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업멘토링이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기회인식의 조절효과

        김보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Following the recent era of employment-free growth, COVID-19 has been added, leading to a serious economic situation. Accordingly, the unemployment problem is getting worse over time, and the government has allocated the largest budget ever with a total of 3.66 trillion won as of 2022. The probability of closure of all start-ups is 40% in the first year of establishment and reaches 90% within 10 years. Startup support projects reduce the risk of such closures and help start-up companies survive and grow. Among them, start-up mentoring is helping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and improv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through continuous coaching of mentors on mentees. Recently, various support has been provided, such as reorganizing the mentor pool to revitalize start-up mentoring, establishing a mentoring platform, and supporting online and offline mentoring. It can be said that segmenting the targets or programs of such start-up mentoring and grasping the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start-up mentoring are important for planning and proceeding with effective start-up mentoring programs in the fu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tart-up mentoring program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In social learning theory, the concept of self-efficacy into the entrepreneurial domain was first introduced, arguing that entrepreneurial efficacy is an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 in determining entrepreneurial wil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tart-up mentoring programs on start-up will for prospective start-ups and start-up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in more depth, examine entrepreneurial efficacy as a parameter.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whether the perception of opportunity affects the sense of self-efficacy and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as a regulatory variable. 최근 고용 없는 성장시대에 이어 코로나19까지 더해 심각한 경제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이에 실업문제는 시간이 흐를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2022년 기준 창업지원 예산으로 총 3조 6,668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예산을 배정하였다. 전체 창업기업의 폐업 확률은 기업 설립 첫해에 40%이고, 10년 이내에 90%에 이른다고 한다. 창업지원 사업은 이러한 폐업 리스크를 줄여주고 창업기업이 생존 및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 중 창업멘토링은 멘티에 대한 멘토의 지속적인 코칭을 통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창업 성공률 제고에 도움을 주고 있다. 최근에는 창업멘토링의 활성화를 위한 멘토 Pool 재편, 멘토링 플랫폼 구축, 온오프라인 멘토링 지원 사업 등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창업멘토링의 대상이나 프로그램을 세분화하고, 창업멘토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를 파악하는 것은 향후 효과적인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진행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에 주목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학습이론에서 제기된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처음으로 창업영역에 도입하고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를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설명변수라고 주장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와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매개 변수로 창업자기효능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기회인식이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예비청년창업가의 기업가정신, 사회적 자본,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창업교육의 조절효과 분석

        이수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창업을 준비 중이거나 창업한지 3년 이하의 예비청년창업가들이 자신들의 진로를 취업대신 창업으로 선택한 것에 주목하여 기업가정신, 사회적 자본,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합한 혼합연구 방법인 설명적 순차 설계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는 양적연구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며, 질적연구는 양적 연구의 보완적 기법으로 활용하였다. 양적연구 수행을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기업가정신, 사회적 자본,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도, 창업교육의 하위변인을 추출하고 연구대상에 적합한 사전조사(pre-test)를 거쳐 측정도구를 구성한 후 서울 및 수도권(경기도, 인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창업을 준비 중이거나 창업한지 3년 이하가 된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예비청년창업가들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첫째 주부터 넷째 주까지 4주 동안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일부는 e-mail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444명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AMO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기술통계량(평균, 표준편차)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 Pearson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EM),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연구는 예비청년창업가들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기업가정신 요인과 사회적 자본 요인을 도출하고, 창업의도에 있어서 창업자기효능감과 더불어 질적연구를 통하여 예비청년창업가들이 취업이 아닌 창업을 선택하게 된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목적에 맞는 예비청년창업가 8명을 의도적 표집하여 2019년 4월 첫째부터 넷째주까지 심층인터뷰를 진행한 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청년창업가들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위험감수성은 자신감과 과업 도전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혁신성은 과업 도전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청년창업가들의 사회적 자본이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먼저 네트워크, 신뢰, 규범 등의 사회적 자본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네트워크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업 도전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와 규범은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청년창업가들의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업 도전감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은 과업 도전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과업 도전감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위험감수성과 혁신성,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과업 도전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사회적 자본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신뢰, 규범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신뢰, 규범은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네트워크는 과업 도전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과업 도전감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네트워크, 신뢰, 규범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네트워크와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과업 도전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섯째,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기업가정신의 혁신성과 창업자기효능감의 과업 도전감에서 창업교육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간에서 조절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창업교육을 받은 집단이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기조절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는 개방코딩 결과 85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반복적 비교 분석을 통해 이를 35개의 하위범주로 구성하였고 다시 이를 15개의 상위범주를 구성하였다. 