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 감상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신장

        이근출 大邱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0

        창의성은 모든 사람이 지닌 정신능력으로서 인간의 삶을 보다 풍부하고 발전적으로 영위할 수 있게 한다. 미술 감상은 미술작품에 대한 시지각적 사고의 한 예로서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품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려는 능동적 시지각 활동이다. 창의적 사고력은 타교과에서도 길러질 수 있지만 미술과의 감상 활동을 통해서 신장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미술수업에 있어 교사들이 미적 체험 활동에서 창의적인 사고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지도하기 때문에 표현 활동에서도 창의적인 작품이 제작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미술교과에 흥미를 잃게 되고 창의적인 사고력 신장이 어려운 실정이다. 학생들이 작품 제작에 성실히 임하는 자세를 갖게 하고, 감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창의적인 사고력을 길러 표현 활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미적 체험, 표현, 감상이 한 단원 안에서도 순환과정을 거치도록 지도해야 한다.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가 창의적인 사고 육성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나아가서 학습자 스스로가 창의성의 가치를 이해하고 생활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미술 감상은 학생들이 감상 작품과 자신을 자연스럽게 일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감상 작품과 동일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것은 미술가의 의도와 동일화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작품을 보다 잘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인간과 그를 둘러싼 환경은 삶을 영위해 가는 데 있어서 뗄 수 없는 관계이다. 미적 안목이란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기 위한 수단이며 미술교육은 이러한 안목의 육성을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미술 감상 활동을 통하여 감상 능력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목적으로 1. 감상 지도에 관한 기초적 이해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탐색 2. 미술 감상 교육과 창의성과의 관계 3.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미술 감상 교육 방법 등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행하였다. 첫째, 미술 감상 교육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창의성의 개념과 중요성, 비평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미술과 창의성과의 관계, 그리고 미술 감상과 자아동일화에 대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물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미술 감상 교육과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미술 감상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미술 감상 활동과 사고 기법, 미술 감상 학습의 모형, 미술 감상 지도 방법, 창의적 사고 활동을 위한 발문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창의적인 사고력 신장을 위한 미술 감상 교육이 되도록 먼저 교육과정에서 창의성 관련 미적 체험 및 감상 영역 교재를 분석하였으며,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감상 지도를 하기 위해 창의성 구성요소를 적용한 수업전략을 세우고 창의성 구성요소를 적용한 수업 활동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감상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신장 방안으로 여러 가지 창의성 구성요소들 중에서 미술 감상 활동으로 기대되는 창의성을 묘사에 의한 감상, 수집에 의한 감상, 체험적 감상, 모사에 의한 감상, 체감적 감상, 기타 등의 감상 방법으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감상 활동과 학습 적용 단계를 제시하였다.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감상 비평 교수·학습 과정안으로는 박휘락(2003) 이 펠드만(E. Feldman)의 절차적 단계적 비평학습의 방법과 게히건(G. Geahigan)의 비평적 탐구학습의 방법을 상호보완적 상승작용의 관계에서 도입하여 설계한 것을 기초로 한 것과 박휘락(2003)이 펠드만의 비평적 단계를 교사들에게 익숙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약간 번안한 것을 기초로 한 것, 아동작품 감상 교수·학습 과정안 등 3가지를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교사는 감상 지도에서 작품에 대한 기술적이며 분석적인 반응을 이끌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계획된 질문을 제시하여 주의 깊게 관찰하도록 하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작품은 수집하고 보관되어지는 대상이 아니라, 감상 활동을 통해 탐구되고 토의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도록 하여 표현 활동에 성실히 참여하고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감상 활동이 되도록 지도해야 한다. 학교교육에서 다양한 미술 감상 활동을 통하여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을 길러주고, 미술 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해야 한다. 아울러 미술품에 대한 개인적인 반응이나 판단을 존중하고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을 가지도록 감상 교육에 좀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rt appreciation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hrough various art appreciation activities. For these goals, the researcher first studied literatures related on art appreciation,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children art, and so on. Second, the educational goals in the school curricula related to art education are studied in order to see the relationships between art appreciation and creativity. Third, some of teaching & learning models and techniques for art appreciation are presented to develop a teaching & learning model. Finally, the teaching & learning model for art appreciation class was put into practice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Students showed more their concern and a changed attitudes to art works throughout conversation process. 2. Students showed changes in thinking way and attitudes in inquiry with flexibility when question-asking related to starring of creative thinking was given during the class. 3. Students showed active learning attitude in art appreciation activity. 4.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in art works by relating art with their thinking throughout activities of changing some elements in art works as what they want. 5. Students showe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 through a various art appreciation activities practiced in various teaching & learning models. The main goals of school art education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umanity and ability for the well-being of human society. Educational goals for art appreciation are always go with thes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could help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long with this, we need to develop better teaching & learning models for the practice.

