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콘텐츠로서 한국무용의 관람추구편익이 공연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소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 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문화콘텐츠로서 한국무용 관람추구편익과 관람만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 관람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일반인을 모집단으로 선정 하였으며, 조사 대상의 표집은 비확률 표본 추출법 중 편의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서울 소재 5개 지역(압구정, 신촌, 홍대, 이대, 대학로)을 선정하여 총 86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이중 회수되지 않은 설문지와 응답내용이 불성실하여 신뢰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21명의 자료를 제외하였으며, 또한 한국무용 공연을 관람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317명의 자료를 제외한 526명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응답결과 자료를 회수한 후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나머지 설문자료를 Window용 SPSS 15. 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추구편익 차이를 분석한 결과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사교추구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추구편익차이는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사교추구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추구편익 차이는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따른 추구편익차이는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사교추구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관람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연만족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관람만족차이는 공연만족, 관람촉진만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관람만족 차이는 공연만족 관람촉진만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따른 관람만족차이는 공연만족, 관람촉진만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무용 관람 추구편익이 관람만족의 하위요인인 공연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요인에서 공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구편익이 관람만족의 하위요인인 공연촉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흥미추구, 일상탈피추구, 사교추구 모든 요인에서 관람촉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efit sought and the viewing satisfac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audiences. For doing this, 864 peoples who have any experiences an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even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s including Apgujeong-dong, Shinchon, Hongik University area, Ewha Women's University area, and College Road area, an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ver. 15)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ollowing findings were the result of the study: 1)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female than the male subject according to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escape for the ordinary living, and social 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in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escape for the ordinary life, and social 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escape for the ordinary liv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ocation in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escape for the ordinary life, and social relation. 2)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female than the male subject on the performance viewing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promotional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promotional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promotional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ocation. 3)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between the benefit sought and performance viewing satisfaction on the benefit sought of interest and escape form the ordinary life.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between the benefit sought and viewing promotional satisfaction of performance on the sought of interest, escaping form the ordinary life and social relation.

      • 追求便益에 따른 防韓 中國人 團體旅行客의 市場細分化

        요산산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1992년 8월 중국과 한국의 외교수립 이후 양국 간의 인적교류는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01년에 중국은 일본에 이어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제2위 관광시장으로 부상하였으며, 최근 저조한 한국의 해외시장에서 유일하게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시장이다. 본 연구는 방한 중국인 단체여행객의 추구편익을 파악하고 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규명하여 한국방문 추구편익 측정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구편익 요인에 의해 세분화된 집단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각 시장별 특성을 토대로 현실적인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수집 표본추출 방법으로는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고, 조사대상은 한국방문을 마치고 인천국제공항에서 탑승대기중인 중국인 단체여행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 246부의 유효표본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설문지는 이용행태적 요인에 관한 6문항, 추구편익에 관한 20문항, 인구통계적 요인에 관한 8문항, 총 3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을 활용하여 신뢰도검증, 타당성 검증, 빈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그리고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ilman(1993)은 관광목적지를 선택할 때 부모적 자아, 성인적 자아, 그리고 유아적 자아가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근거로 하여 중국인 단체여행객을 대상으로 한국방문 추구편익 측정척도 20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6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 6개 요인은 각각 부모적 자아 영역에 1개의 요인(동반자만족 요인)이 있고 그리고 성인적 자아 영역에 2개의 요인(여행편의성 요인, 여행비용 요인)이 있고 또한 유아적 자아 영역에 3개의 요인(호기심 요인, 배움의 기회 요인, 관광매력 요인)이 있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6개의 추구편익 요인에 의한 군집분석을 통해서 방한 중국인 단체 여행객을 시장세분화를 하였다. 그 결과 4개의 군집으로 세분시장이 나타났다. 첫째, 성인적 자아 우선집단은 성인적 자아에 관련된 항목에서 높은 평균값을 보이며 여행의 편의성 및 비용 등 면에 민감하는 집단이다. 둘째, 부모적 자아 우선집단은 부모적 자아에 관련된 항목에서 높은 평균값을 보이며 주변사람 또는 같이 갈 사람들의 의사 및 생각을 많이 중요시 하는 집단이다. 셋째, 일반집단은 모든 추구편익 항목에서 다 균등하게 낮은 평균값을 보이며 특별히 중요시하는 편익이 없는 집단이다. 넷째, 유아적 자아 우선집단은 유아적 자아에 관련된 항목에서 높은 평균값을 보이며 한국사회, 자연경관, 역사문화 등 실제 관광내용을 중요시하는 집단이다. 