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스콘텐츠 기록관리를 위한 신문사 취재환경 개선방안

        박서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03

        질 좋은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경영자들은 기자들을 위한 처우 개선과 관련 교육을 제공하고, 기자들은 신속하고 정확한 보도를 위한 취재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자료조사를 끊임없이 한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관찰연구로 신문사 구성원들의 성향과 부서별 업무 특성에 따른 취재자료 생산물들을 확인해보고 콘텐츠 관리자가 콘텐츠 사용자인 제작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양질의 뉴스콘텐츠를 관리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국제표준관리모델인 디지털큐레이션 생애주기 모델에 맞춰 설계하고, 효율적인 기록관리를 위한 제작시스템 환경과 인적자원 구성 조건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문사 제작 구성원을 참여 연구한 결과 출입처가 있는 취재기자들은 출입처보다 담당기자가 현저하게 적어 취재기록물을 관리할 수 있는 시간적, 물리적 여유가 없었다. 연차별로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취재능력이 경험의 빈도에 반비례하고 부서별로 콘텐츠 제작의 속도가 다르다. 따라서 뉴스콘텐츠 관리 시 이런 모든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기록관리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신문사의 뉴스콘텐츠를 관리하는 개념적 모형은 자료의 가치를 발견하고 미래에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DDC (Digital Curation Center)의 데이터큐레이션 모델을 바탕으로 설계하였다. ‘개념화’는 큐레이션 생애주기 모델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이며 콘텐츠 제작구성원이 재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정하는 상호 협의 단계다. 이를 기준으로 취재 과정에서 생기는 최종기록물 및 취재자료들의 효율적 기록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런 기록관리를 위해서는 양질의 콘텐츠를 취재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제작시스템의 효율적인 개발 방향과 조직개편 그리고 제작 구성원을 위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취재환경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세 가지의 뉴스콘텐츠 큐레이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여러 시대를 경험한 신문사 구성원들의 세대별 성향과 부서별 콘텐츠 생산방식 등을 참여관찰을 통해 문화콘텐츠 관점에서 연구하였고, 콘텐츠를 관리하는 큐레이션 개념을 적용하여 뉴스콘텐츠를 관리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둘째, 취재기록물을 보관 및 활용하여 질 좋은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언론학 관점에서 제시하고 취재기록물을 보관함으로써 중복으로 취재할 가능성을 줄일 뿐만 아니라, 기존에 보관된 취재기록물을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 생산의 길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관리를 위해 아카이브의 상위 개념인 큐레이션의 개념을 적용하여 신문콘텐츠의 효율적 보관 및 활용을 위한 생애주기모델을 설계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제작시스템, 인력구성안,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취재환경을구상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o produce quality content, managers provide treatment improvement and related education for reporters, and reporters constantly manage and research the sources efficiently for quick and accurate reporting. In this study, participatory observational research checks the production of news reports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each newspaper member and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and the content manager manages and reuses the high-quality news content desired by the newspaper producer who is the content user. We will design according to the digital curation life cycle model, present the production system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in the study of the members of the newspaper's production, reporters who had access to the source of coverage news-media had significantly fewer reporters than the entrance, so they had no time and physical time to manage the news records. Digital literacy and reporting skills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experience and the speed of content production varies by department. Therefore, an efficient record management model that reflects all these characteristics is needed when managing news content. The conceptual model for managing the contents of news-media proposed in this study was designed based on the data curation model of the Digital Curation Center (DDC), which allows the discovery of the value of data and reuse in the future. "Conceptua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key in the curation life cycle model and is a mutual consultation stage in which content production members decide recyclable content. Based on this, a plan for efficient records management of the final records and materials generated during the reporting process was proposed. In addition, such records management requires an environment in which quality content can be covered. For this purpose, the direction of efficient development of the production system, reorganization of the organ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reporting environment for curation services for production members were proposed. The study suggested three ways to utilize news contents curation. First, the generation tendency of news-media members who experienced various times and the method of producing contents by department wer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the method of managing news contents was explain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curation to manage contents. Second, a new method for producing quality content by storing and utilizing the coverage records wa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journalism, and the possibility of overlapping coverage was reduced by keeping the coverage records, as well as a new way of producing contents using the existing records. Finally, a life cycle model was designed for efficient storage and utilization of newspaper contents by applying the concept of curation, which is a higher concept of archive, for record management,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by devising a reporting environment for the production system, man-power composition plan, and services necessary for the members to produce quality content.