      • 초등학생의 성격 유형에 따른 수학 창의적 사고력 및 창의적 태도와의 관계 연구

        임혜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67

        창의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계속적으로 증대되면서 학교 교육에서도 창의성 교육이 점점 중요해지며, 이에 따라 수학 교육에서도 요즈음 실제로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기초 성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창의성 교육을 요구하는 의견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개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성격을 어린이 및 청소년 성격 유형 검사(MMTIC)의 성격 유형으로 분류하여 성격 유형과 수학적 창의력 및 창의적 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성격 유형의 네 가지 선호 지표(E-I, S-N, T-F, J-P)에 따라 수학 창의적 사고력의 세 가지 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가? 나. 성격 유형의 네 가지 선호 지표(E-I, S-N, T-F, J-P)에 따라 수학 창의적 태도(적극성, 집중성, 적절성, 독자성)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가? 이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김해시에 있는 S초등학교 6학년 3개 학급 77명과 G초등학교 2개 학급 80명 총 15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어린이 및 청소년용 성격 유형 검사(MMTIC)로 성격 유형을 분류하였다. 수학적 창의력 검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5문항 중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4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수학 창의적 태도 검사는 김부윤r이8지성(2006)이 개발한 CAS-K 평가지에서 추출한 20문항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유형의 네 가지 지표(E-I, S-N, T-F, J-P)에 따라 수학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 즉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과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S-N 지표와 T-F 지표에서는 각 요소별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E-I 지표와 J-P 지표에서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E-I 지표에서는 특히 유창성과 융통성에서 p< .05 수준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J-P 지표에서는 융통성과 독창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성격 유형의 네 가지 지표(E-I, S-N, T-F, J-P)에 따라 수학 창의적 태도의 하위 요소 즉 적극성, 집중성, 적절성, 독자성과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에서는 S-N 지표와 T-F 지표에서는 각 요소별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E-I 지표와 J-P 지표에서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E-I 지표에서는 특히 적극성이 p< .001 수준 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J-P 지표에서는 집중성과 독자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초등 수학 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MMTIC 검사를 활용하여 아동의 성격을 파악하고, 교사 자신의 성격 유형이 지향하는 교수 방법만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어린이의 성격 유형에 맞는 교수 방법이나 학습 양식을 적용한다면 최대한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As the needs for the creativity practice continuously develops in the society, the importance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also grows in the school. Accordingly, the mathematical education these days also begins to accept the opinions insisting it will require the education for creativi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individual basic pot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reative attitude by classifying each unique personality into the types defined by MMTIC. The specific research is proceeded as follows to achieve such purpose. 1. Does it indicate any differences in three elements of the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ccording to the four preference trends(E-I, S-N, T-F, J-P) of the personality type? 2. Does it indicate any differences in mathematical creative attitude(positiveness, concentration, appropriateness, originality) according to the four preference trends(E-I, S-N, T-F, J-P) of the personality type? In order to verify this issu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157 students in total composed of 77 of 3 6th grader classes at S-Elementary School and 80 of 2 classes of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imhae City. First, their personality types were classified by using (MMTIC) for the youth. For the mathematical creativity test, 4 questions were extracted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for the 5 questions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while for the mathematical creative attitude test, another 20 questions extracted from CAS-K evaluation paper developed by Kim, Boo Yoon & Lee, Ji Sung(2006).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each element in S-N and T-F indicators, i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the sub-elements of the mathematical creative thin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4 indicators(E-I, S-N, T-F, J-P) of the personality types. To the contrary, E-I and J-P indicators showed entire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p< .05 level especially in the fluency and flexibility, while J-P indicator showed the significant results in the flexibility and originality.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each element in S-N and T-F indicators, i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itiveness, concentration, appropriateness, originality, the sub-elements of the mathematical creative attitude according to the 4 indicators(E-I, S-N, T-F, J-P) of the personality types. To the contrary, E-I and J-P indicators showed entirely significant differences,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E-I indicator within p< .001 level especially in the positiveness,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J-P indicator in the concentration and originality.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explore the teaching styl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er's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rough utilizing the MMTIC test results and understanding the children's personality, it is applicable to use the proper teachings methods and learning styles designed for the children's personality types rather than only to use those designed for the teachers' types in order to attain the learning effect for the enhanced creativity.

