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6학년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창작동요 분석 연구 : 2005년 MBC, KBS 창작동요제 입선곡 중심으로

        안진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동요는 어린이들의 순수한 마음을 담아 노래함으로써 세상을 아름답게 바라보게 하고 삶을 즐겁게 한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새로운 동요가 많이 창작되어서 그들에게 불려짐으로 인하여 동요는 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대중음악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들을 현장에서 지켜보면서 이들의 정서에 맞는 동요를 제공해 주어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고, 따라서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창작동요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동요’라는 틀 속에서 최대한 이들에게 맞는 노래가 창작되어 어린이들의 전인적 발달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05년에 발표되었던 MBC, KBS 동요제 입선곡을 중심으로, 26곡에 대한 선호조사를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호조사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이 선호하는 곡은 75% 정도로 비슷한 견해를 보였으며, 선호하는 동요곡의 음악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본적인 조성, 박자, 리듬, 가락, 음역, 형식, 빠르기, 노래형태, 화성, 가사내용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은 6학년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창작동요곡들을 분석한 내용이다. 첫째, 주로 장조의 경쾌한 느낌이 많았으며 4/4박자와 6/8박자 곡을 선호 하였다. 그리고 점음표와 당김음 리듬을 많이 사용하고, 가락은 도약진행과 반음계적인 선율로 곡의 난이도가 높아졌다. 둘째, 음역은 어린이들이 부르기에 무리 없이 무난하였다. 셋째, 형식은 확대된 두도막, 벗어난 세도막 형식과 같이 벗어난 형식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전주, 간주, 후주가 있는 곡을 좋아했다. 넷째, 빠르기는 느린 것보다 주로 빠른 곡을 선호하였다. 다섯째, 노래형태는 독창곡보다 중창곡을 더 선호하였다. 여섯째, 화성은 주요3화음 외에 6, 7, 9, 11, 13 화음, 반음계적 화성, 감화음, 증화음 등 화성적 색채가 풍부한 곡을 좋아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사내용은 어린이들의 생활이 담긴 내용으로, 흥미롭고 호기심을 불러일으킬만한 소재와 언어 등을 좋아하였다. Children's song expresses pure heart of children. So, it makes the children regard the world with beauty and live with amusement. Therefore, many children's song should be created with activity and sung by children. While I've watched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popular song, I felt the need of a song to their fe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a cheerful and helpful song which is created suitably for the children. Also, I hope these songs are helpful to children's education for the whole man. I selected some songs awarded prizes at the contest for creative children's song by MBC, KBS. And I conducted a survey of preference on the sixth grad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n, I analyzed preferred creative children's songs with priority given to beat, rhythm, melody, range, form, tempo, harmony, lyrics of a song and so on. The result of such research was like about 75% between girls' opinion and boys' opinion. The contents of analyzing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jor keys which are cheerful. And four-fourths time or six-eights time is preferred. The dotted note and syncopation's rhythm are used a lot. The tones are skip melody and chromatic scale. So,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song is raised. Second, the range is easy for children to sing. Third, free form is preferred, like expanded two part and irregularly song form Also, children liked the song which has prelude, interlude, codetta. That is, they preferred the song which is like popular song to children's song which is short. Fourth, children liked a tune of Moderato, Allegretto, vocal ensemble. Fifth, they preferred the song which has variation of chordal. Next, the harmony that is not only essential harmonies but also a song full of brilliant brush stroke. Such as the 6th, 7th, 9th, 11th, 13th chord, chromatic harmony, diminished chord, augmented chord etc. In conclusion, they liked lyrics of a song which is interesting, curious and bright.

