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탁사 최병헌의 신학과 사상 연구

        유재철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0

        지금까지 구한말 서구의 충격이 닥쳐왔던 시대에 태어나서 국내외적으로 말할 수 없이 혼란한 시기에 한 빛을 던지고 간 한국 최초의 신학자 탁사 최병헌의 생애와 사상을 대략 살펴보았는데, 최병헌은 그의 나이 대략 30세까지는 유불선 동양사상에 통달한 학자였으나, 31세 되던 1888년에 아펜젤러와 존스를 만나고 배재학당 한학부 교원으로 취임하면서 개화사상과 서구문명에 관한 많은 서적을 탐독하면서 초기 개화파의 사상에 감명을 받았고 여기서 더 나아가 大道大器의 새로운 길을 열게 된다. 기독교에 입교한(1893년) 후 그의 영혼 속에는 유불선 동양사상과 웨슬리의 신학사상과 애국애족을 바탕으로 한 개화사상의 모든 것을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다시금 재해석하여, 유교의 내재적 윤리를 가지고 한국의 상황에 맞게 주체적으로 해석하려고 하였으며, 그리하여 신학활동은 물론이고, 사회개혁운동, 민중계몽운동, 민족의 자주독립과 교회의 주권확립운동 등 여러 방면에 걸쳐서 신앙 안에서 적극적인 삶을 살게 되었다. 특별히 그는 한글 보급운동의 선구자였는데, 선비의 후예로서 한 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민중계몽을 위해 순 한글로 "제국신문"을 창간하였으며, 1898년에 일본 요코하마에 가서 자모활자를 만들어 오기까지 하였고, 또한 성서번역에 참여 하여 많은 사람들이 성서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 최병헌의 업적을 살펴보면 그가 종교인으로서 목회활동을 하면서도 어떻게 여러 분야에 걸쳐서 그토록 정력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그는 진정코 자신이 쓴 논문 "근자득지"라는 말 그대로 몸소 실천하여 본을 보이며 자신의 힘닿는 데까지 최선을 다하여 훌륭한 업적을 남겼음을 알 수 있다. 그는 한국 최초의 신학형성의 선구자였으며, 동시에 비교종교학자였으며, 세계종교와 동양철학 그리고 한국 민족의 종파에 이르기까지 깊은 연구를 한 대학자였다. 특히 유불선에 관한 연구는 당대에 있어서 아마 최고봉에 다달은 석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당시에 기독교로 개종한 유교 지성인들 대부분은 최병헌을 제외하고는 거의 유교와 기독교와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성실하게 생각하며 신학을 하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신학의 불모지에서 "성산명경"과 "만종일련"을 남겼다는 것은 한국감리교회, 더 나아가 한국 개신교에 있어서 값진 유산이 아닐 수 없다. 최병헌은 한국 신학계에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인물이었다. 그는 암울했던 시대에 하나님의 일꾼으로 부름 받고, 사랑하는 민족을 향하여 거침없는 목소리를 높였던 선각자였다. 송길섭 박사는 그의 논문 "탁사 최병헌의 신학사상 연구"에서 최병헌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친근한 민중의 벗으로서 그들의 고난에 동참하며 그들의 문제해결에 앞장섰다. 그는 원래 가난 속에서 자랐고 그 가난의 의미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민중의 아픔을 덜어주기 위하여 목회초기에는 그는 사회개혁자로 자처하여 예언자의 목소리를 높였고, 그 이후에도 그 개혁의 열정을 식히지 아니하였다. 그는 "예수교는 유신교"라고 까지 말했다. 동시에 그는 민중의 문제를 생각하면서도 민족의 과제를 도외시하지 아니 하였다. 그에게는 민중이 민족이요 민족이 민중이었기 때문이다. 일제하의 민족을 기독교복음으로 구원하려 했던 민족운동가이기도 했다. 실로 그는 반봉건적 사회개혁자요 한국교회 신학형성의 선구자다." 최병헌은 민족교회를 형성하고 성장시킴으로 일제하의 한국민족을 자유케 하고 구원하려 했던 민족주의자였다. 또한 다산적인 저술가이기며 한국기독교 최고의 독창적 변증가로서 그의 신학사상은 한국 기독교 변증적 학문의 틀을 형성하였다. 기독교 초기 바울의 변증기록들이 성서의 Text가 되었고 초대 교부들의 기독교 변증의 글들은 학문적 깊이를 떠나 기독교 신앙의 기초가 되었듯이 최병헌도 다름 아니다. 지금이야말로 신학자가 아닌 기독교 변증가이며 실천가로서의 최병헌을 다시보고 우리의 신학 사상과 신앙적 실천들을 점검해야할 시기이다. 요즈음의 한국교회는 혼돈의 늪으로 빠져들어 가고 있다. 구한말의 유교나 불교와 같이 무기력한 종교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여기에서 우리는 다시 한 번 구한말의 상황속의 종교들을 바라보며 새로운 소망을 빛을 기독교에서 발견한 최병헌의 눈을 빌어 교회를 바라보아야 한다. 그리고 변증해야한다. 그 변증 속에 우리도 넣고 다시보자. 그리고 다시 민족에게 희망을 주는 한국교회가 되도록 우리의 교회와 신앙과 신학을 세워보자. 더 나아가 최병헌의 '만종일련'과 '성산명경'은 유, 불, 선 동양사상에 대한 기독교의 응답으로 재해석하고 확대할 필요를 느낀다. 한국과 중국과 일본 삼국은 정신적 종교적 문화적 유산인 유, 불, 선, 을 공유한다. 특히 이데올로기의 문제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중국이 열린다. 이들에게 선교하는 것은 성경을 가져다주는 것 보다, 노래를 가르쳐 주는 것 보다 탁사 최병헌의 변증신학을 그들의 손에 들려주는 것이 동양문화 속에 복음의 꽃을 먼저 피운 한국교회의 고르반 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아직도 우리에겐 하나의 과제가 남아 있다. 최병헌이 소망하던 한국민족의 복음화와 민족교회의 자주독립과 민족의 독립을 완전히 이루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여기서 마쳐지는 것이 아니다.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 최병헌의 소망이며 한국교회의 책임을 다하러 일어나 "근자득지(近者得志)"해야 하리라 믿는다.

