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장수술 환자의 중환자실에서의 통증

        박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심장수술 환자의 중환자실에서의 통증과 통증 유무에 차이 가 있는 특성을 확인하여 심장수술 환자가 중환자실에서 경험하는 통증 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통증 사정 및 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5월 1일부터 2023년 4월 30일 까지 서울시 소재의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심장수술을 받고 심폐기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은 만 18세 이상 성인 환자의 의무기록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해당 병원의 CDW(Clinical data warehouse)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구조화된 기록과 자연어 기록이 함께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은 총 51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및 Chi 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의 23.2%가 심장수술 후 중환자실 재실 기간 동안 통증을 경험하였고, 그 중 83.2%만이 통증 사정도구로 기록된 통증 점수가 있었다. 해당 결과를 토대로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한 통증 사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심장수술 후 초기에 통증을 겪는 대상자가 많고 통증의 발생이 많고 통증 강도도 높았으므로 입실 초기에 통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최대 통증 강도는 5.73점이었으며 주요 통증 양상은 ‘뻐근한’, ‘욱신욱신 쑤시는’, 주요 통증 부위는 ‘수술 부위’와 ‘흉관 위치’였다. 본 연구는 통증과 관련된 생물학적, 심리적, 수술관련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생물학적 특성 중 나이, 중환자실 수면장애, 심박출률, APACHEⅡ, 심리적 특성 중 수술 전 불안, 중환자실 불안, 수술 관련 특성 중 관상동맥 우회술, 복합수술, 수술시간, 심폐 우회술 시간, 흉관 개수, 왼쪽 흉관에 따른 통증 유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장수술 환자의 중환자실에서의 통증 유무와 관련된 특성들을 고려한 통증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심장수술환자의 중환자실에서의 통증과 통증 유무에 관련된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통증 사정 및 관리 향상에 기여 하며,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obtained basic data on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ardiac surgery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data obtained, we hope to better understand the pain experience of patients and to identify components that contribute or impede pain manageme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of adult patients aged 18 years or older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and were treated in the cardiopulmonary intensive care unit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from May 1, 2022 to April 30, 2023.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s 514 people. Research data was obtained using the hospital's clinical data warehouse(CDW)system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EMR). Both pain assessment tools and natural language records were utilized and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Chi 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using the R program. Based on the data acquired, 23.2% subjects reported experiencing pain during their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cardiac surgery, but only 83.2% of them had a pain score recorded with a pain assessment tool.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a strategy to improve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by utilizing pain assessment tools needs to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maximum average pain intensity was 5.73 points, the main pain descriptors used were ‘stiffness’ and ‘throbbing’, and the main areas of reported pain were ‘surgery site’ and ‘chest tube insertion site'. Since the intensity, prevalence, and incidence of pain is high in the early stages of post operative hospital stay after cardiac surgery, special attention to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is necessar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urgery-related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ported pain. Biological components that affected patient pain experience included age, ICU sleep disorder, cardiac ejection fraction and APACHEⅡ. Psychological components that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pain experience included preoperative anxiety and ICU anxiety. Components that affected patient pain experience among surgery-related characteristics were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complex surgery, surgery tim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number of chest tubes, and the presence of a left chest tube. Nursing interventions need to be developed to holistically analyze and mange the pain experience of cardiac