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 國立公園 探訪者 追求便益에 따른 市場細分化 硏究 : 北漢山 國立公園을 中心으로

        강재호 경기대학교 관광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의 이용활성화를 모색한다는 차원에서 국립공원 탐방자시장을 추구편익 기준 중심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세분시장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한 표본추출 방법으로는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중 편의(임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였고, 조사대상 및 지역은 북한산 국립공원 도봉산지구 매표소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하려는 1회이상 북한산 국립공원 방문 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 457부의 유효표본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설문지는 방문행태에 관한 6문항, 탐방자의 추구편익 측정변수 38 문항, 인구통계적 특성에 관한 8문항, 총 5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 통계분석 프로그램)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그리고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8개의 측정변수를 통해 추구편익 속성을 대표하는 7개 편익요인, 즉 '일상형', '성취형', '정서함양형', '자아개선형', '견학형', '타인지도형', '교제형'을 추출하였다. 또한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ble : ANOVA)을 통해 각 요인과 인구통계적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성별은 타인지도형, 견학형, 자아개선형, 성취형 편익, 연령에서는 자아 개선형, 정서함양형 편익, 학력에 있어서는 자아개선형, 교제형, 타인지도형, 견학형, 탈일상형 편익에서, 그리고 직업에서는 자아개선형, 정서함양형 편익에서 각각 10% 이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방문행태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방문빈도에서는 성취형, 정서함양형, 견학형, 교제형 편익에서, 동반자수에서는 성취형, 정서함양형 편익에서, 소요시간에서는 정서함양형, 자아개선형 편익에서 각각 5% 이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술한 추구편익 기준 탐방자 시장의 분석을 토대로 세분시장별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일상 편익추구형집단은 건강증진과 일상적인 일상생활에서의 탈출을 추구하며, 자연경관이 뛰어난 장소를 찾는다. 둘째, 성취 편익추구형 탐방자집단은 혼자서 매일 방문하면서 도전적이며, 새로운 활동과 다양한 경험을 추구한다. 셋째, 정서함양 편익추구형집단은 매일 1-2명의 짝을 지어 방문하는 50대 이상의 가정주부로서 여유로운 시간을 즐기며, 정서적 안정을 추구한다. 넷째, 자아개선 편익추구형집단은 중년층의 중견 사회인으로 자연과의 접촉을 통하여 지난날의 생활을 점검하고, 자기변화를 추구한다. 다섯째, 견학 편익추구형집단은 가정주부로서 매일 동반자와 함께 방문하며, 문화유적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자연친화적인 생활을 추구한다. 여섯째, 타인지도 편익추구형집단은 고학력을 가진 장년층으로 여유시간에 가끔 혼자서 방문하며, 그 동안의 사회경험을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봉사지향적 활동을 추구한다. 일곱째, 교제 편익추구형집단은 청년층의 경우, 직장동료, 친구 등으로 구성된 단체집단이며 친목도모를, 노년층의 경우는 타인과의 교제를 통해 소외감 해소를 추구한다. 학력이 낮을수록 사회적 교제에 강한 욕구를 보인다. 추구편익 측정변수를 기준으로 시장세분화하여 세분시장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국립공원 이용활성화를 위해서는 추구편익에 기초하여 선정된 세분시장별 운영관리전략 또는 마케팅전략을 개발하여 탐방자에게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way to activate the utilization of national parks through subdivision of the markets on the basis of convenience and pursue of national park visitors an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rket subdivided. This study has collected dat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argeting those who have visited Pukhansan National Park more than once. The survey was conducted near the ticket office at the entrance of Tobongsan Area of Pukhan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as many as 457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gained.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study is composed of 52 questions in total including 6 questions on the type of visit, 38 questions on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visitor's benefits sought and 8 questions on personal status.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inspection, cause analysis and variable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on the gathered data by using an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called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WIN). As a result of cause analysis, seven causes of convenience representing the attributes of the benefits sought were gained through the 38 measurement variables such as 'ordinary type', 'achievement type', 'emotional cultivation type', 'self improvement type', 'study and observation type', 'guiding type' and 'acquaintance type'.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auses and variables in personal status was conducted using the analysis of variable (ANOVA). This shows statistical similarity within the range of 10% in the guiding, study, self-improvement and achievement types for sex classification and self-improvement, acquaintance, guiding, study and get-out-of-ordinary life types for school career classification, self-improvement and emotional cultivation for occupation classificat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ach cause and visitation type shows similar differences within the range of 5% respectively in achievement, emotional cultivation, study and acquaintance types for the visitation frequency, achievement and emotional cultivation for the number of companions and emotional cultivation and self-improvement for time-spe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divided market are summarized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visitor's benefits sought. First, the get-out-of-ordinary-life type seeks health improvement and escape from ordinary and routine daily life. Second, the achievement type visits alone everyday and is aggressive in seeking a variety of experiences. Third, the emotional cultivation type, composed of housewives in their 50s or older visiting in pair everyday, enjoys leisurely hours and seeks emotional stability. Fourth, the self-improvement type, consisting of backbone middle age group, reviews their past through the contact to nature and seeks self-change. Fifth, the study and observation type, consisting of housewives visiting with their companions, is highly interested in cultural remains and seeks nature friendly life. Sixth, the guiding type, being an adult group with a high-class educational background, occasionally visits the park alone and seeks service-oriented activity displaying the leadership on the basis of their past experience in society. Seventh, the acquaintance pursuing type is a youth group of co-workers and friends which aims at promoting their friendship or an old-age group which seeks relieving the sense of alienation through the association with others. The lower the school career, the more desire they shows for social association. As a consequence of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divided market which has been conducted on the basis of measurement variables of benefits sough, it is desirable to provide visitors with various opportun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or marketing strategy for each selected and subdivided market on the basis of the benefits sought of visitors in order to activate the utilization of national parks.

