personal beliefs and practical judgments. Fourth, it seems that the considerations of reliability and practicality take precedence over those of other qualities for them, and this tendency is often observed from those of test users as well. By strengthening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on the assessment and test development, we can improve their comprehension in the assessment process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st tasks. Also, by providing qualified educational settings, we can reduce differentials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performances. Further, by developing and offering test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and also have maximized test usefulness, we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esting students’ grammatical knowledge. 본 연구는 영어 문법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 유형과 문항에 대한 중등 예비 영어 교사의 신념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평가 목적에 적합하면서도 유용한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지만, 이전의 연구들은 주로 평가도구의 난이도, 변별도, 측정 결과의 신뢰성과 같은 평가 문항 본연의 성격에 관해 분석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의 출제자인 예비 영어 교사들이 영어 문법 평가와 유형에 관해 적절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평가 유형에 대해 어떠한 신념을 가졌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H 대학교에서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예비 영어 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후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확인을 위해 사용한 연구 도구는 설문지이다. 설문을 위해 영어 문법 평가의 네 가지 유형(메타 언어적 판단 유형, 선택형, 통제된 서답형, 제약 없는 서답형)에 속하는 아홉 가지 문항의 예시(문법성 판단 과업, 선다형, 오류 확인, 완성형, 빈칸 메우기, 바꾸어 표현하기, 문장 연결, 빈칸 채우기, 작문)를 제시하였다. 예비 영어 교사가 영어 문법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어떠한 신념을 가졌는지 확인 후, 예비 영어 교사들은 제시된 문항 중 통합적 언어 능력의 활용을 바탕으로 문법 지식을 평가하는 문항, 평가 문항으로서의 효과성이 높은 문항, 개인적으로 출제를 가장 선호하는 문항, 현실적으로 출제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문항, 문항의 유용성(신뢰도, 구인타당도, 진정성, 상호작용성, 영향, 실용성)이 높은 문항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해 빈도 분석과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영어 교사들은 영어 문법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어떠한 신념을 가지며, 제시된 영어 문법 평가 유형 중 통합적 언어 능력 활용을 통한 평가에 해당하는 유형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둘째, 예비 영어 교사들이 평가 문항으로서 효과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문항, 개인적으로 출제를 선호하는 문항, 현실적으로 출제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문항은 무엇인가? 셋째, 예비 영어 교사들이 시험 유용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문항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중등 예비 영어 교사는 영어 문법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비 영어 교사들은 평가 시 언어의 통합적 능력 활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유형은 제약 없는 서답형, 언어 기능의 활용을 가장 제한하는 유형은 메타 언어적 판단 유형이라고 판단하였다. 둘째, 가장 많은 예비 영어 교사들이 학습자의 영어 문법 능력을 평가하기에 제일 효과적인 문항으로 메타 언어적 판단 유형인 문법성 판단 과업, 비효과적인 문항으로 선택형인 선다형을 골랐다. 예비 영어 교사들이 개인적으로 가장 출제를 선호하는 문항은 통제된 서답형인 빈칸 채우기이며, 가장 선호하지 않는 문항은 제약 없는 서답형인 작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실적으로 가장 출제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는 문항은 선택형인 선다형이며, 가장 출제 가능성이 작을 것으로 생각하는 문항은 제약 없는 서답형인 작문이었다. 셋째, 제시된 문항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들의 시험 유용성 평가 결과, 예비 영어 교사들은 제약 없는 서답형인 작문, 통제된 서답형인 빈칸 채우기‧문장 연결‧바꾸어 표현하기, 완성형, 빈칸 메우기, 선택형인 오류 확인, 메타 언어적 판단 유형인 문법성 판단 과업, 선택형인 선다형 순서로 시험의 유용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유용성 평가의 최고점을 받은 제약 없는 서답형인 작문은, 구체적으로 구인타당도, 진정성, 상호작용성, 영향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신뢰도, 실용성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최저점을 받은 선택형인 선다형은 신뢰도, 실용성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구인타당도, 진정성, 상호작용성, 영향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언어 능력의 활용을 유도하는 유형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들의 판단을 통해 예비 영어 교사들은 시험의 통제도가 낮은 문항일수록 언어의 통합적 기능의 활용을 유도하여 문법적 지식을 평가한다고 여김을 알 수 있다. 둘째, 통제된 서답형인 빈칸 채우기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들의 개인적 출제 선호도와 시험 유용성에 대한 평가가 높은 것을 통해, 예비 영어 교사들은 시험의 유용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문항을 개인적으로도 출제하기를 선호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예비 영어 교사들의 출제 선호도와 시험 유용성 평가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예비 영어 교사들은 출제에 있어 신뢰도와 실용성을 중시하며, 이를 통해 타당도와 진정성보다는 효율성을 우선시하는 출제자들의 경향이 예비 영어 교사들에게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개인적 출제 선호도 및 비선호도, 현실적 출제 선호도 및 비선호도 사이의 비율 차이가 꽤 큰 것으로 미루어 보아 영어 문법 평가 문항 출제에 대한 예비 영어 교사들의 개인적 신념과 현실적 판단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평가 및 문항 제작에 관한 예비 영어 교사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문법적 능력의 속성과 시험 과업의 속성에 대한 출제자의 이해를 증진하고, 교육 환경의 한계로 인한 교사의 신념과 수행 사이의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 환경 조성에 힘써야 한다. 또한, 통합적 언어 능력 활용을 통한 영어 문법 평가를 위해 시험 목적에 적합하면서도 시험 유용성이 극대화된 문항을 개발하여 제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활동기준 원가관리기법의 도입이 성과평가유형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왕영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01

