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감상수업이 중학생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도전활동 중심으로

        김광호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시행되는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의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 가운데 도전활동을 중심으로 감상수업을 실시할 때, 학생들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감상수업의 기틀을 마련하여 현장에서 체육교사들의 감상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감상수업의 교수-학습 과정과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이천시 향교로에 위치한 S중학교 1학년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직접 체육감상수업을 실시한 70명이며, 비교집단은 동학년 70명이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활용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PC+10.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검증, t-test, 평균, 표준편차,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체육감상수업의 참여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정서발달의 차이를 정서발달의 하위변인인 순수반응 정서발달, 공포반응 정서발달, 회피반응 정서발달, 애정반응 정서발달, 사회반응 정서발달, 공격반응 정서발달, 비행반응 정서발달과 같은 7개의 하위변인으로 구체화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체육감상수업의 참여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정서발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이는 체육감상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 보다 정서가 더 발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체육감상수업에 참여한 중학생은 순수반응, 공포반응, 공격반응 모두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회피반응(.001), 애정반응(.007), 비행반응(.004)로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순수반응, 공포반응, 공격반응의 정서발달이 회피반응, 애정반응, 비행반응 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감상수업이 중학생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현재 7학년부터 시작되고 있는 개정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감상수업이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안전교육과 상해에 관한 연구

        이강의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안전교육과 상해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는 2009년 경기도 A지역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1, 2 학년 남·여 학생 대상으로 400명을 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로 안전관리는 구자훈(2009)이 사용했던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운동 상해는 나상유(2002)가 사용했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S용 SPSS PC+ 15.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n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안전교육과 상해를 분석한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체육수업 안전교육 실시현황 첫째, 체육수업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이 64.9%로 절반 이상의 학생들이 체육수업에서 안전교육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체육수업 안전교육은 주로 비정기적인 형태(76.3)로 실시되고 있으며, 수업의 초반부(75.6%)에 강의식 교육(41.4%)으로 1년에 1-2회(46.7%)정도 실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체육수업 안전교육의 도움 정도는 보통(51.9%) 수준으로 느끼고 있고, 안전교육 시 체육교사 지도의 충분한 정도도 보통(52.4%) 수준이었으며, 체육수업 시 실시한 안전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 역시 보통(53.1%) 수준으로 나타났다. 2) 운동 상해의 현황 첫째, 운동종목의 상해비율은 기타 30%, 축구 26.2%, 농구 22.8%, 육상 8.4%, 배구 6%, 투기 3.7%, 체조 1.6%, 소프트볼 1.3%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종목의 수업시간과 방과 후 체육활동 상해발생 비율은 수업 중 65.5%, 방과 후 34.5%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활동 중 다친 부위의 피부상해 비율은 찰과상 69.6%, 열창 26.7%, 절창 3.7의 결과로 나타났으며, 근육 및 인대 상해 비율은 근육좌상 44.5%, 근육타박 40.2%, 근육경직 9.2%, 건단열 6.1%의 결과로 나타났다. 뼈 상해의 비율은 뼈 타박 57.2%, 골절 40.9%, 골막염 1.9%순으로 나타났고, 관절상해의 비율은 염좌 72.5%, 인대신장 및 단열 16.2%, 관절좌상 8.9%, 탈구와 관절염 1.2% 순이었다. 넷째, 스포츠상해 원인은 운동수행 중 충돌 34.8%, 운동부주의 24.6%, 준비운동부족 12.5%, 운동기능부족 11.1%, 지나친 긴장 6.5%, 피로 5.5%, 능력과신 3.4%, 체력부족 1.3%, 교구부조 0.3%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해 후 치료 방법은 병원 44.6%, 가정 28.1%, 학교 14.8%, 한의사 5.4%, 물리치료원 4.1%, 약국 2.7%, 접골원 1.3%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상해 발생 후 치료기간은 1-5일 54.9%, 6-10 21.4%, 11-15일 8%, 30일 이상 7.4%, 26-30일 4.5%, 16-20일 2.8%, 21-25일 1% 순으로 나타났다.

