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산 백령산성 출토 목곽고의 과학적 분석 : 제작기법 및 연대측정(분석)을 중심으로

        박창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67

        수침고목재는 해양, 저습지, 토탄층에서 출토된 목재로 미생물 등에 주성분이 분해되고 공극에 수분으로 채워져 있다. 이러한 수침고목재는 출토되면 유물이 수축 및 변화로 손상되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자 안정화를 위해 강화처리 등의 보존처리가 필요하며, 보존처리 전 유물에 대한 과학적 조사·분석이 진행된다. 목곽고는 지하에 방형 또는 장방형의 목곽을 설치한 목곽형 저장시설로 백제와 신라에서 확인되는 저장시설이며, 주로 백제의 도성과 성곽 내에서 출토되었다. 목곽고는 가구식과 주혈식으로 구조가 구분되어 가구식은 벽체와 상부 구조물을 지탱하는 목주를 각재의 촉구멍에 끼워 바닥에 판재를 배치하는 방식이며, 주혈식은 굴광을 조성하고 바닥에 판재 없이 기둥을 세워 벽체를 조성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는 금산 백령산성에서 출토된 목곽고 부재 83점에 대하여 당시 사용된 목재의 수종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목곽고 부재에 잔존하는 도구흔과 가공방법을 통해 제작기법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륜연대와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통해 제작시기를 파악하여 추후 목곽고 보존처리와 백제 사비기 연륜연대기 구축에 참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목곽고 부재의 수종은 굴피나무 38점, 상수리나무류 34점, 졸참나무류 8점, 소나무류 2점, 음나무 1점으로 식별하였다. 목곽고 바닥부재와 보강지지목의 결구부는 도구흔을 통해 자귀흔으로 확인하였으며, 보강지지목의 용도 미상 공동은 끌흔이 관찰되었다. 또한, 단면관찰을 통해 수가 부재의 중심에 위치하여 목재를 가공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방사성탄소연대분석으로 A.D. 567-647년 이후에 목곽고가 조성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방사성탄소연대결과를 이용하여 타 유적의 상수리나무류 연륜연대기와 상호비교하여 상대연대를 잠정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목곽고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목곽고의 보존처리 및 백제 사비기 연륜연대기 구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무문토기시대 전기 사회의 상호작용과 문화변동 : 한반도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황재훈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66