surgery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results of this study hope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ain and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in in cardiac surgery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t also aims to contribute to improving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 고교 야구 선수들의 허리통증 유무에 따른 허리 및 중간볼기근 근력과 엉덩관절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이동욱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허리 통증 유무에 따라 허리 근력 및 중간볼기근 근력과 엉덩관절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17-19대 사이의 고교야구 선수 7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은 남자로 구분하였고 그 중 오른손잡이를 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정상집단은 허리통증을 경험하지 않은 선수로 구분하였고 통증집단은 1년 이내에 2주이상 허리통증을 경험한 선수로 선정하였다. 측정 항목으로는 설문지를 통해 허리통증 유무와 통증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도수근력측정기를 이용하여 허리폄근 근력 측정, 중간볼기근 근력 측정을 실시 하였고 고니오미터를 이용하여 엉덩관절 유연성(바깥돌림, 안쪽돌림, 벌림, 모음)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별(정상집단, 통증집단) 허리 근력과 중간볼기근 근력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집단별(정상집단, 통증집단) 엉덩관절 유연성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 2-표본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의 유의수준은 P < 0.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상집단과 통증집단 간의 허리 근력, 중간볼기근 근력, 허리기능의 차이를 판단 하기 위해 측정을 실시 한 결과, 허리근력의 유의확율 .442 오른쪽 중간볼기근 근력의 유의확율 .613 왼쪽 중간볼기근 근력의 유의확율 .439 QUEBEC score의 유의확율 0.056 으로 근력과 기능 모두 허리 통증에 따른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정상집단과 통증집단 간의 엉덩관절 유연성의 차이를 판단 하기 위해 측정을 실시한 결과, 오른쪽 엉덩관절 바깥돌림(RHER)에서의 유의확율은 .005 오른쪽 엉덩관절 안쪽돌림(RHIR)에서의 유의확율은 .012 왼쪽 엉덩관절 바깥돌림(LHER)에서의 유의확율은 .009 왼쪽 엉덩관절 안쪽돌림(LHIR)에서의 유의확율은 .056 오른쪽 엉덩관절 벌림(RHAB)에서의 유의확율 .014 오른쪽 엉덩관절 모음(RHAD)에서의 유의확율 .000 왼쪽 엉덩관절 벌림(LHAB)에서의 유의확율 .226 왼쪽 엉덩관절 모음(LHAD)에서의 유의확율 .002 으로 왼쪽 엉덩관절 안쪽돌림(LHIR)과 왼쪽 엉덩관절 벌림(LHAB)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에서 허리통증에 따른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야구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중환자실 시술에 대한 간호사의 통증인식과 환자의 통증반응

        배경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Purpose :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patients' expression with nurses' recognition about the patients' pain during painful procedures in ICU. Methods : The design of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0, 2013 to July 2, 2013. The data of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99 nurses who worked at ICU of a P-university hospital in a B-city by using the questionnaire(0-9) about 33 painful procedures and from 30 unconscious adult patients over 18 admitted at a emergency ICU of P-university who had experienced procedural pain for 9 procedures(nasogastric tube insertion, blood sugar test, position change, subcutaneous injection, tracheal suction, BP measuring, IV catheter insertion, oral care, intradermal injection). Patients were assessed by researchers immediately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20minutes after procedure by using CNP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an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U-test or Kruskal Wallis test, repeated measure ANOVA & t-test. Results : 1) The following situations were ranked high as the pain recognized by nurses : ‘mobilization of polytrauma’(7.28±1.29), ‘tracheostomy'(6.35±1.64), ‘thoracostomy'(6.27±1.58), ‘tracheal tube intubation'(6.08±1.72), ‘lumbar puncture'(5.70±1.71) ‘bronchoscopy'(5.65±1.81),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5.53±1.58). 2)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pain which nurses observed at immediately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20minutes after 9 procedure by using CNPS(0-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nasogastric tube insertioning'(4.48±1.23) and ‘tracheal suctioning'(3.80±1.34) were ranked high. 3)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pain recognized and observed, the pain recogniz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observed during ‘position change’(t=2.39, p=.019), ‘subcutaneous injection’(t=4.39, p<.001), ‘blood sugar test’(t=5.56, p<.001), ‘BP measuring’(t=6.69, p<.001). Conclusion :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rocedural pain appreciated by ICU nurses and this felt by the patient.