      • “가톨릭 종교개혁” 시기 성직자 양성 개혁과 그 배경에 대한 교회사적 고찰 : 「보편적 학습 지침」(Ratio Studiorum)을 중심으로

        김도원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55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위임받은 복음화의 사명을 영속적으로 지켜나가야 할 교회는 그 책무를 지도적으로 수행할 성직자들에 대한 양성에 온갖 노력을 기울여왔다. 교회 또한 세상의 일부라는 측면에서 역사성에 의해 제약을 받기에, 필연적으로 성직자 양성을 위한 교육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많은 변천을 겪었다. 제대로 된 양성 체계를 마련하지 못했던 초창기를 거쳐, 교회는 세속 권력과의 밀접한 관계 안에서 성직자 양성 역시 점진적으로 발전시켜나갔다. 그러나 점차로 극에 달하는 교회의 세속화와 그에 따른 전반적인 쇄신의 요구는, 새로이 출현한 인문주의적 사조와 더불어, 르네상스를 거쳐 종교개혁으로까지 이어진 대내외적 위기의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신교회는 체계적인 목회자 양성을 수반한 인문주의적 교육 개혁을 단행하여 전성기를 구가하였고, 이는 가톨릭교회의 성직자 양성 체계에도 새로운 응답을 요청하였다. 특별히 “예수회”는 이 요청에 본격적으로 투신하여 특유의 개방적 영성과 활동력으로 교회의 교육 사업을 선도해나갔고, 그 범위는 성직자 양성으로까지 확장되었다. 이는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시행된 교육과정을 통해 시류(時流)를 비판적으로 반영한 전인적인 지성 함양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종래의 양성과는 확연히 다른 차별성과 효율성을 가져다주었다. 본 연구는 특히 예수회가 최초로 마련한 교육 준칙(準則)으로서의 「보편적 학습 지침」(Ratio Studiorum)과 그 적용에 중점을 두고, 이에 힘입어 전 교회적 차원으로 확산된 성직자 양성 개혁을 살펴보며, 그 의의와 한계를 밝혀보고자 시도하였다. 극도의 다원화를 그 주요 특징으로 삼을 수 있는 현 시대에, 세상과 공존하는 교회는 균형 잡힌 지성과 올바른 식별력을 바탕으로 세상과 교회에 봉사하는 성직자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여정에서, 「보편적 학습 지침」을 활용한 예수회의 교육을 기반으로 삼은 가톨릭교회의 성직자 양성 개혁과 그 배경을 고찰하는 것은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The Church, which must perpetually keep the mission of evangelization entrusted by Jesus Christ, has made every effort to train the clergy who will lead the duty. Since the Church is also constrained by course of history in terms of being a part of the world, inevitably education for the training of priests has undergone many changes with the passage of the times. After an early period when it was not possible to establish a proper formation system, the Church gradually developed clergy training within a close relationship with secular power. However, the gradual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and its overall demand for renewal, along with the newly emerged humanist trend, met a situ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that led to the Renaissance and the Reformation. In this process, the Protestant Church made its heyday by implementing a humanistic education reform that accompanied systematic training of pastors, and this requested a new response to the Catholic Church's system of training the clergy. In particular, the “Society of Jesus” committed to this request in earnest and led the Church's educational work with its unique and open spirituality and vitality, and its scope was extended to the clergy training. This brought a distinct difference and efficiency from the conventional training in which it aimed to cultivate holistic intelligence that critically reflected the currents through a systematic and consistent curriculum.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Ratio Studiorum, an educational rule first established by the Jesuits and its application, and looks into the reform for the clerical formation that has spread throughout the Church, and attempted to reveal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the present age, where extreme pluralism can be made its main feature, the Church, that coexists with the world, needs the clergy who serve both the world and the Church with a balanced intellect and correct discernment. Considering the reform and background for the training of priests in the Catholic Church based on the education of the Jesuits using the Ratio Studiorum is worth even today.