        본고의 목적은 토기와 석기의 형식, 주거 구조 등 물질문화의 특정과 공간적 양상을 통해 각 문화유형의 사회적 경계를 가늠해 보고 시간의 추이에 따른 중서부지역 무문토기시대 전기 사회의 문화변동 과정을 설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현재 한국고고학 편년 방법의 근간을 이루는 형식학적 상대연대결정법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무문토기시대 전기 유형론에서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는 본질론적 연구 시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무문토기시대 전기 취락 양상과 그 변화상을 이해하기 위해 최근 구미 취락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론, 방사성탄소연대에 대한 연구 시각을 살펴보았다. 주로 토기 구연부 문양에 기초한 현재의 무문토기시대 전기 편년안은 최근 여러 고고학적 자료와 연구 결과에서 드러나듯, 유구 간 중복관계, 유적·유구 내 공반관계,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와 같은 직·간접적인 자료에 기초하여 볼 때 여러 모순점과 문제점이 발견된다. 그동안 시간성으로 이해되어 왔던 서로 다른 문양의 토기들이 동일 유구에서 공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중복을 이룬 유구 내에서 발견된 토기 문양의 선후관계가 현재의 편년안과 일치하지 않는 사례 또한 많이 발견된다. 더욱이 현재 편년안의 커다란 골격인 문양의 퇴화과정이 계기적으로 관찰되는 실제 유적 사례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우며 존속기간이 매우 짧은 유적에서 시간성으로 상정하고 있는 다양한 문양이 공존하기도 한다. 또한 그동안 축적된 수많은 탄소연대는 현재의 편년안과 부합되지 않는다. 즉, 탄소연대 분포 결과는 현재의 편년안에서 시간적인 차이로 상정되어 왔던 서로 다른 문양의 토기 간 유의할 만한 연대차를 두기 어려우며 이들 토기 문화는 지역을 달리한 채 공존하였음을 반영하고 있다. 이 같은 양상은 서로 다른 토기 문양, 형식차를 시간적 차이로만 해석하고 있는 현재의 편년 틀에 자료적 결함과 논리적 모순점이 있으며, 원천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이 같은 문제 인식에 따라, 현재 편년안의 대안으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의 적극적인 활용 가능성과 분석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한반도 무문토기시대 전기 사회는 서로 다른 문화유형 간 상호작용에 의해 문화접변 양상이 관찰되며, 문화의 전파와 확산, 인구 이동에 의해 사회적 경계가 급격히 변화하는 역동적인 문화상을 보인다. 이 같은 시·공간적 전개로 인해 각 문화유형은 성행기와 쇠퇴기, 존속기간에서 차별적인 양상을 보이게 된다. 중서부지역 무문토기시대 전기 사회의 문화변동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문화유형 간 상호작용, 사회적 경계와 변화, 인구이동과 인구결집, 취락 형성과 분산 및 재편 등의 연쇄적인 문화변동 기점을 기준으로 크게 3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무문토기시대가 성립되는 시점인 전기 전반 중서부 각 지역에는 서로 다른 유구·유물 양상을 보이는 다양한 물질문화가 공존한 것으로 살펴진다. 경기 북서부·서부지역의 각형토기문화유형, 경기 서·중부와 충남지역의 역삼동문화유형, 강원 영서와 충청 연기지역의 미사리문화유형, 금강 중상류지역의 가락동문화유형이 그것이다. 이외에도 명확한 기원지나 문화 내용이 불분명한 물질문화가 중서부 각 지역에 걸쳐 산발적으로 병존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 물질문화의 특징과 공간적 분포상의 차이는 원거주지의 다양한 문화 내용, 초기 이주 단위의 규모, 점유시점의 세부적인 차이, 상호작용의 강도 등이 복합된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무문토기시대가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전기 중반에 감지되는 급격한 공간적 분포의 변화는 각 문화유형 분포권의 확산과 소멸 양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이러한 변화상를 유발한 가장 큰 요인은 역삼동문화유형의 급격한 확산과정에 있다. 이전 시기 점유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경기 동·남부, 충남 전역에 걸쳐 많은 수의 역삼동문화유형의 취락이 새로이 형성된다. 또한 전기 전반 경기 동부·남부 및 북한강유역의 미사리문화유형 유적은 점차 역삼동문화유형으로 대체되며, 한강 하류역으로의 분포권의 확대에 의해 경기 서부지역 각형토기문화유형과의 문화적 점이지대가 형성된다. 또한 경기 남부 및 아산만지역 역삼동문화유형과 금강유역 가락동문화유형 취락의 급격한 증가는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한 양자의 지역적 경계가 정형화되는 주 요인이 되었다. 무문토기시대 전기 후반 또한 주목할 만한 물질문화의 공간적 분포상의 변화가 관찰된다. 경기 서부·북서부 및 임진강 상류역의 각형토기문화유형 유적은 점차 역삼동문화유형으로 대체되며, 전기 중반 이래 인구 결집지로 부상하였던 경기 동부·남부와 충남지역, 북한강유역의 역삼동문화유형 유적은 전기 후반 들어서도 지속적으로 취락 규모가 확대되어간다. 이와 동시에 중소형 취락도 새로이 형성되어 가는데 이러한 양상은 인구 결집과 대형 취락의 해체 및 분산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해 금강 중상류역과 강원 영서지역의 가락동문화유형과 미사리문화유형, 남한강유역의 지역 문화유형은 분포 범위가 다소 축소되며 유적의 수 또한 점차적으로 감소되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무문토기시대 전기 전반~후반에 걸쳐 중서부 각 지역에서는 문화유형 간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 다른 토기·석기, 주거 구조가 공유되기도 하며, 토기 문양 요소가 융합되거나 변형되는 양식적 변이가 발생한다. 이 같은 문화접변 양상은 각 물질문화의 중심지역으로 갈수록 양식적 통일성이 증가하며, 이와 반대로 주변지역이나 문화유형 간 인접지역으로 갈수록 양식적 다양성이 증가하는 공간적으로 점진적인 분포상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토기와 석기, 주거지의 형식을 통한 세부 편년이나 시기 구분에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문화상과 문화변동 과정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중서부지역 무문토기시대 전기 사회의 문화상을 살피기 위해 유적과 유구, 유물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문화 요소의 양식적 변이가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과 문화 요소의 변화상을 설명하는 기제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변동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사회적 경계의 형성과정, 상호작용, 인구이동 및 인구결집, 취락의 형성과 분산 등의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lucidate changing social boundaries based on analysis of Early Bronze Age (EBA) pottery, stone artifacts, habitation sites. Several assemblage types were reconsidered along with their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With a critical review of typological and other relative chronological methods, I evaluate available radiocarbon dates and emphasize coexistence of typical EBA assemblage types or culture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Current chronology based on typological arrangement of pottery rim types and designs does not correspond with archaeological evidence indicated by overlapping features, artifact associations and radiocarbon dates. Different types of pottery designs so far considered time markers were in fact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overlapping features does not coincide with current chronology. The supposed process of degeneration or gradual disappearance of pottery design is not supported by the stratigraphic excavations, while pottery remains of several different designs were unearthed associated. Evaluation and analysis of substantial amount of radiocarbon dates so far accumulated which do not support current chronology emphasizing sequential and lineal changes. While several assemblages types or cultures, Gakhyeongtogi Culture, Garak-dong Culture, Misa-ri Culture and Yeoksam-dong Culture, coexisted in the midwestern Korean Peninsula during the EBA, they underwent dynamic changes in social boundaries. Analyses of material remains show diverse patterns of diffusion and population dispersals and movements along with social interaction among local cultures, which in turn can be summarized in terms of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of the EBA in the midwestern Korean Peninsula is characterized by diverse material culture with artifact types and features of different cultures. Especially,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is marked by Gakhyeongtogi Culture, midwestern part is characterized by Yeoksam-dong Culture, eastern part is marked by Misa-ri Culture, and middle and upper Geum River basin is dominated by Garak-dong Culture. The diversity of material culture during this period reflects various scales of population movements into the region, minor difference in occupational episodes and the strength of social interaction. The change in spatial distribution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remains is characterized by the rapid dispersal of Yeoksam-dong Culture, which dispersed into hitherto unoccupied southeastern part of the Gyeonggi and most part of the Chungnam area. Simultaneously Misa-ri Culture in the southeastern Gyeonggi and Bukhan River areas were gradually replaced by Yeoksam-dong Culture. The growing Yeoksam-dong style material culture made contact with Gakyeongtogi Culture in the western Gyeonggi, while it also made the distinctive social boundaries with Garak-dong style material culture which was developing in the Geum River areas south of the Charyeong mountains. The final phase of the EBA witnessed noticeable change in spatial distribution of typical material remains. The most notable change is the spatial dispersal of the Yeoksam-dong Culture as the Gakhyeongtogi Culture in the western and the northwestern Gyeonggi area was gradually replaced by the Yeoksam-dong Culture. There was a tendency for diversification of settlement size, both large settlements and small and medium sized settlements appeared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gi, Chungnam and Bukhan River areas during the phase, which in turn suggests population packing and dispersals following the fission of large settlements. Typical material remains of EBA assemblages show diverse patterns of acculturation and social interaction which is reflected in pottery and stone artifacts and structure of subterranean habitation sites. As such, the present study represent a new attempt to explain culture change during the EBA. Critical typological considerations and reanalysis of chronology based on evaluation of available radiocarbon dates show changes in spatial distributions of typical material remains and assemblages, which reflects changing social boundaries, social interactions and population packing and fissions in the EBA.