      • 사용자 경험 분석에 기반한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 만족 영향 요인 및 사용 유형 발굴

        한은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71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platforms that produce and provide content have diversified and rich content consumption has become possible. However, in the process of searching and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se changes, users feel high fatigu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uration becomes important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industries, and active research in terms of technology development is being conducted. However, research in the design aspect of music curation services tends to be limited to visual and cognitive factors, so an analyt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using curation services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ser experience of the curation service only on the music streaming platform that uses the curation service as a core strategy, discover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music curation service, and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First, afte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music streaming platform and the curation proces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schematically analyz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user experience process and the curation process. Subsequently, through the qualitative user survey method, the usage behavior and requirements of the curation function in the music streaming platform were collected to deriv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hen using the curation service, and it was categorized and analyz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the curation fun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ers tended to prefer automated and intuitive services in situations where efficiency was important, and delicate and highly free services in situations where expertise was important.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differentiated recommendation method for each use situation was suggested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erived satisfaction influencing factors and types for each purpose of use. The qualitative survey results were quantitatively verified by checking the importance difference of satisfaction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use. This study is an analytical study of the user experience design perspective on music curation services. It is meaningful to prove that the user's expectations differ depending on the main purpose of use through analysis according to the user's satisfaction, and suggesting the need for various levels of curation methods that deviate from the existing generalized curation metho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for each typ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curation provision method will be used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and improving related services. 기술의 발전과 함께 콘텐츠를 생산하고 제공하는 플랫폼이 다양화되며 풍요로운 콘텐츠 소비가 가능해졌지만 이러한 변화에 따라 콘텐츠를 탐색하고 선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은 높은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큐레이션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기술 개발 측면의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연구는 시각 및 인지적 요인에 한정되는 경향을 보여 큐레이션 서비스 사용 경험에 대한 분석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핵심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는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에 한하여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여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굴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과 큐레이션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인 후 실제 사용자 경험 과정과 큐레이션 과정의 관계성 파악을 위해 도식화하여 분석하였다. 이어 정성적 사용자 조사 방법을 통해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내 큐레이션 기능 사용행태 및 사용시 요구사항 등을 수집하여 큐레이션 서비스 사용 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고, 이와 함께 큐레이션 기능 사용 목적에 따라 유형화하여 상세히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용자는 효율성을 중시하는 상황에서는 자동화되고 직관적인 서비스를, 전문성을 중시하는 상황에서는 섬세하고 자유도가 높은 서비스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 고취를 위한 각 사용 상황별 차별화된 추천 방식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만족 영향 요인과 사용 목적별 유형 검증을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사용 목적별 유형에 따른 만족 영향 요인의 중요도 차이 등을 확인하여 정성 조사 결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큐레이션 기능에 대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관점의 분석적 연구로서, 사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실제적인 요인을 발굴해 냈다는 점과 핵심적인 큐레이션 사용 목적에 따른 분석을 통해 주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기대가 상이하다는 점을 입증함과 동시에 기존의 일반화된 큐레이션 제공 방식에서 벗어난 다양한 수준의 큐레이션 방식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 목적에 따른 유형 별 요구사항 분석 결과 및 큐레이션 제공 방식의 개선 방향이 관련 서비스 개발 및 개선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건축문화유산의 공간경험 디자인 : 지능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과 정보표현체계