      • 가톨릭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병원민족지

        윤석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55

        This study examined hospice palliative care units to explore how hospitals, as frequent places of death for Koreans today, deal with and manage death. By embracing the process of dying and death, which was originally outside the scope of hospitals’ work,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that manage this process. Moreover, it analyzed the relationships that are constructed and the actions that are taken by the members of these spaces and the contexts in which they form discourses. A hospice unit is a space that houses patients that are nearing death, and in which people provide care for such patients. Thus, hospice units serve as spatial boundaries between life and death. At the same time, hospice units are operated in a completely different manner from that of conventional spaces in hospitals, and the members of the hospice unit are also organized in differently. Thus, through the methodology they use and their organizational system, which resists the structure typically found in hospitals, hospice units challenge the ways in which conventional hospitals have handled death.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role of hospice units as an alternative place for death in society as well as in hospitals.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space established for those approaching death in hospitals and the culture formed by the people taking care of this space. Accordingly, it was necessary to break free from the simplistic discourse of boundaries between life and death and to more closely identify the dynamics of “liminal space.” Anthropological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multidisciplinary hospice team members at a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of a Catholic medical institution in Seoul. In a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provide total care for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s well as their families. The team members provide ment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care in addition to alleviating the physical pain of patients whose conditions are worsening with drugs instead of medical treatment. As such, the state of patients in a hospice uni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patients in other wards or units, as is the purpose of duties and care among team members. The space in which the members provide care is also different from other spaces in hospitals. The space for hospice team members is considered as important as the space for patients, and since religious rituals are actively performed for patients on the verge of death, places are designated for such rituals in various parts of the unit. Among those spaces, the deathbed room is the space designated for patients in the last few days before death. Therefore, hospice team members conduct care and religious rituals in this space, and various family and team members form “communitas”. Thus, even in a hospice unit, which is a space of liminality, the dying room serves as a space in which the property of liminality is overlapped and enhanced. The tools in the hospice unit either have important meanings and symbols or function to directly help the patients. The former groups of tools were used by the members in individual ways, but were ultimately used to wish for terminal patients’ luck and belief in the afterlife. The hospice unit is one of the many wards and units of a hospital, but it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units in terms of the tools that are used and its use of space. Hospice team members form a network of organized and systematic care around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is proces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expertise as well as cooperation and task distribution with other team members. This results in a natural blurring of the lines between team members’ roles and practices. Conventional hospitals establish a hierarchy among members for efficient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emphasize individual expertise so that members’ roles are not confused. On the other hand, the organization of hospice units is relatively horizontal, and in many cases, there were no clear boundaries in terms of tasks and roles. This mixture of work boundaries was necessary for attaining the goal of providing holistic care for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nd their families.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roles of hospital team members were simultaneously overlapping and separate. This both strengthened and expanded the network of care. In particular, doctors and nurses in the hospice unit faced conflicts between the identity of medical workers that are familiar with the discourse of treatment to sustain life and the identity of hospice unit medical workers whose purpose is to provide healing by relieving pain. This appeared in internal conflicts among medical workers as well as in conflicts between medical workers inside and outside the hospice unit. These conflicts were the biggest obstacle to the smooth operation of the unit because they encouraged the exhaustion or burnout of medical workers in the hospice unit and made external medical workers constantly discuss, persuade, and compromise with the purpose of the hospice unit. Finally, this study explored the discourses and attitudes formed around death among hospice team members. The hospice unit is included in the medical institution, but it forms and shares discourses that are both universally pursued by and conflict within the medical institution.