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 지도를 위한 온.오프라인 혼합형 교수-학습 모형 개발

        정유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에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학생의 수준 차이에서 오는 학습부진 요인을 제거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영어교과의 학습부진은 다음 학년의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에서, 학습부진이 시작되는 초등학교에서 학습부진 예방과 처방에 근원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들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결과를 모형의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항목들을 추출하여 모형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학습부진, 혼합형 학습(Blended Learning)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련된 문헌 자료들을 메타 분석하여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 지도를 위한 온·오프라인 혼합형 수업 모형의 개발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1차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모형을 영어 교육 전문가들의 검토 및 파일럿팅을 통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이러한 목적과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혼합형 교수-학습 모형은 현장에서 학습부진학생 대상 수업을 지원한다. 또한 학습부진학생만을 따로 지도할 수 없는 경우, 수업 전과 후에 온라인 학습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수업 중 일반 학급에서 다른 수준의 학생과 함께 학습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교수-학습모형이 없었다. 이에 학습부진의 원인 해결과 지도방안을 적용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여 지도에 시사점을 주었다. 둘째, 본 연구의 모형은 학습부진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반복학습과 다감각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개발하였고, 학습부진학생들이 흥미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학습부진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시 학습에서 학습 내용을 다시 한 번 반복할 수 있는 ESA 학습법을 적용하였고, 오프라인 학습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에 맞는 활동을 골라 활용할 수 있도록 다감각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모형은 교실에서의 영어 수업만이 아닌 가정에서의 영어 학습도 함께 실현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수업 전 활동과 수업 활동 그리고 수업 후 활동이 연계가 되어, 수업 전과 후에도 학습하는 습관을 기르고 수업 전과 중, 후를 연계하여 한 번 학습한 내용을 수업 중 오프라인 학습에서 활용하여 자신감을 얻고, 다시 한 번 수업 후 평가 및 정리를 통해 내재화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되어 정교화 된 혼합형 교수-학습 모형과 모형을 적용한 지도안의 제시는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에게 영어과 혼합형 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실제 교실 수업에 적용 가능한 혼합형 수업활동과 지도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혼합형 교수-학습 모형의 성공적인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학습부진학생의 수준에 맞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모둠학습실이나 코너 학습을 할 수 있는 영어전용교실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영어 교사의 영어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이해와 관심, 노력으로, 개발한 혼합형 교수-학습 모형이 보다 적극적으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lended learning model for teaching lower leveled student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ir learning failure and run the lower level class. Before developing the model, the questionnaire for analyzing teachers' needs were distributed to 157 prim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were used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model development. Moreover, meta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underachievement, blended learning and teaching-learning model was implemented. After these procedures, the first draft of blended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and i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four specialists involved in teaching English and the piloting to five lower leveled student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lend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lower leveled students is based on ESAS(Engage-Study-Activity-Study) model. The ESAS blend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an support the lower leveled English class and suit their learning with a repeated learning cycle. Once students are engaged in learning and activities, study is further activated and repeated study can reinforce their learning. Considering of the lower leveled students' short concentration, many repeated and dynamic activities in the ESAS blended model can help students' learning. Second, the ESAS blended model helps the lower leveled students learn better by multisensory approach. Their attention sustained through the closely connected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in one class. After the online learning, they study in the offline with multisensory approach again. Third, the ESAS blend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enables the students to study English at home as well as at school. This leads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Finally, the detailed blended learning model and the sample teaching plan enable the teachers to implement the blended learning practically in elementary English class. In conclus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arisen. The onlin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hich are suited for the lower leveled students should be supplied sufficiently. The exclusive classroom for English is needed for the students to use the computer. Most of all the teacher's patience and enthusiasm for lower leveled students are needed.

