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탈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다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the times change, the economy develops rapidly and the needs of the people are gradually diversified and demand is increasing.As a result of this change, social welfare policies were formed in 2008, and the institutional and legal scope of the nation expanded to provide a basic foundation.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ho have been too urgent for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social welfare and manpower problems did not care. Since 2000, the state has made plans and implemented policies directly. However, the household debt of the ordinary people is gradually increas and the national finances and socially less privileged groups are still growing. At the national level, human resources are increasingly secured in the social welfare fiel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standards for institutional monitoring and evaluation are implemented. There is considerable research on job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social welfare field. However, the problem of management of the workforce has not been impro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economy and the actual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mpirically the effect of job burnout,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empirical,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on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is study, we surveyed 320 employe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Based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81 copies of SPSS22.0 were sele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s. program to verify the establish hypothesi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erifying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burnout and cynicism, the subcategories of job burnout, the low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rofessional 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 And it has a static effect. In addition, marital status positively affects job satisfaction more than single marriage, because the marital status affects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emotional burnout and cynicism, which is a subcategory of job burnout, shows th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low (-) and negative (+), while the level of professional efficacy increases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 has a static effect. In additi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gender nega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cating that men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women. Therefore, it is found that job burnout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results of several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ultifle regression analysis, it suggests ways to lower job burnout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경제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그 속도에 따라 국민들이 필요로하는 욕구는 점차 다양화되고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그 변화에 따라 2008년 사회복지 정책이 형성되고 국가적으로 제도 및 법이 제정되면서 범위가 확대되어 기초적인 발판을 마련했다고 할수있다. 급속한 경제발전에만 너무 급급했던 나머지 국민의 생활의 질 향상과 더불어 사회복지분야와 인력문제는 신경쓰지 못한 부분이 너무나 컷다고 할수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국가가 직접 나서서 정책을 만들고 시행하고 있으나 서민들의 가계빛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아직까지 국민들이 필요로하는 국가재정과 사회소외계층들은 점차 늘어나고있는 추세이다. 국가차원에서 현 실정에 맞게 사회복지분야에 인력을 점차 확보하고있으며 제도적 감시와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사회복지분야 인력의 직무탈진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들은 상당히 존재하나 경제적인 변화와 실정에 맞는 인력관리문제는 아직까지 나아지고있지 않는 실정이라고 할수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 재직중인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독립변수인 직무탈진이 종속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위치하고있는 사회복지시설 조직구성원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미응답, 누락,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281부를 바탕으로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탈진의 하위범주인 감정소진, 냉소주의 수준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의 수준은 낮아져 부(-)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적인 효능 수준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의 수준은 높아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결혼유무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나 기혼이 미혼보다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탈진의 하위범주인 감정소진, 냉소주의 수준이 높아지면 조직몰입의 수준은 낮아져 부(-)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적인 효능의 수준이 높아지면 조직몰입의 수준은 높아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성별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나 남자가 여자보다 조직몰입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러 선행연구의 결과와 동일하게 직무탈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것을 밝혀냈으며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탈진을 낮추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직무도전 및 직무방해가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손혜령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탈진을 증가시키고 직무열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직무요구를 긍정적인 측면을 가진 직무도전과 종업원에게 부담이 되는 직무방해로 구분하고, 이 두 요인이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직장인 419명(남성 217명, 여성 202명)이 조사에 참여하였고, 조사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3.63세(SD=8.72)였다. 상관분석 결과, 직무도전과 직무방해는 직무탈진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직무도전은 직무열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직무방해는 직무열의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직무도전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조절효과가 나타난 이유는 직무도전이 직무탈진을 증가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은 직무탈진을 완화시키지만 직무도전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긍정심리자본이 직무탈진을 더 완화시켰기 때문으로 보인다. 