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업컨설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석우 계명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경영환경이 더욱 복잡해지고 경쟁이 심화되어감에 따라 새로운 경영기법이나 혁신활동을 통해 새로운 경영환경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대기업과는 달리 소규모 창업기업들은 다양한 경영상의 문제점과 어려움에 봉착하여 그 생존 확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창업단계부터 전문적인 컨설턴트로부터 사업타당성 검토, 아이템 검증, 사업계획서 작성, 창업자금 조달, 창업마케팅 등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컨설팅 지원을 받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창업컨설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도출함이 목적이고, 자료 수집을 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도구는 SPSS 24.0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창업 후 7년 이내 기업 및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는 창업컨설팅을 받은 전국의 121개 창업예정자 및 창업기업에 대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 통계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창업컨설팅이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창업컨설팅과 창업성과 간의 관계를 창업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창업컨설팅의 세부 변인들 중 ‘사업타당성 검토’와 ‘마케팅관리’가 창업성과 중 재무·비재무적 성과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고, 반면 아이템 검증은 창업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둘째, ‘창업의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창업컨설팅의 세부 변인은‘사업타당성 검토’이고, ‘자신감’항목에는 창업컨설팅 세부 변인 중 ‘사업타당성 검토’와 ‘마케팅 관리’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자기효능감의 세부변인 중 ‘자신감’ 항목만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재무적 성과에는 ‘자신감’과 ‘창업의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 검증은 사업타당성 검토와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를 자신감이 매개할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 마케팅관리와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를 자신감이 매개할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만 채택이 되었다. 아울러 자신감이 사업타당성 검토와 마케팅관리와 비재무적 성과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따라서 예비 창업단계부터 전문적인 컨설턴트로부터의 맞춤형 창업컨설팅 통해 사전에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준비된 창업을 진행해 간다면 창업기업은 매출액 증가, 이익률 증가, 시장점율 제고 등 재무적 성과와 브랜드 인지도 제고, 이직률 감소, 조직 내 소통의 원활화 등 비재무적 성과 간의 적절한 균형을 통해 조기 정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As the business has recently become more complicated and competitive, small and medium-sized start-ups face various business problems, difficulties, and challenges. Meanwhile, large companies can cope with the new business environment quickly and smoothly. Therefore, the probability of survival for start-ups is gradually decreasing. The solution for start-up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is to seek consulting services from a consultant specialist early in the start-up process. This study elucidat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onsulting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start-up companies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entrepreneurial effectiveness. We utilized on and offline surveys and SPSS 24.0 to conduct our analysis. There were a total of 121 target companies for the research that consisted of nationwide start-up companies in their seventh year of operation and pre-founders preparing to start a new business that has received start-up consultation.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a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onsulting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start-up companies. Finally,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is also used for testing the mediation of entrepreneurial effectiveness between entrepreneurial consulting and start-up performance. The first result that the study showed was that the business feasibility test and marketing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mong specific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item tes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ly, business feasibility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business feasibility and marketing management also positively affected self-confidence. Thirdly, only self-confidence among specific factors of entrepreneurial 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he financial effect. However, neither self-confidence nor entrepreneurial intention had any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Fourthly, a mediating effect test elucidated that self-confidenc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business feasi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relation between marketing manage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Moreover, the self-confidence facto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business feasibility, marketing management,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refore, if we make progress in the prepared business by removing uncertainty from the pre-founder step, start-up companies can achieve early stability in the market with increasing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ncluding brand awareness, reduction of separation rate, and smooth communication.