      • 원어민 보조교사와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 영어 의사소통능력 신장 방안

        지혜숙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원어민 보조교사를 활용한 효율적인 협동수업 내용과 방법을 구안하여 초등학생들의 영여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실 실험 연구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원어민 보조교사와의 효율적인 협동수업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한다. 1.1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이 목적의식을 가지고 실제적인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1.2 교육과정과 관련된 외국의 문학적 요소를 접목시켜 학생들에게 폭넓은 언어 교육 환경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외국의 문화를 이해하여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영어를 사용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안한다. 2. 구안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위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의정부시 관내 B초등학교 6학년 2학급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원어민 보조교사와의 효율적인 협동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아동분석, 교재 분석, 프로그램개발 기준 설정, 원어민 설문 분석 등을 사용하였고, 적용 단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는지 보기위해서 프로젝트 학습법(Project)을 사용하였으며, 개인 설문 조사, 교사 관찰, 학습과정 녹화(video taping), 학습결과물(portfolio), 시험 결과 분석, 교사·학생 수업 일지를 분석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원어민 보조교사는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었고 자기 연수의 기회가 되었으며 학습 방법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인 교사는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신장을 위한 협동수업방법을 모색하여 영어 지도 방법 개선의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학생들은 관심에 따라 학습 주제를 결정하고 활동함으로써 높은 참여도를 보였으며 선행지식을 바탕으로 말하기·듣기·읽기·쓰기의 종합적인 학습을 할 수 있었고 배운 표현을 활용하여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경험을 가지게 되었다. 학생들의 영어능력 신장을 위해 원어민 보조교사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다. 원어민 보조교사들은 우리나라의 교육적환경과 학생들에 대한 이해가 충분치 못하므로 한국인 교사들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원어민 보조교사와의 협동수업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methods that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communicative abilities and explore methods of co-teaching with a native teacher. Specific goals based on the experimental classroom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 an efficient co-teaching program with the native teacher. In order to do this, design a program for teaching according to a textbook analysis to imbue students with a sense of purpose in practical learning. Design a program for students to use English properly in different situations in order to understand foreign cultures, while offering far-reaching implications of language education as well. To solve the problems, the researcher must choose two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 should make a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ve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native teacher based on pre-research and theoretical study. To make this program, use students' analysis and textbook analysis, develop standards for the program, have the students participate in it, observe whether or not the students' communicative abilities have improved.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students' communicative abilities, use a project study, a student questionnaire, and the teacher's observations. Also videotape classes, create a portfolio of the students' work, analyze the test results, and have students and teachers keep journals to record their opinions on each lesson. The native teacher, the korean teacher, and the students all gained something through this program. The native teacher became more concerned with the students and learned more methods of teaching. The korean teacher found efficient ways to teach the students with the native teacher. The students were able to choose the subject they wanted to study which caused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They also combined prior knowledge with newly learned information and integrated this into their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tudents were also able to use the expressions they learned firsthand. For students' English abilities to improve, it's necessary to employ native teachers. It may be hard for the native teacher to understand Korean students and the Korean education environment, so the role of Korean teacher is very important. Based on this study, we can see that co-teaching methods will need to be studied continually.

      • 동화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듣기능력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금미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8

        한글초록: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사회는 지구촌의 세계화, 국제화, 정보화로 인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관광 등 모든 분야에 걸쳐 광범위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영어는 세계 공용어로서의 위치를 더욱 확고히 하였고 이런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3학년부터 영어지도를 시작하였다. 7차 교육과정의 목표는 학생들의 능력, 적성, 흥미에 대한 개인차를 고려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있으므로 초등영어 교육도 아동의 흥미 등을 고려하여 더 나은 교수-학습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에게 영어 동화를 읽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영어와 친해지게 하고 반복적인 영어의 이야기 속에서 영어의 문장과 어휘력을 익히도록 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3학년 2개 학급을 정하고 일반수업과 동화를 활용한 수업을 한 반은 학습흥미도와 영어 듣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실험수업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수업은 아동의 학습 흥미도에서 일반 수업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수업에서 영어 듣기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비교반보다 낮았던 평균이 비교반보다 높아졌으며 집단내 사전 사후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긍정적으로 평가 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초등학교 아동에게 영어 동화를 읽어주면 어린이들이 많은 흥미를 가지고 영어와 친해질 수 있으므로 교실에 영어 동화책을 항시 비치해놓는 것이 좋겠으며 교육과정과 관련된 영어동화 목록을 개발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영어 동화를 읽게 하다면 영어 학습 흥미도 뿐만 아니라 영어 듣기에서도 많은 향상을 보일 것이라는 결론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국어의 어휘력이 어느 정도 자리 잡아 우리 국어를 충분히 이해하는 어린이라면 1학년이라도 영어 동화를 읽게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초록: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we are living in now, a wide spectrum of exchanges are occurring in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society and tourism with the globaliz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computerization of the global village. Accordingly, English has firmly established its position as the universal language of the world, and in this overall stream of the trends, the need for early English education has come to a forefront so that instruction in English has begun to be offered to elementary third graders and younger. The objective of the 7th Curriculum was to maximize the potential of growth for individual learners and the efficiency of education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competence, aptitude and interest among students(Choi Ji-eun, 2001),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should become better teaching-learning situations which captures students interest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familiarize children just admitted to elementary school with English by having them read English fairy-tales, learn vocabulary and to speak sentences by repeating English narratives to test its effects. For this purpose, two classes of the third grade were selected.The experimental class was conducted by using the fairy-t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terest in learning and listening to English.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classes using the fairy-t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terest to learn English between the groups of children. Second, the instruction using the fairy-tal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nglish listening between the groups of children, but in the group using the fairy-tale, the average of approvement with in the student of that class was significant. This evaluation preserves that the influence of using English fairy tales to teach English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positive.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eading English fairy-tales to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sparks children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It would be better to keep English fairy-tales in the classroom all the time and to develop the inventory of English fairy-tales related to the curriculum. If children are allowed to read English fairy-tales with enough time,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would bring about much improvement in English listening as well as the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On the one hand, it is thought that it would be better to allow even the first graders to read English fairy-tales if they have a ful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Even better than English fairy tale would be to read Greak Myths in English