축코딩을 통해 범주들 사이에 관계를 연결하며 개방코딩 자료를 새롭게 조합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드러난 중심현상은‘창업과 취업사이에서 고민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현상의 원인이 되거나 영향을 주는 인과적 조건으로 ‘기업가정신’,‘창업자기효능감’,‘창업호기심’으로 나타났고,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으로‘창업과 취업현황’,‘취업문제’,‘창업기회’로 나타났다. 또한 중심현상이나 작용/상호작용의 과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재조건으로 ‘인간관계의 소중함’, 가족의 지지와 반대’, ‘사회적 경험’, ‘창업지원정책’으로 나타났고, 중심현상에 대한 반응인 작용/상호작용으로 ‘창업 준비행동’,‘현실타협’,‘창업자금 준비행동’으로 나타났고, 작용/상호작용의 결과물인 결과는 ‘창업선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징인 기업가정신보다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자본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 사회와 같이 인맥을 중요시 여기는 사회에서 창업을 할 때 예비청년창업가들이 창업 초기 불확실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인적 네트워크, 신뢰관계, 창업지원정책, 사회적 경험 등 사회적 자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예비청년창업가에게 사회적 자본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창업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매개변수인 창업자기효감이 창업의도를 높이기 위한 핵심변수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창업교육에 있어서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의 능력을 기르는 것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창업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창업교육을 동시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것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의 정책적 측면에서 향후 예비청년창업가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창업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창업교육이 조절효과로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예비청년창업가들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예비청년창업가들에 비해 혁신성이 과업 도전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업교육이 예비청년창업가에게 기업가정신 중 어려운 과업을 완수하려는 성취욕구와 어느 정도 위험이 따른다는 것을 알면서도 모험적이고 새로운 것에 도전을 즐기는 위험감수성을 소유할 수 있도록 외부 창업교육전문가들의 적극 활용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young pre-entrepreneurs under three years of start-up stage or start-up stage.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examined in relations of these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mixed study of quantitative research. In addition,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first priority in this study,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as a complementary method in quantitative research. First,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sub - 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extracted through the study of previous studies. Also, for those who are 19 years of age or younger and under 39 years of age who have been in business for 3 years or less since they are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or resident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Gyeonggi, Incheon), the first to fourth weeks of March 2019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directly or via e-mail for 4 weeks, and a total of 444 person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e us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SEM), bootstrapping analysis for mediating effects, The effect of hierarchical control was analyzed. In qualitative research,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nd social capital of young pre-entrepreneurs were explored, and the factors that led the young entrepreneurs to choose entrepreneurship rather than employment were explored.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the first week to the fourth week of April, 2019 for eight young pre-entrepreneurs who are suitable for qualitative research purposes. A paradigm model was presented through grounded theory. The results of the comb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risk-acceptability positively affects self-confidence and task challenge, innovativeness has positive effect on task challenge. Secon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such as network, trust, and norm on self-confidence, the network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self-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challenge. And trust and norm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self-regulated efficacy. Thir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s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test,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challeng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Fourth,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s a result, the risk-acceptability and innova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ask challenge and the task challenge was influenced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ask challenge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acceptability, innova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lso, in relation to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networks, trust, and norms influenced self-regulated efficacy. The network affects the sense of task challenge and the sense of task challenge affect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refore,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trust, norm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ask challe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nd network.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as found to be related with the innovation factor of entrepreneurship and the challenge factor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as pro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refore, the self-regulated efficacy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an the non-educated group. sixth, in this study, 85 concept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results and 35 subcategories and 15 upper-categories were constructed through iterative comparison analysis. The paradigm model was constructed by link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ategories through axis coding and recombining the open coding data. From this, we derive that the central phenomenon is ‘worry between the start-up and the employment'.