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무특성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이규홍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종사자의 직무특성 및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중소기업은 일반적으로 대기업 등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조직구조와 계층이 단순하고 최고경영자의 경영방침 또는 경영활동이 기업 전체에 직접적으로 단시간에 전달되는 짧은 전달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의사소통 채널이 적고, 매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생산부서와 영업부서를 중심으로 조직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부의 행정적 기능이 총무업무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서 중소기업의 본부 조직이 제공하는 인사, 회계의 기능은 임금, 휴가, 승진, 영업관리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에 그치고 있으며, 전략적 경영관리나 연구개발활동은 전담부서를 가지고 있지 않는 한 최고경영자와 임원진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인사구조가 단순하고 생산직, 영업직의 비중이 높아 조직문화를 진단하기가 쉽지 않은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은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인사제도를 수립하고 운영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현재 수행중인 직무의 직무특성이 그들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직무특성의 하위변수인 기능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환류성 중 과업정체성과 환류성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과업정체성 보다는 환류성이 직무만족에 대하여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중소기업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직무가 업무과정에서의 일부분이 아닌 전체에 가까운 업무를 책임지고 있을 때 또는 프로세스 전체를 책임지는 완전한 형태에 가까운 직무를 수행 중일 때 이에 따른 직무만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기업 내에서 구성원들에게 내재화 되어 공유하고 있는 가치체계를 의미하는 조직문화가 어떠한 유형에 더 가깝게 인지되고 있을 때 직무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조직문화의 하위변수인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중 집단문화와 발전문화, 위계문화적 특성이 강할수록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긍정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즉, 조직의 문화가 가족적이고 신뢰와 화목으로 이루어진 집단문화적이거나, 외부환경의 변화에 민감하여 혁신적이고 신속하며 개방적인 발전문화적 특성이 강하거나, 절차와 공식화된 과정을 강조하며 규정과 직권의식, 서열의 중요성을 고려하는 위계문화적 특성에 가까울 때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가 추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던 사회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특성과 조직문화, 직무만족에 대한 평균차이 검증의 결과, 사회통계학적 특성에 의해 구분된 집단에 따라 직무특성과 조직문화는 모든 하위변수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직무만족의 경우에는 보상만족에 있어서 사회통계학적 특성의 모든 항목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여주기 위해서 중소기업이 전사적인 차원에서 중장기적 전략과제를 직무의 환류성과 집단문화를 제고하기 위한 활동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경영자가 적극적인 관심과 발전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투자를 아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Generally, small enterprises have a relatively simple organizational structure, classes, and a short communication channel in comparison with large enterprises; an administrative function of the head office is often limited to the work of a manager due to a few communication channels and its structure, focusing on production and sales department,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sales. Due to such characteristics, functions of personnel and accounting, which are provided by the head organizations of the small enterprises are limited to basics functions such as wage, vacation, promotion and sales management, and the reality is that strategic management o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performed only by CEO and the executive team, unless there is an exclusive department. Also, its organizational culture is hard to diagnose due to its structure with a simple personnel structure and high importance of production and sales work. Analyzing such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enterprises and studying the effect of such factors on the job satisfaction will be a good help in establishing and managing personnel system, which fits for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enterprises. Accompanying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rgeting members of the small enterprises, as the result of statistically verifying how the job characteristics of currently performed jobs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task identity and circumfluenc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sub-variables of the job characteristics: diversity of function, task identity, autonomy and circumfluence. Especially, the circumfluence has the greater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than the task identity, which means that the job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when the job performed by members of the small enterprises is close to a whole task or a complete form of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entire process rather than a part of work process. Second, as the result of verifying how the organizational culture, meaning a value system inherent and shared in members inside the enterprises affect the job satisfaction when it is recognized close to what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which means that the job satisfaction increases when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developmental and hierarchical culture are stronger than among other sub-variable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collective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That is to say, there is a positive effect, which means increasing in the job satisfaction of members when the culture of organization is more like collective culture consisting of family-like trust and harmony or it has strong developmental culture that is sensitive to changes in external environment, innovative, and straightforward or it is close to the characteristics of hierarchical culture, which emphasize procedures and official process and respect the importance of ranking.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an average difference in the job characteristics,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social statistical characteristics, which this study planned to verify additionally, the value of all sub-variables i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classified by the social statistical characteristics; However, in case of the job satisfaction, average value in all items of the social statistical characteristics shows non-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ward satisfaction. In conclusion,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members in the small enterprises, the small enterprises should set medium and long term strategic task at a cohesive level as an activity to improve circumfluence of a task and the collective culture; To realize this, It is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the small enterprises to invest generously and to have active interest based on progressive thinking.