직무방해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왔으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방해는 직무탈진에 유의한 정적효과를, 긍정심리자본은 직무탈진을 유의하게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도전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두 예측변수 모두 직무열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방해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직무방해는 직무열의에 유의한 부적효과를,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적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challenge and job hindrance on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PsyCap) in effect of job challenge and hindrance on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419 employees(217 males, 202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job challenge and job hindrance were correlated with job burnou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challenge and job eng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hindrance and job eng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llenge and job burnou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is that when the job challenge is lower than when the job challenge is high,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educes job burnout more. The main effect of job hindranc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burnout were signigicant,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Job hindrance has shown a signigicant positive effect on job burnou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ignificantly reduced job burnout.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job challeng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engagement, both predictors increased job engagement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effect of job hindranc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engagement, job hinderance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but the moder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Keywords: Job burnout, Job engagement, Job challenge, Job hindera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한식당 조리종사원의 직무자원과 직무요구가 직무착근도 및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나정숙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and job demands on their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to ultimately present useful information on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job performance of Korean restaurants.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hich are cooking employees of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during August 5-30, 2014. Upon distributing 500 copies of the survey, 481 copies were collected among which 31 copies with insufficient responses were excluded. In the total of 450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and job demands and their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was verified. In terms of the effects of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on the construct of job embeddedness, feedback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followed by social support. However, it was found that job autonomy was not significant. Second, effects of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demands on sacrifice among the constructs of job embeddedness were verified. In terms of effects on construct,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role ambiguity and conflict. However, it was found that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and mental exhaustion among the constructs of job burnout was verified. In terms of the effects on construct, the effects of job autonomy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support that has negative effects. However, it was found that feedback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I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demands on mental exhaustion among the constructs of job burnout was verified. In terms of the effects on construct, the effects of role overload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role conflict. However,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role ambiguity and conflict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In terms of the effects on construct, it was found that role conflict has significant effects but role ambiguity has negative effects. However,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role overload and conflic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embeddedness on mental exhaustion among the constructs of job burnout was verified. In terms of the effects on construct, ties and appropriatenes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but sacrific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 hypotheses verification result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is study has prepared an academic foundation for Korean restaurant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and job demands and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Second, it is necessary for head chef to reflect the opinions of cooking employees to clarify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cooking.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proper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to effectively utilize their skills and talents in cooking to establish their values as cooks to share the values pursued by Korean restaurants. Third, they are often very stressed since they have to hide their actual emotions to faithfully carry out their life at work.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rest time and space for their rest. In terms of job characteristics, they were found to be high in positive direction with appropriateness, sacrifice and tie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nsure work areas through which they can effectively utilize their expertise since above analysis result includes various tasks in addition to cooking tasks. In addition, cooking task has significant effects on colleagues' task perform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ask of creating one product through respectively different tasks. In the sense that failure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ir respective tasks could significantly impede the entire work of department, it becomes a stress factor of cooking employees.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cooking task manual that can reduce stress in the characteristics of task.