      • 주제통합 프로젝트학습모형이 사회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고정호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65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엄청난 양의 정보와 지식 속에서 당면 과제의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적용하고 나아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창의성이 대두하고 있으나, 최근 실시되고 있는 개별적인 각 교과 교육만으로는 창의성 신장에 한계가 있다는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통합 프로젝트 학습법을 주장하는 학자들의 주장이나 연구물들을 살펴 볼 때 통합 프로젝트 학습은 창의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사회과에 기반을 둔 주제통합 프로젝트학습모형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사회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사회과를 기반으로 주제 통합 프로젝트학습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인지적 능력(유창ㅇ성, 융통성, 독창성)수준은 비교 집단 보다 높을 것이다. 가설 2. 사회과를 기반으로 주제 통합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성의 정의적 성향(독립심, 모험심, 집착성, 개방성)수준은 비교 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소재 G초등학교 4학년 3개 반 132명 (실험 집단(상) 44명, 비교 집단 1(중) 44명, 비교 집단 2(하) 44명)이다. 가설 검증을 위해 이질 집단 전후 검사 연구 설계를 하였으며, 실험 집단에 실시한 실험 처치는 주제통합 프로젝트학습이다. 실험 처치는 주당 3시간 이상씩 6주긴 총20시간 실시하였으며, 사회과를 비롯한 프로젝트 관련 교과시간과 재량활동, 창의적 교육 활동 및 가정학습과제를 이용하였다. 주제통합 프로젝트학습 모형 적용이 초등학교 사회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창의성 검사는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A, B를 번안하여 재구성한 한국교육개발원 (1989, 1990)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 도구와 인천광역시 창의성 교과연구회 개발 장학 자료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창의 성향 검사는 임현수(1998)가 제작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를 SPSS WIN/ PC+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처지 전에 실시한 사전 검사 결과 세 집단은 동질집단으로 확인되었기때문에 실험 처치 후 사후 검사는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들 간에 F검증을 실시하였다. 사회과를 기반으로 한 주제 통합 프로젝트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 집단의 창의적 사고력-인지적 능력 사후검사 점수 (M=95.26)는 배고 집단 1(M=86.84), 비교 집단 1(M=83.45)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세 집단의 창의성 (F (126)=3.95, p<.01)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수용되었다. 프로젝트학습을 적용한 실험 집단의 정의적 성향 사후 검사 점수(M=87.55)는 비교 집단 1(M=77.51), 비교 집단 2(M=75.03)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세 집단의 창의성 (F(126)=3.782, p<.01)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수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사회과를 기반으로 주제통합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학습은 전통적인 사회과 학습 방법들 보다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과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유연하게 생각해 보고, 다양하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학습 과정인 주제통합 프로젝트학습은 아동들이 문제 상황에 부딪혔을 때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 및 지식 활용에 있어 훨씬 효과적이며, 이러한 사회과를 기반으로 한 주제통합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아동의 사회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큰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In modern society, creativity development of children cannot be expected only through school education considering that the current system does not incorporate the necessary component of creative learning process. Therefore, additional education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ex- ecuted to increase creativity in soci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opic-inte gration project learning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e topic-integration project learning was designed to improve the traditional instruction. The following hypothesis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related lit 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topic-integration project method on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social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1. The creative cognitive ability(fluency, flexibility, uniqueness) in soc- ial studies, a subcategory of the creativity, of the children who have been exposed to the topic-integration project method may b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who have not. 2. The creative attitude(independence, adventure, attachment, being open -mind) in social studies of the children who have been exposed to the topic-integration project method may b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who have not. Three classes of the 4th grade students from G elementary school in Pu-pyung, Incheon were selected as a experiment group and two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 group(n=43) was taught by topic-integration project learning and the first control group(n=42) was investigation learning and second control group(n=44) was traditional learning organized by teacher's lecture.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performed for asses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 F-post test design' has been used to test the hypothes 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 signed to do topic-integration projects for three hours per week for six consecutive weeks, in the time provided for class projec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homework. The control group followed the usual curricula without additional projects. Instruments of creative cognitive ability and attitude have been administer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test the hypothesis.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PC+. The pre-test result suggested that the three goups are homogeneous (F (126)=1.964, p< .05). F-test has been used to assess the post test results with outcomes. The experimental group (mean=86.43) has greater mean score in creat ive cognitive ability test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1 (mean=87.83). and control group 2 (mean=86.63). The experimental group(mean=76.00) has greater mean score in creat ive attitude test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1(mean=79.71), and control group 2 (mean=74.27). The test result suggests that topic-integration project method increases the creativity in social studies of children significantly (F (126)=3.95, p- value < .05). In conclusion, topic-integration project method may be effective to increase creativity in social studies for school children compared with the tradional standard ways of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 using topic-integration project methods can help students approach and solve problems in an innovative way and discover new things for themselves.