      • 상업정보계 고교 교사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정수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교사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과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 고, 교사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교사의 직무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취급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정보계 고교 교사들의 직무특성이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 둘째, 상업정보계 고교 교사들의 개인의 특성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 정도 셋째, 상업정보계 교사들의 인식된 직무특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넷째, 상업정보계 교사들의 성장욕구강도가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연구 분석을 위해,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Likert 시스템과 같은 통계학적인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430명의 상업정보계 교사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교사 자신이 스스로 평가하는 방법을 통해 작성된 326장의 설문지를 회수 했으며,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로써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업정보계 고교의 남자교사와 경력이 오래된 교사는 다른 교사들보다 직무특성에 대한 더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둘째, 남자교사, 부장교사, 그리고 고학력의 교사는 직무특성에 있어 더 커다란 의미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오직 피드백만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성장욕구수준은 분명히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사이에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relationships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 after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 and how they motivated. In this study, the 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sidered. Here I specified job characteristics into four dimensions of job varie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and feedback. And I considered job satisfaction of teacher as dependent variabl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ale teacher and older teacher in business high school show higher perceptions in the job characteristics. Second, the male teacher, head teacher, and the teacher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show higher significance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Third, only feedback influences to job satisfaction positively. Fourth, the individual desire of needs for self-growing had a positively moderating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characteristics.

      • 카지노 딜러의 직무특성 지각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소영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카지노 산업은 타 서비스 산업에 비해서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비율이 높으며 고객과의 서비스 접점이 많아 카지노 딜러의 역할은 단지 상품전달 차원만이 아닌 그들의 성향이 기업의 우호적 이미지를 창출하고 재방문유도의 다각적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카지노 산업에서의 딜러는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마케터라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카지노 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카지노 산업의 1차 고객인 딜러의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켜야 함은 물론이고, 딜러의 직무특성에 대한 지각에 따라 딜러 자신의 경력에 대한 몰입이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자는 카지노 산업에서 딜러들의 직무관심도나 흥미를 자극하는 직무설계가 필요하며, 카지노 딜러들을 대상으로 직무특성에 관한 메커니즘을 적용해 볼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인적자원관리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코자 카지노 딜러들이 지각하는 직무특성과 경력몰입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의 역할강조에 부합하는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수(효과)로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호텔 베이커리 종사원의 직무특성이 정서적 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영덕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호텔산업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다른 서비스산업과 차별되는 우수한 인력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지고 있다. 인적의존도가 높은 호텔산업에서 종사원의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의 만족도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사원의 적합한 직무관리는 호텔산업의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호텔산업의 특성에 따라 종사원들의 자신이 속한 조직과 직무특성 및 직무설계는 매우 중요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적 의존도가 높은 호텔산업에서의 직무특성, 정서적 몰입, 고객지향성 간의 연구는 의미 있다고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1급 호텔 베이커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직무특성, 정서적몰입, 고객지향성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관련 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호텔 베이커리 종사원의 효율적인 직무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2015년 8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25일 동안 서울/경기 지역의 특1급 호텔 베이커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여 270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호텔 베이커리 종사원의 직무특성중 기능다양성, 자율성, 피드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사원의 직무특성 중 자율성은 조직몰입에 과업중요성은 고객지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는 이론적·실무적 측면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 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특1급 서울/경기 지역 베이커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를 모든 호텔분야에 일반화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 호텔 베이커리 종사원의 직무특성이 정서적 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이론적인 토대를 제공하였으며, 이런 연구결과를 통해 베이커리 종사원의 직무설계시 동기부여를 위한 직무요인과 직무특성을 높여주기 위한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호텔산업에서 체계적인 효율적인 직무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성격특성과 직무특성이 안전 및 불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서하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직장 내 종업원들의 안전 및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성격특성과 직무의 특성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성격특성은 Big 5 모델에 따랐고 일의 특성은 고관여 직무의 정도를 다루었다. 성격특성과 직무특성이 안전 및 불안전 행동에 미치는 효과 뿐 만 아니라 이 두 변인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272명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 직무특성, 그리고 안전 및 불안전행동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격5요인 대부분이 안전행동과 불안전행동과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특성은 안전행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불안전행동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성격특성과 직무특성의 상호작용을 탐색한 결과 개방성과 직무특성이 위반행동, 준수행동, 안전습관행동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으나, 다른 성격특성은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개인의 특성과 직무특성이 각각 종업원들이 직장 내에서 안전행동 혹은 불안전행동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고, 직장 내에서 고관여 직무를 수행할수록 일부 성격특성이 안전행동을 더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dividual'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which have an influence on safety and unsafety behavior of employees in organizations. Big 5 model was used to examin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are followed by high involvement job. Interactions between variables are examined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effect on safety/ unsafety behavior. 