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

        김경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핵심자기평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진로선택몰입과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나아가 진로선택몰입이 핵심자기평가를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핵심자기평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진로선택몰입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진로선택몰입이 핵심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30명(남 211명, 여 2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은 진로선택몰입 척도(CCCS), 핵심자기평가 척도(CSES), 진로적응성 척도(CAAS)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선택몰입과 핵심자기평가, 진로적응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선택몰입이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선택몰입이 핵심자기평가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핵심자기평가는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사이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선택몰입이 높을수록 핵심자기평가가 높아지고, 이렇게 높아진 핵심자기평가를 통해 진로적응성이 다시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의 진로발달 및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로선택몰입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진로목표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부족한 대학생이 진로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할 경우, 핵심자기평가 수준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career adaptability, and core self-evaluation by university students, and find the effec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ore self-evaluation on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adaptabilit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career adaptability, and core self-evalua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what is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career adaptability? Fourth, what is the effec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n core self-evaluation? Fif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adaptability? This study implemented an online survey involving 430 students (211 males, 219 females) in 4-year universit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cale, Core Self-Evaluation Scale,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Model4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ain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core self-assessment,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commitment to career cho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core self-evalu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Fourth, Commitment to Career Cho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e self-evaluation. Fifth, core self-evaluation was shown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adaptabil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e higher the core self-evaluation, and through this high core self-evaluation, the career adaptability was found to increase agai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adaptation,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for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n addition, since the medi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is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the level of core self-evaluation are necessary when if a university student who lacks awareness and effort for career goals complains of difficulties in career adjusting.

      • 진로단절여성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홍복명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단절여성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현재 취업 활동을 하거나 희망을 하는 진로단절기간 3년 이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2023년 4월 6일∼4월 20일 약 2주 동안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315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응답과 결측값을 제외한 313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측정도구의 타당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가설 검증을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단절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적응성, 정서인식명확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개인적 특성은 연령, 학력, 자녀수, 진로단절기간, 가구소득 수준 등이다. 둘째, 진로단절여성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예기불안, 억제불안), 진로적응성(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 정서인식명확성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그 중 예기불안은 진로적응성 하위요인인 관심, 호기심, 자신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억제불안은 진로적응성 하위요인 통제, 호기심, 자신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적응성은 정서인식명화성과 정적 상관관계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단절여성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예기불안, 억제불안)은 진로적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예기불안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억제불안은 진로적응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단절여성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예기불안, 억제불안)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분매개효과와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매개변인인 정서인식명확성을 통제해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예기불안, 억제불안)은 진로적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예기불안, 억제불안)은 정서인식명확성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진로단절여성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하위요인인 예기불안은 진로적응성을 높이고 억제불안은 진로적응성을 낮추는 예측 변인이며 정서인식명확성은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진로 및 취업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만들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adaptability in career interrupted women. From April 6 to April 20, 2023, an onlin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woman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ith a career break of more than 3 years who are currently looking for a job or hoping to get a job. It was collected a total of 315 and analyzed on 313 copie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and missing values. Based on the surve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validity analysis of measurement tool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hypothesis verifica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Sobel-test was conducted to verify significa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areer interrupted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olerance of uncertainty, career adaptability, emotional awareness clarit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ge,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career interruption period, and household income level. Seco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career interrupted women's intolerance of uncertainty(prospective anxiety, inhibitory anxiety), career adaptability(interest,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emotional awareness clarity. Among them, prospective anxie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est, curiosity, and confi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and inhibitory anxie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trol, curiosity, and confi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Career adaptability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awareness clarity. Third, intolerance of uncertainty(prospective anxiety, inhibitory anxiety) of career disrupted wom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prospective anxie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nhibitory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prospective anxiety, inhibition anxiety) and career adaptability in career interrupted wome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s. This means that, even if the emotional awareness clarity,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is controlled, intolerance to uncertainty(prospective anxiety, inhibition anxie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ntolerance to uncertainty(prospective anxiety, inhibition anxiety) showed an indirect effect through emotion recognition clarity on career adaptabilit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rospective anxiety, a sub-factor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career interrupted women, is a predictive variable that increases career adaptability and inhibitory anxiety lowers career adaptability, and confirm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It is also significant that it has created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for career and employment counseling. Key words: career interrupted wom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career adaptability, emotional awareness clarity

