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성화고 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통제소재 매개효과

        김연옥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s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adaptability. To this end, a two-week survey of 605 students at high school in Gyeonggi-do was conducted on October 1, 2019 through October 15, 2019. 530 surveys among them were used in th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return analysis, Sobel-test. Thirty-six questions were used to measure everyday creativity, 24 questions were used to measure the career adaptability of a dependent variable, 18 questions were planned to measure the career locus of control, and including personal variables total of 85 questions were used. From an result of analyzed this survey, this study could be get to four conclusion for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First of all, factors except some factors occurred depending on the sex, school year, Perception of department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depending on the people and their economic level that influence the career decisions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ir everyday creativity, career locus of control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ly, there is a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high school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locus of control, the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adaptability, and the career locus of control and the career adaptability. There was also a general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lower factors. Thirdly, the everyday creativity of a high school stud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locus of control had a role as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adaptability, and high school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locus of control were predictors that would lead to enhance their career adaptability. Ultimately this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come to the conclusion the high school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is a main factor affected career adaptability. From this conclusion, it became to be clear that the student guidance considering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locus of control are needed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 the programs and counseling on career adaptability that would not only reducing high school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but also enhancing their career locus of control. Key word : High school student, Everyday creativity, Career locus of control, Career adaptability.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통제소재의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진로통제소재는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 대해 매개변인으로 가정되어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특성화고 학생 605명을 대상으로 하여 일상적 창의성 척도, 진로통제소재 척도, 진로적응력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유효 설문 530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들 별로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통제소재, 진로적응력은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성별에 따라 일상적 창의성 중 독창적 유연성, 이타적 자기확신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적응력 중 진로자신감, 진로호기심에 대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로 일상적 창의성 중 독창적 유연성의 경우 2학년이 가장 높았으며 이타적 자기확신의 경우 3학년이 가장 높았다. 진로적응력 중 진로자신감, 진로관심, 진로호기심의 경우 2학년이 가장 높게 나왔다. 학과특성 인지여부에 대해서는 일상적 창의성 중 독창적 유연성, 이타적 자기확신 모두 학과특성을 알았다는 학생이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진로적응력 중 진로자신감, 진로관심, 진로호기심에 대해서는 학과특성을 알았다는 학생이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진로통제소재 중 내적통제성은 학과특성을 알았다는 학생이 높은 인식도를 보였고 영향력 있는 타인은 학과특성을 몰랐다는 학생이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통제소재,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적응력, 진로통제소재와 진로적응력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고 있다. 특성화고 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에 대한 인식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진로적응력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적응력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력의 하위 변인 중 진로자신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일상적 창의성 요인으로는 이타적 자기확신, 독창적 유연성으로 나타났다. 진로관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일상적 창의성 요인으로는 이타적 자기확신, 독창적 유연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호기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일상적 창의성 요인으로는 독창적 유연성, 이타적 자기확신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적응력 간의 관계에서 진로통제소재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매개변인인 진로통제소재를 통제해도 진로적응력에 대한 일상적 창의성은 진로통제소재를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일상적 창의성은 진로통제소재를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통제소재가 진로적응력을 높이고 예측하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통제소재를 높이는 프로그램과 상담이 필요한 것이다.

      • 진로자본 손상 경험자의 진로자본 회복과정과 진로적응력 분석

        한순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A human being who is a social being is supposed to live his life while implementing the obligations assigned by the home and community, playing his role, developing social relations and accumulating tangible and intangible career capitals for his life. The phenomenon that career capital which is accumulated for a man’s total life gets slowly consumed as he ages is applied to all of us. But people suffer shock and agony if they happen to belong to some special groups in which their career capital is damaged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The damage to career capital is not limited to special groups. In this period when there is rapid change in scientific technology, advanced industries, and jobs and employment market, there are bigger chances that damage is inflicted on career capital. So the damage to the career capital should be handled as one of the critical topics in the study of career. So,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dentify the process of how a person who suffered damage to his/her career overcomes his/her trouble and how he/she recovers from it.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made on the dysfunctional belief,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covery of career capital for the person who experienced damage to their career capital. First,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o search for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and the recovery process of career capital for persons who experienced losses to their career capital in order to design the study model. Second, the analysis of topic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ub-variables of career capital, dysfunctional belief,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analysis was made on career adaptability which appears in the process of recovery of career capital for persons who experienced the damages. The study was done using the priority sequential model, which integrates the qualitative study with quantitative study. Study 1 is the qualitative study. For this study, 16 people were selected among the people who experienced damage to their career capital. For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or in-depth interview, the pre-test was conducted to 3 people. After the analysis and discussion by experts in the study of career for the validation of the questionnaire, the final questionnaire was se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their experience of damage to career capital and the recovery process from it were searched and the critical meaning and the common meaning which they experienced were categorized and the core key words were found. Study 2 constitutes the variables for the quantitative study using the core key words found in Study 1. The career capital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hile the career adaptability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sub-variables of career capital include the economic capital, individual competency and social capital while those of career adaptability include the interest in career and the control of career. In addition, it was assumed for the study model that the media variables comprised the dysfunctional belief and social support and that, as their sub-variables, the dysfunctional belief include social self-denial and disbelief in social relation while the social support includes emotional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self-respect support. Prior to the preparation of questionnaire, the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to 50 people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get meaningful items of questions. 