      •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윤경식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로써 체육의 이론적 기초지식을 학습하여 체육 현상에 보다 올바른 이해를 증진하며, 실제 운동 참여시 지식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 운동을 통하여 개인적으로 정서적 만족을 얻어 자아실현을 추구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태도를 가진다. 체육교과는 타 교과와 다른 고유한 교과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체육교육은 인간 움직임에 의한, 움직임을 통한 교육이다. 다시 말하면, 선택된 움직임 경험이나 신체 활동을 통하여, 전인 교육과 학생 발달에 공헌하는 교육활동의 하나인 것이다. 또한 학교 체육교육은 생활과 밀접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의 습득과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협동하면서 공정하게 경쟁하는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은 사회적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살아 나가는데 직면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법을 배우게 되며, 신체의 효율적인 가동 및 기본 움직임 증력의 습득은 안전한 생활의 기초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인 중ㆍ고등학교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 남ㆍ여 중ㆍ고등학생 300명(남자 200명, 여자 100명)을 선정하여 성별, 학년별, 성적별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도를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남ㆍ녀 모두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의 운영에 관한 인식은 2시간으로 줄어든 체육수업을 다시 3시간의 체육수업을 받기를 원했다. 셋째, 체육수업의 비중에서는 남학생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실기수업 비중이 더 많다고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실기수업 비중 더 많다고 나타났으며, 성적그룹별에서는 상위권학생들은 실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상위권, 중위권, 하위권으로 내려갈수록 체육수업에 대한 이론과 실기 비중수업이 적당하다고 나타났다. 넷째 방과 후 별도의 체육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에서는 남학생들은 활동을 하지만 여학생들의 경우 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적그룹별 상위권 학생들은 체육활동을 하지 않는 반면, 내려갈수록 체육활동을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육수업의 운영은 학생들의 요구가 반영되어야 하며 학교체육시설의 확충으로 활발한 체육활동이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하며, 체육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체육의 중요성을 인지시키는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학생중심의 내용을 선정, 구성하여,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의 수업방식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With the foundation of positive interest on physical activities learned in elementary school,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PE) has the characteristics of stage to promote the leaning of life-long sports activities that will be emphasized in the physical education in high school. Therefore, the students have to experience exercises in diverse field, learn improved skills and promote physical strength of health. And, they have to learn the theoretical basic knowledge of PE to develop correct understanding on the physical phenomenon while developing the competency of appropriately utilize the knowledge when actually participating in sports. Furthermore, through exercise, students are earned with the emotional satisfaction on personal level, pursued the realization of self-awareness and develop desirable social attitude. PE curriculum has unique curriculum feature different from other curriculums. PE is an education by the human movement and through the motion. In other words, One of the PE activities is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wholesome person and student development through the selected movement experience or physical activities. In addition, the middle school PE is closely related to learning how to resolve many problems related to living. For example, through the learning of cooperating while fair competing, students learn how to solve the problems that they encounter in appropriate social means, and efficient use of body and basic movement and strength become the foundation of safe living. The conclusions dra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n the PE class shows very important in both male and female. Second, the recognition of PE class operation was shown in wanting for 3 hours of PE class that was shrunk to 2 hours before. Third, for the issue of ratio of PE class, the male students responded that it is appropriately made and the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practical class ratio is more. For each class, the higher graders indicated that the ratio of practical class was more, and for each grade group, the students with higher grade indicated that the practical classes were more, and as the lower grades of students indicated that the theory and practical classes are appropriate. Forth, for the inquiry on whether the extracurriculum activities involve separate physical activities, mal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while the female students responded as not having them. As the class gets higher, students do not take much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 students with higher grade do not take physical activities while the lower grade students prefer to take physical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operation of PE class has to reflect the demands of students, and the active physical activities have to be provided for students with the expansion of school PE facilities, and the PE teachers have to place more efforts in having the student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PE. Furthermore, the student-oriented details have to be selected and composed with more studies for various means of class method in a way of bring more motivation and interest for students on PE class.