      • STAD 협동학습과 짝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배윤정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AD cooperative learning and pair work on speaking skill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test a hypothesis that pair work is more effective than STAD cooperative learning(cf. Foster, 1998.)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1. Do STAD cooperative learning and pair work improve English speak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e effectively than individual learning? 2. Which model of STAD cooperative learning and pair work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English speak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iving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as well as the experimental procedures, first of all,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ninety-six 4th grade students in 3 different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Pohang. Th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during regular school curricular for English classes, which took place 2 hours a week from June 12th to July 15th, 2013.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out of three different classes. Second, each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as taught speaking lessons us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and pair work. In contrast, non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s were used in the control group but individual work. Third,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three groups and to see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way speaking skills were improved. Then, a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 and the researcher of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students' speaking skills in three categories: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accuracy. Finally,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One-way ANOVA test.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homogeneity in each assessment category among the subject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was verified. Second, a greater improvement was made by the subject groups than by the control group. Also,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the pair work group showed the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STAD cooperative learning group. According to these results, our hypotheses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individual learning method in the development of English speaking skills for students in EFL class and pair work is more effective than STAD cooperative learning was proven to be correc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air work should be developed more rigorously through more field research on grades and regions.

      • 초등 학생의 영어 의사 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 방안 연구 : 게임 활동을 중심으로

        이종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3343

        초등 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의 목적은 영어의 기본적인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논문의 목적으로 초등 학생의 의사 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의사 소통 능력이란, 실제 상황에서 원어민과 적절하게 의사 전달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 논문에서 연구 대상이 된 초등 학교 4학년에게는 음성 언어 중심으로 지도를 하고, 수업 시간에 다양한 게임을 활용하여 활동적인 수업이 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게임에 여러 가지 교수법들을 적용시켜 학생들의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주력하며 수업을 진행하였다. 의사 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 방법으로 전신 반응 교수법, 의사 소통 언어 교수법 등과 다양한 게임들이 이 논문에서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초등 학생들에게 커다란 효과를 발휘했다. 특히 전선 반응 교수법은 연구한 바와 같이, 초등 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아주 적절하고 효과적인 교수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하고 흥미 있는 게임 활동을 이용한 교수 기법은 학생들의 관심을 유발시켰고, 또한 영어를 배우려는 욕구를 계속 지속시킬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어린이들은 게임을 하면서 영어 공부하는 것을 매우 즐겨했으며 주변의 사물이나 사람, 상황 등에 대해 강한 호기심과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영어 교육의 목적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 영어 교사들은 학생들과 함께 수업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영어 교실에서 학습 조언자,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그들의 수준에 적절한 학습 자료를 준비해야 하며, 끝임 없이 훌륭한 교수 방법을 개발해내고 늘 수업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초등 영어 교사들은 학생들이 형식보다는 의미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해야 하며, 수업 시간에 어법보다는 언어의 실제 사용에, 문장의 구조보다는 담화에,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에 초점을 두고 영어 교육에 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미있는 게임을 수업에 활용한다면 학습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게임을 적용할 때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게임 선택과 교사의 철저한 수업 준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게임 활동을 적용한 수업은 다양성을 부여하므로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여 영어 수업 시간을 보다 더 흥미롭고 즐거운 시간으로 느끼게 해줄 것이다.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to improve the basic communicative competence of Eng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improve communicative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s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native speakers appropriately in real situa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ach 4th graders while stressing phonetic language and to lead an active English class using various and interesting games. Total Physical Respons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various games which are presented in this paper as the methods aiming to increas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had great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otal Physical Response was a teaching method which was appropriate and effective for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teaching method, through various and interesting game activities, aroused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and maintained their desire to learn English. Children enjoyed studying English by playing games, and had very strong curiosity and interest in objects, people and situations around them. The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is to learn four communicative functions, that i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o achieve this purpose, the English teacher should be a participant with students, a learning counselor, and a controller in the English classroom. The learning substances and materials prepared by a teacher should be interesting to the students and suitable for the students' level. Therefore, English teachers should develop good teaching methods consistently and prepare for English class thoroughly. In conclusion,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have more interest in the meaning than the form, and to emphasize the use of language rather than usage, discourse rather than sentence structures, and fluency rather than accuracy. If English teachers use interesting games in clas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effect of learning can be great. When teachers use games, they should choose games which are appropriate to learners' level and prepare for the games completely. The English class in which game activities are applied has variety and stimulates the learners' interest. Therefore, games make the learners feel that the English class is a more exciting and enjoyable time.

