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多段階販賣에 관한 實證的 分析

        노정철 明知大學校 流通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7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the Ministry of Trade in 1997, a Multi Level Marketing is a fast developing industry in Korea. In spite of a swift change in the Physical Distribution, it made great strides after 1995. But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Multi Level Marketing, it gave many negative impressions to the people. Because people is regarding a Multi Level Marketing as a Pyramid Selling. In fact, a Multi Level Marketing is very similar to a Pyramid Selling in some points. But it differs from a Pyramid Selling. They are - it isn't essential for costs of entrance. - it's income is just sales by sellers. - it is legal. - it's entrance and withdrawal is free by his free will. In order that a Multi Level Marketing in Korea has good impressions, sellers and related company will have to conquer some difficulties in unison. If it defeats bad impressions, it'll develop more and more.

      • 판매 서비스 접점에서의 대고객 커뮤니케이션에서 판매원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신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판매 상황에서 판매원과 소비자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태도 형성 및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판매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경로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주변경로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2가지 요인으로 분류하고,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신체언어, 공간적 행위, 소리 행위, 신체적 외향을 4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소비자 태도를 매개로 재구매 의도와 구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설 검증 결과 판매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소비자의 태도 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와 같은 태도 형성은 구전 효과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된 구전효과는 재구매의도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다만 판매 상황에서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 차이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소비자의 제품 구매 상황에서 판매원의 제품에 대한 설명과 같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태도 형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판매원이 제공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이므로 판매 상황에서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소비자의 태도 형성과 관련하여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언어적 양상의 의미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할 뿐만 아니라 느낌이나 감정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각각의 커뮤니케이션이 동등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가설 검증 결과를 통해 판매원이 소비자 접점에서 적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할 경우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며 이는 곧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판매 접점에서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판매원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영향력을 연구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sales person's verb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n consumer's intention to rebuy and word-of-mouth through consumer attitude at a sales encount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vides the salesperson's verbal communication into two main factors, main path of verbal communication and the peripheral path of verbal communication, and divides non-verbal communication into four main factors, kinesics, proxemics, vocalics and physical-appearance. As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this research identify that salesperson's verb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ave a positive effects on forming comsumer attitude, consumer's attitude which is formed throug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buying intentions and word-of-mouth, also word-of-mout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buying intentions. Just in the sales circumstance, the hypothesis about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of verb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s rejected. Thes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shows that a salesperson's both communication skills have a positive effect on formation of consumer's attitude when the salesperson use appropriat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consumer, which influences on consumer buying behavior by forming positive attitude to company providing product and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strategic implications by studying the influence of salesperson'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s significant element which can form the positive attitude of consumers at a sales encounter.

      • 판매원의 속성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영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연구자가 회사의 영업 활동을 통해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영업사원으로서 영업활동을 펼쳐 갈 수 있을지를 고민하게 되면서 작성하게 되었다. 우선 연구에서 다루게 되는 자기조절초점은 인간이 갖게 되는 성향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목표의 성취에 집중하는 향상초점과 실패의 예방에 집중하는 예방초점으로 나누게 된다. 이런 향상 또는 예방초점의 소비자에게 판매자의 속성(전문성, 고객지향성, 신뢰성, 호감성)중 어떤 속성이 소비자 태도에 긍정적이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고민을 하게 되면서 작성하게 되었다. 기존 선행 연구를 살펴보며 판매원의 속성이 소비자의 구매만족에 영향이 있다는 연구를 살펴봄과, 자기조절 초점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며, 판매원의 속성 중 전문성과 신뢰성은 예방초점 성향의 소비자에게 영향을 끼칠 것과 고객지향성과 호감성은 향상초점 성향의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구매태도를 갖게 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워 연구하였다. 