        기업의 제조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원가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제조간접비 배부의 부적합으로 인한 제품원가정보의 왜곡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최근 이러한 원가정보의 왜곡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조기업들을 중심으로 활동원가관리(ABC/ABM) 등 전략적 원가관리 기법을 실무에 도입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재무적 성과평가지표 중심의 전통적인 성과평가 제도의 문제점이 제시되면서 고객만족도 등 비재무적 지표의 비중을 확대한 전략적 성과평가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업 내에서 ABC/ABM 등 전략적 원가관리기법의 도입여부와 채택된 성과평가 유형이 재무적 혹은 비재무적 성과평가 지표 중심인지의 여부에 따라 기업의 경영성과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ABC/ABM도입과 성과평가유형 그리고 기업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에서는 ABC/ABM도입과 기업성과와의 관계, 성과평가 유형과 기업성과의 관계 등에 대하여 부분적인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그 연구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ABC/ABM의 도입과 성과평가 유형 그리고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ABC/ABM도입이 기업의 성과평가 유형에 미치는 영향, 둘째, ABC/ABM의 도입여부에 따라 기업성과에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 셋째, 기업에서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가 중시될수록 기업성과가 향상되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ABC/ABM도입 후 활용정도가 성과평가 유형을 통해 기업성과에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BC/ABM을 도입한 기업과 미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BC/ABM을 도입한 기업들은 미도입 기업보다 비재무적 성과평가 지표를 약간 더 중시하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BC/ABM을 도입한 기업이 미도입 기업보다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와 유사한 결론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기업이 비재무적 성과평가 지표를 중시할수록 기업성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전통적인 재무적 성과평가 중심의 성과평가유형에서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를 중시하는 유형으로 전환된다면 조직에서 장기적인 목표의 지향과 미래성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며 궁극적으로 기업성과가 향상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넷째, ABC/ABM도입 후 활용도는 비재무적 지표의 중요도를 통하여 기업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ABC/ABM의 도입에 따라 기업성과가 차이가 있으며, 성과평가 유형을 비재무적 지표 중심으로 유지할 때 기업성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기업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현재 혁신적 관리기법을 도입한 기업들은 조속히 전략적 성과평가시스템으로 변형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ABC/ABM과 같은 혁신적 관리기법을 도입할 계획이 있는 기업들은 관리기법의 도입 시에 성과평가유형도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With changes in corporate operating environment, traditional cost management systems indirect costs allocation methods have resulted distorted unit cost of products, which has become an issue. Due to the distortion,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o use Activity Based Costing/Activity Based Management (ABC/ABM) and other strategic cost management techniques. Problems with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based on financial measures increased importanc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based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s (e.g. customer satisfaction). Studies show that corporate performance can be impacted by whether a company uses ABC/ABM or other strategic cost management methods and by whether the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is based on financial or non-financial measure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implementation of ABC/ABM,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and corporate performance. Previously, studies had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BC/ABM implem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nd corporate performance. Results of those studies have varied, and very few studies have systemat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ABC/ABM implementation,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and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one, the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on type of measures used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two, the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three, impact of evaluation system with non-financial focus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four, the combined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and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on corporate performance. The study was conducted via questionnaire to companies that were or were not using ABC/ABM.