      • 영산강 상류역 원삼국-삼국시대 취락 연대의 재검토

        전세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8

        본고에서는 호남지방 취락유적의 편년 상향현상에 문제를 제기하고 그러한 원인이 C14연대의 무분별한 수용, 타날기법 도입시기에 대한 인식의 차이, 잘못된 편년의 반복적인 재생산에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영산강상류에 한정하여 취락의 편년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담양 태목리유적을 표준유적으로 설정하여 토기의 형식분류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네 단계를 설정할 수 있었다. 이를 영산강상류 취락유적에 대입하여 각 유적의 단계를 설정하였으며 절대연대측정자료를 분석하여 취락의 역연대를 추정하였다. 검토결과 영산강상류의 취락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4-6세기대의 자료가 2-6세기대로 편년이 상향된 것으로 보이며 점유시기 또한 실제보다 길게 설정된 경우가 많았다. 호남지방 원삼국-삼국시대 취락유적은 본고에서 다루는 범위 내에서 네 단계로 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원삼국-삼국시대 호남지방 취락의 입지는 ‘구릉상부→구릉하부→평지’로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고의 편년과 검토에 따르면 ‘충적지→구릉지→충적지(일부 구릉지)’로의 변화를 추정해볼 수 있다. The present paper raises the question about chronology of the settlements in the Honam district and the problem which originated from imprudent acceptance of 14C dating,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beginning of Paddling Techniques and reproduction of the wrong chronology. Therefore we tried to offer a new chronology of the settlements from the region of Upper Youngsan River. Through establishment of site standards, form classification of pottery and acquired results from Taemok-ri archaeological site could be identified four phases. Our study shows that if we can recognise established phases of the settlements by absolute dating should be possible to presumed date of settlements. Аfter thorough review of all settlements in Upper Younsan River we can conclude that the settlements from the 2-6 century should be re-dating in 4-6 century as the period of the sites occupancy is not so long as previously thought. Chronologically, the existence of the settlements in the Honam district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is changed to four phases. Among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s is the observation that the location of the settlements during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has known as “upper hills - lower hills - alluvial plain” but must change as “alluvial plain – hills - alluvial plain (some hills)”, according the analysis of this study.

      • 호서 호남지역 사주식 주거지 연구

        박지웅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5

        본고는 호서·호남지역의 원삼국-한성백제기 사주식 주거지의 지역별 전개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원삼국시대 편년 형성과정 속에서 사주식 주거지의 전개과정은 천안 지역의 사주식 주거지 집단이 백제의 세력 확장에 의해 남하하여 호남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 설명되어왔다. 그 근거는 천안 장산리유적 7호 주거지의 탄소연대 측정치와 경질무문토기 공반 양상을 토대로 한다. 이에 따라 호남 지역 사주식 주거지는 경질무문토기가 확인되지 않는 이유로 3세기 이후로 소급되고 있다. 그러한 과정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는 백제의 영역 확장에 의해 천안 지역 사주식 주거지 집단이 호남지역으로 이주함으로써 호남지역에 사주식 주거지가 축조된다고 설명하여 왔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축적된 사주식 주거지 자료를 종합하여 지역권을 설정한 후, 사주식 주거지의 지역별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주식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1) 사주공 면적비, 2) 벽구 형태, 3) 장타원형 수혈, 4) 취사 시설 등에서 지역차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방사성 탄소연대 분포와 토기 양상을 통해 사주식 주거지의 대략적인 시간적 위치를 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사성 탄소연대 분포로만 놓고 본다면 호남 서부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더 이를 가능성이 있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통해 호서·호남지역 사주식 주거지의 시공간성을 종합해보았다. 본고에서는 사주식 주거지의 지역성을 종합하기위해 대응일치 분석을 시도해 보았는데, 분석 결과 사주식 주거지의 각 속성이 지역적으로 차별적인 분포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주식 주거지와 타 형식 주거지의 존속 기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호서·호남지역 원삼국시대 주거지에서 나타난 방사성 탄소연대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호남 서부지역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타 지역에서는 각 형식의 주거지의 방사성 탄소연대 분포가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로 보아 기존 연구에서 사주식 주거지의 전개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언급되어왔던 이주설은 본고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입증되기 어려워 보인다. 결국 사주식 주거지는 지역별 전개과정의 차이가 뚜렷해 보이며, 이러한 차이는 주거 형태뿐만 아니라 분묘와 토기 양상의 지역적 차이와도 연계된다. This paper is to observe the regional development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during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 and HanseongBaekje in Hoseo and Honam Areas. For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chronology in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group used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in the region of Cheonan moved down to the region of Honam by the extension of the forces of Baekje. It is based on Radiocarbon dates of the dwelling site #7 of Cheonan Jangsanri site and the aspects that excavated Gyungjilmumun pottery. So it is retrospective since 3rd centuries because Gyungjilmumun pottery is not verified in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in the region of Honam. About the process,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in the region of Cheonan moved down to the region of Honam by the extension of the forces of Baekje, so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in the region of Honam were constructed in the existing research. In this paper, regional aspects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were observed after set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tegrating documents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accumulated so far. The resul was that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regions in 1) Four-Pillars area ratio, 2) Byeokgu type, and 3) Long-oval Pit, 4) Cooking facilities which were confirmed in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In addition, the approximate location of residence era was examined dividing into regions through the aspects of distribution of radiocarbon date and pottery. As a resul , the western Honam is likely to be earlier than in other areas if focusing on only radiocarbon dates distribu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 above, the space-time specific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in the region of Hoseo·Honam were integrated. In this paper, the correspondence analysis to a locality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and its resul was that each attribute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was discriminatorily distributed by regions. Furthermore, radiocarbon dating revealed in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during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 in the region of Hoseo·Honam was compared to find the difference of duration between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and other type dwelling sit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western Honam,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radiocarbon date of each type dwelling site in other regions. So the description around the movement as a development process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in the existing research seems it is difficul to prov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 of this paper. Eventually, the region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Four-Pillars type dwelling sites looks clear in its difference, and this difference is linked not only the dwelling type, but also a regional difference of aspects of the tombs and pottery.