      • 창작국악동요의 특징과 경향에 관한 분석 연구 : 2007~2011년 입상곡을 중심으로

        김은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usic curriculum of 2007 suggests that Korean classical music should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be emphasised by : the qualitative advancement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However, most current lessons on Korean classical music generally utilize traditional children songs, and many children can't understand the feeling and the contents of those songs. So Korean children song composed by traditional idioms can be an alternative as new music an experience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ngs(52 songs) that received a prize in the last 5 years, and to compare and to analyze the tendency of the songs by the advanced research.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s that received a prize in the last 5 years in Korean children song's Festival hosted by the National Center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alysis on the literary elements is focused on the topics by the lyrics and the title, and on the rhythm in the lyrics. Analysis on the musical elements is focused on the rhythm, duration, melody, form, and et cetera by the content system of the music education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7.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subject matter of the lyrics is simple and has limited range. However, the lyrics are trying to reflect the times or the learning. Secondly, rhythm and duration of the songs lean to one side. Thirdly, there are many songs that is used the heptatonic scale frequently. Fourthly, very few songs used Sigimsae. Fifthly, many songs used the call and responsorial form. Sixthly, the style of the accompaniment and the aspect of using prelude, bridge, and postlude made song as a western song. Lastly, There is a change in entering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 Festival. In conclusion, Korean children song that is created by the basis on the traditional idioms should be found and be made in that way to discover of the Korean classical nursery thyme. In addition, the songs that received a prize at the festival should be included in textbooks to utilize Korean children song. Through Korean children song, children can experienc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make positive attitude to the traditional music, enjoy and love traditional music. Keywords: Korean children song 2007 음악과 개정교육과정은 ‘국악 교육의 질적 제고’라는 개정 중점에 따라 음악과 교육과정에 국악 학습 내용을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재 국악 수업은 대부분 전래동요나 민요 등 전통 국악곡을 활용하는 수업이 일반적이고, 현대 아이들은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며 정서적 괴리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현대 아이들에게 새로운 음악에 대한 경험으로 창작국악동요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 국악원에서 주최하는 국악동요제에서 최근 5년 입상곡(52곡)을 중심으로 창작국악동요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전에 연구되었던 선행 자료를 바탕으로 창작국악동요 입상곡의 창작 경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창작국악동요제의 본 취지대로 우리 고유의 음계와 국악적 기법으로 창작되어진 국악동요를 만들어가는 방향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 나아가 창작국악동요제에 입상한 다양한 곡들을 현대 아이들이 접함으로써 국악에 좀 더 친숙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 첫째, 국립국악원에서 개최하는‘창작국악동요제’의 최근 5년 입상곡(52곡)을 찾아 특징을 분석한다. 창작국악동요의 특징 분석 기준은 문학적인 요소와 음악적인 요소로 나눈다. 문학적 요소에 의한 분석은 제목과 가사를 토대로 소재 및 주제를 나누고, 노랫말과 운율로 나누고 음악적 요소에 의한 분석은 채보되거나 작곡된 악보를 토대로 음악과의 내용체계를 기준으로 크게 리듬, 장단, 가락, 형식, 그 외 기타 특징으로 나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국악동요 가사의 소재가 단순하고 범위가 제한적이다. 하지만 최근 시대상을 반영하거나 학습을 목적으로 한 곡들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장단의 편중 현상이 나타난다. 셋째, 최근 입상한 대부분의 곡 느낌이 서양 음악화 되어 있다. 넷째, 시김새를 표시한 곡이 매우 적다. 다섯째, 가창 방식 중 메기고 받는 형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여섯째, 국립국악원 창작국악동요제 응모 형식이 변화하였다. 지금까지 창작국악동요 입상곡을 문학, 음악 요소별 특징에 따라 분석하고 최근 경향을 살펴보았다. 창작국악동요제의 취지를 두 가지로 볼 때 먼저 ‘국악동요의 발굴’이라는 점에서 우리 고유의 음계와 국악적 기법으로 창작되어진 국악동요를 찾고 또 그것을 만들어가는 방향을 찾을 필요가 있다. 또한 ‘국악동요의 적극적인 활용과 보급’이라는 점에서 창작국악동요제에 입상한 다양한 곡들을 교과서에 수록하는 등 현대 아이들에게 쉽게 접하게 할 방향을 찾을 필요가 있다. 창작국악동요라 함은 여러 다양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우리 음악다움을 살리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창작국악동요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전통음악을 경험하게 하고 우리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여 우리 음악을 즐기고 사랑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유아국악교육에서의 국악동요 수록 현황과 개선방안