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t discourses and attitudes toward the meaning of dying well depending on the way hospice team members classified the patients and families according to their tasks and on the accumulated practices. These practices accumulated differently by task resulted in different discourses and attitudes about death. Various aspec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Catholicis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ay in which patients on the verge of death were cared for in the hospice unit. The hospice team members were Catholics and thus had strong faith in the afterlife. They were also aware that this faith helps relieve the fear of death experienced by patients on their deathbeds. Hospice team members spent a great deal of time performing religious ceremonies in an attempt to overcome problems related to discussions about and faith in the afterlife. They constan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ligion and piety, while continuously performing religious ceremonies for patients on the verge of death. Hospice units expand the linearity of life and death into a spatial context. Various people come together here to attempt all kinds of discourses, gathering experiences of death through various practices. This makes the impossible possible by bringing death into the hospital in an institutional manner, while also creating a culture unique to the hospice unit with constant encounters between multiple heterogenous properties. In particular, the impact of religion in the hospice unit in which death occurs on a daily basis was bound to be maximized compared to other units or war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hospice unit exists as a heterotopia in the hospital, disturbing and challenging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conventional hospitals. Second, the hospice unit provides care with a focus on the dying “process” of weakened patients beyond death from a medical perspective defined as the “point” or “state.” Third, various hospice team members intervene in the dying process of terminal patients with complex caring behaviors. Their roles are not merely to assist others but to respond to patients’ pain based on expertise deriving from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 Fourth, the hospice unit provides spiritual care beyo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care for patients who are experiencing spiritual pain on the verge of death. Moreover, the spiritual caregiving of hospice team members transforms dying into a sacred and meaningful process. As such,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e of death created by hospice team members in palliative care as an alternative path of hospital death in terms of space, relationship, practice, and discourse by examining the case of the hospice unit at a Catholic medical institution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for inpatient hospices to have adequate dying spaces for more patient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increase expertise of hospice team members and provide institutional strategies to prevent their exhaustion or burnout. Furthermore, volunteers and clerics responsible for spiritual caregiving must be legally recruited as official members of the hospice team to actively support their caring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한국인들의 대표적인 임종지인 병원이 죽음을 처리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탐색하고자 병원 죽음의 한 경로인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을 조망한다. 본래 병원의 업무 경계 밖에 있던 죽어감과 죽음의 과정을 병원의 업무 안으로 포섭하면서 이를 관리하는 공간이 어떠한 특성을 배태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 공간의 구성원들이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어떠한 실천들을 수행하며, 이들이 구성하는 담론은 어떠한 맥락에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호스피스 병동은 삶에서 죽음의 과정으로 이행되는 환자들이 머물고, 이들을 위해 돌봄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공간이다. 그렇기에 호스피스 병동은 그 자체만으로 삶과 죽음 사이의 경계가 공간으로서 확장되어 존재한다. 동시에 호스피스 병동은 기존 병원이 가진 구조와는 전혀 다른 방식과 계획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내부의 구성원들 또한 이질적인 방식으로 조직된다. 이처럼 호스피스 병동은 현존하는 구조에 저항하는 방식과 조직 체계를 통해 기존 병원이 죽음을 처리해 온 방식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호스피스 병동이 우리 사회와 병원 내의 대안적 죽음의 장소로서 실재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병원 내의 삶에서 죽음으로 다가가는 이들을 위해 마련된 공간과 이 공간을 지키는 사람들이 형성하는 문화에 집중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선적으로 여겨지는 삶과 죽음의 경계 담론에서 벗어나‘경계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역동성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서울 소재 가톨릭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에서 호스피스 다학제적 팀원들을 대상으로 인류학적 현장연구를 수행하였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에서는 총체적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말기의 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다학제적 팀원들이 총체적 돌봄을 제공한다. 