      • 탄소연대를 활용한 신석기시대 인구 변동과 생계 연구

        임지원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반도의 신석기시대는 전통적으로 해양성 문화의 측면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간 내륙성 문화를 나타내는 자료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증거는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에 해양성 문화, 늦은 시기에 내륙성 문화로 변화하였다는 관점이 형성되게 하였다. 또한 시간에 따라 해안에서 내륙으로 인구가 이동하였다는 가능성을 상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합산확률분포를 사용하여 다음의 주장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3300 BC를 기점으로 해안에서 내륙으로 인구의 상대적 비율이 전환되었다. 그리고 3500~2300 BC의 기간에서 인구 이동을 시사하는 유의미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3500~3300 BC에 해안으로 인구가 유입되었고, 3300~2300 BC에는 내륙으로 인구가 유입되어 상대적 증가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3500~3300 BC에는 해안의 인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4500 BC를 전후한 시기에 한반도 중서북부지역에서 형성된 빗살무늬토기 문화가 주민의 이주와 함께 중서남부지역에 유입된 영향이라고 판단된다. 이후 3500 BC를 전후하여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된 빗살무늬토기 문화는 해안의 인구 증가와 관련된다. 이는 이른 시기에 내륙에 정착한 이주 집단이 생계안정을 위해 자원 획득이 비교적 용이한 해안지역으로 이동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3300~2300 BC에는 내륙 인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내륙으로 인구의 확산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었다. 그 이유는 대규모 취락을 형성한 해안의 집단이 소규모의 여러 집단으로 분할하여 내륙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집단 규모의 변화는 이동의 효율성을 고려한 측면도 있지만, 생계전략의 변동을 짐작하게 한다. 이는 석기 조성에서 제작·가공구 및 채집·농경구의 비율 증가를 통해 식물자원의 이용을 추정할 수 있다. 해안에서 내륙으로 인구 이동은 두 가지 유입 요인(pull factor)에 의해 촉진되었다. 첫 번째는 한반도 남부에 기후 최적기가 관찰되며 생계 자원이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오랜 기간 동안 육상자원에 대한 정보 축적으로 가용 자원의 범위가 넓어졌다. 두 번째는 내륙으로 확산한 집단이 중서부와 남해안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교류가 이루어졌다. 관계망을 따라 형성된 유적은 문화 교류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2300 BC 이후에는 해안과 내륙에서 모두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가 확인된다. 이러한 현상은 4200 BP 한랭화가 한반도의 식생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렵채집민의 생계전략은 이동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그 결과 취락이 해체되었고 유적이 감소하였으며, 중서부와 남해안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와해되었다. Neolithic societies in Korea are traditionally considered to be heavily reliant on marine resources. However, research in recent decades has produced new data from inland localities. These new evidences have led some to suggest that Neolithic societies in Korea changed from being reliant on marine resources in the early Neolithic to becoming reliant on terrestrial resources in the late Neolithic, and that this change was accompanied by population movements from the coasts to the inland regions.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these arguments are reviewed using summed probability distribution (SPD) analysis of radiocarbon dates obtained from Neolithic site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PD analyses show that at ca. 3300 BC inland regions became more populous than the coastal regions. Moreo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pulation movements between 3500 and 2300 BC. These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were population influx on the coasts from 3500 to 3300 BC, while from 3300 to 2300 BC population influx was witnessed in the inland regions. The increase in coastal population between 3500 to 3300 BC was caused by the influx of population that began at ca. 4500 BC. Immigrants, who carried with them Chulmun pottery, came from the north-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initially settled in the inland regions, and then relocated to the coasts where resources are more easily acquired. This process also led to the spread of Chulmun culture across the coastal regions. From 3300 to 2300 BC, inland population increased, and the population movement from the coasts to the inland regions progressed rapidly. It appears that large settlements on the coasts fissioned into smaller groups in the midst of this movement. A reduction in group size may be related to more efficient movement and was accompanied by changes in subsistence strategies. Indeed, increased utilization of plant resources is indicated by the increased proportion of production-processing tools and collection-agricultural tools in the stone tools assemblage during that time. Population movement from the coasts to inland was caused by two pull factors. The first one was the optimal climat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at time, leading to more evenly distributed subsistence resources. Furthermore, the range of resources available to the people expanded as a result of knowledge accumulation on terrestrial resources over long periods of time. Secondly, groups that spread inland formed networks that connected the central-west and southern coasts and these networks facilitated exchanges. Sites formed along the networks indicate that there were social demands for cultural exchange. From 2300 BC onwards, populations in both the coastal and inland regions decreased. This phenomenon was caused by the cooling ca. 4200 BP which affected vege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subsistence strategy of hunter-gatherers has changed with increased mobility. As a result, settlements were abandoned which led to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sites, and caused the networks that connected the central-west and southern coasts to collapse.