        장선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2268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로 대표되는 몰입도 높은 체험기술의 적용과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정보 획득과 다채로운 공간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증강현실에 착안하여 제안된 증강공간(augmented space)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정보로 중첩된 실제 공간(physical space)이다. 증강공간은 정보의 체득과 동시에 실제공간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특히 문화유산 체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경험자는 유물이나 유적의 현존성을 느끼면서 동시에 가상의 콘텐츠를 통한 확장된 경험이 가능하다. 문화유산의 증강공간 구성을 위해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체험 방식과 콘텐츠 구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대체로 새로운 체험기기를 중심으로 한 기술 접목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문화유산 콘텐츠에 대한 해석이 깊지 못하다. 문화유산 콘텐츠는 그 내용이 가지는 다양한 역사적 층위로 인해 특수한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문화유산의 체험기술 적용 시 기술의 접목을 비롯한 물리적 환경, 콘텐츠의 내용, 사용자의 경험 등에 대하여 다각도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이와 같은 다면적인 부분을 고려한 문화유산의 활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적용해 본 것 이상의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방법론으로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 현재 구현된 문화유산 체험 사례들은 정보의 내용과 전달 방식의 측면에서 단순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문화유산의 경험 시 개인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설치형 디바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받는 경험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례들이 정해진 위치에서 경험 여부와 관계없는 동일한 콘텐츠를 반복 제공한다. 이러한 낮은 수준의 접근은 콘텐츠 생산자의 노력과 비용의 낭비를 초래한다. 공간경험이 내용과 전개를 가진 일종의 콘텐츠라면 공간경험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선정과 제공하는 정보의 선별은 콘텐츠 큐레이션(content curation)이다. 현재 선행연구들은 공간경험의 구성과 내용에 사용자를 고려한 콘텐츠 큐레이션을 적절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콘텐츠 큐레이션은 정보의 선별과 재구성을 위해 관련 정보가 체계적으로 서술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문화유산을 위한 정보체계는 대체로 유물과 같은 사물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문화유산의 공간에 대한 표현이 부족하다. 제시한 배경과 문제에 대하여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로 증강된 공간경험 구성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디지털 헤리티지 분야의 공간경험 구성 방식에서 볼 수 있는 콘텐츠 큐레이션의 문제와 정보체계의 한계에 대하여, 1) 증강공간의 경험 구성을 위한 구성요소와 관계의 명시, 2) 사용자 맞춤형 정보의 선별과 동적인 콘텐츠의 제시, 3) 문화유산의 공간 활용을 위한 기술(description) 언어 체계 제안을 연구의 목표로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 중 건축유산을 대상으로 하여 경험을 연출된 이벤트와 같은 개념으로 인식하고 건축유산에서의 공간경험과 구성요소를 정의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건축유산의 공간경험 모델”과 모델의 구현을 위한 “건축유산 경험 콘텐츠 생성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플랫폼의 정보구조는 기존의 메타데이터 및 온톨로지 구조에서 미흡했던 건축유산의 공간 표현에 대하여 공간 중심의 설명이 가능하도록 보완하였다. 플랫폼은 경험 시퀀스 생성을 위한 추론 규칙(rule)을 가진다. 추론규칙은 역사지식 구성요소인 사건, 공간, 인물, 사물, 시간을 시작점으로 하여 역사지식 관계를 기반으로 주제별로 다양한 조합의 경험 콘텐츠를 구성한다. 4장에서는 덕수궁 석조전을 대상으로 공간경험 콘텐츠 생성을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구조의 공간표현과 콘텐츠 결합에 대한 정보구조의 역할, 시퀀스 도출의 다양화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과 논의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결과 분석과 논의를 통해 얻어진 시사점을 통해 공간경험 구성을 위한 방법론을 1) 개념 및 구성요소, 2) 정보표현체계, 3) 공간경험 콘텐츠 큐레이션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개념 및 구성요소에서는 ‘공간 경험’의 정의와 건축유산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건축유산의 증강공간 개념을 설정하고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였다. 정보표현체계는 콘텐츠 구성을 위한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건축유산 경험 온톨로지”의 구성과 원리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콘텐츠 큐레이션은 시퀀스 구성방법과 추론규칙의 전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화유산 정보체계에 역사지식과 공간적 표현을 확장하면서 의미(semantic)적으로 풍부한 환경 구성을 위한 문법(syntax)을 제시하였다. 또한 확장된 기술 언어 체계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생산하는 모델인 콘텐츠 제너레이터(content generator)를 제시함으로써 증가하는 데이터의 양과 수요에 대응하는 경험 콘텐츠 창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콘텐츠 생산 모델은 컴퓨테이션 모델로서 정보를 선별하고 반복적으로 재조합하는 원리와 규칙을 나타내었다. 증강공간의 경험을 만들어내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추출과 정제는 증강공간을 반복해서 재구성해내기 위한 일종의 공식(formula)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시한 모델의 적용은 문화유산공간에서 다양한 경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도출해내도록 하여 콘텐츠 생산자에게는 비용과 시간의 절감을, 소비자에게는 진화된 공간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제시한 모델의 개념과 구조는 추후 문화유산이나 박물관의 경험 콘텐츠를 사람의 손으로 구성하는 단계에서 셀 수 없이 많은 데이터를 정확한 의미로 조율하며 자동화된 형태로 콘텐츠를 생성하는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다.