6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622 copies were collected. Removing 108 copies which have no proper responses, I adopted 514 copies of questionnaires for the data for final analysis. For the verification of structural relation between variables, I adop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d used the program of SPSS 23.0, AMOS 23.0.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verification of appropriateness of data, verification of measuring model, verification of structural model and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damage to their career capitals and had negative emotion and dysfunctional belief, which in turn are represented in the forms of deficiency in self-respect and inactive attitudes such as negative concept of social self, fear of social stigma, devaluation of self, and self-stigma. In addition, the dysfunctional belief was connected to the disbelief of other peopl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hich in turn make the social relation for recovery more difficult. In the quantitativ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ysfunctional belief is, the negative the career adaptability becomes, thus showing that the result i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qualitative stud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had actively used the social support system in their recovery of career capital and it is reported that this system has made a lot of contributions to their participation in various job training and acquisition of professional licenses and has been helpful for their improvement in individual competency. It was also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 system has a big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ir career capital such as career expansion, job information and expansion of social network.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study, in which the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Third, it was stated by the people that the social support which they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recover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m.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support from spouse, family members, employees and neighbors make a big effect and that other supports such as materialistic support, information support, self-respect support and religious suppor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m. In addition, it was reported that when they got positive evaluation in social relation and they got the support of self-respect such as respect of personality, they achieved more career adaptability. In the quantitative study, social support was found to make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us showing that social support is the critical elements in enhancing their career adaptability. Fourth, as for the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covery of career capital of the respondents, all 16 subjects clearly set their career objectives. They explained career adaptability as the posture of planning and preparing the future, and the active, leading ad positive attitude in job life. In addition, the people said that the endless search for career expansion, patience and integrity are the critical elements in career adaptability. It was found that they got more self-respect and enhanced their self-efficacy when they were positively evaluated by employers or colleagues and they acquired the licenses or succeeded in the job, thus showing that those elements lead to positive emotional changes. The qualitative study also found that career capital and social support have positive (+)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found in the qualitative study. Fifth, in the verification of whether the hypothesis model in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career capital, dysfunctional belief,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he people is proper, it was found that the model is proper for the people. The goodness of fit for the hypothetical model (X2=224.263,df=30,p<.001) was found to meet the standard and that of the structural model was found to be proper with the 0.025 of RMR which is 0.05 less than the standard. AGFI was found to be 0882, which is bigger than the standard value of 0.80 while CFI, NFI and IFI were found to be 0.940, 0.932 and 0.941 respectively which are bigger than the standard value of 0.90, thus showing that the total model is proper. Six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ysfunctional belief and social support was tested i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capital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he respondent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an effective relation. The route was analyzed using the boot strapping method. It was found that in the career capital, all routes going to dysfunctional belief (b=-.69, p<.001) and social support (b=83, p<.001)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in the dysfunctional belief, the routes going to career adaptability (b=-11, p<.05) and the route of social support going to career adaptability (b=34, p<.001) were all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indicates that i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capital and career adaptability, dysfunctional belief and social support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study (Study 1)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qualitative study (Study 2).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study found out that the priority sequential study model for this study is proper when it tries to verify the theory through quantitative study. In this study, I have identified the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which suffer when there is a damage to the career capital for those who experienced damage to their career as well as the variables which affect the recovery of career capital. In addition, I have clearly summarized the process using the network method suggested by Miles and Huberman (1994).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y have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route which those who experienced damage to their career capital can follow and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study of jobs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y for them.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가정과 사회로부터 부여받은 의무와 역할을 수행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유·무형의 진로자본을 쌓으면서 생을 살아간다. 전 생애에 걸쳐 축적된 진로자본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서히 소진되는 현상은 우리 모두에게 적용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갑자기 진로자본이 손상된 특수집단의 사람들은 충격과 고통 속에서 일생을 살아가게 된다. 