      • 중학교 학생들의 특기 · 적성교육활동과 체육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남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relation there is between the physical aptitude train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so as to encourage them in more actively participating the P.E. (physical education) class.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hypotheses and academic framework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ories. 383 middle school students,who have been taking the physical aptitude education through 4 different school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chosen as a sample group.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randomly chosen through the whole academic years-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This study is conducted via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test, Factor Analysis, t-test, ANOVA, 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under 0.05. (p<.05) From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conclusions were derived as the following: Firstl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levantly satisfied with the physical aptitude training. More male students were reliving stress through the physical exercise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nd athletics, the satisfaction level was related to the physical director and the factors relieving stress.This research reveals that longer period of participation increases the satisfaction level;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for 2 to 3 years, were more satisfied than others who have done for less than a year or 1 to 2 years. Secondl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 P.E. class and also relevantly satisfied with the class objectives. The class evaluation and class method were also satisfying but the class environment and conditions were less satisfying comparing to other factor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the satisfaction level of P.E. class for male students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for females, and the satisfaction level witheach kind of exercise was not remarkably differentiable. As a subordinate factor, the class environment considerably has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lifelong sports activities, hav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lass environment than others who participate in basic exercise and martial art. Thirdly,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est level of class, the class objective, the class method, the class evaluation and the class environment, so this study conclude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ve relevant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aptitude training and the relief of stress and the increase of health, physical strength and athletic ability also promote their satisfaction level of P.E. class.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과 체육수업에 어떠한 만족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그 관계를 밝혀 체육특기·적성교육활동의 만족도가 체육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켜 주어 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이론을 기초로 연구가설과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8년 현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을 실시하는 4학교 383명을 대상으로 1, 2, 3학년의 남·여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Cronbach's Alpha 검사, 요인분석, t-test와 ANOVA, 그리고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생들의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전체 만족도 수준은 보통 수준을 조금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는 스트레스 해소 변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많이 해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종목에 따른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는 지도자와 스트레스 해소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간에 따라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는 참여기간인 2-3년 미만인 학생들이 1년 미만인 학생들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기간이 오래될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었으며, 변인별로는 체육수업에 대한 관심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수업목표에 대한 만족도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업평가, 수업방법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수준으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성별에 따라 체육수업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종목별 체육수업 만족도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변인별로는 수업환경에 대한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바, 기본 운동과 투기운동 참여 학생들에 비해 평생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체육수업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기간에 따라 체육수업 만족도는 참여기간이 2-3년 미만인 학생들이 1년 미만과 1-2년 미만인 학생들에 비해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 관련 변인이 체육수업 만족도 중 수업관심도, 수업목표, 수업방법, 수업평가, 수업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되고, 운동기능 및 체력, 건강 등이 좋아졌다고 느낄수록 체육수업 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만족도 및 평생체육 연계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김재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만족도 및 평생체육으로의 연계성 인식도에 대해 조사 연구해 봄으로써 인문계 고등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대학 진학의 부담이 적고, 학교 졸업 후 사회인으로 출발하는 빈도가 높은 실업계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체육 수업을 현장에서 운영, 관리하여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체육 수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학교 체육을 기반으로 평생체육으로의 연계에 대한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역사가 깊고 대표적인 실업계 남, 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71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 선호도', '운영에 대한 만족도', '체육교사에 대한 만족도',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사회체육) 연계성 인식도'등의 5개 영역에 대하여 성별과 학년에 따른 Frequencies(빈도분석)과 chi-square(x^(2)) 검증을 실시 하였다· 각 특성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육 수업 선호도 측면 실업계 고등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성별에서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체육수업 선호도 나타내고 있다. 체육수업을 좋아하는 이유로는 '다른 수업보다 재미가 있어서', '기분전환이 되므로 다른 수업에 도움을 준다'라고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교실에서 행해지는 이론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하여, 자신이 직접 참여하는 신체활동을 통하여 육체적, 정신적 긴장을 완화하여 나타나는 것이라 볼 수 있겠다. 