      •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의 영어학습체험이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영어학습체험을 한 초등학생과 영어학습체험을 하지 않은 초등학생 사이에 영어학습 동기 및 태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의 영어학습체험이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미 외국어 학습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동기와 태도는 성공적인 외국어 학습의 필수적 요소일 뿐만 아니라 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사실이 입증되고 있다. 특히, 우리 나라의 학부모들은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 을 위하여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영어학습 프로그램에 초등학생 자녀를 참가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영어학습체험 프로그램이 비교적 짧은 기간(2∼4주)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보다는 정의적 측면인 동기와 태도를 본 연구의 중심 과제로 삼게 되었다. 연구대상은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영어학습체험을 한 초등학생 185명, 영어학습체험을 하지 않은 초등학생 346명과 이들의 영어담당 교사 59명, 학부모 182명이다. 조사내용은 첫째,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화 정도, 동기 유형, 영어학습 및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태도 둘째, 초등학생이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영어학습체험을 하는 것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 인식이다. 설문 조사된 자료는 컴퓨터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독립표본t검증을 실시하였고 문항별 응답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영어학습체험을 한 초등학생과 영어학습체험을 하지 않은 초등학생 사이에 영어학습 동기화 정도, 내적 동기, 도구적 동기, 통합적 동기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외적 동기는 비경험자가 경험자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영어학습체험을 한 초등학생과 영어학습체험을 하지 않은 초등학생 사이에 영어, 영어학습신념,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문화,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영어교육효과에 대해서는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이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영어학습체험을 한 초등학생의 영어를 담당하여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교사와 경험이 없는 교사 사이에는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화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없었다. 넷째,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영어학습체험을 한 자녀를 둔 학부모와 경험이 없는 자녀를 둔 학부모 사이에는 자녀의 영어학습 동기화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즉, 자녀를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영어학습 프로그램에 참여시킨 경험이 있는 학부모가 그렇지 않은 학부모보다 자녀가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를 강하게 갖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영어학습체험을 한 초등학생과 영어학습체험을 하지 않은 초등학생 사이에 영어학습 동기 및 태도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영어학습체험은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태도와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의 영어학습체험이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만을 분석했다는 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어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지 개발과 더불어, 방학기간동안 영어권 나라에서의 영어학습체험이 초등학생의 어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short-term English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influenc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ility of learning English, b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leaning English between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and the students who have not experience it. Among the definition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foreign languages, attitudes and motivation are requisite factors in order to learn foreign languages successfully. And many preceding studies proved that they are important to learn foreign languages. Also, the aim of parents' letting their children participate in English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is 'inducing them to be interested in English language and form proper motivation'. These programs of English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usually have a short-term study-period, so that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put on not the side of recognition but the side of definition. This study made 46 questions to ask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learning motivation degree', 'motivation types', and 'English-learning attitude', 'attitude-differences of English-using persons and the persons who don't use English'. The study subjects were 1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n experience of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34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on't have an experience of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and the total number was 531.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ward 59 English teachers and 182 parents concer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degree, which was compared with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ults. The collected dat were treated with SPSS program, t-test, and P(significance rate) was calculated. Then the replies in each question were treated with Cross analysis to compute significance rates. Summing up the study result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otivation degre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n experience of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on't have an experience of short-term language study aborad during vacation'. Second, student's experiences of 'the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were not related with the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strumental motivation, and integrative motivation. In case of extrinsic motivation, tha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n experience of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was weaker than tha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on't have an experience of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Third, there were not differences among the attitudes toward English according whether or not they use English. Therefore, the experience of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didn't influence on the positive attitude-building toward English. Fourth, there were not differences among the attitudes toward English-using people according whether or not they use English. Therefore, the experience of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didn't influence on the positive attitude-building toward English-using people. Fifth, there were not differences among the comparison of teachers' recognition of students' English-learning motivation degrees recognition by the fact whether or not they had the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Sixth,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comparison of parents' recognition of students' English-learning motivation degrees recognition by the fact whether or not they had the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This study's main focus is on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rt-term language study abroad during vacation upon their attitude and motivation of learning English. But one limit is that it dealt with only learners' definition area, namely, motivation and attitude, affecting language learning activity and results. Therefore, the future study should develop more standardized test-model to asses students' linguistic ability and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rt-term language study trip overseas upon their linguistic ability.