진로자본 손상은 비단 특수 집단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의 고도화, 직업세계와 고용시장이 급변하고 있는 이 시기에 누구에게나 다가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진로자본 손상은 직업학 분야에서 관심있는 주제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자본 손상 경험자가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며, 진로자본 회복과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자본 손상 경험자의 진로자본 회복과정의 역기능적 신념, 사회적 지지, 진로적응력 등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진로자본 손상 경험자의 내적·외적 요인과 진로자본 회복과정의 변화를 탐색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둘째, 주제 분석을 통해 진로자본, 역기능적 신념, 사회적 지지, 진로적응력의 하위변인을 구성하였으며, 셋째, 진로자본 손상 경험자의 진로자본 회복과정에 나타나는 진로적응력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혼합한 통합적 연구방법 중 우선적 순차적 모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1은 질적 연구로 대표적 진로자본 손상 경험자인 보호대상자 1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의 반구조화 질문지는 사전검사(pre-test) 3명을 실시한 후 직업학 전문가들의 분석과 토의과정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한 후 최종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진로자본 손상과 진로자본 회복과정의 경험을 탐색하며, 그들이 경험한 중심 의미와 공통된 의미를 찾아 범주화 하면서 핵심 주제어를 발견하였다. 연구 2는 연구1에서 발견한 핵심 주제어로 양적연구를 위한 변인을 구성하였다. 독립변인은 진로자본, 종속변인은 진로적응력으로 설정하고 하위변인으로는 진로자본은 경제적 자본, 개인역량, 사회적 자본으로, 진로적응력은 진로관심, 진로통제로 구성하였다. 또한, 매개변인은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로 설정하고 하위변인으로는 역기능적 신념은 사회적 자기부정, 사회적 관계불신으로,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자존감지지 등으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확정하였다. 설문지 조사에 앞서 보호대상자 50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한 후 의미 있는 문항들로 최종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65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622부 중 무응답자 등 108부를 제외한 51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각 변인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통해 분석하였고, SPSS 23.0,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절차는 자료의 적합성 검증, 측정모형의 검증, 구조모형의 검증, 변인간의 관계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대상자들이 진로자본 손상을 경험하며 부정적 정서와 역기능적 신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 사회적 낙인의 두려움, 자기에 대한 평가절하, 자기낙인 등으로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자신감 결여와 소극적인 태도들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자본 손상은 타인에 대한 불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연결되며 회복에 있어 사회적 관계를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양적 연구 결과에서도 역기능적 신념이 높을수록 진로자본, 진로적응력이 낮아지는 부적(-) 결과를 보여 질적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보호대상자는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직업훈련 참여와 전문자격증을 취득하는 등 개인역량을 쌓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 시스템은 진로확장, 일자리 정보, 사회적 관계망 확대 등 진로자본 증식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양적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와 일치한다. 셋째, 보호대상자가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경험한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진술하였다. 특히 배우자, 가족, 고용주, 주변인들의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고 그 외에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자존감 지지와 종교적 지지도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호대상자들은 사회적 관계에서의 긍정적 평가와 인정, 인격 존중 등의 자존감지지를 받았을 때, 진로적응력이 더 높아졌다고 제시하였다. 양적 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력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넷째, 보호대상자의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나타난 진로적응력은 연구 참여자 16명 전원이 진로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였다. 그들은 진로적응력을 계획을 세워 미래를 준비하는 자세, 직업생활에서의 적극적·주도적·긍정적인 태도로 설명하였다. 또한, 보호대상자들은 진로확장을 위한 끊임없는 탐색과 인내력, 성실성 등이 직업적응을 위해 꼭 필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그들은 직장에서의 고용주나 동료의 긍정적인 평가와 인정이 자신감을 상승시키는 요인이었으며, 자격증 취득, 과업성취 등 진로성공 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높아졌고, 그로 인해 긍정적인 정서변화를 확인하였다. 양적 연구결과도 보호대상자의 진로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질적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다섯째, 보호대상자의 진로자본, 역기능적 신념, 사회적 지지,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에서 가설모형이 적합한 것인가에 대한 검증은 결과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모형 적합도(X2=224.263, df = 30, p<.001)는 적합기준을 만족하였고,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도 RMR이 .025이므로 기준치인 .05보다 작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GFI는 .882로 나와 기준치인 .80보다 크고, CFI, NFI, IFI는 기준치인 .90보다 높은 .940, .932, .941로 나와 전체적인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보호대상자의 진로자본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효한 결과를 보였다. 부트스트랩핑 방법으로 경로를 분해한 결과, 진로자본에서 역기능적 신념(b=-.69, p<.001) 및 사회적 지지(b=83, p<.001)로 가는 경로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기능적 신념에서 진로적응력(b=-11, p<.05)으로 가는 경로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력(b=34, p<.001)으로 가는 경로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진로자본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연구 1의 질적 연구결과와 연구 2에서의 양적 연구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 결과를 양적 연구를 통해 이론을 검증하는 본 연구의 우선적 순차적 연구모형 설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자본 손상 경험자가 진로자본 손상 시 겪는 내적·외적 변인을 밝히고, 진로자본 회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해 보았다. 또한, 그 과정을 Miles와 Huberman(1994)이 제안한 네트워크 방법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진로자본 손상 경험자들이 그 경로를 따라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그들을 위한 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직업학적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

        허강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Specific objectiv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were as follows: first, identify the fit indices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second, identify the direct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third, identify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mediating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1,520,850 current university students listed on the 2015 recor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560 students from 8 universities were sampled with a stratified, cluster and proportional sampling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region, major, and gender ratios.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ail and online surveys from October 5th to 14th 2016 with a target sample population of 560 people from 7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542 people (return rate of 96.7%) of which 488 data were retain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validity of 87.1%)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 non-response, outlier. Windows SPSS 22.0 and AMOS 18.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identify descriptive statistics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mong oth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earch model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 concluded the standar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t 0.05.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β=.369),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β=.166) and career adaptability(β=.324) of undergraduat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wi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B=0.058), career adaptability(B=0.232) and with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B=0.027).