      • 창의성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부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3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과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창의성 개발의 선행 연구가 확산적 사고 증진에 치우치는 것은 짧은 실험 기간에 정의적인 특성의 변화를 가져오기 힘들기 때문이라는 가정 하에 기존의 연구 기간보다 비교적 긴 실험 기간을 가짐으로써 정의적인 특성의 변화를 목표로 했다. 본 연구는 K시에 소재 하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가운데 창의성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한 학생 25명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했으나 중도 탈락자를 빼고 최종 피험자는 20명의 실험집단과 36명의 통제집단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창의성 훈련 프로그램은 한국교육개발원의 사고력 프로그램인 '배우며 생각하며'와 Dominguez 등의 'Odyssey', 강충열 등의 '창의력 계발프로그램'을 Treffinger의 창의적인 학습 모형 단계에 맞추어 구성한 것이다. 측정 도구는 이영덕과 정원식의 표준화 간편 창의성 검사와 Harter의 내적, 외적성향 척도를 백영실이 번안, 수정한 내적 동기 검사, Harter의 자아 개념 검사를 백영실이 번안, 수정한 자아 개념 검사이다. 6월 첫 주부터 12 주 동안 24 회기의 수업을 방과후에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시행했다. 실험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편 창의성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내적 동기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전체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요인 중 독자적 숙달요인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아 개념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전체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요인 중 학문적 자아개념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보면 본 연구의 창의성 훈련은 창의적 사고력의 인지적 측면은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내적 동기와 자아 개념의 정의적 요인에서는 부분적인 교육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창의성 훈련 프로그램은 확산적 사고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수렴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가 통합되어 있는 반면 간편 창의성 검사는 확산적 사고 검사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본 연구의 훈련 효과를 측정하기에 적당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확산적 사고뿐만 아니라 수렴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아울러 측정할 수 있는 통합적인 창의성 검사도구가 요구된다. 기존의 많은 창의성 훈련 프로그램들이 확산적 사고 요인들의 향상을 보고한 것과 달리 본 연구의 훈련 프로그램이 확산적 사고 요인의 향상을 가져오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는 비판적 사고가 확산적 사고에 방해가 된다는 관점과 상호보완 작용을 한다는 관점의 논의와 관련지어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안한다. 내적 동기와 자아개념의 하위요인 점수의 증가는 창의성 훈련을 통한 정의적 요인의 향상 가능성을 보여주어 보다 장기적인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reativity training on creative thinking,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concep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fourth grade students in Kwang-ju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programs used in this study were "Learning and Thinking"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dyssey" by Dominguez et al (1986) and "Program for Developing Creativity" by Kang et al (1997). These programs were used according to Treffinger's Creative Learning Model. After three months' training, the subjects were tested with Creativity Test Short Form by Lee and Chung(1995), Intrinsic Motivation Test by Harter(1980) and Scale of Self-concept by Harter(198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the Creativity Test Short For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Test number 4, the match problem(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creativity score. As for Intrinsic Motivation Test and Scale of Self-concep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scores of Independent mastery of attempts(p<.01) and Scholastic competence(p<.05) but not in the total scores of both tes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reativity training in this study was not effective in increasing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thinking but was partly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might be attributed to the program it self and the test for measuring creativity. The programs us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upon the idea that there was critical and convergent thinking for solving problems as well as divergent thinking for producing many ideas in creative thinking. On the other hand, the test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which was divergent thinking test. So the test was not appropriate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this study. From this study, following points were suggested: First, more comprehensive test which could measure the effects of creativity training and furthe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were requested. Second, though the total points of Intrinsic Motivation Test and Scale of Self-concept did not increase, the increase in Independent mastery of attempts and Scholastic competence showed the possibility that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could be enhanced by creativity training with long-term plan. So it was suggested that creativity training should be practiced with long-term plan. Third, the other factors such as family upbringing and school environment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raining students' creativity.