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ub-dimensions of job resources of social support, job autonomy and feedback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sub-dimensions of job burnout of job pessimism, mental exhaustion and feedback. Such analysis result shows that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are being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learn new things and develop their own unique abilities through cooking work.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y have trust and affection towards manager or head chef and head chef is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m to handle their cooking work with an interest in whether they are effectively performing their tasks. Lastly, it shows that cooking employees interdependently help one another with the sense of colleague of sacrifice.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owner or head chef of Korean restaurants to pay attention to employees' welfare at various levels such as proper promotion opportunity and compensation in addition to cooking task to allow ties, appropriateness and sacrifice by increasing job embeddedness and lowering job burnout of Korean restaurants' cooking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and job demands on their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to ultimately present useful information on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job performance of Korean restaurants.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hich are cooking employees of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during August 5-30, 2014. Upon distributing 500 copies of the survey, 481 copies were collected among which 31 copies with insufficient responses were excluded. In the total of 450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and job demands and their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was verified. In terms of the effects of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on the construct of job embeddedness, feedback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followed by social support. However, it was found that job autonomy was not significant. Second, effects of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demands on sacrifice among the constructs of job embeddedness were verified. In terms of effects on construct,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role ambiguity and conflict. However, it was found that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and mental exhaustion among the constructs of job burnout was verified. In terms of the effects on construct, the effects of job autonomy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support that has negative effects. However, it was found that feedback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I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demands on mental exhaustion among the constructs of job burnout was verified. In terms of the effects on construct, the effects of role overload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role conflict. However,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role ambiguity and conflict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In terms of the effects on construct, it was found that role conflict has significant effects but role ambiguity has negative effects. However,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role overload and conflic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embeddedness on mental exhaustion among the constructs of job burnout was verified. In terms of the effects on construct, ties and appropriatenes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but sacrific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 hypotheses verification result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is study has prepared an academic foundation for Korean restaurant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job resources and job demands and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Second, it is necessary for head chef to reflect the opinions of cooking employees to clarify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cooking.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proper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to effectively utilize their skills and talents in cooking to establish their values as cooks to share the values pursued by Korean restaurants. Third, they are often very stressed since they have to hide their actual emotions to faithfully carry out their life at work.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rest time and space for their rest. In terms of job characteristics, they were found to be high in positive direction with appropriateness, sacrifice and tie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nsure work areas through which they can effectively utilize their expertise since above analysis result includes various tasks in addition to cooking tasks. In addition, cooking task has significant effects on colleagues' task perform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ask of creating one product through respectively different tasks. In the sense that failure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ir respective tasks could significantly impede the entire work of department, it becomes a stress factor of cooking employees.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cooking task manual that can reduce stress in the characteristics of task.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ub-dimensions of job resources of social support, job autonomy and feedback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sub-dimensions of job burnout of job pessimism, mental exhaustion and feedback. Such analysis result shows that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are being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learn new things and develop their own unique abilities through cooking work.