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structural model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set up in this study was suitable for analyzing empirical data subjecting for undergraduates, and it predict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asonably. Consequently, the structural model of this study can be developed to a theory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adap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also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A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acceleration and revelat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career adaptability takes a crucial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intervention could be made utilizing career adaptability to facilit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First, more diverse sampling is needed for future research that seeks to undertake similar study. Second, longitudinal study may be recommended to identify variables in depth effect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motivation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stud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ous motiv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Fourth, other factors, including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investigated with the recognized factors in this research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emergent proces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addition to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with dependant variables on one’s career, the identification of relationships with variables such as lif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done to develop an extended and integrated model.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 간의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설정한 모형이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지 검증한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의 직접효과를 구명한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를 구명한다.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2015년 기준 4년제 대학교 총 189개교의 재학생 수는 1,520,850명이었다.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기 위하여 층화군집 및 비율표집을 활용하여 학교소재지, 전공계열 및 성별을 고려하여 총 56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진로준비행동,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 4가지 영역과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영역을 포함하는 질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진로준비행동,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하여 모든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5일부터 10월 14일까지 우편조사 및 온라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고, 총 560부 중 542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96.7%). 이 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 응답을 제외한 48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다(유효 자료율 87.1%). 자료 분석은 SPSS 22.0 for Windows와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인의 수준을 구명하기 위한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등 기술통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 간 영향관계를 구명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리통계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β=.369), 진로결정자율성(β=.166), 진로적응력(β=.324)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결정자율성(B=.058)과 진로적응력(B=.232) 각각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을 이중매개(B=.027)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은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 자료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며,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간의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 각각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또한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을 연속적으로 매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서지능 개발과 함께 진로를 결정하거나 준비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지각하는 자율성의 정도인 진로결정자율성과 현재와 미래에 예상되는 과제, 전환, 심리적 외상에 대처하기 위한 심리사회적 구인으로, 진로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인 진로적응력을 향상시켜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을 보다 다양화, 세분화하고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집단 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종단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집단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 접근을 위해 다양한 동기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활용된 변인들과 더불어 환경·맥락적인 변인인 진로장벽, 사회적지지 등을 포함하여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구명이 필요하다. 다섯째, 진로준비행동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진로만족 등 진로변인과의 관계 뿐 아니라 주관적 안녕감, 행복 등 개인의 삶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대학생의 진로구성에 미치는 정서지능과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 불확실성 불관용의 영향 연구

        박지연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uncertainty on the relationship of mediation. This paper sought diverse measures to improve the career construction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it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per the process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goals,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adaptive resources) and career adaptability (adaptivity read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uncertainty intolerance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emotional intelligence(adaptability resources) affects career construction (adapting responses). Then the holistic effect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examined.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university and four-year-course university were sampled consider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gender,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major, grade, and age. To verify the model, the researcher adopted a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and verified it. For the verification of structural relationship,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adaptability, intolerance uncertainty tool, and demographic question items were utilized. 560 answers were collected; after removing unfaithful responses and outliers, 530 answers, the remnant, were analyzed. For analytical methodology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were used; through the statistical software, direct effects, mediating effects, moderating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e summary of major research findings per the research questions is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fit indices between variables were appropri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as predicted appropriately. Second, this research verified the direc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was verified. Per the analysis results,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adapt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nstruction;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ac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to present a more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this paper examined if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mediate the positiv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constructio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ducted through bootstrap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proactive persona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career adapt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s well. Moreover, the two mediating variabl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Fourth, this study set a latent moderated model and verifi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which intolerance uncertainty was add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construction,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e follow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construct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uncertain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decreased as the intolerance uncertainty increased. Besi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through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uncertain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decreased as the intolerance uncertainty increased. This paper presen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not