      • 북한강 유역 청동기시대 대형 취락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김세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18

        최근 북한강 유역에서 대규모의 취락 유적이 꾸준히 발굴되고 있으나, 자료가 가지는 중요성에 비하여 북한강 유역 취락 자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하지만, 춘천 중도 유적과 같이 초대형 유적의 존재는 북한강 유역에서의 인구 재조직과 취락 대형화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고고학 연구에서 인구는 과거 사회의 변화를 추동하는 주요한 변수로서 오랜 시간 연구 되어 왔다. 특히 일정한 지역적 범위 내에서 인구의 이합집산이 일어나고, 소수의 취락들로 인구가 집중되는 과정에서 대형 취락이 등장하는 사례가 다양한 시공간적 맥락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 유역에서 취락 간 인구의 이동이 활발히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특정 취락의 규모가 거대해졌을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토기 구연부 문양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 편년안의 일괄 적용이 인구 재조직 과정을 살피기 어렵게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탄소연대를 활용하여 경기 지역과 북한강 유역의 청동기 시대 물질 자료를 비교 검토한 결과, 양 지역의 물질문화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북한강 유역에서는 이른 시기 위석식 노지와 돌대각목문토기가 유행한 것은 사실이나, 돌대각목문토기의 등장시점은 다른 토기 구연부 문양에 비해 늦지 않다. 또한, 공렬토기의 증가나 점토다짐구역의 설치 유무만을 기준으로 하여 북한강 유역의 전기와 중기를 구분하기는 힘든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하면 현재 통용되는 상대 편년안을 적용하는 경우, 북한강 유역 내 인구 규모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탄소연대와 부트스트랩 리샘플링 방법을 활용하여 청동기 시대 북한강 유역에서의 인구 재조직 및 취락 재조직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때 청동기 시대의 상한은 3200bp로, 하한은 2400bp로 설정하였다. 또한 위석식 노지 및 돌대각목문토기의 소멸, 그리고 탄소연대보정곡선 상의 평탄면 문제를 고려하여 크게 [3200-2800bp], [2800-2600bp], [2600-2400bp] 로 시기를 구분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취락 규모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강 유역에서는 특정 소수 취락으로의 인구 집중 및 취락 대형화가 확인되었다. [3200-2800bp]에는 춘천 중도 유적과 화천 거례리 유적 외에도 중소형의 취락들이 산재해 있던 것으로 보인다. [2800-2600bp]에 이르러 일부 취락들의 규모가 점차 증가하며, 이 과정에서 여타 중소형의 취락들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아예 소멸하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후 [2600-2400bp] 시기에 이르러 춘천 중도 유적은 북한강 유역 내에서 가장 거대한 유적으로 자리 잡는다. 따라서 북한강 유역의 대형 취락들의 존재는 단순히 자연적인 인구 증가의 결과물이 아니라 당시 지역 범위 내에서 오랜 시간 누적된 인구의 재조직의 결과물인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대형화가 가장 선명하게 확인된 춘천 중도 유적을 대상으로 취락 내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구와 유물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거지 및 각 구역별 점유 기간을 살펴본 결과, 인구 규모의 변화와 조응하여 공간적인 점유 양상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특히 인구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주거 구역의 밀집도가 높아지는 한편, 새로운 중심지가 형성되면서 취락이 공간적으로 팽창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유물상에서 가구 간 분화가 선명하게 확인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그동안 당연한 것으로 전제해 온 청동기 시대 사회복합화 양상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opulation dynamics have long been studied as a major variable that brings about transformations in various aspects of past societies, and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ole of regional-scale migrations in the emergence of large settlements.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population movement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which may have resulted in the rise of unprecedented large-scale settlements for the first time in the region. It is argued that over reliance on sequence dating of Mumun pottery, which is often highly subjective, has often led to misinterpretations of Bronze Age population dynamics. As an alternative to sequence dating, this study uses radiocarbon dates to determine the occupation span of pit houses and settlements in the Gyeonggi Province and North Han River basin. Results indicate clear differences in material culture between the two regions, suggesting that no single chronology can be applied to such a wide geographic range. Although it has been suggested in other studies that stone-lined hearths and doldaemun pottery were favored in the Early Bronze Age, especially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this study reveals that various types of Mumun pottery were used contemporaneously, including rim-perforated pottery and notched-rim pottery.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arly Bronze Age and Middle Bronze Age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solely based on the relative frequency of rim-perforated pottery and the presence of clay compaction areas in pit houses.  As such, using relative dating of pottery or features associated with pit houses to reconstruct Bronze Age populations sizes is likely to result in erroneous estim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patio-temporal trajectory of Bronze Age population reorganization and settlement aggregation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using radiocarbon data and bootstrap resampling methods. In order to reconstruct spatio-temporal changes of populations at a regional scale, this study compares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settlements in three different periods: [3200-2800 bp], [2800-2600 bp], and [2600-2400 bp]. The results reveal that the North Han River basin was a locus of population coalescence, bringing people into larger communities. From 3200 to 2800bp, small and medium-sized villages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region. However, from 2800 to 2600bp certain villages gradually increased in size, while other small and medium-sized villages dwindled or completely disappeared. During the 2600-2400bp period, the Jungdo site finally becomes the largest settlement within the North Han River basin. The existence of such large settlements in the region cannot be interpreted as emerging only as a result of natural population growth, but rather as a consequence of accumulated population movement and agglomeration. In addition, an intrasite analysis of the Jungdo site in Chuncheon, which accounted for over two-thirds of the population in the region, was carried out through comparisons of artifacts and pit hou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spatial occupation pattern of the settlement is related to the changes in population size. In particular, it is estimated that the density of residential areas increased as population grew, while the village expanded spatially as a new center was formed. However, the analysis of artifacts also fails to detect clear evidence of specialization or differentiation among dwellings, contradicting the traditional belief that social complexity is naturally intensified in response to the formation of large complexes.