      • 미술교육활동에서 컴퓨터의 활용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임선진 전북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to the improvement on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bility by using computer in art education'. also positively to introduce of computer graphic by art education on the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and the lower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These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d connection for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bility by using computer in art education? 2. Is there and connection for children's fluency by using computer in art education? 3. Is there any connection for children's orie0nality by using computer in art education? 4. Is there any connection for children's abstractness of titles by using computer in art education? 5. Is there any connection for children's elaboration by using computer in art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above questions, forty children who are seven years old were randomly selected. Half of them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were assigned to compared group.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mposed of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After confirming both groups' same quality, using computer in art edu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5 weeks but the children in the compared group separately painted and played computer. Software such as Kidpix Studio (Arisumedia, 1996) was used for computer activity. TTCT(Torrance Tests Creative Thinking) was used to assess children's creativity an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TTCT dat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superior than the children's in the compared group. 2. The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of titles, and the children' elabor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superior than the children's in the compared group.

      •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가 마인드맵 지원 유형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김유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7

        창의적 사고력은 개인의 창의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로 창의적 산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반이 된다. 창의적 사고력은 아이디어를 양적으로 많이 생성해내는 동시에 질적인 차원에서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학습자가 이러한 창의적 사고력 과제를 수행할 때, 과제 자체가 지니는 복잡성 및 사고의 어려움으로 인해 작업기억에 인지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재 학교교육과정은 창의융합인재의 양성을 교육의 주요 목표로 삼아 학습자는 교과통합수업 등을 통해 학업과 창의적 수행을 병행하도록 요구받고 있는데, 이는 창의적 사고 활동을 할 때 인지부하의 가능성을 높인다. 인지과부하는 창의적 사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선행연구에서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창의적 사고력 과제를 수행할 때 인지과부하를 완충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교수설계, 학습전략 등 외재적 인지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창의적 사고로 발생하는 인지부하를 줄일 수 있는데, 다양한 창의적 사고 활동을 신장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되어 온 마인드맵을 인지부하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마인드맵 지원 유형은 학습자에게 마인드맵 양식(tepmplate)을 부여하여 빈칸을 채워나가는 형태인 구조화된 마인드맵(mind-map template), 학습자가 주도하여 완성하는 기존의 마인드맵 형태인 비구조화된 마인드맵(classic mind-map)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나,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 수준(고, 저)이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이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마인드맵 지원 유형 간 효과 차이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본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창의적 사고력 과제 수행 시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 수준(고, 저)을 조작하여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따라 창의적 사고력 점수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정교성, 독창성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지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중학교 3학년 학생 150명이 참여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고, 저) 수준과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나누어진 6개 처치 집단 중 한 개의 집단에 무선 배정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사전 설문으로 창의적 자기효능감, 인지양식 등에 응답하였고, 본 과제 수행 전 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집단은 마인드맵 기법 훈련을 받았으며 마인드맵 없음 집단은 혁신에 관한 스크립트를 청취하였다. 이어서 인지부하 수준을 고, 저로 조작하여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 검사 과제를 두 차례에 걸쳐 수행하였다. 창의적 사고력 과제는 한국형 타당화된 창의적 사고력 검사도구인 i+3C 글로벌 재능 진단검사의 창의적 사고 검사 부분이며, 1차-아이디어생성력 영역, 2차-원격연합력 영역으로 구성되었다(이선영 외, 2018).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가 마인드맵 지원 유형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이 마인드맵 지원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1차 과제인 i+3C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 아이디어생성력 과제에서는 창의적 사고력 점수에 대해 인지부하와 마인드맵 지원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2차 과제인 원격엽합력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연합력 점수에서는 인지부하가 높을 때 구조화, 비구조화된 마인드맵 집단이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인지부하가 낮을 때 비구조화된 마인드맵 집단이 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지부하가 높은 상황에서는 마인드맵(구조화, 비구조화)이, 인지부하가 낮은 상황에서는 구조화된 마인드맵이 창의적 사고력에 혜택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마인드맵을 사용이 선행지식과 새로운 주제와의 관계를 외현화하여 인출을 유도한 것이 인지부하를 줄이고, 더 필수적인 정보에 집중하도록 이끌어 창의적 사고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인지부하가 창의적 사고력 하위요인(유창성, 정교성, 독창성)에 미치는 영향이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한 결과, 원격연합력 1 유창성, 독창성 점수에서 인지부하와 마인드맵 지원 유형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부하가 높을 때 유창성 점수는 구조화 집단이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독창성 점수는 구조화 집단이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인지부하가 낮을 때 유창성, 독창성 점수는 비구조화 집단이 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지부하가 높게 부과되는 상황에서 구조화된 마인드맵이 마인드맵 기법 활용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인지부하를 감소시켜 유리하고, 인지부하가 낮게 부과될 때는 규칙, 규율, 위계화 등과 같은 구조화된 방식이 창의성 발현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실제 창의적 사고력 과제를 수행하는 교육 현장에서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 수준에 따라 학습자에게 마인드맵 지원 유형을 차별적으로 적용하여 창의적 사고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1차 과제인 아이디어생성력 영역보다 2차 과제인 