전체 방문자의 추구편익 분석결과는 유아적 자아 요인은 강하고 부모적 자아 요인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문자의 이용행태에 따른 군집 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호기심 요인이 강하고 단골손님은 여행편의성 요인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수 관광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집단은 다른 목적의 집단보다 이 3가지 요인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인/부부동반하는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동반자만족 요인이 강하고 가족동반 하는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호기심 요인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서로 다른 욕구를 지니고 다른 추구편익을 원하는 집단을 표적시장으로 구분해서 선정하여, 그에 적절한 차별화된 여행코스를 개발하고 방문자에게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또한 차별화된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Korea had had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in August, 1992, the human exchanges between two nations have developed indefatigably. China has become the second tourism market in Korea on the heels of Japan in 2002. As well, China is the unique market with a rapid growth in Korea as a foreign tourism marke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to develop the measurement scale and to segment the Chinese group travelers based on factors of the benefits sought by examining what they perceive as the important factor when they travel in Korea (2)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among the segmented groups based on their benefits sought (3) to suggest the actual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rket. For the data collection,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he respondents were the Chinese group travelers who were waiting the returning flights at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Each respondent answered total of 34 questions and total of 246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data, researcher has conducted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cross analysis using SPSS Window Ver. 10.0.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measurement scale with 20 items about the benefits sought of the Chinese group travelers was developed. This scale was based on Milman's three ego states(Parent ego state, Adult ego state, and Child ego state), which have affected the destination choice. After the factor analysis, six factors were found: one, company satisfaction factor, in Parent ego state dimension, two factors in Adult ego state dimension which are traveling convenience factor and traveling expenses factor, and three factors in Child ego state dimension which are curiosity factor, opportunity of learning factor and tourism fascination factor. Using these 6 factors of their benefits sought, the researcher has segmented the Chinese group travelers into four markets by conducting cluster analysis. Those 4 marke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adult ego preference group is sensitive on traveling convenience and traveling expenses. Second, the parent ego preference group is responsive to perceptions of their family or company. Third, the general group shows no special preferences in significant level. Fourth, the child ego preference group is considering the actual tourism contents such as Korean society, natural environment, history, culture and so on.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h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segment and position the target market because they have different desires and wants as well as different benefits sought.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tour courses, provide the diverse opportunities that help to establish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to secure for the future demand.

      • 추구편익에 따른 관람형스포츠관광객 시장세분화와 선택속성, 행동의도간의 관계 연구 : 전국체육대회 럭비경기 관람객을 중심으로

        신동호 청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In this study, we wan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spectator tourists by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 benefits that they are pursing and what segment of the market their pursuit falls into. There is a need to develop different approaches for each sub-market based on the link between market segment and tourist intention. We performed a verification analysis based on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99th National Sports Festival's rugby audience. In this study, we used 12 types of benefits as variables which a sports spectator tourist may select. After analysing their selection of those 12 types, we derived three categories. The three categories were "sports experience", "escape from daily life" and "social interaction". A cluster analysis of responses in those three categories generated a total of four tourist groups: the Escape from Daily Life group, the Social Interaction group, the Sports Experience group, and the Compound-Interests group.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linked interests among the sports spectator tourist groups, based on their preferences.Testing the second hypothes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udience participation of the different sports tourist groups. This does not indicate that Sports Spectator Tourists will not take part in connected tourist opportunities, but that there will be no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the Sports Spectator Tourist groups in those tourist opportunities.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strength of attraction and the quality of entertainment offered by the linked tourism opportunities selected by the audience. These survey results expose additional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관람형스포츠관광객을 대상으로 그들의 추구편익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시장 세분화를 통해 관람형스포츠관광객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세분 시장별 연계관광 선택속성과 행동의도에는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각 세분 시장에 맞는 차별화된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제 99회 전국체육대회 럭비 관람객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총 12개의 관람형스포츠관광객 추구편익 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총 3개의 요인으로 묶였고, 도출된 요인은 ‘스포츠체험’, ‘일상탈출’, ‘사회교류’라고 명명하였다. 도출된 3개의 요인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총 4개의 집단(일상탈출 추구집단, 사회교류 추구집단, 스포츠체험 추구집단, 복합편익 추구집단)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결과 추구편익에 따른 관람형스포츠관광객의 세분 집단 간 연계관광 선택속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가설인 관람형스포츠관광객 세분 집단간 행동의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람형스포츠관광객이 관광행동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닌 집단 간의 차이가 없다는 의미로 보여 진다. 마지막으로 연계관광 선택속성 요인 중 매력성 요인과 유희성 요인이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언급하였다.

