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장동숙 대불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연구는 장애아를 둔 부모와 비장애아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견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 광역시의 공.사립 유치원, 어린이집, 특수유치원 및 특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잇는 유아들의 부모 200명을 단순 무작위 표집 방법(simplerandom sampling)으로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10개의 공.사립 유치원 및 어린이집과 특수유치원 및 특수 어린이집 유아의 부모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pre-test)를 실시하여 설문내용을 수정.보완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대상자를 직접 면접하여 응답자 200명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196명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따. 수집된 자료를 부호화(conding)와 입력 작업을 거친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windows 10.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빈도 분석 (Frequency Analysis), ?-검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본연구 대상자들은 여자의 비율이 남자보다 ?았으며, 30대가 가장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수는 아들과 딸이 각각 한명인 경우가 가장 ㅁ낳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 학력 수준은 대학교(전문대) 졸업 (중퇴) 자가 가장 ㅁ낳았으며, 부모의 수입은 20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이. 부모의 직업은 주부를 포함하여 무직이 가장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장애아 부모와 비장애아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장애아부모와 비장애아 부모 모두는 동일한 교육환경 속에서 동일한 교육을 받는 교육환경에 대해서 찬성하고 잇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p<.001).부모교육 유형은 장애아 부모는 수업참관을, 비장애아 부모는 부모교실을 가장 원하고 잇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일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육 가능한 장애정도를 비장애아 부모의 경우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부적절한 행동이 없는 정도를. 비장애아 부모는 이해 언어정도 및 간단한 지시 사항을 따를 수 잇는 정도로 인식하고 잇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통합교육 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장애아와 비장애아 부모 모두 정부의 행정적.재정적인 지원을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생각하고 잇으며, 이는 통게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3. 통합교육관련 변인 통합교육의 효과를 장애아 부모집단이 비장애아 부모집단보다 더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교사의 역할을 장애아 부모집단이 비장애아 부모집단보다 더 필요로 하고 잇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따(p,0.05). 통합교육 관련 변인들에 대한 종합은 장애아 부모 집단이 비장애아 부모집단보다 더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를 통해서 발견된 사실은 장애아 부모가 비장애아 부모보다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지도가 더 높았으며, 실제 통합교육을 실시할때 비장애아부모의 적극적인 참여와 편견 없는 사고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아와 비장애아부모들 모두 통합교육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의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뿐만 아니라 통합교육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추후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통합교육을 통하여자애아와 비장애아간의 이질감을 감소시킬수 있는 보다 심층적인 변인들을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arents who had disabled or non-disabled children perceived integrate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parents who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from public kindergartens, private kindergartens, daycare centers, special kindergartens and special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Gwangju. Afer interviewing them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answer sheets from 196 parents were analyzed. The collicted data were encoded and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s 10.0 program The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 test and t-test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mong the parents investigated, the women outnumbered the men, and the largest group of them were in their 30s. As for the number of child, the largest group had a som or a daughter only, and by education, the greatest number of them graduated or dropped out from universities or two-year colleges. The most common income range was 2 to less than 2,5 million won, and the greatest group of them were unemployed, who included homemakers. 2. Perception of In tegrated Education The parents agreed to have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receive the same education, and this finding was significant(p<.001). Concerning their favorite parent education type, th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wanted to visit a class at work the most, and the par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preferred parent classroom the most. Those findings were significant(p<.01). As to the content of parent education, both parent groups hoped to learn how to improve life skills the most, and the findings was significant(p<.001). Regarding what types of disabled children could be educable at regular kindergartens, th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hought that they should behave properly not to do damage to others, and the par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believed they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what others say As for the most urgent task to be handled in integrated education, both parent groups thought that the government should waste no time in providing administrtive and financial supports, and the findings was significant(p<.01). 3. Variables Linked to Integrated Education Th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had a higher opinion about the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 than tie others with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p<0.01). The former group gave more weight to teacher roles than the latter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p<0.05). And the former placed more stock in overall variables associated with integrated education than the latter,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p<0.0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more interested in integrated education than the others with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former gave more suppert to that. Moreover, they believed that parents with non- disabled children should be involved with integrated education without having no prejudice against it .Both groups had interest in integrated education and expected more support from the natio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what effects integrated education could produce should exactly be studied. Second, how integrated education could contribute to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physically challenged and non-disabled children should be identified