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y have trust and affection towards manager or head chef and head chef is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m to handle their cooking work with an interest in whether they are effectively performing their tasks. Lastly, it shows that cooking employees interdependently help one another with the sense of colleague of sacrifice.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owner or head chef of Korean restaurants to pay attention to employees' welfare at various levels such as proper promotion opportunity and compensation in addition to cooking task to allow ties, appropriateness and sacrifice by increasing job embeddedness and lowering job burnout of Korean restaurants' cooking employees. 본 연구는 한식당 조리종사원의 직무자원과 직무요구가 직무착근도 및 직무탈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여 한식당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와 업무성과에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소재 한식당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5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481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31부를 제외한 총 450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당 조리종사원의 직무자원과 직무요구가 직무착근도 및 직무탈진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한식당 조리종사원들의 직무자원이 직무착근도에 속한 구성개념에 대한 영향력은 사회적 지원이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피드백 순으로 영향력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직무자율성은 유의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식당 조리종사원들의 직무요구가 직무착근도에 속한 구성개념 중 희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구성개념에 대한 영향력은 직무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역할모호성, 갈등 순으로 영향력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역할갈등과 역할과부하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식당 조리종사원들의 직무자원이 직무탈진에 속한 구성개념에 대한 영향력은 직무자율성이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사회적 지원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드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식당 조리종사원들의 직무요구가 직무탈진에 속한 구성개념 중 정신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구성개념에 대한 영향력은 역할과부하가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역할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특성, 역할모호성, 갈등은 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식당 조리종사원들의 직무착근도가 직무탈진에 속한 구성개념 중 정신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구성개념에 대한 영향력은 연계, 적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희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개념에 대한 영향력은 적합, 희생, 연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식당 조리종사원들의 직무자원과 직무요구가 직무착근도와 직무탈진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한식당에 대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주방책임자는 조리종사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조리업무의 책임한계를 명확하게 해줄 필요가 있다. 조리직무에서 기술과 재능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조리사로서의 가치관을 확립하여 한식당이 추구하는 가치와 공존 할 수 있도록 연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직장생활을 충실히 하기 위해 실제 감정을 숨겨야 하기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리종사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대와 공간을 마련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직무특성은 적합, 희생, 연계에 정(+)의 방향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조리업무이외에도 다양한 작업이 포함되어 있어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업무영역을 확보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조리업무는 서로 다른 업무를 통해 하나의 상품을 만들어 내는 업무의 특성상 동료의 업무수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각의 조리종사원들이 하고 있는 일이 잘못되면 부서 전체의 일에 큰 지장을 준다는 의미에서 조리종사원들의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업무의 특성에서 스트레스를 줄여 줄 수 있는 조리업무 매뉴얼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하겠다. 넷째, 직무자원의 하위차원인 사회적 지원, 직무자율성, 피드백은 직무탈진의 하위차원인 직무 비관여, 정신적 고갈, 피드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한식당 조리종사원들이 조리업무를 통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자신만의 특별한 능력을 개발할 기회를 제공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영자나 조리책임자 등은 신뢰와 애정을 갖고 있으며, 조리책임자는 업무처리를 잘 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과 조리업무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리종사원들이 상호 의존적으로 도움을 주며, 희생하려는 동료의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식당의 조리종사원들이 직무착근도를 높이고 직무탈진을 낮출 수 있도록 연계와 적합 그리고 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식당의 운영자나 조리책임자는 조리업무는 물론 적절한 승진 기회, 보상 등 다양한 차원에서 종사원들의 복지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공공서비스동기, 직무탈진감에 미치는 영향 : 교정공무원을 중심으로

        박정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정공무원을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공공서비스동기, 직무탈진감 간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법무연수원에서 직무교육을 받고 있는 전국 교정공무원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368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환경, 직무요구, 관계갈등, 조직체계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개인특성 요인 중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재직기간이 짧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이 구조적으로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어느 조직이든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조 없이 조직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으며, 권위주의적 조직문화는 상·하 간 의사소통을 방해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둘째,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조직체계, 직장문화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공공서비스동기 하위요인의 공익몰입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의 직무스트레스가 동정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조직체계의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희생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특성 요인 중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재직기간 적을수록 공익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동정에는 나이, 재직기간이 적을수록, 자기희생은 학력이 높을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법을 집행하는 교정공무원들의 자긍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공직서비스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충처리팀, 조사팀, 기동순찰팀(CRPT) 등 현장직원을 지원하는 부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즉 정책을 집행하면서 경험을 공유하고, 현장에서 소외 받을 수 있는 교정공무원의 정책결정 과정이나 집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가 정착된다면 공공서비스동기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셋째,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탈진감 하위요인의 소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직무요구,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의 직무스트레스가 냉소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직무요구, 직업자신감, 직무불안정, 조직체계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업자신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개인특성 요인 중 직급 많을수록 소진에 영향을, 냉소에는 직급과 재직기간이 많을수록, 직업자신감에는 학력과 재직기간이 높을수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최근 공공기관은 투명성. 