      • 관광경험이 추구편익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지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관광경험이 추구편익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서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관련 개념을 정의한 후 회귀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관광경험과 추구편익의 선택 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독립검증 T-test와 두 집단 이상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인 ANOVA를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관광경험과 추구편익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경험이 추구편익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경험의 신기성이 추구편익의 학습성에 영향을 미치고, 관광경험의 신기성, 자유성, 재충전성이 일탈·휴식성에 영향을 미치며, 관광경험의 재충전성, 자유성, 사회성이 가족·여유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경험의 사회성, 신기성이 교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이전에 경험했던 관광경험의 요인에 따라서 추구하는 편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설: 추구편익과 만족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추구편익이 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구편익 중에서 가족·여유성과 교류성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관광활동에서 관광지를 선택할 때 가족과 함께 여유를 누리며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류에 중점을 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설: 관광경험과 만족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이전에 신기성, 자유성, 재충전성, 사회성을 가진 관광객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상품을 개발함에 있어 관광객들은 독특하고 일상에서 느끼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며 충분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상품을 기대하므로 이에 부응하는 상품을 개발하여야만 관광객에게 만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는 다음의 사항들을 제시할 수가 있다. 첫째, 추구편익 요인의 학습성에는 신기성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므로 관광지에서는 볼거리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관광상품으로는 유적지나 일상에서 할 수 없는 것들을 체험할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일탈·휴식성에는 신기성, 자유성, 재충전성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므로 관광지에서 자유롭게 휴식을 하고 새로운 것을 체험하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가족·여유성에 자유성과 사회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관광상품 중에서 관광객이 자유롭게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교류성에는 신기성과 사회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흥미롭고 새로운 것을 체험함에 있어서 현지인과의 교류를 통한 체험관광을 할 수 있게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effects of tourist experiences on pursued benefits and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the study defined related concepts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ested research hypotheses through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es. The hypothese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factors of tourist experience and pursued benefit among people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using T-test, an independent test which determines such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nd using ANOVA, one-way variance analysis to know such differences among more than three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below ; First hypothesis : Relations between tourist experience and pursued benefit were examined using multi-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at the former partially influenced the latter. Uniqueness as one of the factors of tourist experience had an effect on learning as one of the factors of pursued benefit, uniqueness, freedom and refilling as some factors of such experience simultaneously on diversion and rest as some factors of such benefit and refilling, freedom and sociability as other factors of the experience on family and leisure as other factors of the benefit, and sociability and uniqueness in part of tourist experience on exchange in part of pursued benefit. This suggest that factors of tourist experience made previously have effects on those of pursued benefit. Second hypothesis : Relations between pursued benefit and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rough multi-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ursued benefit partially affected satisfaction. Specifically, family. leisure and exchange belonging to the factors of pursued benefit influenced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in choosing tourist places, people consider more important taking leisure with their family and making exchanges with strangers. Third hypothesis : Relations between touris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using multi-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at uniqueness, freedom, refilling and sociability as some factors of tourist experience as deemed important by tourists have effects on those tourists' satisfaction. This makes clea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ourist products with which tourists can feel and have unique experiences as never made before and take a rest sufficiently. Fully considering the result mentioned above, the researcher would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uniqueness as one of the factors of tourist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learning as one of those of pursued benefit. In tourist places, sites and programs having informative, educational effects need to be developed. Tourist products should include places of relics and remains and other things that can never be face in daily life. Second, uniqueness, freedom and refilling as some factors of tourist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diversion and rest as those of pursued benef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provide rests with no restriction and unique experiences to touris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some factors of tourist experience, freedom and sociability and those of pursued benefit, family and leisure, suggest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ourist products that make it possible for tourists to take a leisure with freedom. Finally, uniqueness and sociability as mentioned abov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exchange as one of the factors of pursued benefit.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variety of programs that allow tourists to have exchanges with residents of tourist places in experiencing interesting and unique things.

      • 회원제골프장에서의 추구편익이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유호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etter consumption ac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benefit-seeking at a golf course with a membership system for the visitors. For this, I intended to clarify the conceptual causal relationship in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variants and would like to suggest basic data for a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golf industry and the activ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through the golf courses with membership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participants of a golf course with a membership system who reside in City of Daegu, Gyungsangbukdo in 2011 and using a random sampling and the self-evaluation, a total of 307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Cronbach?s ? value was calculated to prove the confidence level and the observational factor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feasibility of the organization. The management of the data was performed with a social investigative analysis program, SPSS WIN 18.0 to gain the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e data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purpose and methods of the stud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efit-seeking and consumption behaviors showed that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benefit-seeking, which are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status, promotion of changes of the everyday lives, feeling of achievement, promotion of fellowship, acquisition of information, leisurely activities, and the ecdysis from the everyday liv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consumption behaviors, such as the satisfaction, word of mouth, and revisits. Second, the factor of feeling of achievement in the benefit-seeking according to the general variants of the participants in the golf course with a membership system showed a higher rate in 'men' than in 'women.' The ag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factors. The education level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ecdysis of everyday lives factor from the 'graduate school or more' group. The total income of the househol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factors and the ecdysis from everyday lives factor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6 million won - 8 million won' group. The job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feeling of achievement and promotion of fellowship and the 'administrative/office' group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feeling of achievement. In the golfing experience,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promotion of changes in everyday lives, feeling achievement, leisurely activities, and ecdysis from everyday lives and the group of 'more than 25 rounds every year'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feeling of achievement factor. In the handicaps, all of the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the group of 'low sing (less than 3)'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factor of ecdysis of everyday lives.