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만아동과 표준체중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조선화 淑明女子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33341

        본 연구는 비만아동과 표준체중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의 기대성향과 자아존중감의 차이 및 두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I : 비만아동과 표준체중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이 다를 것이다. I-1. 비만아동은 표준체중아동보다 내적성향이 낮을것이다. I-2. 비만아동은 표준체중아동보다 우연성향이 높을것이다. I-3. 비만아동은 표준체중아동보다 타인의존성향이 높을것이다. 가설II : 비만아동은 표준체중아동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을것이다. 가설III: 비만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자아존중감은 상관관계가 있고, 표준체중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자아존중감은 상관관계가 없을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개 국민학교 5, 6학년 아동중에서 비만아동 44명, 표준체중아동 51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기대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Wallston & Wallston(1978)의 건강통제위 척도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를 번안하며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oopersmith(1967) 의 자아존중검사(Self-Esteem Inventory)를 번안하며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비만아동과 표준체중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건강통제위 성격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만아동과 표준체중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에 있어서, 내적성향과 우연성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타인의존성향에서는 비만아동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비만아동이 표준체중아동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비만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중 우연성향과 자아존중감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나, 내적성향·타인의존성향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표준체중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e children and standard weight children in HLC and self-esteem. Hypothesi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LC between obese and standard weight children. I-1. HLC-internal score of obese children would be lower than that of standard weight children. I-2. HLC-chance score of obese children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standard weight children. I-3. HLC-powerful score of obese children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standard weight children. II. Self-esteem of obese children would be lower than that of standard weight children. III. There would b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LC and self-esteem in obese children. And there would be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standard weight children.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44 obese children and 51 standard weight children of fifth and sixth grade. Instruct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Wallston and Wallston's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1978) and Cooper-smith's Self-Esteem Inventory (1967). For the data analysis,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pplied.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HLC-internal and HLC-chance between the obese and standard weight children. However, the HLC-powerful score of obese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standard weight children. 2. The self-esteem score of obese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standard weight children. 3. The correlation between HLC-chance and self-esteem of obese children was found negatively relat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elf-esteem and HLC-internal and powerful in obese children. The correlations between HLC and self-esteem were not found related in standard weight children.