‘Entrepreneurship’,‘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curiosity’ were the causal factors influencing the central phenomenon. The contextual conditions influencing the central phenomenon were ‘start-up and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problem’, ‘start-up opportunity'. In addition, mediation conditions that indirectly affect the process of central phenomena and interaction/interaction ar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 ‘family support and opposition',‘social experience', ‘start-up support policy'. The responses to the central phenomenon were ‘preparation for start-up', ‘real compromise', ‘preparation of start-up funds', and the result of action/interaction was ‘start-up cho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s mediator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is greater than that of entrepreneurship which is a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implies that young pre-entrepreneu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such as human networks in Korea, trust relationships, start-up support policies, and social experiences in order to overcome uncertainties in the early stage of start-up. This suggests that social capital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young pre-entrepreneurs in the future,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needed to strengthen them. Second, the parameter self-efficacy of entrepreneurship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to increase entrepreneurship intention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make efforts not only to improve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capacity but also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at improv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lso, in the policy asp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mplement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enhanc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hen design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s of future young pre-entrepreneurs. Third, entrepreneurship education did not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or effect.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innovativeness on the task challenge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the young pre-entrepreneurs who had experi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so, the same effect was found in the effect of self-regulated efficacy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refor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enable young pre-entrepreneurs to possess entrepreneurial desires to accomplish difficult tasks, risk perception that challenges entrepreneurs and risk-acceptability to be able to face a new challenges while recognizing risks, and the use of extern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ts is required for this. Key words :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ship education

      • 기업가정신 및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홍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이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을 매개효과로 설정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발전적인 창업지원 정책방향을 도모하고, 창업자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반대의 개념인 창업실패부담감을 매개효과로 연구를 진행하여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 정책의 올바른 방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며, 마지막으로는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간의 창업의도 분석과 창업자기효능감과 실패부담의 집단별 창업의도 차이의 결과를 분석하여 스타트업의 사회적 인식제고 및 창업자의 창업의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3대 요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창업지원정책은 자금지원, 교육지원, 인프라 지원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창업자의 자기효능감과 실패부담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의 기업가정신 요인이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업가정신 요인 중에서 혁신성과 진취성, 위험감수성 요인 모두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자의 기업가정신 요인이 창업실패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혁신성 요인은 창업실패부담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취성과 위험감수성은 창업자의 창업실패부담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창업자의 혁신성은 창업 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창업지원정책 요인이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 교육지원과 인프라지원 요인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나 창업 자금지원 요인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지원정책 요인이 창업실패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지원정책 요인 중에서는 창업 자금지원요인이 창업실패부담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업 관련 교육지원과 인프라지원 창업자의 창업실패부담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창업 자금지원은 창업자의 창업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 창업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설정한 결과,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실패부담감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시패부담감을 낮추고, 창업의도를 높이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창업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를 낮추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기업가정신,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먼저 기업가정신 요인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혁신성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 혁신성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위험감수성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 혁신성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경로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창업지원정책 요인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육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 교육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자금지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 경로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프라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실패부담감 → 창업의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인프라지원 → 창업자기효능감 → 창업의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교육지원과 인프라 지원은 창업실패부담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지만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창업실패부담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다섯째,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실패부담감, 창업의도의 차이의 결과를 살펴보면 창업자기효능감의 경우 기창업자가 예비창업자에 비해 높았으며, 창업실패부담감은 예비창업자가 기창업자에 비해 높았으며, 창업의도는 기창업자가 예비창업자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기창업자가 창업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실패부담감, 창업의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기창업자와 예비창업자 모두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창업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의도가 높고, 창업실패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실패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은 예비창업자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 예비창업자의 경우 창업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실패에 대한 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중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들의 학력, 창업 경력, 가족창업 경력, 창업지원정책 활용 여부, 창업 여부 등에 따라 연구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 경로계수의 집단별 차이는 대응별 모수비교(Pairwise Parameter Comparison)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향후 기업가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방안과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창업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창업실패부담감을 낮추어 창업자의 창업의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or a startup. To this end, we intend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by setting