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benefit-seeking on the satisfaction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consumption behaviors showed that the promotion of changes in everyday lives, acquisition of information, feeling of achievement, ecdysis from everyday lives and the promotion of fellowship had positive effects.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benefit-seeking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consumption behaviors, such as the word of mouth and the willingness to return, showed that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the leisurely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본 연구의 목적은 회원제골프장에서의 편익추구를 조사?분석하여 방문자들이 더욱 나은 소비 행동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변인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개념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회원제골프장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골프산업의 경영효율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1년 현재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에 거주하며 회원제 골프장 참여자들 330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무작위표본추출법과 자기 평가 기재 법을 이용하여, 총 307명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를 검증하려는 방법으로 Cronbach's ?를 산출하였으며, 구성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사회조사분석 프로그램인 SPSS WIN 18.0으로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추구편익과 소비 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추구편익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지위향상, 일상생활의 변화추구, 성취감, 친목 도모, 정보획득, 여가활동, 일상탈피 요인과 소비 행동의 하위요인인 만족, 구전 및 재방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다. 둘째, 회원제골프장에서 참여자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추구편익의 성취감 요인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나이는 모든 요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별에서는 일상탈피 요인에서 ?대학원 이상? 집단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가계 총수입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중에서 일상탈피 요인에서 ?600∼800만 원 미만? 집단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직업에서는 성취감 요인, 친목도모요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중에서 성취감 요인에서 ?사무/행정? 집단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골프경력에서는 일상생활의 변화추구, 성취감, 여가활동, 일상탈피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취감요인 에서 ?연 25라운드 이상? 집단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핸디캡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일상탈피요인에서 ?Low 싱글(3 이하)? 집단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셋째, 추구편익이 소비 행동의 하위요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의 변화추구, 정보획득, 성취감, 일상탈피, 친목 도모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추구편익이 소비 행동의 하위요인 구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획득, 여가활동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스포츠관광객의 편익추구와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강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830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6년 스포츠관광 참여자 중 만 20세 이상 60세 미만 경험자 및 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표집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스포츠관광 유형별로 골프관광객, 동계스포츠관광객, 해양스포츠관광객, 수상스포츠관광객, 항공스포츠관광객 각 200명씩 총 1,000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설문 가운데 응답성이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22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978(97.8%)명의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스포츠관광 유형 파악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검사를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포츠관광객의 편익추구와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관광객들의 심리적, 개인적, 행동적 편익추구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정적, 획득적, 금전적, 사회적 가치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관광객들의 성취주의, 자기중심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관광객들은 감정적, 획득적, 금전적, 사회적 가치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주의 라이프스타일은 금전적 가치, 경쟁주의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적 가치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관광객들의 심리적, 행동적, 개인적 편익추구가 높을수록 고객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관광객들의 성취주의, 자기중심, 경쟁주의, 경험주의 라이프스타일 모두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관광객들의 감정적, 획득적, 금전적, 사회적 가치 모두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스포츠관광객들의 편익추구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고객들이 느끼는 가치를 통해 스포츠관광지의 이미지와 환경,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좀 더 많은 관광객 확보와 유치를 위해서는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방법으로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스포츠관광객들의 다양한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세분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성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 인한 매출 향상 및 경영 개선은 물론, 고객들과의 문제점 개선 및 이미지 제고, 다양한 관광객들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ncludes those who participated in sports tourism and those who were the members of sports tourism clubs in 2006 aged between 20 and 60. Using convenience sampling,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otal 1,000 subjects were sampled consisting of 200 each in the categories of sports tourism, which include golf tourists, winter sports tourists, marine sports tourists, water sports tourists, and air sports tourist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2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due to insincere answers or partially omitted responses. As a result, total 978 questionnaires(97.8%) were used in the study as valid samples.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ategories of sports touris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Cronbach's α was obtained for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sports tourists' values perceived through benefit sought and lifestyles on their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Those research method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he sports tourists benefited their psychological, personal, and behavioral sought in a higher level, they all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emotional, acquisitive, monetary, and social values. Second, the sports tourists with the achievement-oriented and self-oriented lifestyle all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emotional, acquisitive, monetary, and social values. And their experiential lifestyle and competition-oriented lifestyl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ly on the monetary values and social values, respectively. Third, the more they benefited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personal sought, the higher their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rth, the achievement-oriented, self-oriented, competition-oriented, and experiential lifestyle of the sports tourists all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customer satisfaction. And fifth, the emotional, acquisitive, monetary, and social values of the sports tourists all also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customer satisfaction. In short, it's suggested that the image, environment, and service level of sports tourism destinations can be improved by making use of the values that sports tourists feel according to their benefit sought and lifestyles. It's also required to manage them in a scientific and systematic manner to attract and maintain more tourists. The segmented service of lifestyles should be provided to meet the diverse needs and demands of sports tourists. It will help increase sales, improve management, solve customer issues, enhance the image, and attract more diverse tourists.