      • 심부전 환자에서 D유형 성격, 건강 통제위, 회복탄력성, 자가간호 이행의 관련성

        허지민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ype D personality, health locus of control, resilience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The subjects were 90 heart failure patients aged ≥20 years who visitied the cardiology out-patient clinic at the C hospital located in the Chungbuk area of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from May 29 to August 2, 2017. In this study, Type D personality was measured using the Type D Personality Scale-14 Korean version(2011) developed by Denollet (2005). Health locus of control was measured using the Form C of MHLC scale developed by Wallston, Stein and Smith (1994) and modified by Lim (2011). 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the CDR scale developed by Shin (2010). Self-care behavior was assessed using the EHFScB scale developed by Jaarsma (2003) and modified by Son (201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for Windows version 23.0 software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hi square, and Mann-Whitney test. The correlations among Type D personality, health locus of control, resilience, and self-care behavior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self-care behavior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by regression analysis a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f the 90 patients, 49 (54.0%) were classified as Type D personality, and 41 (46.0%) were classified as Non-Type D personality. The mean scores of the Type D personality patients were 19.16±3.27 for negative affectivity, and 19.93±4.09 for social inhibition. The mean scores of the non-Type D personality patients were 7.07±3.77 for negative affectivity, and 4.95±2.61 for social inhibition. The mean scores were higher among Type D personality patients than those among the Non-Type D personality patients. 2. The mean scores were 23.70±2.30 for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11.24±2.55 for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8.58±1.90 for powerfu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13.12±1.45 for doctor health locus of control. The health locus of control score was the highest for doctor (4.37±0.48) out of 5 points, followed by internal (3.95±0.38), powerful (2.86±0.63), and chance (1.87±0.43). 3. The mean score were 81.88±17.38 for resilience, and 3.28±0.20 out of 5. 4. The mean score were 41.71±12.31 for self-care behavior, and 2.45±0.14 out of 5. 5. In general, the results of the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by Type D personality,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st education experience of heart failure (p=.003), duration of illness (p = .036) and NYHA classification(p = .043). 6. The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b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health insurance (p = .046), past education experience of heart failure (p = .005) and NYHA classification(p = .021). For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educational level (p = .005), level of monthly-income (p = .026), past education experience of heart failure (p = .009) and NYHA classification (p = .018). The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by powerful health locus of control,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st education experience of heart failure (p = .024) and the number of concurrent diseases (p = .035). For doctor health locus of contro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past education experience of heart failure (p = .003). 7. In terms of the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by resilience,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for educational level (p = .002), types of health insurance (p = .021), past education experience of heart failure (p < .001) and NYHA classification (p = .001). 8. Regarding self-care behavi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for job (p = .018), religion (p = .001), types of health insurance (p = .043) and past education experience of heart failure (p = .003). 9. Type D patient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p = .001),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p = .009), doctor health locus of control (p = .004), resilience (p < .001) and self-care behavior (p < .001). In other words, they scored higher on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compared to non-Type D personality patients. Further non-Type D personality patients scored higher on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ores, doctor health locus of control, resilience, and self-care behavior compared to non-Type D personality patients. 10.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r = .340, p < .01).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a patient’s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score, the lower their self-care behavior score.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r = -.483, p < .01), self-care behavior and doctor health locus of control (r = -.452, p < .01) and self-care behavior and resilience (r = -.728, p < .01).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ir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doctor health locus of control and resilience, the higher their self-care behavior. 1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ilience (β = -.744) and religion (β = .151) were found to influence self-care behavior. This indicates that higher resilience and religion had important effects on self-care behavior, which explained 61.5% of the self-care behavior. 12. Resilience had complete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D personality and self-care behavior. It was seen that resilience, religion and Type D personality had important effectts on self-care behavior. Furtherm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ilience, religion and Type D personality should be deemed essential for patients in order to promote their self-care behavior when coping with heart failure.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D유형 성격과 건강 통제위 및 회복탄력성과 자가간호 이행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7년 5월 29일부터 8월2일까지 충북 소재의 일 종합병원 심장내과 외래에 내원하는 만 20세 이상의 심부전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D유형 성격을 측정하기 위하여 Denollet(2005)이 개발한 성격 측정 도구(the Type D Personality Scale-14; DS14)를 임홍의 등(2011)이 한국어로 번안 수정한 한국판 D유형 성격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건강 통제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Wallston, Stein와 Smith(1994)가 개발한 다차원적 건강 통제위 척도(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MHLC)의 Form C 도구를 신나연 등(2011)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회복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수진(2010)이 개발한 심혈관질환용 회복력 측정도구(Cardiovascular Disease Resilience, CDR)를, 자가간호 이행 측정은 Jaarsma 등(2003)이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EHFScB(European Heart Failure Self-care Behavior) 도구를 Son 등(2010)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hi Square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은 Scheffe’s test, Mann-Witney를 사용하였다. 영향 요인은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D유형 성격과 자가간호 이행의 관계에 미치는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유형 성격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49명(54%), Non-D유형 성격의 대상자는 41명(46%)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 억제 점수는 D유형 성격인 경우 평균 19.16±3.27점, 19.93±4.09점으로 Non-D유형 성격인 7.07±3.77 점, 4.95±2.61점보다 높았다. 2. 대상자의 평균 건강 통제위 점수는 내적 건강 통제위 23.70±2.30점, 우연 건강 통제위 11.24±2.55점, 타인 건강 통제위 8.58±1.90점, 의사 건강 통제위 13.12±1.45점으로 나타났다. 5점 척도 기준으로 비교해보면 의사 건강 통제위 가 4.37±0.48점으로 가장 높았고 내적 건강 통제위 3.95±0.38점, 타인 건강 통제위 2.86±0.63점, 우연 건강 통제위 1.87±0.43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3. 회복탄력성 점수는 평균 81.88±17.38점으로, 5점 척도 기준에 3.28±0.20점 으로 나타났다. 4. 자가간호 점수는 평균 41.71±12.31점으로, 5점 척도 기준에 2.45±0.14점 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D유형 성격의 차이는 과거 심부전 교육 경험 여부, 질병 기간, 뉴욕심장협회 기능적 분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 통제위의 차이는 내적 건강 통제위에서는 건강보험 유형, 심부전 교육경험 여부, 뉴욕심장협회 기능적 분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연 건강통제위에는 교육, 월수 입, 과거 심부전 교육 경험, 뉴욕심장협회 기능적 분류 단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타인 건강 통제위에서는 과거 심부전 교육 경험, 동반질 환 개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 건강 통제위에는 과거 심부전 교육 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는 교육, 건강 보험 유형, 심부전 교육 경험, 뉴욕심장협회 기능적 분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 차이는 직업, 종교, 건강보험 유형, 심부전 교육 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9. 대상자의 D유형 성격에 따라 내적 건강 통제위, 우연 건강 통제위, 의사 건강 통제위, 회복탄력성, 자가간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D유형 성격인 경우는 Non-D유형 성격인 경우보다 우연 건강 통제위가 높았으며, Non-D유형 성격인 경우는 D유형 성격에 비해 내적 건강 통제위와 의사 건강 통제위, 회복탄력성, 자가간호 이행이 더 높았다. 10. 대상자의 자가간호와 우연 건강 통제위는 양의 상관관계로, 우연 건강 통제위 가 높을수록 자가간호 점수는 높아져 자가간호 이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건강 통제위와 의사 건강 통제위, 회복탄력성은 음의 상관관계로, 내적 건강 통제위와 의사 건강 통제위,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자가간호 점수는 낮아져 자가간호 이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 대상자의 자가간호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종교가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이 높고 종교가 있는 대상자 가 자가간호 이행이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자가간호 이행을 61.5%를 설명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D유형 성격이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회복탄력성이 완전 매 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회복탄력성, 종교, D유형 성격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 종교, D유형 성격을 고려한 간호 중재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당뇨병 삶의 질 예측모형: 당뇨병 통제위 성격,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 대처전략