      • 기업가정신 및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홍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이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을 매개효과로 설정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발전적인 창업지원 정책방향을 도모하고,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반대의 개념인 창업실패부담감을 매개효과로 연구를 진행하여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 정책의 올바른 방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며, 마지막으로는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간의 창업의도 분석과 창업자기효능감과 실패부담의 집단별 창업의도 차이의 결과를 분석하여 스타트업의 사회적 인식제고 및 창업자의 창업의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3대 요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창업지원정책은 자금지원, 교육지원, 인프라 지원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창업자의 자기효능감과 실패부담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의 기업가정신 요인이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업가정신 요인 중에서 혁신성과 진취성, 위험감수성 요인 모두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자의 기업가정신 요인이 창업실패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혁신성 요인은 창업실패부담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취성과 위험감수성은 창업자의 창업실패부담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창업자의 혁신성은 창업 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창업지원정책 요인이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 교육지원과 인프라지원 요인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나 창업 자금지원 요인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지원정책 요인이 창업실패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지원정책 요인 중에서는 창업 자금지원요인이 창업실패부담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업 관련 교육지원과 인프라지원 창업자의 창업실패부담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창업 자금지원은 창업자의 창업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 창업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설정한 결과,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실패부담감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시패부담감을 낮추고, 창업의도를 높이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창업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를 낮추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기업가정신,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먼저 기업가정신 요인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혁신성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 혁신성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위험감수성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 혁신성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경로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창업지원정책 요인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육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 교육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자금지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경로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프라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인프라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교육지원과 인프라 지원은 창업실패부담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지만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창업실패부담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다섯째,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실패부담감, 창업의도의 차이의 결과를 살펴보면 창업자기효능감의 경우 기창업자가 예비창업자에 비해 높았으며, 창업실패부담감은 예비창업자가 기창업자에 비해 높았으며, 창업의도는 기창업자가 예비창업자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기창업자가 창업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실패부담감, 창업의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기창업자와 예비창업자 모두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창업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의도가 높고, 창업실패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실패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은 예비창업자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 예비창업자의 경우 창업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실패에 대한 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중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들의 학력, 창업 경력, 가족창업 경력, 창업지원정책 활용 여부, 창업 여부 등에 따라 연구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 경로계수의 집단별 차이는 대응별 모수비교(Pairwise Parameter Comparison)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향후 기업가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방안과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창업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창업실패부담감을 낮추어 창업자의 창업의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or a startup. To this end, we intend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by setting th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on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the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and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as a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it aims to develop entrepreneurially support policy direction and mediates self-efficacy affecting the entrepreneurs' intention to start up, and the opposite concept, business failure burden. The study conducted as an effect to provide a rationale for the correct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Fin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between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and the difference in entrepreneurship the intentions by a group of failure burden By analyzing, we intend to contribute to raising the social awareness of startups and improving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Entrepreneurship surveyed focusing on three factors: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was focused on funding, education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on the intention to start was analy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founder's self-efficacy and the burden of failure on the intention to start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entrepreneurship factors, innovativeness, enterprisingness, and risk-sensitization factors al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sensibility.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the innovativeness factor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but the advancement and risk susceptibility to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There was no direct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it was predicted that the founder's innovativeness contributed to lowering the burden of start-up failur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factors on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ship efficacies, but entrepreneurship funding factors were significant in entrepreneurship efficacies. There was no effec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factor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actors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the funding factors for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There was no direct impact on the founding failure of the infrastructure support entrepreneur. Therefore, it was predicted that funding for start-ups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the burden of start-up failures. Third, as a result of establish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under's sense of entrepreneurship and the failure to start a business, the founder's sense of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Significant positive (+)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tartup, and the failure to start a bus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tartup int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has a negative effect on lowering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was verifi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factors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nd founding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innovation → entrepreneurship efficiencies → intention to start up and innovation →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 entrepreneurship failure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ship degree, risk sensitivity → Founder's effectiveness → Start-up intention, innovation → Start-up failure burden → Start-up intention All mediating effects of the rout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Nex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about th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education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icacy → entrepreneurship intention, education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 entrepreneurship failure commitment →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start the business, the funding → the burden of the failure to start the business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ntion to start the business were all significant. Infrastructure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was significant, but infrastructure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iciency →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For reference, education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does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but it means that the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is mediated by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nder's entrepreneurship efficacy,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was higher than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It was higher, and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a pre-found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that the founding intention was high. Looking 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failure,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entrepreneu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founder's effectivenes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the lower the burden of starting failur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fficacies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was predicted to be significant only in pre-starters, so the higher the entrepreneurship efficiencies, the lower the burden on startup failure. Lastly,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among research variabl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entrepreneurship, family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utilization, and entrepreneurship. Differences by a group of path coefficients were examined through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ways to promote entrepreneurship in the future and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We will leave the lack of in the future research project.