자기조절초점 척도에 대한 문항은 18개, 판매원 속성에 대한 문항 18개, 소비자태도에 대한 문항 4개 총 40개의 문항이 개발되었으며, 빈도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또한 판매원 속성과 소비자태도, 자기조절초점이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 개발과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판매원의 속성이 영향이 많이 반영되는 자동차판매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선행연구에서는 판매원의 속성이 고객만족에 영향이 있다는 연구가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예방초점의 소비자에게 판매원의 속성 중 신뢰성만이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나머지 판매원의 속성과 자기조절초점 성향에서 소비자의 태도와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는 기업의 영업사원 판매촉진 전략에 신뢰성을 집중하며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으로는 판매자 속성에 대한 소비자태도의 해석 및 긍정적으로 이끄는 요소들을 더 다차원적으로 연구 할 필요가 있다는 한계점을 제시한다. I wrote this research for how salesperson can be better to do their performance in their sales market. There is the theory "Self-regulation focused" that it is devided two type of people which is promotion focused and prevention focused. There were many researches and studies for Self-regulation focused but not many for related purchaser and salesperson performance. so I studied Self-regulation focused and wrote if who someone purchaser is promotion focused or prevention focused what salesperson performance makes the purchaser to have a better attitude to salesperson. I made a questionnaire that eighteen questions of Self-regulation focused and eighteen questions of salesperson attributes which are expertise, customer orientation, reliability, likeability and four questions of purchasers attitude. I gave this questionnaires to whom have a experience to buy automobile him or herself. I could received 200 sheets of answer. I studied it and analyzed the data by analysis of frequency, reliability,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reliability of salespersons effects to consumer attitude who is prevention focused. The other attributes of a salesperson don't effect to consumer attitude. In case of the attributes of a salesperson and consumer attitude are seen low influence. In other word, we need to study more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d purchase, pre-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Their attributes of a salesperson and consumer attitude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 매장 내 판매촉진매체로서 제품정보제안 카드의 사용자태도에 관한 연구

        김희선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Many businesses are trying to make strategic use of various marketing communication means, not only one promotion means, as they feel that advertising impacts are limited in the marketing communication simply depended on only advertisement. In such conditions,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ed marketing is getting bigger for the key target of large-sized mart, which consumer brackets of large-sized mart may be potential customers and key customer brackets of businesses. The advertisement application plans and real performance cases of large-sized mart medium, and the research data of advertising impact will be applied for explaining the importance of large-sized mart marketing. And the strategic marketing using various advertisement media of large-sized mart is indispensable to businesses. The equipping of advertising pamphlets will be an important means which communicates information required to rational decision making, and remembers brand products to purchase goods, when they have got goods in front of their eye in stores. In the conditions that studies on the sales promotion medium of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do not exist at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medium types of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for only search, to focus on the close examination into the medium, and their attitude and response. It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on their attitude in the large-sized discount marts through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r recognition, attitude, purchasing behavior based on the theory for their attitude. It is to contribute to the sales boost of businesses and distributors by examining into their recognition of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for motivating their purchase in stores, and the effect of their recognition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For this, the users attitude of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was classified into interest, utility and application, which the appl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satisfaction. The concrete description of this result was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users attitude toward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on brand attitude in store showed that if the interest and utility toward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is high, the brand attitude is also increased, which the utility had bigger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than the interest. Second, the effect of users attitude toward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on purchasing intention showed that if the interest and utility toward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is high, the purchasing intention is also increased, which the utility had bigger effect on the purchasing intention than the interest. Third, the application as proposed in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showed that 129 persons (56.1%) of whole 230 persons surveyed are applying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which consumers recognition and interest in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were reflected to their application. The applied frequency is high, the influenc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s also getting bigger. Fourth, the brand application as proposed in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showed that many respondents are still purchasing brand products indicated in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and usual preferring brand products.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provided brand had higher effect on the product purchase than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unprovided brand, which they could not already disregard the power of individual preferring brand. In other words, variables in the product selection of the applying brand had changed a great deal, as needed. Fifth, the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satisfaction after the application of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showed that if the application is high, th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satisfaction are also increased, which they were also inclined to recommend the brand product to other people. Consequently, consumers may rationally purchase brand products through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and the product data suggestion card may be a marketing means that has synergistic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 little help to businesses and distributors in establish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on consumers. 