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농촌에서의 베트남인 계절노동자 연구 : 철원군과 베트남 동탑성의교류 사례

        도 타이 탄 항 韓國學中央硏究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93

        EPS-Employment Permit System (Visa E-9) is a program which has started since 2004, for foreigners to work in Korean agricultural sector. However, the EPS Program was designed only for permanent work,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not able to respond flexibly to temporary large-scale workforce supply and demand. For this reason, Ministry of Justice has prepared a new system called Seasonal Working Program to solve the problem of manpower shortage in peak season. However, until now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the Seasonal Working Program in comparison with the long-established EPS Program. Or even though there are researches, there is a limitation that most researchers have just focused on the position of Korean farmers and Korean .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f seasonal workers, focus on the workers who entered Korea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heorwon County and Viet Nam Dong Thap Province. Based on these problems , this thesis aims to figure out what is the limitations or deficiencies in the current seasonal labor system in the process of cooperating with foreign government and find out about a method of solving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literature search and field survey were used together. In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ers reviewed and examinated various statistical datas and reports of Korea and Vietnam's public institutions and regulations regarding seasonal working program. In addition, this paper conducted a field survey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12 seasonal workers from Vietnam Dong Thap province, who worked in Cheorwon’s farms in 2018 by depth interview method. Specifically, the migration process of the workers was divided into pre - migration, migration, and returning to the home coun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Korea, in 2015 Seasonal working program began as a pilot project, and then it has expanded officially since 2017.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Vietnamese government, Korea’s seasonal working program was just introduced as a pilot project from January 2018. After 2 years, it will be decided whether to expand or stop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evaluation.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migration experience of seasonal workers who worked in Cheorwon’s farms and then returned to Vietnam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s result. They are divided in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policies and regulations of the two countries and internal factors that started from the workers by themselves. And then this study put focus on the seasonal workers’s working conditions and life experiences while working in Korean farms. Workers' evaluations and opinions are quite variou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work intensity, working hours, wages and benefits among farms. On the whole, they evaluated that only their working hours were long, but the labor contents were not difficult. Furthermore, Cheorwon farmers also provided accommodation for their workers. Most of them stayed in the old house of the farmer, or in prefabricated containers, community hall, or room for rent. Most of the workers cooked their dishes very simply because they wanted to save the cost of living. Most seasonal workers did not have much contact with local people due to linguistic, financial, and time barrier. They tended to choose leisure activities which can enjoy in their accomodations. Lastly, the survey found that the workers were satisfied with the wage they earned in Korea because it was much more about 5-6 times than