th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on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the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and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as a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it aims to develop entrepreneurially support policy direction and mediates self-efficacy affecting the entrepreneurs' intention to start up, and the opposite concept, business failure burden. The study conducted as an effect to provide a rationale for the correct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Fin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between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and the difference in entrepreneurship the intentions by a group of failure burden By analyzing, we intend to contribute to raising the social awareness of startups and improving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Entrepreneurship surveyed focusing on three factors: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was focused on funding, education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on the intention to start was analy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founder's self-efficacy and the burden of failure on the intention to start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entrepreneurship factors, innovativeness, enterprisingness, and risk-sensitization factors al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sensibility.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the innovativeness factor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but the advancement and risk susceptibility to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There was no direct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it was predicted that the founder's innovativeness contributed to lowering the burden of start-up failur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factors on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ship efficacies, but entrepreneurship funding factors were significant in entrepreneurship efficacies. There was no effec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factor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actors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the funding factors for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There was no direct impact on the founding failure of the infrastructure support entrepreneur. Therefore, it was predicted that funding for start-ups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the burden of start-up failures. Third, as a result of establish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under's sense of entrepreneurship and the failure to start a business, the founder's sense of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Significant positive (+)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tartup, and the failure to start a bus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tartup int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has a negative effect on lowering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was verifi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factors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nd founding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innovation → entrepreneurship efficiencies → intention to start up and innovation →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 entrepreneurship failure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ship degree, risk sensitivity → Founder's effectiveness → Start-up intention, innovation → Start-up failure burden → Start-up intention All mediating effects of the rout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Nex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about th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education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icacy → entrepreneurship intention, education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 entrepreneurship failure commitment →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start the business, the funding → the burden of the failure to start the business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ntion to start the business were all significant. Infrastructure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was significant, but infrastructure support → Entrepreneurship efficiency →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For reference, education support and infrastructure support does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but it means that the entrepreneurship effectiveness is mediated by the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nder's entrepreneurship efficacy, entrepreneurship failure burde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was higher than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It was higher, and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a pre-found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that the founding intention was high. Looking 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failure,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failure entrepreneu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founder's effectivenes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the lower the burden of starting failur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fficacies on the burden of entrepreneurship failure was predicted to be significant only in pre-starters, so the higher the entrepreneurship efficiencies, the lower the burden on startup failure. Lastly,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among research variabl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entrepreneurship, family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utilization, and entrepreneurship. Differences by a group of path coefficients were examined through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ways to promote entrepreneurship in the future and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y. We will leave the lack of in the future research project.

      •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 : 직장인을 대상으로

        송창운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7