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test hypothese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companies that use ABC/ABM emphasize slightly more, but statistically inconclusive, non-financial measures than companies that do not use ABC/ABM. Second, companies that use ABC/ABM have better corporate performance than companies that do not;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findings from other existing studies. Third, companies that emphasize more non-financial measures have better corporate performance than companies that use more financial measures. Companies that move from using traditional financial measures to using non-financial measures can be expected to have set long-term goals and improved ability to predict future results which ultimately results in improved performance for the company. Fourth, using ABC/ABM along with using non-financial measures do result in improved corporate performance. According to this study, use of ABC/ABM makes an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using non-financial measures for performance measurement results in improved corporate performance. Therefore, for improved corporate performance, companies currently changing into a new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should modify their system to include more non-financial measures. In addition, companies that plan to implement ABC/ABM or other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should focus on non-financial measures when implementing the methods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듣기 이해력 평가를 위한 Multiple-Choice, Multiple-Choice Cloze와 Open-Ended 시험 유형 비교 연구

        권세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0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에서 듣기의 비율을 최대 50%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에 따라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판별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듣기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듣기 이해력이 선택형인 multiple-choice (MC), multiple-choice cloze (MCC)와 산출형인 open-ended (OE) 응답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각 응답 유형에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전략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02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하나의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여 12주에 걸쳐 4주의 간격을 두고 모든 학습자는 1차 실험에서 OE 응답 유형, 2차에서 MC 응답 유형, 그리고 마지막 3차 실험에서 MCC 응답 유형의 영어 듣기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듣기 평가 이후, 각 응답 유형에서 학습자들이 사용한 듣기 전략과 각 유형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구성한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의 듣기 이해력은 제공되는 응답 유형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MC 응답 유형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받았고, 다음으로 MCC 유형이며, OE 응답 유형에서 가장 저조한 성적을 받았다. 둘째, 문제에서 선택지까지 음성으로만 제공되는 3가지 응답 유형의 듣기 평가는 듣기 이해력이 상위그룹인 학습자와 하위그룹의 학습자를 구별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듣기 평가 유형이 평가로서의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상위그룹의 학습자와 하위그룹의 학습자는 각각의 응답 유형에서 다른 듣기 전략을 사용하였다. 하위그룹의 학습자에 비해 상위그룹의 학습자는 다양한 듣기 전략과 다년간의 경험으로 습득한 시험 전략을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주로 산출형 응답 유형에서는 메모와 관련된 전략을 사용하였고, 선택형 응답 유형에서는 선택지를 토대로 유추하는 방법과 문제 유형에 따른 선택적 듣기를 하고 있었다. 넷째, 실험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듣기 능력 수준에 따라 적절한 응답 유형이 다르다고 인식하였다. 초급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현재 영어 듣기 평가와 동일한 유형인 MC를, 중급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발문형태가 다르나 MC처럼 선택지가 있는 MCC를 적절한 평가 유형으로 인식하였으며, 상급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제공된 대화문을 정확히 이해해야만 답안 작성이 가능한 OE 응답 유형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학습자의 듣기 이해력이 응답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MC 응답 유형으로만 구성된 현재의 듣기 평가는 학습자의 듣기 이해력을 정확하게 진단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듣기 이해력 수준에 따라 적절한 평가 유형이 다르다는 점에서 모든 수준의 학습자가 단일 유형으로만 이루어진 하나의 듣기 평가를 동시에 응시할 경우, 이러한 듣기 평가는 모든 수준의 학습자에게 적절한 평가 유형이라고 볼 수 없다. 본 연구 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교사나 듣기 평가 개발자가 듣기 평가를 구성할 때 본 연구에서 하나의 예로 제시한 혼합형 듣기 평가 한 세트를 참고하여 현재의 선택형 응답 유형인 MC 외에도 산출형 응답 유형인 OE와 또 다른 선택형인 MCC를 혼합하여 듣기 평가를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듣기 이해능력을 다양한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사는 학습자의 듣기 이해능력에 따라 산출형과 선택형 응답 유형의 비율을 조정하여 듣기 평가에 사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과 듣기 학습을 촉진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사는 학습자의 듣기 이해력 수준에 따라 음성 언어 자료와 인쇄된 언어 자료의 양을 조절하여 듣기 평가를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음성 언어 자료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ree-folds, 1) to examine whether the Korean EFL learners'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differs according to the three test types of multiple-choice (MC), multiple-choice close (MCC) and open-ended (OE); 2) to identify learners' strategies used in the MC, MCC and OE test types; 3) to provide suggestions for evaluating listening comprehensio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102 students in the 11th grade from S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advanced and low levels based on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2 weeks with a four-week interval between each type of listening test. In a within-subject design, every student performed in all three test types respectively: OE test type in the first experiment, followed by MC test