체육수업을 싫어하는 이유로는 전체 학생의 대다수가 '운동에 흥미가 없기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체육 수업 시 여건이 허락 될 경우 가장 해보고 싶은 종목으로는 '수영', '검도', '스키·보드', '배드민턴'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학생은 '수영', '축구', '농구', '유도', 여학생은 '검도', '수영', '스케이트', '볼링', 순이며, 학년별로는 1학년이 '검도', '수영', '스케이트', '기타', 2학년은 '수영', '배드민턴', '스키·보드', '검도'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대한 다양한 욕구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정과 체육 시간에 접할 수 없는 종목들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체육수업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2) 학교체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 학교체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 학교체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부정적인 측면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로는 체육수업 시 '다양한 종목을 접할 수 없기 때문'과 이와 더불어 '학교의 체육 시설의 부족'과 '체육 교사의 다양한 종목에 대한 Teaching능력'에 한계가 있다고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성별,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모두 부정적 관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체육 수업의 방법은 전체의 72%가 '운동장에서 자유 수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현행 학교의 체육수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수업참여 욕구와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체육 수업의 주당 시수 및 선호 시간은 주당 두 시간과 세 시간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이 체육 시수를 길게 가져가고 싶은 경향을 보였다. 체육 수업의 선호 시간은 전체적으로 모두 '3~4교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5~6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야외에서 신체 활동을 통해 행해지는 체육 수업을 하루 중 가장 신체활동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3) 체육 교사에 대한 만족도 체육 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성별,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사의 지도 능력을 묻는 질문에 대다수가 '이론과 실기 모두 보통이다(59%)' 라는 응답이 '이론과 실기 모두 능함(22.5%), '실기만 가능함(15.5%)'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학생들에 대한 개인차를 고려한 지도여부'에서는 '보통이다(47.6%)'와 '그렇지 않다(22.1%)'에 대한 분포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이 더욱 부정적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체육 교사와 타 교과목 교사와의 지도 비교에 대한 설문에서 '똑같다(49.8%)'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체육교사의 개인차 고려에 대한 지도여부'는 다른 교과목 교사들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시료된다. 체육교사의 인식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딱딱하다(33.9%)', '자상하다(26.9%)', '다른 교사와 똑같다(24.0%)'로 한 부분에 치우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나타나고 있어 성별, 학년별로 확인 시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이 2학년 보다는 1학년이 체육교사에 대해 부정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여학생과 2학년은 긍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체육교사 인성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는 '학생들을 잘 이해하는 교사', '명랑하고 쾌활한 교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학교 체육과 평생체육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도 학교 체육과 평생체육 연계성에 대한 인식도는 전체적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성별, 학년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2학년 보다는 1학년이 더욱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학교 체육이 평생체육(사회체육) 활동에 참여 할 수 있는 기초가 되는가', '학교 체육을 통해 평생체육(사회체육)을 하고 싶다는 욕구가 있는가'라는 학교 체육이 평생체육(사회체육)으로의 연결고리를 묻는 응답에 '보통이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그렇다'라는 긍정은 소수에 불과하였으며, 성별, 학년별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1학년보다는 2학년이 다소나마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현재와 미래에 평생체육(사회체육)에 대한 참여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에서도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가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기서도 여학생 보다는 남성이, 1학년 보다는 2학년이 다소나마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평생체육(사회체육)으로 선호하는 종목으로는 전체적으로는 '축구', '배드민턴', '농구', 태권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축구', '농구', '기타', '태권도', 순으로 선호하고, 여학생은 '무용·댄스', '배드민턴', '육상',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특이한 것은 남학생과, 여학생의 '기타'부분으로 남학생은 '격투기', 여학생은 '요가'를 대다수가 꼽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과거의 종목 선호도와 비교해 볼 때 고등학생들의 선호도 유형이 현재 사회적 분위기와 더불어 변화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wo studies are physical education class preference of business world high school students, Burden of university entering upon studies is less relatively than academic world high school student by feeling link sex of satisfaction and whole life physical education and study ocean investigation, and there is the purpose to supply basic data to drives learner's voluntary participation administers physical education class that is fit in special quality of business world students who frequency that start by member of society after school graduation is high on the spot and manages and heightens efficiency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lso, there is the second purpose to supply basic data about method about connection of whole life physical education based on school physical education. History located at Kyonggi Province receipt of assistance for this is deep and to representative business world others, woman high school to 271 talent and learning crowds satisfaction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preference, operation, Satisfaction about gymnast,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whole life physical education link sex awareness about 5 areas of etc frequency Test and chi-square verification by sex and classenforce. Is as following if summarize study finding by each special quality. 1) Physical education class preference Business world high school students were expose' that prefer physical education class in general, and it is no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by class, but is displaying physical education class Preference which boy student is high relatively than girl student in sex. Two Euros that like physical education class help in other class because become because there is interest than other class, pastime that appear, and these result can see that appear exuviating in theory cramming system that is done in the classroom, alleviates bodily, spiritual tens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that oneself participates directly. Of large majority a whole student of two Euros that dislike physical education class is Spoke that because there is not interest on motion, and swimming, fencing, skiing to item that want to try most in case of situation is allowed when teach physical education, Appeared by board, badminton, period of ten days, and by sex boy student swimming, soccer, basket ball, lacteal gland Girl student fencing, swimming, skating, bowling, It is period of ten days, and by class first-year student fencing, swimming, skating, etc, Second-year student swimming, badminton, skiing-Baud, fencing, by appear. This is showing that students have various desire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can know that feeling and preference for items that can not contact for physical education time are high. Also, is displaying reaction that boy student who is recognizing that need on the whole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necessity, and sees girl student is high relatively. 