      • 초등학생 내국인 화상영어에 관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연구

        허주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deo-conference English class for Improving learning skill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video-conference English in parents and students, 6 parents and 6 elementary students (6 students) were interviewed three times in total. In conclusion, the perceptions of parents and elementary student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and they were derived from three categories, nine subcategories, and 31 meanings. The three categories consisted of learning experiences, effective learning performance factors, and expectations and usefulness of video-conference English and Korean teacher. Video-conference English of foreigner and nine subcategories include the precedent learning experience, the optimal beginning time of English learning, preference motivation, one - to - one learning effect, increased learning time, problems of classroom operation, expectation for video-conference English class , useful accessibility of English learning, and the difference of video-conference English class between korean and foreigner. Based on the three categories, the useful learning experience meant that parents preferred early education, and the uncomfortable feeling about not giving her child early education because of suffering from the hardship of life, second child, because they could not take care of their child due to working. However most parents preferred to start to study English learning in fanc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to start to study English learning in second and third grade. On the other hand, study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and improving their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deterministic learning time, even though they had no English class or private tutoring experience. Learning performance factors were one-to-on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ncreased learning time and overall improvement through interaction with Korean teachers. Par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teresting classes and studying habits that were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al periods, and showed that the interaction with their teacher was important factor for their interest. On the other hand, problems in classroom operation pointed out the lack of class time, the difficulty of studying with teacher on time, the problem of using learning tools, and frequent change of teachers. Expectation for video-conference English class , useful accessibility of English learning, and the difference of video-conference English class between korean and foreigner that the parents didn't need English academy becaus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video-conference English class, and expected their children to communicate freely with foreigners and increase their speech ability. However, in the case of the students, expected that they would gain confidence in school rather than the goal-oriented improve the conversation and presentation in the English class. Parents preferred to take video-conference English class because it wasn't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it gave good educational accessibility to the students, and they could receive the same learning opportunities in small cities. Student study participants also preferred to be able to study any time, take alternative classes and, learn English repeatedly. The differences of foreign video-conference English class was that Korean teacher was well aware of the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students. Student research participants also felt that the Korean teacher was well aware of what liked and was listening to their story well without getting angry or annoyed. In case of a foreign teacher, they were nervous, and felt burdened. On the other hand, students didn't feel anxious and nervous when they studied with korean teacher,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learning, the learning effect of homework are increased when they study with Korean teacher. The differences of foreign video-conference English class Korean teacher are that students have reduction of anxiety and tension, increase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learning effect according to homework, possibility of familiar class, possibility of parental counseling and feedback, smooth learning control, and active class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내국인 화상영어 수업이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그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학부모와 학생의 화상영어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학부모 6명, 초등학생 6명 총 12명을 연구참여자로 하고 총 3회 전수 전화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학부모 및 초등학생의 인식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으며 3개의 범주, 9개의 하위범주와 31개의 구성된 의미로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학습경험, 학습 수행요소와 화상수업 기대감과 유용성 및 내국인 교사 등으로 구성되었다. 9개의 하위범주로는 선행학습 경험, 화상영어 적정 시작시기, 선호 학습 동기, 일대일 학습 효과, 늘어나는 학습 시간, 수업운영상의 문제점, 화상 수업에 대한 기대감, 영어 학습의 유용한 접근성과 외국인 화상수업과의 차이로 분석되었다. 3가지 범주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학습경험에 관련해서 학부모들은 조기교육을 선호하였으며, 조기교육을 시켜주지 않은 것에 대한 불편한 마음은 생활고 때문에, 둘째라서, 맞벌이로 관리할 수 없어서와 같은 이유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들의 생각과 달리 초등학교 대부분 2,3학년 정도를 선호하였다. 한편, 연구참여자들은 영어수업이나 사교육 경험 유무는 달라도 결정적 학습시기에 따라 학습 흥미를 갖고 학습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학습 수행요소에 대해서 학부모들은 일대일로 개별 맞춤형 수업,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등 내국인 교사와의 수업을 통해 상호작용으로 학습시간이 늘어나고 전반적 향상이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부모들은 초등학생의 발달 시기에 맞는 흥미로운 수업과 혼자 공부하는 습관을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학생들은 흥미와 관심에 맞는 수업과 선생님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을 드러냈다. 