type in second experiment, and MCC test type in the last experiment. After each test, students also took part in a survey about each type of test. To verify the purposes, all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scores that were obtained from each experiment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was evaluated differently by the three test types of MC, MCC, and OE. Learners scored the highest in the MC test, followed by the MCC test. Scores from the OE test recorded the lowest. Second, each test type with its listening text, questions, and options provided aurally, manifested a significant discriminating power to classify leaners' listening proficiency level. Third, both advanced and low level learners use different strategies to solve given questions in each test type. Advanced level learners utilized varied listening strategies and test-taking strategies as compared with low level learners. Various note-taking strategies were employed in the OE test. However, in the MC and MCC test types, learners tended to get cues to solve the question or guess the answer by using the given options and listening selectively. Fourth, there was an appropriate test type for each comprehension level.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MC test type was the most acceptable listening assessment tool for the low level learners due to its similarity with the present listening test type in schools. The MCC type was chosen for the intermediate level learners due to its different question format, compared to the MC test type. Additionally, the survey indicated the OE test type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advanced level.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listening evaluation are proposed. First, test developers or teachers should design a listening test that contains both open-ended and multiple-choice test type styles to assess the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in diverse aspects. Second, in accordance with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applying a certain proportion of each test type to produce a listening test may facilitate learners' listening ability and learning. Lastly, teachers could adjust the amount of printed information and aural information in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according to the learners' listening proficiency level. This will help improve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of information provided orally.

      • 평가유형과 실행의도가 자기손상화에 미치는 영향

        지형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시험을 앞둔 친구에게 공부를 많이 했는지 물어보면 어찌된 일인지 공부를 많이 했다고 대답하는 친구들은 드물다. 그리고 몇몇 친구들은 아예 공부를 포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모름지기 노력을 하지 않았을 때 실패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열심히 노력했는데도 실패를 겪는다면 스스로에게 상처가 될 뿐 아니라 타인으로부터 무능하다는 손가락질을 받을 수 있다. 그렇기에 어떤 이들은 아예 노력을 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나는 원래 이 정도로 못하는 사람은 아니다’, ‘나는 적어도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와 같은 변명에 설득력을 얻고자 한다. 이처럼 실패에 대한 대비책을 만드는 행동을 자기손상화(self-handicapping)라고 부른다. 하지만 문제는 자기손상화가 심하게 사용될 경우 진정한 발전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조차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되어 결국은 변명만 늘어놓는 거짓말쟁이가 되기 쉽다는 데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기손상화는 자기 평가, 불안, 건강,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자기존중감과 상호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 놓여있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만일 자기손상화가 사회생활에 대한 개인의 부적응을 유발하고 특히 학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정신적 건강, 학업 수행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면 학생의 건강한 성장과 심리적 건강을 위해서도 자기손상화를 덜 하게 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험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유형(준거지향평가 vs. 규준지향평가)과 실행의도의 설정 여부(실행의도를 세움 vs. 실행의도를 세우지 않음)가 행동적 자기손상화와 자기보고적 자기손상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이러한 자기손상화의 수준이 과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우선 어떠한 평가유형을 유지하느냐에 따라 행동적 자기손상화와 자기보고적 자기손상화의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했다. 즉, 준거지향평가 환경에 있던 참여자들의 행동적 자기손상화 빈도와 자기보고적 자기손상화 성향은 규준지향평가 환경에 있던 참여자들의 결과 값에 비해 더욱 낮게 나타났다. 이는 타인과의 비교와 경쟁이 존재하지 않는 준거지향평가의 환경이 대학생들의 자기손상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주요한 꼭지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또 다른 관심 주제였던 실행의도의 유무가 자기손상화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손상화가 과제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실험설계 과정에서 발생한 제한점으로 이에 대해서는 논의와 제한점 부분에서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경쟁이 치열하고 타인과의 비교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에서는 상당수의 학생들이 잠재적 실패에 대비해 미리 다양한 변명거리를 만드는 경향이 있다. 많은 학생들은 타인과의 비교 상황에서 시험 불안, 실패 공포, 심리적 무기력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 때 주변인들은 조력자가 아닌 경쟁대상으로 인식된다. 이런 환경 속에서 학생들은 성공이 불확실할 때 자신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게, 그리고 주변인들에게 창피를 당하지 않기 위해 자기손상화를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평가유형은 개인의 특성이나 성향을 떠나 교수자들이 실제적으로 처치할 수 있는 부분이며, 학급 내에서 이루어지는 시험, 토론, 학습과 같은 과제에서 준거지향평가를 활용함으로써 과도한 경쟁을 지양하고, 나아가 학생의 행동적, 정서적 측면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인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시사점을 갖는다.