        이혜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는 각각 과거와 현재의 어린이들의 생활상을 담고 있고 전통음악을 경험하게 해주는 등 교육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국악곡들을 교사들이 유치원 현장에서 지도할 때에 도움을 얻기 위해 교사용 지도서를 가장 많이 참고한다. 그러므로 교사용 지도서가 유아국악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부 발행 유치원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및 장학자료에 수록된 전래동요 및 창작국악동요의 수록 현황과 음악적 특징 및 이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가에서 비교적 최근에 발행하였고 유아 대상 국악곡 지도방안이 담긴 교사용 지도서를 범위로 한정하여 교육부에서 발행한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유아 전통예술교육 프로그램,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로는 첫째, 유치원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국악동요 수록 현황과 음악적 특징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둘째, 유치원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국악동요 수록곡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셋째, 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 등에 수록된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의 지도 내용 및 음악적 형식을 분석한 결과, 전래동요에서는 기보법, 고착화 우려, 지역적 다양성 부족, 반주 악기 사용에 관련하여 문제점이 나타났다. 첫째, 기보법면에서는 국악 음계에 맞지 않는 조표, 정간보 기보법의 오류, 시김새 표기의 생략 등의 문제가 나타나 수정이 필요하다. 둘째, 오선보 위주의 악곡 제시로 말과 노래의 중간 형태인 전래동요의 음고를 고착화 할 우려가 있다. 실제 채록 음원을 교수 자료로 제공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악보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지역의 전래동요를 고루 수록하지 않았다. 유아들이 지역적 특성을 고루 경험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지역의 동요를 수록하여야 한다. 넷째, 반주악기로 피아노와 장구를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이동이 쉬운 악기 사용, 몸 장단이나 입으로만 부르는 편이 전래동요에 더 적합하다. 창작국악동요는 작곡자의 의도대로 자유로운 양식을 지닐 수 있으나 향유 대상인 어린이의 발달에 맞아야 하며 창작‘국악’동요라는 이름처럼 국악의 양식을 일정 지녀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수록될 만한 대표성을 지닌다는 전제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율 진행, 시김새 사용의 부재, 한정적인 창작자, 장단 표기상의 오류, 부적절한 음역의 문제를 볼 수 있었다. 첫째, 서양음계의 선율진행을 보이는 창작국악동요가 많았는데 국악 음계의 사용으로 국악동요 다운 정체성을 보이는 곡 선정이 필요하다. 둘째, 시김새가 사용된 경우가 보이지 않았다. 감상의 여지 등을 위해 시김새가 반영된 곡도 수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창작국악동요 수록곡의 창작자가 한정적이었다. 보다 다양한 창작자의 곡을 수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일부 악곡의 박자 및 장단 표기에 오류가 있으므로 장단 고유의 강세를 살리기 위해 알맞게 수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일부 악곡에서 유아의 음역대에 맞지 않는 음을 사용하여 음역대에 맞는 적절한 곡 선정이 필요하다. 유아와 놀이 중심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영향으로 기존에 제시되었던 활동자료집 형태의 교사용 지도서 발행은 요원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로 인한 교사의 자율성 강화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국악교육은 더욱 그 입지가 좁아질 우려가 있다. 유아기부터 우리 음악의 근간과 멋을 자연스럽게 경험시켜 줄 수 있고 교사들이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장학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하겠다.

      • 현대동요의 창작 경향에 관한 연구 : 2003년-2007년 창작동요제 입상곡을 중심으로

        임수연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우리나라 현대동요에 나타나는 창작 경향에 대한 연구로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MBC, KBS 창작동요제에서 입상한 110여곡의 창작동요 가운데 음악적 특징이 두드러진 34곡을 선정하여 선율, 리듬, 화성, 형식, 노랫말 등 작곡기법 및 가사의 특징을 중심으로 고찰 하였다. 연구대상이 되었던 곡들의 특징을 요약하면 선율진행에 있어 반음계적 선율과 도약의 사용이 매우 빈번하고, 스윙, 싱코페이션, 붓점 등 이전의 동요들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리듬들이 많이 나타난다. 또한 노래 속에 뮤지컬 같은 극적인 장치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전통 화성학의 이론적 진행보다 작곡가의 감각에 의존한 화성진행이 주된 특징이다. 그리고 반주의 형태에 있어서도 단순히 멜로디에 종속되는 소극적 의미보다는 반주 자체의 음악적 표현력이 한층 증대되었으며 편곡의 중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다. 이 밖에도 형식이나 틀에 제한받지 않는 자유로운 형식의 곡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동안 우리나라 어린이 동요는 어린이들의 다양한 정서적 문화적 욕구에 부응하는 순기능 보다는 교과서에 음악이론과 함께 학년별로 통과의례처럼 몇 곡을 답습하거나 학교 내에서 여가적으로 부르는 교육적 측면이 강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어린이들은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각종 미디어매체의 영향으로 학교에서 배우는 동요보다 일반 대중가요에 더 익숙할 뿐 아니라 유행에도 민감하여 그들 세대만의 시대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변화의 물결을 타고 있다. 이러한 어린이들의 총체적 문화현상을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현대동요이다. 이전과 비교하여 가장 주목할 만한 내용상의 변화는 과거 동요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꿈과 동경을 소재로 하는 이상향적 동심의 세계를 나타내기 보다는 자신의 이야기나 심리적 상황, 인간관계 및 가족구성원 간의 역할을 주제로 한 ‘신변잡기, 일상생활’ 등 점차 그 내용이 다변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의 저변에는 시대감각이 뒤떨어진 과거 동요를 획일적으로 답습시키기는 것을 지양하고 어린이들의 눈높이 시각에서 동시대의 문화현상을 노랫말에 적극 반영하려는 일선교사와 신진 작사가, 작곡가들의 꾸준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노력들은 보수적 색채가 짙은 한국 동요계에 새로운 활력과 변화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첫째, 동요를 창작하고 연구하는데 있어서 어린이의 시각과 어린이의 입장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동요의 대부분은 어른인 작사가나 작곡가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실제 동요문화를 향유하는 주체는 어린이들이기 때문이다. 둘째, 현대 창작동요는 이 시대 어린이들의 모습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적 산물이다. 이에 교육현장에서 창작동요를 보다 효과적으로 포용하고 수용하고자하는 전향적인 태도의 변화가 요구되며 이 논문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창작동요의 경향 분석을 통한 작곡기법 연구 : 2010~2016년 창작동요제 입상곡을 중심으로