227 employees are participated. Their five factors of personality, job characteristics, and safety and unsafety behaviors are measured. As a result, most five factors of personalit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afety and unsafety behaviors. Job characteristics also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afety behaviors however had no correlation with unsafety behavior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job characteristics, openness and job characteristic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violence, observance, and automatic safety behavior, and other characteristics had shown no interaction. This study verified how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affect safety and unsafety behaviors of each employee and explored that as performing more high-involvement jobs, par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lead more safety behaviors. Finally, the meaning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are described.

      • 직무특성이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 종업원을 중심으로

        김정관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Unemployment in modern society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social problems. In other words, as one of the issue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ir members that make up the modern social welfare and a happy situation where unemployment is recognized. In this way, the position of companies and organizations for the problem of unemployment in the employment leave and turnover of incumbent raises problems concerning corporate efficiency and reliability. More specifically, the turnover of the early and leave incumbents of new employees can get the competitive edge of the organization, as well as lowering the cost of the additional expenditures due to the outflow of top talent for recruitment (recruiting) and training of job-seekers. In this study, the turnover focused on the point to leave permanently outside the organization, the job characteristics of SME employees to evaluate and verify the impact of heat on the job at the relationship on turnover intention.Specifically organi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y examines against Job Characteristics and Job columns, turnover intentions through literature. Secondly, it wants to set up a hypothe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of SME employees and job enthusiasm,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and verify it empirically. Third, job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s reveal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on Job column. Fourth, to suggestions for mo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is to selected employees who work the subject of research to SMEs and their job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job column, lower turnover intentions through it is research to try to prove the logical raising great talent reducing the turnover is very It can be called critical. In this study, it gives meaning to what that holds for ways to prevent voluntary turnover of employees, and small businesses were put Nagoya also the cause of the turnover of the companies and their employees also remain. It shows that it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o decrease the turnover of employees of SMEs in that organization-wide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individual tasks and duties of the job column attribute importance.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first hypothesis testing, and job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tasks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parameters and job autonomy is lower in the column was found to push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column. Second, the significant part of the turnover in Fig job Thermo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job separation column appeared to affect the. Third, job characteristics appeared to be a technical diversity of the resulting job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is to affect positive on turnover intention, task significance is poured into a turnover intentions of It appeared to affect. However, job autonomy, task identity and feedback showed that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Fourth, the only task of the importance and job autonomy, job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job characteristics which analyzes the impact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olumn in relation to the help of the turnover regression job column is exert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column, turnover intention Technical diversity and importance of the task which only th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urnover. Also, when the job of heat control, task significance is the partial mediating role becaus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urnover, technology diversity, task identity, job autonomy, feedback i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enthusiasm and turnover because the analysis was not to have no effect parameters. 현대사회에서 실업은 주요한 사회 문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즉, 현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복지와 행복에 직결되는 하나의 문제로서 실업이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덧붙여서 실업이라는 문제에서 고용을 담당하는 기업 및 조직의 입장에서도 현직자들의 퇴사 및 이직은 기업의 효율성 및 안정성이라는 측면에서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입사원의 조기퇴사 및 현직자의 이직은 구직자의 모집(recruiting)과 훈련에 대한 비용의 추가 지출뿐만 아니라 핵심인재의 유출로 인하여 조직의 경쟁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직을 조직외부로 항구적으로 떠나는 점에 초점을 두고, 중소기업 종업원들의 직무특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직무특성과 직무열의, 이직의도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상기의 논의를 토대로 중소기업 종업원의 직무특성과 직무열의, 이직의도의 관계에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직무특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관계성을 밝히고자 한다. 넷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연구 : 한국농어촌공사를 중심으로