2) Satisfaction about school physical education operation Satisfaction about school physical education operation appeared to contradictory. When contradictorily appeared two Euros teach physical education Various itemcontactcan and along with this school tribe of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and that there is limit to Teaching ability for gymnasts various item appear. This is difference that consecrates, keeps in mind by class but everybody are showing contradictory viewpoint. Also, current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of this is not administered normally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at prefer most is appearing by thing which whole 72% wants Open classroom in the playground, and I will do that is showing with desire Sueopcham of students indirectly that difference is. Jugum per week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reference time were looked tendency which boy student who appeared by thing which two hours and age hours per a week prefer most, and sees girl student wants to take physical education jugum long. Preference tim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on the whole total 3~4 instruction highest appear, and by next time, 5~6 instruction that prefer appear. This physical education class that is done in field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during a day most physical activity by see. 3) Satisfaction about gymnast There is difference that satisfaction about gymnast consecrates, keeps in mind by class but appeared on the whole contradictorily. Boy student who whether or not map that large majority considers individual variation about both It is both theory and practical skill commonness (59%) of response theory and practical skill that is able (22.5%), Is appearing very high more than that is possible practical skill (15.5%)s. Also students on the question that asks gymnast's leadership ability that distribution about (22.1%)s is appearing high while is not so It is commonness with (47.6 %)s know can, and sees girl student is demonstrating more contradictory opinion. Whether or not map for when see as thing which response named (49.8%)s shows high while is same gymnasts individual variation Koryo in question about map comparison with gymnast and other subject teacher that do not differ greatly with different subject artfulnesses treat without charge. About gymnast realization on the whole hard(33.9%)s, careful(26.9%)s, distribution that is uniform on the whole without leaning for a part by (24.0%) while is same with other teacher boy student who is appearing and sees girl student at confirmation by sex, classmore than 2 class that first-year student is appearing contradictorily about gymnast, and girl student and second-year student are looked positive opinion relatively. Also, on the question that ask gymnast human nature preference Teacher that understand well students, cheerful and cheerful teacher that prefer most appear. 4) Consciousness about link sex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whole life physical educatio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consciousness degree about whole life physical education link sex appeared on the whole contradictorily. Girl student who was shown sex, that keep in mind by class difference, and sees boy student, more than 2 class that first-year student more contradictory viewpoint see. Whether school physical education becomes footing that can take part in whole life physical education activity or, response Of on response that school physical education asks connection hanger of whole life physical education it commonness be was the many, and relatively thats right of affirmation in minority be not more, and sex, boy student is shown situation that second-year student is positive some than first-year student than girl student by class. Also, in the question to search participation degree about whole life physical education at present and future itcommonness beman who so dominates 50%, and heresees girl student, more than 1 class that image that second-year student is positive some see. Whole life, to item preferring to physical education on the whole soccer badminton, basketball Was expose in order of Taekwondo, and in the case of boy student soccer, basketball etc, Taekwondo Prefer by period of ten days, and girl student dance, dance, badminton track, etc, of in order appear. Here particular thing of boy student and girl student other to part boy student martial art, girl student yoga large majority that is counting be. This can speak that is shown indirectly that preference pattern of high school students is changed along with social atmosphere present when compare with past item preference.

      •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병산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2005년 서울 강동구에 있는 초등학생 4, 5, 6학년 47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로는 태권도의 수련정도는 묻는 문항은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체육수업태도의 설문지는 최순자(1998)와 권지혜(2001)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자료처리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1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체육수업태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둘째, 태권도 수련 참여여부와 정도에 따른 체육수업태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셋째, 태권도 수련정도는 체육수업태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n An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Primary Schoolers' Attitude. To achieve of this purpose, the total 478 subject were selected elementary 4, 5 and 6 grade in Kangdong-Gu, Seoul. The questionnaires on degree of Taekwondo Training was self-manufacture, the tool on Physical Education Class's attitude used the questionnaires scales which modified the questionnaires used by Choi Soon-Ja(1998), Kwon Ji-Hye(2001).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wer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uch processes and method of the study as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t shows the differenc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s attitude according to the populo-statistical and socio-economical characteristic in Primary Schoolers. Second, It shows the differenc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s attitude according to the Taekwondo Training Participation and Degree in Primary Schoolers. Third, The Taekwondo Training Degree affects partially the Physical Education Class's attitude in Primary Schoolers.

