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기남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 육 학 과 이 기 남 지 도 교 수 조 규 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 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부산시, 김해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을 대상으로 각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최소 50 명 이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다. 1학년의 경우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이 가장 높고, 2~4학년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이 가장 높다. 남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과 진로탄력성, 진로성숙도 순으로 진로준비행동과 상관이 높고, 여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 진로성숙도 순으로 진로준비행동과 상관이 높다. 둘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진로탄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학년 전체의 경우,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학생은 진로정체감이, 여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2학년 전체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녀학생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3학년 전체의 경우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진로성숙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여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4학년 전체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남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여학생은 진로성숙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전체 대학생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녀학생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진로준비행동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학년이나 성별에 맞는 다양한 방식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차원에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로상담, 체험을 위한 진로프로그램, 진로 관련 특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대학생용 진로정체감 프로그램 개발

        김신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Development of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Kim, Shin-Jeong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eong-Hoi)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career identity was defined as a clear and stable self images of one's career in the area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Career identity in this investigation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s of the three factors assessed by the Career Ident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Kim & Kim, 2012). The three factors are career-identity cognition, career-identity emotion, career-identity behavior. The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ill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be constructed properly? 2. Will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crease the scores of career identity in the treatment group more eff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3. Will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crease the scores of sub-factors(career-identity cognition, career-identity emotion, career-identity behavior) in the treatment group more eff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areas: 1) verification of the program development 2) survey of the needs 3) formulation of the goals and objects 4) selection and sequencing of the contents 5) construction of the evaluation plans 6) evaluation by an expert group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7) execution of pilot program 8) modification of the program 9) execution of the program 10) evaluation of the program 11) confirmation of the final program and its management.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s students was made up of ten sessions, each lasted one hour and forty minutes. The Career Ident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Kim & Kim, 2012)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of Y College in K city. Participants for the study consisted of 28 students, all of which had lower mean scores. They were then randomly split into 2 groups of 14 students.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as evaluated based on the program evaluation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In the program evaluation, The Career Ident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Kim & Kim, 2012)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test the effects of the Career Identity Program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us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sign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variance analysis was used.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8.0 using a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the level of overall Scale for Career Identity. The training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the level of sub-factors Scale for Career Ident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rough the several experiments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1. It showed that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as constructed properly. 2. It showed that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as effective in enhancing career identity scores. 3. It showed that the Career Identit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sub-factors (career-identity cognition, career-identity emotion, career-identity behavior) scores.

      • 여자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연구

        정미숙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여, 여자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여자대학생의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셋째,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지역 4개 대학교의 비서 관련학과 572명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고,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경로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정체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정체감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진로상담 시에 학생이 자신의 능력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으며, 학생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독려함으로서 효과적인 상담개입을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가 상담에 실제 적용되기 위해서 앞으로 이 변인들이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증진을 위한 개입방법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의 원활한 진로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직무가 명시된 비서관련과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진로정체성과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산업체 수요와 직무역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행동적 측면을 활성화하기 위한 경로로써 자기효능감의 역할이 본 연구결과 확인되었다. 진로준비행동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지와 행동을 연결해 주는 변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향후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제3의 변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 미 주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가족주거학과 가족복지상담전공 지도교수 홍상욱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여,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간의 상관관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북 K시에 소재하고 있는 Y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3,4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18.0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상관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진로의사결정유형은 소득정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준비행동에서는 학년과 소득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3학년보다 4학년이 더 높았고, 소득은 200~500만원미만인 경우가 200만원미만인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에서는 21~23세인 경우가 24~29세인 경우보다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의존적 유형과 직관적 유형, 진로결정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정체감은 진로의사결정유형 중 합리적 유형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준비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합리적 유형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수준이 높을 때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진로의사결정유형 중 합리적 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진로결정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중 합리적 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Kim, Mi-Ju Department of Family and Housing Studies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ong, Sang-Uk)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career guidance and the counsel for college students, by identifying determinants which influenced the leve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sought to discover 1) the differences of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types,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nd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3)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4)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typ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5)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study, a total of 300 junior and senior students enrolled in Y university located i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Cronbach’s ⍺,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areer identity of female students were higher, compared with male students, and the career identity of students aged 24 to 29 was higher than those aged 21 to 23. In regard to career decision-making types, the number of students aged 21 to 23 with a dependent type and a intuitive type was more than those aged 24 to 29.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found among different grades and income levels. In particula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students were higher, compared with senior student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with two to less than five million won was the highest, after those with five million won and over and less than two million w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identity and a rational type of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identity and a rational type. Third, it was observed that career identity influenc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career identity level was,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was. Fourth, regard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typ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ly rational type of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ffe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regard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observed that career decision levels influenc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rough thes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of career identity and a rational type of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nd career decision levels affect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to increas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ir career identity and their career decision levels are needed to grow. Also, efforts are needed to be made for rational communication.