      •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발전과정과 정책방안 연구

        윤기종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integrated education, though having its legal and systematic mechanism, has not been performed properly or has been going through difficulties . There may have been many reasons, but the lack of conviction about the policy, the inconvenience in the field and the insufficient social basis seem to be the most. Therefore, This study starts with the theoretical phase on the natur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And through analysing on the present st atus of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student s and it s policy, I 'd like to find out a way to improve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suggest an alternative solution on it s policy. With these purposes in mind, 3 kinds of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 analysis on the material or documents for consider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endency about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its operation. Second, collecting the suggestion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fields and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reported by the model schools. Third, problem analy sis of gap between the field and the policy concerned by the collecting opinions and direct meetings with the policy makers and their materials. I suggest the present problem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as follows. First, the improper basis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 the lack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the disability of the teacher s in dealing with the handicapped, the imbalance of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handicapped children. Second, improper surroundings - the lack of the basic facilities, too many students per one teacher, the inappropriat e class situation, the rejection of the handicapped children in the class. Third, improper student recruitment and arrangement - the difficulty of the finding the handicapped in early stage, the lack of the opportunity in school education for them. Fourth, improper curriculum and text - the lack of the specialities on developing the curriculum and text for the handicapped, the absence of the therapy in the integrated education process and job education for them. Fifth, too much work of the teacher - the misunder standing of teachers avout the handicapped, the disability of teacher s in dealing with the handicapped. Sixth, the absence of the exclusive charge office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the lack of the men power of specialities, the lack of the supporting system and financial backing, improper law and administration.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situation is to be suggested as follow. School principals' view about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changed. Teachers who teach the normal students and who teach the handicapped students should be together in harmony. The non-handicapped should have open mind toward the handicapped. Teachers should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the handicapped. The parents of the handicapped should be helper s in school. Varied types of class arrangement should be supported and regional education bureau should open many model schools and prepare case presentation and publish model study materials . And census about the handicapped should be taken to rearrange the integrated education institution. 2, The fostering the out er surroundings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The essential facilities and it s setting standard should be prepared for the handicapped to study with the non - handicapped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andicap, necessary facilities should arranged for them to have int errelationship with the non - handicapped. Also the norm about setting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in the school must be determined. 3, The syst ematizing the methods on the recruitment and arrangement of the handicapped. Every children who require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be arranged properly in order to get sufficient support in early education as well as secondary, post secondary , higher and even job education. 4, The Curriculum, the educational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the text for the handicapped. Every teacher s should take a training cour se about th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to develop the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applying them.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supplement materials should be given to the teacher s . Also there should be toe proper curriculum and teaching surroundings. 5, The system of the volunteer teachers for the integrated class and training them. The arrangement of the volunteer teacher or circuit teacher may be in charge of regional education bureau . The founding and running of the handicapped education center, teacher training for the handicapped and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about handicapped are required. 6,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and systematic devices. For the building the basi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a detailed legal ground which has binding power should be prepared. Education administrator who is in charge of th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at least should have majored in th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n the city , province, county and district , there should be a committee of the administration for the handicapped. In regional education bureau, an education center for the handicapped is desired to be established. It may provide the development of the varied materials , the diagnosis and finding of the handicapped, the counseling to the parents and family and so on . A tax for the education of the handicapped is necessary to support schools having integrated class. The existing special schools are to be the regional center for the handicapped. T he amendment of the law concerning th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s required which clearly state the obligatory int egrated education in every school.