onl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construction but also ha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through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raises the level of career constru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by itself; by verifying the mechanism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construction this paper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higher the intolerance uncertain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r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at positiv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on career construct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hown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construction through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was mitigat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analyses, intolerance uncertainty may negatively affect the career construction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following was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fractionize the research subject and identify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ifferences in groups regarding career construction. Second, conducting longitudinal and qualitative studies regarding the following is necessary: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adaptation, and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Next, for the uti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s suggested. First, in developing career programs, additional research on significant variables per the process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is necessary. Second, in the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guidance session, developing and operating programs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to promote career construction is necessary. Third, a more meticulous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garding anxiety, such as intolerance uncertainty, and career co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구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와 이러한 매개관계에 대한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대학생의 진로구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며 구체적으로는 진로적응모형의 과정에 따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서지능(적응자원)이 진로구성(적응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주도성(적응자원)과 진로적응력(적응준비)의 매개효과와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조절된 매개효과의 종합적인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성별, 대학소재지, 전공, 학년, 연령을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이 연구의 종속변인인 진로구성 도구를 번안하여 타당화하였고,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 진로구성, 불확실성 불관용 도구와 인구통계학적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56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를 제거한 뒤, 최종적으로 53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의 측정모형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어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 진로구성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은 진로구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지능은 자기주도성에, 정서지능과 자기주도성은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본 연구는 보다 통합적인 이론적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정서지능이 진로구성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에 의한 추정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과 진로구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진로적응력도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두 가지 매개변인은 유의한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본 연구는 잠재조절 모형을 설정하여 진로구성과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에서 불확실성 불관용을 조절변인으로 투입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진로적응력을 거쳐서 진로구성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불확실성 불관용이 높을수록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는 감소되었다. 또한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을 거쳐서 진로구성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 불관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불확실성 불관용이 높을수록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는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구성에 직접적인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을 매개로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지능이 그 자체로 대학생의 진로구성 수준을 높이기도 하지만,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정서지능과 진로구성과의 관계에 대한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불확실성 불관용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진로적응력을 통해 진로구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정서지능이 자기주도성과 진로적응력을 통해 진로구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불확실성 불관용이 대학생의 진로구성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을 세분화하고 진로구성의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주도성, 진로적응력, 진로구성의 종단연구와 질적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연구결과의 활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진로적응모형 과정에 따른 유의미한 변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진로상담 및 진로지도 장면에서 진로구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정서지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불확실성 불관용과 같은 불안 관련 변인들과 진로구성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보다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불확실성 불관용,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노윤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불확실성 불관용,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에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불확실성 불관용,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 모형을 검증하고 둘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에 대한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불확실성 불관용의 직접효과를 구명하였다. 셋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구명하였으며, 넷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불확실성 불관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이며, 목표 모집단은 재학생 5,000명 이상의 인문ㆍ사회 및 자연ㆍ공학 계열의 단과대가 모두 설치되어 있는 총 92개의 대학의 3,4학년이다. 총 720부를 배포하여 445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61.8%), 이 중 불성실한 응답 및 이상치가 발견된 응답을 제외하고 총 39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총 86문항으로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기존의 도구를 활용하거나 재구성하였으며,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거쳐 타당도와 내적 일치도를 검토하였다. 본조사에서의 신뢰도 검증 결과 진로적응력은 0.905, 주도적 성향은 0.832, 불확실성 불관용은 0.885, 진로탐색행동은 0.923,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은 0.884로 높은 신뢰도가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간의 구조 모형을 검증하는 데에 적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 불확실성 불관용의 구조모형은 주도적 성향의 측정변수를 조정한 후, 변인 간 구조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β=0.548), 진로탐색행동(β=0.123),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β=0.307)은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불확실성 불관용은(β= –0.088)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은 진로탐색행동(B=0.056)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B=0.115)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B=0.048)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연속적으로 매개하여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침이(B=0.033) 확인되었다. 넷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불확실성 불관용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B=-0.024)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생의 불확실성 불관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탐색행동의 매개효과(B=-0.115)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 및 논의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불확실성 불관용,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적 구조모형은 주도적 성향의 측정변수를 조정한 후, 변인간의 인과 관계를 예측하는 데에 적합하다. 