단순히 광고에만 의존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대부분 기업들은 광고효과에 한계를 느끼고 있으며, 한 가지 촉진수단만이 아닌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대형마트의 핵심타깃에 대한 차별화된 마케팅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대형마트를 방문하는 소비자층은 기업이 찾고 있는 잠재고객이자 주요 핵심고객층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형마트 매체의 광고 활용방안 및 실제집행 사례, 광고효과 조사자료 등은 왜 대형마트 마케팅이 중요한가를 설명해 줄 것이며, 대형마트의 다양한 광고매체를 활용한 전략적 마케팅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가 상품을 눈앞에 두었을 때,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정보전달을 하고, 브랜드의 제품을 상기 시켜 구매로 연결 시켜주는 광고물의 비치는 중요할 수단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제품정보제안카드라는 판촉매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탐색적으로나마 제품정보제안카드라는 매체 유형을 설정하고, 그 매체와 소비자태도 반응에 대한 규명에 초점을 맞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소비자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요소인 인지, 태도, 구매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통하여 제품정보제안카드가 대형할인마트 내에서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매장 내 소비자의 구매동기를 불러일으킬 제품정보제안카드를 소비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브랜드태도와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대한 실효성을 검증하고 그 효과를 연구함으로써, 기업과 유통업체의 매출증대에 기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태도를 관심도, 효용도, 활용도로 구분하여, 매장 내 제품정보제안카드를 소비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의 사용자태도 (관심도, 효용도)를 살펴보고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고, 제품정보제안카드 제안대로 활용한 사용자들의 활용실태와 활용 후, 활용도가 브랜드태도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결론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본다면, 첫째, 매장 내 제품정보제안카드 사용자 태도(관심도, 효용성)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제안카드에 관심도와 효용성이 높아질수록 브랜드태도는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효용성은 관심도보다 브랜드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둘째, 제품정보제안카드에 대한 사용자태도(관심도, 효용성)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품정보제안카드에 대한 관심도와 효용성이 높아질수록 구매의도는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효용성은 관심도보다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셋째, 제품정보제안카드 제안대로 활용한 사용자들의 활용도를 분석한 결과는 전체 조사대상자 230명중 129명(56.1%)이 제품정보제안카드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제품정보제안카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와 관심이 활용도에 반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활용빈도수가 많을수록 브랜드 태도와 구매에 대한 영향력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제품정보제안카드 활용자를 대상으로 제품정보제안카드대로 활용 시 정보제안카드 관련 브랜드를 사용하는지를 분석한 결과로는, 제품정보제안카드에 나온 브랜드의 제품과 평소 선호하는 브랜드의 제품을 병행해서 구입하는 수가 아직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정보제안카드의 구매영향 결과는 제품정보제안카드를 제공한 브랜드가 비제공한 브랜드 제품보다는 높게 나타났지만 이는 소비자가 이미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브랜드파워를 무시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활용하는 브랜드의 제품선택에 있어서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변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제품정보제안카드 활용 후, 브랜드태도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활용도가 높아질수록 브랜드 태도와 구매만족도는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브랜드 제품에 만족한 소비자는 다른 사람에게도 추천할 의향을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제품정보제안카드를 통해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고, 제품정보제안카드는 브랜드태도와 구매만족도에 상승효과를 주는 마케팅 수단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기업과 유통업체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판매성과와 목표지향성, 이러닝 만족도, 학습지원환경의 관계

        심수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판매성과와 목표지향성, 이러닝 만족도, 학습지원환경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3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목표지향성과 이러닝 만족도가 판매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의 구명, 둘째,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목표지향성과 판매성과의 관계에서 이러닝 만족도의 매개효과 구명, 셋째,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목표지향성과 판매성과의 관계에서 학습지원환경에 의해서 조절된 이러닝 만족도의 매개효과 구명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표 모집단은 국내 소매업에 종사하는 매장 판매원 전체이다. 통계청의 자료를 통해 모집단을 추정한 결과 약 54,149여명이 해당 모집단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0월 12일부터 11월 4일까지 설문을 배포 및 수집해 387부의 유의미한 응답지를 확보하였다. 질문지는 5점 리커트 척도로 판매성과(7문항), 목표지향성(11문항), 이러닝 만족도(8문항), 학습지원환경(12문항), 일반적 특성(6문항)으로, 총 4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도구 타당성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전문가 4인) 및 안면타당도(전자제품 판매원 2인, 판매원 대상 교육기획 전문가 2인)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상관분석, 차이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연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상관분석을 활용하였다. 또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 구명을 위해 차이분석을 통해 판매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통제한 뒤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구명을 위해서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4와 model 7을 활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미성은 사회과학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05수준에서 판단하였으며 .01수준에서 유의미한 변인은 별도로 표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목표 지향성과 이러닝 만족도는 판매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목표지향성과 판매성과의 관계에서 이러닝 만족도를 통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지원환경은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목표지향성과 판매성과의 관계에서 이러닝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목표지향성과 이러닝 만족도는 판매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 연구를 지지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목표지향성의 두 유형을 상호 공존이 가능한 개념으로 다루었으며 개인의 성과인 판매성과를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개인의 판매성과가 높을 것임을 밝혀냈다. 둘째, 목표지향성은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판매성과에 직접효과 및 이러닝 만족도를 통한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매업 매장 판매원이 높은 학습 및 성과목표지향성을 가질수록 이러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며 이러한 이러닝 만족도의 결과 판매성과가 향상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습지원 환경은 소매업 매장 판매원의 목표지향성과 판매성과의 관계에 대한 이러닝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매업 매장 판매원을 둘러싼 환경이 학습에 대해 우호적이며 학습 참여 및 배운 내용의 활용을 촉진하는 분위기일수록 목표지향성을 지닌 개인이 이러닝 만족도를 통해 판매성과를 높이려는 경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소매업 매장 판매상담사의 판매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그를 둘러싼 조직, 상사 및 동료가 학습지원적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조직에서 학습을 중시하고 독려하는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판매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변인의 수준 및 영향관계 등이 상이할 수 있다고 판단, 전자제품 판매원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전자제품이 아닌 생필품, 식품, 화장품, 자동차 등을 판매하는 다양한 판매원에 대하여 동일한 연구를 시행하여 판매 제품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면 연구의 확장에 도움될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목표지향성을 