      • 초·중학교 체육수업시간의 신체활동량 평가

        임호선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보행계수기(Pedometer)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체육수업시간의 신체활동량이 학교급, 성별, 비만도(BMI)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성장기 청소년의 선체활동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와 관련된 연구뿐만 아니라 비만을 예방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에 위치한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과 중학교 1,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학생들은 보행계수기(pedometer)를 착용하고 학교체육수업에 임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11.0의 하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학생의 학교 체육수업시간의 에너지 소비량은 초등학생보다 월등히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교체육수업시간의 에너지 소비량은 초등학교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학교 체육수업시간의 에너지소비량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비만도(BMI)에 따른 학교 체육수업시간의 에너지소비량은 저체중 학생과 정상학생과 과체중 학생의 에너지 소비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만도(BMI)에 따른 남, 녀의 학교체육수업시간의 에너지소비량은 저체중과 과체중 남, 녀 간의 보행 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직 정상체중에서만 남학생의 보행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비만도(BMI)에 따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교 체육수업시간의 에너지소비량은 과체중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의 보행 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저체중과 정상체중 모두 중학생의 보행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장기 청소년들에 있어, 특히 여학생들에게 유일한 신체활동 기회인 학교체육 수업시간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해봄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소비해야하는 신체활동량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중학생에 비해 적은 에너지소비량을 나타내고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에너지소비량을 늘릴 수 있는 운동 종목을 수업 시간에 적용해 좀 더 적극적인 신체활동을 장려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the evaluation of physical activ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 describe the school children's daily pedometer-determined physical activity during physical education. 89 elementary school students (40 boys, 152.4cm, 47.4kg; 49 girls, 149.9cm, 44.2kg) and 92 middle school students (45 boys, 168.0cm, 57.4kg; 47 girls, 159.3kg, 49.8kg) wore pedometers for four on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physical activity is higher middle school children th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But not difference to sex.

      •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서영건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507명(남:257, 여:250)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의 재미질문지(PCESQM)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성별, 학년별, 운동능력 지각별 체육수업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업의 용이성, 수업의 자유로움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 등이 높았다. 학년에 따른 체육수업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운동수준에 따른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에서 수업의 자유로움을 제외하고 신체적·정신적 건강유지, 수업의 용이성, 사회성함양 등의 점수가 중간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도 운동능력을 높게 지각할수록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이 높았다. 둘째,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산출한 결과,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에서 신체적·정신적 건강유지, 수업의 용이성, 사회성 함양, 수업의 자유로움 등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중학생들에게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였으며, 신체적으로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내적 동기가 약한 학생들의 입장을 이해하여 많은 재미요인을 포함한 체육수업의 성취도를 높이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좀 더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fun factor in middle school P.E. clas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having 507 middle school students(257 males and 250 females) respond to Physical Education Enjoymentsource Questionnaire Measurement(PCESQM) and Self-efficacy Questionnaire. Skill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First of all, the differences in fun factor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sex, grades, and perception of motor ability wer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 As for the fun factor in P.E. classes according to sex,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n learnability of the class, freedom of the class than male students did.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n confidence in physical self-expression factor of physical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did. As for fun factor and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grades,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As for fun factor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motor ability, maintenance of physical/mental health, learnability, and sociability cultivation, except freedom of class, showed higher level among intermediate students. In self-efficacy,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self expression were higher as students highly perceived their motor ability. Secondly,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indicated that maintenance of physical/mental health, learnability of the class, and sociability cultivation, freedom of the class of fun factor had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physical ability. Several way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take interes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increase physical self-efficacy are discussed, and some ways for teachers to understand students lacking self confidence and motivation and to have higher accomplishment with more fun factors in physical education are indicated.

      •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윤미경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초등체육수업 활성화에 보탬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 2011년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을 모집단으로 임의추출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4개에서 각각 120명씩 총 480명을 선정하였다. 수집자료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 분석에 사용된 430부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스포츠유능감,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을 참여한 초등학생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체육수업 인식도는 흥미인식, 분위기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 인식도에서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 유무에 따라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신체적 자기개념은 체육수업 인식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흥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연성, 신체전반, 건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요인에서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목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존중감, 신체활동, 지구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비 참여자들은 유연성 요인에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분위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전반, 체지방, 유연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비 참여자들은 신체전반, 외모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교사평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존중감, 신체전반, 근력, 외모, 지구력 순으로 나타났다. 운동 비 참여자들은 자기존중감, 스포츠유능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많은 관련 변인들에 대한 인과적 관계의 탐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초등학교 방과 후 스포츠 활동 변인들과 개인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운동참여 정도와 참여유형에 따라 자기개념과 체육수업 인식도의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