      • 성향 분석을 위한 웹 기반 메시지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강재호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xisting personalization have been collect information of the site users and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to users. But, it couldn't acquire the information of other sites' users. In other words, these methods have been capable of personalizing through information collected from one's own site only. Therefore, in the case to collect the various information as well a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one's own site, it will be unsolvabl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for getting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from other sites. And we implement the system for requesting the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related to the users on the sites offering the reference path, then can track and manage the transmitted messages. This system can provide and request data between many web servers, and collects and analyzes more data related to the user, and can applying the data to a targeted marketing. 국문요약부분 기존의 개인화는 자기 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용자에게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화는 자기 사이트가 아닌 다른 사이트에서의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자기 사이트에서 수집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개인화가 가능하나, 자기 사이트에서 수집된 정보뿐만 아니라 더욱 폭 넓은 정보를 수집해야 할 때, 기존의 개인화 방법은 이를 해결 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사이트에서 수집된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참조경로를 제공한 사이트에 해당 이용자에 대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요청하고, 전송된 메시지를 추적ㆍ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 및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다수의 웹 서버들 간에 데이터를 요청, 제공 할 수 있으며, 이용자에 대한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ㆍ분석하여 타켓화된 마켓팅에 활용할 수 있다.

      • 고온 공기 공급에 따른 액체연료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姜載昊 명지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예열된 고온공기를 산화제로 하여 연소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재 진행중인 많은 연구들에서 축열소각로 및 EGR 시스템과 같이 배기가스를 재순환 할 경우 산소농도가 희석됨에 따라 연소 안정성은 저하되지만 고온 공기를 이용한 연소의 경우 연소강도가 증가하게 되어 안정성이 증가하며 공기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화염 강도 및 연소 영역을 넓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열선을 이용한 예열 공기를 산화제로 사용한 액체연료의 연소 특성을 알아보았다. 고온 공기를 공급하였을 경우, 화염 강도(Intensity)가 증가하여 실제 공기량이 이론 공기량 보다 적어도 안정된 고온 영역의 온도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공급공기 유량이 적고 공기 온도가 상온일 경우가 고온 공기에 비해서 화염온도는 높지만, 공기량이 증가하면서 화염온도는 상온 공기의 화염온도가 고온공기의 화염온도와 비슷하거나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공기량과 공기온도가 증가할수록, 화염 강도는 강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고온에 의한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반응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고온공기에 의하여 액체연료의 증발이 촉진되어 나타나는 결과라 볼 수 있다. 또한 고온 공급 공기에 의하여 연소실을 적용하였을 경우, 연소실 내의 온도분포가 전체적으로 고온 균일하고 일산화탄소(CO)의 발생을 다량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온에서 발생하는 질소 산화물(NOx)의 발생은 비록 수치상 적은 양이지만, 상온에서의 화염일 경우에 비해 증가하였다. In this study, an experiment on the pre-heated air combustion with oil fuel is performed. According to many studies, it is known that when the emission gas is recirculated as in the regenerative furnaces and EGR systems, the stability of combustion is reduced due to the dilution of oxygen in the air. However, it is also known that, with the use of pre-heated air, the flame intensity and combustion region can be extended due to increase of the combustion intensity and the air flow velocity.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liquid fuel combustion with pre-heated air using a heating coil. With high-temperature air, although real air flow rates are less than stoichiometric air flow rates, stable distribution of high-temperature region is obtained by increase of flame intensity. The flame temperature of reference is higher than preheated air under small air flow rate but air flow rate is increased, flame temperature of pre-heated air is higher than reference. As the flow rates and air temperature is increased, the flame intensity is also increased since air pre-heating affects not only chemical responses of fuel and oxygen but also evaporation of liquid fuel. When pre-heated air is introduced in the chambe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chamber is more uniform in a high level. CO emission is decreased, but NOx emission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flame in a reference temperature, although the amount is small.