둘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확실성 불관용은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연속적으로 매개하여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불확실성 불관용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대학생의 불확실성 불관용과 진로탐색행동은 통계적으로 서로 관련성이 없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해, 첫째,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입직, 입직 후 진로적응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둘째, 대학생들의 주도적 성향과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개발 및 불확실성을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진로적응력 프로그램의 개발, 셋째, 진로적응력에 있어서 인지적 특성 변인과 불확실성 불관용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넷째, 전 학년 대상의 진로적응력 연구, 다섯째, 불안 관련 변인과 진로적응력의 관계 연구, 여섯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는 대학 및 각종 교육기관의 프로그램, 정책 등의 평가와 개선방안의 도출, 일곱째, 진로적응력에 대한 질적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이정연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진로적응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및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는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은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은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신뢰감이 각 변인에 높은 수준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기본심리욕구는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유능성이 진로적응력의 모든 하위요인에 높은 수준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성장마인드셋은 높은 수준으로 진로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재능신념을 제외한 지능신념, 회복탄력성, 과정지향 수행태도, 운명신념이 진로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는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유능성만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다섯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 관계에 성장마인드셋은 부분적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마인드셋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재능신념을 제외한 지능신념, 회복탄력성, 과정지향수행태도, 운명신념이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와 교육자를 포함한 기성세대는 자녀세대의 성장가능성을 제한하지 않아야 하며, 타고난 지능이나 재능을 우선시하기보다는 노력과 과정을 칭찬하는 방향으로의 인식과 태도의 전환이 요구된다. 대학생들의 진로적응력 향상을 위하여 성장마인드셋 및 유능성 함양 프로그램과 부모수용 프로그램을 접목시킨 교육·상담·코칭프로그램의 연구개발 및 보급 활용을 위한 보다 활발한 논의와 실천적 방안이 적극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이 인식한 고용가능성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

        박신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인식한 고용가능성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력 및 고용가능성 간의 인과적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력 및 고용가능성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구명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력 및 고용가능성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력이 갖는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하고, 표집크기는 층화 표집, 군집 표집, 비율 표집을 활용하여 총 8개 대학, 600명으로 설정하였다. 조사도구는 고용가능성,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력 측정도구로 구성하였고,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도구 가운데 선정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 맥락에 맞도록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4월 11일부터 4월 19일까지 방문 및 온라인을 통하여 실시되었으며 학교별 협력자에게 약 80부의 설문을 의뢰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배포된 640부의 설문지 중 637부가 회수되었으며, 이중 결측치,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를 제거한 59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t검정, F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Amos 23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력은 고용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적합하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고용가능성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력을 매개로 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주고 진로적응력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진로적응력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활용하기 위해 제시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가능성의 핵심 구인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 및 진로 교육 등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개인 차원에서 필요하다. 둘째, 학교 차원에서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진로 정보를 수집하고 진로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진로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국가·정책 차원에서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졸업 후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한 별도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및 정책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개인의 심리적 변인과 더불어 다양한 환경요인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고용가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대한 원인을 면대면 인터뷰 또는 참여 관찰과 같은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면밀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고용가능성은 대학생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고용 상태를 지속적으로 달성하는 능력에 대한 인식이므로 졸업 후 성공적인 취업 여부 및 고용 유지와 관련된 종단적인 연구가 추가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perceived employ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causal structure model among self-perceived employ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as verified first. Second, the direct effects among self-perceived employ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found. Third, the indirect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perceived employ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The sample size was 600 students in eight universities by using a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nd cluster sampling. Measures used in this thesis were self-perceived employ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hich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is thesis. These measures were also regarded as possessing appropriate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11 to April 19, 2019, through visits and online. 637 out of the 64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597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IBM SPSS Statistics 23.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F-test. Amos 23 was used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is thesi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pt to predict self-perceived employability.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has indirect effects on self-perceived employability mediated b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effect on self-perceived employability and indirect effect mediated by career adaptability. Fourth, career adaptability has a direct effect on self-perceived employability.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career guida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various support for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is needed at the individual level to impro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hich are key factors of employability. Second, specific and practical care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about to be employed collect career information and set career goals in order to enhance their employability at the school level. Third, separate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policies are required to promote employability to support post-graduate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t the national and policy level.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First, future research should take into account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undergraduate students’ employabi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results that have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employabilit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face-to-face interviews or participant observation. Third,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in order to identify successful employment and employment maintenance after graduation since employability is the perception of a undergraduate student’s ability to continuously achieve a state of employment appropriate to his/her qualification level.