      • 초, 중등학생의 자기 역량에 대한 평가유형과 공격성간의 관계

        윤현경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70

        Accepting the discrepancy model between aggression and egotism as a basic premise and considering a gap between self-perceived appraisal and others-perceived appraisal as threatened egotism,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reatened egotism and aggression according to gender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appraisal by others was done by teachers. The study set it as inflated appraisal and deflated appraisal when self-perceived appraisal was higher and lower than appraisal by teachers, respectively. Efforts were made toward stratified sampling to sample students including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seventh, eighth, and ninth graders in middle school from various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 study analyzed 419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20 classes in 13 elementary schools and 502 seventh, eighth, and ninth graders from 19 classes in ten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e highest correlations between self- and teachers-perceived appraisal in scholastic and athletic competence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ed to underestimate themselves in all the subareas of competence except for athletic competence, whereas middle school students tended to underestimate themselves in scholastic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al conduct and overestimate themselves in athletic competence, and physical appearance. Both the groups showed a very strong tendency toward deflated appraisal in behavioral conduct.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competence by the gender and aggression by the appraisal typ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groups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competence and subfactors of aggression. A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 showed a high level of aggression in athletic competence, and boys and deflated appraisal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aggression in physical appearance. A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flated appraisal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aggression in all the areas except for scholastic competence. Fourth, there was difference in the relative size of aggression prediction by self-appraisal for the subareas of self-perceived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groups. While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social competence, and athletic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boys in elementary school,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girls.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global self-worth,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boys in middle schools, whereas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global self-worth, social competence, and scholastic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girl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a hasty decision to reject unconditionally the low egotism hypothesis between aggression and egotism and accept the discrepancy model. It should be a top priority to help girl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ho especially have much lower self-confidence, boost their egotism. Second, physical appearance has huge impacts on the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urgently calls for measures. That is, an approach will be needed to focus on internal psychological growth by helping them recognize they have various competences. Finally, the findings imply a need to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by the gender, subareas of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subfactors of aggression when developing a program to reduce the aggress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본 연구는 공격성과 자존감의 불일치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이 지각한 평가와 타인이 지각한 평가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위협받는 자존감으로 보고, 위협받는 자존감과 공격성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별로 비교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타인의 평가는 교사가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자신이 지각한 평가가 교사의 평가보다 더 높은 경우를 과대평가로, 자신이 지각한 평가가 교사의 평가보다 더 낮은 경우를 과소평가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과 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교의 학생들이 표집 될 수 있도록 유층표집을 지향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13개 초등학교 20학급, 5~6학년 학생 419명과 10개 중학교 19학급, 1~3학년 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에 대한 자기-교사 평가 간의 상관은 초등학생은 학업능력이, 중학생은 운동능력이 가장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은 운동능력을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에서 과소평가를 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중학생은 학업능력, 사회적 능력, 그리고 행동․품행에서는 과소평가를, 운동능력과 신체․용모에서는 과대평가를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행동․품행에서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매우 높았다. 