      • 住生活 實態調査를 통한 共同住宅의 可變型 住戶 平面計劃에 관한 硏究

        강재호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0년대 주택문제 해결을 위해 아파트라는 주거 형식을 도입한 지 30여년이 경과해 왔으며, 그 비중은 점차 증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공동주택은 우리에게 새로운 주거양식의 획일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즉 주생활 요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없이 과거의 단편적인 경험에 의존하여 평면구성이 면적에 따라 몇가지 유형으로 한정된 단위평면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주거계획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거주자의 주생활에 대한 실태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무비판적이고 획일적인 계획 및 설계가 이루어져서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나 변화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국내외 기존의 주택계획 및 설계방법상에서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 둘째, 새로운 주생활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가변형 아파트 거주자들의 주생활 실태조사를 통해 다양한 주생활 요구나 가족의 Life Cycle 변화에 관련된 가변요인을 찾아내어 이를 통합하는 데 있으며, 셋째, 주생활의 다양성과 가족의 성장 및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공동주택의 가변형 주호평면계획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1) 가변성에 대한 개념정립과 국내외의 다양화와 변화에 대응한 평면형들에 대한 그 설계방법 및 평면의 특성을 가변성(Flexibility)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2) 주생활 실태조사 분석으로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고, 유형화(Pattern) 과정을 통해 새로운 가변형 주호평면계획에 활용하며, 3) 이러한 국내외 가변형 주호평면분석과 실태조사 분석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가변형 주호평면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생활과 공간과의 대응관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공·사적 영역에 따른 주생활 행위, 가구, 주의식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적영역인 LDK 공간에서 거주자들의 다양한 개성에 따른 주요구에 대응 할 수 있도록 공적영역의 자유로운 분절이라는 가변성의 고려가 요구되며 개설이 모두 침실로 확보될 경우 공적행위를 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DK 공간계획이 요구된다 하겠다. 2) Life Cycle에 따른 주호의 실사용 실태를 살펴보면 비취침실인 자녀놀이방 및 공부방, 빈방, 타실의 가구만 있는 방, 창고용도로 사용되는 방 등이 나타나고 있는데 자녀실 분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고 실사용의 적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적영역에서의 실상호간의 가변부분 설정에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3) 공적공간인 거실의 확립과 사적공간에서 안방을 확립하고자 하는 주생활상의 유형에서는 거실과 안방 상호간의 가변성 외에 다른 개실과의 가변성이 보다 요구된다. 4) 공적공간인 거실을 확립하고자 하며 공적행위 일부가 습관상 안방에서 이루어져 안방의 면적을 확대하고자 하는 주생활상의 유형에서는 거실로의 확대를 요구하지 않아 안방과 거실과의 가변성보다는 안방과 다른 개실과의 가변성이 요구된다. 위에서 분석한 결과들을 토대로 주생활 변화를 고려한 40㎡, 60㎡ 규모의 가변형 주호평면계획을 제시하였다. The apartment has been introduced for 30 years as a new housing life style to solve the housing problems in 1990s, and it becomes more important than ever.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ement, the apartment housing resulted in the uniformity of housing life style. Without the systematic research on housing life demands and based only on the previous superficial experiences, the plan does not escape from the type of unit plan restricted to only a few style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areas. The actual survey on the life styles of residents which is the essential point for the housing plan has not been performed and the resulting uniformity plan and the drawings could not consider the various demands of the residents appropriately. In this paper we firstly analyze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previous methodologies on housing plan and drawings for further applications. Secondly, to understand the possibilities of the new housing life, we find and unify the flexible components concerned with the changing life cycle of family members and housing life demands through the actual survey on housing life of flexible apartment residents. Then this paper proposes the planning of flexible unit plan in apartment housing which can accomodate the various housing life and the growing and change in family members. For these purposes, 1) we define the concept of flexibility and based on the concept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wing method and plan for housing which can accomodate the variations and changes, 2) we understand the various demands of the residents with the analysis of the actual housing life survey, and apply the results to the planning of new flexible unit plan through the patternization process, 3) we propose a planning of new flexible unit plan based on the above analyses of the flexible unit plan and actual survey. The result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problems arising in the use of the space in housing life are as follows. 1) Consideration of the flexibility in LDK space, such as free divisions of public space, is needed to accomodate the various housing demands of the residents. And the DK space planning which can accomodate the public activity more actively is needed, if all rooms are used as bedrooms. 2) The actual use of non-sleeping rooms shown in survey includes children's play room, study room, empty room, room with only furniture and storage room, etc. And the careful consideration on establishing flexible components between rooms in private space is needed for the devision of children's rooms and to make the use of rooms resourceful. 3) For the housing life style where the living room is independently maintained as public space and master room as private space, the flexibility between living room and the ohter rooms are more needed than the living room and master room. 4) For the housing life style where the living room is independently maintained as public space and a part of public acts are done in master room, the flexibility between master room and the other rooms are more needed since the extension of the master room is needed not affecting the area of the living room.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ses, we propose the planning of flexible unit plan.