      •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 : 직장인을 대상으로

        송창운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최근 국내외 경제상황은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과 같은 이유뿐 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기술의 기존산업에의 응용, 국가 간, 기업 간 무한경쟁의 확대, 보호무역주의 경향 강화 등으로 고용상황을 갈수록 악화시키고 있다. 고용상황에서의 부정적 악화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며 미국을 비롯한 유럽연합 등 선진국들은 일찍부터 이런 현상을 간파하고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다양한 창업을 촉진시키는 정책을 펼쳐왔다. 그 중 하나가 전 생애주기에 걸친 기업가정신 교육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고용상황의 악화를 막는 대안 중의 하나가 창업지원이라는 인식하고 2000년대 들어와 오랫동안 창업에서 강력한 변인으로 알려진 기업가정신은 많은 연구자들의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이와 함께 창업행동에 가장 중요한 것은 창업의도이며 창업을 늘리기 위해선 정부의 정책적 지원 외에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선행변수들의 탐색과 이들과 창업의도와의 관계 등이 창업의도 연구의 주요 이슈가 되어왔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대학생, 청년, 시니어 등을 대상으로 한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한 것이 대부분이다. 창업의도의 선행변수로 기업가정신, 사회적 자본, 창업자기효능감, 리더십, 사회적 지지, 정책 환경 등이 선행변수로 알려져 있고 변수 간의 단순한 관계부터 최근에는 구조적 관계에 까지 연구방법도 다양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대상을 직장인으로 확장하여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영향관계를 구조적 관계로 확인하고자 한다. 학생시절을 끝내고 사회에 진출하면서 창업이 아닌 취업을 선택하여 직장생활을 영위하는 직장인들은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진 오늘날 나름의 경력단계를 거치면서 경력관리를 하지만 직장생활 과정 어느 순간에는 재취업 또는 창업을 고려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창업관련 연구는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직장인들의 창업의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창업의도에 중요한 영향변수로 알려진 기업가정신은 많은 연구자들이 독립변수로 사용하고 있다. 기업가정신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업가에 대한 논쟁에서 기업가는 타고나는 것보다는 후천적으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습득될 수 있다는 입장이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는 개인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개인성향이 예측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다양한 특성 중 위험성향과 행동성향을 채택하여 성향변수들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지를 확인했고 기업가정신과 상호작용하는 조절변수인지도 검증했다. 기존의 연구에서 사회적 자본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네트워크가 가장 중요한 개념이며 이런 것은 직장인들에게서 가장 잘 구현되는 자산이기도하다. 직장인은 경력단계를 거치면서 사회적 자본을 많이 획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규명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직장인 대상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지를 검증했다.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이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신념과 기대를 말하며 자기효능감은 선행연구에서 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알려져 있다. 자기효능감을 창업에 응용한 개념이 창업자기효능감이다. 국내 창업의도관련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 또는 매개변수로서 검증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기효능감을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절변수로서의 조절효과를 발휘하는지 확인코자 했다. 이상의 여섯 개의 구성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주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적인 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11개의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중소기업 이상의 사기업과 공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최종자료는 332부이며 SPSS Statistics 24, SPSS Amos 24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위험성향은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의 행동성향은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은 사회적 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자본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 다섯째,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 자본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를 정(+)의 방향으로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 일곱째, 기업가정신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를 정(+)의 방향으로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 이어서 직장인들에게 있어서 위험성향, 행동성향 두 개념들이 기업가정신과 상호작용하는 조절변수인지를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모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덟째, 기업가정신에서 위험성향은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을 높이지 않는다. 아홉째, 기업가정신에서 위험성향은 직장인의 창업의도를 높이지 않는다. 열 째, 기업가정신에서 행동성향은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을 높이지 않는다. 열 한 번 째, 기업가정신에서 행동성향은 직장인의 창업의도를 높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성향과 행동성향, 기업가정신, 사회적 자본, 창업자기효능감이 구조적 관계에 있고 이들은 서로 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로서의 구조적인 영향관계에 있음을 밝혀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지만 직장인들의 경력단계별로 창업에서 오랫동안 알려온 구성개념들인 본 연구의 측정도구가 어떻게 변하는지 실무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직장인의 창업의도 연구에서 여러 선행변수들의 구조적 관계 규명 노력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Recentl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nomic conditions have worsened not only for the same reasons as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19, but also for the appli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existing industries, the expansion of unlimited competition among countries and companies, and the strengthening of protectionism. The negative trend in the employment situation is a common phenomenon throughout the world, and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have early implemented policies to promote diverse start-ups as alternatives to identify and overcome the phenomenon. One of them is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In Korea, entrepreneurship, which has long been known as a strong variable in start-ups since the 2000s, has been a research topic for many researchers, recognizing that one of the alternatives to prevent the worsening of the employment situation. At the same time,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start-up activities i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rder to increase start-ups, it is not only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but also the search for a number of prior variables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it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or variabl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se topics have been a major issue in the stud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has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mainly for college students, young people, and seniors. The preceding 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policy environment are widely known. Research methods vary from simpl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o structural relationships recently. This study seeks to expand existing research subjects to employe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influence identified in prior research as structural relationships. After finishing their student days