      •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하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preparation of career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 formed following research issues. First, Does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Identity? Second, Does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Does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ese research issues are set up as following. First, training through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Identity. Second, training through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training through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verify these hypotheses, 20 volunteer students, who are first graders in H-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Nam-myeon, Yangju-si, Kyeonggi-do,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two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0 students in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otally 10 sessions for about 60-90 minutes over 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at all.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I examined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using an Career Indentity Sca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go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by use of SPSS 20.0 program. The ANCOVA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on the difference by groups on the condition of the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of Career Identity.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Career Ident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ird,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kept a high level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fter testing.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to keep a level of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s these finding seen,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urned out effective in enhancing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특성화고등학교 진로교육 현장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진로지도 하는 데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셋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위치한 남녀공학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 가운데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20명을 각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10명을 대상으로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총 6주 동안 10회기에 걸쳐 한 회기 당 60분에서 90분 이내의 시간으로 실험처치를 하였고,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 집단의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 검사, 추후 검사를 실시하여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검사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0.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사후 검사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의 지속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추후 검사를 실시하고, 사후 검사와 추후 검사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실험집단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실험집단의 진로준비행동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넷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거나 유지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미루어볼 때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역량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이현경 순천대학교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personal variables (gender, grade, major, major satisfaction, and family economy level). Accordingl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a total of 290 people at S University located in Jeollanam-do.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7.0 statistical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barriers and career ident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ies.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which can be attributed to serious employment difficulties, unfavorable employment conditions for female students, and burdens such as marriage and childbirth. The career identity was higher for male students than for female students because they considered aspects of their desire to survive, such as employment possibility, income, and st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barriers,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grade. Depending on the major field, career barriers and career competenc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identity. The social sector perceived career barrier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affiliates, which can be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economic uncertainty and increased employment difficulties. Career competencies was high in the humanities department, which is similar to a study that shows that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varies depending on the major department. Career barriers,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ident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major satisfaction, the lower the career barrier, and the higher the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identit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 strategy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universities, departments, and majors is needed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identity. Career barri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family econom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identity. The high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for college students with low family economic levels is due to education and living expenses, so the university needs support to focus on academic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Second, career barriers have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competencies has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 64 -Key words: the career of a college student, Career barriers, career competencies, career identity identit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the less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in the career, and the more confusion in the job decision process, so educational experience a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identify and consider where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originate. In addition, specific educational support from universities that can improve career competencies should be prepared. The above research conclusion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s to form a career identity by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career by verifying career barriers and career competencie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career identity, identifying career barriers, and strengthening their comprehensive capabilities as future social workers.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 변인(성별, 학년, 전공계열, 전공 만족도, 가정 경제수준)에 따라 진로장벽, 진로역량, 진로정체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진로장벽, 진로역량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전라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S대학교 총 29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진로장벽과 진로정체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진로역량 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더 높았는데, 이는 여학생에게 불리한 취업환경, 결혼 및 출산 같은 부담감으로 인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진로정체감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높았는데, 이는 취업 가능성과 수입, 안정성과 같은 생존 욕구 측면을 더 많이 고려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학년에 따라 진로장벽, 진로역량, 진로정체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공계열에 따라 진로장벽과 진로역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진로정체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사회계열이 다른 계열에 비해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했는데 경제적 불확실성의 증가와 가중된 취업난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진로역량은 인문계열이 높았는데 이는 전공계열에 따라 진로개발역량 수준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와 유사하다. 전공 만족도에 따라 진로장벽, 진로역량, 진로정체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지각하며, 진로역량과 진로 정체감은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역량과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학이나 학과,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가정 경제 수준에 따라 진로장벽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진로역량과 진로정체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정 경제 수준이 낮은 대학생이 진로장벽의 지각이 높은 것은 교육비, 생활비 등에 의한 영향으로 학업과 진로 탐색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대학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진로장벽은 진로정체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 역량은 진로정체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에 대한 이해와 확신이 부족하고, 직업결정 과정에서 혼란감이 증가하므로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어디에서 기인하는지 스스로 파악하고 고찰할 수 있는 교육 경험 및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진로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대학의 구체적인 교육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론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과 진로 역량을 검증해 봄으로써, 진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로장벽을 파악하여 미래 사회인으로서의 포괄적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에서 나아가 진출하고자 하는 직무를 위한 전문화된 역량 개발을 통해 진로정체감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생활적응과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유학준비생을 중심으로