their income at home country. About applying Korea ‘s technology, it is difficult for them to apply immediately the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y after returning to Vietnam because the cultivation condition between two countries are different. However, the most precious lesson for the Dong Thap workers Cheorwon farmers's agricultural consciousness. In the future, this effect will surely improve the agricultural level of peasants in the process of agricultural reform in Dong Thap Province. Instead of requiring the workers imitating exactly Korean lifestyle or agricultural models, their awareness and their way of thinking changed more positively and progressively than before was also a good sign. Because this paper has just researched based on interview contents of only 12 Vietnamese seasonal workers,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could not evaluate generally. In addition, if questionnaire investigation method was used, it can bring an overall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ever,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follow-up studies which related to seasonal working program or seasonal workers. 한국 농업부문에 외국인들이 취업 가능한 경로는 2004년부터 시작된 고용허가제(비자 E-9)가 있다. 하지만 고용허가제는 상시근무를 전제하기 때문에 일시적 대규모 인력수급에는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런 이유로 농번기에 고질적인 인력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5년 부터 법무부는 새로운 제도인 계절노동제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오래전부터 운영되어왔던 고용허가제에 비해 계절노동제에 대해 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록 연구가 있다고 해도 대다수 연구자가 농장주나 한국 지자체의 관련 담당자 입장에 초점을 두어 연구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철원군과 베트남 동탑성의 협력을 통해서 입국한 노동자를 중심으로 하여, 계절노동자를 둘러싼 사회 적·경제적 측면을 탐구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토대로 그동안 외국 지자체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현행 계절노동제에 어떤 한계나 미비점이 존재하고 있는지, 무엇을 개선해야 할지 파악한 후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 및 현지 조사를 함께 활용하였다. 문헌 조사에 서는 한국과 베트남 관련 공공기관의 각종 통계자료 및 보고서를 검토하 고, 계절노동제에 관한 관련 부처의 규정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면서 2018년에 철원군에서 농사일 하는 베트남 동탑성 출신 계절노동자 12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주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현지 조사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노동자의 이주과정을 이주 전, 이주 중, 본국 귀환 세 단계로 각각 나누어 해당 단계별 질문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국에서 2015년 계절노동제가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이래 2017 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 반면 베트남 정부의 결의에 의하면, 2018 년 1월부터 한국의 계절노동제가 시범사업으로 도입되었을 뿐이다. 2년 후에 가서야 그간 성과의 평가에 따라 제도를 확대 실시할 건지 중단할 건지 결정을 내릴 것이다. 둘째는 철원군에서 일했다가 베트남으로 귀향한 동탑성 계절노동자에 관한 심층 면접 내용을 바탕으로 그들의 이주경험을 분석했다. 이주 전에 그들의 이주 결정에 영향을 끼친 주요 요인으로, 구체적으로 양국의 정책과 규정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과 노동자 본인으로부터 시작된 내부적 요인이 있다. 그 다음 한국 농장에서 일하는 동안의 노동 조건과 생활경험에 초점을 두었다. 농가 상황에 따라 노동자의 업무강도, 근무시간, 임금 및 수당 등차이가 있기 때문에 노동자의 평가와 의견이 다양하다. 그러나 대체로 동탑성 노동자들은 그들의 노동시간이 길 뿐이지, 노동내용은 어렵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나아가 철원에서 계절노동자를 고용하던 농가는 숙박을 제공 했다. 다수의 노동자들은 농장주의 옛집이나 조립식 컨테이너·마을회관·월세 방에서 머물렀다. 노동자들은 생활비를 아끼면서 입맛에 맞는 음식을해 먹을 겸, 대부분 소박하게 직접 요리를 해 먹었다. 동탑성 계절노동자 들은 대부분 언어적·재정적·시간적 제한으로 외부사람과의 접촉기회가 많이 없었으며, 숙소에서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조사 결과 본국에서 벌었던 수입보다 약 5~6배나 더 많았기 때문에 노동자들이 이 임금에 만족했음을 표했다. 선진 농업기술 탐색의 효과에 있어 양 지역의 재배 현황이 상이하므로, 베트남 귀국 후 한국기술을 바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동탑성 노동자에게 가장 큰 배움은 철원군 농가의 농업의식이다. 앞으로 동탑성의 농업개혁과정에서 농민 의 농업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탑 노동자에게 한국의 생활방식 또는 농업모형을 똑같이 베껴 쓰라고 요구하기보다는, 그들의 일상과 사고방식이 이전보다 더 긍정적·진보적 방향으로 조금이나마 변화되기만 해도 기뻐할 만한 일이라고 본다. 본 논문은 베트남인 계절노동자 가운데 12명에 국한하여 질적 사례 방법을 실시하였으므로, 모든 계절노동자들을 포괄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 다. 