      • 중학교 음악 교과와 역사 교과의 통합 수업지도안 연구 : 포가티의 통합교육 모형을 바탕으로

        김지혜 단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음악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각 시대의 정치·문학·철학 등 사회 모든 분야의 영향을 받으며 발달해왔다. 음악 작품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안목을 갖기 위해서는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중학교 음악 교과와 역사 교과를 통합하여 서양음악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업지도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통합교육의 등장 배경을 고찰하고, 통합교육 모형을 제시한 여러 학자들 중 포가티의 통합교육 모형을 바탕으로 4개의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바로크 시대, 고전주의 시대, 낭만주의 시대, 20세기와 같이 4개의 시대로 분류하여 역사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을 연결시켜 학습이 가능하도록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시대별로 설정한 각 단원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절대 왕정과 바로크 음악, 프랑스혁명과 고전주의 시대 음악, 산업혁명과 낭만주의 시대 음악, 세기의 불안과 조성의 파괴. 서양음악사 수업에서 감상 활동이 매우 중요하므로 각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음악 작품을 선정하여 이를 통해 시대적 배경 및 음악적 특징, 작곡가의 생애, 악곡의 특징을 함께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통합교육은 음악 교과와 역사 교과의 상호 과목간 부족한 내용을 보완하여 깊이 있는 교과 내용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음악을 음악 자체만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역사 속에서 발전한다는 것을 알게 하여 서양음악사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수업지도안이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깊이 있는 음악사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계속해서 다양한 통합교육 수업지도 방안 및 수업자료의 개발이 연구되기를 바란다. Music began with the origin of mankind and has evolved under the influence of all areas of society, such as politics, literature, and philosophy, in each period of history.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and insight into, musical piec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epare a teaching guide that will enhance learning about Western musical history by integrating the middle school music subject with the history subject. First, this study considered the background from which an integrated curriculum emerges, and created four teaching guides according to Fogarty’s model of integrated curriculum, among the various scholars who have presented integrated curriculum models. The teaching guides focused on four periods: the Baroque period, the Classical period, the Romantic period, and the twentieth century. Furthermore, the teaching guides were composed to provide learning by connect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titles of the four chapters covering each period are as follows: “Absolute Monarchy and Baroque Music,” “The French Revolution and Classical Music,”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Romantic Music,” and “Anxiety of the Century and Destruction of Tonality.” The development of appreciation is important when learning about Western musical history. Thus, these teaching guides selected musical pieces that represent each period, through which teachers can teach the background to the perio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e composers’ bi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at the same time. Such an integrated curriculum can supplement any deficiencies in the music and history subjects to create detailed course contents. Therefore, the curriculum is expected to broaden the scope of understanding about Western music history by teaching students to see music not only as music, but also to realize that music develops through history. The teaching guide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quickly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music. In addition, it is hoped it that the various integrated curriculum instruction plans and course materials will continue to develop.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와 타 교과와의 주제 중심 통합교육 수업 지도방안

        심지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현대 사회는 학문이 전문적이며 체계적으로 발달함으로 인해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를 의미 있게 조직하고 구성할 수 있는 통합적 사고력은 오히려 퇴보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총체적인 사고력과 통합적 안목을 가진 전인(全人) 양성을 가능케 하는 통합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간 연계성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음악 교육과정에서 또한 영역별 연계성을 고려하여 지도하도록 제시하여 통합적 음악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음악 수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학생들이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포괄적 관점을 갖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음악과 타 교과 간 연계성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음악과 타 교과 간 통합교육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과 주제 중심 통합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둘째, 음악과 타 교과 간 연계를 통한 통합교육의 타당성 입증하기 위해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통합교육의 근거를 검토해보았다. 셋째, 음악 교과에 나온 제재곡을 중심으로 음악과 국어·미술·사회교과 통합교육에 연관성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마련하였다. 주제 단원 ‘조국애’는 일제 강점기 치하에 창작된 문학작품과 음악작품을 감상하고 시대적 상황에 대처하는 문학인과 음악인의 태도를 살펴보며 호국·보훈 정신을 고취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남·북 분단의 과정을 이해하고 통일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주제 단원 ‘자연과 환경’에서는 음악교과서에 제시된 자연 보호를 표현한 곡을 불러보며 환경 보호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증가하는 자연재해의 원인이 무분별한 환경파괴에 있음을 인식하고 자연보호를 위한 방안을 함께 토론해보았다. 이를 위한 실천방안의 하나로 재활용품을 이용한 악기를 만들어 연주해보도록 하였다. 이러한 주제 중심 통합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주제를 선택함으로써 수업에 관심을 갖도록 하여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총체적 관점을 지니도록 하여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효율적 음악수업이 가능하게 해 현 음악 교육 시수 부족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더욱 다양한 교과 간에 전문적이며 창의적인 통합교육에 대한 방안 및 지도안이 계획·적용되길 바란다.