      • 비만과 통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서우현 용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목적은 통증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정상군과 비만군으로 나누어 비만과 통증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인 비만의 유병율을 줄이고, 나아가 통증과 비만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20세 이상 인천지역 통증클리닉에 내원한 환자 320명을 설문조사를 실시한 상관관계 연구로서 일반적, 비만관련특성, 통증관련특성에 따른 비만도와의 관계는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test)을 이용하고, 통증과 비만도와의 상관관계는 피어슨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1. 대상자를 비만도에 따라 정상군 227명(73.2%), 비만군 83명(26.7%)으로 구분하여, 일반적 특성(성별, 나이, 학력, 직업, 직업종사기간)에 따른 비만도를 비교해 본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비만도도 높아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2. 대상자의 비만 관련 특성(비만이 시작된 시기, 자신의 비만 부위, 통증과 비만의 연관성과 부위의 일치성)에서 인지도를 파악한 결과 비만한 환자들은 자신이 비만임을 60.6%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비만부위에서는 복부가 64.9%로 비만환자의 복부비만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p<0.001). 3. 통증 관련 특성(통증의 지속기간, 종류, 지속성, 부위, 원인, 진단, 심해지는 시기, 불편감)에서는 통증부위에서 허리가 52.9%를 차지해 이는 요통과 비만과의 상관성을 나타내며, 무릎이 39.7%, 어깨 32.3%로 관절염과의 관계도 유추해 볼 수 있다. 4. 통증 정도와 비만도와의 관계는 시각적상사척도(VAS), 통증평정지수(PRS), 통증장애지수(PDI)에서 통증이 가장 심한 구간의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2배 이상의 비율을 나타냄으로서 비만한 환자가 통증을 더 심하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전체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5. 전체 대상자의 비만지수(BMI)와 통증관련지수들(VAS, PRS, PDI)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유의성은 없었으나 정상군보다 비만군에서 통증관련지수들이 더 높게 나타나 이는 통증 환자 중 비만환자가 통증을 더 많이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로 보아 통증이 있는 환자들이 비만과의 관계를 유추하여 이 연구를 계기로 통증조절과 함께 비만의 유병율을 줄여 환자의 관리 및 치료적인 면에서의 새로운 접근과 시도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researched relation to obesity and pain in parts normal weight group and overweighted group using BMI(Body Mass Index) about patient. This study is for pain control and decresing overweighted patient number. Futhermore this study provides data program which can manage pain and obesit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was made by questionnaires of 320 patients with pain divided into general characters, refer to obesity characters, refer to pain characters statistics a result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point and standard deviation, Chi-Squre tes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0.05 level of significance. 1. Subjects are compared to general characters(sex, age, scholarship, occupation, the period of engage occupation) based on BMI. As as result the higher age causes the higher obesity standard so that this provides a wide difference. (p<0.001) 2. This study understands 60.6% of overweighted patients are noted their obesity and abdominal region showed 64.9% which shows seriousness of overwighted patients. This is all about their obesity characters(time of commencement, region of obesity, pain and obesity relation, according to region). 3. This study analogizes that characters of pain(period pain, a sort pain, continuance, region, cause, diagnosis, period become stronger, discomfort) is related backache and obesity, which caused 52.9% as backache, 39.7% as knees and 32.3% as pain of shoulders, which needs to analogy for arthritis. 4. The degree of pain and the degree of obesity do not proved general consideration, even though overweighted patients experience terrible pain based on VAS(Visual analogue scale), PRS(Pain rating scale), PDI(Pain disablity index). 5. Correlation between BMI and VAS, PRS, PDI of all the subjects does not show big significance. However overweighted patients experience more serious pain than normal weighted patients. Consequently, this study expects fresh approach & trial in management of patients with therapy which is added pain control and decreasing overweighted patients percentage.