또한 심층 면접과 더불어 정량분석인 설문지 조사 방법을 더 활용했더 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계절노동제도 또는 노동자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진행하는 데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주제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Với chương trình tuyển dụng EPS (visa E-9) được triển khai từ năm 2004, người lao động nươc ngoài co thể tham gia làm việc trong lĩnh vưc nông nghiệp tại Hàn Quốc. Tuy nhiên hạn chế lớn nhất của chương trình EPS là chỉ co thể đáp ưng nhu cầu nhân lưc cho các ngành nghề co tính chất ổn định quanh năm. Vì lý do này mà tư năm 2015 Bộ tư pháp Hàn Quốc đã triển khai thí điểm thưc hiện chương trình mơi, đó là Lao động thơi vụ trong lĩnh vực nông ngư nghiệp (visa C-4). So với chương trình EPS, Lao động thơi vụ vẫn là một chương trình mơi, do đó hiện nay chưa co nhiều nghiên cưu đươc thưc hiện liên quan đến chương trình này. Hoặc nếu cou chỉ được thực hiện dựa trên ̀ góc nhìn từ cán bộ phu ̣ trách và chủ nông trại Hàn Quốc mà thôi. Vậy nên trong bài nghiên cứu này, với việc đặt trong tâm vào trường hợp hợp tác giữa Cheorwon và Đồng Tháp, tác giả sẽ tập trung đến lập trường của người lao động nước ngoài. Đồng thời, từ kết quả nghiên cứu, tác giả sẽ đưa ra các kiến nghị nhằm cải thiện những điểm chưa hoàn chỉnh của chương trình còn tồn đọng trong thời gian thực hiện vừa qua. Điều tra tài liệu và phỏng vấn điền dã là hai phương pháp nghiên cứu chính được sử dụng trong luận văn này. Về điều tra tài liệu, tác giả đã thu thập các thống kê, báo cáo, quy định thực hiện, ... của các cơ quan nhà nước Việt Nam và Hàn Quốc có liên quan. Về phỏng vấn điền dã, tác giả đã tiến hành phỏng vấn 12 lao động Đồng Tháp, là những người đã tưng làm việc tại các nông trại ơ ̉ Cheorwon trong năm 2018. Mục đích phỏng vấn nhằm tìm hiể sâu về kinh nghiệm di trú của người lao động. Nội dung phỏng vấn được chia làm ba phần chính, trước – trong – sau di trú. Kết quả nghiên cứu được tổng kết như sau. Thứ nhất, ơ ̉ Hàn Quốc chương trình Lao động thời vụ đã được thí điểm từ năm 2015, chính thức thực hiện từ năm 2017. Còn tại Việt Nam, theo nghị quyết của Chính phủ, chương trình được thực hiện thí điềm từ năm 2018. Sau 2 năm, tùy thuộc vào đánh giá hiệu quả hoạt động, Chính phủ sẽ đưa ra quyết định mơ ̉ rộng hoặc dừng lại. Thứ hai, dựa vào nội dung phỏng vấn sâu, tác giả đã phân tích kinh nghiệm di trú của người lao động. -Ở giai đoạn trước khi đi Hàn Quốc, các yêu tố bên ngoài-chính sách và quy định của hai nước, và các yếu tố bên trong-hoàn cảnh cá nhân của người lao động, chính là hai yếu tố chính đã ảnh hưởng đến quyết định di trú của ho. -Tiếp theo tác giả đã tìm hiểu kinh nghiệm làm việc và trải nghiệm sinh hoạt tại Hàn Quôć của người lao động. Về kinh nghiệm làm việc, nhìn chung thì đa sô người lao động đều cho rằng tuy thơi gian làm việc dài nhưng nội dung công việc không khó. Còn về điều kiện sinh hoạt, các nông gia đều cung cấp chỗ ở cho người lao động nước ngoài. Để tiết kiệm thời gian, chi phí và tránh lạ miệng, đa phần người lao động sẽ tự nấu ăn một cách đơn giản. Do hạn chế về mặt ngôn ngữ, kinh tế, thời gian nên người lao động không có nhiều cơ hội tiếp xúc với người dân bản địa nhiều. -Sau khi tham gia chương trình Lao động thời vụ, người lao động thể hiện sự hài lòng với mức lương (gấp 5~6 lần so với Việt Nam) đươc nhận ơ Hàn Quốc. Về phương diện học tập kĩ thuật nông nghiệp tiên tiến, do điều kiện canh tác ở hai quốc gia khác nhau nên rất khó đê người lao động áp dụng ngay các kĩ thuật này vào thực tế tại quê hương. Tuy nhiên, bài holớn nhất chình là ý thức nông nghiệp của các nông gia Cheorwon. Tác giả tin rằng chính điều này sẽ đóng góp hiệu quả vào quá́ trình tái cơ cấu nông nghiệp của Đồng Tháp trong tương lai thông qua việc nâng cao ý thứ c về tiêu chuẩn nông nghiệp của nông dân. Các hạn chế còn tồn đọng trong bài nghiên cứu này nằm ơ số lượng mẫu vẫn còn khiêm tốn và phương pháp nghiên cứu chưa đa dạng. Mong rằng các bài nghiên cứu sau sẽ khắc phục được nhươc điểm này. Hy vọng rằng luận văn này sẽ được sử dụng như một tài liệu tham khảo cho cácnghiên cứu sau.