      • 원심펌프 내부유동장에 관한 수치해석

        강재호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심펌프의 내부 임펠러에서의 완전3차원, 비압축성, 난류 점성유동장에 대한 해석을 위해 SIMPLE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유동해석을 행하였다. 본 연구는 터보기계와 같이 복잡한 형상에 대해 좌표변환함수를 도입하였고 난류유동장 해석을 위해 표준 k-ε 난류모델 및 벽함수를 이용하여 터보기계를 해석할 수 있는 독자적인 유동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계산방법에 의해 연구대상이 되는 임펠러의 실제 형상인 날개수 5개의 경우와 피치 간격을 반으로 줄인 날개수 10개의 경우에 대하여 수치해석하고 이로부터 B-B면과 H-S면 중간부근에서의 절대속도에 대한 유선과 속도백터를 고찰하였다. 날개수가 5개인 경우 100, 150% 유량조건에서는 압력면 중간정도에서 역류가 발생하였으나, 동일한 유동조건에서 날개수가 10개인 경우 유동해석결과에 의하면 위와같은 임펠러의 압력면 중간에서 나타나는 역류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로부터 임펠러의 설계유량이 작게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날개수 5개의 경우 유량이 100%일 때 임펠러 출구에서 과도한 역압력구배로 인하여 디퓨져내에서의 유동박리가 발생하였으며 유량이 200%일때는 역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날개수 10개인 경우에도 날개수 5개인 경우와 유사하게 디퓨져에서 역류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디퓨져에서의 역류는 피치간격이나 유입유량보다 깃 출구각의 크기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보다 나은 설계를 위해서는 임펠러 출구 형상을 수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연구의 대상인 원심펌프의 보다 나은 설계를 위해서는 설계유량에 대한 새로운 고찰 뿐 아니라 임펠러 형상자체에 대한 재설계가 뒤따라야 함을 알 수 있다. With the assumption of the steady three-dimensional incompressible turbulent flow in the centrifugal pump impeller, the time averaged Navies-Stokes equation is solved using SIMPLE algorithm. The developed code adapts the body-fitted coordinate, FVM and standard k-e model with the wall function to calculate the turbulent flow field. The calculations are performed with two types of impeller. The one has five blades which is the original design configuration, and the other has 10 blades which has the half pitch angle of the former. The calculation results of two case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find the flow field in the impeller passage. The result of 5 blade impeller at the normalized flow rate of 1.0 shows the flow separation near the pressure surface and the outlet of the impeller, which indicate that the designed flow rate of the present impeller is determined to be lower than it needs. There is no separation in the result of 10 blades impeller at all flow rates, but the separation at the outlet of the impeller is still shown. This verifies that the outlet blade angle should be modif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impeller. It is concluded that the modification of the designed flow rate and the redesign of the impeller geometry are essential to have the higher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present centrifugal pump.

