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극소저체중출생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실천 영향요인

        박혜정 아주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시 모유수유 실천율과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 태도, 모아애착, 남편의 지지정도를 파악하고,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2개 대학병원과 강원도 소재의 1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다가 퇴원하는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어머니 127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12월 29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모유수유 실천 정도는 실천이 100명(78.7%), 중단이 27명 (21.3%)이었다. 2. 대상자의 모유수유 지식 점수는 28점 만점에 16.45±4.06점으로 평균 정답률은 60.9%이었다. 모유수유 태도 점수는 100점 만점 중 77.83±8.48점이었으며, 모아애착은 104점 만점 중 98.54±6.14점, 남편의 지지는 35점 만점 중 30.69±4.03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모유수유 실천여부에 따른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 태도, 모아애착, 남편의 지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유수유 지식(t=2.80, p=.006), 모유수유 태도(z=-3.61, p<.001), 남편의 지지(z=-2.54, p=.01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모아애착(z=-0.37, p=.71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모유수유 실천여부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출생체중(t=2.05, p=.042)과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기간(t=-2.53, p=.013) 두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퇴원 시 모유수유 실천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모유수유 실천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단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출생체중, 입원기간, 모유수유 지식, 모유수유 태도, 남편의 지지 총 5개 변수를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남편의 지지(OR=1.17, p=.013), 모유수유 지식(OR=1.16, p=.033), 신생아의 입원기간(OR=0.97, p=.038)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남편의 지지가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극소저체중출생아 퇴원시 어머니의 모유수유 실천을 높이기 위하여 남편의 지지를 강화하고 모유수유 지식을 높이기 위한 간호지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일반 신생아와 건강상태, 환경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극소저체중출생아에 특성화된 모유수유 정보제공과 부모 지지가 필요하겠다.

      • 극소 및 초극소 저출생체중아들의 출생과 사망에 대한 사회적 불평등

        박혜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0년까지 통계청 출생사망연계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수준이 출산결과(저출생체중아, 미숙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출산결과에 따른 영아사망에서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저출생체중아는 초극소 저출생체중아(500-999g), 극소 저출생체중아(1000-1499g), 저출생체중아(1500-2499g)로 구분하였고, 미숙아는 초극소 미숙아(22-27주), 극소 미숙아(28-31주), 미숙아(32-36주)로 구분하였다. 모든 출산기간에서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저출생체중아 및 미숙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았다. 특히,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고등학교인 경우 저출생체중아와 미숙아의 출생이 증가하였다. 영아사망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라 극소 및 초극소 저출생체중아, 극소 및 초극소 미숙아 사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정상출산에 가까운 저출생체중아와 미숙아에서는 사회적 불평등을 확인하였다. 영아사망을 줄이기 위해서,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낮은 그룹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또한, 영아사망을 줄이기 위해서 극소 및 초극소 저출생체중아들의 출산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dverse birth outcomes(low birth weight, pre-term birth) and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infant death using the Statistics Korea data from 1995 to 2010. Low birth weight(LBW) was categorised as three catetories(extremely(<1,000g), very(1,000-1,499g), moderately(1,500-2,499g)) and Pre-term birth(PTB) was categorised as three categories(extremely(<28weeks), very(28-31weeks), moderately(32-36weeks)) It was likely that infants with low birth weight and preterm birth were born from mothers with lower educational level in all birth period. In particular, adverse birth outcomes were increasing when maternal education level was high school gradu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eath of infants with very/extremely LBW or very/extremely PTB among different maternal education levels. However, social inequality was found for deaths of infant with moderately LBW and moderately PTB. To reduce infant deaths, more attention and social support for the low educated group are necessary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Also, the prevention of extremely and very LBW/PTB birth is important.