      •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가 어깨통증에 미치는 영향

        오주은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의 하나인 어깨통증을 가지고 있는 사무직 여성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가 어깨통증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무직 여성근무자 중 어깨통증을 느끼는 20명을 마우스피스 착용군(n=11)과 마사지군(n=9)으로 나누어 시술 전, 1주 후와 3주 후 어깨통증, 압통역치 및 경추 가동범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마우스피스 착용군은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를 매일 5 시간씩, 3주간 착용하게 하였으며, 마사지군을 대상으로는 15분씩, 3주간 총 4회의 목과 어깨 마사지를 실시하였다. 마우스피스 착용군과 마사지군 모두 처치 전보다 처치 1주와 3주 후에 통증강도 및 지난 24시간 동안의 가장 심했던 통증과 평균 통증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모두 P<0.05). 또한 통증이 업무활동을 방해하는 정도와 사고와 집중력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1주 후에는 마사지군만(P<0.01), 3주 후에는 마우스피스 착용군(P<0.05)과 마사지군(P<0.01)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통증이 감정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는 마우스피스 착용군에게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마사지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처치 1주와 3주 후 양쪽 어깨의 압통역치는 두 집단 모두에게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모두 P<0.05). 우측 회전과 측방굴곡 시 경추 가동범위의 변화는 두 집단 모두 처치 1주후와 3주후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모두 P<0.05). 좌측 회전 시 경추 가동범위는 처치 1주 후 마사지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3주후에는 두 집단 모두에게서 증가하였다(모두 P<0.01). 또한 좌측 측방굴곡 시 경추 가동범위의 변화는 마우스피스 착용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마사지군만 처치 1주와 3주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착용과 마사지 모두 경추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어깨통증 감소와 압통역치 증가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추부 동통 환자에 대한 관절가동기법과 보존적 물리치료가 관절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현상욱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경추부 동통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보존적 물리치료와 관절가동기법 병행치료가 경추 관절가동범위의 증가와 통증 감소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로 서울 소재 W의원에 내원하는 환자 및 입원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치유 효과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그 중 10명은 보존적 물리치료(대조군)를 하였으며, 나머지 10명에게는 보존적 물리치료와 관절가동기법(실험군)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치료법이 경추부 동통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ROM Instrument를 사용하여 경추 운동이 일어나는 6방향의 관절가동범위, 즉 굴곡, 신전, 좌측방굴곡, 우측방굴곡, 좌측회전, 우측회전의 범위를 평가하였으며, 통증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각적 유추척도를 사용하여 통증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두 집단에 대해 치료 전과 매주 4주간에 걸쳐 치료가 끝난 후에 실시하였다. 측정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존적 물리치료집단과 보존적 물리치료와 관절가동기법 병행집단에서 치료 후 관절가동범위, 즉 굴곡, 신전, 좌측방굴곡, 우측방굴곡, 좌측회전, 우측회전의 6방향 모두 증가하였으나(p<0.05), 관절가동기법 병행집단이 보존적 물리치료집단보다 치료 전 관절가동범위가 낮았음에도 더 많이 증가하였다. 두 집단 간에 치료방법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호전도에 있어서 관절가동기법 병행집단이 보존적 물리치료집단에 비해 더 많은 호전을 보였으며, 굴곡, 신전, 좌측방굴곡, 좌측회전의 4방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둘째, 보존적 물리치료집단과 보존적 물리치료와 관절가동기법 병행집단의 치료방법에 따른 통증 호전도에 있어서 보존적 물리치료와 관절가동기법 병행집단이 더 많은 호전을 보였다(p<0.05). 셋째, 보존적 물리치료집단과 보존적 물리치료와 관절가동기법 병행집단에서 치료 후 통증은 두 집단 모두 감소하였으나(p<0.05), 보존적 물리치료집단보다 보존적 물리치료와 관절가동기법 병행집단이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에서 두 집단 모두 치료 전·후에 있어서 관절가동범위의 증가와 통증 감소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보존적 물리치료집단 보다 관절가동기법 병행집단이 관절가동범위의 증가와 통증 감소에 더 효과적임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therapeutic processes - (ⅰ)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alone and (ⅱ) joint mobilization along with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 on the increase in the range of motion(ROM) and on the decrease in patients' pain with cervical pai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enty inpatients and outpatients with neck pain in a hospital in Seoul. Half of them(10) took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alone and the others(10) took joint mobilization an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together. I used CROM Instrument measure the range of motion(ROM) in six areas - flexion, extension, left lateral flexion, right lateral flexion, left rotation, right rotation -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combinations of methods, measured pain with visual analogue scale(VAS) to see the effect on pain reduce. Assessment was conducted to the groups before the treatment began and after the four weeks treatment ended. The data were analys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 1. Both groups show increase in ROM of all areas(p<0.05) alik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quality in that the group treated by two therapies in parallel improved far more than the other group even though they had show lower ROM figures before the treatment tha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The joint mobilization added group displayed more improvement in the degree of the ROM improvement tha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areas of flexion, extension, left lateral flexion, left rotation(p<0.05). 2. The joint mobilization added group was also improved better tha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in the improvement of pain along with treatment methods(p<0.05). 3. Though the two groups alike showed reduction in pain(p<0.05), the joint mobilization added group showed greater reduction in pain tha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both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OM increase and pain reduction, but that the treatment is more effective when joint mobilization along with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are both applied than whe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is applied alone.