        염경아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composing techniques of song awarded Creative Children's Song Contest from 2010 to 2016, focusing on melodies, rhythm, harmony and lyrics. First, the musical features in the melody were the pitches that were sometimes seen or not used in previous agitations, such as the use of neighbouring tone or chromatic passing tone, and the use of a 6th skip and a 5th diminished interval. In addition, non-melodic elements such as narration, chuimsae(rejoinder) and rap are frequently used to add fun to the song and express the parts that can not be expressed by the notes very effectively. Also, the use of short duration, often seen in popular songs, is also seen in the creative children's song of 2010 and later. This requires a more technical technique than using the duration, such as ♩and ♪ in the previous children's song. Second, the musical features in rhythm are divided into melody and accompaniment. The melody adds to the fun of the song through frequent use of syncopation and triplets. In the accompaniment, 4 beat accompaniment patterns, swing, bossa nova, and various rhythms are used in a modified form. Third, the musical feature on harmon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use of altered chord.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change the composition, such as the use of double bars and accidental. Fourth, the musical features shown in the lyrics are a lot of realistic lyrics reflecting the modern age, unlike the previous ones, and express the lyrics with creative pitch and rhythm. Although these new musical techniques are popular, they are expressed as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s to approach the children intimately, and it is becoming a new musical tendency of the creative children's song that appeared after the 2010. Musical techniques should be express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In this flow of change, the creative song composers should apply new musical techniques and contribute music with both popularity and artistry to contribute to the value of creative children's songs. 동요의 음악적 성향은 수요자인 어린이들의 생활 사고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변하고 있다. 동요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어린이들에게 보급된 이후에 지금까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으며, 어린이들의 동심이 표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음악적 기법을 사용하여 발전되어 왔다. 어린이들에게 희망적이면서도 밝고 명랑한 동요를 접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지만 동요는 어린이들에게서 점점 멀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2010년 이전 동요의 다양한 경향분석 이후 관련 연구의 부재 속에 2010년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어린이들에게 널리 알려진 창작동요의 작곡기법 경향분석을 통해 많은 아이들이 즐겨 부르고 들을 수 있는 창작동요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창작동요의 작곡기법 경향분석을 하는 방법에 있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채택하고자 한다. 우선 동요의 의미 분석을 통해 어린이들이 즐기는 문화 예술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창작동요의 성격을 파악한다. 또한 2010년 이전의 창작동요의 변천과정 조사를 통해 그 당시에 많이 불려졌던 동요의 분석연구를 시도해 보고,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창작동요가 어떻게 변화되어졌고, 어떤 곡들이 많이 불려지게 되었는지를 선율, 리듬, 화성의 음악적 기법 및 노랫말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창작동요 작곡기법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창작동요가 어린이들의 동심을 자극하여 대중가요나 만화주제가와는 차별화되지만 시대가 요구하는 감각은 살릴 수 있는 어린이들의 정서와 감성을 표출하는 음악으로 발전하고 어린이들에게 지속적으로 불려짐으로써 명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기법으로는 보조음이나 반음계적 경과음을 사용한 비화성음의 사용과 이전의 동요에서 간혹 보여지던 6도 도약음정 외에도 한 마디 내에 점차적 도약음정의 사용이나 이전의 동요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감5도의 사용 등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도약음정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 비선율적인 요소인 나레이션, 추임새 및 랩과 같은 요소들이 더욱 빈번히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곡의 재미를 더하고 음표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부분을 표현 하는데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의성어나 의태어의 추임새 사용은 더욱 독특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또 흔히 대중가요에서 보여지는 짧은 음가의 사용이 2010년 이후의 창작동요에서도 보여지고 있다. 이것은 이전의 동요에서 ♩나 ♪등의 음가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욱 테크닉적인 것을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화성으로만 쓰여지던 7음의 사용이 멜로디에 직접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선율의 새로움을 추구하기도 한다. 또 재즈적 요소인 블루음계(Blue Scale)를 사용 하기도 한다. 둘째, 리듬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기법으로는 멜로디와 반주의 리듬이 각각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멜로디의 리듬에서는 강세의 변화로 당김음의 리듬이 빈번히 사용됨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한 곡의 특징적인 음악적 요소로 자리 잡기도 한다. 또 셋잇단음표의 빈번한 사용이 곡의 재미를 더해주고 있는데 어린이들이 어렵게만 느끼던 셋잇단음표를 더욱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데에 도움이 되고 있다. 반주의 리듬에서는 일반적으로 4비트의 반주패턴과 스윙, 보사노바 등 다양한 리듬이 변형된 형태로도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곡의 빠르기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빠른 빠르기에서 느린 빠르기로 변화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빠른 빠르기로 변화되거나 느린 빠르기에서 시작해서 빠른 빠르기로 도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곡의 박자에서는 가사변화에 따른 변박자나 이전의 동요에서 보여지던 서정적인 8분의 6박자 보다 왈츠풍의 빠른 8분의 6박자의 표현들도 변화된 음악기법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화성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기법으로는 변화화음의 사용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연결구의 증3화음이나 곡 안에서 증6화음을 사용하기도 하고 부가화음과 변성화음의 사용이나 부속화음과 부감7화음, 부반감7화음 등이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화성들이 자리바꿈을 통해 반주에서 반음계적으로 진행이 됨을 알 수 있다. 조성의 변화도 새로운 음악적 기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겹세로줄을 사용하여 조표의 변화로 표현하기도 하고 조표의 사용 없이 임시표의 사용으로 조성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넷째, 현대 창작동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노랫말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으로는 현 시대상을 반영한 사실적인 노랫말이 상당수였고 또 그러한 노랫말을 선율에서 창의적인 리듬과 음정으로 표현하거나 다양한 음악적 기법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음악적 기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표현되어야한다. 