      • 여행업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 조절변수 검증을 중심으로

        강재호 경기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감정노동은 주로 서비스직 종사자가 고객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조직과 고객이 기대하는 감정표현 규범을 준수하려는 노력 및 행위를 의미하며, 고객과의 대면 접촉 또는 음성 교류를 통하여 수행된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에 속하는 여행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심리적 웰빙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양 변수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들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감정노동의 결과를 분석한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또는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만 관심을 집중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 감정노동의 결과변수로서 심리적 웰빙을 채택한 이유는 이 개념이 사회복지학이나 심리학에서도 초보적인 수준에서 논의되고 있지만, 삶의 질, 또는 삶의 만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감정노동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분석은 감정노동의 최종적인 결과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질적 내용을 반영하는 고객과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라서 감정노동의 구성성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한다. 둘째, 여행업 종사자들을 고객과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라서 분류한 후에 감정노동과 심리적 웰빙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가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통하여 얻는 분석결과가 기존의 연구에서 대립되고 있는 소외가설과 안면환류가설 중에서 어느 가설을 지지하는지를 파악한다. 셋째, 여행업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변수를 규명한다. 본 연구에서 감정노동의 결과에 조절변수로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려는 변수들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의 질(접촉수준), 감정노동의 수행방식, 역할동일시, 직무자율성 등 직무특성 변수, 자기검색능력, 성격 등 개인특성 변수 그리고 성, 결혼여부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수들이다. 연구과제의 규명을 위한 자료의 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은 국내 일반여행업체 중에서 패키지 투어 상품 부문 매출액 순위 1위에서 5위에 속한 직무 구분이 뚜렷하게 분리되어 있는 여행사 종사자로 제한하였다. 또한 고객과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비교분석을 위하여 고객과의 빈번한 표면적 접촉을 통하여 직무를 수행하는 영업상담직 집단과 직무 수행과정에서 일정기간 동안에 고객과의 심도 있는 접촉을 필요로 하는 국외여행안내원 집단을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 추출은 편의추출에 의하였고, 자료 분석에 사용된 유효표본의 수는 254개(영업상담직 사원이 152명, 국외여행안내원이 102명)이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더미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의 구성성분은 세 가지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감정조절, 감정통제, 감정과장으로 명명하였다. 한편 고객과의 상호작용 질에 따른 감정노동의 구성성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감정노동과 심리적 웰빙 간의 인과관계는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안면환류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고객과의 장기적 접촉을 요하는 국외여행안내원 집단에서 감정노동과 심리적 웰빙 간의 인과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감정노동의 각 구성성분들을 독립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영업상담직 집단의 경우에는 감정조절이 심리적 웰빙에 양(+)의 영향을, 국외여행안내원 집단의 경우에는 감정조절이 심리적 웰빙에 양(+)의 영향을, 감정과장은 음(-)의 방향으로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무특성 변수 중에서 감정노동의 수행방식은 국외여행안내원 집단과 영업상담직 집단에서 모두 감정노동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 역할동일시의 조절 기능은 국외여행안내원 집단에서만 검증되었다. 다섯째, 개인특성 변수 중에서 자기검색능력의 조절역할은 검증되지 못하였고, 성격 특성의 경우에는 다섯 가지 요인 가운데 외향성과 개방성에서만 부분적인 조절역할이 검증되었다. 여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과 결혼 여부 등은 부분적으로 감정노동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감정노동에 대한 향후의 연구는 심리적 웰빙 등 감정노동의 결과변수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으며, 많은 연구들에서 감정노동의 결과가 상반되는 방향으로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질적인 접근의 연구가 더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감정노동의 측정척도 개발에 관하여도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감정노동과 결과변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를 추출하려는 노력은 향후에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재호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기업들로 하여금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만들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재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장기적인 경영전략의 일환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신용평가(주)에서 제공하는 KisValue 프로그램을 통하여 기업의 재무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통계프로그램인 E-views 5.0을 이용하여 패널자료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기업은 경제정의연구소에서 경제정의지수(KEJI)를 이용하여 매년 발표하고 있는 200개 기업 중 2000년부터 2006년까지 4회 이상 선정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종속변수인 기업의 재무성과는 총자산순이익률(ROA), 자기자본순이익률(ROE), 매출액순이익률(ROS)의 재무비율을 이용하였고 독립변수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경제정의지수를 이용한 정량평가를 100점으로 환산하여 이용하였다. 통제변수로는 기업의 위험에 대한 부채비율, 기업의 규모에 대한 자산의 자연로그값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Hausman test에서는 개별특성효과와 독립변수와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함으써 임의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보다는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나타냈다. 패널자료 분석 결과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총자산순이익률과 자기자본순이익률에 대해서 Pooled LS, 임의효과모형, 고정효과모형 모두 유의한 양의 값을 나타냈다. 반면 매출액순이익률에 대해서는 양의 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는 Waddoc & Graves(1997)의 선의경영이론을 부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최근 강조되는 환경문제와 글로벌 시대의 현 상황 속에서 국내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의 장기적인 전략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활동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Rapid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sues in their companies have an interest in mak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dealt with the effects of CSR to the product of financial affairs and the use of it as management strategy. This study used financial data from KisValue program that Korea Investors Service(KIS) provides and analysed panel data using E-views 5.0, statics program. The sample of this study from the Economic Justice Institute, companies use the annual index of economic justice and of the 200 companies from 2000 to 2006 were 4 times more than the selected companies. This study set up financial results - ROA, ROE and RO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establishded CSR as a independent variable that was conversed into 100 point using KEJI, and debt ratio and the scale of company that were presented as natural logarithm in this study as control variable. This study derived a conclusion in Hausman test that fixed effect model is more suitable than random effect model by rejecting hypothesis that there is no corelation between individual, specific effects and a independent variable. In the results of panel data analysis, CSR indicated positive meaningfully for Pooled LS, random effect model, fixed effect model about ROA and ROE. The other side it indicated positive and not meaningful for ROS. As a result, Waddoc & Graves (1997) theory of the partially good management and CSR that affect the financial results were positiv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s the emphasi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global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ompanies in the current situation in order to equip the company's long-term strategy for CSR activities, the need was present.