상태가 악화되는 환자들에게 의학적 치료가 아닌 약물을 통한 신체적 통증 완화와 더불어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처럼 호스피스 병동에 있는 환자의 상태는 다른 병동의 환자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팀원들의 업무와 돌봄의 목적 또한 다를 수밖에 없었다. 구성원들이 생활하며 돌봄을 수행하는 공간 또한 특별했다. 호스피스 팀원들의 공간은 환자들의 공간만큼이나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었으며, 죽음을 앞둔 이들을 위한 호스피스 팀원들의 종교적 의례 행위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었기에 이를 위한 장소들도 곳곳에 마련되어 있었다. 여러 공간 중에서도 임종실은 임종이 수일 이내로 예견되는 환자가 머무는 공간이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호스피스 팀원들의 돌봄과 종교적 의례 행위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며, 가족과 팀원들을 불문하고 다양한 사람들이 커뮤니타스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리미널리티의 공간인 호스피스 병동 내에서도 임종실은 리미널리티의 성질이 중첩되고 강화되는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스피스 병동의 도구들은 의미와 상징이 중요한 도구와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도구로 구분된다. 특히 전자의 경우 구성원들에 의해 개별적인 방식으로 의미화되고 있었지만 궁극적으로는 말기의 환자에게 내세에 대한 믿음과 행운을 염원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었다. 병원 전체로 볼 때 호스피스 병동은 여러 병동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병동을 채우는 도구나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다른 병동과 상당히 이질적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호스피스 팀원들은 환자와 가족을 중심으로 조직적인 돌봄의 그물망을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호스피스 팀원 개개인의 전문성도 중요하지만, 다른 팀원들과 협력하고 업무를 분담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는 자연스럽게 팀원들의 역할과 실천의 경계가 혼재되는 결과를 야기했다. 기존의 병원은 조직의 효율적 운용 차원에서 구성원 간의 위계를 설정하고, 이들 간의 역할이 혼재되지 않도록 개별적인 전문성을 살리는 것을 중시하였다. 반면 호스피스 병동의 조직은 상대적으로 수평적이며, 서로의 업무와 역할에 분명한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업무 경계의 혼재성은 말기 암환자와 가족들에게 총체적인 돌봄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성질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팀원들의 역할에 있어서 혼재되는 영역과 고유의 영역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이 돌봄의 그물망을 한편으론 견고하게 만드는 반면 한편으로는 확장하여 존재 가능하게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호스피스 병동 내의 의사와 간호사들이 경험한 딜레마는 생명 유지를 위한 치료의 담론에 익숙한 의료인의 정체성과 통증 완화를 통한 치유가 목적인 호스피스 병동 의료인의 정체성 간의 대립이었다. 이는 의료진들의 내적 갈등인 동시에 호스피스 병동 내부 의료진과 외부 의료진 간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립은 병동의 원활한 운영을 저해하는 가장 큰 원인이기도 하였는데, 호스피스 병동 내 의료진들의 소진을 부추기고, 외부 의료인들에게는 호스피스 존재의 목적을 지속적으로 이야기하며 설득하고 타협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팀원들이 죽음을 둘러싸고 형성하는 담론과 태도를 탐색하였다. 호스피스 병동은 의료기관에 편입되어 있지만, 의료기관이 지향하는 보편적인 담론과 충돌하는 담론들을 형성하고 공유한다. 또한 호스피스 팀원들이 업무에 따라 환자와 가정을 분류하는 방식과 누적된 실천에 따라 무엇이 웰다잉(well-dying)인가에 대해서 다른 담론과 태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처럼 업무 별로 다르게 누적된 실천들은 죽음에 대해서 다른 담론과 태도를 양산하였다. 호스피스 병동에서 임종을 앞둔 환자를 돌보는 것에 있어 가톨릭 종교가 주는 영향이 매우 컸음은 연구 전반의 여러 측면에서 드러냈다. 가톨릭 신자로 구성된 호스피스 팀원들은 가톨릭 종교가 갖는 내세관에 대한 굳은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임종을 앞둔 환자들이 경험하는 죽음으로 인한 두려움을 완화하는 데에 이러한 믿음이 도움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호스피스 팀원들은 많은 시간을 종교 의례적 행위를 하는데 할애하였는데 이는 사후 세계에 대한 논의와 믿음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였다. 이로 인해 호스피스 팀원들은 종교와 신앙심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며, 임종기 환자들을 위한 종교적 의례 행위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배경인 호스피스 병동은 단선적으로 존재해온 삶과 죽음을 공간으로 확장한 현장이다. 이런 현장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다양한 담론을 시도하고, 여러 방식의 실천을 통해 죽음을 둘러싼 경험을 축적하고 있었다. 이는 죽음을 제도적인 차원에서 병원 내부로 들여오면서 본래대로라면 불가능했던 것이 가능해진 것이자, 여러 이질적인 성질들이 지속적으로 조우하며 호스피스 병동만의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죽음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호스피스 병동에서 종교의 영향은 다른 어느 병동에 비해 극대화될 수밖에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것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호스피스 병동이 병원 내에서 헤테로토피아로 존재하며 기존 병원이 고수해 온 구조적 조건들을 은연중에 교란하며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호스피스 병동에서는 ‘시점’이나 ‘상태’로 생각되는 의학적 관점에서의 죽음을 넘어 쇠약한 환자의 죽어감의 ‘과정’을 보살피고 있었다. 셋째, 말기 환자들의 죽어감의 과정 속에는 여러 호스피스 팀원들의 복잡다단한 돌봄 행위들이 개입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역할은 단순히 누군가를 보조하는 것이 아닌 이론적 지식과 경험에서 비롯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환자들이 호소하는 총체적 고통에 응답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호스피스 병동에서는 신체적, 심리적 돌봄을 넘어 죽음을 앞두고 영적인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영적 돌봄을 제공하고 있었다. 그리고 호스피스 팀원들의 영적 돌봄 행위는 인간의 죽어감을 성스럽고, 의미 있는 과정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가톨릭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병동의 사례를 통해 오늘날 병원 죽음의 대안적 경로로 알려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호스피스 팀원들이 형성하는 죽음의 문화를 공간, 관계, 실천 그리고 담론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입원형 호스피스가 더 많은 환자에게 적절한 죽어감의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팀원들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만들 필요가 있으며, 호스피스 팀원들의 소진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영적 돌봄 제공을 담당하는 자원봉사자와 원목자를 비롯한 종교인들을 법적인 차원에서 호스피스 팀의 공식적인 구성원으로 포섭하여 이들의 실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朝鮮 後期 社會‧宗敎 狀況과 初期 信者들의 宗敎認識