      • 전통시장 고객의 추구편익이 선택속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영월서부시장을 중심으로-

        정해운 동양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0

        Since ancient times, the market has played its role as a scene of intense life for ordinary people and a place of exchange and meeting. In addition, the market has played a unique role and function in various areas such as the economy, culture, and society of the region. However, rapid changes in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consumer paradigm have caused traditional markets to lose their most important economic functions. In addition, the market has been weakened sequentially in culture and social function. Meanwhile,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could not leave the local economy and traditional markets to simple market logic and capital logic. Therefore,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Act on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Markets in 2010 and implemented various support policies and revitalization measures. As a result, sales and customers in traditional markets increased again. Along with this, the roles and functions of traditional markets were developed to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the region. However, in 2020, traditional markets faced a moment when they had to think about their survival amid new changes and rapidly changing distribution environment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customer's pursuit benefits of visiting traditional markets affect the nature of choice and behavior. And through this, we tried to draw up measure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Literature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hypothesis is as follows. 'The customer’s pursuit benefit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lection attributes.' The customer’s pursuit benefit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ustomer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o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visiting Yeongwol Seo-bu Market through the self-contained questionnaire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and tourists who had visited Yeongwol Seo-bu Market.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0 days, including weekends and weekdays, from 1 December to 20 December 2019. Of the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75 were retrieved. 232 effective samples were analyzed, excluding unfaithful answers. Finally,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are deriv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in Hypothesis 1, social exchange pursuit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laceness and additiveity. The pursuit of cultural experience has also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erchandise, convenience, and addition. Second, in hypothesis 2, cultural experience pursuit, social exchange pursuit and rest pursuit were all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Third, for hypothesis 3, only one factor of merchantability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Finally,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depending on the customer's residence. As a resul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cultural experience pursuit, rest pursuit, merchantability, convenience, and behavioral intentions depending on the residence. The above analysis results der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venience and information for tourists. In addition, investment is needed for young people and young local residents who are future customers. Second, active investment is needed to increase location, merchantability, convenience, and addedness. Third, efforts to revitalize the market have been paying off and should therefore be maintained continuously. Fourth, only one commodity was adopted in the influence of selection attributes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Therefore, we need to simultaneously recognize the development and limitations of traditional market products and also supplement the remaining factors that have not been adopted. Finally,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was discovered through a difference analy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Yeongwol Seo-bu Market into a market for tourists in the future. It is true tha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due to the constraints of the survey period and the dependence on questionnaires. However, it will not be difficult to provide some basic data for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예로부터 시장(市場)은 서민들의 치열한 삶의 현장이자 교류 및 만남의 장(場)으로 그 역할을 수행했고 또 그 지역의 경제, 문화,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유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대규모 자본을 중심으로 유통환경과 소비패더다임의 급격한 변화는 전통시장으로 하여금 시장(市場)의 가장 중요한 경제기능을 잃게 했고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문화와 사회기능이 약화·소멸되는 악순환이 가속화되었다. 한편, 지역경제와 소상공인의 근간인 전통시장을 단순히 시장논리와 자본논리로 방치할 수 없던 국회와 정부는 2010년 전통시장 보호특별법을 제정하고 다양한 지원정책과 활성화 방안들을 수립하고 시행하였다. 그 결과, 지난 10년 동안 정책적 지원효과로 내리막길을 걷던 매출과 방문고객 수가 반등하고 전통시장의 역할과 기능도 지역의 고유특성과 문화를 반영하며 재도약·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 전통시장은 새로운 변화와 급변하는 유통환경 속에서 새롭게 생존을 고민해야 하는 순간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추구편익이 선택속성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 영월서부시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추구편익과 선택속성,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전통시장과 영월서부시장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실증연구는 연구모형과 가설설정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은 크게 영월서부시장을 찾는 고객의 추구편익, 선택속성, 행동의도 등 3개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모형을 토대로 가설설정을 진행하였다. 연구가설은 ‘영월서부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추구편익은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월서부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추구편익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월서부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선택속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세웠다. 