한편, 수업운영상의 문제점은 수업시간의 부족, 수업시간 맞추기 어려움, 학습도구 사용상의 문제, 교사의 잦은 변경 등을 지적하였다. 셋째로 화상수업 기대감과 유용성 및 내국인 교사와 관련해서 학부모들은 화상영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영어학원의 필요성을 못느끼고, 외국인과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고, 발표력이 증가하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학생의 경우, 목표지향적이기 보다는 자신감을 얻어 학교수업, 외국인과의 대화, 발표 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학부모는 화상영어학습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선호하였으며, 아무 때나 반복학습할 수 있는 교육접근성과 군소도시의 경우 동일한 학습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학생 연구참여자들 역시 언제든지 공부할 수 있고 수시로 반복학습하거나 전화로도 수업을 대체할 수 있음을 선호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화상수업의 차이에 대해서 학부모 연구참여자들은 학생의 흥미와 선호를 내국인 선생님들이 잘 파악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외국인 선생님의 경우, 상담 및 경제적 부분에 부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연구참여자들 역시 내국인 선생님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잘 파악하고 있으며 화를 내거나 짜증내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잘 들어준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외국인 선생님의 경우, 불안하고 긴장돼서 부담스럽게 생각하고 있었다. 원어민 화상 영어와 내국인 화상 영어와의 차이점으로 내국인 선생님의 경우 수업을 할 때 불안감과 긴장감의 감소, 흥미와 이해도 증가, 숙제 내주기에 따른 학습 효과, 낯가리지 않는 수업가능성, 학부모 상담 및 피드백의 가능성, 원활한 학습통제와 능동적인 수업 참여가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 시각적 자료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초등학생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남은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시각적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어휘 수업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 효과적인 초등학생 영어 어휘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파주시 D초등학교 3학년 두 학급을 각각 실험반과 비실험반으로 선정하고, 본 연구의 주제에 적합한 어휘를 선정하여 12주 동안 시각적 어휘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영어 지도 모형을 적용하여 영어 어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한 학생들의 어휘 능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적으로는 사전․사후 어휘 능력 평가 및 단원 외 어휘 능력 평가, 정의적 영역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질적으로는 교사의 교수일지와 학생들의 학습일지 및 학습 결과물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사전에는 알파벳을 비롯한 3학년 1학기 교과서에 나오는 핵심 어휘를 선정하여 검사하였고, 시각적 어휘 자료를 활용한 영어 어휘 지도 수업을 적용한 후에는 알파벳과 3학년 2학기 교과서에 나오는 핵심 어휘를 바탕으로 단어 철자 쓰기, 의미 쓰기 등을 평가하였다. 이와 함께 학생들의 어휘 능력 향상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 학생들의 학습 일지, 교수 일지 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어휘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 지도 수업은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실험을 통한 어휘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반만을 대상으로 3, 4학년의 기본 어휘 성취도 검사를 추가로 실시하여 학생들의 어휘력 변화를 알아보았다. 평가 결과 실험반의 사후 어휘 성취도 평가 점수가 사전 평가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을 통해서도 학생들이 사용하는 어휘 수가 증가되었으며, 철자도 실험 이전보다 더 정확한 단어를 쓸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시각적 어휘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 지도 수업을 실시한 후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흥미도와 참여도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자신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를 위한 학생들의 주요 활동인 단어장 만들기와 마인드맵 등의 활동이 기존의 수업에서 활용해보지 않아 익숙지 않았던 점이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었고, 그 결과 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학습 일지와 교수 일지 등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은 시각적 어휘 자료를 활용한 어휘 수업을 통하여 영어 어휘력에 대한 흥미도가 향상되었고, 동료들과 협력적으로 활동하였으며 영어 수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시각적 자료를 활용한 어휘 지도 수업은 학생들의 어휘 성취도 향상에 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영어 어휘력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인 어휘 지도 방안으로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초등학교 2개 반의 실험 결과 비교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그 한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앞으로 시각적 어휘 자료를 활용한 어휘 수업의 효과성 및 활용 방안에 관하여 좀 더 폭 넓은 대상과 기간으로 추후 연구가 진행되어 더 정교화 된다면 학교 현장에 적합한 어휘 수업 모형으로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learning vocabulary through visual material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cabulary competence and affective domains. This study raised two questions. First, does learning vocabulary through visual materials affect the vocabulary compet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does learning vocabulary through visual materials have effects on affective domains of vocabulary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the vocabulary, mind map and visual materials and preceding studies were inquired.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wo groups of 3rd grader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12 weeks. The used research tools included pre- and post-test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vocabulary and the affective domain, a teaching journal, learning journals, data from students’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learning vocabulary through visual material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s’ English vocabulary development. Before the treatment, the vocabulary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same with them of the control group, but after the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s’ became higher than the compare groups’. Second, the class model in this study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omponent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 affective domain. They were no more likely to confident in classroom by themselv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learning vocabulary through visual materials will be highly recommended as and effective method to improve student’s vocabulary ability. It can improve both vocabulary ability in addition to some changes in students’ affective domains like interest and participations. Still, its effectiveness and ways to utilize it in the English classes need to be studied further.