      • 지질공원과 지역정책간의 관계 연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철원권역을 중심으로

        김기업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60

        지질공원과 지역정책간의 관계 연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철원권역을 중심으로 김기업, 강원대학교 대학원 지질학과 세계지질공원이란 특별한 과학적 중요성, 희귀성 또는 아름다움을 지닌 지질현장으로서 지 질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고고학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도 함께 지니고 있는 지역 으로 보전, 교육 및 관광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함을 의미한다고 유네스코에서 정의하고 있다. 철원군은 연천군 및 포천시와 함께 2020년 한탄강을 중심으로 하는 현무암 분포지역과 주변을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 받았다. 철원군의 지질명소는 고석정, 직탕폭 포, 삼부연폭포, 샘통(용천수), 소이산(용암대지), 송대소, 평화전망대(용암 기원지) 등 7개소이 며, 연천군 10개소 및 포천시 10개소(1개소 행정구역 중복 포함) 등 총 26개소이다. 지금까지의 지질공원 관련 연구는 지질학적 가치 증명과 공원지정 및 활용방안에 대한 연 구가 대부분이다. 지질공원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연구는 미흡하며, 특히 지질공원의 경제적 가치와 이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과 이를 고양하기 위한 지역정책 에 대한 평가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원지역 지질공원의 경제적 가 치를 평가하고 지역주민들의 인식과 지자체 정책에 대한 평가와 함께 향후 지역정책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철원지역 지질명소에 대한 현장조사와 함께 7쪽 19개 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 여 철원지역의 각급 기관과 주민들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내용은 지질공원의 인지 여부, 방문여부, 지역발전 도움여부, 도움이 되는 이유 및 분야, 잘하는 또는 잘 못하는 정책, 지질공원 활용프로그램의 필요성, 재원마련을 위한 기부 또는 자원봉사 여부 등이다. 총 1,500 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에 유효설문지 1,011부를 분석하였다.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0.3% 포인트이다. 철원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지질공원 인지도는 83.9%이며, 방문경험도 77.3%에 이르지만 16.1%는 인지하지 못하고 만족도도 낮았다. 특히 지질명소가 없는 읍면의 경우에는 더욱 낮았 다. 주민들의 87,1%는 지질공원이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며, 경제적인 발전, 문화적 위상, 애향 심과 자긍심을 향상시킨다고 생각한다. 지질공원 제도에 가장 도움을 받은 지역은 동송읍이며 도움되는 업종(품목)은 음식점, 숙박업소, 관광기념품, 농특산물 순이다. 잘하는 정책으로 환경 관리를 꼽았으나 잘하는 정책이 없다는 답변도 무려 31.1%에 달한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잘 못하는 정책은 소득증대와 홍보로서, 앞으로 중점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 다. 지질공원 관련 프로그램 소요비용을 자발적으로 기부하겠다는 주민은 60.2%, 안하겠다는 40.2%이고, 자원봉사는 51.5%, 안하겠다는 48.5%로 과반이 조금 넘는 수준이다. 기부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기부금 말고 다른 수단을 강구하거나 강원도 또는 철원군이 책임지고 수행하거 나 혜택을 받는 주민들만 기부해야 한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설문문항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문항에 답변하고 더하여 자신의 의견을 진솔하게 직접 적어준 주민들이 많다. 이들이야말로 철원지역을 사랑하고 발전을 기원하는 마음에서 진 정성 있게 기술한 것으로 각급 행정 및 기관들은 정책수립 시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지질공원 은 지질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자연경관, 생태계, 문화자원 등 다양한 요소를 보유하고 있어 지 역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천혜의 자원을 지속가능하게 개발 및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질학적 가치를 보전하면서 친환경적으로 개발하고, 지역사회와 주민의 참여와 협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정책수립과 운영과정을 주민들에게 투명하게 제시한다면 기부와 봉사가 더욱 많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주 민들이 생각하는 개발방식은 최근 대두되는 ESG경영과 맞닿아 있다. 비록 환경(E), 사회(S), 거버넌스(G)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궁극적으로 ESG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행 정 및 관련 기관에서는 이들 의견을 정밀히 모니터링하고 스크린하여 정책개발시 반드시 반영 하여야 하겠다.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주민참여와 협력이 필수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관련 프로그램에 얼마나 기부 또는 자원봉사를 하겠는지 지불의사를 파악했다. 기부와 자원봉사 의 향은 지질공원이 지역발전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긍정집단일수록, 잘하고 있는 경제정책 수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지질명소와 가까울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큰 것으로 분석되었 다. 가구당 연간 평균 기부금은 31,224원이고 봉사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335,802원이다. 이 를 철원군 전체 세대에 적용하면 매월 631백만원과 연간 7,569백만원의 경제적 이익을 지역에 줄 것으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편익은 지질공원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치가 높고 그만큼 큰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지질공원 관련 지역정책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질공 원의 가치에 대한 주민의 이해와 인식변화 노력이다. 이를 위해 주민, 특히 학생들을 초청한 투어프로그램과 체험기회 등을 제공해야 하겠다. 둘째, 홍보정책의 확대와 디지털화 노력이다. 정책의 성패는 홍보에 달려있다. 관내는 물론 국내 및 국외에 대한 홍보를 다변화하고, 특히 4 차산업혁명 및 웹3.0시대에 맞는 지능정보와 감성중심 휴먼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고 향사랑기부제도의 시행에 따라 주상절리길 입장권이나 지역체험, 휴양, 관광, 레저스포츠 프로 그램 이용권을 답례품으로 제공함으로써 지역방문을 유도하고 관계인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효성 있는 경제정책 추진이다. 