공정성, 혁신이 요구되고 있고, 공공조직의 구성원이라는 자긍심과 사명감으로 공직자 개인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관심이 있을 때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공공서비스동기 저하, 직무탈진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이런 결과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나, 직무스트레스의 적극적 관리가 필요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즉 교정행정에 대한 사회의 낮은 인식, 보안과 교정교화의 역할에서 오는 갈등은 직무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기적 성과주의를 지양하고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원인을 사전에 차단하고, 공공서비스동기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현재 위계적 질서와 권위주의적 조직문화는 겉으로 보여주기 식 행정을 초래할 수 있고, 단기적 성과주의에 치중한 무분별한 교정 프로그램의 확대는 교정공무원의 직무동기와 사기를 저하시키는 또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교정조직의 구조적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은 깊은 논의가 필요하며, 지금까지 자원배분의 효율성과 단기 성과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를 반영하여 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으로 바람직한 직장문화를 조성하고, 조직변화를 가져 온다는 것을 하위 직원들에게 전파하여 공공서비스동기를 높여주어야 한다. 이는 단기간에 걸쳐 목표를 달성할 수는 없겠지만, 모두의 작은 노력과 실천으로 노력한다면 교정조직의 미래는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교정공무원 개인 및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이론 및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교정당국에서 변화를 시도하려는 정책수립과 실천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고, 지속적 노력은 이직의도, 직무탈진감 예방과 공공서비스동기를 높여 조직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job stress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 focused on correctional officer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80 correctional officers in the country who had job-related training in the Leg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based on 368 copies except for the unfaithful answer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when the job stres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rel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system was higher, it had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Besides, it was identified tha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hen their age was younger, educational background higher and the service term shorter, turnover intention higher. This shows that factors arousing job stress of correctional officers are structurally inherent. Any organization can not expect its development without spontaneou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nd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hinders the up-and-down communication. To prevent this, systematic devices are necessary for rational and smooth communication. Second, it was verified when the job stress such as job demand, job autonomy, relational conflict, organizational system and job culture was higher, it had negative(-) influence on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s, a subfactor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such as job demand, relational conflict and job instability had negative(-) influence on sympathy, and job stress such as job demand, job autonomy, rel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system negative(-) influence on self-sacrifice. Beside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hen their age was younger, educational background higher and service term shorter,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s was more negatively affected; when the service term shorter, sympathy more negatively affected; when the educational background higher, self-sacrifice more negatively affected. Like this, to enhance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the correctional officers who enforce the law with pride and responsibility, the role of divisions supporting workers on the field such as the grievance settlement team, investigation team and correctional rapid patrol team(CRPT) is very important. That is, it is expected if they share experience when a policy is implemented and if the system is established for them, who can be alienated in the field,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or in enforcement, public service motivation will be increased. Third, it was identified when the job stres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job autonomy, job instability, organizational system and inappropriate compensation was higher, it had positive(+) influence on exhaustion, a subfactor of job burnout. Moreover, job stress such as job demand, job instability, organizational system and inappropriate compens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cynicism; when job stress such as job demand, job confidence, job instability and organizational system was higher, it had more positive(+) influence on job confidence. Beside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when the rank was higher, exhaustion was more affected; when the rank higher and the service term longer, cynicism more affected; when the educational background higher and the service term longer, job confidence more affected. Recently, public institutions require transparency, fairness and innovati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hen each public official positively participate and is continuously interested with pride and a sense of duty as a member of the pubic organiz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job stress had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burnout. These results could be accepted naturally, but positive management on job stress is necessary. That is, low social awareness of the correctional administration and conflicts from security and correction and edification worked as the important factors that added to job stress. To resolve this, it is necessary to reject short-term performance, to establish mid or long-term plans, to block the causes in advance and to prepare policies that can increase public service motivation. Present hierarchial order