      • 음악 산업에서 큐레이션 서비스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조혜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031

        수많은 정보들 사이에서 특정한 정보를 수집해 분류하고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 재공유하는 콘텐츠 큐레이션은 정보 과잉 시대에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다룰 수 있는 방법으로 각광받게 되었다. 음악 산업에서도 다르지 않다. 음악시장의 흐름이 스트리밍 중심으로 변화하게 되면서 음악시장으로의 진입이 쉬워졌고, 이로 인해 매일 수많은 음악이 새롭게 발매되는 상황에서 무엇을 들을지 고민하는 대중들을 위한 방안으로 콘텐츠 큐레이션을 음악시장에 적용한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가 시행되기 시작했다. 다양한 음악을 대중의 취향, 환경, 상황에 맞게 분류해 대중들에게 자동으로 선곡해주는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는 대중들이 차트위주의 획일화 된 감상행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음악을 접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롱테일 음악시장 구축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 속에 시행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집중하여 현재 음악 산업에서 시행되고 있는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의 현황과 평가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를 실행했다. 그 결과, 관련자들은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 자체가 가진 긍정적 가능성에 대해서는 인정했으나 현재 국내의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는 그 영향력 미미하다고 평가했으며, 다양한 음악을 소개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새로운 아티스트를 발견할 수 있게 하는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의 “발견의 효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평가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국내의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가 음악시장의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바이다. 첫째, 다양한 기반 기술의 사용 등 기술적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전문성을 갖춘 큐레이터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서비스의 경쟁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 큐레이션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국내의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가 점차 정교화 되며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가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적인 음악시장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키워드: 뮤직 큐레이션 서비스, 콘텐츠 큐레이션 Content curation, which collects and categorizes specific information amo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nd re-shares it with new values,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way to efficiently handl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overload period. Such phenomenon is not different in the music industry. As the trend of music market changed into streaming, it became easy to enter into the music market. Consequently, new music is released every day and the public have a variety of options to select which music to listen. In this sense, music curation services, which applies content curation to the music market, has started to be implemented. The music curation service that automatically classifies and selects diverse music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s, environments, and situations of the public can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ublic can access and consume a variety of music beyond the chart-oriented uniform appreciation circumstance,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ong-tail music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evaluation of music curation services currently implemented in the music industry, and conducting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usic curation services according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rket-related persons acknowledged the positive possibility of the music curation service itself. However, they thought that music curation service in Korea now has little influence, and they did not give a very positive assessment of the "discovery effect" of the music curation service, which introduced various music and allowed consumers to discover new artists. Based on such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curation service in Korea to positive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market. First, the technical reinforcement such as use of various ground technologies should be conducted. Second, the role of a professional curator should be emphasized. Third, the quality of curation services should be improved 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services can be competitive. As the domestic music curation service is gradually elaborated and develop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help to create an ideal music market that can be reached through the music curation service. Keyword : Music Curation Service, Content Curation