이런 변화의 흐름속에서 창작동요 작곡가들은 새로운 음악적 기법을 적용하고, 대중성과 예술성이 겸비된 음악을 보급하여 창작동요의 가치 상승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국악의 생활화 지도 방안 연구 및 적용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이지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Music Subject in 2015 revised curriculum is a subject which enables students to enjoy music in daily life through musical activities. The emphasis on “Music in Everyday Life” domain has been continued sinc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most schools carry out music classes that center on expressing and appreciating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especially lacks contents regarding “Music in Everyday Lif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analyze the contents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and music textbooks that cover “Music in Everyday Lif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econd study ways to teach “Music in Everyday Lif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applying original Korean children’s songs, and third apply the findings of the study to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ee if it helps in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s “Music in Everyday Lif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19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1 student from inclusive class) of S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ze intensively “Music in Everyday Life” domain and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ntents of 2015 revised music subject curriculum. Second, search for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Music in Everyday Life” contents in 8 textbooks of 5th~6th grade music textbooks that follow the revised curriculum. Third, conduct a pre-questionnaire on students, plan and carry out a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concerning “Music in Everyday Life”, utilizing original Korean children’s songs based on the results. Fourth, conduct a questionnaire after class to compare the results, and analyze them to reach a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terature research on studies that previously covered “Music in Everyday Life” domain and original Korean children’s songs was conducted, and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s “Music in Everyday Life” domain was analyzed. Second, educational value of original Korean children’s songs was looked through, and current status regarding how much “Music in Everyday Life” has been covered in 5th~6th grade music textbook was checked. Third, based on the analysis, a teaching plan for 5 lessons utilizing original Korean children’s songs was designed and applied. Fourth,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tud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clas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nalyzing th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 overall revision present and emphasize “Music in Everyday Lif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the related contents covered in the original texts of the curriculum were given little weight. Second, 5th~6th grade music textbooks covered little about “Music in Everyday Lif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composed of activitie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achievement standards. Third, 5-lesson plan was devised which utilizes original Korean children’s songs for “Music in Everyday Lif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urth, students became interested and their understanding of original Korean children’s songs increased through classes that utilized original Korean children’s song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it diversifies and verifies the effect of teaching “Music in Everyday Lif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studying and utilizing original Korean children’s song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eachers would become interested in “Music in Everyday Life” domain of music subjects, especially “Music in Everyday Lif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us utilize various means to teach students; so that students would be able to enjoy our music in their everyday lives.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음악 교과는 음악 활동을 통해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라고 하였다. 생활화 영역의 강조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학교 현장에서는 표현, 감상 중심의 음악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악의 경우 더욱이 생활화의 내용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 및 음악 교과서에서 국악의 생활화와 관련된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국악의 생활화 지도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초등학교 5학년에게 실제로 적용하여 국악의 생활화 교수·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학생 19명(통합 학급 학생 1명 포함)이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 및 국악 관련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군 음악 교과서 8종에서 국악의 생활화와 관련된 내용을 파악한다. 