      • 출생시 신생아 체중에 따른 leptin의 변화

        신혜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Leptin은 체중 조절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동물실험에서 leptin이 포만감, 에너지 소비 및 지방 산화를 증진시키고 지방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 만삭 상당 체중아에서 출생후 4개월간 체중 증가가 제대혈 leptin과 유의한 역 상관 관계를 가진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이는 영아 초기 체중 조절에 leptin이 관여되며, 생후 체중 증가에 태내 요인의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출생 체중에 따라 영아기 초기의 체중 증가에 leptin의 관여 여부에 대하여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최근 체중에 관계없이 남성 호르몬과 leptin농도 사이에 강력한 역 상관관계가 있음이 발견됨으로써 체지방량 이외에도 남성 호르몬이 성에 따른 leptin농도의 차이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신생아에서 여아의 leptin농도가 남아보다 높다는 일부 연구 결과들이 있으나 성별 leptin 농도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삭 신생아(재태연령 37-41주)에서 출생시 체중에 따라 제대혈 leptin농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출생후 체중 증가와 제대혈 leptin의 관련성을 조사하며, IGF-I 및 insulin이 leptin농도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 leptin, IGF-I 및 insulin농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출생시 체중에 따라 상당 체중아(AGA)와 부당 경량아(SGA)로 나누고 출생시 제대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leptin, IGF-I 및 insulin농도를 측정하고 생후 6개월째에 leptin, IGF-I 및 insulin농도를 다시 측정하였으며, 출생 직후 및 생후 2, 4, 6개월째에 체중, 신장 및 두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그 변화와 제대혈 leptin농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제대혈 leptin, IGF-I 및 insulin 농도는 부당 경량아와 상당 체중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대혈 leptin은 출생 체중 및 출생시 신장과 비례하며 제대혈 IGF-I농도와도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여아는 남아에 비하여 제대혈 leptin농도와 IGF-I농도가 높았으며 성별 제대혈 leptin 및 IGF-1 농도의 차이는 부당 경량아와 상당 체중아군 각각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생후 6개월째 leptin, IGF-I 및 insulin농도는 부당 경량아와 상당 체중아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생후 체중 증가는 제대혈 leptin, IGF-I 및 insulin과 관련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제대혈과 생후 6개월의 leptin, IGF-I 및 insulin농도는 부당 경량아와 상당 체중아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제대혈 leptin은 생후 첫 6개월간 체중 증가와 관련되지 않았다. 성별로는 여아에서 제대혈과 생후 6개월에 혈중 leptin농도와 IGF-I농도가 남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Leptin, the protein product of the ob gene,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body weight via increase of energy expenditure and decrease of food intake. Cord blood leptin concentrations have been reported to be lower in SGA than in AGA infants, but some authors reported no differences. Leptin concentrations in cord blood positively related with birth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ight gain in early infancy may be influenced by cord blood leptin. Weight gain during the first 4 months of lif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rd leptin concentrations reflecting role of intrauterine factors in postnatal weight reg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leptin concentrations are different by birth weight group and by gender, and to determine whether postnatal weight gain is related to cord blood leptin. In addition, we evaluated IGF-I, insulin and diet which can affect leptin concentration. All 48 infants were categorized by birth weight and gender; SGA(n=20) and AGA(n=28); male(n=19) and female(n=29). Leptin, IGF-I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birth and at 6 months of age. Twenty-seven infants were followed for 6 months. We obtained anthropometric data every two months. The cord blood leptin, IGF-I and insulin concentrations between SGA and AGA infa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cord blood leptin concentr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birth weight, length and cord blood IGF-I concentrations. Female infants have higher leptin and IGF-I concentrations than male infants. Gender differences in cord blood leptin were consistent in both SGA and AGA groups. At 6 months of age, leptin, IGF-I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not different between SGA and AGA infants. The postnatal weight gain had no relation to cord blood leptin, IGF-I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leptin, IGF-I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cord blood and at 6 months of age were not dfferent between SGA and AGA infants. Postnatal weight change was not related to cord blood leptin concentration. Leptin and IGF-I concentrations in cord blood and at 6 months of 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than in male infants.