      • 정형외과 간호사의 수술 후 통증사정 경험구조 : 현상기술학(phenomenography study)적 접근

        장진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Background: Pain is a fifth vital sign in clinical settings. Pain assessment is a critical and routine nursing practice especially surgical units and it is performed every shift of nursing practice. Many factors included in nurses’ assessments postoperative patients’ pain,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the nurses’s perception in assessing postoperative pain is an important step to formulate effective education modalities on pain education for nurse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es on orthopedic nurses’ ways of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s Method: Phenomenograph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Phenomenography is a useful method to identify qualitatively different ways of perceptions on certain phenomena which people experience. Data was gathered through three interviews with each of 20 orthopedic nurses about sixty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s at K university hospitals from January 2017 to May 2017. Data were analyzed by phenomenographic analysis method. Findings: As a result, 34 categories of 8 domains about nurses’ ways of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 were derived. 1) The structures of ways of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 of orthopedic nurses consist of two major factors: perception of the nurses and their competence on pain assessment. This study identifies each category of the analyzed structures, and demonstrates the outcome spaces showing the relations of categories, which have hierarch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ed outcome spaces, the nurses more than two perceptions on pain assessment and competence, and they apply them to their clinical field. 2) Orthopedic nurses’ perception is mainly affected by the ways of their thinking on humans, their professional merits in assessing postoperative pain, the related knowledge, the expectations on a competent nurse, the critical factors in the orthopedic nursing practice, and so on.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influential factors on pain assessment are divided into nurses’ direct or indirect pain experiences,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 3) Nurses show differences in the related areas of pain assessment and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ir working experiences. This study analyzed how different nurses’ pain assessment is from patients’ one, and whether this difference is affected by the nurses’ career. As a result, it found that nurses underestimate pain more than patients, and there was a gap between the group of three-year-working experience and other groups. Conclusion: 1) It is found that nurses have a grasp of some ways in order to objectify pain assessment through clinical experiences, and they apply what they learned to the nursing practice. 2) In pain assessment, the nurses focus on their direct or indirect pain experience, the working environment of clinical nursing field, and the intervention for efficient pain management. 3) The more insight the nurses tend to have on pain the longer they work as a nurse.

      • 암환자 대상 딥티슈 마사지 적용이 통증, 불안, 수면만족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연구

        전재중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Cancer patients have been suffered from not only cancer pain, but also sleep disturbance and deteriorated quality of life. There are many medications developed for managing cancer pain, but the analgesics have adverse effects and induce drug dependence and tolerance caused by repetitive application. Thus, it is need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an alternative intervention for cancer pain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ep tissue massage on pain, anxiety, satisfaction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cancer. Sixteen patients with canc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eep tissue massage was applied for 35 minutes, 8 times for 4 