        최근 국내외 경제상황은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과 같은 이유뿐 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기술의 기존산업에의 응용, 국가 간, 기업 간 무한경쟁의 확대, 보호무역주의 경향 강화 등으로 고용상황을 갈수록 악화시키고 있다. 고용상황에서의 부정적 악화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며 미국을 비롯한 유럽연합 등 선진국들은 일찍부터 이런 현상을 간파하고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다양한 창업을 촉진시키는 정책을 펼쳐왔다. 그 중 하나가 전 생애주기에 걸친 기업가정신 교육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고용상황의 악화를 막는 대안 중의 하나가 창업지원이라는 인식하고 2000년대 들어와 오랫동안 창업에서 강력한 변인으로 알려진 기업가정신은 많은 연구자들의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이와 함께 창업행동에 가장 중요한 것은 창업의도이며 창업을 늘리기 위해선 정부의 정책적 지원 외에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선행변수들의 탐색과 이들과 창업의도와의 관계 등이 창업의도 연구의 주요 이슈가 되어왔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대학생, 청년, 시니어 등을 대상으로 한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한 것이 대부분이다. 창업의도의 선행변수로 기업가정신, 사회적 자본, 창업자기효능감, 리더십, 사회적 지지, 정책 환경 등이 선행변수로 알려져 있고 변수 간의 단순한 관계부터 최근에는 구조적 관계에 까지 연구방법도 다양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대상을 직장인으로 확장하여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영향관계를 구조적 관계로 확인하고자 한다. 학생시절을 끝내고 사회에 진출하면서 창업이 아닌 취업을 선택하여 직장생활을 영위하는 직장인들은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진 오늘날 나름의 경력단계를 거치면서 경력관리를 하지만 직장생활 과정 어느 순간에는 재취업 또는 창업을 고려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창업관련 연구는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직장인들의 창업의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창업의도에 중요한 영향변수로 알려진 기업가정신은 많은 연구자들이 독립변수로 사용하고 있다. 기업가정신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업가에 대한 논쟁에서 기업가는 타고나는 것보다는 후천적으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습득될 수 있다는 입장이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는 개인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개인성향이 예측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다양한 특성 중 위험성향과 행동성향을 채택하여 성향변수들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지를 확인했고 기업가정신과 상호작용하는 조절변수인지도 검증했다. 기존의 연구에서 사회적 자본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네트워크가 가장 중요한 개념이며 이런 것은 직장인들에게서 가장 잘 구현되는 자산이기도하다. 직장인은 경력단계를 거치면서 사회적 자본을 많이 획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규명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직장인 대상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지를 검증했다.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이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신념과 기대를 말하며 자기효능감은 선행연구에서 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알려져 있다. 자기효능감을 창업에 응용한 개념이 창업자기효능감이다. 국내 창업의도관련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 또는 매개변수로서 검증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기효능감을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절변수로서의 조절효과를 발휘하는지 확인코자 했다. 이상의 여섯 개의 구성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주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적인 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11개의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중소기업 이상의 사기업과 공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최종자료는 332부이며 SPSS Statistics 24, SPSS Amos 24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위험성향은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의 행동성향은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은 사회적 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자본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 다섯째,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 자본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를 정(+)의 방향으로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 일곱째, 기업가정신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를 정(+)의 방향으로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 이어서 직장인들에게 있어서 위험성향, 행동성향 두 개념들이 기업가정신과 상호작용하는 조절변수인지를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모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덟째, 기업가정신에서 위험성향은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을 높이지 않는다. 아홉째, 기업가정신에서 위험성향은 직장인의 창업의도를 높이지 않는다. 열 째, 기업가정신에서 행동성향은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을 높이지 않는다. 열 한 번 째, 기업가정신에서 행동성향은 직장인의 창업의도를 높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성향과 행동성향, 기업가정신, 사회적 자본, 창업자기효능감이 구조적 관계에 있고 이들은 서로 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로서의 구조적인 영향관계에 있음을 밝혀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지만 직장인들의 경력단계별로 창업에서 오랫동안 알려온 구성개념들인 본 연구의 측정도구가 어떻게 변하는지 실무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직장인의 창업의도 연구에서 여러 선행변수들의 구조적 관계 규명 노력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Recentl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nomic conditions have worsened not only for the same reasons as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19, but also for the appli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existing industries, the expansion of unlimited competition among countries and companies, and the strengthening of protectionism. The negative trend in the employment situation is a common phenomenon throughout the world, and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have early implemented policies to promote diverse start-ups as alternatives to identify and overcome the phenomenon. One of them is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In Korea, entrepreneurship, which has long been known as a strong variable in start-ups since the 2000s, has been a research topic for many researchers, recognizing that one of the alternatives to prevent the worsening of the employment situation. At the same time,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start-up activities i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rder to increase start-ups, it is not only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but also the search for a number of prior variables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it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or variabl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se topics have been a major issue in the stud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has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mainly for college students, young people, and seniors. The preceding 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policy environment are widely known. Research methods vary from simpl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o structural relationships recently. This study seeks to expand existing research subjects to employe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influence identified in prior research as structural relationships. After finishing their student days and entering society, office workers who choose to get a job rather than start a business, manage their careers through their own stages of experience when the concept of a lifetime job disappeared. At some point in the career path, however, one has no choice but to consider reemployment or start-ups. Therefore, a start-up study of office workers is neede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it is hard to find any research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mployees. Entrepreneurship, known as an important influence variable in start-up intentions, is used by many research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debate about entrepreneurs used in a similar concept to entrepreneurship, there is widespread support for the position that entrepreneurs can be acquir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rather