셋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국악의 생활화 수업을 계획하여 지도한다. 넷째, 수업에 대한 사후 설문을 진행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결론을 내린다.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 및 창작국악동요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생활화 영역을 분석하였다. 둘째, 창작국악동요의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고, 5~6학년 음악 교과서에 ‘국악의 생활화’가 반영된 현황을 파악하였다. 셋째,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5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업 진행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네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분석에 따르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중점에서 음악의 생활화와 국악 교육 강조를 제시하였지만, 교육과정 원문에서 관련 내용은 비중이 작은 편이었다. 둘째, 5~6학년 음악 교과서는 ‘국악의 생활화’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내용이 적으며, 학습활동은 성취기준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국악의 생활화 교육의 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5차시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작국악동요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해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는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하여 국악의 생활화 지도 방안을 연구, 적용해봄으로써, 국악의 생활화 지도 방안 다양화 및 효과 검증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음악 교과에서도 생활화 영역, 특히 국악의 생활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우리 음악을 생활 속에서 즐길 수 있길 바란다.

      •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의 분석 연구

        강소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a result of analyzing by dividing into literary and musical elements targeting 50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and 30 N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this researcher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Regarding the analysis results in the literary elements, the types in themes and materials were all indicated with being evenly distributed in the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but were indicated with being leaned upon 1~2 types in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A type of expression method was mostly possessed by illustration in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and by description in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And, a type in rhythm was mostly possessed by 4ㆍ4 formation and tetrameter both in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and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However, in syllabic meter, the 7ㆍ5 formation, which originated from Japan, was indicated in some of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sical elements, the fundamental tone and final were mostly indicated to be 'la' tone both in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and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And,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showed mostly the form of equal cadence. However, the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were equally shown up cadenceㆍdown cadenceㆍequal cadence. In structural tone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were mostly composed of 3~4 tones. However, the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were the majority in 5-tone composition. And, in the musical scale, both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and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were indicated to be possessed considerably by Mi musical scale. In melody structure,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were the largest in ‘mi-sol-la-do’ and ‘mi-la-do’. And, the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were the largest in ‘mi-sol-la-do-re’, ‘sol-la-do-re-mi’ and ‘la-do-re-mi-sol.’ In rhythm,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were mostly 12/8 beat. And, the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were indicated to be relatively equal. As the above, characteristics in each were indicated to be more expanded and diverse in New-piece Korean Children Songs compared to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ongs. However, the effects of Japan are discovered in several places. In this sense, there should be necessity of re-evaluation and research on traditionality in Korean Children Songs. The Korean Children Songs need to be helpfully used educationally in order to establish identity in our race and to infuse musical native language peculiar to us. To do this, a research on Korean Children Songs will need to be briskly performed. 본 연구자는 전래동요 50곡과 창작국악동요 30곡을 대상으로 하여 문학적ㆍ음악적 요소로 나누어 비교ㆍ분석하였다. 문학적 요소의 분석 방법은 주제, 소재, 표현 방법, 운율 등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제와 소재의 유형에서 창작국악동요는 모두 골고루 분포되어 나타났지만, 전래동요는 1~2개의 유형으로 편중되어 나타났다. 