      • 대학생의 진로개발지원, 진로역량,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성앙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진로와 관련된 개인의 모든 행동은 사회 속에서 결정되기에 자신이 처한 환경적 맥락에 대한 총체적 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개인은 다양한 맥락의 직업 환경에 적응하고, 이들의 준비를 위해 그에 맞는 진로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대학의 역할과 지원도 확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개발지원, 진로역량,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개발지원은 진로역량,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진로개발지원은 진로역량과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진로역량은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목적의 해결을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그리고 부산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8개교의 학생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답변과 무응답인 설문을 제외한 1,445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개발지원은 진로역량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진로역량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진로역량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진로적응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진로개발지원은 진로역량과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대학생의 진로역량 수준을 높이고, 진로역량을 통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높여 나갈 때 대학의 진로개발지원의 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셋째, 진로역량은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대학의 진로개발지원은 대학생의 내적인 요인과 외적인 환경적 요인을 함께 고려할 때, 진로역량 개발과 진로적응성 향상, 그리고 진로준비행동 수준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위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역량에 대한 자신감, 그리고 진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진로개발지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진로역량과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진로개발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대학생에게 진로직업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대학생의 진로개발계획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해야 한다.

      • 대학생의 자기역량특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국승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역량특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역량특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자기역량특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와, 자기역량특성의 하위요인들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9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이루어졌으며, G지역의 남녀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각 변인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하위요인들의 관계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 독립 t-검증, 이변량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기역량특성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성별에 따른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들은 대인관계, 개방성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자기역량특성의 하위요인들은 공간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음악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들은 책임감, 개방성, 목표의식, 긍정적태도, 창의성, 대인관계, 주도성, 직무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역량특성의 하위요인들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는 자기역량특성의 자기성찰, 공간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역량특성의 하위요인들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역량특성의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이 진로적응성의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자기역량특성의 음악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진로적응성의 목표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자기역량특성의 인간친화지능이 진로적응성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자기역량특성의 언어지능, 인간친화지능은 진로적응성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자기역량특성의 언어지능, 신체운동지능이 진로적응성의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자기역량특성의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 인간친화지능은 진로적응성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자기역량특성의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인간친화지능은 진로적응성의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자기역량특성의 자기성찰지능, 인간친화지능, 공간지능이 진로적응성의 긍정적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서 볼 때, 자기역량특성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G 지역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것이어서 국내 전체 대학생으로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표집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더 많은 연구 결과에 대한 설명력을 갖도록 연구 대상의 전공별, 학년별, 지역별로 다양하게 분류하여 심층적인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하여 자기역량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역량 함양이 되도록 교육과 지도가 이루어져야겠다.