분리해 연구를 수행해봄으로써 이러닝 만족도, 판매성과, 학습지원환경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유형의 목표지향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이러닝 만족도 대신 이러닝 전이를 변인으로 활용하거나 이러닝 만족도와 판매성과 사이의 매개 혹은 조절효과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활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러닝 만족도는 목표지향성 외에도 개인적 특성, 내용적 특성, 교수방법 등 다양한 측면의 영향을 받으므로 이러한 다양한 개입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를 활용함에 있어 다양한 맥락에 놓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 일반화하는 것에 주의하고 연구결과를 적용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satisfaction of e-learning,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sales performance of the offline retail salesperson. To satisfy the research goal, the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are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s the direct effect of goal orientation and e-learning satisfaction on sales performance. Second, the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e-learning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sales performance. Third, the study verifie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learning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sales performance, given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as the moderator.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targeted at the offline retail salesperson in South Korea. The population included 54,149 people, which were taken from data estimated by Statistics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2 to November 4, 2021 for three weeks via an online survey system and 387 responses were collected, which were used for analyzing. The research instrument consisted of 44 items, among which were 7 items on sales performance, 11 items for goal orientation, 8 items for e-learning satisfaction, 12 items for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6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ool, cont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four experts and facial validity was confirmed by two electronic product sales experts and two education planning experts for salesperson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level of perceptions on each variabl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tilized. Furthermore,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direct eff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giv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covariance drawing upon the results from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Hayes (2013) PROCESS macro model 4 and model 7 were adopted.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at .05, which is the most globally used cut-off standard and meaningful variables at the .01 level were marked separatel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rientation and e-learning satisfaction of the offline retail salespers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ales performance. Second, goal orientation of the offline retail salespers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e-learning satisfaction on sales performance. Thir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moderates the mediation of e-learning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sales performance of the offline retail salesperson. Drawing up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clusions are follows. First, goal orientation and e-learning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association with sales performance, which aligns with the results from preliminary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treated the two types of goal orientation as a concept that could coexist, and by examining sales performance and personal level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dividual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individual sales performance. Second, goal orientation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e-learning satisfaction and a direct effect on sales performance. This means that as the offline retail salesperson has more goal orient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he would be satisfied with e-learning and the results of e-learning satisfaction improve sales performance. Thir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e-learning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sales performance. This indicates that within an environment that is positive to individual’s learning and facilitating their learning, an individual with high goal orientation is likely to be more satisfied with e-learning. Thus, for facilitating the sales performance of the offline retail salesperson, the organization form an environment that emphasis on learning so superior, and co-workers would be more supportive to the learning of the salespers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the level of variabl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being sold, since the study focused on the salesperson of electronic products.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duct the same study on various salespersons who sell daily necessities, food, cosmetics, and automobiles other than electronic products in order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ducts sold. Second, similar to previous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ich type of goal orientation has a greater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satisfaction, sales performance, and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by separately examining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Third, it would be meaningful using e-learning transfer instead of e-learning satisfact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sales performance or studying about mediate or moderate factors between e-learning satisfaction and sales performance.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wo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satisfaction with e-learning is affected by various aspect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ent characteristics, teaching methods, and goal orient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various interventions. Second, when app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contexts and to beware of hasty generalizations.