셋째, 초․중등학생의 역량에 대한 성별과 평가유형별 공격성의 차이는 역량의 하위영역에 따라, 공격성의 하위요인에 따라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등학생은 운동능력에서는 남학생의 공격성이, 신체․용모에서는 남학생과 과소평가 집단의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고, 중학생은 학업능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과소평가 집단의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기역량지각의 하위영역에 대한 자기평가가 공격성을 예언하는 상대적 크기는 성별 및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남학생은 행동․품행, 사회적 능력, 운동능력의 순으로, 초등학교 여학생은 행동․품행, 사회적 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남학생은 행동․품행, 전반적 자아가치감, 사회적 능력의 순으로, 중학교 여학생은 행동․품행, 전반적 자아가치감, 사회적 능력, 학업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공격성과 자존감 간의 관계에서 낮은 자존감 가설을 무조건 부정하고 불일치 모형을 수용하는 것은 성급한 태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신감이 많이 낮은 현 초등학생들과 중학교 여학생들에게는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더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신체․용모가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즉, 다양한 역량이 자신에게 있음을 지각하게 함으로써 심리내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제작 시 성별과 역량지각의 하위영역, 그리고 공격성의 하위요인별 개인차를 고려하여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온실효과와 지구온난화에 대한 평가유무 및 평가유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학생의 과학개념 이해

        이서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68

        본 연구에서는 시험 효과에 기초를 두고 평가의 유무와 평가 유형이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남녀공학중학교 1학년 4개 학급 1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3개 학급 11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 35명을 통제집단으로 임의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플로우 맵을 이용하여 수업 전 학생들이 가지고 있던 온실효과와 지구 온난화에 관련한 인지 구조를 파악하였다. 그 후 2주 4차시에 걸친 수업 진행 후 온실효과와 지구 온난화에 관련한 세 종류의 평가 문항 (선다형 평가 (MCT), 참 진위형 평가 (CCT), 오 진위형 평가 (ICT))을 개발하여 실험집단에게는 선다형 평가, 참 진위형 평가, 오 진위형 평가를 각각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시험 종료 2주 후, 모든 집단 학생들에게 플로우 맵을 다시 그리게 하여 온실효과와 지구 온난화에 관련한 학생들의 인지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를 실시한 학생들의 온실효과와 지구 온난화에 관련한 과학 개념의 증가율은 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학생들보다 높았다. 이는 평가의 실시 여부가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참 진위평 평가로 시험을 본 학생들의 과학 개념 증가율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제일 높았으며 선다형 평가 집단과 오 진위형 평가 집단에서는 과학 개념의 증가와 함께 오개념도 증가하었다. 이는 평가가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도움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와 평가 문항에서 제공되는 문제부와 선택지의 잘못된 과학 개념을 학생들이 평가 도중에 학습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학교 현장에서 평가를 시행할 때 시험 효과의 긍정적인 면을 최대한 이용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오개념이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양하는 문항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경쟁브랜드 플러팅이 선호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효과 : 선택장면에서 평가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선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4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effect of positive interaction with other brands on ther preferred brand, despite having a preferred brand. In particular, the this study aimed to testifiy that competing brand flirting experiences don’t always drive brand switching, even competing brand flirting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ferred brand depending on how consumer evaluate alternatives. Specifically, previous study(Consiglio et al 2018) revealed that from a consumer’s point of view, consumers who are commitment in the preferred brand, and positive arousal caused by the flirting if the flirting brand is similar to the preferred brand, transfer to the preferred brand,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eferred brand. Further from the previous study,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dict and examined that, from a preferred brand perspective, consumers' evaluation of the anticipated satisfaction of the alternatives in purchasing them would increase their preference for the preferred brand by activating the mental imagery of the alternatives. In order to verify this, two studi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study 1, In the anticipated satisfaction evaluation, the choice of preferred brand increased in the condition of flirting, but the choice of preferred brand decreased in the choice-oriented evaluation. As predicted in this study, Study 1 revealed that the effect of brand flirting on preferred brand varies depending on the evaluation type. In study 2, it