      • 남한지역 마제석검 형태 변이의 시·공간적 분포

        송아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17

        본 연구는 남한지역 청동기시대의 생활, 분묘 유구에서 출토된 마제석검을 대상으로 석검 형태 변이의 시·공간적 분포 양상과 출토 유구 종류에 따른 특징을 살펴본 내용이다. 기존의 석검 연구에서는 형태적 차이를 형식으로 나눈 뒤 형식의 순서를 배열하거나 교차 편년하여 석검의 기원과 연대를 추정하는 방식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 석검 형식의 시간적 변천 내용은 동검 모방도의 하락으로 인한 퇴화나 석검의 용도 변화에서 기인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며, 그것은 다양한 공간 스케일과 출토 유구 종류의 차이에 상관없이 통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원리로 여겨졌다. 하지만 형식학적 연구 방법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석검들의 공존이나 형식 내에 존재하는 변이를 다루기 어렵고, 석검의 변화를 시간적으로 범주화된 형식 별로 여겨지게 하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또한 석검의 형태를 분석하거나 도출한 편년안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공간 스케일의 변화나 출토 유구 종류에 대한 고려가 없었던 까닭에, 시간 형식이 특정 지역이나 유구 종류에 편중되어 자료 현황 파악과 설명에 모순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제기된 문제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형태 변이에 대한 인식적 틀과 변이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석검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측정은 변이의 최소 단위인 속성을 기준으로 하였고, 명목형과 연속형 속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변이들을 최대한 계량화했다. 석검의 시·공간성과 출토 맥락적 특징은 각 변수에 따라 형태 변이가 어떻게 분포하는지 패턴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상호 대비함으로써 밝히고자 했다. 석검 형태 변이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해서는 생활/분묘 유구 출토 석검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지역적으로 석검이 출토된 유구 종류의 비중이 상이하고 유구 종류 별 석검의 형태적 차이가 현저한 탓에, 유구 종류에 따른 석검의 특징이 시·공간성으로 혼돈되거나 특정 유구 출토품이 부재한 지역에서 시간적 공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별로 생활/분묘 유구 출토 석검의 명목형 속성의 유무 빈도와 연속형 속성의 수치 및 비율을 검토한 결과 형태 변이의 상사·상이한 공간적 분포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시간성으로 여겨졌던 석검의 형태적 특징이 지역성이나 유구 종류의 차이로 재고되기도 했다. 석검 형태의 시간성에 대해서는 탄소연대가 측정된 생활 유구 출토품을 대상으로 미보정 연대의 빈도 변화와 보정연대의 분포 확률 변화 패턴을 통해 점검하였다. 석검 형태 변이의 시간적 분포 분석 결과는 변화란 본질적인 의미의 형태 변화가 아닌 변이들의 차별적인 빈도 변화 혹은 분포 확률의 변화라는 사실을 환기했다. 이를 각 지역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더니 형태 변화 요소는 물론 변화 여부, 변화 시점과 양상이 다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출토 유구 종류에 따른 석검의 사용 맥락이나 용도로 인해 형태 변이의 공간적 분포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그것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보았다. 생활/분묘 유구 출토 석검 각각에 대해 지역 내·외의 변이 분포 양상을 비교한 결과 양자의 변이 분포 패턴과 패턴의 특성에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는 석검의 용도에 따른 제작·유통 범주의 상이함이 석검의 제작 관습과 사용 방식에 직·간접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추측된다. 끝으로 개별 무덤의 시기 판정에서부터 무덤 축조와 부장 행위의 시작 시점을 추정하는 데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편년적 지표가 되고 있는 분묘 유구 출토 유단·유구병식석검의 시·공간적 분포와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영남지역의 분묘 유구 출토 유단·유구병식석검 대부분은 공간적으로 동남해안 일대에 분포한다. 해당 지역의 맥락 속에서 그 양상을 살핀 결과, 송국리형 문화의 유입이 저조했던 지역에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온 지역문화를 반영해 부장용 석검을 만들었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분묘 유구 출토 유단·유구병식석검에 대한 기존의 시간적 위치나 역할에 재고를 요하는 한편, 석검의 형식 변화에 기초해 해석하였던 당대의 사회문화상에 대해서도 재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 중부지역의 인구변동과 배경