      • 실과 중심 환경영역 주제통합교육과정 개발 : 실과·도덕·사회·과학

        함경숙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학교에는 독립된 환경 과목이 없으므로 전 교과에 골고루 분산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환경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환경교육을 다루는데 적합한 초등학교 실과를 중심으로 환경교육과 비교적 관련성이 많은 도덕, 사회, 과학 과목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교과간의 내용 중복을 피하고 환경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다 학문적 통합 구성 방법의 구조 하에 환경영역 주제 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내용은 환경교육과 통합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환경교육의 교과 통합적 접근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환경교육을 위한 제 7차 5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초등학교 실과를 중심으로 한 환경교육 통합교육 과정안을 제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환경과목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환경교육이 여러 교과에서 분산적으로 실시되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환경교육이 어렵다. 2. 환경 교육을 단원차원에서 다루는 교과는 도덕, 사회, 과학, 실과, 체육, 미술이며 기타 교과에서는 환경 주제나 제재 중심으로 환경교육을 다루고 있었다. 3. 실과 교과가 교과 특질 상 생활경험을 통하여 환경교육을 실시할 수 있고(생활교과), 직접 체험을 통하여 지식보다 태도나 실천을 중시한다는 점(노작교과), 통합적·종합적으로 접근한다는 점(통합교과)에서 환경교육과 실과교과가 지향하는 목표는 그 특성 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아 실과교과는 환경교육을 다루는데 있어 매우 적합한 교과라고 할 수 있다. 4. 실과 교과는‘생활자원과 환경관리’라는 영역을 따로 두어 환경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각 교과에서 중복되는 영역의 내용을 통합하여 효율적인 환경교육을 하기 위해 제 7차 교육과정 5학년 실과‘생활자원과 환경관리’단원을 중심으로 도덕·사회·과학과의 교육과정을 통합하여 학기 단위로 주제통합 교육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환경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실천적인 학습을 통해 생활의 적응능력을 기르게 하는 과목인 실과 뿐 아니라 전 교과 전 학년을 통해 체계적이고도 효율적인 환경 통합교육과정이 구성·운영되어져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Moral, Society and Science in comparatively close link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ed on the curricular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the elementary school proper for dealing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to systematize mor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arried out in a way evenly distributed to all curricular subjects currently due to the absence of the curricular subject of Environ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ently, and develop the integrated educational course having the environmental area as a topic under the structure of the scholastic integrated framework for avoiding the overlapped contents between the curricular subjects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e followings. 1. As the curricular subject of Environment doesn't exist independently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al course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carried out in a way evenly distributed to all curricular subjects, the systematical and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is difficult. 2. The curricular subjects which deal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n a unit basis are Moral, Society, Science, Practical Arts, Physical Education and Art, and the other curricular subjects deal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ed on the environmental topic or agenda. 3. The curricular subject of Practical Arts can carry 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living experience on the side of its characteristic, (Living-Based Curricular Subject), gives importance to the attitude or practice rather than the knowledge through direct experience (Practice-Based Curricular Subject), and the approach to the subject in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way is possible (Integrated Curricular Subject). In this regard, the goal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curricular subject of Practical Living aim at has many similarities on the side of the characteristic, so the curricular subject of Practical Arts is very suitable for dealing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4. The curricular subject of Practical Arts stresse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having the areas of Living Resourc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respectively. 5. The topic-integrating educational course suggestion is made on a unit of semester by integrating the educational course of Moral, Society and Science centered on the units "Living Resourc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 the curricular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the fifth grade of the 7th educational course for carrying out the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he integrated direction of the area overlapped in each curricular subject.