      • 국가의 저출생체중아 출생률과 사회·경제·환경수준과의 관련성 연구

        조영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저출생체중아의 출산은 국가적으로 영아 사망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개인적·사회적으로 의료비의 증가 및 후유증으로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 및 사회·경제·환경 지표등을 이용하여 저출생체중아 출생률과 사회·경제·환경적 요인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자료는 국가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을 비롯한 대부분의 자료는 World Bank의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03’을, 교육관련 변수는 UNESCO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WHO의 통계지원 사이트인 WHOSIS 와 국제연합의 국가별 자료를 일부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유럽 18개국, 중동부 유럽과 구소련 연방 26개국 ,북아메리카 2개국, 오세아니아 3개국 , 동아시아 및 태평양 9개국 , 아랍 13개국 , 라틴 아메리카 20개국 , 사하라­아프리카 31개국, 남아시아 5 개국, 기타 2개국으로 152개의 국가이다. 분석은 분산분석을 통하여 국가의 저출생체중아 출생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회·경제·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독립변수들의 개별적인 영향을 통제 후 요인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1인당GDP(F=33.77,p<.0001), 지니계수(F=7.54,p=0.0001)여성교육률(F=13.38,p<.0001), 남성교육률(F=8.67,p<.0001), 하수도 보급률(F=13.29,p<.0001), 상수도 보급률(F=9.01,p<.0001), CO배출량(F=27.08,p<.0001)을 4분위수로 나눈 네 국가집단간의 저출생체중아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F=9.21 p=0.0012 ), 1인당 GDP(r=-0.0000342, p=0.0064) 는 높을수록, 지니계수(r=0.01206, p=0.0077)는 낮을수록, 여성 교육률(r=0.00571, p=0.0009)과 CO 배출량(r=0.04602, p=0.0345)은 감소할수록, 하수도 보급률(r=-0.00536, p=0.0041)은 증가할수록, 분만시 의료진 참가율(r=-0.00771, p=0.0018)과 피임실천률(r=-0.00875, p=0.0049)이 높을수록 저출생체중아 출생률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저출생체중아 출산의 감소를 위한 국가적 접근방향을 제시하고, 저출생체중아관련 연구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사회적 관심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low birth weight infants increases the infant mortality rates for the nation, and increases the health expenditure and the complications thus decreasing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the socie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al factors in relationship with the birth rates of the low birth weight infants using socioeconomic, environmental indexes as well as the birth rate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Most of references including the birth rate of the low birth weight infants were used the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03 from World Bank, and most of educational indexes referred to the data of UNESCO. Statistical websites of WHO and data for individual nations of WHOSIS were also used. The scope of this study is 152 countries including 18 Western European countries, 26 Middle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2 North American countries, 3 Oceania countries, 9 countries in East Asia and the Pacific Ocean, 13 Arabic countries, 20 Latin American countries, 31 Sahara-African countries, 5 South Asian countries, and 2 other countries. The AVOVA was used by analyzing the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factors tha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on the birth rate of low weight infants of the na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the factors by controlling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was, first, the average birth weight infantsof the four country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GDP per capita (F=33.77, p<.0001), Gini index(F=7.54, p=0.0001), educational level for female(F=13.38, p<.0001), educational level for male(F=8.67, p<.0001), population with access to improved sanitation (F=13.29, p<.0001), population with sustainable access to an improved water source (F=9.01, p<.0001), the CO emission (F=27.08, p<.0001) were divided with the quadrant order. Second, the birth rate of the low birth weight infants is decreased as GDP per capita (r=-0.0000342, p=0.0064) is increased; as Gini index(r=0.01206, p=0.0077) is decreased; as the education level for female(r=0.00571, p=0.0009) and the CO emission (r=0.04602, p=0.0345) are decreased; as population with access to improved sanitation (r=-0.00536, p=0.0041) is increased, as births attended by skilled health personnel (r=-0.00771, p=0.0018) as well as the contraceptive prevalence rate (r=-0.00875, p=0.0049) are increased in the multiple regression (F=9.21 p=0.0012).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5)provide the national approaches to decrease the birth rate of the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bring the attentions for the studies of the related studies as well as social attentions.