than by birth. Under such circumstan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can be predicted as variables that can affect entrepreneurship. In this study, risk propensity and action orientation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were adopted as individual tendencies. In addition to verifying whether these propensity variables ar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entrepreneurship, they also verified whether they are regulatory variables that interact with entrepreneurship. In existing studies, social capital is known to a variable to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Social networks are the most important concepts that make up social capital, and these are the best-implemented assets for office workers. Employees acquire a lot of social capital throughout their careers. In this study, we verified whether the mediate effect of social capital identified in existing studies was the same in the study of employees. Self-efficacy refers to the belief and expectation that in some situations, one can act properly. It is known as a variable that has a variety of influences, such as independent variable, mediate variable, and regulatory variable, in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applying self-efficacy to start-up research i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a prior study related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Korea, most of them verifie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independent variable or mediate variable. In this study, we wanted to check whether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s verified as a regulatory variable. In order to identify the above research topics, extracting six constructive concepts and presenting structural research models which 11 hypotheses were established, Data for the hypothesis test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s of employees working for private enterprises and public corporations abo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final data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in part 332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using SPSS Statistics 24, SPSS Amos 24. The main hypothesis test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individuals' risk propens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of worker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individuals' action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of workers. Third, entrepreneurship of workers i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Fourth, the social capital of office work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ther words, social capital serves as a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ifth, entrepreneurship of worker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us, social capital, a parameter, serves as a partial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social capital has the effect of regula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 positive direction. Seventh, i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s a regulation effect that strength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direction of positive. Sub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both concepts of risk propensity and action orientation were not regulatory variables that interacted with entrepreneurship. Eighth, in entrepreneurship, risk propensity does not increase the social capital of office workers. Ninth, the risk propensity in entrepreneurship does not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mployees. Tenth. in entrepreneurship, action orientation does not increase the social capital of employees. Eleventh, in entrepreneurship, action orientation does not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mploye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risk propensity, action orientation,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r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they are structural influences as independent variables, mediators, and regulatory variable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presented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which have long been known in the stud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dentification efforts of several prior variables i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tudy of the workers, and propose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창업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행동에 관한 태도 및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효과

        장샤오쉬엔 호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기효능감이 대학(원)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창업자기효능감과 대학(원)생의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 졸업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취업에 대한 압박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졸업 후의 진로결정에 있어서 취업, 진학 외에 창업의 길을 선택하기도 한다. 창업자기효능감은 자기효능감이 확장된 심리학 개념으로 창업목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데 필요한 기업가의 역할과 행동의 자신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창업자의 효능감이 높은 예비 창업자는 경쟁 환경을 기회로 보고 불확실하고 위험한 현실에 능숙하게 대처해 창업에 유의한 것으로 기존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창업자기효능감은 행동에 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를 통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대학(원)생을 연구대상으로 2021년 8월 24일부터 2021년 9월 15일까지 온라인, 오프라인의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총 237명이 참여하였으며 불성실 응답과 획일적 응답 등 무효한 설문지 총 41부를 제외한 196부의 데이터가 최종 분석 자료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3.0 및 SPSS의 Process Macro Model 4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기효능감은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둘째,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서 부분 절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창업자기효능감, 행동에 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 창업의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검증을 통해 기존의 창업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의 연구결과를 재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창업자기효능감은 행동에 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에 미치는 영향과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행동에 관한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의 상관관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동에 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자의 창업의도와 창업선택을 잘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학자들의 인정을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대학창업교육에 효과적인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의사결정기관에게 대학생 창업정책 수립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대학(원)생들의 창업 의도 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도 제공할 수 있다.