and entering society, office workers who choose to get a job rather than start a business, manage their careers through their own stages of experience when the concept of a lifetime job disappeared. At some point in the career path, however, one has no choice but to consider reemployment or start-ups. Therefore, a start-up study of office workers is neede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it is hard to find any research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mployees. Entrepreneurship, known as an important influence variable in start-up intentions, is used by many research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debate about entrepreneurs used in a similar concept to entrepreneurship, there is widespread support for the position that entrepreneurs can be acquir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rather than by birth. Under such circumstan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can be predicted as variables that can affect entrepreneurship. In this study, risk propensity and action orientation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were adopted as individual tendencies. In addition to verifying whether these propensity variables ar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entrepreneurship, they also verified whether they are regulatory variables that interact with entrepreneurship. In existing studies, social capital is known to a variable to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Social networks are the most important concepts that make up social capital, and these are the best-implemented assets for office workers. Employees acquire a lot of social capital throughout their careers. In this study, we verified whether the mediate effect of social capital identified in existing studies was the same in the study of employees. Self-efficacy refers to the belief and expectation that in some situations, one can act properly. It is known as a variable that has a variety of influences, such as independent variable, mediate variable, and regulatory variable, in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applying self-efficacy to start-up research i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a prior study related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Korea, most of them verifie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independent variable or mediate variable. In this study, we wanted to check whether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s verified as a regulatory variable. In order to identify the above research topics, extracting six constructive concepts and presenting structural research models which 11 hypotheses were established, Data for the hypothesis test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s of employees working for private enterprises and public corporations abo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final data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in part 332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using SPSS Statistics 24, SPSS Amos 24. The main hypothesis test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individuals' risk propens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of worker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individuals' action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of workers. Third, entrepreneurship of workers i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Fourth, the social capital of office work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ther words, social capital serves as a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ifth, entrepreneurship of worker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us, social capital, a parameter, serves as a partial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social capital has the effect of regula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 positive direction. Seventh, i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s a regulation effect that strength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direction of positive. Sub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both concepts of risk propensity and action orientation were not regulatory variables that interacted with entrepreneurship. Eighth, in entrepreneurship, risk propensity does not increase the social capital of office workers. Ninth, the risk propensity in entrepreneurship does not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mployees. Tenth. in entrepreneurship, action orientation does not increase the social capital of employees. Eleventh, in entrepreneurship, action orientation does not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mploye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risk propensity, action orientation,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r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they are structural influences as independent variables, mediators, and regulatory variable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presented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which have long been known in the stud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dentification efforts of several prior variables i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tudy of the workers, and propose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소상공인 창업교육이 교육성과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동욱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0년대 이후 세계 경제가 저 성장기조를 유지하면서 학교를 졸업하고도 취직을 하지 못하는 청년층의 증가와 근무하던 회사가 어려워지므로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조기 퇴직하는 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청년층과 조기 퇴직자의 창업을 유도하여 실업자의 감소와 국가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창업시장에 뛰어든 청년층과 조기퇴직자의 경우 무경험과 무자본으로 인하여 실패하는 경우가 많고 생계형 창업으로 인하여 오히려 국가경제의 발목을 잡는 역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성공률 제고를 위한 방법으로 창업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의 성공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창업교육의 서비스품질과 참여동기가 교육성과와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창업자기효능감이 교육성과와 창업의도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토대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소상공인 창업교육서비스품질은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상공인 창업교육참여동기의 하위요인 중에서 학습지향성은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지향성, 활동지향성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성과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육성과의 매개효과는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참여동기 하위요인인 학습지향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교육참여동기의 하위요인 중 