weeks. Pain, anxiety, sleep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ain intensity, degree of anxiety, satisfaction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Verran and Snyder-Halpern sleep scale(VSH),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FACT-G) Ver. 4, respectively. Pai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deep tissue massage at rest (p <0.001) and during activity condition (p <0.001). The degree of anxiety and satisfaction of slee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ntervention (p < 0.001). However, the quality of life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ntervention (p =0.312) The deep tissue massage is useful for improving pain, anxiety, and satisfaction of sleep. We suggest deep tissue massage is effective, as an alternative intervention for management of cancer patients. Key words: cancer, deep tissue massage, pain, cancer pain, anxiety, sleep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공포, 암성통증, 수면장애 등으로 고통 받고 있고 삶의 질 또한 저하 되어 있다. 암성통증 관리를 위해 처방되는 약물의 부작용, 반복적용으로 인한 내성 발생 등의 문제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암성통증 관리 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에게 딥티슈 마사지를 적용하여 통증, 불안, 수면만족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군 대응표본 전, 후 설계로 한 연구이다. 암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하였다. 딥티슈 마사지가 1회당 약35분씩 4주 8회에 걸쳐 적용되었다. 중재 전, 후 통증, 불안, 수면만족도,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로 통증 강도를 측정하였고,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를 활용하여 불안의 정도를 확인 하였다. 수면만족도 측정을 위해 Verran and Snyder-Halpern Sleep Scale(VSH)를 사용하였고.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FACT-G) Version. 4를 사용하여 삶의 질을 정량화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통증 점수는 딥티슈 마사지 중재를 받은 후 휴식시(p<0.001), 동작시 (p<0.001) 모두 통증 점수가 유의 하게 감소 하였고, 불안척도 점수도 중재 후 유의 하게 낮아졌다(p<0.008). 수면만족도 점수 또한 중재 후 유의 하게 높아졌다(p<0.001). 그러나 삶의 질 점수는 중재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12). 본 연구를 통해 딥티슈 마사지 중재가 암환자의 통증, 불안, 수면만족도에 효과가 있었으나, 삶의 질에 대한 효과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암환자의 통증 및 불안감소와 수면증진을 위한 중재로써 딥티슈 마사지의 임상 활용 가능성을 제언한다.

      • 통증신경과학교육이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통증, 신체기능, 활동장애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오경곤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많은 만성 허리 통증 환자들이 통증 때문에 움직임이 감소한다. 그로 인해 근력의 약화가 이어지고, 이는 또 다시 통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가 발생시킨 통증이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생체심리사회적 접근에 의해 신체기능이나 활동 장애 또는 심리적인 우울이 그 원인이라 보고 통증 신경 과학 교육을 중재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증 신경 과학 교육이 만성 허리 통증 환자의 통증, 신체기능, 활동장애 그리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만성 허리 통증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대상자들은 통증 신경 과학 교육과 일반적인 물리치료 그리고 근막이완기법을 적용한 실험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와 근막이완기법만을 적용한 대조군으로 컴퓨터를 통해 무작위화 하여 실험군 19명과 대조군 20명을 배정하였고, 실험은 4주간 진행되었다. 각 종속변수 별 측정도구는 압통 역치, 쇼베르 검사, 한국형 롤랜드-모리스 장애 설문지, 한국형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 한국형 우울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통증 신경 과학 교육을 추가로 적용한 그룹은 일반적인 물리치료와 근막 이완 기법만을 적용한 그룹에 비해 통증을 측정한 결과값인 양측 허리의 압통 역치, 신체기능을 측정한 쇼베르 검사, 활동 장애를 측정한 한국형 롤랜드-모리스 장애 설문지, 한국형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 값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우울을 측정한 결과값인 한국형 우울 척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p<0.05). 따라서 향후 임상에서 만성 허리 통증 환자에게 통증 신경과학교육을 통해 심리적인 부분도 중재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 실험적으로 유발한 흰쥐 관절염 모델에서 COX 억제제, NMDA수용체 길항제와 capsaicin이 척수 후각의 c-fos 단백질과 척수신경절의 substance P, CGRP에 미치는 영향

        백종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7