      • 중국청년창업가의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사회적지지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Most of the young people feel very upset about the occupation choice, so they do various preparations for the future. The deteriorating economic situation and the low employment rate results in that the young people could not find suitable jobs after graduation in China. In the last ten years, the university graduates in China have increased six times, and it is close to 6,000,000. Due to the severely increased number of the graduates, the wages are becoming low on one hand, and the unemployment is rising gradually on the other hand. For there reasons, 2/3 young people in China is willing to be as the civil servants who have no competition pressure or to work in state-owned enterprises. Through the university education, the economy have been developed, but it couldn ̓t create more jobs for graduates which make South Korea and India feel upset, and it is also a troubled thing for the Chinese government. Because entrepreneurship could solve this problem, so that it receives more attention from people recently. Entrepreneurship can not only solve the employment problems of their own, but also can solve the problem of employment of other people in the process of entrepreneurship. Therefore, the activity of entrepreneurship can not only activate the economy, but also it can be said to bo the most effective means to create jobs. Actually, i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 can be said to be he first stage of entrepreneurship,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part. For the study of factors that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re very much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But there do not have much research about how important that the social support is to entrepreneurs. In this study, it aims local youth entrepreneur of Beijing and Hangzhou in China, and d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support, entrepreneurial self-effici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the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social support does play a positive role to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parents and family ̓s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 support from friends are all influential variables to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social support become a medium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at also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our hypotheses have been confirmed as affecting factors. These are the social suppor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 medium played by the social support between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esides, for Chinese young entrepreneur, the social support, especially the support from parents and family and support from friends, plays a positive role to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mpared with the parents and family ̓support, the support from friends plays a more important role. That is to say, to the yong entrepreneur, the more support receives from parents, family and friend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will be stronger. Key words: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 social suppor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대부분의 청년들이 자신의 직업선택결정을 불안해하면서 미래에 관한 계획들을 준비한다. 경제 상황의 악화와 고용불안 등 요소가 증가로 인해 중국 청년들이 졸업 후 일자리를 제대로 찾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중국의 대학졸업생 수는 6배 증가해 연 600여만 명에 육박했다. 대졸자 수가 과다해짐에 따라 대졸연봉이 낮아지는 한편, 최근 대졸자 중 실업자율도 점차로 늘어나고 있다. 그 결과 중국대학졸업생의 3분의 2는 경기침체 걱정이 거의 없는 공무원이 되거나 공기업에서 일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나 인도의 경우와도 같이 대학교육을 통해 경제를 발전시키려 했으나 대학졸업생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창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중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일자리 창출 문제의 해결책으로 최근에 들어 창업이 주목받고 있다. 창업은 기업가 자신의 일자리 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에게도 창업기회를 만들어 준다. 때문에 창업의 활성화는 경제활성화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행동하기에 앞서 창업하겠다는 창업의도야말로 창업활동의 첫 번째단계라 할 수 있고,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초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방면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창업자들의 사회적지지의 특징이 어떠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중국 북경 및 항주에 거주하고 있는 청년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실증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에 정(+)의 효과를 주었다. 연구결과, 사회적지지와 창업자기효능감이 역시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가족의 물질적 지지、정서적 지지와 친구의 정보적 지지가 창업의도에 유의한 변인임이 밝혀졌으며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을 완전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시한 기본가설 4개 모두가 채택되었다. 즉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청년창업가들의 사회적지지, 특히 부모·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족 지지보다는 친구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청년창업가들이 친구와 부모·가족한테서 지지를 받을수록 창업의도가 더 명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창업, 창업의도,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

      • 개인적 특성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이수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completion of the start-up education program, and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is the main attitude required of founders.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liminary entrepreneurs, established entrepreneurs, and students who comple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surveyed for two weeks from April 14, 2021 to April 29, 2021. 353 response sheets were recovere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WIN 23.0,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First, risk tolerance, a sub-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risk tolerance,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we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he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Fift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risk tolerance, internal control, and self-esteem played a mediating role i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o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ship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Seventh, the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role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s important. In addition, risk tolerance and self-esteem of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start-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art-up inten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by