        변우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3225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early believer's recognition of Roman Catholic Church at its reception period in Korea. It is in order to show the various modes of faith of the believers in the early day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that I examined it in the context of social and thought-historical situ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religions. Firstly, I examined the social circumstance in the late years of the Chosun dynasty in which the Roman Catholic Church was initially accepted. The feudal society system of the Chosun dynasty was to be disintegrated at that time. After both wars of ImJin(壬辰) and ByeongJa(丙子), the Chosun dynasty was thrown into a great social-economical disturbance and political disorder because of a serious power struggle. In addition to that, the status system of the early days of the Chosun dynasty in which the number of upper class has been larger than that of low class also fell into utter confusion. Frequent natural calamities and infectious diseases caused the upper class's dissatisfacion, and the confusion of SamJeong(三政) did an enormous damage to the common people. Being initially accepted in this situation, the Roman Catholic Church was in constant friction with the Confucian ideas and culture at its reception period. While the government of Chosun dynasty tried to expand the power of king through traditional thou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he faithful practice of Roman Catholic Church caused the shock and anti-systematical reaction because it emphasized everyman's equality and more highly reverenced God(天主) than the king. And the government of Chosun dynasty persecuted the Roman Catholic believers in order to expand the power of king and prevent the common peopl's agitation. But in spite of the persecution, the number of believers increased and the Church leaders came from the middle or low class instead of the upper class. This phenomenon led to serious consequences as follows : 1) The people's recogniton of Roman Catholic Church was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fucianism. 2) At the same time the claim of people for the change of social system increased. 3) The role and function of traditional religions were reduced. Secondly, I examined the circumstance of religion at that time to show the faith modes of early believers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Confucianism was the dominating religion, system and morality of Chosun dynasty. But since the middle years of Chosun dynasty, the Confucianism continued to lose its dominating role in that socitey because it couldn't fittingly respond to the social circumstance at that time, and it became another speculative science. The Confucianism had a pantheistic viewpoint of God and attached much importance to the concept of Man putting emphasis on Etiquette(禮) and Dividing(分) in the authoritic-feudalistic morality. And it took an interest in the present mental training and the practice of Virtue(德) rather than in the world after death. Shamanism was rejected as a power of deluding the world and deceiving the people(惑世誣民), and as a lascivious sacrifice(淫祀) in the Chosun dynasty. But the shamanic ceremony was celebrated privately. Especially, since the middle years of the Chosun dynasty the division of the leading class and the social disturbance made prevalent fortune-telling for the peace of mind or winning fame(安心立命), and shamanic ceremony for removing calamity, calling for fortune(除災招福) and curing disease(救病). The Shamanism, the generally accepted idea of believing the highest god who doesn't really act a certain role and many gods who had wrongly a great influence upon human life, sought to enter upon the real phase of non-disease and long life(無病長壽) and splendor(富貴榮華). And as it had a belief that would be concerned about future life by believing not in the present but in the supernatural power(呪力) of Moo(巫), it tried to imagine the other world as the reflective thing of this world. Buddhism was growing weak in the Chosun dynasty because of the respecting Confucianism and excluding the Buddhism(崇儒斥佛) Policy of its government. But common people continued to believe in Buddhism. SeokGaSeJon(釋迦世尊) was the object of absolute faith and MiRukBul(彌勒佛) was recognized as the redemptor who could get rid of worldly agony. In the end, the Buddhism, explaining man, future world, life and death through the fundamental dogma of Karma(因緣) and Samsara(輪廻), had a great influence upon those people in the late years of Chosun dynasty in spite of its excluding Buddhism policy. Even though it had not the religious association and system, Taoism had been already mixed with the Buddhism in the Koryo dynasty and in spite of its exclusion of Chosun dynasty taoistic ceremony continued to be celebrated. Especially in the late years of Chosun dynasty the practical Taoism spreaded out and the theory of geomancy and the thought of DoCham(圖讖) were very popular. Such tendency gave the people a yearning for the utopia which had a strong power, and it showed an attitude which sought for body's refuging and sheltering(避難保身). The Roman Catholic Church was initially accepted in the above social-religious circumstance, and not a few people became faithful. Now I would like to show that what the faithful at that time thought about the traditional religions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itself. The response of the early believers to the Confucianism was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JinSan accident(1791). Before the JinSan accident, the faithful tried to harmonize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Confucianism in the standpoint of the theory that the Roman Catholic Church fill up the Confucianism. But after the JinSan accident the faithful got out of the view that the Roman Catholic Church filled up the Confucianism. This point was proved through the martyrs who preferred God to the king and