지질공원으로 인해 지역의 브랜드가치가 올라가고 관광 객이 많아지는 등 문화적 자긍심이 생기는 것도 좋지만, 지역주민들은 직접적으로 주민경제에 도움이 되기를 원한다. 이를 위해서 경제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콘텐츠 개발, 지역상품과 연계프로그램 개발, 접근성과 편의성 개선, 홍보마케팅 강화 등이 필요하며, 주민의 직접적인 소득증대와 일자리 창출로 연계해야 하겠다. 넷째, 타깃별 맞춤형 정책 추진이다. 읍면별로 혜 택이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안보관광, 생태관광, 농촌관광, 축제, 음식 등 지역연계 맞춤정 책의 발굴이 요구된다. 대외적으로는 방문객의 연령, 방문목적, 가족, 단체, 학생 등 부류별 맞 춤프로그램 개발과 가이드 관광을 통해 철원지역의 가치를 명확히 알려서 재방문을 유도해야 하겠다. 다섯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이다. 지질학적 가치의 고양, 환경친화적 개발, 주 민참여와 협력, 투명한 운영 등이 요구된다. 즉, ESG경영 개념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하여야 하 겠다. 여섯째, 지질공원의 대중화 노력이다. 우리가 보는 산과 들과 강, 매일 사용하는 핸드폰, Eh동차, 주택, 도로 등 거의 모든 일상용품과 시설들이 지질자원으로부터 얻어지고, 지구상에 서의 지질현상에 따른 산물이다. 일반국민들에게 좀더 다가가기 위하여 쉽고 재미있는 일상의 언어와 그림과 사진으로 안내판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지질공원해설사의 전문성을 높여 보다 쉽고 재미있고 유익하게 해설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여야 하겠다. 지역발전은 어느 한가지 정책만으로 이뤄질 수 없다.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연계하고 환경 친화적으로 개발하며, 행정과 지역사회 및 주민들이 거버넌스를 형성하여 함께 노력할 때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 위에 제시한 정책들을 창조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하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뒤따라야 하겠다. □ 핵심주제어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철원군, 지역정책, 지속가능 지역개발, 지불의사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oparks and Local Government Policies - Case Study in Hantangang UNESCO Global Geopark (Cheorwon area) Kim - Key Up, Department of Geolog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UNESCO defines a global geopark as a geological site with special scientific importance, rarity, or beauty and has ecological, archaeological,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promoting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conservation, education, and tourism. Cheorwon-gun, along with Yeoncheon-gun and Pocheon-si, was certified as the "Hantangang UNESCO Global Geopark" in 2020 for the basalt distribution and surrounding areas around the Hantangang River. There are seven geological attractions in Cheorwon-gun, including Goseokjeong, Jiktang Waterfall, Sambuyeon Falls, Samtong (Gush-out Water), Soisan Mountain (Cheorwon Lava Land), Songdaeso, and Cheorwon Peace Observatory (Lava Origin). There are a total of 26 locations, including 9 in Yeoncheon-gun and 10 in Pocheon-si.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geoparks so far have been about providing proof of geological value, park certification, and utilization plans. Research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 important function of geoparks, is insufficient. In particular, there is no research on the economic value of geoparks,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and regional policies to improve them. In this study, the consciousness, willingness to pay, regional policy evaluation,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gional policy of Cheorwon residents for the geopark were proposed. In addition to field surveys on geosites in the Cheorwon-gun area, surveys were conducted on various institutions and local residents. The survey includes recognition of geoparks, visits to geoparks, help with regional development, reasons and areas for help, policies that aregood or bad, the need for programs to utilize geoparks, and donations of financial resources or volunteering. 1,5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1,011 copies of the recovered effectiv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e confidence level is 95% with a sampling error of 0.3% points. Among the local residents of Cheorwon-gun, 83.9% know about the geological park and 77.3% have visited, but 16.1% do not know it and have low satisfaction. Areas without geosites are especially lower. 