and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can cause administration just for show, and irrational expansion of correctional programs biased to short-term performance can be another cause that can undermine job motivation and morale of correctional officers. However, as improving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rrectional organization needs deep discussion, efficiency of resource distribution and short-term performance has been focused until now. By reflecting this,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should be increased by spreading to the junior officers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organizational head creates desirable job culture and brings about change to the organization. Although this goal can not be achie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f everyone makes even a smallest effort and practice, big change will be brought in the future correctional organiz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suggested theoretical and empirical grounds that can increase effectiveness of each correctional officer and organization. If the correctional authority establishes policies for change, improves problems through practice and continuously makes efforts, those efforts can greatly contribute to prevention of turnover intention and job burnout and enhancemen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와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정은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만성화된 스트레스의 결과인 직무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찾아보고, 정서관련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직무 스트레스 유발 요인은 역할 과부하, 역할 불충분, 역할 모호성, 역할 경계, 책임감, 물리적 환경 스트레스, 정서 관련 특성은 정서 인식, 정서 표현 및 정서 표현 갈등, 정서 조절로 스트레스 대처 전략은 사회적 지지추구, 문제해결 중심, 회피로 정의하였다. 연구는 1개월간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501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유발 요인은 역할 불충분, 역할 과부하, 역할 경계임이 밝혀졌다. 직무 탈진과 직무 스트레스 하위 요인들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변인은 정서 표현, 정서 표현 갈등, 부정적 감정 조절, 사회적 지지추구였다. 정서 표현의 경우 정서 표현이 적은 사람들이 정서 표현을 많이 하는 사람들에 비해 책임감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상황에서 직무 탈진을 많이 경험하였고, 정서 표현 갈등을 적게 경험하는 사람들이 정서 표현 갈등을 많이 경험하는 사람들에 비해 역할 모호성 스트레스 상황에서, 부정적 감정조절을 잘 하는 사람들은 잘 조절하지 못하는 사람들에 비해 역할 경계 스트레스가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추구를 많이 하는 집단은 적게 하는 집단에 비해 역할 과부하를 경험하는 상황에서 직무 탈진을 적게 경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업이 획일적인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 보다는 각각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찾고 그에 맞는 개인적 자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직무 탈진을 예방하고 업무 생산성을 증가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job stressors, and moreover examine emotional effect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s a moderator. In this study, the job stressors were defined as six sub-factors which were role overload, role insufficiency, role ambiguity, role boundary, responsibi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The emotions were defined as four sub-factors which were mood awareness, emotion expression, conflict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were defined as three sub-factors which were social support seeking, problem solving and avoidance. The study was surveyed on 501 randomly chosen employees form 8 different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job stressors that were affecting job burnout were role insufficiency, role overload and role boundary. The employees with low levels of emotional expression had higher burnout scores with their high responsibilities, but the employees with high level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had lower burnout scores with high ambiguity of their roles. The high levels of negative mood regulation reported less job burnout in their role boundary, and the high levels of social support seeking group reported less job burnout in their high role overloa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조직구조가 직무탈진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용센터의 일선관료들을 중심으로

        임이랑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올해 초, 150명의 사망자를 낸 독일 항공사 저먼윙스(German wings) 항공기의 추락사고가 '직무탈진감(번아웃증후군)'을 앓은 조종사와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직무탈진감이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 언론에서는 대한민국의 직장인 85%가 직무탈진감을 앓고 있음을 보도하면서 한국사회도 직무탈진감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했다. 최근에는 서울시청 공무원들의 잇따른 자살 원인이 직무탈진감 때문이었다는 유가족과 동료들의 진술이 나오면서 다시 한 번 직무탈진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직무탈진감이 사조직뿐만 아니라 공조직에서도 나타나고 있고, 공공조직이 갖는 조직구조의 특징이 직무탈진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 소속기관인 고용센터의 조직구조가 일선관료의 직무탈진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직구조와 직무탈진감 사이에 리더십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밝혀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기존의 복잡성(complexity), 공식성(formalization), 집권화(centralization) 세 가지의 조직구조의 기본변수들을 바탕로 업무부담인식, 재량권, 의사결정 참여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직무탈진감이다. 조절변수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변혁적리더십을 외부적리더십과 내부적리더십으로 설정하였다. 기존의 공조직 선행연구 대상들과 달리 이 연구에서는 86개의 고용노동부 소속기관 전국 고용센터 팀장이하 일반직원(팀장 미포함)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고용센터 직원들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데이터들을 SPSS프로그램을 통해 회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업무부담인식은 직무탈진감과 정(+)의 관계있으며, 재량권은 직무탈진감과 부(-)의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하지만 의사결정참여도는 독립변수로서 직무탈진감과 정(+)의 관계에 있으나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외부적리더십의 조절효과에서는 업무부담인식과 직무탈진감 사이에서 외부적리더십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지 않았다. 반면에 의사결정참여도는 외부적리더십이 나타났을 때, 직무탈진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적리더십의 조절효과에서는 업무부담인식과 직무탈진감, 재량권과 직무탈진감 사이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탈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의 구조에서도 나타나며 직무탈진감에 대한 예방과 이를 위한 대처 방안이 조직의 구조적 측면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용환경과 이를 반영하는 고용정책을 수용하여 제공하는 과정에서 고용센터는 조직에 대한 분석과 구성원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이러한 조직의 상황은 점차 고용센터 조직원들의 직무탈진감을 높였다. 고용센터 일선관료들의 직무탈진감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부담인식을 해소하고 재량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직무분석을 통한 업무분장이 필요하다. 특정 직원이나 부서에 업무가 편중되는 현상을 개선하고 업무분장을 위한 명료한 절차와 이후 조직구성원들이 분장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립한다면 직무탈진감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외부적리더십과 내부적리더십의 조절효과는 일선관료의 의사결정참여도가 높은 상황에서 리더가 구성원들과 인간적인 유대관계를 맺고 친밀감과을 형성하는 것도 직무탈진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구성원들의 인간적 유대관계도 직무탈진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직무탈진감을 관리하는 데에 리더와 구성원들 간의 인간관계형성과 유지, 이를 위한 리더의 역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업무부담인식, 재량권, 의사결정참여도, 직무탈진감, 외부적리더십, 내부적리더십 학번: 2013-21910