analyz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 및 창업교육프로그램 이수와 창업의도 간 관계가 창업자에게 요구되는 주요 태도로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개인특성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이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비창업자, 기창업자, 창업교육을 이수한 학생들 대상으로 2021년 4월 14일부터 2021년 4월 29일까지 2주간에 걸처 온라인과 모바일로 수집한 인터넷 설문방식을 통해 총 353부의 응답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으로 통계분석을 하였고,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의 하위 변수인 위험감수성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차별성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위험감수성과 자존감, 내적통제는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차별성은 창업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위험감수성과 내적통제, 자존감은 창업자기효능감에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창업의도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차별성은 창업자기효능감에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창업의도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자기효능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창업에 대한 개인적 특성의 위험감수성과 자존감이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적 특성(위험감수성, 자존감)과 창업교육프로그램(전문성, 차별성)을 통해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기에 개인별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창업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 외식창업자의 창업환경이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 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창승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코로나 19사태로 인하여 서민경제의 근간이 되고 있는 자영업체들의 어 려움은 지속되고 있으며 창업의 성공률은 매우 저조하다. 또한 수많은 외식 업체들이 수익성 악화 에 시달리며 채산성을 맞추지 못하고 창업과 폐업을 반복하면서 가정경제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행복지수에 악영향을 미 치고 있다. 이로 인해서 대외적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는 내수부진과 수출에 이르기 까지 악영향을 미치며 고용불안 증가와 실업률이 심각한 사 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동안 연구자들에 의해 많이 연구되어 온 외식창업자의 창업환경에 관한 연구와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창업자의 창업환경이 창 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독립변수인 창업환경과 창업자 기 효능감과 창업의도와의 변수들 사이에서 기업가 정신이 미치는 조절효 과를 구조적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하는 그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기준으로 이론적 배경, 연구모형, 가설설정을 구성하였고, 변수간의 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 이 진행하였다. 조사 시기는 설문지의 미비한 점과 개선을 위하여 예비설문지 40부를 1차로 2023년 6월 15일 배포하고 응답에 대한 코딩작업을 걸쳐 각 변수별 문항을 검증 하여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2023년 8월 15일부터 2023년 9월 15일 까지 기 존 외식업 에 종사하고 있으며 폐업이나 재창업을 고려하고 있거나, 젊은 청년부터 은퇴세대에 이르기까지 외식업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창업자를 표본 대상으로 하였다 2차에 대한 설문지는 총 중 350부(회수율 94.59%)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에서 응답이 부실하거나 분석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1부를 제외한 341부 (유효율 97.4%)의 설문지를 가지고 분석 자료를 데이터 코딩하여 SPSS 22.0의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문 항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직각회전의 베리멕스(Varimax) 방법을 실시하고, 신뢰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각 요인별로 Cronbach's α 계수를 이 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별 상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가설 검증 전 외식창업자의 창업환경,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도, 기업가정신의 변수간의 방향 성과 일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설검증 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1-1의 창업환경(창업멘토)는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1-2의 창업환경(개인적 네트워크)는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1 창업환경(창업멘토)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심. 가설 2-2의 창업환경(개인적 네트워크)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가설 4-1 기업가정신(혁신성)은 창업환경과 창업 자기효능감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가설 4-2의 기업가 정신(위험감수성)은 창업환경과 창업 자기효능감 간에 부분 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가설 5-1 기업가정신(혁신성)은 창업환경과 창업의도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가설 5-2 심기업가 정신(위험감수성)은 창업환경과 창업자기효능강 간에 유의미 한 부분적으로 긍정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식창업자의 새로운 시장과 고객을 창출하는 사업기회를 포착하거나 경쟁력 향상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분야나 업종 사이에 관계 맺기 를 통해 상호 유대감을 바탕으로 자생력 있는 커뮤니티 활성화의 단초가 될 수 있 다. 이는 기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을 최대한 줄이고, 혁신적인 아이템을 가지고, 진 취성 있게 실패할 확률을 떨어뜨리고 창업자가 가진 목표나 성공을 위해 현장에서 다양한 도입 노력과 운영이 필요하다. 핵심어: 외식창업자, 창업환경,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도, 기업가정신

      • 창의적 특성이 인지된 욕구, 창업자기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문화예술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 Focusing on the Art & Culture Major Student

        강만규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reative characteristic on perceived desir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o find the way to promot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art & culture major student. In this study, 166 out of 174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arts and cultur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reativ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creative personality of creativ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However, creative 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desir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e personality, perceived desir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ere all mediated, but the creative ability was reject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erceived desirability o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uture research should develop a variety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contents so that creative ability rejected in this study will have an effect. 본 연구는 문화예술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특성이 인지된 욕구, 창업자기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문화예술전공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창업교육이나 창업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해 본 수도권지역 문화예술관련 전공 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특성(창의적 성격, 창의적 역량)이 인지적 욕구,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한 결과 창의적 특성 중 창의적 성격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창의적 특성 중 창의적 역량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은 기각되었다. 하지만 창의적 역량은 인지된 욕구나 창업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지된 욕구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인지된 욕구와 창업자기효능감 모두 창의적 성격과 매개효과를 보였고 창의적 역량과는 기각되었다. 셋째, 환경적 요인이 조절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환경적인 요인은 인지된 욕구나 창업자기효능감에 조절효과로 작용하여 창업의지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전공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고취하기 위하여 창의적 성격이나 환경적 요인을 활용한 문화예술전공 학생들만의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정책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