      • 글로벌 제조기업의 판매협업체계(CPFR)도입에 관한 연구 : C社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인규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과거의 기업들은 기업내부의 한정된 의사결정들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은 기업의 경쟁 환경은 더 이상 개별 기업의 내부능력만으로는 생존과 성장이 어려워지고 있다. 기업의 경영구조가 복잡, 다양화되고 고객 만족을 통한 기업의 경쟁우위의 확보가 치열해 지고 글로벌 환경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고객의 주문으로부터 조달, 생산, 물류, 소비자 인도까지의 물자, 정보, 자금의 3가지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만 되었다. 따라서 기업들은 생존차원에서 공급망 활동을 본격화 해야만 되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전 세계의 유통시장에서 경쟁 우위에 서기 위해서는 새로운 공급사슬 관리 방식이 필요함이 인지하고, 아직 국내에는 많이 보편화되지 않은 방식 중에 공급업자와 판매업자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판매협업체계(CPFR)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판매협업체계 구축 시 필요한 사항을 언급하고, 실제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제조기업에서의 판매협업물류의 새로운 혁신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판매협업체계의 이론적인 내용을 고찰하고, 실제 적용 내용을 다루었으며, 시사점과 성공요인을 알아보았다. 다른 기업들에게도 본 사례연구를 통해 판매협업을 이루는 데 있어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한층 더 고도화된 공급망관리 분석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Study of the CPFR on the IT Infra and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Benchmarking Class. Under the borderless competition, the globaliz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is one of the key issues to survive, Especially, the wide utilization of internet brought the most of global companies with the advent of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replenishment. Preceding studies on the SCM reveals the four categories of paradigm to introduce the global SCM. They are process integration, IT infra, integration of applied solution packages such as ERP, and the strategic alliances, Among these, the basic factor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CM could be the IT infra and application integration as the hardware and software of SCM. The paper analyzes these paradigms and the key factor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global SCM,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domestic as well as the global enterprises. The paper concludes why the five benchmarking strategies from the case studies in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terms. Most of important conclusion from the study tells that the mind revolution and the enterprise innovation should be preceded before the strategy for CPFR be implemented.

      • 멀티자판기의 구매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정원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자판기의 구매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분석을 통한 운영효율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기법을 이용하여 멀티자판기의 제품특성 및 구매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멀티자판기의 제품 속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멀티자판기의 이용편리성, 상품다양성, 결제편리성, 외관 등의 서비스 속성이 품질, 도난 및 파손방지 등의 기능적 속성요인보다 구매의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다 소비자 지향적으로 멀티자판기 문화가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멀티자판기의 장단점요인에 대해 구매의향 집단간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 분석 결과, 장점 강화를 위해서는 멀티자판기의 다양한 사업모델을 강화하는 일이 시급하고, 단점보완을 위해서는 멀티자판기 품질을 강화하여 운영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필드 운영효율을 높이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셋째, 멀티자판기의 운영유망장소로는 학교 및 학원가가 유망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구매의향 집단간의 차이분석 결과는 모든 집단이 좋게 평가하는 대학교와 비교적 낮은 평가를 받은 스포츠센타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멀티자판기의 유망상품으로는 냉음료, 유제품, 스낵 순으로 유망하다고 나타났다. 구매의향 집단간의 차이분석 결과는 레토르트식품, 일용품 및 잡화, 유기농 농산물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멀티자판기의 운영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별품목의 판매보다는 유망품목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판매를 하는 것이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멀티자판기의 캔자판기 대비 냉음료자판기로서의 운영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멀티자판기 가격대를 낮추면서 특유의 장점을 강화하는 일도 중요하며, 디자인적인 차별성과 우월성을 더욱 강화하고, 다양한 용기 수용성의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멀티자판기의 운영효율성 측면에서 다양한 운영방식을 분석한 결과, 편의점에서의 사업다각화가 가장 유망하고, 다음으로 탄산음료 판매가 금지된 초중고등학교에서 유제품 판매가 유망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두 분야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제휴 마케팅을 펼치는 일이 중요하며, 내용상품 특성에 맞는 성능보완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멀티자판기의 취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품질을 보완하고, 다양한 사업모델을 모색해 운영자의 구매요인을 강화한다면 시장 가능성은 좋아질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멀티자판기의 경쟁력과 구매요인을 강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소비자 지향적인 멀티자판기 사용문화를 강화해 가는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managing methods through analysing researches on decision factors in purchasing multi-vending machine.. For this, I tried to understand the multi- vendors‘ product characteristics and the decision factors in purchasing them through some surveying methods. Here is the summery of my study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the