목표지향성과 활동지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창업자기효능감은 교육성과와 창업의도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창업교육에 대한 서비스 품질과 참여동기가 교육성과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창업교육의 개선방향과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world economy has remained in the low growth rate since the 2000s, which has led to the increasing numbers of young people that cannot get a job after graduation and early retirees that are forced out of their jobs due to the difficult situations of their companies. The government has made an attempt at reducing the number of unemployed people and activating the national economy by encouraging young people and early retirees to start a business. In the start-up market, however, young people and early retirees have failed due to no experience and capital in many cases. The micro start-up businesses they run have shown an adverse effect of hindering the national economy. Entrepreneurship education was thus introduced to increase their success rate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was to support the successful start-up of small businesses, on educational outcom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xamine whethe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ould have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educational outcom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servic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mall businesses had effects on educational outcomes. Second, learning orientation, a subfactor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mall businesses, had effects on educational outcomes, but goal and activity orientation had no effects on them. Third, educational outcomes had impa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urth, educational outcomes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a subfactor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but they had no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goal and activity orientation. Finall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urned out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educational outcom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the successful start-up of small businesses on educational outcom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us proposing the directions to improve and develop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소상공인 창업교육이 기회인식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창업효능감과 조절초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valuation competency. Further, this study explores the role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regulatory focus in the relationship.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and a future direction for small busines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 huge part of the budget has been allocated to educational support in 2016 to promote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for small businesses, this study is required to examine this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n a random sample of 345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who have availed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hip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econd, institutional support also positively affec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ir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valuation. Fourt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the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Fif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include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oriented courses, positively influences both the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of entrepreneurs. Sixth, entrepreneurs' promotion focus is positively related to opportunity recognition, bu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opportunity evaluation, whereas entrepreneurs' prevention focus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ither opportunity recognition or evaluation. Seven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does not influence either opportunity recognition or evaluation. Finall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promotion focus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opportunity recognition, while onl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opportunity evaluation. The random sample used in this study includes both prospective and existing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but the two groups should be considered separately in future studies. In addition, questionnaire content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as some measures in the existing questionnaire do not precisely reflect the operational definition. Finally, this study measures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valuation to examine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but a more accurate way to do so is by measuring the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incorporate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valuation competency, and the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of entrepreneurs. 본 연구는 소상공인을 위한 현 창업교육이 기회형 창업의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인식 및 평가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향후 소상공인들의 기회형 창업을 위한 창업교육의 개선점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또한 창업교육과 기회인식 및 평가의 관계를 좀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그 두 관계에서 창업효능감과 조절초점의 역할도 살펴본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소상공인들의 기회형 창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교육적 지원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는 현 시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정부에서 제공한 창업교육을 수료한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345명의 설문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은 창업효능감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지원제도는 창업효능감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효능감은 기회인식 및 평가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효능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론과 실습과정이 포함된 창업교육은 소상공인들의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소상공인들의 향상초점은 기회인식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회평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들의 예방초점은 기회인식 및 평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소상공인 창업교육은 기회인식 및 평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창업교육과 기회인식의 관계에서는 창업효능감과 향상초점만 이중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교육과 기회평가의 관계에서는 창업효능감만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예비창업자와 기존 창업자를 모두 연구대상에 포함하였지만 향후 두 그룹을 독립적으로 구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일부 측정도구는 조작적 정의를 명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므로 연구의 정확성을 위해 향후 새로운 문항을 개발하여 척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회형 창업을 검증하기 위해 기회인식 및 평가 역량을 측정하였으나 이보다 더 정확한 방법은 실제 기회형 창업 달성이라는 결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는 기회인식 및 평가 역량에 이어 실제로 경쟁력 있는 기회를 기반으로 창업이 수행되었는지 확인하는 보완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창의적 특성이 인지된 욕구, 창업자기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문화예술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 Focusing on the Art & Culture Major Student