      • 진로결정에 있어서 우연적사건의 역할 : 진로적응성을 매개효과로

        박현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에 있어서 우연적사건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서 계획적으로 이루어진 집단과 우연에 의해 이루어진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우연적사건의 영향력과 진로결정, 진로적응성의 상관관계와 우연적사건과 진로결정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과 강원, 경남지방 대학생 275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가 진로를 결정을 할 때 영향을 받은 우연적사건의 종류를 살펴보면 ‘개인적 혹은 사회적 대인관계’가 37.1%로 가장 많았으며, 진로를 결정을 할 때 69.8%가 우연의 영향을 보고하였다. 둘째, 우연적사건의 영향력에 따라 진로적응성, 진로결정유형인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 진로결정수준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본 결과, 진로적응성과 합리적 유형, 진로결정수준에서는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 준비와 계획에 의해 이루어진 집단과 우연에 의해 이루어진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의존적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우연적사건의 영향력, 진로적응성, 진로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 간의 상관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연적사건의 영향력은 진로적응성, 합리적 유형, 진로결정수준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나 직관적 유형과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적응성은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진로결정수준과는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나 의존적 유형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우연적사건의 영향력이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적응성은 완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보를 근거로 학교나 상담 장면에서 진로상담을 할 때에 적성, 흥미, 가치관 뿐만 아니라 우연적사건의 역할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미용직업훈련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신수정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Recently, our society is connected with problems caused by aging population and low childbirth, so that social problems like decrease of labor and economic stagnation are complexly brought about. Especially, in case when the career-interrupted women aim to re-enter the society after leaving the labor market for some reasons like marriage, pregnancy, and child care, they go through difficulties in career process. In this case, if their career adaptability is improved for the flexible adaptation to the rapidly-changing career environment, the successful reemployment could be achieved. Thus, this study aims to objectively research the influence relations of social support,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ich could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interrupted women participating in beauty vocational training, and also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career/employment educational counseling that could be used for the career process for the re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participating in beauty vocational training. For this, from February 25th to April 26th 2018,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career-interrupted women who experienced the beauty vocational training for the reemployment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s, beauty private institutes, and the Reemployment Support Centers for Career-Interrupted Women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Total 920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40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For the data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understan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er-interrupted women experiencing the beauty vocational training, the age group in 40-44 was the most, which was followed by the age group in 34 or lower. Regarding the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the period 1-3 years was the most, and the period of nine years or up was the second-most, which showed the extreme aspect. Regarding the purpose of reemployment, the self-development was the most, which was followed by extra money for living. Second, i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n social support, career competenci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interrupted women experiencing the beauty vocational training, the social support included four factors such as 'informa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while the career competencies included four factors such as 'knowledge', 'attitude', 'technique', and 'abilit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cluded five factors such as 'self-evaluation', 'goal set-up', 'problem-solving', 'vocational information', and 'future plan' while the career adaptability included four factors such as 'responsi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openness', and 'positive attitude'. Thir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correlations of each variabl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of social support, career competenci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Fourth, the social support and career competenci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experiencing the beauty vocational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areer adaptability. Fifth, the social support and career competenci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experiencing the beauty vocational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ixth,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areer-interrupted women experiencing the beauty vocational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areer adaptability. Seventh,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areer-interrupted women experiencing the beauty vocational training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of social support,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adaptability. In summary, the career-interrupted women participating in beauty vocational training were simultaneous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like social support and intrinsic factors like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the composition of programs and counseling approach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career adaptability, it w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echnical factors for coping with the variability, and also the external factors like social support. 최근 우리 사회는 고령화, 저 출산 등으로 인한 문제들이 연계되면서 노동력 감소, 경기 침체와 같은 사회 문제들이 복잡하게 야기 되고 있다. 특히 경력단절여성의 경우 결혼, 임신, 육아 등의 이유로 노동시장을 이탈 하였다가 다시 사회로 재진입하려고 하는 경우 진로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때 급변하는 진로환경에 유연하게 적응 할 수 있도록 진로적응성을 향상 시켜 준다면 성공적인 재취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미용직업훈련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영향을 객관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통해 미용직업훈련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진로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진로·취업교육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8년 2월 25일부터 4월 26일까지 서울·경기 지역의 직업훈련전문학교, 미용학원,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재취업을 위해 미용직업훈련교육을 경험한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한 40부를 제외하고 총 920개의 표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빈도분석, Cronbach 's alpha,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상관 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수행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직업훈련교육을 경험한 경력단절여성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연령은 40-44세가 가장 많았고, 34세 이하가 다음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력단절기간은 1-3년이 가장 많았고 9년 이상이 다음 순으로 나타나 극단적인 양상을 보였다. 재취업의 목적은 자기개발이 가장 많았고 생활여유자금이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직업훈련교육을 경험한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의 요인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지지는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로 4개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진로역량은 ‘지식’, ‘태도’, ‘기술’, ‘능력’으로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자기평가’, ‘목표설정’, ‘문제해결’, ‘직업정보’, ‘미래계획’으로 5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진로적응성은 ‘책임감’, ‘대인관계’, ‘개방성’, ‘긍정적 태도’로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각 변수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에서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직업훈련교육을 경험한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지지, 진로역량이 진로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직업훈련교육을 경험한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지지, 진로역량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용직업훈련교육을 경험한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미용직업훈련교육을 경험한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사회적지지, 진로역량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미용직업훈련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들은 사회적지지와 같은 환경적 요인과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같은 내적 요인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상담 접근법과 프로그램 구성에도 가변성에 대해 대처하는 기술적인 요인과 함께 사회적지지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에 따른 진로적응성에 관한 연구