        통증(pain)은 환자가 가장 흔히 호소하는 증상 중 하나로서, 통증을 일으키는 병인이 매우 다양하고, 이에 따른 통각 유발 기전의 차이가 있다. 통증연구에 필요한 적절한 동물모델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확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 통증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c-fos, substance P(SP),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의 척수 후각 내 농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이 통증의 정도와 진통효과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적으로 관절염 유발 후 염증성질환과 연관되어 있는 기전이 서로 다른 대표적인 통증 억제제인 cyclooxygenase (COX)억제 진통제나, NMDA 수용체 길항제인 MK-801과 그리고 capsaicin의 효과를 대표적인 통증 기전 지표물질인 c-fos 단백질,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SP, CGRP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형태정량학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Kaolin과 carrageenan을 흰쥐 무릎관절에 투여하여 관절염모델을 만든 후 관절염 유발군과 관절염유발후 통증억제제 투여군의 척수 후각과 척수신경절에서 통증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c-fos 단백질과 통증전달 신경펩타이드인 SP와 CGRP의 발현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염색한 후, 척수 후각에서는 c-fos 면역반응 양성신경원의 수와 SP와 CGRP면역반응 양성 신경섬유의 면적의 변화를 정량화하고, 척수신경절에서는 SP와 CGRP 면역반응 양성신경원의 수를 세어 정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약제가 척수 후각의 c-fos 양성 신경원의 수를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 감소 정도는 MK801, piroxicam, indomethacin, capsaicin의 순서로 나타났다..염증유발후 indomethacin 투여시 척수신경절의 SP 양성 신경원의 수와 척수 후각의 SP 면역반응 양성 신경섬유의 면적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CGRP 양성 면적의 감소는 초기인 2시간군에서 가장 뚜렷하였으며, 염증유발 후 24시간, 1주일 경과군에서는 면역반응 양성 면적의 감소가 둔화되었다. 염증유발후 piroxicam 투여시에는 척수신경절에서 SP 양성 신경원의 수가 의미있게 감소했으며, 척수 후각에서는 SP 양성면적이 염증유발군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나 초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P 양성 면적은 후기(1주일군)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이와 같은 소견은 대조측에서도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CGRP 면역반응 양성 면적은 1주일 경과군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염증유발후 MK 801 투여시에는 통증유발로 인한 척수신경절의 SP와 CGRP 면역반응 양성신경원의 수의 증가가 억제되었다. 척수 후각에서는 SP 양성 면적과 CGRP 양성 면적 모두가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며, MK-801 투여는 특히 대조측의 CGRP 양성 면적을 감소시켰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염증유발후기(1주일군)까지 지속되었다. Capsaicin 투여시 척수신경절에서 SP와 CGRP 양성 신경원의 수가 의미있게 감소했으며, 염증유발측 척수 후각의 SP와 CGRP 양성면적 역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염증성 질환에 투여한 indomethacin, piroxicam, MK801, capsaicin 등은 형태학적 통증 차단의 지표인 척수 후각의 c-fos 신경원수와, 척수와 DRG의 SP, CGRP 면역 염색 반응도를 저하시켰으며, 관절염과 연관된 통증유발시 기전이 다른 통증억제제가 c-fos 단백질의 발현이나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가 다름을 알수 있었으며, 이를 형태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Arthritis is the most common disease of joint in old age and almost all the old human are suffering from arthritis. Arthritis gives so severe pain hard to endure that it can devastate human. But we still do not know where the arthritic pain comes from and the generation mechanism of d. For the study of effects of anti-inflammatory drugs on the c-fos immunoreactive neurons, substance P- and CGRP- immunoreactive neurons in dorsal horn and DRG, cyclooxygenase (COX) inhibitors indomethacin (0.5mg/kg), piroxicam (0.5mg/kg), NMDA receptor antagonist MK 801 (2mg/kg), and capsaicin (50mg/kg)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arthritis model.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for this study. Arthritis was induced by injection of 4% kaolin followed by 2% carrageenan into the articular capsule of left knee. Two hours, 24 hours and 7 days after injection, animals were sacrificed and processed for 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fos in spinal dorsal horn, for substance P (SP) and CORP in DR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c-fos hnmunoreactive neur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2h after pkoxicam and MK-801 administration and I week after indomethacin, MK-801 and capsaicin treatment in the inflamed side of dorsal horn. 2. There were the significant decrease of SP-and CGRP-hnmunoreactive area 2h after indomethacin administration and lweek after capsaicin treatment in the inflamed side of dorsal horn. 3. The number of SP- and CGRP-hnmunoreactive neurons in DRG were decreased after drugs administration and no difference is in the degree of effectiveness between drugs. Indomethacin and piroxicam which is an inhibitors of COX,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s and desensitized nociceptive primaryfferents at the early time, and capsaicin, a pungent algesic substance, decreased the level of c-fos protein, SP and CORP over a wider time in dorsal horn and DR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