      • 소리블럭쌓기를 이용한 음소 분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철자 쓰기에 미치는 영향

        오혜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소리블럭쌓기를 이용한 음소 분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음소 인식과 영어 단어 철자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와 그에 따라 철자 쓰기 능력에서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주 도구로 사용된 소리블록쌓기는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것으로 음소의 개수에 따라 블록을 집어 쌓아 올리는 음소 분리 도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시 소재 H 초등학교 3학년 14명, 4학년 8명 학생 총 22명을 대상으로 사전 음소 인식 평가, 영어 단어 식별 능력 평가 그리고 영어 단어 철자 쓰기 능력 평가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보한 후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는 주 3회 10분씩, 8주간 총 24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음소 지도의 기준에 따라 음소 형식별로 어휘를 분류하여 차시별 지도 어휘를 선정하여 수업 절차를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집단은 플래시 카드, 고무줄 늘이기, 손가락 펴기, 엘코닌 박스, 소리블록쌓기의 총 5가지 명시적인 음소 분리 활동을 통해 음소 분리 감각을 기르며 음소 분리를 철자 쓰기와 연관시키도록 돕는 활동을 하고 통제집단은 음소 분리 활동을 제외한 영어 단어 철자 쓰기 학습을 진행하였다. 8주간의 실험 후 사전 평가와 동일한 요소로 사후 평가를 진행하여 사전‧사후 평가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음소 분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음소 인식과 영어 단어 철자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와 철자 쓰기 능력에서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를 보려 하므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소 분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음소 인식 능력의 하위 항목인 두 단어의 소리 차이를 구별하기와 첫소리 바꿔서 발음하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음소 분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단어 철자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철자 오류 분석을 통해 철자 쓰기 변화를 분석한 결과로 음소 분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철자 쓰기가 향상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수업 관찰과 개별 학생 면담을 통해서 음소 분리 활동을 통한 철자 쓰기 훈련이 학생들의 소리와 철자의 지식을 높이고 영어 철자 쓰기 능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소리블록쌓기를 이용한 음소 분리 활동이 소리와 철자의 연결 관계를 습득하여 초등학생의 영어 철자를 쓰는데 효과적인 방법이고, 음소 분리 능력이 영어 철자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영어학습 초기 단계의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음소 분리 활동을 통한 영어 철자 쓰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교 영어 수업 시간에 이를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영어 철자 쓰기 능력 발달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 때에 학생들이 소리와 철자의 연결 관계를 알고 영어 단어 철자 쓰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체적인 쓰기 성취 기준을 잡아서 지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도 방안이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음소 지도 도구가 현장 교사들에서 개발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이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음소 분리 활동을 통한 영어 단어 철자 쓰기 교육을 제대로 정립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 연수 프로그램과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보다 더 많은 수의 초기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소리블럭쌓기를 이용한 음소 분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음소 인식과 철자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실험이 진행된다면 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the sound block in phoneme segmentation activity for elementary student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performed for 10 minutes,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24 times for 8 weeks. It was conducted at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City, South Korea. The class procedure was planned by classifying vocabulary by phoneme type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phoneme instruction and selecting the instructional vocabulary for each class. A group of students developed a sense of phoneme segmentation through flashcards, stretching rubber bands, Elkonin boxes, and sound blocks. In the control group, English word spelling learning was conducted except for phoneme-segmentation activities. After the 8-week experiment, the pre- and post-evaluation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honeme segmentation activity improved the sub-items of English phoneme recogni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stinguishing the sou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ds” and “pronunciation by changing the first soun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honeme segmentation activit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nglish word spell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spelling through the analysis of spelling errors, it was shown that the phoneme segmentation activ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English spell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through class observation and individual student interviews, it was shown that spelling training through phoneme segmentation activities increased students' sound and spelling knowledge and, accordingly, improved English spelling skills. Therefore, Phoneme segmentation using the sound block is an effective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write English spelling. It will have a grea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English spelling ability if it is applied to the school English class in the early stages of English learning. A new study suggests that phoneme separation activities require additional research. According to the study, field teachers can develop and use phonemic guidance tools to help students learn English. Finally, to better assess the effect of phoneme segmentation activities using the sound block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phoneme recognition and spelling, a long-term study with a larger sample size for the same research would be beneficial.