원격연합력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선행 지식을 인출하여 조합하는 것이 중요한 영역에서 마인드맵 지원 유형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an important indicator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serve as the basis for producing creative products. Creative thinking 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generate many ideas quantitatively while choosing new, useful ideas on a qualitative level. When learners perform these creative thinking tasks, the complexity and the difficulty of thinking of the task itself tend to cause cognitive loads in their work memories. Also,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uses the training of creative talent as the main goal of education and learners are required to combine academic and creative performance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classes,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cognitive overload when engaging in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Since cognitive overload is supported by prior research by negatively affecting creative thinking, measures are needed to buffer cognitive and overload when carrying out creative thinking tasks. In particular, the cognitive load generated by creative thinking can be reduced by using methods such as teaching design and learning strategy,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examined mind-map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oad, which have been used as a way to increase various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The type of mind-map support can be divided into structured mind-map, which fills the blanks by giving the learner a mind map form and classified mind map, which is an existing mind map form led by the learner. However, based on the lack of prior research by directly comparing the effectiveness differences between mind-map support types (structural, unstructured, and no mind-map) that cognitive load levels (high, low) on working memor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mind map support. Furthermore, we wanted to explore how differently influences fluency, sophistication, and origi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e thinking. 15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six treatment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load (high, low) level and type of mind map support(structured, unstructured, no mind-map). Research participants responded to creative self-efficiency, cognitive styles by pre-surveying,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mind-map groups trained in mind-map techniques before performing the creative thinking task and the no mind-map group listened to scripts on innovation. The cognitive load level was operated low vs. high right before performing two creative thinking ability tests according to the type of mind map support (structured, unstructured, and no mind map). The creative thinking tasks are part of the creative thinking test of the i+3C Global Talent Test, a Korean validated creative thinking inspection tool, consisting of the idea generation area and the remote-association area(Lee et al., 2018).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mind-map support showed that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on working memory on creative thinking power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mind map support. In particular,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test idea generation task of i+3C show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of cognitive load and mind-map support types were not significant for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score, and that they were significant for the second task-remote association. In remote association scores,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mind-map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 no mind-map group when cognitive loads were high and the unstructured mind-map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tructured, no mind-map groups when cognitive loads were low. This means that mind maps(structured, unstructured) can benefit from high cognitive load conditions and structured mind-maps can benefit creative thinking power in low cognitive load conditions. That is, we suggest that using mind-maps to extrapolate prior knowledge from new topics to reduce cognitive load and increase the flexibility of creative thinking by focusing on more essenti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on the creative thinking sub-factors (creativity, sophistication, originality) depends on the type of mind-map support(structured, unstructured and no mind-map), and the interaction of cognitive load and mind-map support types in remote association 1 fluency and originality scores is significant. When cognitive load is high, the fluency score i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unstructured, no mind-map group, and the originality score is higher than the unstructured, no mind-map group. On the other hand, when cognitive load is low, the scores of fluency and original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structured groups with no mind-map. This suggests that structured mind-maps are advantageous in the conditions where cognitive loads are high, reducing the unnecessary cognitive load required to utilize mind map techniques and that structured methods such as rules, discipline, and hierarchicalization can interfere with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when cognitive load is low.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plored way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by discriminately applying mind-map support types to learners according to cognitive load levels imposed on their working memories training sites performing real-world creative thinking tasks. It is also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we explore the different effects of mind-map support types in areas where collecting and combining prior knowledge is important, given that significant results have been found in the remote association area, rather than in the area of idea generation.