실증조사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영월서부시장을 찾는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는 영월서부시장을 방문한 적이 있거나 방문한 소비자 및 관광객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주말과 주중을 포함한 20일 간 실시하였다. 배포된 300부의 설문지 중 275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 답변을 제외한 232부의 유효표본을 분석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가설 검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추구편익이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가설 1'의 경우 사회적 교류추구가 장소성과 부가성에 유의한 영향을, 문화적 경험추구가 상품성과 편의성, 부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구편익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가설 2’의 경우 문화적 경험추구와 사회적 교류추구, 휴식추구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속성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가설 3’의 경우 상품성 한 가지 요인만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월서부시장 고객의 거주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차이분석에서 문화적 경험추구, 휴식추구, 상품성, 편의성, 행동의도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객의 다양한 인구특성은 관광객을 위한 편의와 정보제공 등의 사업추진필요성을 그리고 미래고객인 젊은 지역주민을 위한 투자필요성을 시사했다. 둘째, 추구편익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선택속성(장소성, 상품성, 편의성, 부가성)에 대하여 적극적인 투자와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추구편익 모든 요인으로부터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행동의도는 그동안의 영월서부시장 활성화정책과 노력이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넷째, 선택속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품성 하나만이 채택되었는데 영월서부시장 상품의 발전성과 한계를 동시에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또 채택되지 않은 나머지 요인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차이분석을 통해 확인한 영월주민과 관광객의 차이점은 영월서부시장이 관광객 대상의 강점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더욱 적극적으로 관광객 대상의 시장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12월로 한정지은 조사기간과 설문지에 의존한 조사로 일부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선행연구와 함께 영월서부시장 고객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 연구가 병행된 연구로써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제공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주요자료로 제공하게 되는 등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國立公園 探訪者 追求便益에 따른 市場細分化 硏究 : 北漢山 國立公園을 中心으로

        강재호 경기대학교 관광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의 이용활성화를 모색한다는 차원에서 국립공원 탐방자시장을 추구편익 기준 중심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세분시장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한 표본추출 방법으로는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중 편의(임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였고, 조사대상 및 지역은 북한산 국립공원 도봉산지구 매표소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하려는 1회이상 북한산 국립공원 방문 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 457부의 유효표본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설문지는 방문행태에 관한 6문항, 탐방자의 추구편익 측정변수 38 문항, 인구통계적 특성에 관한 8문항, 총 5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 통계분석 프로그램)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그리고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8개의 측정변수를 통해 추구편익 속성을 대표하는 7개 편익요인, 즉 '일상형', '성취형', '정서함양형', '자아개선형', '견학형', '타인지도형', '교제형'을 추출하였다. 또한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ble : ANOVA)을 통해 각 요인과 인구통계적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성별은 타인지도형, 견학형, 자아개선형, 성취형 편익, 연령에서는 자아 개선형, 정서함양형 편익, 학력에 있어서는 자아개선형, 교제형, 타인지도형, 견학형, 탈일상형 편익에서, 그리고 직업에서는 자아개선형, 정서함양형 편익에서 각각 10% 이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방문행태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방문빈도에서는 성취형, 정서함양형, 견학형, 교제형 편익에서, 동반자수에서는 성취형, 정서함양형 편익에서, 소요시간에서는 정서함양형, 자아개선형 편익에서 각각 5% 이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술한 추구편익 기준 탐방자 시장의 분석을 토대로 세분시장별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일상 편익추구형집단은 건강증진과 일상적인 일상생활에서의 탈출을 추구하며, 자연경관이 뛰어난 장소를 찾는다. 둘째, 성취 편익추구형 탐방자집단은 혼자서 매일 방문하면서 도전적이며, 새로운 활동과 다양한 경험을 추구한다. 셋째, 정서함양 편익추구형집단은 매일 1-2명의 짝을 지어 방문하는 50대 이상의 가정주부로서 여유로운 시간을 즐기며, 정서적 안정을 추구한다. 넷째, 자아개선 편익추구형집단은 중년층의 중견 사회인으로 자연과의 접촉을 통하여 지난날의 생활을 점검하고, 자기변화를 추구한다. 다섯째, 견학 편익추구형집단은 가정주부로서 매일 동반자와 함께 방문하며, 문화유적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자연친화적인 생활을 추구한다. 여섯째, 타인지도 편익추구형집단은 고학력을 가진 장년층으로 여유시간에 가끔 혼자서 방문하며, 그 동안의 사회경험을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봉사지향적 활동을 추구한다. 일곱째, 교제 편익추구형집단은 청년층의 경우, 직장동료, 친구 등으로 구성된 단체집단이며 친목도모를, 노년층의 경우는 타인과의 교제를 통해 소외감 해소를 추구한다. 학력이 낮을수록 사회적 교제에 강한 욕구를 보인다. 추구편익 측정변수를 기준으로 시장세분화하여 세분시장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국립공원 이용활성화를 위해서는 추구편익에 기초하여 선정된 세분시장별 운영관리전략 또는 마케팅전략을 개발하여 탐방자에게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way to activate the utilization of national parks through subdivision of the markets on the basis of convenience and pursue of national park visitors an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rket subdivided. This study has collected dat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argeting those who have visited Pukhansan National Park more than once. The survey was conducted near the ticket office at the entrance of Tobongsan Area of Pukhan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as many as 457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gained.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study is composed of 52 questions in total including 6 questions on the type of visit, 38 questions on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visitor's benefits sought and 8 questions on personal status.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inspection, cause analysis and variable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on the gathered data by using an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called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WIN). As a result of cause analysis, seven causes of convenience representing the attributes of the benefits sought were gained through the 38 measurement variables such as 'ordinary type', 'achievement type', 'emotional cultivation type', 'self improvement type', 'study and observation type', 'guiding type' and 'acquaintance type'.