표현 방법의 유형에서 전래동요는 설명, 창작국악동요는 묘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운율의 유형은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 모두 4ㆍ4조형과 4음보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음수율에서 일본에서 유래한 7ㆍ5조형이 창작국악동요의 일부 곡들에서 나타났다. 음악적 요소의 분석 방법은 기음, 종지음, 종지형, 구성음, 음계, 선율 구조, 박자 등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음과 종지음은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 모두 대부분 ‘라’음으로 나타났고, 종지형에서 전래동요는 대부분 동도종지 형태를 보였지만 창작국악동요에서는 상행ㆍ하행ㆍ동도 종지가 골고루 나타났다. 구성음에서는 전래동요는 대부분 3~4음으로 구성되었지만 창작국악동요는 5음구성이 대부분이었고 음계에서는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 모두 미음계가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율구조에서 전래동요는 ‘미-솔-라-도’와 ‘미-라-도’, 창작국악동요는 ‘미-솔-라-도-레’와 ‘솔-라-도-레-미’, ‘라-도-레-미-솔’이 가장 많았으며 박자에서 전래동요는 대부분 12/8박자였고 창작국악동요는 비교적 골고루 나타났다. 위와 같이 각각의 특징이 창작국악동요가 전래동요에 비해 좀 더 확장되고 다양해졌음이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의 영향이 곳곳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점에서 국악동요의 전통성에 관한 재평가 및 연구가 요구되어져야 하는 바이다. 국악동요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 확립 및 우리 고유의 음악적 모국어를 심어주기 위해 교육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국악동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창작동요제 입상곡의 분석 연구 : MBC 창작동요제(1993-2002)를 중심으로

        하승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동요는 아동의 생활과 생각이 반영되어 있는 아동을 위한, 아동이 주체가 되는 아동들의 노래이며, 아동만이 가지는 고유의 꿈과 정서를 예술적 감각으로 표출하는 방법 중 하나로 사람의 평생을 통해 불리어지는 노래이다. 특히 지속적으로 아동들을 위한 동요가 창작되는 나라는 우리 나라와 일본밖에 없으며 동요 중에는 항상 우리 민족과 함께 호흡해온 겨레의 노래라고 할 수 있는 것들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아동들은 동요를 많이 부르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대중매체의 발달로 수많은 음악들이 여과 없이 아동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며, 이는 우리 나라 음악 교육이 과연 아동들의 삶과 생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가를 다시 한번 고찰해봐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창작되어지는 대표적인 창작동요제인 MBC창작동요제의 수상작에 나타난 특징과 경향을 연구하여 아동들에게 더욱 많이 보급되고 불려질 수 있는 바람직한 창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993년에서 2002년까지 MBC창작동요의 수상작에 나타난 특징과 경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악 기법에 나타난 특징은 가사 변화에 적응하는 변박자의 사용, 리듬꼴과 세분화되어진 리듬, 특히 당김음 사용의 보편화, 전래동요 가락의 일부분과 작곡자 자신이 창작한 가락을 함께 부르게 하는 등의 경향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사상에 나타난 특징으로는 대화형식이나, 자유시에 의한 산문 형식의 가사가 새로운 경향으로 나타났고, 역사성을 담은 동요를 통해 과거의 동요와 마찬가지로 현재 창작되어지는 동요들도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점차 틀에서 벗어난 형식이 많아지고 있으며, 동요의 길이가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작곡 또는 피아노를 전공한 작곡가들의 창작으로 다양한 반주형태가 많이 나타났으며, 국악풍의 동요에서는 국악 악기를 사용한 반주도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음악기법과 가사, 형식에서 많은 변화들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한국동요가 모든 부분에 걸쳐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른들의 문화가 대중매체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아동들에게 전달되어지고, 또 동요보다는 어른들의 가요나 만화주제가 등 상업화되어진 노래를 더욱 선호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업성을 제외한 동요보급에 대중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아동들이 창작동요를 많이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창작동요가 아동들에게 더욱 많이 보급되고 불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아동들이 생활 주변에서 보고 느끼는 여러 가지 감정들을 담은 새로운 동요들이 지속적으로 창작되어야 할 것이다. I want to study on the recent feature and trends in Korean children song with intention of propose the proper ways of creative children song. MBC children's songs composition festivals is the most important competition for Korean children's songs. It has a long history and involves a large number of activities. Than I want to develop better ways of composing Korean children's songs by examining recent trends in Korean children's songs these days. For this study, I choose songs which were the wining pieces in the MBC children's songs composition festivals. Which are held between 1993 and 2002. I analyzed the song's trends in technical part, by separating into categories of melody, rhythm, form, tempo and meter. I examined by extracting the special features of form, and the change of song's accompanimental form, more than these, the trends in the words of the songs by studying each song's meaning. During this Processing, abstracted recent trends of Korean children's songs in three categories. First, in technical parts, a form which mixes the melody of an earlier children's song and the composer's own melody, using a method which gives and takes from Korean traditional song, usage changing meter by the form of song's word, variation and sub division in rhythm, and universal usage of syncopation are the recent trends in the composition of Korean children's songs. Second, in form part, the length of song is now longer. Disordering form uses more and more, the form of accompaniment is also varied. Third, the parts of the songs' words , containing create a conditions and these new form which uses a dialogue form and essay which are the recent trends in composing Korean children's songs. The current effects appear so many times, the composing technique is becoming more specialized, and varied forms and songs are now accepted. These can be called the main element of the within techniques used in Korean children's songs.