        권남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desire for human happiness can be said to be the most fundamental desire that transcends time. The happiness of our workers can be said to begin with the satisfaction of working life. Therefore, job satisfaction is a major value-seeking direction regardless of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The priority element of job satisfaction will be on the job itself he is performing.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itself on job satisfaction will vary in content and influence depending on changes in industry, working environment, and values. Recently, as the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al society has rapidly changed around the service industry, new characteristics are emerging in the job along with the existing job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is increasingly required for workers due to the nature of a consumer-centered industrial society, and companies are required to pursue social value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ublic interests and communities. Increasing workers' emotional labor and corporate pursuit of social values may be thought to affect workers' job satisfaction as one of the new job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began to identify the job characteristic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by adding emotional labor and public interest, focusing on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of Hackman and Oldham. For this purpose, job satisfaction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emotional labor and public interest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long with skill variety,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and feedback in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And gender, age, and rank, which are demographic factors considered to affect job satisfaction,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nd I thought that public institutions with both business and public interest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Therefore, in this study, 918 valid data were obtained and analyzed by surveying all employees of Grade 3 or lower who were working for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mong public institutions. For empirical analysis, statistics were processed using stata 13 and frequency analysis,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mong the core job characteristics of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skill variety, task identity, autonomy and feedback had an impact of affection on job satisfa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labor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at public interes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However, task significance among core job characteristic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And influence affects job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feedback, autonomy, public interest, task identity, emotional labor and skill variety. Among the demographic factors set as control variables, only ag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labor and public interest, along with the job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job characteristics model, were factors that affected workers' job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workers' job satisfaction, an entity should share the value so that workers can recognize the activities of the entity as well as the pursuit of public interest activities, and emotional labor should have discriminatory measures against departments with high customer response 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work department. Feedback and autonomy, like recent prior studies, we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than other characteristics. This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before 2000, when feedback was analyzed to not affect job satisfaction, which is in line with era accidents that value autonomy along with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working environment. It is also thought that workers will be more oriented toward self-realistic value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culture. 인간의 행복에 대한 바람은 시대를 초월하는 가장 근본적인 욕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 시대 근로자들의 행복은 직장생활에서의 만족으로부터 시작된다 할 수 있다. 이에 근로자의 직무만족은 조직의 성과 향상과 관계없이 주요한 가치추구적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근로자의 직무만족의 1차적 요소는 그가 수행하고 있는 직무자체에 있다 할 것이다. 직무자체의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산업의 변화, 근로환경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그 내용과 영향력이 달라질 것이다. 최근 제조업 중심의 산업사회가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면서 기존의 직무특성과 더불어 직무에 새로운 특성들이 나타나고 있다. 근로자들에게는 소비자 중심 산업사회의 특성상 감정노동이 점점 더 요구되어 지며, 기업에게는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가치 추구가 요구되어 지고 있다. 증가되는 근로자들의 감정노동과 기업의 사회적 가치 추구는 새로운 직무특성의 하나로서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하여 핵크만(Hackman)과 올드햄(Oldham)의 직무특성모형을 중심으로 감정노동과 공익성을 추가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직무특성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직무특성모형의 과업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과 함께 감정노동, 공익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 인구통계학적요인인 성별, 나이, 직급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대상으로는 기업성과 공익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공공기관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중 한국농어촌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공사(公社)에 재직 중인 3급 이하 전체 직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918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stata 13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특성모형의 핵심직무특성 중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자율성, 피드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감정노동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익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핵심직무특성 중 과업중요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영향력은 피드백, 자율성, 공익성이 과업정체성, 감정노동, 기술다양성 보다 더 크게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로 설정한 인구통계적 요인들 중에서는 나이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존의 직무특성모형의 직무특성과 더불어 감정노동과 공익성이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은 공익적 활동 추구는 물론 기업의 활동에 대하여 근로자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가치를 공유하여야 할 것이며, 감정노동은 근무부서에 따른 인식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는바 고객응대가 많은 부서에 대한 차별적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피드백과 자율성은 최근의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다른 특성보다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피드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한 2000년 이전 선행연구와는 다른 것으로 산업구조나 근로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자율성을 중시하는 시대사고와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근로자는 경제․문화의 발전에 따라 자아실현적 가치를 더 지향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 핵심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관계 : K공단을 중심으로