      • 저체중출생아의 태반11B-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2발현과 모체혈과 제대혈의 cortisol과 cortisone농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김지영 순천향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목적: 태반 11ß-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2 (11ß-HSD2)는 모체혈 코르티솔 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는 기능적 장벽 역할을 한다. 모체의 고혈압이나 태반 부전과 관련된 임신의 경우 태반 11ß-HSD2 발현은 감소하며 이로 인한 혈중 코르티손과 코르티솔 농도의 변화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저체중출생아들에 있어서 태반 11ß-HSD2 발현의 변화와 이와 관련하여 모체혈과 제대혈의 코르티손, 코르티솔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태반 11ß-HSD2와 출생 시 체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9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재태연령 37주에서 41주사이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분만 시 정상체중아를 분만한 12명을 정상체중아군으로, 2,500gm 이하의 저체중아를 분만한 12명의 임신부를 저체중출생아군으로 정의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각각 태반 11ß-HSD2 에 대한 real-time quantitative RT-PCR을 하여 11ß-HSD2 mRNA 발현을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두군 모두에서 모체혈, 제대혈에서의 코르티손, 코르티솔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체중아군에 비해 저체중출생아군에서 태반 11ß-HSD2 mRNA 발현은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코르티손 값은 두 군 모두 모체혈에서 제대혈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저체중출생아군의 경우 특히 모체혈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나 제대동맥과 제대정맥에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에 반해 코르티솔 값은 두 군 모두 모체혈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제대정맥에서의 코티졸 값은 정상체중아군에 비해 저체중출생아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출생 시 체중에 따른 각각의 농도 변화는 모체혈에선 코르티손의 농도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r = 0.49), 제대동맥에선 코르티솔 농도가 상관관계가 있었다 (r = 0.53). 결론: 저체중출생아군에서 태반 11ß-HSD2 발현과 활성도의 저하가 모체혈과 제대혈에서의 코르티손과 코르티솔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출생 시 체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태아의 발달과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 대사의 11ß-HSD2 역할 뿐만 아니라 태아 11ß-HSD2 기전과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에 대한 추가 연구가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출생체중아 이행간호 프로그램 (Transitional Care Program) 개발 및 평가

        채선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저출생체중아 이행간호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연구로, 프로그램 개발의 준비, 개발, 평가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이행이론 (Meleis, Sawyer, Im, Messias, & Schumacher, 2000)을 근거로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준비단계는 2000년 6월부터 8월까지 서울시내 일개 보건소에 등록된 현재 교정연령 12개월 미만의 출생시 체중 2,500g미만과 출생시 재태연령 37주 이하인 저출생체중아 19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추후간호 대한 요구도, 부모의 양육자신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영아의 성장발달과 건강상태, 가정의 양육환경을 조사하였다. 이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Spearman's rhocorrelation coefficient,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였고, 면접자료는 내용분석 하였다. 개발단계는 이행이론을 이론적 틀로 하면서 준비단계에서 조사한 대상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는 2000년 1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서울과 인천의 대학병원의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이 결정된 출생시 체중이 2,500g 미만, 출생시 재태연령이 37주 이하인 4명의 저출생체중아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퇴원 2-3일전부터 퇴원 후 3개월까지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영아의 건강상태와 성장발달, 어머니의 양육자신감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모아상호작용, 가정의 양육환경을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운영과 프로그램 참여경험의 결과는 대상자와의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 수의 제한으로 통계분석은 하지 않았고, 면접자료는 내용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 개발 준비단계에서 확인된 저출생체중아의 건강은 52.6%의 부모들이 자신의 자녀가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퇴원 후 가장 많이 경험한 건강문제는 호흡기 감염과 열이었다. 이들의 체중과 신장은 대체로 현재의 교정연령에 적합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발달은 현재 교정연령 3개월 이후 저출생체중아 9명 가운데 4명에서 의심스런 발달이나 지연발달이 나타났다. 저출생체중아 부모의 양육자신감, 자아존중감, 가정의 양육환경은 모두 영아의 교정연령이 3개월 미만인 경우가 그 이상인 경우보다 낮았다. 저출생체중아 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저출생체중아 부모들은 수유, 아기 다루기, 질병관리, 아기의 특성이해, 목욕 등과 관련된 양육 어려움을 보고하였고, 추후간호에 대한 요구는 교육과 정보, 자조모임, 상담통로의 확보등이었다. 2) 최종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4회의 가정방문, 매주 1회의 전화방문, 대상자의 필요에 따라 접근가능한 전화상담, 그리고 인터넷 자조모임으로 구성되었다. 3)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서 4명의 저출생체중아와 어머니에게 퇴원 2-3일전부터 퇴원 후 3개월까지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시 저출생체중아의 건강상태는 대체로 양호하였고, 건강문제가 발생한 대상자의 경우는 조기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연계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출생체중아는 모두 퇴원 3개월 후 정상발달을 나타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출생체중아 부모는 본 프로그램이 양육자신감, 모아상호작용, 가정의 양육환경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본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고하였고, 저출생체중아는 건강과 성장발달을 유지, 증진할 수 있었다. 특히 어머니는 지속적인 추후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와 자조모임의 다른 어머니들과의 지지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이행과정을 긍정적으로 경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모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된 저출생체중아 이행간호 프로그램은 저출생체중아와 부모의 건강한 이행을 촉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이 병원과 지역사회 공공의료기관 사이의 건강관리체계의 연계를 확립하도록 확대 적용될 것을 제안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transition nursing program for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mothers. It consisted of three phases, which were need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Needs assessment was conducted from June to August, 2000. The subj ects were 19 low birth weight infants including 4 pairs of twins and their parents. The second phase was to develop the program based on the needs assessment. The conceptual framework guided the program was the theory of transition(Meleis, Im, Messias, & Schumacher, 2000). The last phase of the study was evaluation of the program. Evaluation of the tentative program was done with 4 pairs of the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mothers from November, 2000 to May, 200 1. Data were collected during home visits by observation, interview,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Variables included in the evaluation were maternal confidence, self-esteem, social support, home environment,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health status an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infant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 Mann-Whitney 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rent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reported the difficulties of parenting related to feeding, bathing, infant handling,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illness management . And education and information, support group, and easy access to consultation were identified as areas that needed follow-up service. 2. The transitional care program consists of home visits, phone visits and counselling, and support group using internet. The program begins 2-3 days before the scheduled date discharge of the infants from NICU and continued till 3 months after discharge. 3.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infants maintained the health status and growth and development appropriate to their corrected age. The mothers reported that they had increased maternal confidence, mor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better home environment for the infants' development after participation in this program. The program facilitated smooth transition for both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mothers.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transitional care program provided accessible, and appropriate services to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m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ore efficient referral system between hospitals and public health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a seamless service to low birth weight infants. Also,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n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for home health nurses on car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mother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home from NICU.