multi-vendors‘ product characteristics, it was concluded that the factors of services, like the mobility, the diversity of products inside the multi-vendors, the convenience of payment, or the outlook are more crucial in decision-making of purchasing them than the factors of functions, like the quality of products or the functions of protection from theft or damage. It shows that the area of multi-vendors should be improved more towards consumer-friendly(consumer-oriented). Second, I surveyed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ulti-vendors, among a group who had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t needs to diversify the business models of multi-vendors to strengthen the advantages, get rid of the operators' worries by increasing the quality of multi-vendors, and raise the efficiency in management of them to eradicate the disadvantages. Third, I received lots of responses that the areas of school and academy district are promising to operate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purchase intention group, almost all groups showed the similar results, except the university areas, with high performance, and sports center areas, with comparatively low performance. Forth, the promising products for inside the multi-vendors were ranked as, first, beverages, second, milk products, and, last, snack foods.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purchase intention group, it was found that the appraisal was similar among retort pouches, daily necessities, organic produce. And it was concluded that selling the combination of various promising products is better than selling similar kinds of individual products. Fifth, it was found that,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management of multi-vendors, compared with that of canned beverage vendors, it needs to strengthen their original advantages with decreasing the prices of multi-vendors, to build up their uniqueness and superiority over other kinds of vendors, and to improve the containers' mutability to carry various kinds of products, so that they can obtain competitiveness. Sixth, as a result of analysing various methods of management in the light of management efficiency, the diversifying of the business in convenience stores was most promising, and marketing milk products in the prim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where selling carbonated drinks is prohibited, was the secondly-favored opinion. So, it is important to conduct a cooperative marketing vigorously towards these two targets, and improve the qualities of multi-vendors according to products' characteristics. To sum it up, if the qualities of multi-vendor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as the disadvantages of them, are improved, and the decision factors in purchasing them are strengthened by creating various kinds of business models, the market potential will be increased. So, it surely needs to try our best to cultivate the multi-vendors' competitiveness, supplement the decision factors in purchasing the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study, and make continuous efforts to create consumer-friendly atmosphere in the multi-vendor market.

      • 계열관계에 따른 국내 펀드판매사의 채널효과 : 판매지속성과 과거 성과추종현상을 중심으로

        배종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ales behavior of Korean Equity funds based on whether fund distributors are affiliates or not in terms of sales persistence and return chasing phenomenon. Empiric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unds of affiliates are significantly higher in sales persistence by about 6% than funds of non-affiliated, so there is a difference in sales effort depending on whether affiliated or not. Second, affiliate funds have about 22% lower past return chasing than non-affiliated funds, suggesting that the criteria for fund selecting and managing affiliate funds based on past performance are accommodated compared to non-affiliated fund. Third, while the sales persistence of affiliated funds has in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sales regulations (50% rule) of affiliated funds, there have been differences in sales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cted effect of the reinforcement of sales regulation(25% rule), sales persistence for affiliated funds is rather strengthened, and the past return chasing phenomenon did not change. Both of these findings are unintended results of tightening regulations. In particular, sales persistence is higher in outflow persistence and effect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und. However, after the adoption of regulations, sales of affiliates do not lead to fund management based on past performance. After the adoption of regulations, the net outflow of funds increases, and the funds industries changed quantitatively, but the quality did not increase. Fifth, affiliated funds and non-affiliated funds have no difference in return