        신여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산업사회는 고도화와 직무환경의 빠른 변화로 기업은 구성원들에게 직무성과의 강조와 지속적인 혁신 및 도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조직구성원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직무에 대해서 만족과 불만족을 느끼게 된다. 직무에 대한 만족과 불만족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문제로 핵심직무특성을 고려한 직무만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핵심직무특성을 직무만족의 주요원천으로 파악하고, 개인차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달라지므로 성장욕구가 높고 낮음을 조절변수로 하여 K공단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인식된 핵심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조직구성원들의 인식된 핵심직무특성과 성장욕구강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며, 셋째, 인식된 핵심직무특성이 조직구성원들의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넷째,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정도는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에 소재한 K공단에 근무하는 종사자 120명에게 핵심직무특성과 직무만족, 성장욕구강도를 설문조사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직무특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핵심직무특성을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직무재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핵심직무특성의 인식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직무만족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장욕구강도가 직접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핵심직무특성과 서로 상호작용하여 직무만족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직무특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성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구성원의 개인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과 학력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면 40-45세미만 그룹과 20대, 30-35세미만, 35-40세미만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에서는 고졸과 전문대졸이상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핵심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은 관계가 있으며, 핵심직무특성과 성장욕구강도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핵심직무특성과 개인특성의 차이는 성별에서만 핵심직무특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 개인특성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연령과 학력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은 개인특성보다는 핵심직무특성과 어떤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As the highly advanced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ts working condition, a company emphasizes employee's job achievements and requires their continuous innovation and challenge. Accordingly, although members in an organization make every effort to reach the goal of organization and their own while carrying their job, they are satisfied or dissatisfied for their job. As finding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in a job matters for a goal of organization, interests on job satisfaction considering core job characteristics need to be heightened. In general, Korean office workers consider office duties the most important in a career lif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employees in K industrial complex to find a level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rowth need of each individual, since core job characteristics is a source of job satisfaction.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nds the relations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recognized by employees. Second, this study tries to find how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growth need strength of recognized by employees affect job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cognized core job characteristics is different from individual character. Fourth, it also examines wheth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of study, this study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120 employees at K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s as employees highly recognize their core job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sign job characteristics so that employees highly recognize the core job characteristics. Second, the group in which core job characteristics is highly recognized has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an the group in which core job characteristics is lowly recognized. Growth need strength does not directly affect job satisfaction, but it is correlated to affect job satisfaction interacting with core job characteristics. Thir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regarding core job characteristics does not show much except the sex. Fourth,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tudy finds a difference only in age and an academic background. Examined by ag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especially between 40-45 and 20s, and between 30-35 and 35-40. For an academic background, there were found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education and more than college education. As above, there is a relation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while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growth need strength,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e difference of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 shows the different recognition of core job characteristics only by sex, while individual character doesn't show much difference.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 only shows in the category of age and education. Therefore, we conclude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s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core job characteristics and other factors, rather than individual character.