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auses and variables in personal status was conducted using the analysis of variable (ANOVA). This shows statistical similarity within the range of 10% in the guiding, study, self-improvement and achievement types for sex classification and self-improvement, acquaintance, guiding, study and get-out-of-ordinary life types for school career classification, self-improvement and emotional cultivation for occupation classificat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ach cause and visitation type shows similar differences within the range of 5% respectively in achievement, emotional cultivation, study and acquaintance types for the visitation frequency, achievement and emotional cultivation for the number of companions and emotional cultivation and self-improvement for time-spe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divided market are summarized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visitor's benefits sought. First, the get-out-of-ordinary-life type seeks health improvement and escape from ordinary and routine daily life. Second, the achievement type visits alone everyday and is aggressive in seeking a variety of experiences. Third, the emotional cultivation type, composed of housewives in their 50s or older visiting in pair everyday, enjoys leisurely hours and seeks emotional stability. Fourth, the self-improvement type, consisting of backbone middle age group, reviews their past through the contact to nature and seeks self-change. Fifth, the study and observation type, consisting of housewives visiting with their companions, is highly interested in cultural remains and seeks nature friendly life. Sixth, the guiding type, being an adult group with a high-class educational background, occasionally visits the park alone and seeks service-oriented activity displaying the leadership on the basis of their past experience in society. Seventh, the acquaintance pursuing type is a youth group of co-workers and friends which aims at promoting their friendship or an old-age group which seeks relieving the sense of alienation through the association with others. The lower the school career, the more desire they shows for social association. As a consequence of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divided market which has been conducted on the basis of measurement variables of benefits sough, it is desirable to provide visitors with various opportun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or marketing strategy for each selected and subdivided market on the basis of the benefits sought of visitors in order to activate the utilization of national parks.

      • 프로축구 관람형태에 따른 추구편익행동이 관람요인과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상일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829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rsuit-seeking behavior by professional soccer viewing type on viewing factor and selective behavior. For the object of this study, after we arranged the group of professional soccer viewers in Seoul, Gyeonggi, Deajeon and Incheon areas in 2011 and selected 450 people in total that were composed of 282 men and 168 women using cluster random sampling after visiting the home games of 5 baseball clubs, Deajeon Citizen, Seongnam Ilwha, Suwon Samsung, Incheon United and FC Seoul. For the research tool to measure the viewing type, we organized the survey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Chu(2005) and the questionnaire of Kim(2000), Lee(2003) by modification and complement to measure the pursuit-seeking behavior. Also, we composed the questionnaire of Kim(2001) and Lim(2004) by modification and complement to measure the viewing factor and the restructured questionnaire of Kim(2004) to measure the selective behavior by modification and complement based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ddition, we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 Schef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5.0 Program to verify the hypothesis of each variabl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data analysis by these methods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viewing type, pursuit-seeking behavior, viewing factor and selective behavior were partially distinguished. Second,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soccer viewing type, the pursuit-seeking behavior, viewing factor and selective behavior were partially distinguished. Third, it indicated that the pursuit-seeking behaviors of the professional soccer viewers impacts partially on the viewing factor and selective behavior. 이 연구는 프로축구 관람형태에 따른 추구편익행동, 관람요인 및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대상은 2011년 현재 서울, 경기, 대전, 인천 지역의 프로축구 관람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전국의 5개 구단의 대전시티즌, 성남일화, 수원삼성, 인천유나이티드, FC서울의 홈경기를 직접 방문하여 프로축구 관람자를 무선으로 선정 남ㆍ녀 비율을 고려하여 남자 282명 여자 168명 총 450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관람형태, 추구편익행동, 관람요인, 선택행동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각 변인에 가설을 검증하기위하여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t-test,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사후분석(Scheffe),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관람형태, 추구편익행동, 관람요인 및 선택행동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에 따라 관람횟수, 관람유형, 관람좌석에서 유의한차이가 나타났으며 가계소득에 따라 관람횟수, 관람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 일상탈피, 스포츠 경기장요인, 비용요인, 경기상황요인, 위락성요인, 선수요인에서 가계소득에 따라 경기장 요인, 위락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가계소득에 따라 구전의도와 재관람 의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축구 관람형태에 따른 추구편익행동, 관람요인 및 선택행동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람형태의 관람횟수에 따라 일상탈피, 스포츠 체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람형태의 관람횟수에 따라 경기장요인, 촉진요인, 비용요인, 경기상황요인, 위락성요인, 선수요인과 관람유형에 따라 촉진요인, 비용요인, 선수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관람좌석 형태에 따라 위락성요인에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관람형태의 관람횟수에 따라 재관람 의사가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관람유형에 따라 재관람 의사가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셋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추구편익행동이 관람요인 및 선택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상탈피, 스포츠 체험이 높을수록 경기장, 경기상황, 위락성 요인과 촉진, 비용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탈피, 사회적 교류, 스포츠 체험이 높을수록 선수요인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구편익행동의 일상탈피, 사회적 교류, 스포츠 체험이 높을수록 구전의도가 높으며 일상탈피, 스포츠 체험이 높을수록 재관람 의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관람요인이 선택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프로축구 관람요인의 촉진, 비용, 경기상황, 위락성, 선수요인이 높을수록 구전의도가 높으며 비용, 경기상황요인, 위락성, 선수요인 높을수록 재관람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화장품 속성, 화장추구편익, 개인가치 간의 관계