and risk adjustment performance. In other words, regulation do not operate investors quantitative benefits. And sales funds according to whether affiliated or non-affiliated are not a significant impact on future returns. In short, the results do not support the smart money hypothes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the channel effect of domestic mutual fund distributor and the influence of financial regulations through sales persistence and past return chasing phenomen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금융상품의 유통경로인 판매채널이 계좌개설 및 매입,환매의 단순창구에 그친다면, 판매사 특성은 펀드 자금흐름에 체계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에서 판매채널이 직·간접적으로 펀드규모와 자금흐름에 관여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투자자는 제한된 합리성과 금융상품이 갖는 복잡한 특성으로 인해 탐색비용과 인지수준에 영향을 받으며, 판매사는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펀드판매사의 채널효과를 계열관계를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펀드와 판매사 사이의 계열관계는 투자자의 펀드선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이면서 판매사의 펀드판매 및 관리에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판매된 펀드와 판매사의 계열관계 여부에 따라 펀드자금에 체계적인 차이가 존재한다면, 이는 유통경로가 펀드 자금흐름에 영향을 미친다는 채널효과를 실증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채널효과의 규명을 위한 도구인 판매지속성은 판매사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판매역량(고객관계, 판매조직, 협상력, 지점 접근성 등)을 통한 판매력을 나타내고, 판매사 수준의 과거 성과추종현상은 펀드성과 및 환류에 기반을 둔 판매사의 펀드라인업 선정 및 교체매매 등 펀드관리 수준을 대리한다. 따라서 판매사의 채널효과가 존재하는 경우, 계열관계에 따라 판매지속성과 과거 성과추종현상이 차이를 보인다고 기대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판매사가 판매한 계열사 펀드는 비계열사 펀드에 비해 판매지속성이 약 6% 가량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계열여부에 따라 판매사의 판매력이 차별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판매사가 판매한 계열사 펀드는 비계열사 펀드에 비해 과거 성과추종현상이 비계열사 펀드에 비해 약 22% 가량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판매사의 라인업 선정 및 교체매매 등 과거 성과에 기반을 둔 펀드관리 기준이 비계열사에 비해 계열사 펀드가 상대적으로 완화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판매사의 계열펀드에 대한 연간 신규판매액 규제도입(50% Rule)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규제도입 이후 판매사의 계열펀드에 대한 판매지속성이 높아졌고, 계열펀드에 대한 과거 성과추종현상은 강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50% Rule 도입이후 유출지속성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되어 판매사의 계열사 판매에 대한 규제도입의 효과가 확인된다. 넷째, 계열펀드에 대한 연간 신규판매액 규제강화(25% Rule)의 기대효과를 분석한 결과, 규제강화(25% Rule) 이후 계열펀드에 대한 판매지속성이 강화되었으나, 과거 성과추종현상은 변화가 없었다. 특히 판매지속성은 유출지속성이 강화된 데 기인하였고, 판매잔고가 큰 주력펀드 뿐만 아니라 소외펀드에서도 유출지속성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억제된 계열사 판매는 과거 성과에 기반한 펀드관리로 이어지지 못했다. 계열판매 억제에 따른 펀드시장은 변화는 주로 순유출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펀드업계의 양적 저하를 야기하였으나, 과거 성과에 따른 계열라인업 관리 등 펀드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지는 않아, 해당 규제의 도입목적에 따른 실효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판매사 규제에 따른 계열판매 억제가 투자자 효익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계열사 펀드와 비계열사 펀드 사이에 사후수익률 및 위험조정성과에 차이가 없어 계열사 판매억제는 투자자에게 정량적인 효익을 주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계열여부에 따른 판매자금은 미래수익률과 별다른 관계를 보이지 않아 스마트머니 효과를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어, 판매사의 채널효과는 신호효과 가설보다는 제한된 주의력 가설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패널 자료를 구축하여 세부적인 판매사별 펀드 자금흐름과 성과를 광범위하게 분석하여 판매사의 채널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 금융판매 규제의 도입 및 강화가 판매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펀드판매사의 채널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 판매한 펀드의 계열여부에 따른 판매지속성과 과거 성과추종현상을 통해 분석하고 펀드별 판매사 자료와 펀드정보를 결합한 판매사-펀드의 패널 자료를 구축하여 판매행태를 면밀하게 분석했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 판매촉진을 위한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드럭스토어 공간구성 : 홍대앞 H&B 스토어를 중심으로

        이경은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oday, the modern people lavishly invest for the beauty and health. Decorating oneself by giving top priority on the outer beauty and inner health, the lifestyle of trying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is nestled on life in general. As a result, the cosmetic consumer market and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is expanding through daily changes and development. In the rapidly changing marketing, the companies are applying a variety of sales promotion elements for the inflow of consumers. As a strategy for promoting the stimulation beyond the function and quality of the product, a customer centered experience marketing that gives positive awareness to the consumers are being applied. As such, the space applied with experience marketing for promoting sales, the consumers puts the value on the experience gained from the sales promotion elements provided by the companies. As these are reflected on the lifestyle of consumers, the drugstore is rapidly increasing into the distribution market applied with experience marketing as a means for promoting sales. The drugstores are convenient and easily accessible and it is integrated living contact type store where a variety of products can be purchased in one place. This study has selected the elements of sales promotion