      • 초등국악창작동요의 효과적 지도방법 연구

        이은실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국악(國樂)은 한국인들이 가진 고유한 정서를 담은 세계의 음악이 되고 있으며, 이는 서양의 음악만이 중심이라는 사고에서 벗어나 동서양 각자의 음악에서 찾을 수 있는 가치를 재발견하게 하므로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악창작동요는 현시대의 생활상이 드러나 있는 살아있는 음악이며, 전통을 계승할 수 있는 연속적인 음악이기에 충분히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제작된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 내의 국악창작동요 10곡 중 지도에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7곡을 선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교과서 및 지도서를 지도요소 및 지도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방법을 수정·변형하여 지도하여 교사는 좀 더 쉽게 가르치고, 학생은 더욱 이해하기 좋으며,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창작동요는 크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전통음악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장단의 제시가 미흡하여 악곡이 가지는 빠르기나 셈여림, 분위기를 알기가 어렵고, 한국인 고유의 장단감에 따른 흥을 느끼기 어려우며, 기보에 있어서도 박자와 마디를 구분하여 제시할 때 미흡한 것이 많다. 둘째, 선율의 흐름은 어린 학습자가 쉽게 부를 수 있는 동요의 적절한 음역의 사용과 도약진행을 이루어야 하나 가창 학습시 부분적으로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몇몇 악곡은 전통적인 선율진행(선법)보다는 일본식 선율을 연상하게 하는 진행을 하여 수정을 요하였다. 셋째, 가사의 내용 및 율격은 전통적인 소재에서 주로 많이 차용하였으나 현재를 담을 수 있는 정서적인 면에서 거리가 있었고, 내용이 특히 어둡거나 부정적인 것도 있었다. 넷째, 몇몇 악곡 중 정간보를 사용한 학습활동을 제시하여 시김새 및 리듬 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으나 대부분 서양의 악보 및 악상기호를 사용하여 미숙함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위의 분석 및 다른 많은 국악창작곡이 지닌 문제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지도요소를 제시하여 교수·학습할 것을 제시하였다. 먼저 선율(음계와 선법)은 가창하기에 적절한 음역을 사용하고 5음뿐 아니라 12율까지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토리와 연결하여 지도할 수 있는 것을 활용한다. 또, 속도감을 느끼거나 학습자에게 익숙한 장단과 박자를 사용하되 다양한 속도의 변화를 줄 수 있는 한배의 따른 형식 등이나 혼합박자까지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12/8박자나 9/8박자의 기보는 가사의 흐름 및 장단 진행에 맞도록 기보하여야 할 것이다. 가창에 적절한 형식이면 크게 제한을 두지 않아 다양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며, 오늘날의 생활상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가사내용 혹은 어린이의 정서를 정화시키고 즐겨 부를 수 있는 가사 및 율격을 사용한 곡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장단과 관련시켜 셈여림을 지도하고, 토리와 관련하여 시김새를 지도할 수 있는데 특히 서양식이 아닌 고유의 기보표현, 혹은 고유한 기보를 토대로 창의적으로 제시하여 전통적인 악보의 장점을 이해할 수 있는 악곡을 선정하도록 하여야겠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으로 국악창작동요를 지도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의 한국음악은 교사와 학생이 서로 발전시켜 나가는 진정한 교학상장(敎學相長)을 이루며 세계 음악으로 나아가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믿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