      • 유치원 통합교육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배은경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통합학급운영을 경험한 교사와 경험하지 않은 교사들에 대해 통합학급운영을 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과 그에 따른 효율적 운영방안의 선결과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시대적 요청인 통합교육을 운영함에 있어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와 동시에 개선 방안을 살펴보아 통합교육 인식의 확산은 물론 원활한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로, 통합학급운영을 경험한 교사 91명과 경험하지 않은 교사 117명으로 총 208명이다. 분석방법은 교사들의 통합학급의 인식, 교사의 전문성, 자료와 시설, 특수교사와 보조교사 및 학부모와 협력관계, 기관 운영, 행정지원의 측면에 대한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에 관련한 선결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통하여 응답의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였고, 카이스퀘어 검증을 통해 통합학급운영을 경험한 교사와 경험하지 않은 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통계분석은 SPSSWIN PC+ 1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합교육의 운영에 관련된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교사들의 인식적 측면에서 통합학급을 경험한 교사와 경험하지 않은 교사 모두 통합교육은 실시되어야 한다는 비율이 77.9%이상이지만 특수유아를 위해서는 분리된 특수학급에서 따로 교육을 받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비율도 35%가 된다. 전문성 측면에서는 통합학급을 경험하지 않은 교사가 전문성면에서 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와 시설 측면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합교육을 위한 자료와 시설이 상당히 많이 부족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특수교사와 보조교사 및 학부모와 협력관계 측면에서는 통합 학급을 경험하지 않은 교사가 경험한 교사보다 통합교육에 관련괸 업무에 대해 더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기관 운영의 측면, 행정지원의 측면에 대하여도 대부분의 교사가 현재 통합교육 운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 중에서도 교사의 전문성 부족과 행정당국의 지원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통합교육의 원할한 운영을 위하여 선결하여야 할 과제로는 통합 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담당교사의 전문성 확보, 자료와 시설 개선, 특수교사와 보조교사 및 학부모와의 협력관계 구축, 기관운영 방법 개선, 행정지원 확대 등을 들고 있다.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실현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노력하여야 할 선결과제로는 통합학급에 일반교사와 특수 교사 자격을 모두 취득한 교사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일, 두 번째로는 일반학급의 시설 및 설비를 개선하여 유치원 교실을 현대화하여 특수유아를 위한 편의시설을 확충해야 하는 것과 학급당 특수유아의 수를 2명 이하로 편성하는 일, 그 다음으로는 조기교육 단계부터 일반유아들의 특수유아에 다한 이해와 수용태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과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여러 가지 노력과 과제 중에서 통합교육과 관련한 전문적 교사의 양성이 가장 시급한 과제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The research i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in operating an integrated class in kindergarten education. In the study, integrated class refers to a kindergarten class in which the physically handicapped learn together with normal infants. The contents of survey will be teacher's opinion on desirability and necessity of the integrated class, present status of integrated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and facilities concerning the integrated class, and the problems the teachers encounter with the operation of integrated class. For the study, 208 kindergarten teachers were sampled from several cities of the nation, consisting of 91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integrated class and 117 teachers who have no experience in such a class. A multiple-choice typ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and administered to the teachers in person or by mail. Responses on each question were counted and analyzed, and Chi-square method was applied in comparison of experienced teachers with the no-experienced.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 First, 79% of the teachers recognize the integrated class as desirable in kindergarten education. However, almost 35% of teachers see an independent class as effective for the education of the handicapped infants. In general, the experienced teachers have more affirmative opinion on the integrated class than the teachers of no-experiences in integrated class. Second, problems in operating integrated class are found in the areas of qualified teachers, educational facilities and materials, teacher-parent relationship, administrative supports and the prejudice on handicapped infants. They recognize the shortage of qualified teachers and a low level of administrative supports as most serious problems in operating the integrated education. Thir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integrated class in kindergarten, several tasks should be carried out in advance in such areas as public attitudes toward integrated class, enforcement of administrative supports, securing qualified teachers, educational facilities and materials, and parent-teacher relationship.

      • 초등 통합교육에서의 블렌디드 기악수업 연구

        양나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 설계 원리와 순환 모델을 활용한 통합교육에서의 블렌디드 기악수업을 설계하고, 수업 설계에 활용 가능한 전략과 적용의 실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통합교육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 및 순환 모델의 수업 설계 과정 및 지침의 공통점을 파악하고 보편적 음악 학습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 설계 방향을 설정한 다음 통합교육에서의 블렌디드 기악수업을 위한 수업 설계 과정을 고안하였다. 아울러 통합교육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설계 지침에 따른 전략과 순환 모델 선정을 위한 전략을 다루고 적용의 실제 및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에서의 블렌디드 기악수업을 위한 실천적 설계 과정을 고안하였다. 둘째, 통합교육과 블렌디드 러닝에서의 교육지침을 바탕으로 통합교육에서의 블렌디드 수업 설계 전략을 설정하였다. 셋째, 통합교육에서의 블렌디드 기악수업을 위한 실천적 설계 과정과 전략을 바탕으로 수업 설계 과정에서 각 단계별 적용의 예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통합음악교육현장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여러 원리들을 적용하기에는 교육과정의 접근에서부터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본 연구자는 진정한 통합음악교육을 이루기 위해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향하는 과도기적 관점에서 기악수업의 실천적 설계 과정을 구상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내용을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속 연구들이 이어진다면, 현재 및 미래의 음악교육환경에서 장애 등의 이유로 학습에 소외된 학습자들이 발생하지 않고, 모든 학습자의 학습 수준 및 학습 속도에 맞는 음악수업 설계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정한 통합음악교육으로서의 보편적 학습 설계 및 블렌디드 러닝이 실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을 바탕으로 한 중학교 음악교과와 미술교과의 통합교육 지도방안 연구 : 스메타나의 교향시 '몰다우'를 중심으로