        강만규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reative characteristic on perceived desir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o find the way to promot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art & culture major student. In this study, 166 out of 174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arts and cultur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reativ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creative personality of creativ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However, creative 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desir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e personality, perceived desir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ere all mediated, but the creative ability was reject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erceived desirability o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uture research should develop a variety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contents so that creative ability rejected in this study will have an effect. 본 연구는 문화예술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특성이 인지된 욕구, 창업자기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문화예술전공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창업교육이나 창업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해 본 수도권지역 문화예술관련 전공 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특성(창의적 성격, 창의적 역량)이 인지적 욕구,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한 결과 창의적 특성 중 창의적 성격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창의적 특성 중 창의적 역량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은 기각되었다. 하지만 창의적 역량은 인지된 욕구나 창업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지된 욕구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인지된 욕구와 창업자기효능감 모두 창의적 성격과 매개효과를 보였고 창의적 역량과는 기각되었다. 셋째, 환경적 요인이 조절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환경적인 요인은 인지된 욕구나 창업자기효능감에 조절효과로 작용하여 창업의지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전공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고취하기 위하여 창의적 성격이나 환경적 요인을 활용한 문화예술전공 학생들만의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정책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창업교육과 제도적 지원이 자기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안승권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창업교육과 제도적지원이 자기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국내에서 처음으로 진행한 본 연구는 창업교육 및 정부의 제도적 지원에 있는 있어 새로운 방향을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창업의지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 시점을 이해하는 것은 창업관련 연구의 새로운 방향의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을 지원받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지원 및 정부의 제도적지원이 자기효능감을 통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창업컨셉교육과 사업화교육지원이 창업 시점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창업교육지원 중 창업컨셉교육, 사업화개발교육을 경험한 학생은 창업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창업교육지원, 지각된 정부의 제도적지원, 자기효능감, 개인동기, 창업의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창업시점 단축그룹이 지각된 정부의 제도적지원, 창업의지, 개인동기가 창업계획 연장그룹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창업교육지원, 지각된 정부의 제도적지원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자기효능감과 개인동기는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항을 보였다. 넷째, 창업컨셉 및 사업화개발 교육을 수강한 학생과 수강하지 않은 집단에서 창업교육지원, 지각된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자기효능감과 개인 동기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끝으로 창업시점단축 그룹은 계획연장 그룹보다 정부의 지각된 제도적 지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며,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tudy,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ttempt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setting a new direction regard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the government. Particularly, identifying the point at which the willingness to establish a business leads to real action, can be the beginning of a new direction of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In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who received educational support for business start-up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uch support along with institutional support of the governmen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erm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personal motivation. In addition, it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mpact of concept development support and the business development support on the time required to start a business. The first main finding of the empirical analysis was that the students who obtained concept development education and business development education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institutional suppor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erson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an those who had not obtain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Second, the group that had a shortened business start-up time showed a higher level of perceived institutional support,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personal motivation than the group that had its start-up plan extended. Third,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institutional support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perso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urth, between the groups of students who underwent concept development education and business development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instituti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hil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perso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Last, the perceived institutional support had a greater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d a greater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the group whose business start-up time was shortened than the group whose plan was extended.