      • 시청자 경험을 고려한 OTT 서비스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넷플릭스의 큐레이션과 몰아보기 개선 제안

        서문홍익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1978

        OTT 서비스의 시청자는 텔레비전이나 셋톱과 같이 단방향적인 미디어와는 다른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상황에 놓였다. 따라서 시청자는 기존에 뉴미디어에서 정의하는 개념을 넘어서 새롭게 재정의될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하여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청자의 경험이 기존의 미디어 경험과는 어떻게 차이를 가지며, 시청자 경험이 최적화할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이를 위해 OTT 서비스의 시청자 경험을 경험 디자인 관점의 사용자 입장에서 해석하고 이를 통해 시청자 경험을 단계별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청자가 각 단계로 구분된 경험을 획득하면서 어떠한 태도와 행동적 특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하여, 시청자 경험의 완결성을 만들기 위한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로써 시청자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따라 자발적으로 미디어 공급자 역할 일부에 참여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이면서도, 동시에 과도한 노력 없이 적정 수준의 만족을 원한다는 특성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시청자 태도에 따라 새롭게 주목받은 콘텐츠 큐레이션과 몰아보기 현상에 대해 조명하였다. 콘텐츠 큐레이션과 몰아보기는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많은 시청자의 행동적 특성으로, OTT 서비스의 인터페이스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설명해주는 단서임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요인들과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현시점 OTT 서비스의 대표 격인 넷플릭스의 인터페이스를 분석하고, 시청자의 경험과 태도가 어떠한 방식으로 고려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청자의 제한적 관여를 고려한 인터페이스는 적절히 구성되어 있으나, 능동적 참여를 원하는 시청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적 요소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자는 넷플릭스가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제안하고, 콘텐츠 큐레이션과 몰아보기 현상에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시청자 경험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새롭게 개선된 인터페이스는 OTT 서비스의 대표적 콘텐츠 소비 방식으로 보이는 콘텐츠 큐레이션과 몰아보기 안에서 시청자의 능동적 참여와 제한적 관여가 적절하게 조화된 요소들을 제시한다. 이는 OTT 서비스에서 시청자 경험의 긍정적 완결성을 끌어내는 디자인적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가 살펴본 OTT 서비스 시청자 경험과 디자인적 제안을 통해, 향후 만족도 높은 영상 미디어 콘텐츠 시장이 형성되기를 기대한다.

      • 건강정보 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 신뢰성과 독해성을 중심으로

        허두영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1948

        Recently, demand for health information is rapidly growing due to the spread of information network mainly on the Internet and mobile, as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the number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is increasing, but due to the lack of investment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the health information currently being provided is showing a great problem in terms of quality.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is analyzed in terms of reliability and literacy, and alternatives are suggested. In order to increase reliability, the rank of health information is divided into three classes based on the pyramid of "Evidence Based Medicine".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liability, it follows the HON Code standard, which is recognized worldwide, and the 'Health Information Evaluation Criteria for Certification Evaluation', which was presented by the KAMS(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In order to improve the reading comprehension, the content is designed by a priority of Picture>Text>Video>Link, focusing mainly on mobile phones and computers.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picture(1 cut), a text (400~500 characters), and a link based on it so that it can be digested in about 15 seconds. If a system that has reliable and readable content models can be established to produce health information and supply it in a way that is suitable for consumers, it is recommended that a business model that supplies health information to health service agencies and the public, including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 패션 정보공유를 위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 제안