        오천환 경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29

        Customers relate purchasing with specific attributes to get the expected benefits or a more abstract and separate value. For cosmetics, the sought benefits are 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and the benefits or values are demonstrated diversely despite the same use of the cosmetic.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theoretical bases regarding the relation of the attribute of cosmetic, cosmetics sought benefits, each variable of personal values, and develop the research model for confirming the relation of those three entities according to Means-End Chain Model by understanding the chain reaction of cosmetic attribute-cosmetic sought benefit-personal value, in order to discover the customer's conceptional structure of cosmetics and evaluation process, and even further, the theoretical hypothesis is examined through experiments. In this study, the attributes mostly concerned by customers are named as follows: strengthening skin, appropriateness, whitening, product image and additionary service, and we attempt to experiment the manner that these factors influence the cosmetics sought benefits. Moreover, we set up the cosmetics sought benefits as pride, beauty, maintenance of dignity and supplementing weakness, and clarify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personal value.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how the cosmetics attributes influence the cosmetics sought benefits, those who focus on strengthening skin turns out to be seeking for pride, beauty, maintenance of dignity and supplementing weakness, and those who focus more on appropriateness tend to seek for beauty and supplementing weakness. Those who focus on whitening tends to seek for pride, beauty and supplementing weakness, and those who focus on product image seek for pride and supplementing weakness. However, the additionary service attributes are shown to be irrelevant to the cosmetics sought benefits. In other words, the cosmetic product attribute itself does influence the cosmetics sought benefits, while the additionary services such as the situation of purchasing like the atmosphere of stores, kindness of clerks. Hence, for those who purchase cosmetics, it would be much more effective to work more on enhancing the quality of cosmetic product because the benefits are sought by the product itself. Second, as result of the experiment that cosmetics sought benefits affect the personal value, those who prefer beauty and supplementing weakness put more emphasis on the value of forwarding objectional relation, while those who focus on the maintenance of dignity tend to seek for forwarding honor and safety. Third, the chain relation of attribute-cosmetics sought benefits-personal value is divided into 11 categories. Using the standard of each attribute, among the 11 chains, it turns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chain, 'strengthening skin-pride-forwarding honor and safety', 'strengthening skin-beauty-forwarding objectional relation', 'strengthening skin-the maintenance of dignity-forwarding honor and safety', 'strengthening skin-supplementing weakness-forwarding objectional relation'. 고객은 제품을 구매시 자신이 기대하는 구체적인 편익 혹은 보다 추상적이고 개별적인 가치나 목표를 얻기 위해서 편익이나 가치를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속성을 연결시킨다. 화장품의 경우도 고객이 화장에 부여하는 추구편익이나 가치는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같은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그 제품에서 추구하는 편익이나 가치는 개인에 따라 다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화장품 속성, 화장추구편익, 개인가치 각 변수들의 개념과 영향관계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화장품 속성-화장추구편익-개인가치 간의 연결관계(사슬)를 파악함으로써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개념구조와 평가과정을 밝히기 위해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배경으로 화장품에 대한 제품속성, 추구편익, 그리고 개인가치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목적에 설정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피부강화, 적절성, 미백기능, 제품이미지, 부가서비스로 정하고 이들 5가지 요인이 화장추구편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화장추구편익을 자신감, 아름다움, 체면유지, 결점보완으로 정하여 개인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화장품 속성이 화장추구편익에 주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화장품 구매 시 피부강화 속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화장을 함으로써 자신감, 아름다움, 체면유지, 결점보완 편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절성 속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아름다움, 결점보완 편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화장품 구매 시 미백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감, 아름다움, 결점보완 편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이미지 속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감, 결점보완 편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가서비스 속성은 화장추구편익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부강화, 적절성, 미백기능, 제품이미지와 같은 제품자체 속성은 화장추구편익에 영향을 미치지만 매장분위기 등과 같은 구매상황, 판매원 친절, 사은품과 같은 부가서비스 속성은 화장추구편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경우, 서비스적 요소보다는 제품자체의 품질을 통해서 편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화장품 자체 품질에 더욱 더 집중하고 품질향상에 노력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화장추구편익이 개인가치에 주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아름다움, 결점보완 편익을 추구하는 사람은 목표관계지향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신감, 체면유지 편익을 추구하는 사람은 명예안전지향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나타났다. 셋째, 화장품 속성-화장추구편익-개인가치간의 연결관계(사슬)는 총 11개로 구분된다. 각 속성의 평균을 이용한 결과, 11개 사슬 중 ‘피부강화-자신감-명예안전지향’, ‘피부강화-아름다움-목표관계지향’, ‘피부강화-체면유지-명예안전지향’, ‘피부강화-결점보완-목표관계지향’ 사슬이 보다 의미 있고 중요한 핵심 사슬로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