      •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학습 선호도에 관한 연구

        황수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학교 영어 수업에 대한 불안과 선호도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영어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초등학교 4학년 256명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 경험,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학교 영어 수업과 수업활동에 대한 선호도에 관해 실시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내적 동기가 외적 동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적 동기에는 외국인 선생님과의 수업 경험과 학원 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학습에 대한 불안에 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초등학생들은 크게 불안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은 의사소통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불안을 보였다. 그리고 학원 경험은 불안을 낮추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으며, 학교 영어 수업에서 느끼는 불안이 높을수록 학교 영어 수업과 수업 활동에 대해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학교 영어 수업과 수업 활동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특히 내적 동기가 높은 초등학생일수록 학교 영어 수업과 수업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학생들은 영어 게임과 노래, 영어 회화, 영어로 읽고 쓰는 수업, 문법 순으로 학습활동에 대한 선호도를 보였다. 선호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그리고 외국인 선생님과의 수업 경험이 있는 학생과 학원 경험이 1년 이상인 학생들 역시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습 경험과 수업 활동 선호도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영어 수업을 계획하고 교재와 학습 활동을 연구,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의 외국인 선생님과의 수업 경험이 학교 영어 수업에 느끼는 불안을 낮추고 영어 학습 동기, 학교 영어 수업과 수업활동에 대한 선호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초등학생들이 외국인 선생님과의 수업을 학교 영어 수업 시간에 경험 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다양하게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초등학생들이 학교 영어 수업에서 느끼는 의사소통에 대한 불안을 낮추기 위해, 외국인 선생님과의 수업 뿐 아니라 한국인 영어 선생님의 수업도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는데 필요한 영어 어휘와 문법에 대한 수업활동과 수업 선호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수업 활동과 학습 방법들을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tivation for, anxiety in, and attitude to learning English by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has been considered that young learners have a positive attitude to English, and therefore have higher motivation and little anxiety in the English classroom.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if such belief is actually tru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factors affect their motivation, anxiety, and attitude in the process of learning English.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structed abou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experience, motivation, anxiety, and preferred activities in the classroom. A total of four items was included in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256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ly motivated for learning English, especially they showed higher intrinsic motivation. Their higher intrinsic motivation wa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native teachers and private institutes.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low level of anxiety in English class, however their anxiety about communication was relatively high. This suggests that the exposure to native teachers at private institutes can help lower students’ anxiety. Third, the students with high anxiety had weak preference for the English and classroom activities while the students with higher intrinsic motivation showed a strong preference for English class and learning activities at school. Among the activities, games and chants were most preferred. Female students generally showed a stronger preference to English activities than 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try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to increa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t can be also stressed that the exposure to native teachers is important in lowering anxiety and increasing motivation. Schools should t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be exposed to the target culture, which is important in form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target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