      •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장다온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경북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총 39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청 도구는 가족건강성 척도, 진로적응력 척도,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과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족건강성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은 진로적응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건강성의 하위 변인 중 가족 간의 유대가 진로적응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다. 둘째,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은 정서지능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적응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모두 진로적응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다. 넷째, 가족건강성과 진로적응력에 대한 정서지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 진로적응력, 정서지능이 모두 상호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 결과, 가족건강성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위한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서비스 지원에 있어 가족건강성을 고려하는 것과 동시에 정서지능의 향상이 우선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relations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adaptability by college students. For this,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were recruited, and 392 questionnaire sheets were used for analysis.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family strength inventory, the career adaptability inventory,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 Collected data was put to the frequency analysis with the SPSS 24.0 program to examin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figure out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 procedure for the testing of mediating effects was employ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on career adaptability, and the Sobel test was carried out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strength of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and family ties among the sub-variables of family strength had also meaningful influences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ir family strength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all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meaningful effects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Finally, the study analyzed emotional intelligence's correlations with family strength and career adaptability and fou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family strength, career adapt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nd the Sobel test results demonstrat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relations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adaptability.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put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first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degree of family healthiness in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 for the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 태권도시범단원의 운동스트레스와 학과(학부)만족, 진로적응력의 관계에 대한 혼합연구

        허재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0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related stress, satisfaction with choice of undergraduate department,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members through an explanatory design using mixed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author employ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 which the population consisted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members from four-year courses in universiti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33 members from 12 universities nationwide. A total of 32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12 surveys that were judged to be inappropriate or unreliable. After collecting the data, the autho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oftware package ver. 21.0. A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12 college students who were passionately engaged in the demonstration teams’ activit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purposive sampling based on the quantitative research outcome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quantitative research analysis on the effect of exercise-related stress on satisfaction with choice of undergraduate department showed that instruction/coaching stress, a sub-factor of exercise-related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choice of undergraduate department such as educational and operational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Stress from dissatisfaction with functions, a subfactor of exercise-related str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ll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choice, including satisfaction about one’s interest in their study, university itself, curriculum and operation, social perception of their department, and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Leisure-related stress, a subfactor of exercise-related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several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choice such as satisfaction about one’s interest in their study, university itself, social perception of their department, and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Career stress, another subfactor of exercise-related stress,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several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choice such as satisfaction about curriculum and operation and social perception of their department.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quantitative research outcomes identified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unjustifiable behavior of leaders, no breaks for the demonstration team, , lack of career courses, social perception on their department, community awareness, and personal growth. Second,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analysis on the effect of exercise-related stress on career adaptability show that stress from dissatisfaction with functions, a subfactor of exercise-related stres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career confidence, career interest, career control, and career curiosity). Career stress, a subfactor of exercise-related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identified the following categories: attitude change, problem-solving, feeling of helplessness about careers, and career concern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analysis on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hoice of undergraduate department on career adaptability showed that social perception of their department,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choic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nfidence, a subfactor of career adaptability. Satisfaction about the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choi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such as career confidence, career interest, and career curiosity. Satisfaction about curriculum and operation,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choi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ntrol, a subfactor of career adaptability.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identified the following categories: positive image of the department,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연구방법의 설명적설계(explanatory design)를 통해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의 운동스트레스와 학과(학부)만족, 진로적응력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먼저 양적연구에서는 유의표집 하여 4년제 대학 태권도 시범단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여 전국의 12개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이중에 응답내용이 부적절 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12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321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양적연구의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질적연구에서는 양적연구결과를 토대로 유목적표집(purposeful sampling)하여 시범단 활동에 열정을 갖고 성실히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문헌분석과 심층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스트레스가 학과(학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양적연구의 결과는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지도스트레스는 학과만족의 하위요인인 교육과정 및 운영만족, 교수-학생 관계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기능불만스트레스는 학과만족의 모든 하위요인(일반적 관심만족, 학교만족, 교육과정 및 운영만족, 학과 사회적 인식만족, 교수-학생 관계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여가스트레스는 학과만족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관심만족과 학교만족, 학과 사회적 인식만족, 교수-학생 관계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진로스트레스는 학과만족의 하위요인인 교육과정 및 운영만족, 학과 사회적 인식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질적연구를 수행한 결과 지도자의 부당행동, 여가 없는 시범단, 학습권 문제, 진로 수업의 부족, 학과에 대한 주변의 시선, 공동체 의식, 자기성장으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운동스트레스가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양적연구의 결과는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기능불만스트레스는 진로적응력의 모든 하위요인(진로자신감, 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스트레스의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적응력의 모든 요인(진로자신감, 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질적연구를 수행한 결과 태도변화, 문제해결, 진로에 대한 무력감, 진로고민으로 범주화 되었다. 셋째, 학과(학부)만족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양적연구의 결과는 학과만족의 하위요인인 학과 사회적 인식만족은 진로적응력의 하위요인인 진로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만족의 하위요인인 교수-학생 관계만족은 진로적응력의 하위요인인 진로자신감, 진로관심, 진로호기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의 하위요인인 교육과정 및 운영만족은 진로적응력의 하위요인인 진로통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질적연구를 수행한 결과 학과의 긍정적 이미지, 진로상담, 진로교육으로 범주화 되었다.