        Zhang, Yifan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15900

        The mobile content market undergoes a high growth due to increase of using a smart device. With the production of various mobile content, fashion styling content attracts high attention. Fashion styling content used to belong to the non-growing contents in past. The reason was complicated online shopping process and the settlement problem. However, the fashion styling which served as a tool of expressing one’s own individuality and image making turned into a megatrend. The remarkable growth of user’s individualisation triggered the research of content design and fashion styling service which followed the user’s taste and lifestyle. Nowadays, in a period of the settlement and the infrastructure promoting shopping information, there is an urgent need of service design promoting the growth of fashion styling content. Social network service brought enormous change in the field of searching information and consumption process. Unlike the traditional method, where the inexperienced customer uses just the one source, SNS provides broader choice. Sharing the information with friends makes the user indirectl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urchase. It can be claimed that sharing one’s own style via the social network is strongly connected with social behavior.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nalysis of customer leading service related to sharing customers’ information on social network, e.g. sharing the info on fashion among women customers. The aim is to research the SNS, grafted fashion styling content and service design method by applying the UI design. The user shares his favorite style with friend via his smart device, learns about new fashion trends and receives recommendations related to fashion styling from each person. Unlike the traditional shopping process where the consumer meets the others and experiences various kinds of discomfort, this application offers changing of his style without any feeling of anxiety. Moreover, the user can manage his fashion info and make an analysis too. While the seller managing his website presents a product, purchaser offers a solution related to analysis of sale conditions. The aim of so-called DB.Style service is the user’s production of new information ranging from the user’s passive info viewing to the active info producing. Based on this background and aim the research is conducted via the following stages: First chapter explains the background, aim of research and describes the research’s progress and method. In the second chapter, the research focuses on design concept and methodology and analyses UX design, the concept of Kano model which became a center of the service design in relation to marketing plan, mobile content and mobile UI design concept, and social network service concept and type. Third and fourth chapter define the concept of fashion styling service and analyz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mobile shopping mall and fashion SNS. Based on the survey analysis on basic service classified into SNS, the direction of proposed service has been analyzed as well. Fifth chapter describes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proposed DB.Style’s plan and explains user’s definition and positioning, value, service blueprint and structure design. The explanation of the working of DB.Style service via flash interaction prototype takes an important part of this chapter as well. Sixth chapter analyzes fashion styling service design and summarizes the proposed process of service guideline. Proposed DB.style service enables the user to express his individuality and values and provides an economic benefit to purchaser and seller. Mobile content as a center of service design is analyzed from academic point of view, however, there is a hope that service design connected with interface design will be a motivation not just for academic but for design and business circles as well. 