        김소영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학습참여동기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들의 일반 특성에 따라 학습참여동기와 진로적응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후, 학습참여동기와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분석하고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사회전반의 지원과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특화된 직업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직업교육 참가 경력단절여성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359부의 설문지 중 설문의 응답이 일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설문지 26부를 제외한 333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학습참여동기, 진로적응성, 인구통계학적 특성, 직업교육 특성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IBM SPS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일반 특성(인구통계학적, 직업교육)에 따른 학습참여동기는 30대 이하의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이고, 참여빈도가 주 2∼3회로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목표지향‘이 높았고, 고졸 이하의 기혼인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활동지향’이 높았으며, 기혼의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이고, 참여빈도가 주 2∼3회로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학습지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일반 특성(인구통계학적, 직업교육)에 따른 진로적응성은 고학력의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이고, 참여빈도가 주 2∼3회로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관심’이 높았고,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으로 만족한 경우 ‘통제’와 ‘호기심’이 높았으며,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이고, 참여빈도가 주 2∼3회로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참여동기의 목표지향과 학습지향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의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학습참여동기의 활동지향은 진로적응성의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동기가 진로적응성의 관심, 통제,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은 목표지향보다 학습지향이 높았고, 학습참여동기가 진로적응성의 호기심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지향보다 목표지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기관이 직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학습참여동기를 충분히 고려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반복되는 경력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력단절여성들이 성공적인 진로개발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참여 독려를 통해 교육기회를 확대해야 하고, 일회성에 그치는 교육보다 교육 후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한 심화과정 이수와 경력 재설계 지원 등의 경력단절여성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기관이 직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경력단절여성의 생애주기 특성(임신  출산  육아 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직업교육 만족도가 학습참여동기와 진로적응성 모두와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한 연구결과를 볼 때 직업교육프로그램의 질 관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연구

        서은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a career adaptability measurement scale suitable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cale is based on the Career Adaptability Cooperation Scale (CAAS+C) developed by Savickas and Porfeli.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addresses several research questions. Firstly, it aims to identify the items that measure career adaptability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it investigates the factor structure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is group. Thirdly, it examine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Lastly, it assesses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scale by analyzing its correlation with other relevant measures such as Career Maturity, Dispositional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To address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created items suitable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based on the CAAS+C scale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was verified. The data from 934 students in grades 5 and 6 from 8 schools in Seoul, whose parents and students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for analysis (referred to as Data 1 and Data 2). Descriptive statistic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Data 1,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followed on Date 2.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entire dataset. All thes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oftware Jamovi 2.3.2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preliminary 35 items, a final scale consisting of 23 items was selected to measure career adaptability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a six-factor structure, with the cooperative factor divided into two factors. This structure was derived from the original five factors of the CAAS+C scale. The appropriateness of the 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stablishing the six-factor model as the final model with construct validity. Third,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was excellent at .90. The subfactors showed good reliability with values of .84 for cooperative consideration, .86 for cooperative contribution, .70 for control, .72 for concern, .71 for confidence, and .62 for curiosity. Fourth, the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and the scales measuring career maturity, dispositional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All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except one relationship. These results provides support for criterion valid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dentifies the factors that constitute career adaptability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dditionally, it provides a validated career adaptability test instrument specifically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irst time. The study enables future empirical research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ays the foundation for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childhood career adaptability, an area that has been lacking in specific studies.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s diagnostic and evaluative tool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adaptability, thus establishing the foundational data necessary for planning counseling interventions tailored to individual students' needs.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s encountered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와 Porfeli가 개발한 진로적응성 협력 척도(Career Adapt-Ability Scale + Cooperation Scale : CAAS+C)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진로적응성 측정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적응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용 진로적응성 척도의 요인 구조는 무엇이고 구인타당도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용 진로적응성 척도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교 고학년용 진로적응성 척도의 준거 타당도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AAS+C 척도를 바탕으로 국내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에게 적합한 문항을 제작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보호자와 학생이 연구 참여에 동의한 서울특별시 소재 7개 교육청 내 8개 학교의 5, 6학년 학생 934명의 자료를 임의 추출을 통해 자료 1과 자료 2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Jamovi 2.3.21을 활용하여 자료 1로 기술통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자료 2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뒤, 전체 자료를 바탕으로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진로적응성 척도 예비문항 35개 중 총 23문항이 최종 척도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인 CAAS+C의 5요인에서 협력 요인이 두 개로 나뉜 6요인구조(협력적 배려, 협력적 기여, 자기조절, 관심, 자신감, 호기심)가 도출되었다. 탐색한 요인 구조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 척도의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구인타당도를 확보한 6요인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용 진로적응성 척도의 신뢰도(Cronbach’s α)는 .90으로 우수하였고,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협력적 배려 .84, 협력적 기여 .86, 자기조절 .70, 관심 .72, 자신감 .71, 호기심 .62로 양호하였다. 넷째, 준거 타당도 확인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진로적응성 척도와 진로성숙, 성향적 낙관성 그리고 삶의 만족도 척도 간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진로적응성 척도와 진로성숙, 성향적 낙관성 그리고 삶의 만족 척도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위요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 관계를 제외하고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미하게 나와 준거타당도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진로적응성 검사 도구를 처음으로 개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로 인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적응성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와, 구체적 연구가 부족했던 아동기 진로적응성의 발달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또한 진로적응성 발달에 대한 진단 및 평가 도구를 제공하여 학생 개인에게 필요한 상담적 개입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와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Career Adaptability for College Students