        주찬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3

        본 연구는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 중부지역의 인구변동 양상을 살펴보고 변동의 배경 및 사회적 영향에 대해 검토한다.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는 여러 정치체가 존재하였던 복잡한 양상을 지나 백제가 고대국가로서의 면모를 보이는 시기이다. 이러한 단계에서 인구는 정치, 생산, 군사, 경제 등과 직결되는 중요한 변수이기에 당시 사회 변화의 주요 근거로 자주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의 인구변동에 대해 아직 정확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연구에서 사회 변화의 주요 근거로 인구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중부지역의 인구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합산확률분포와 주거지 개수를 활용하여 각각의 인구변동을 검토하고, 이를 비교하여 신뢰성 있는 인구변동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구변동과 당시 사회의 역동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변동의 배경을 살펴보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 중부지역에서는 기원전후부터 인구가 증가하여 3~4세기경에는 정점에 이르고, 약 250년을 기점으로 인구증가율이 줄어들며, 5세기부터는 인구가 감소한다. 문화권별, 지역별로 구분한 분석 결과에서도 전반적으로 같은 양상이 확인되어 주목된다. 나아가 인구변동을 당시 사회상과 종합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 중부지역의 인구증가양상은 정치적·사회적 배경에 따른 현상일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여러 사회적 변수와의 선순환 속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구감소양상은 고구려와의 장기적인 갈등과 같은 사회 외적 요소와 인구압과 같은 사회 내적 요소에 의해 인구 증가 메커니즘인 순환적 인과관계가 붕괴하면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 중부지역의 인구변동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다양한 사회적 변수와의 깊은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해당 시기의 인구변동이 단순한 수치 변화가 아닌, 복잡한 역사적 맥락과 사회 변화를 반영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가 구체적인 근거가 결여된 상태로 사용되었던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 중부지역의 인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population fluctuations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Baekje Hanseong Period, along with the underlying reasons for these fluctuations and their societal impacts. During this period, Baekje, one of the various political groups, gradually begins to exhibit the features of an ancient state. Amidst such circumstances, the population is a significant variable intricately connected to politics, production, military, and economy. Therefore, population is frequently mentioned as a key factor in past social changes. Howeve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population fluctuations during this period has not been conducted yet. Nonetheless, due to its continued utilization in various studies, a detailed investigation into the population of the central region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Baekje Hanseong period is imperativ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each population fluctuation using SPD (Summed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the number of residential sites. Subsequently, the two sets of analyses were compared to present reliable trends in population changes. Moreover, taking into account population fluctuations and the societal dynamics of that time comprehensively, the background of population fluctuations was investigated, along with an assessment of their societal impacts. As a result, in the central region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Baekje Hanseong period, the population exhibited growth from around the BC/AD transition, reaching its peak during the 3rd to 4th centuries. Approximately 250 years, the rate of population growth began to decrease, leading to a decline in population from the 5th century onward. This pattern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analyses conducted based on cultural regions and geographical divisions. Furthermore examined population changes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mporary societal context. Through this analysis, we proposed the possibility that the population growth patterns in the central region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Baekje Hanseong period were influenced by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We also confirmed that this phenomenon occurred within a complex interplay of various social variables. Additionally, the trend of population decline was attributed to external factors such as prolonged conflicts with Goguryeo and internal factors like population density, resulting in the breakdown of the cyclical causative relationship responsible for population growth. Throughout this process, a systematic examination of population fluctuations in the central region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Baekje Hanseong period was carried out, revealing deep correlations with various societal variables. It was also recognized that population changes were not mere numerical fluctuations, but rather the complex outcomes of historical contexts and societal transforma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population-related data, offering a more substantiated basis for its utilization.