was intended to verify how directly appealing the evaluation type can lead to positive effects of brand flirting and to verify that in the brand flirting, the effect of evaluation type on preferred brand is mediated by the activation of mental imagery. As a result of study 2, when evaluating anticipated satisfaction in the same way as the results of study 1, the choice of preferred brand increased in the condition of flirting, but the choice of preferred brand decreased in the choice-oriented evaluation. In particular, when brand flirting, the effect of evaluation type on the preferred brand was mediated by mental imagery activation. This study examined that preferences for preferred brands vary depending on how they are evaluated for alternatives after experiencing brand flirting. This is meaningful in that despite experiencing other attractive brands, it has provided strategic measures to prevent consumers from brand switching a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ferred brands by activating mental imagery processing of alternatives. 본 연구는 선호브랜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브랜드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선호브랜드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했다. 특히 경쟁브랜드플러팅을 경험하는 것이 항상 브랜드 전환이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경쟁브랜드 플러팅을 하더라도 소비자들이 대안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선호브랜드에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Consiglio et al 2018)에서는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 플러팅이 선호브랜드에 몰입된 소비자, 플러팅 하는 브랜드가 선호브랜드와 유사한 경우에 플러팅으로 인해 유발되는 긍정적 각성이 선호브랜드에 전이되어 선호브랜드에 긍정적 효과를 미침을 밝혔다. 이에,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선호브랜드 관점에서 브랜드 플러팅 후 소비자들을 대안들을 구매시 예상된 만족을 평가하게 할 경우 대안들에 대한 심상이미지가 활성화 되어 선호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증가함을 예측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총 2개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1의 결과, 예상된 만족을 평가하게 했을 때, 브랜드 플러팅을 할 경우에는 선호브랜드에 대한 선택이 증가하였으나 선택중심 평가를 하게 했을 때는 선호브랜드에 대한 선택이 감소하였다. 브랜드 플러팅 무 조건에서는 평가방식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예측대로 연구 1은 평가방식에 따라 브랜드 플러팅이 선호브랜드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짐을 밝혔다. 연구 2는 평가방식을 직접적으로 어떻게 소구하는 것이 브랜드 플러팅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 수 있는지 검증하고, 브랜드 플러팅할 경우 평가방식이 선호브랜드에 미치는 효과가 심상이미지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연구 1의 결과와 동일하게 브랜드 플러팅을 한 경우, 예상된 만족을 평가하게 했을 때 선호브랜드에 대한 선택이 증가하였으나 선택중심 평가를 하게 했을 때는 선호브랜드 선택이 감소하였다. 특히 브랜드 플러팅을 할 경우 평가방식이 선호브랜드에 미치는 효과는 심상이미지 활성화가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플러팅을 경험 후에 대안들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하게 하느냐에 따라 선호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달라짐을 검증하였다. 이는 다른 매력적인 브랜드를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대안들에 대한 심상이미지처리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소비자의 브랜드 전환을 막고 선호브랜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전략적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評價問項類型에 따른 國民學生의 學習戰略과 問項選好度 分析

        박용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pupils'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to test-item format.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student's preference to test-item format ?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est-item format ? The 327 sixth graders of 3 elementary schools (one located in city, another in town, the other in subcountry) were sampled. Questionnaires, such as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preference questionnaire toward test-item format,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 x^(2) ANOVA, MANOVA and Regression using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to test-item forma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not only academic achievement level hut also sex. However, there v 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gion. The test-item format to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the most was the objective format. The mixed format and subjective format were next to tha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est-item format. Learning strategy score of thc subjective e forma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ixed and objective format. In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learning strategy score of high and middle group was different significantly, but that of low group was not different. Also, the learning strategy score according to thc preference was different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eachers re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subjective format because the learning strategy score of that was the highest. However, it is desirable to increase gradually the subjective format in harmony with the objective fermat for constructing valid classroom test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