        이창선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학부유학을 준비하는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이상의 남·여학생 총 269명을 대상으로 생활적응과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진로정체감과 부모의 진로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심리검사연구소의 STRONG진로탐색검사를 사용하였고, 생활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심리검사연구소의 다차원인성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을 보여준다. 첫째, 자녀가 인식한 부모의 진로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적응과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는 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교생활만족도와 학교공부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교우관계만족도, 가정생활수용력, 스트레스적응도, 일탈행동통제력은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학교생활만족도와 학교공부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생활적응과 부모의 진로지지간의 관계에서는 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스트레스적응도를 제외한 학교생활만족도, 학교공부만족도, 교우관계만족도, 가정생활수용력, 일탈행동통제력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학준비생의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며, 부모가 자녀의 진로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적응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학교의 분위기나 선생님과의 관계의 학교생활만족도와 학교공부의 성취에 대해서 자신감을 나타내는 학교생활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진로정체감 형성의 주요 맥락 변인인 생활적응과 부모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부모-자녀-생활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학준비생의 지도 및 상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방안과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presents an analysis of 269 case studies of students, who sat thei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nd are preparing to study abroad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and the influence on career identity their parents' support had and the adjustment and adaptation capability of the student. The tools u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wo testing methods of the Korean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ion were used: the Strong Interest Inventory, to gauge career identity and parental career advice, and the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adjustment and adapta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18.0 was used to examine the acquired data. This research found that firstly, the higher the amount of parental support and advice, the clearer the career identity of the student. Second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adjustment capability and career identity, the variables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nd school studies, receive much attention and are assumed to be influential. However, this is not so for satisfaction in personal relationships and family life,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controlling deviant behavior. Thus, the influence that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nd school studies have on career identity shows they are invaluable variables. Thirdly,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justment capability and parental support and advice, the variables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excluding the ability to deal with stres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in school life, school studies, personal relationships, family life and the ability to control deviant behavior, the greater is one's career identity. This research paper confirms that parental advice and support influences career identity for students preparing for studying abroad, and reveals that parents play an immense role in developing their children's career. Regarding how life adjustment affects career identity, the aspects related to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nd school studies such as the school environment, atmosphere or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affect the variable this paper attempts to measure of whether confidence from academic achievement affects career identity. This thes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ones career identity in relation to the variables of parents, adjustment and adaptation, and broadens the scope of inquiry. The pape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school, and contains practical help for those preparing for studying abroad.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