      • 원삼국-한성백제기 대옹 연구

        이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396

        원삼국-한성백제기 연구에서 지역성은 한성백제의 성립과 성장을 보여주는 주요 근거로 다뤄지고 있다. 하지만, 지역성 연구는 주로 물질의 형태적 차이에만 주목하고, 지역차의 원인을 중앙-지방 관계로만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옹을 이용하여 형태의 지역차뿐 아니라 여러 하위체계의 지역성을 살펴보고 지역차를 중앙-지방 관계로만 설명하는 것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기존 대옹 연구는 지역성을 고려하지 않고 광역적으로 대옹의 변화상, 기능, 생산유통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광역의 논의가 가능했던 이유는, 실제로 대옹이 광역적으로 동일해서가 아니라 350년 이전에는 서울 이북 지역, 350년 이후에는 서울 이남지역의 대옹만이 논의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옹의 지역성을 살피기 위해서는 기존 연구에서 나타나는 지역 편중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했다. 지역 편중 문제는 대옹 편년안이 백제토기 편년안 논리에 기반하였기 때문에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를 검토하기 위해 대옹의 지역적 분포가 350년을 기점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대옹의 시기적 분포는 지역별로 차이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350년 이전 서울 이남 지역과 350년 이후 서울 이북 지역의 대옹을 살펴봄으로써 대옹의 지역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부지역의 대옹 완형을 모두 수집하여 지역별로 대옹 형태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옹 형태는 총 4가지로, A~D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형태의 출토 유적과 방사성탄소연대를 검토한 결과 각 형태의 유행 지역과 유행 시기가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 대옹 연구는 네 개 형태 중 일부 형태만을 가지고 중부지역 전역의 대옹 양상을 설명하려 했기에 지역적 다양성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상이한 형태의 대옹을 썼다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특정 지역의 사례로만 논의되었던 대옹의 기능 및 유통에 관한 논의도 재검토가 필요했다. 따라서, 각 대옹 형태의 출토맥락을 비교하여 지역마다 대옹의 기능이 상이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옹 출토 주거지의 주거 면적, 공반유물 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기존에 논의되었던 대옹의 특수성은 A형 대옹을 사용한 지역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그 외 형태는 상이한 출토맥락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출토맥락의 차이는 곧 지역마다 대옹의 기능이나 가치가 달랐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대옹 사용 문화가 상이했다면, 사용과 밀접한 생산유통체계도 지역별로 상이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대옹의 유통범위를 지역별로 추정함으로써 대옹 생산유통체계의 일면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옹 가마 유적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경기북부의 경우 소수의 가마 유적이 한 곳에 모여있는 반면, 충청도, 경기남부의 경우 다수의 가마 유적이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경기북부의 경우 소수의 산지에서 다수의 소비지로 원거리 유통을 했다면 경기남부 및 충청도는 1:1에 가까운 생산-소비가 이뤄졌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위 가설을 재확인하기 위해 각 지역의 대옹의 형태적 variance를 검토하고 성분분석 기기인 pXRF를 이용하여 대옹 산지가 유적별로 얼만큼 변별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통범위가 넓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북부는 유적 간 대옹의 형태적 차이가 적고, 성분분석 결과 유적 간 변별이 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유통범위가 좁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남부는 유적 간 형태적 차이가 크고 성분분석 결과 유적 간 변별이 잘 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가마로 추정한 유통범위와 부합하여 지역별로 대옹 생산유통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위와 같이, 동일 기종인 대옹의 형태, 출토맥락, 유통범위가 지역별로 상이했음을 보인 것은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존 백제 연구는 국가의 성립에만 주목한 나머지 지역 내에 존재했을 여러 하위체계의 복잡다양성을 간과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대옹을 통해 지역성이 다양한 층위로 설명될 수 있음을 보았고, 이는 다른 물질문화를 통해서도 확인될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확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주요어 : 백제, 대옹, 지역성, 방사성탄소연대, 생산유통, pXRF In the study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Hanseong Baekje Periods, the locality is treated as a major basis for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Baekje. However, locality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morphological differences, and observed regional differences tend to be explained only in the context of relations between the political center and its hinterlands. This study examines large storage jars, also known as daeong, to investigate the locality of various sub-systems as well as the regionality of forms. Conventional daeong studies discuss variation, function, and production distribution of daeong over a wide area without considering local variation. The reason why such discussions were possible was not because daeong were the same throughout Baekje’s territories, but because daeong have only been studied in the north of Seoul before AD 350 and south of Seoul after AD 350. Therefore, to examine the locality of daeong, it is necessary to overcome regional biases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This interpretational issue likely emerged because the chronology of daeong is based on the chronology of Baekje pottery. Therefore, I intend to examine whether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daeong differed from AD 350 using radiocarbon dat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daeong does not vary by region.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verify the locality of daeong by examining areas south of Seoul before AD 350 and the areas north of Seoul after AD 350, which was not studied previously. To do this, I collected data on all types of daeong and examined each type of daeong by region. This study identified four distinct types of daeong, which can be classified as A through D. By reviewing sites and radiocarbon dates, I found that each type was used more predominately in different areas and that the timing of these trends differed temporally. Since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 types of daeong were used in different regions, discussions on the locality of function and distribution of daeong also needed to be reviewed. Therefore, I compared the excavated context of each type of daeong to verify that the function of daeong indeed varied from region to region. To this end, the size of dwellings and associated artifac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previous interpretations of daeong can only be applied to type A and that other forms appear in different contexts, which implies that the function and/or value of daeong varied from region to region. If the culture that used daeong was different, it is possible that the 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would also have varied by region. Therefore, I attempted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range of daeong by region. The distribution of daeong kilns confirms that a small number of kilns were clustered in one part of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while many kilns were dispersed in the Chungcheong Province and southern Gyeonggi Province. This suggests that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had a wide distribution range while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had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distribution. Furthermore, the morphological variability of daeong in each region was reviewed and pXRF was used to determine the diversity of production are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which was found to have a wide distribution range, showed little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sites, and the results of pXRF analysis suggest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sites. On the other hand, southern Gyeonggi Province, which was found to have a narrow distribution range, shows marked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sites and can be well distinguished using pXRF. The abov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distribution range estima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kilns, implying that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ethods of daeong by region. This study represents a new attempt to demonstrate that the morphology, excavated context, and distribution range of daeong varied by region. Existing Baekje studies only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overlooking the complexity of the various sub-systems that existed in the rest of the region. However, this study showed that locality can be explained in various layers through daeong, which may also reflect differences in other material culture recovered in the region. Keywords : Baekje, Large Jar, locality, Radio-carbon dates, potte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XR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