        김시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산업화 이후 나타난 직업세계의 빠른 변화와 경제침체로 인한 고용불안정은 진로결정 및 직업세계로의 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에게 큰 스트레스 요인이자 최고의 고민으로 손꼽힌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맞춰 부상하게 된 개념인 진로적응성은 심리사회적 자원으로서 개인이 진로에 관련한 발달과업과 변화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예측할 수 없는 미래로의 전환과 적응을 위한 능력이라 정의된다. 진로적응성은 긍정적인 심리적·사회적 자원과 인지적 기술의 집합체로서 현 시대를 살고 있는 개인들에게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이를 반영하듯, 진로적응성을 측정하는 검사도구가 세계 곳곳에서 개발되고 타당화되었으며 이는 진로적응성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시켰다. 이 후, 국내에서도 진로적응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해마다 진행되어졌으나 아직 이를 하나로 정리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진로적응성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분석하여 진로적응성이란 무엇이며 이와 관련된 변인들은 무엇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진로적응성과 연관을 보인 변인들로는 진로장벽, 진로탐색행동, 진로관련행동, 계획된 우연기술, 자기주도학습, 강점활용, 진로소명,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의사결정자율성, 진로의사결정자기효능감, 성격강점, 내적통제, 불확실성에 대한 불관용, 삶의 만족, 낙관성, 긍정심리자본, 셀프리더십과 사회자본으로 확인되었으며 확인된 변인들은 각각 진로적응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혹은 부적인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적응성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분류하고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학문적인 통합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 한 그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의미를 제공함으로서 국내 대학생들의 보다 건강한 진로발달과 진로적응성을 향상시켜 추후의 삶의 만족으로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다방면적 진로상담적 개입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의의와 함께 본 연구의 구체적인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서술하였다. As the work environment becomes more volatile and uncertain, adaptability is becoming significantly important for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success. Career adaptability is a psychosocial resource for adapting to changes in career-related circumstances and managing tasks and transitions. As a central construct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the field of vocational psychology, a large amount of research on career adaptability have been published over the yea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areer adaptabil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for college students by synthesizing the findings of past research. A total of 125 effect sizes and 57 primary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The effect size was correlation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random-effects model due to the heterogeneity of individuals studies. The variables related to career adaptability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Career Barrier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ccupational Engagemen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elf-Regulated Learning, Strengths Use, Calling,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haracter Strength,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olerance of Uncertainty, Life Satisfaction, Optimis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Leadership, and Social Capital. All of the variables above showed either positive or negative association to career adaptabilit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izes. Moreover,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moderating variables which were publication status and measurement instrument.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ositive psychosocial resources of college students' for their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adaptability that leads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analysis as well as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초등학생의 성격강점 및 사회적 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 : 5,6학년을 중심으로

        김민정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성격강점 및 사회적 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개인 내적 변인인 성격강점의 하위요인과 개인 외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을 독립 변수로 놓고 진로적응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각각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창원에 소재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초등학생 5~6학년 342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32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모든 자료 분석은 SPSS 25.0 을 사용하여 척도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t-검정,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진로적응성은 성별과 학년에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적 지지 중 친구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학년이 5학년보다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 중 관심, 호기심,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강점의 하위요인 중 용기와 지식이 진로적응성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지지원인 부모지지가 진로적응성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진로상담과 지도, 부모교육 등의 프로그램 개발과 개입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한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strengths and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each influence was verified using career adaptability as a dependent variable, with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strength, an individual internal variable, and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an individual external variable.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ing survey on 3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to 6th grade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angwon, and 326 of them were used for analysis. Al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for scal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differed in gender and grade. In terms of gender,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friend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than male students, and 6th graders were found to have higher interest, curiosity, and confi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than 5th graders. Second, personality strength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courage and knowledge among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strengt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career adaptability. Thir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effect career adaptability, an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arental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career adaptat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intended to be a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such as career counseling, guidance, and parent education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and establishing intervention strategies.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