      • 그릿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직무탈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치우진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2

        COVID-19 팬데믹 이후 중국의 의료 서비스 산업은 전례 없는 도전을 맞고 있다. 작업 강도와 스트레스가 계속 증가하면서 직무성과와 직무탈진이 조직과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그릿(흥미의 일치성 및 노력의 끈기)과 직무성과(작업성과 및 관계성과)에 대한 연구는 드물며, 직무탈진(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및 감소된 개인적 성취감)이 그릿과 직무성과 사이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중국 길림성 지역 의료 서비스 산업을 배경으로 위의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릿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직무탈진을 매개변수로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관련 이론을 탐구함으로써 본 연구는 그릿, 직무탈진, 직무성과의 정의를 내리며 선행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련 연구를 풍부하게 하여 의료 산업에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의미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문헌연구법, 설문조사법 및 실증분석법을 결합하여 연구 목표를 달성하였다. 설문 조사를 위해 2023년 6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중국 길림성 의료 산업의 의료 종사자를 대상으로 총 48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451부를 회수하였다. 실증 분석에서 변수의 측정과 관련된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이며 유용한 결과를 얻기 위해 14부의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나 일부 미응답 설문지를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437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유효 응답률은 90.48%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법 및 실증분석법을 결합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을 위해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였고, 데이터 통계 분석을 위해 SPSS26.0 및 AMOS26.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은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그릿과 직무성과의 영향력 검증 결과, 그릿은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둘째, 그릿과 작업성과의 영향력 검증 결과, 그릿은 작업성과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셋째, 그릿과 관계성과의 영향력 검증 결과, 그릿은 관계성과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넷째, 그릿과 직무탈진의 영향력 검증 결과, 그릿은 직무탈진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그릿과 정서적 소진의 영향력 검증 결과, 그릿은 정서적 소진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여섯째, 그릿과 비인격화의 영향력 검증 결과, 그릿은 비인격화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일곱째, 그릿과 감소된 개인적 성취감의 영향력 검증 결과, 그릿은 감소된 개인적 성취감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여덟째, 직무탈진과 직무성과의 영향력 검증 결과, 직무탈진은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아홉째, 직무탈진과 작업성과의 영향력 검증 결과, 직무탈진은 작업성과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열째, 직무탈진과 관계성과의 영향력 검증 결과, 직무탈진은 관계성과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열한째, 그릿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직무탈진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직무탈진은 그릿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나타났다. 열둘째, 그릿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정서적 소진은 그릿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나타났다. 열셋째, 그릿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비인격화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비인격화는 그릿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나타났다. 열넷째, 그릿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감소된 개인적 성취감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감소된 개인적 성취감은 그릿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의료 산업의 의료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릿이라는 성격 특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였으며, 직무탈진이 이 두 변수 사이의 영향 과정에서의 매개효과를 지닌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의료 종사자의 직무탈진과 직무성과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그릿이라는 성격 특성이 개인의 행동 및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확장하였다. 이로써 중국 및 외국 의료 시스템이 의료 종사자의 직무탈진을 줄이고,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가설 분석 및 모델 검증을 통해 그릿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직무탈진이 그 중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밝혔다. 특히, 사람들이 잘 알고 있지만 동시에 생소한 성격 특성과 그것이 성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화하여 선행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기여하였다. 셋째,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가 밝힌 영향 경로와 작용 관계는 다양한 조직의 관리자들이 성격 특성의 영향을 더 잘 이해하고, 조직구성원의 행동을 예측하며, 직무탈진을 완화하고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더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는 데에 유용한 시사점과 제안을 제공한다. 넷째, 그릿을 지닌 개인은 역경에 더 잘 대처하고, 새로운 방법과 경로를 발견하며, 사건의 발전 방향을 바꾸고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릿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지속적으로 키워나갈 수 있다. 의료 산업의 관리자들은 효과적인 조치를 통해 의료 종사자들의 그릿을 크게 강화하고, 스트레스 저항력 및 좌절 회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산업 종사자들은 좌절 상황에서 긍정적인 행동을 보이는 개인을 적시에 발견하고, 그들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을 칭찬하고 인정해주며, 정방향의 격려를 통해, 그들이 미래에 좌절 상황이나 직무탈진 상황이 발생할 때도 포기하지 않고 이를 극복하려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 호텔 종사원의 조직갈등이 직무탈진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진선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호텔 기업은 종사원의 고객 접객 서비스 수준에 따라 상품판매의 양과 질을 결정하는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적서비스가 다른 업종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호텔 기업의 질적 성장을 위하여 종사원의 조직갈등을 관리하는 일은 경영성과 및 조직유효성,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영향이 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호텔 종업원들이 지각하는 조직갈등을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으로 분류하여 그 정의를 내리고, 또한 이러한 조직갈등이 직무탈진 및 일탈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갈등이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탈진이 매개변수로서 매개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문헌연구조사와 