      • 태권도사범의 직무특성이 직업만족 및 직업몰입,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두식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사범의 직무특성이 직업만족 및 직업몰입,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태권도 도장에서 근무하는 태권도사범이며, 최종분석에는 305명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후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태권도사범의 직무특성요인 중 직무의미성은 직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업무량과 직무다양성은 부(-)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태권도사범의 직무특성요인 중 직무의미성은 직업몰입에 정(+)의 영향을, 업무량과 직무다양성은 부(-)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태권도사범의 직무특성요인 중 직무의미성과 직무자율성은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업무량은 부(-)의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태권도사범의 직업만족, 직업몰입, 직무몰입은 어느 특정요인에 의해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직무특성요인 모두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져야만 직업만족, 직업몰입, 직무몰입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직무 및 작업 조건의 개선과 미래에 태권도장 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식습득에 대한 지원노력과 함께 지속적인 동기유발 프로그램의 도입 그리고 창의적인 경영계획과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 of Taekwondo instructor's duties has effects on the satisfaction for their occupations, absorption in their professions and the attitude for their duties. The target for this research is Taekwondo instructors who work in the nationwide Taekwondo gymnasiums and 305 are used for final analysis among the rest. written questionnaires are used after procuring reliability and valid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As a statistic method,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he result is as follows. This study assum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Taekwondo instructor's duties are made up of 4 factors: the significance of duties, the autonomy of duties, the amount of duties and the diversity of duties. First, the significance of their du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for occupation and the amount of duties and the diversity of dut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it. Second, the significance of their du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sorption in profession and the amount of duties and the diversity of dut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it.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ir duties and the autonomy of their du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for their duties and the amount of duties has a negative effect on it.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I reached this conclusion. the satisfaction for occupation, absorption in their profession, the attitude for duties don't be achieved by a certain factor and instead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ignificance of duties, the autonomy of duties, the amount of duties and the diversity of duties can change them in case all of the factors enter into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s. Therefore, to achieve the satisfaction for Taekwondo instructor's occupation, absorption in profession, the attitude for their duties, 1> enhancement of the conditions of both duties and professions, 2> educational support that will be helpful for managing Taekwondo gymnasiums in the future, 3> continuous motive motoring programs and 4> the management for both the creative managing plan and practice should be realized.

      • 조직의 직무특성, 조직공정성,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학 산학협력단 구성원을 중심으로

        김화중 건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organization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here are many articles in relation to research of job characteristics in business organizations, but little for the organization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n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at organizational justice cause this relationship. This analysis used the job characteristic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a dependent variable. A structural model and 4 hypotheses were develope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nd data from personnels in the organization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 total of 128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used to test hypotheses.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skill variety and feedback variables had positive significances on job satisfaction, but not on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nd autonomy. And skill variety and feedback variables had positive significa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not on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nd autonomy. Second, autonomy and feedback variables had positive significances on organizational justice, but not on skill variety, task identity and task significance. Third, organizational justice variable had positive significanc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it was demonstrated that both autonomy and feedback variables had in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organization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by playing mediating roles of organizational justice variable. This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in the organization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y help to develop comprehensive organizational practices. At the end of the paper, organiz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의 산학협력단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직무특성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특성 변수인 기술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조직유효성 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하여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충남북 소재 4년제 대학 산학협력단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총 150부 배부하고 128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 변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기술다양성과 피드백 변수만이 직무만족에 유의수준 1%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중요성과 자율성은 유의수준을 만족하지 못하여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정체성은 유의수준은 만족하였지만, 부(-)의 계수값이 나와 본 연구의 의도와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기에 기각되었다. 또한 직무특성 변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기술다양성과 피드백 변수만이 조직몰입에 유의수준 5%, 1%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중요성과 자율성은 유의수준을 만족하지 못하여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정체성은 유의수준은 만족하였지만, 부(-)의 계수값이 나와 본 연구의 의도와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기에 기각되었다. 둘째, 직무특성 변수가 조직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율성과 피드백 변수만이 유의수준 1%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술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변수들은 유의수준을 만족하지 못하여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 변수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수준 1%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 변수인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수준 1%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을 지지하였다. 넷째, 직무특성과 조직유효성 간에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검증방법을 사용한 결과, 직무특성 변수 중 자율성과 피드백 변수만이 조건에 충족하였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①자율성→조직공정성→직무만족, ②자율성→조직공정성→조직몰입, ③피드백→조직공정성→직무만족, ④피드백→조직공정성→조직몰입의 순서대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든 Panel에서 조직공정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대학조직의 산학협력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점과, 산학협력단에서 수행하는 사업이 많은 만큼 해당되는 직무의 종류도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직무특성을 파악하여 조직유효성과의 관계를 검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