        김수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aimed at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s and places emphasis on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for each subject. Creativity education in especially emphasized in modern times. As such, many field of study are focused on education development targeting the fostering of creative individuals. However, as the amount of knowledge increases followed by ongo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implementing integrated education at schools could be a burden to teachers due to the constraints of tim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into integrated education teaching methods in various fields must be performed sustainably to provide reasonable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es to students and lessen the burden of teachers.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ed to conduct research on integrated education teaching method by connecting art education to music, which is deeply associated with other fields of studies, and in order to provide special musical experiences to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art or the creation of artwork, research was performed regarding an appreciation class teaching method that applied Bennett Reimer's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based on musical experience.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a teaching method by integrating each of Reimer's 3 integrative approach methods with a single musical piece so that different musical experiences shared a sense of uniformity. First, the integrated course that applied ‘the historical approach method’ reflected on Reimer's philosophy to have the learners gain insight geared to understanding the artworks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by appreciation each when the artwork was created and understand the artwork based on their backgrounds. Second, in the integrated course that applied ‘the thematic approach method’ artworks that utilized the common theme of ‘nature’ were integrated and understood by centering on the theme. In the introduction section of the course, learners are introduced to the concept that inform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what is learned in daily life can alo be linked in the mind. Third, in the integrated course, that applied the "common element approach", the meaning of the word "flow" commonly described in the work was identified, and the artistic expression of what was flowing was appreciated through the artwork. At this time, it was possible to look into the internal aspects of art to see what objects flow in each art field and what aesthetic elements they used to describe their forms. It can be shown that it is appropriate to center this method on the aesthetic elements and understanding of art. This teaching method is in line 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it is a connected course joining music and art curriculums and was designed so that it can expand the discernment abilities of the students as they appreciate artworks and heighten their cultural knowledge.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hat students will discover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during the process of integration music and rt and, furthermore, it will intensify their understanding and help them to realize genuine artistic values.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 · 융합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각 교과별로 통합중심 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창의성 교육이 강조되는 시대인 만큼 여러 학문에서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 교육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점점 기술의 발달에 따른 지식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서 시간적 제한이 존재하는 학교에서 통합교육의 실행은 교사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때문에 학생들에게 합리적인 지식의 습득 과정을 제공하고, 학교 현장의 교사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통합교육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타학문과 심도 있게 연관되어 있는 음악에 미술교과를 연계한 통합교육 지도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인간과 예술의 관계나 예술 작품의 탄생에 흥미를 느끼는 중학생에게 특별한 음악적 경험의 과정을 제공하고자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 관점을 적용한 감상수업 지도방안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음악 경험이 통일성을 가지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가지 제재곡에 리머의 세 가지 통합적 접근방법을 각각 접목한 지도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역사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통합수업에서는 각 예술작품을 감상함으로서 작품이 창작된 시대의 역사 · 문화적 배경을 파악하고, 배경을 토대로 예술작품을 이해하는 등 통합적인 시각으로 예술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갖게 한다는 리머의 철학을 바탕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주제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통합수업에서는 ‘자연’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예술로 나타낸 작품을 주제 중심으로 통합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수업의 도입에서는 실생활과 수업 내용을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여 학습한 지식이 삶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공통요소 접근방법’을 적용한 통합수업에서는 작품 속에서 공통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흐름’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게 한 후, 흘러가는 것에 대한 예술적 표현을 작품을 통해 감상하도록 하였다. 이때 각 예술 영역에서 흘러가는 대상과 그 형태를 어떤 미적 요소를 사용하여 묘사하였는지를 예술의 내부적인 면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미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예술을 이해하기에 적합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지도방안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같이 음악교과와 미술교과의 연계 수업으로 학생의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식견을 넓히고, 문화적 소양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 음악과 미술을 통합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음악의 고유한 특성을 발견하고 더 나아가 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깨닫게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