      • 비영양성 흡철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 건강지표 개선 효과

        김은정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 대한 비영양성 흡철(NNS) 적용의 심박동수, 산소포화도, 체중 개선과 재원일수 단축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NNS 프로그램 적용 여부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는 개입연구(interventional study)를 수행하였다. 대상은 2011년 7월부터 12월까지 부산광역시 소재 P대학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극소 저체중 출생아로 비영양성 흡철을 적용한 14명(NNS군)과, 일반 위관수유를 제공한 14명(대조군), 총 28명 이었다. NNS군에 대한 처치는 위관수유 과정 동안 미숙아용 젖꼭지를 10일 간 매일 오전 11시에 10분 간 적용하였다. 두 군 모두에 대해 1분 간격으로 배회씩 심박동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고, 매일 새벽 2시에 체중을 1회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ver. 18.0, Chicago, Illinois, USA)과 MedCalc 프로그램(ver. 12.2.1, Mariakerke, Belgium)을 이용하여 NNS과 대조군의 차이는 Fisher′s exact test와 Mann-Whitney test로 비교하였으며, 전체와 출생 시 체중, 재태기간, 출생 시 기계적 환기 요법 적용 기간별 측정일 경과에 따른 변화를 반복측정분산분석법(RM-ANOVA)으로, 제1일과 제 10일째의 차이를 Wilcoxon signed-rank test로 각각 비교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의 판단기준은 α=0.05로 하였다. 결과: NNS군과 대조군의 성별 분포, 재태기간, 출생체중, 아프가 점수, 기계적 환기 요법 적용 기간은 모두 차이가 없어 두군 간의 특성은 동질하였다. 전체에 대한 측정일 경과별 변화 양상은 심박동수와 산소포화도가 NNS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았다. 제 1일과 제 10일째 차이 비교 시 심박동수와 산소포화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심박동수의 상승은 노리개 젖꼭지와 같이 능동적 반응을 요하는 자극으로 인한 것이라 해석한다. 체중은 거의 출생 시 체중에 따랐으며 일단 줄었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NNS군에서 7일째 대조군 체중 증가를 능가하였다(p=0.013). 제 1일과 제 10일째 차이 비교 시 체중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성별 비교에서 심박동수, 산소포화도와 체중 모두 출생 시 체중별로는 1250gm 이상에서, 재태기간별로는 30주 이상에서 NNS 적용의 효과가 보다 뚜렷하였다. 기계적 환기 요법 적용 기간별로는 3일 미만군에서 NNS의 효과가 있었다. 제 1일과 제 10일째 차이를 비교한 결과 출생아 특성별 비교에서도 심박동수와 산소포화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중은 제태기간 30주 이상에서 6일째 이후(P=0.082), 기계적 환기 요법 적용 3일 미만에서 8일째 이후(P=0.004) NNS군이 대조군을 능가하였다. 제 1일과 제 10일째 차이를 비교한 결과 체중의 경우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NNS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적은 일수와 체중에서 완전 젖병 수유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평균재원일수는 NNS군 52.4일, 대조군 55.1일로 NNS군이 약 3일 단축되었다. 결론: NNS 적용은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심박동수, 산소포화도, 체중 개선과 재원일수 단축에 효과가 있었다. 위관수유 미숙아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으로 NNS제공은 권장할 만하다.