and examined the 5 types of experience such as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of experience marketing by Bernd H. Schmitt. The spatial composition of drugstore is classified into destination, assortment, convenience and occasion and through the investigation experienced by directly visiting, the experience marketing strategy applied to the drugstore and the sales promotion elements applied with experience marketing was analyzed. By selecting 4 H&B stores recently opened in the streets of Hongik University known as the strategic point of beauty,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ales promotion elements of drugstor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drugstore applied with experience marketing and the future direction was proposed. The elements of sales promotion applied with experience marketing makes the consumer happy and increase the quality of shopping within each spatial composition. Through this study, the fact that experience marketing is an important element of sales promotion was verified,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drugstore applied with experience marketing for sales promotion is as follows. In overall spaces of current case study targets, it was analyzed that the behavioral experience element was weak. It is thought that the behavioral experience element is a marketing that induces intuitive behavior added with professionalism which has many difficulties of maintaining. Although the consumers thinks that 'free and convenient product testing' is the biggest value of the drug store but on the other hand, the experts think that it is consulting. Therefore, for the destination a specific area of expertise is required, and the assortment requires reliable consulting space. For convenience a comfortable resting space should be improved, and the occasion requires a play space having freedom. As such, in the brand the space having expertise should be emphasized and in the other spaces, free experience space of consumers should be pursued.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ch spatial composition has a significance of showing positive effects on the future direction and the process of vitalizing the market for the drugstore. The changes of future differentiated drugstores should be continued to be studied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consumers and a variety of distribution market. 오늘날 현대인들은 아름다움과 건강함을 위해서 아낌없이 투자한다. 외적인 아름다움과 내적인 건강을 최우선 가치로 자신을 가꾸며 삶의 질을 높이려는 라이프 스타일이 생활 전반에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소비시장과 건강기능 식품 시장은 나날이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늘어나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시장 속에서 기업들은 소비자 유입을 위해 판매촉진 요소들을 다양하게 적용시킨다. 제품의 기능과 품질을 넘어 그 이상의 자극을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 인식을 주는 고객 중심적인 체험마케팅이 적용되고 있다. 이렇게 판매촉진을 위한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공간에서 소비자들은 기업들이 제공한 판매촉진 요소로부터 얻어지는 경험에 가치를 두게 된다. 이렇게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반영되면서 판매촉진의 수단인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유통시장으로 드럭스토어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드럭스토어는 편리하고 접근성이 용이하며, 한 장소에서 여러 가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통합된 생활 밀착형 매장이다. 본 연구는 판매촉진의 요소에 대하여 추려내고, 번트 H. 슈미트 체험마케팅의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와 같은 5가지 체험 유형을 고찰하였다. 드럭스토어의 공간구성은 목적진열 공간, 종합진열 공간, 편의진열 공간, 행사진열 공간으로 분류되었으며, 직접 방문하여 경험한 조사를 통해 드럭스토어에 적용된 체험마케팅 전략과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판매촉진 요소를 분석하였다. 뷰티 요충지인 홍대 거리에서 가장 최근에 오픈한 H&B 스토어 매장 4곳을 선정하여 드럭스토어의 판매촉진 요소와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드럭스토어 공간구성에 대해 사례분석을 하여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언한다.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판매촉진의 요소들은 각각의 공간구성 안에서 고객들을 즐겁게 하며, 쇼핑의 질을 높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체험마케팅이 중요한 판매촉진 요소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판매촉진을 위한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드럭스토어 공간구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사례조사 대상지의 전체적인 공간에서 행동적 체험 요소가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행동적 체험 요소는 전문성이 가미된 직관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마케팅으로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고 사료된다. 소비자들은 드럭스토어의 가장 큰 가치가 ‘자유롭고 편한 제품 테스팅’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전문가들의 컨설팅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목적진열 공간은 전문성이 있는 특화 공간이 필요하며, 종합진열 공간은 신뢰성이 있는 컨설팅 공간이 필요하다. 편의진열 공간은 편안한 휴식공간이 개선되어야 하며, 행사진열 공간은 자유로움이 있는 놀이공간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브랜드에서 전문성이 강조된 공간을 더욱 부각시키면서도 그 외의 공간에서는 소비자들의 자유로운 체험공간을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공간구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는 드럭스토어의 시장이 활성화되는 과정과 추후 방향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차별화된 드럭스토어는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다양한 유통시장에 따라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