      •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주제중심통합수업의 구안과 실천

        황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47

        고도화된 지식기반 사회, 정보화 사회로 변화가 일상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시민의 자질은 달라지고 있으며,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을 교육 목표로 하는 사회과 교육은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2015개정 교육과정은 21세기 융․복합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사회과 교육에서는 육성해야 할 사고력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2015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적 사고의 제한요소가 되는 단편적이고 제한적인 지식중심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통합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통합사회 과목을 신설하였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기능․사고 목표 중 창의적 사고력은 아직까지 크게 주목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학교 현장에서의 창의적 사고력에 대한 관심 부족은 창의적 사고력을 현장교육에 접목시키는 방안에 대한 실용적인 연구 부족, 현장 교사의 인식 부족, 창의성 개념의 추상성과 포괄성 등에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사회 과목을 중심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는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구안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실제로 창의적 사고력이 신장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주제중심 통합수업은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 중심으로 설계하였으며, 서울시 소재 D고등학교 1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주제는 통합사회 교과서 단원 중 역사적, 지리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고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에 대한 목표를 골고루 포함할 수 있는 ‘지구촌의 미래’로 선정하였다. 이는 쉽게 규정되지 않고 학생들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주제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수업은 ‘주제중심 교수모델(강충열, 1998)’의 단계를 기반으로 하여 수업의 단계에 따라 다양한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하고, 실행단계의 구체적 수업 방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하였다는 특징을 갖는다. 학생들이 미래사회의 변화 모습을 예측하고 사회 문제를 직접 선정하여 이에 대한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안하였고, 수업 단계에 따라 브레인스토밍, 마인드 맵, 연꽃기법, 브레인라이팅, PMI기법과 같은 다양한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자극․촉진하고자 하였다. 주제중심 통합수업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이 향상되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창의적 사고력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인지능력의 3가지 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과 3개 요인을 종합한 창의력 지수가 수업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3가지 요인 중 구체적인 과제에 적절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능한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인 유창성이 가장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사고능력과 더불어 창의성을 구성하는 핵심요소인 창의적 성향도 수업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향상되었다. 창의적 성향은 독립심, 호기심, 집착성, 개방성 등 4가지 창의적 성향 요소 중에서 호기심이 가장 크게 향상된 반면, 개방성이 가장 적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기심의 경우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중점을 둔 주제중심 통합수업으로 단기간에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기존의 사고나 공식에 얽매이지 않고 변화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려는 성향인 개방성의 경우에는 단기간의 수업을 통해서는 향상되는 정도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창의적 인지능력의 향상과 창의적 성향의 향상 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다시 말해, 창의적 인지능력이 향상되면 창의적 성향 또한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창의적 인지능력과 창의적 성향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창의적 인지능력과 창의적 성향의 향상은 상호상승작용을 거쳐 함께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구안한 주제중심 통합수업에서 얻은 가장 고무적인 성과는 학생들이 수업에 대해 보여준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주제중심 통합수업은 학생들의 참여를 필수적인 요건으로 하기 때문에 수업의 성공 여부는 학생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하느냐에 달려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가 얼마나 촉진자적 역할을 잘 수행했는가가 중요하다. 교사는 창의적 사고력을 촉진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정리하면, 사회과 교육에서 주제중심 통합수업은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업 방안으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회과 수업에서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한다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유의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으로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더욱 심화․확장하는 방향으로 발전시킨다면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