87.1% of residents think that geoparks are helpful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improve economic development, cultural status, affection, and pride. Environmental management was cited as a good policy in relation to geoparks. On the other hand,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31.1% of residents who think that there are no good policies. Regional policies that are not good are related to income growth and public relat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romoting these policies. Among the residents, 60.2% said they would donate to geopark-related programs and 40.2% said they would not. Meanwhile, 51.5% of the residents said they would volunteer and 48.5% said they would not. The reason for not donating should be done in a different way, by administration, or only by benefiting residents. Geoparks are resources with great potential to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In order to develop these resources sustainab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m environmentally while preserving geological value, and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local communities and residents should follow. In addition, if local policies are transparently disclosed to residents, there will be more donations and services. The development method proposed by residents is related to the recently emerging ESG management method. Although the terms environment (E), society (S), and governance (G) are not used, they ultimately pursue ESG management. The administration and related agencies must closely monitor and screen these opinions and reflect them in their policies.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residents are necessar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know this, the willingness to donate or volunteer was determined. Willingness to donate and and volunteer was greater, and this is related to more positive groups, more good policies, higher the education level, residing closer to geological attractions, and higherage groups. Geoparks are estimated to bring an average annual economic profit of 7,569 million won per household. Through economic benefits, it can be seen that residents expect a lot and value geoparks. The regional policies related to geopark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must deeply understand geoparks and change their perceptions. To this end, tour programs and experience opportunities that invite residents and students should be provided. Second, promotion policies should be expanded and digitize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nd to have intelligent information, sensitivity, and dormant policies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Web 3.0 era. In addition, as a return gift for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an "entry ticket to the Jusangjeolgil" should be provided to induce visits and make it a related organization. Third, there should be an effective economic policy promotion. Local residents want to be of direct economic help through geoparks. Income growth and jobs should be created by building infrastructure, content development, developing local products and programs, improving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nd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marketing. Fourth, customized policies should be pursued. It is imperative to find customized policies such as security tourism, ecotourism, rural tourism, festivals, and food so that benefits are evenly distributed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programs for each category, such as the age of the visitor, the purpose of the visit, and whether they are a family, group, or a student. Revisits should be increased by informing the value of the region through guided tourism. Fifth, effor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needed. Elevation of geological value, environmentally friendly development,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nd transparent operations are required. Sustainable development of ESG management concepts is also required. Sixth, efforts to popularize geological parks are needed. Information boards should be made with easy and interesting everyday language, pictures, and photos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understand them well. The capabilities of geopark commentators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they can be explained easily, fun, and informally. It is said that children are raised by the whole village. Regional development cannot succeed with just one policy. Sustainable development is possible when working together, such as linking various resources, develop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evelopment, and forming community governance. Research on ways to creatively discover and strongly promote the policies presented above and further improve them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should be followed.