      • 개인적 특성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이수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completion of the start-up education program, and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is the main attitude required of founders.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liminary entrepreneurs, established entrepreneurs, and students who comple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surveyed for two weeks from April 14, 2021 to April 29, 2021. 353 response sheets were recovere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WIN 23.0,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First, risk tolerance, a sub-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risk tolerance,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we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he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Fift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risk tolerance, internal control, and self-esteem played a mediating role i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o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ship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Seventh, the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role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s important. In addition, risk tolerance and self-esteem of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start-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art-up inten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by analyz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 및 창업교육프로그램 이수와 창업의도 간 관계가 창업자에게 요구되는 주요 태도로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개인특성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이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비창업자, 기창업자, 창업교육을 이수한 학생들 대상으로 2021년 4월 14일부터 2021년 4월 29일까지 2주간에 걸처 온라인과 모바일로 수집한 인터넷 설문방식을 통해 총 353부의 응답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으로 통계분석을 하였고,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의 하위 변수인 위험감수성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차별성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위험감수성과 자존감, 내적통제는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차별성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위험감수성과 내적통제, 자존감은 창업자기효능감에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창업의도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차별성은 창업자기효능감에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창업의도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자기효능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창업에 대한 개인적 특성의 위험감수성과 자존감이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적 특성(위험감수성, 자존감)과 창업교육프로그램(전문성, 차별성)을 통해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기에 개인별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창업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 창업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행동에 관한 태도 및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효과

        장샤오쉬엔 호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기효능감이 대학(원)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창업자기효능감과 대학(원)생의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 졸업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취업에 대한 압박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졸업 후의 진로결정에 있어서 취업, 진학 외에 창업의 길을 선택하기도 한다. 창업자기효능감은 자기효능감이 확장된 심리학 개념으로 창업목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데 필요한 기업가의 역할과 행동의 자신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창업자의 효능감이 높은 예비 창업자는 경쟁 환경을 기회로 보고 불확실하고 위험한 현실에 능숙하게 대처해 창업에 유의한 것으로 기존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창업자기효능감은 행동에 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를 통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대학(원)생을 연구대상으로 2021년 8월 24일부터 2021년 9월 15일까지 온라인, 오프라인의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총 237명이 참여하였으며 불성실 응답과 획일적 응답 등 무효한 설문지 총 41부를 제외한 196부의 데이터가 최종 분석 자료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3.0 및 SPSS의 Process Macro Model 4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기효능감은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둘째,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서 부분 절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창업자기효능감, 행동에 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 창업의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검증을 통해 기존의 창업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의 연구결과를 재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창업자기효능감은 행동에 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에 미치는 영향과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의 상관관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동에 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자의 창업의도와 창업선택을 잘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학자들의 인정을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대학창업교육에 효과적인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의사결정기관에게 대학생 창업정책 수립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대학(원)생들의 창업 의도 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도 제공할 수 있다.

      •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유영철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요 약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논문제출자 유 영 철 지 도 교 수 이 원 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직・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창업교육, 창업지원제도, 창업멘토링의 매개가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창업효능감의 조절효과와 대학생의 창업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효능감이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창업지원제도인식은 정부창업지원정책과 대학창업지원사업으로 창업멘토링은 멘토링 기능(문제해결 기능, 네트워킹 기능, 의사소통 기능, 동기부여 기능)과 멘토 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였으며, 독립변수인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과 종속변수인 창업의지 사이에서 창업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지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창업교육 만족도는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지원제도 중 대학창업지원사업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효능감이 창업지원제도인식 중 대학창업지원사업과 대학생의 창업의지의 관계에 있어 조절작용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창업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창업교육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창업교육에 대한 꾸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극대화하고 실전창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대학 내외 창업 관련 정보 제공, 창업아이템을 실체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연계, 창업아이템 검증, 창업멘토링 제공, 상시상담이 가능한 창업상담창구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 내 창업상담창구 운영을 통해 대학에서 지원하는 교육제도 및 창업의 간접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대학창업지원사업과 자금을 지원하는 정부창업지원정책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 내 교수, 직원, 선배창업자 등 창업 분야의 멘토와의 연결을 통해 창업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창업의 준비과정에 대한 철저한 교육과 선배창업자의 창업실패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창업특강, 대학생의 전공별, 개인별 성향에 따른 맞춤형 창업교육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핵심주제어 :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 창업의지, 창업효능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