      • 입시위주 교육 여건 속에서의 올바른 가톨릭 종교교육

        정용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255

        한국에서는 입시시험과 연관된 지나친 경쟁의 그 심각성은 대단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국 교육계의 ‘부정적인 현실’에 교회가 어떻게 응답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종교교육이 본 논문의 두 가지 기둥 중에 한 가지로써 선택된 것도 이 때문이다.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종교교육은 ‘종교’라는 정규 교과과정에 들어있는 교과목이다. 이 교과목은 합법적으로 종교에 대하여 가르치고 논의할 수 있는 시간을 열어준다. 이 열려진 시간을 통해 교회는 교회의 가르침을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다. 학교라는 현장에 교회가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여건을 학교 종교교육 시간이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학교 종교교육의 시간의 특징은 가톨릭적인 종교교육, 즉 가톨릭 종교교육을 통해 교회가 학교라는 현장에서 입시위주의 교육여건에 직접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가톨릭 종교교육이 현 교육여건에 도움을 주기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할 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총 3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장에서는 우선 한국 교육여건과 연관된 문제들을 살펴보고, 그 원인으로 학벌위주의 사회풍토와 국가주도의 교육정책을 지목하였다. 그런 다음 가톨릭 종교교육의 현실을 교육정책들과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가정과 학교에서 관계성이 무너지고 있으며 사회가 분열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가톨릭 종교교육이 기존의 국가주도적인 교육정책으로 인해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는 새로운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완화될 예정이지만 그래도 밝은 전망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입시위주의 교육 여건에 맞는 가톨릭 종교교육의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가톨릭 종교교육 자체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가톨릭 종교교육의 필요성, 의미, 목적, 대상, 교사, 교육의 동반자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가톨릭 종교교육이 본성상 나아가야할 방향을 4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가톨릭 종교교육은 인간성숙과 그리스도인의 성숙에 관한 내용과 종교일반에 관한 내용을 지적인 차원에서 전해야 한다. 둘째, 가톨릭 종교교육은 하느님과 거룩한 삶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가톨릭 종교교육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학생과 가정, 학생과 사회, 학생과 신앙공동체 간의 친교를 지향해야 한다. 넷째, 가톨릭 종교교육은 학생들이 사회화 되는 과정에서 복음의 빛으로 비추어진 문화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성장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제3장에서는 제1장에서 언급한 한국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 즉 학생의 심리적 문제, 가정과 학교 차원에서 드러나는 문제, 사회적으로 드러나는 문제들에 제2장에서 언급한 가톨릭 종교교육의 방향을 대입하여 가톨릭 종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4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가톨릭 종교교육은 학생이 내적 혼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내적 긍정을 이끄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가톨릭 종교교육은 가정이 본래의 교육적 기능을 회복하여 신앙, 생명의 가치, 도덕 등이 학생에게 잘 전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회복될 수 있도록 대화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가톨릭 종교교육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가톨릭 종교교육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선생님들 간의 친교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가톨릭 종교교육은 사회통합을 위해 모두가 긍정할 수 있는 이념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자신과 다른 처지에 있는 이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리고 본 논문은 위 사항들을 바탕으로 작업지, 일기, 인터뷰, 교육연극, 취재 등을 활용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연구를 마무리 지었다.

      • 가톨릭 중학교 종교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 : 동성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권오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55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재단에서 설립한 중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종교교육이 실제적으로 중학교 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 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가톨릭 중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가톨릭 중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가톨릭 중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종립학교들 중 가장 종교내부적인 차이점이 적은 가톨릭 종립학교 그 중 중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종교교육에 포함되는 종교교과수업, 종교행사, 종교의 자유 침해에 대한 인식과 종교교육에 대한 실제 학생들이 느끼는 만족도와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조사된 인식, 효과, 만족도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실제 필요한 종교교육의 내용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그 다음 이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과연 현 종교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문제점이 있다면 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종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국가와 사회 차원에서 종립학교 종교교육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지만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접점과 핵심가치는 ‘실제로 종교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생들이 종교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제인 중학생들의 종교교과에 대한 인식, 효과,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하는 데도 중요할 뿐 아니라 종교선택의 자유와 종교교육의 자유의 충돌에 대한 논의에서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청소년기 가톨릭 종교 활동의 의미와 영향

        오정헌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54

        본 연구는 청소년기 가톨릭 종교 활동을 경험했던 청소년 종교 활동 지도자를 대상으로 청소년기의 종교 활동이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과 그 의미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청소년이 느끼는 가톨릭 종교 활동의 영향과 의미는 무엇이며 그 영향으로 변화하는 삶의 모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용인, 수원 소재의 성당의 교리교사 7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청소년의 종교 활동과 영향에 관한 질문지를 통한 반 구조화된 인터뷰이다. 질문 내용은 종교 활동의 시작과 환경에 관한 질문과 청소년기 경험한 종교 활동의 의미와 인식변화에 관한 질문, 그리고 삶의 미친 청소년 종교 활동의 영향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은 전사 자료 분석, 선행연구 분석, 인터뷰 대상자의 재확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참여자들이 종교 활동을 시작하는 계기가 부모의 권유가 대부분이며 강압적 느낌과 불편함을 느끼며 그러한 느낌이 종교 활동에 수동적 참여태도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부모의 지지는 종교 활동이 가정교육의 역할이었던 인성교육, 정서적 안정과 교육 효과를 대신해 주기를 바라는 기대에서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청소년 종교 활동에 대하여 비전문적인 교육으로 인식하며 동아리나 캠프와 같은 활동을 종교 활동에 가장 큰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종교 활동을 통해 형성된 공동체안의 유대감과 지지를 대표적인 종교 활동의 긍정적 효과로 보고 있다. 이 공동체는 삶의 목적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종교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구성원들에게 공유되며 공동체가 공통된 삶의 방향성을 추구한다고 인식으로 인해 다른 또래집단과의 차별성을 가지고 그 구성원간의 관계를 더욱 가치 있는 관계로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종교 활동의 긍정적 효과는 성인이 되어도 신앙생활이라는 생활양식 안에서 삶에 지속적 영향을 미친다. 참여자들은 청소년 종교 활동 봉사자로서 운영시스템에 관한 부정적 인식을 보이고 종교 활동이 청소년에게 주는 긍정적 영향을 위한 종교의 역할에 대해서는 구체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수많은 청소년들이 참여하고 있는 종교 활동이 청소년들의 자원으로서 청소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는 청소년 활동으로 발전하기 위한 제언으로 체계화 된 주일학교 운영시스템의 개발과 교구 간의 공동연구 및 프로그램 교류를 제언한다. This study is on youth religious activity leaders who experienced Catholic religious activity in their adolescence. By interviewing about the effect and meaning of religious activity during adolescence, it investigates how youth think of the effect and meaning of Catholic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way of changing a life by them. The study was based on interviews with seven catechists of the church in Incheon, Yongin, and Suwon. The research tool is semi-structured interview by questionnaire on religious activity of youth and its effect. The survey contains the questions of the beginning and background of religious activities, the meaning and change in perception of religious activities experience in adolescence, and the effects of youth religious activities on their lif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s transcribed data analysis, precedent study analysis, and reconfirming of the interviewe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most participants started religious activities involuntarily by their parents’ encouragement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associated feeling of pressure and discomfort leads to passive participation attitudes toward religious activities. It appeared that support of parents comes from the expectation that religious activity would replace the personality education, emotional stability, and educational effects, which used to be the role of home education. Participants recognized religious activities as unprofessional education, and club or camp as the largest part of the religious activities. Also, the fellowship and support formed within the community by religious activity are considered as its positive effects. This community has characteristics of religion suggesting direction and the goal of life, which is shared by members, and due to the perception that the community is seeking for the common directivity, they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members more meaningful than with other peer groups. The positive effects of religious activities to life continue into their adulthood in the lifestyle of faith. It appeared that participants as youth volunteers of religious activities have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s the operating system and have concrete awareness of the religion’s role in giving positive effects to youth. As a proposal of religious activities of today’s many teenagers to advance to youth activities acting as solving youth problems by volunteering of youth, I suggest the development of organized operating system of Sunday school and collaborative research and exchange programs with the parish.