      • 고등학생들의 이성교제 실태에 관한 연구 : 철원군 소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선형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29

        현대 사회는 사회변동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청소년의 성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은 증대되고 있으나 성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가 육체적인 성장에 맞추어서 조화롭게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조화롭지 못한 청소년의 성적 발달과 정서적 발달은 이성교제에 있어서 잘못된 결과를 초래한다. 지역의 특성과 시대적 상황, 성별의 특성이 청소년의 이성교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지역별, 연도별, 성별, 학년별로 구분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건전한 이성교제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철원군에 있는 인문계 남녀 고등학교 2개교(600명)에서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기재가 누락된 것을 제외한 272부를 실제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최종자료 분석에 사용된 질문지 272부로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성교제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앞으로 청소년의 건전하고 바람직한 이성교제와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성립시키고자 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되기를 바라면서본 연구의 문제를 제시한다. 1. 조사 대상자들의 이성관과 이성교제 실태를 파악한다. 2. 성별에 따른 이성관과 이성교제 실태를 파악한다. 3. 학년별에 따른 이성관과 이성교제 실태를 파악한다. 4. 지역에 따른 이성관과 이성교제 실태를 파악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이성교제를 필요로 하고 있었고 71% 정도의 학생이 이성교제를 경험하였다. 2. 이성교제에 대한 충동을 느낄 때는 외롭고 쓸쓸할 때라고 응답했다. 3.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이성친구와는 결혼할 의사가 없다. 이성친구와의 성경험도 키스까지만 허용한다. 4. 이성친구로서의 이상형은 성격과 외모를 보는 경향이 크고 결혼 상대로서의 이상형은 경제적인 능력과 돈을 많이 갖고 있는 이성을 선택한다.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경제적인 능력을 갖춘 결혼 상대자를 찾는다. 5. 신체적인 접촉에 있어서는 대화나누기(33.5%)가 가장 높게 응답했고 다음으로 키스하기(29.9%)가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경험을 많이 한다. 6. 농촌지역의 고등학생이 대도시의 고등학생보다 이성친구와 잦은 만남을 갖고 이성교제 경험과 성 경험도 높게 나타났다. 7. 여학생은 친밀감이나 감정의 교류를 목적으로 이성 친구를 사귀고 남학생은 주로 이성에 대한 성적 호기심과 실험해보고 싶은 성욕구로 이성 친구를 사귀는 경향이 있다. 앞으로 현장 연구를 통해서 청소년의 이성교제에 의해서 나타나는 심리적·정서적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남학생과 여학생이 서로의 마음을 언어로 표현하고 서로의 심정을 알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바라면서 차기 연구의 과제로 제시한다. As society rapidly changes and develops, teenagers'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sexuality is also on the rise; however the teenagers' knowledge or attitude in relation to sexual organs does not match their physical growth. Teenagers' inconsistency in their sexual and emotional growth has brought about a wrong outcome in love relationships between opposite sexes. The characteristics of an area,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or gender peculiarities greatly influence teenagers' love relationships. Therefore a study taking into account and divided according to area, time, gender, and academic level has been carried out and is to be followed by a presentation of a proposed plan of improvement for opposite sex relationship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2 of Cheol Won district's boys and girls' humanities highschool by conducting a survey among 300 students from among the schools' 600 and, apart from lost documents, 272 examples were used. The 272 questionnaires used in the analysis of the final document used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o analyze the gathered information on the state of intercourse between students of different sex. In the hope that this document proves necessary in the establishment of a righteous value regardinghealthy and desirable love relationships and sex do I present the main points of this research: 1-Determine the state of sexual concepts and lo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of differing gender. 2-Determine the state of sexual concepts and lo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of different sex according to gender 3-Determine the state of sexual concepts and lo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of different sex according to academic level 4-Determine the state of sexual concepts and lo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of different sex according to area. A resum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The majority of teenagers needed relationships with a partner of different sex; andabout 71% of them experienced such intercourses. 2-Students responded that when the urge for a love relationship was felt, it was a lonely and cheerless period. 3-Most teenagers have no plans of marrying their boyfriend/girlfriend. The sexual(love) experience with those boyfriend/girlfriend go only as far as a kiss. 4-The tendency to view an ideal boyfriend or girlfriend based on looks and character is dominant, and the ideal marriage partner is viewed according to how wealthy or financially stable a person is. Girl-students seek for a financially stable partner more than do boy-students. 5-Regarding love experience, dialogue(33.5%) responded highest, with kissing(29.9%) following second. Boys have more love experiences than girls. 6-High school students from rural areas meet oftener with their boyfriend/girlfriend than do their city counterparts, and they also have high levels of love relationships and experiences. 7-There is a tendency for girl-students to engage in love relationships in order to find intimacy and exchange feelings, while boy-students tend to engage in love relationships out of sexual curiosity and a desire for sexual experimentation. I hope that through field research, a study that analyze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of young people regarding love relationships can be realized. Wishing that a sex education program allowing male and female students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get to know one another's heart can be developed, I present this wish as the theme of my nex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