스마트디바이스 사용층 확대로 인해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다양한 모바일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는 흐름과 더불어 패션 스타일링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지만 패션 스타일링 콘텐츠는 온라인 쇼핑 과정의 복잡함과 결제시스템의 문제로 때문에 초기에 성장하지 못한 콘텐츠 중 하나이다.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이나 취향에 따라 패션 스타일링 서비스 및 콘텐츠 디자인이 요구되고 패션 스타일링 콘텐츠를 성장시키기 위한 서비스 디자인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이다. 현재 시대에서는 데이터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는데 소비자에게 딱 맞는 검증된 정보를 찾는 길은 어렵기 때문에 정보는 많지만 그 속에서 정보 결핍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정보 습득과 소비 과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정보의 생산 주체도 다양해지면서 믿을 수 있는 전문가나 지인인‘큐레이터’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공유하고, 많은 지인들의 추천에 의해 그 중요성과 신뢰성이 검증된‘큐레이션 된’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서는 정보 분류가 특정 테마와 주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정보의 형태 또한 이미지 등 특정 포맷 중심이므로, 기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대비 정보의 열람과 검색이 훨씬 용이하다. 패션 스타일링은 자기표현의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스타일을 공유하는 사회적인 활동과 연관성이 깊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스타일을 공유하고 관리하며, 구매로 연결되는 서비스를 디자인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접목된 스타일링 콘텐츠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디자인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지인과 스타일을 공유하여 패션 트랜드를 빠르게 습득하고, 각 개인에게 적합한 패션 스타일링을 추천받는다. 또한 가상 스타일링 기능으로 전통적인 쇼핑 과정에서 타인을 의식하며 불편한 경험을 했던 것과 달리, 마음 편히 스타일의 변신을 시도하는 공간을 받는다. 더불어 사용자의 패션 정보를 DB화가 가능하다. 한편 판매자는 자신의 페이지를 직접 관리하여 상품을 게시하고 구매자와 직접 소통하며 판매상황을 분석하는 솔루션을 제공받는다. 이를 통해 본 사용자가 방대한 스타일링 정보로부터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정보를 선별 및 직접 생산해 관리할 뿐만 아니라 가상의 경험과 직접적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매까지 이어지는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의 배경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진행을 위한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전체적인 논문의 구성과 절차를 명기하였다. 제2장에서는 연구의 토대가 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에 대해 연구한다. 제3, 4장에서는 패션 스타일링 서비스의 개념을 정의하고, 모바일 쇼핑몰과 패션 SNS의 개념과 특징을 연구한다. 또한 패션 SNS로 분류되는 기존 서비스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인 DB.Style의 기획 방법과 논리를 밝혀 사용자 정의와 포지셔닝, 가치정의, 서비스 블루프린트와 스트럭쳐 디자인을 설명한다. 아울러 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인 DB.Style 앱의 UI 디자인을 통해 실제 서비스가 어떠한 방식으로 시각화 될 것인지를 프로토타입으로 표현한다. 제6장에서는 패션 스타일링 서비스 디자인을 연구하고 서비스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과정을 결론적으로 요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DB.Style 패션스타일링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 자아개념, 가치관을 사회적으로 표현하고,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쉽고 흥미로운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구 과정에서 모바일 콘텐츠 중심의 서비스 디자인 방법에 대한 학술적인 접근이 이루어 졌으며, 서비스 디자인이 실질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연결되는 흐름이 학술적 연구자 뿐 아니라 실무 기획자와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감정소구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큐레이션 커머스를 중심으로