        장미진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고등학교 200명(남학생 102, 여학생 98)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진로정체감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넷째,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진로정체감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이다.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은 인구사회학적 현황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 사이의 차이 및 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정체감이 진로성숙도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써 통계적 의미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t-test(t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진로성숙도는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 모두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진로정체감은 진로결정수준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는 진로결정수준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였으며,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 상호작용은 진로결정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넷째,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 사이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는 두 회귀모형 모두 유의하였으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정체감의 상호작용은 진로결정수준을 유의하게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및 영향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승희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ffects of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ies Kim, Seung Hee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sin University Supervised by Rhu, Hye Ok Summ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the career identi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for verifying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will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carrier identities? Second, how will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carrier decision-making abilities? 1) How will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program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the career decision making styles? 2) How will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program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the career decision making levels? The subjects were the second-grade male and female students of Y Middle School in Busan, and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osed of 16 student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choice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group counseling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ri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for 12 periods throughout 6 weeks; twice a week, and one period last 60 to 90 minutes.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conducted anything without pre-test and post-te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arri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carrier identity was measured by the test including quesionnaries related the carrier issues designed by Jo Eunju(2001), which referred the carrier identity test used by Holland(1980) and the test developed by Dignan(1965) and reorganized by Park Ahcheong The carrier decision-making ability was mesured by ACDM developed by Harren(1979),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Hyeonrim(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10.0 program. Besides the statistical analysis, moreover, participant's comments of each period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five subordinated categories such as stability, goal orientation, uniqueness, self-assertion and self-existence consciousnes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 which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two groups' carrier identities, one of which experienced the values clarification program and the other had no experience. Therefore, it proved that the carri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had an effect to increase middle school students' carrier identities. Second,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based on the different carrier decision-making styles, which was aimed at examining the changes of the carrier decision-making styl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intuitive style and the dependent style both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meaningful difference existed in the rational style. This showed that the carri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middle school students' rational style. Thir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level of the carrier decision-making, the analysis of the two subordinate categories such as level of school adaptability and the level of carrier planning was done. In both two categories, there exist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d that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raise the students' carrier decision-making lev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ies that the carri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impinges upon the growth of students' carrier identities and career-decision making abilities by not only making them understand themselves more systematically but also offering them opportunities to have an concrete insight into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their own career.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 승 희 상담심리 전공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지도교수 류 혜 옥 요약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에 참가한 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Y중학교 2학년 남․여 학생들로 구성하였으며, 진로가치명료화 집단 상담에 참여 의사를 밝힌 1개 학급 32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희망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6명씩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6주간 매주 2회기씩 총 12회기(매회 60~90분)에 걸쳐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사전, 사후 검사 이외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로정체감은 Holland 등(1980)이 사용한 자아정체감 검사, Dignan(1965)이 제작한 자아정체감 검사를 박아청이 개편한 검사를 참고로 조은주(2001)가 진로관련 문항으로 재구성한 검사지로 측정하였으며, 진로의사결정 능력은 Harren(1979)이 개발한 진로의사결정 척도(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 ACDM)를 이현림(2001)이 한국어로 번역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 외에도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 구성원의 회기별 소감문을 요약,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진로정체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로정체감 하위요인별 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 하위영역인 안정성, 목표지향성, 독특성, 자기주장, 자기존재의식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로의사결정 유형별로 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합리적 유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합리적 유형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의사결정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로의사결정 수준 하위요인별 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가지 하위영역인 학교에 대한 적응 수준, 진로계획 수준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수준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자신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진로에 대한 신념과 태도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통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 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와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

        이나경 계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ir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gender. The study attempt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are college students classified on moratorium, achieved, foreclosed, diffused, searching moratorium and undifferentiated by the vocational identity model?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ollege students on their self-esteem according to their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gender?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among college students'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gender?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vocational identity,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331 college students from K University in D city. Data were analyzed with cluste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six positions according to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model (achieved, undifferentiated, moratorium, searching moratorium, foreclosed, and diffused). Seco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heir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gender. Self-esteem was high when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was foreclosed and achieved, and male students had higher self-esteem than female students. Third,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Vocational identity status was higher on foreclosed and achievement statu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Specifically, male students showed higher personal emotional adaptation than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gender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ractice and research of career counsel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와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진로정체감 지위 평가 모형에 의해 유예, 성취, 유실, 혼미, 탐색유예, 미분화로 분류되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진로정체감 지위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진로정체감 지위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K대 대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로정체감 지위, 자아존중감, 대학생활 적응을 측정하였고, SPSS 22.0을 사용하여 군집분석, 판별분석과 단일변량분산분석(ANOVA),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진로정체감 지위 평가 모형에 의해 6개의 지위로 분류되었으며, 성취, 미분화, 유예, 탐색유예, 유실, 혼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진로정체감 지위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진로정체감 지위가 유실과 성취지위일 때 높게 나타났고,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 적응은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각 하위변인에서 대부분 진로정체감 지위가 유실과 성취지위일 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활 적응은 하위변인 중 개인-정서적응에서만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개인-정서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상담에서 상담자가 진로정체감 지위와 성별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으며, 상담자가 진로상담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각 지위에 따라 세부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지적하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와 관련하여 다양한 변인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