      • Association between PM10 and PM2.5 concentration and birth weight of normal delivery infants born in Busan from 2006 - 2008

        심은경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거주지역의 PM10, PM2.5 농도와 정상출생아의 출생체중과의 관련성 심 은 경 (지도교수 : 문 덕 환) 인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연구목적 : 대기 중 미세먼지에 의한 인체의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가장 민감한 시기인 태아기에 높은 미세먼지에 노출되었을 때 2.5kg 미만의 저체중아 발생이 많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 또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조산 및 기형아의 출생과 유산, 사산 및 신생아 사망 등 극단적인 출생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기오염물질인 미세먼지(PM10, PM2.5)가 정상 출생한 신생아의 출생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산의 5개 대형 산부인과 병원에서 2006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출산한 기형이 없는 정상신생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산모의 주소와 신생아의 부모의 나이 등 일반적인정보를 포함하여 출산과 관련한 산모의 질병, 산과력, 신생아의 생년월일, 출생체중, 성별, 임신주수와 기타 이상출생과 관련한 정보를 의무기록으로부터 얻었다.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의 각각 부산시 19개, 5개 측정소에서 측정된 PM10, PM2.5의 시간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미세먼지에 의한 출생체중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1. 연구기간동안 연구대상자 총 24,189명 중 조산아는 1,147명(4.7%), 저체중아 807명(3.3%), 자궁 내 성장지연(intra uterine growth retardation ; IUGR) 3,070명(12.7%)로 나타났다. 부산시의 일부지역에서만 측정되는 PM2.5 데이터가 있는 연구대상자는 총 4,165명으로 좁혀졌고, 이들 중 조산아는 234명(5.6%), 저체중아 175명(4.2%), IUGR 530명(12.7%)이었다. 2. 조산과 관련된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신생아가 남아인 경우 부모가 20세 미만, 또는 35세 이상으로 고위험 임신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조산이 많았다. 저체중아의 위험요인으로는 신생아가 여아, 부모가 20세 미만, 또는 35세 이상으로 고위험 임신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체중이 많았다. IUGR의 위험성은 신생아가 여아일 때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저체중아를 제외한 정상 출생아에서 임신기간 동안 PM10 노출이 평균 50 μg/m3 보다 높은 산모에서 태어난 출생아는 그 이하에 노출된 출생아에 비해 19.0 g의 체중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저체중아를 제외한 정상 출생아에서 임신기간 동안 PM2.5 노출이 평균 25 μg/m3 보다 높은 산모에서 태어난 출생아는 그 이하에 노출된 출생아에 비해 50.5 g의 체중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곳에 거주하는 산모로부터 태어난 신생아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곳에 거주하는 산모의 신생아에 비해 출생체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PM10에 비하여 PM2.5의 영향이 출생아의 체중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중심단어 : PM10, PM2.5, 출생체중