      • GML 기반의 웹 맵 서버 설계 및 구현

        강재호 建國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since people's use of the Internet is grown up rapidly as a result of spread of the web, the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changing fast. In the field of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eb GIS, which offers the geographic data on the web, also appears to meet the contemporary streams. However, in order to serve reciprocal heterogeneous geographic data in the web-based distributed environment, the standard interface of web GlSs that defines each web service model is needed. OGC(OpenGIS Consortium) supports the interoperability of the existing OpenGIS in the web environment and also proposes the Web Map Server Interface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to approach reciprocal heterogeneous geographic data. Because the Web Map Server interface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defines URL components to process a spatial query on the web, if an URL query is transferred for processing to a server from a client, the result is translated into image and then sent to the web browser. This thesis discuss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Map Server to Serve the distributed geographic data through the web browser using the Web Map Server Interface and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proposed by OGC recently that is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based standard spatial data format. Therefore, clients can approach geographic data through the standard interface of our Web Map Server without other application programs and regardless of kind and location of various GIS sewers.

      • 植民地朝鮮の地方制度

        강재호 東京大學 1999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일본 정부의 압력 하에서 조선의 친일 정권이 실시한 이른바 갑오경장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지방제도개혁의 시도부터 살피기 시작하여, 일본 정부가 한국에 통감부를 설치해 한국을 일본의 보호국으로 삼았던 시기, 그리고 일본 정부가 한일합방을 단행해 통감부 대신에 조선총독부를 설치하여 조선을 일본의 식민지로서 통치하고 있던 시기에 이루어진 지방제도 의 형성, 개정, 그리고 변용을 통시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를 다룬 선행 연구가 한일 양국에서 조금 이루어져 왔지만,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지 점에서 이들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첫째, 지방제도의 개념과 그 구조를 명확히 밝혔다는 점이다. 지방제도는, 국가가 각지에 지방관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서 국가의 의사를 직접 실현하려는 지방행정제도와, 각지에 지방공공단체를 설립하여 국가의 감독 하에서 주민의 부담과 참여로 이루어지는 지방자치제도의 양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런 관점에 서서 지방행정제도와 지방자치제도의 융합관계를 규명하였다. 둘째, 식민지 조선의 지방제도는, 조선시대의 구제도를 답습하는 면도 없지는 않았지만, 여러 면에서 종주국인 일본 지방제도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했다. 즉 조선에서 시행된 지방행정제도와 지방자치제도는 당시 일본에서 시행되던 여러 제도의 영향을 매우 강하게 받고 있었던 것인데, 선행 연구에서는 이 점이 거의 누락되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양자를 서로 연결하면서, 식민지 조선의 지방제도를 사실에 의거하여 매우 담백하게 살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