      • 전문대학생의 주도성, 미래시간관,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결정자율성 및 학습몰입과 진로적응력 간의 구조적 관계

        고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unior college students’ proactive personality, future time perspective, faculty-student interacti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learning engagement, and career adaptability. Three specific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the structural model of junior college students' proactive personality, future time perspective, faculty-student interacti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learning engagement, and career adaptability will fit to predict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future time perspective, faculty-student interacti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learning engagement will have a direct effe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ir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learning engagement will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future time perspective,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 juni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s of 576,000 students enrolled in 134 junior colleges in South Korea. Considering the ratio of regions and majors, a total of 440 responses were sampled. For the research instrument, the survey has been used that consists of questionnaires on proactive personality, future time perspective, faculty-student interacti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learning engagement, career adaptabil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research instrument was reviewed to check if it required any modifications or deletion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ll the measurement tools were secur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mail and via an online survey from March 30 to April 23, 2022. A final sample of 421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TATA 17 and Mplus 7.0.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an appropriat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was identified between the junior college students’ proactive personality, future time perspective, faculty-student interacti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learning engagement,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was a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 with the greatest impa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ird, learning engagement that described the career adaptabil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was important as it had double and single mediation effects. Fourth, the junior college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fully mediate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learning engagement. This means how important it is to consider the future in a meaningful way and put in the effort to realize future goal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plans are needed to enhance the junior college students’ proactive personality for career adaptability and learning engagement. Second, it is vital to acknowledge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the faculty-student relationship to construct career counseling and interaction ties with the academic advisers to pave career paths. Finally, to improv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interventions in the learning process must be made. The following are th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for generalizability, the research topic must be expanded to include all ju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a research tool must be set up to directly measure the observation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for junior college students. Third, when researching variables that affect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earning dimension variables that can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s well as career dimension variables.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주도성, 미래시간관,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결정자율성 및 학습몰입과 진로적응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있었다. 연구의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주도성, 미래시간관,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결정자율성, 학습몰입과 진로적응력 간의 적합한 구조적 모형을 설정한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주도성, 미래시간관,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결정자율성 및 학습몰입과 진로적응력 간의 직접효과를 밝힌다. 셋째, 전문대학생의 주도성, 미래시간관 및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율성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밝힌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체 전문대학 134개교의 재적 학생인 약 57만 6천 명이다. 다만, 4년제 편제를 통하여 학사학위를 취득하게 된 간호학과 및 학사학위전공심화과정의 학생은 표집에 포함하지 않았으며, 조사 시점에 교수-학생 상호작용 관계가 형성되기 어려운 전문대학 1학년 학생을 제외하고 표집하였다. 표집은 전문대학의 지역 및 계열이 모집단과 유사하게 표집될 수 있도록 비율을 고려하였다. 조사도구는 전문대학생의 주도성, 미래시간관, 진로결정자율성, 학습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진로적응력의 관찰변인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관찰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개발하고 활용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개발한 척도의 경우 타당도 검증을 위해 진로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안면타당도는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예비조사를 통해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여 확보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의 수집을 위해서는 2022년 3월 30일부터 4월 23일까지 우편 및 온라인 방식을 함께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회수된 설문지는 459부로, 이 중 연구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1학년 1학기 학생과 간호대학생을 모두 제외하고, 불성실 응답 역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421부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TATA 17과 Mplus 7.0을 활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주도성, 미래시간관, 교수-학습 상호작용, 진로결정자율성, 학습몰입과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였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주도성(β=.568)과 교수-학생 상호작용(β=.065), 진로결정자율성(β=.137), 학습몰입(β=.203)이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래시간관은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매개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은 주도성(β=.061), 미래시간관(β=.036), 그리고 교수-학생 상호작용(β=.037)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그리고 전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주도성(β=.105), 미래시간관(β=.020), 그리고 교수-학생 상호작용(β=.024)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었다. 넷째,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 및 학습몰입은 주도성(β=.018), 미래시간관(β=.010), 그리고 교수-학생 상호작용(β=.011)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 매개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주도성, 미래시간관,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결정자율성, 학습몰입과 진로적응력의 적합한 구조적 관계 모형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성, 미래시간관,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결정자율성, 학습몰입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영향 관계에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도성으로, 주도성은 진로적응력을 설명하는데 핵심적인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로 변화의 상황에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능동적인 성향을 촉진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셋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설명하는 모형에 투입된 학습몰입은 단일 매개효과뿐만 아니라 이중매개효과를 가진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학습몰입은 기질적 측면, 학습 내용에 대한 즐거움 등 여러 측면에서 촉진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과정에서의 몰입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진로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대학생의 미래시간관은 진로결정자율성 및 학습몰입을 통해 진로적응력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진다. 이는 미래를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미래의 가치를 인지하고 그 미래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을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에 관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강화시키고 학습에 몰입하게 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는 주도성을 높여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와 관련하여 교수자와 학생 간 관계 형성의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지도교수와의 진로 상담 및 상호작용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학습 과정에서의 개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학습몰입, 특히 행동적 차원의 몰입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전문대학생 전체로 확대하여 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의 조사도구와 관련하여, 진로결정자율성의 관찰변인을 별도의 계산 과정 없이 직접 측정 가능한 구인으로 구성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연구함에 있어, 진로뿐만 아니라 전문대학생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학습 차원에서의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