      • 한국 저출생체중아에서 L-카르니틴 보강효과

        성소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1

        연구배경 미숙과 저출생체중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장애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미숙아는 제태 기간이 37주 미만인 아기이며, 저출생체중아는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영아로서 출생체중이 낮지만 미숙아가 아닐 수도 있다. 미숙아와 저출생체중아가 모두 정신적, 신체적 발달 장애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나 미숙아이면서 저출생체중을 갖고 태어난 경우 고위험 영아로 간주된다. 출생은 신생아에게 모체로부터의 영양공급을 중단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영양적 섭취가 확립되기 이전까지 포도당을 자체적으로 생산해야만 하는 대사적 도전을 준다. 신생아들은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면서 일시적인 섭취와 공복의 변경기간 동안 대사적 적응을 이뤄낸다. 이러한 적응력에서 저출생체중 미숙아는 정상아보다 혈중 포도당 농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면서 자궁 내 영양 중단에 대한 취약성을 보인다. 또한 정상아는 임신 말기에 출생 후 얼마간 필요한 영양소 등이 저장되는데 미숙아들은 소화, 흡수과정을 포함한 미숙한 신체기능과 출생 후 필요한 영양소의 축적결핍이 나타나 이의 보충을 위해서는 정상아와는 다른 영양적 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두뇌조직이 가장 왕성하게 발달하는 태아기 및 영아기에는 뇌조직의 구성성분인 DHA나 아라키돈산과 같은 필수 지방산의 공급이 매우 중요하며, 또한 뇌의 영양공급원으로 작용하는 케톤체의 공급 등 지질대사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필수 지방산과 같은 장쇄 지방산의 대사가 미숙아에게 특히 중요하며, 지방산 대사에 필수적인 카르니틴은 저출생체중 미숙아의 성장,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라고 할 수 있다. 연구목적 저출생체중 미숙아의 출생 시 기본적인 신체발달사항을 계측하고, 카르니틴을 투여했을 때 혈중 지질 및 카르니틴 농도를 분석함으로써 카르니틴 투여를 통한 대사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저출생체중 미숙아에게 카르니틴을 보충했을 때의 효과와 이들의 대사적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5년 5월에서 2006년 10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및 신생아 중환자실에 내원한 25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보호자와 주치의의 동의를 받아 실시하였다. 2500g 이하의 저출생체중아군에서 카르니틴 투여군과 비투여군으로 그룹을 나누었으며 카르니틴 투여군에는 10mg/kg/day의 카르니틴을 투여하였다. 제태나이, 신체발달사항인 아프가지수 (1분, 5분), 출생 시 체중 및 신장, 흉위, 두위측정과 혈중 카르니틴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제태기간, 아프가지수, 출생체중, 신장, 두위, 흉위 등의 신생아들의 일반적인 특징에서는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기간동안 저출생체중 미숙아들의 영양 섭취량에서는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카르니틴 투여군과 비투여군 모두 분유를 통해 분유 1ml 당 약 0.013mg 정도의 카르니틴을 섭취하고 있었다. 카르니틴 섭취를 통한 유의적인 체중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혈중 TG농도에서 카르니틴 투여에 의해 유의적 감소를 보였으며, HDL 콜레스테롤 수치에서도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비투여군과는 달리 카르니틴 투여 군에서 카르니틴 투여 후 그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카르니틴 함량에서는 카르니틴을 투여한 5일 이후에 카르니틴 투여군이 비투여군에 비해 혈중 free carnitine, acyl carnitine 그리고 total carnitine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acyl/free carnitine ratio의 경우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미숙아에게 10mg/kg/day의 카르니틴을 투여했을 때 성장지표에 현저한 개선을 나타내지 못했다. 그러나 혈중 지질 성상 및 카르니틴 농도의 유의적인 개선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 저출생체중 미숙아들의 따라잡기 성장을 위해서는 카르니틴의 지속적인 투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VOCAL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태아 허벅지 부피 계측의 출생 체중 예측 효용성 : Efficacy of Fetal Thigh Volumetry in Predicting Birth Weight Using the Virtual Organ Computer-aided AnaLysis (VOCAL) Technique