        문지은 호서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15663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감정소구가 소비자의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제 경제활동인구 중 전국의 20대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51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수집도구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큐레이션 커머스의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감정소구 유형 중 긍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유머와 부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공포는 브랜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유머와 부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분노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소구 유형이 통제된 상황에서의 브랜드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유머와 부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분노는 브랜드태도가 구매의도를 매개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 관여도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유머와 공포만이 구매의도의 영향을 미치는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소구와 브랜드태도간에는 유머만이 소비자 관여도의 매개적 조절효과로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큐레이션 커머스, 콘텐츠 스토리텔링, 감정소구,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관여도, 유머, 온정성, 감동, 공포, 위협, 분노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감정소구가 소비자의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제 경제활동인구 중 전국의 20대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51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수집도구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큐레이션 커머스의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감정소구 유형 중 긍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유머와 부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공포는 브랜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유머와 부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분노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소구 유형이 통제된 상황에서의 브랜드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유머와 부정적 감정소구 유형인 분노는 브랜드태도가 구매의도를 매개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 관여도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유머와 공포만이 구매의도의 영향을 미치는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소구와 브랜드태도간에는 유머만이 소비자 관여도의 매개적 조절효과로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재중동포 서신에 대한 기록학적 접근과 활용방안 연구

        문주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9466

        본고에서 필자는 재중동포 서신 아카이브에 대한 기록학적 접근을 시도한 후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필자가 본 논문에서 가장 주목했던 것은 재중동포 서신의 기록학적 가치다. 재중동포 서신 8만 여 통에 기록과 증거, 기억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고 이들 상호간에는 어떤 메카니즘이 작동하고 있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테리 쿡(Terry Cook)이 제시한 증거, 기억, 정체성, 공동체 패러다임과 프랭크 업워드(Frank Upward)가 제시한 레코드 컨티뉴엄 이론을 재중동포 서신에 맞춰 새롭게 재해석하였다. 2장에서는 통계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재중동포 서신에 담긴 내용을 분석 정리하였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재중동포의 이주양상을 살펴보았고 그들의 삶에 주목했으며 문학작품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그리고 통일과 관련된 표현에는 무엇이 주를 이루는지 다루었다. 3장에서는 기록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기록과 증거 및 기억의 관계를 밝혀냈고 서신이 증거이자 기억의 매개체이며 정체성 및 공동체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격을 가졌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테리 쿡(Terry Cook)이 제시한 기록학의 패러다임 4단계 즉, 증거, 기억, 정체성, 공동체 키워드를 중심으로 재중동포 서신과 접목하여 해석하였고 프랭크 업워드(Frank Upward)의 레코드 컨티뉴엄 이론에 재중동포 서신을 반영하여 재해석하였다. 그리고 레코드 컨티뉴엄 이론을 적용시킨 도해를 완성하였다. 축선과 접점의 명칭들을 일부 바꾸었는데 축선의 경우, ‘정체성 축선’, ‘행위 축선’, ‘기록관리 축선’, ‘주체 축선’으로 구성하였고, 4개의 차원을 ‘생산 차원’, ‘증거 차원’, ‘보존 차원’, ‘활용차원’으로 구분하였다. 4장에서는 역사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가족사, 마을사, 생활사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다양한 콘텐츠 제작과 스토리텔링 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필자는 재중동포 서신이 경험과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다큐멘터리 콘텐츠, 전통문화 콘텐츠, 교육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아울러 재중동포 서신 아카이브는 연구의 주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장소를 기록화하고 알리는 것뿐만 아니라 스토리텔링 소재로 활용한다면 보다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이 가능해질 것이다. 그동안 일반인뿐만 아니라 학계에도 그 존재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던 본 서신이 재중동포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고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보겠다. In this paper, I take a record-based approach to the Korean–Chinese letter archive and examine how to use it. The most notable aspect is the archival value of it. I determines how records, evidence, and memories work in about 80,000 Korean-Chinese correspondence archive and the mechanisms between them. To this end, Terry Cook’s evidence, memory, identity, and community paradigm and Frank Upward’s record continuum theory are reinterpreted in line with Korean-Chinese letter archive. In Chapter 2, the contents of Korean-Chinese correspondence are analyzed and organized using a statistical methodology. Using big data, I examine the migration patterns of Koreans in China, pay attention to their lives, and address what literature contains and what mainly forms expressions related to unification. In Chapt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rds, evidence, and memory is identified by applying a record-based methodology. In addition, I systematically analyze that correspondence is evidence, a medium of memory, and has a character that could affect identity and community formation. To this end, Terry Cook’s four stages of the paradigm of recordology (evidence, memory, identity, and community) are interpreted in conjunction with Korean-Chinese correspondence and Frank Upward’s record continuum theory are reinterpreted by reflecting this correspondence. I also propose a diagram that modifies the record continuum theory. The names of axes and contacts are partially changed. In the case of the axes, they consist of “Identity axis,” “Transaction axis,” “Recordkeeping axis,” and “Subject axis”; the four dimensions are divided into “Production dimension,” “Evidential dimension,” “Preservation dimension,” and “Utilization dimension.” Chapter 4 present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archive for family history, village history, and life history by applying historical methodology and mentions that it can also be used as material for producing various contents and storytelling. I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Korean-Chinese letter archive as documentary content,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and educational content because it is based on experience and facts. In addition, the Korean-Chinese letter archive can be used as a subject of research. Not only that, if the archive is used as a storytelling material as well as recording and informing places based on archives, a more diverse and comprehensive approach will be possible. We hope that this letter, which has been unknown not only to the general public but also to the academic world, will revitalize the research of Korean-Chinese and renew readers’ percep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