실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의 흐름도와 연구 과제를 설정한 후 실증분석을 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활용하였고, 조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특1급 호텔 3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13일부터 10월 27일까지 약 2주간에 걸쳐 시행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350부를 배포하여 331명이 응답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지 18부를 제외한 313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Ver. 17.0을 이용하여 데이터 코딩을 거쳐, 연구 개념들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가설검증을 위해서 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단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결과 조직 갈등, 직무탈진, 일탈행동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조직갈등은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2개의 요인 구성되었고, 직무탈진은 3개 요인으로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가, 일탈행동은 단일차원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조직 갈등은 직무탈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을 분석한 결과 조직갈등의 분류인 과업갈등이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관계갈등은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직무탈진이 일탈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논문의 독창성을 시사 할수 있는 가설2를 분석한 결과 직무탈진의 분류인 정서적 고갈을 제외한 비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가설2 또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넷째, 조직 갈등이 일탈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을 분석한 결과 관계갈등에 한해서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3도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다섯째, 조직갈등과 일탈행동 간 직무탈진은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4의 검증결과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4는 채택 되었다. 본 연구결과, 호텔 내 조직갈등이 부정적 정서감인 직무탈진과 조직성과향상과 관련되어지는 일탈행동에 각기 나름의 영향을 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조직갈등이 사전에 예방될 수 있도록 호텔경영자가 종사원들의 감정적 스트레스 발산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조직성과향상에 유용한 정보임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organizational conflict perceived by hotel employees into task conflicts and relationship conflicts and define the concepts, and to examine how organizational conflict affects hotel employees’ job burnout and deviant behavior and what mediating role job burnout plays as a medi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nflict and deviant behavior. For these purposes,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a positiv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flow and research tasks were set and positive analyses were conducted.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and the participants were sampled from employees working at one of three super deluxe hotels in Seoul. The period of survey was about two weeks from the 13th to 27th of October, 2014.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331 of them were recovered, 18 of them were excluded for inadequate answers, and 313 questionnaires were used as valid data for positive analyses. Collected data were coded using SPSS Ver. 17.0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search concepts were tes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search units, reliability for organizational conflict, job burnout, and deviant behavior was high. In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rganizational conflict was found to consist of two factors, namely,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job burnout was of three factor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 accomplishment. Deviant behavior was found to be a single‐level factor.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Hypothesis 1 “Organizational conflic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burnout,” task conflict as a type of organizational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 accomplishment, and relationship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That is,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Hypothesis 2 “Job burnou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deviant behavior,” which is a distinctiveness of this study, among the sub‐factors of job burnout,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 accomplishment had a positive effect but emotional exhaustion did not. That is, Hypothesis 2 was also partially adopted.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Hypothesis 3 “Organizational conflic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deviant behavior,” only relationship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Thus, Hypothesis 3 was also partially adopted.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Hypothesis 4 “Job burnout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nflict and deviant behavior,” job burnou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refore, Hypothesis 4 was adop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organizational conflict in hotels is in an effect relationship with job burnout as a negative emotion and with deviant behavior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hotel managers provide a systematic program for their employees to release emotional stress, it will be useful for preventing organizational conflicts and enhanc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 공무원의 직무요구, 자원이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이민구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본 연구는 공무원들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직무탈진(소진, 냉소)과 직무열의(활력, 헌신,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핵심자기평가가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청에 근무하는 4급 이하의 모든 공무원(N=236)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목적과 가설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구는 직무탈진의 하위요인인 소진, 냉소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원인 직무특성은 직무열의의 하위요인인 활력, 헌신, 몰입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 효과 검증에서는 직무요구와 직무탈진의 관계를 핵심자기평가가 완충(Buffer)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원과 직무열의의 관계는 핵심자기평가가 증진(Enhance)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관계모두에서 핵심자기평가는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 점과 향후 연구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