        박재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0

        목적: 본 연구는 출생 체중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3차원적(3D) 방법인 VOCAL 기술과 2차원적 (2D) 공식들을 통해 태아 허벅지 부피를 계산하는 방법들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방법: 2008년 5월부터 2010년 4월까지 한 대학병원에서 초음파 검사 후 72시간 이내에 분만한 84명의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전향적, 그리고 단면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태아들의 양쪽마루뼈 지름, 배 둘레, 그리고 대퇴골 길이를 2D 초음파로 측정하였다. 그 후, 3D초음파와 VOCA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태아 허벅지 부피를 측정하였다. 모계의 임신력, 체질량 지수, 그리고 허벅지 둘레 등의 임상 자료를 기록하였다. 측정된 모든 계측치와 실제 출생 체중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출생 체중을 예측하는 데에 있어서 3D초음파와 2D 초음파를 비교하고자 태아 허벅지 부피를 이용한 방법과 Hadlock II 방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정된 출생 체중과 실제 출생 체중간의 차이를 paired t-tests를 이용해 분석해 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 포함된 임산부의 대부분 (61.9%)은 30대였다. 3차원 초음파로 측정된 태아의 허벅지 부피를 이용하여 추정된 태아의 체중과 실제 출생 체중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모계의 체질량 지수와 태아의 허벅지 둘레가 실제 출생 체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Hadlock II 공식을 이용하여 추정한 태아 체중이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실제 저체중 출생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태아의 허벅지 둘레를 이용한 공식과 Hadlock Ⅱ 방법은 모두 낮은 민감도를 보였지만, 과체중 출생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태아의 허벅지 둘레를 이용한 방법이 Hadlock Ⅱ 방법 보다 더 나은 민감도를 보였다. 두 방법 모두 저체중 출생아를 예측하는데에는 매우 높은 특이도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3D 초음파의 VOCAL 방법을 검증하고, 3D 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 체중의 예측을 주제로 하는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3D 초음파의 VOCAL 방법을 이용하여 태아의 허벅지 부피를 측정하면 태아의 체중을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고, 이 방법은 추후 산전 진찰시 필수적인 항목이 될 가능성이 있다. Efficacy of Fetal Thigh Volumetry in Predicting Birth Weight Using the Virtual Organ Computer-aided AnaLysis (VOCAL) Technique Junsik Park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raduate School of Soonchynhyang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Tae-Hee Kim)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ccuracy of formulas used to calculate fetal thigh volume (TV) using the Virtual Organ Computer-aided AnaLysis (VOCAL) technique with that of other commonly used two-dimensional formulas predicting birth weight.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of 84 pregnant women with 72 h of delivery evaluated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2008 and April, 2010. In these patients, fetal biparietal diameter (BPD), abdominal circumference (AC), and femur length (FL) were measured by two-dimensional ultrasonography (2DUS). After 2DUS measurement, three-dimensional ultrasonography (3DUS) was also used to determine fetal thigh volume (TV) with estimates computed using the VOCAL program. Maternal features, such as number of previous gestations, BMI, and thigh circumference were documented. Correlation between all measured parameters and actual birth weight was determin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used to determine relationships among parameters. We compar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fetal TV formula for prediction of infants ≤ 2.5 and ≥ 3.5 kg with those of the Hadlock II equation. Finally, differences between estimated fetal weight and actual birth weight were assessed by paired t-tests. Results: Most of the participants (61.9%) were in their thirties. The correlation between fetal weight predicted by the three-dimensional equation of TV and the actual birth weight was significant. Although maternal BMI and infant TC correlated with actual birth weight, the Hadlock II equation exhibited the greatest correlation. While both fetal TV and the Hadlock II equation exhibited a low sensitivity for detection of low-birth-weight infants, fetal TV was a more sensitive method of detecting high-birth-weight infants than the Hadlock II equation. However, both methods were highly specific for detection of low-birth-weight infants. Conclusions: In the present study, we validated the 3DUS-VOCAL method and reviewed the literature regarding use of 3DUS to estimate fetal birth weigh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lear that using 3DUS-VOCAL to measure fetal TV provides more accurate estimation of fetal birth weight, and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n essential prenatal assessment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