        변상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3326

        목적: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통제위 성격 및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대처전략과 삶의 질에 관한 인과관계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중재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횡단적 모형 구축 및 검정 설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고 B 시내 P 대학병원 외래 당뇨병 센터를 방문하는 280명으로, 최종 분석 대상자는 결측값이 많거나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52명을 제외한 228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5년 4월 6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과 당뇨병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당뇨병 통제위 성격, 당뇨병 사회적 지지, 당뇨병 자기효능, 당뇨병 대처전략, 당뇨병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 통계 및 독립표본 t 검정과 ANOVA 분석을 하였고, 모형의 검정은 SmartPLS 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당뇨병 자기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연 당뇨병 통제위 성격(=-0.17, p=.038)이었다. 부정적 당뇨병 대처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연 당뇨병 통제위 성격(=0.32, p<.001)과 타인의존 당뇨병 통제위 성격(=-0.15, p=.025), 당뇨병 사회적지지(=0.11, p=.048) 그리고 당뇨병 자기효능(β=0.31, p<.001)이었다. 당뇨병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당뇨병 사회적 지지(=-0.21, p<.001), 당뇨병 자기효능(β=0.21, p<.001), 부정적 당뇨병 대처전략(β=-0.58, p<.001)이었다. 본 연구의 당뇨병 삶의 질에 대한 모형의 설명력은 =.50이었으며,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GoF=0.42로 중간 정도로 검정되었다. 심리사회적 변수(당뇨병 통제위 성격, 당뇨병 사회적지지)와 당뇨병 삶의 질 간의 당뇨병 자기효능의 매개효과 크기()는 0.06(p<.01)이었고 부정적 당뇨병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크기는 0.46(p<.01)이었다. 결론: 당뇨병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당뇨병 사회적 지지와 당뇨병 자기효능, 당뇨병 대처전략이었다. 우연 당뇨병 통제위 성격은 부정적 대처전략을 통하여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낮아지게 하지만, 당뇨병 자기효능을 매개하여 삶의 질이 높아진다. 타인의존 당뇨병 통제위 성격은 부정적 대처전략을 통하여 당뇨병 삶의 질이 낮아진다. 당뇨병 자가관리에 대한 행위적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대처전략을 통하여 삶의 질을 낮아지게 하였고, 당뇨병 삶의 질을 직접적으로 낮아지게도 하였다. 따라서 우연 당뇨병 통제위 성격의 수정과 당뇨병 대처전략 향상을 위한 당뇨병 자기효능의 중재가 개입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강화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