      • 티치아노의 종교화에 나타난 심적 습성 : 가톨릭 종교개혁 시대의 예술과 예수회의 선교 예술을 중심으로

        최현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54

        16세기는 새로운 발견과 이로 인한 분열이 뒤따랐던 격동의 시대였다. 인문주의와 르네상스 운동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재발견으로 유럽인들로 하여금 인간이란 무엇인가 성찰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신 중심적 세계관에 대한 도전은 그리스도교 정신의 본질에 대한 재해석으로 이어졌고, 이는 종교개혁의 발발로 나타났다. 신대륙에서 이루어진 타자와의 만남은 새로운 신론과 구원론을 요구하였다. 이 논문은 굴곡진 16세기를 지나며 유럽인들의 내면에 일어난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그리스도교 복음에 관한 인식에 끼친 영향을 추적하기 위하여 티치아노의 종교화를 분석한다. 티치아노(Tiziano Vecellio, 1488/1490-1576)는 베네치아 르네상스를 대표하였던 화가로서 그의 작품 세계는 변화를 거듭하며 다양한 시대정신을 반영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특별히 인문주의, 르네상스, 그리고 가톨릭 종교개혁이라는 시대정신과 티치아노의 종교화의 상관관계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의 제2장에서는 16세기 이탈리아의 주요 시대정신을 사건별로 구별하여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티치아노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 지식으로 베네치아의 역사, 사회, 정치, 종교, 예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후, 제4장에서는 시대 순으로 변화를 거듭했던 티치아노의 작품 세계를 넷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시대를 대변하는 두 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 1부에서는 티치아노의 초기 종교화인 <나를 만지지 말라>, <성 세바스티아노>에서 인문주의 정신의 영향을 찾아본다. 제4장 2부는 <산토 스피리토 성당의 천장화>와 <이 사람을 보라>의 작품에서 전성기 르네상스 시대의 정신의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전자를 통해서는 르네상스 예술의 완성자로 불리었던 미켈란젤로의 영향을, 그리고 후자를 통해서는 가톨릭교회에 대한 자생적인 반성과 비판의 흔적을 확인할 것이다. 제4장 3부는 트렌토 공의회 시기의 작품인 <참회하는 막달라 마리아>와 <피에타>를 중심으로 한다. 각각 ‘가톨릭 종교개혁 예술의 아이콘’, 그리고 ‘바로크 예술의 시작’으로 불리는 작품의 분석을 통해 신앙심 고취를 목적으로 한 가톨릭 종교개혁 시기의 시대정신을 발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 4부에서는 티치아노의 종교화에 나타나는 시대정신과 예수회의 선교예술 간의 연관성을 탐색한다. 앞서 살펴본 티치아노의 작품과 16세기 시대정신의 연관 관계를 가톨릭 종교개혁의 기수였던 예수회의 선교 예술로 확장시키기 위함이다. 16세기 아시아 등지에서 복음 전파의 최전선에서 활동하였던 예수회 선교사들은 유럽의 예술 작품을 선교 도구로 적극 활용하였다. 티치아노의 종교화에서 발견되는 시대정신과 예수회 선교예술 사이에 연관성은 16세기의 시대정신이 복음과 함께 유럽 대륙을 넘어 아시아까지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