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멀티마스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서 rsync 알고리즘을 이용한 효율적인 동기화 기법
박정수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최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서비스 부하 처리에 대한 수요 증가로 모든 노드가 동시에 읽고 쓰기가 가능한 멀티마스터(Active-Active 형) 데이터베이스로 전환하고 있다. 이에 많은 상용 소프트웨어에서는 Scale-up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 재해, 파업, 테러 등 불가항력적인 사고로 서비스수준협약(SLA:Service Level Agreement)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상용 소프트웨어는 높은 라이선스 비용으로 투자대비효과(ROI:Return On Investment)가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수평적으로 확장 가능하고 서비스수준협약을 보장하는 Scale-out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마스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환경에서 보다 빠른 복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FA-Rsync을 제안한다. FA-rsync은 rsync을 이용하여 충분히 보장 받는 네트워크 대역폭에서는 Quicklz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제한된 네트워크 대역폭에서는 zlib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오픈소스 멀티마스터 데이터베이스인 갈레라 클러스터(Galera Cluster)를 구축하여 기존의 rsync와 제안하는 FA-rsync 비교 테스트 하였다. 테스트 분석 결과 FA-rsync을 사용하면 기존의 rsync에 비해 초기 복제 시 30%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Recently increasing real-time processing demands for service changes database, Multi-Master(Active-Active) which is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for all nodes. Thus a lot of commercial software provides scale-up service. However, it is unable to guarantee the Service Level Agreement(SLA) under force majeure like natural disasters, strikes, terror and so on. In addition, the high licensing costs of commercial software ROI (ROI) is being lowered. Therefore, the scale-out database program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SLA and to enlarge nodes horizontally by utilizing the open source software. This paper proposes FA-Rsync to provide much faster replication service in multi-master database system environment. FA-rsync uses Quicklz compression algorithm by utilization of existing rsyc in a sufficient ensured bandwidth network and it uses zlib algorithm in a limited bandwidth network. Also, in this paper the comparison test is performed between existing rsync and suggesting FA-rsync by establishing the open-source multi master data base, Galera Cluster. As the result of the test analysis, using FA-rsync increases 30% more efficiency improvement than existing rsync.
통합창원시 구별 미분양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성산구, 의창구, 마산회원구, 마산합포구, 진해구를 중심으로
국문요약 통합창원시 구별 미분양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성산구, 의창구, 마산회원구, 마산합포구, 진해구를 중심으로 - 부동산대학원 박정수 지도교수 정상철 본 연구는 2011년 1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의 통합창원시 5개 구별, 즉 성산구, 의창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진해구의 아파트 미분양이 매매가격, 전세가격, 건축인허가, 아파트거래량, 생애주기가설, 회사채수익률, 창원실업률 등이 미분양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효과모형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1단계 하우즈만 검증, 2단계 모형선택, 3단계 고정효과모형을 통해 전체 기간과 2016년 이전, 2016년 이후에 맞게 실증분석을 제시 하였다. 분석결과 아파트 매매가격이 높아질수록 미분양이 줄어들었고, 또한 30대 인구는 분양과 매매보다는 임대차를 선택하기에 미분양과 관련이 없어보였다. 하지만 40대, 50대의 인구가 증가할수록 미분양률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아파트 미분양의 다양한 변수 중 건축인허가량은 허가를 받은 후 착공에서 준공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져 건축인허가 당시 수요량과 공급이 되는 시점의 수요량이 불일치하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컨대 통합창원시 자료에 의하면, 2011년~2013년 사이 집중적으로 건축인허가량이 많았다. 기존에 있던 미분양량에 설상가상으로 허가받았던 아파트 물량이 2016년에 공급을 시작하여 미분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2016년 이전 창원시의 미분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매매가격과 건축인허가, 아파트거래량, 40대 인구, 회사채수익률, 창원실업률 등을 들 수 있었다. 2016년 이전에는 저금리인 시기이기 때문에 금리가 높아지더라도 미분양이 감소되었다. 즉, 금리와 상관없이 수요가 증가함으로써 미분양이 감소하였지만, 2016년 이후에는 미분양에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특성으로 매매가격과 건축인허가, 아파트거래량을 들 수 있으며, 인구특성으로는 나이 30대 인구, 나이 50대 인구를 들 수 있으며, 거시경제 특성으로 회사채수익률을 들 수 있다. 2016년 이후는 건축인허가량이 감소하더라도 기존에 허가받았던 아파트들이 공급이 되는 시기가 되었기에 미분양이 증가 하였다. 또한, 경기침체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 2016년, 2017년 지속적으로 금리가 상승하면서 미분양이 증가하였고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으로 인해 각종 부동산 대책이 수립되면서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중과 등 세금적인 측면과 DTI・LTV강화 및 DSR의 적용으로 대출억제까지 강력한 수요억제정책이 시행되었다. 또한, 우리나라는 선분양 제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선분양 제도의 문제점은 분양 후 건축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리기에 그 기간 중 경제침체로 인한 구매력의 부재로 인한 것과 실질소득 감소에 따른 구매력 저하로 인해 수요감소와 과잉공급에 의한 공급증가에 의한 주택수급의 불균형을 들 수 있다. 특히, 통합 창원시 주택건설인허가실적의 영향이 2016년 이전보다 이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원시의 미분양률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큰 원인이 바로 주택인허가 실적으로 볼 수 있다. 즉 한꺼번에 공급이 봇물처럼 터져 나오면서 공급초과현상을 통합 창원시 뿐만 아니라 경남 각종지역과 부산광역시 등 각 지역에도 공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통제된 수요층에 비해 과도한 물량이 공급됨으로써 현재의 미분양 문제가 초래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미분양, 수요와 공급 상황, 가격적 측면, 등 경제상황이 2016년 이전과 2016년 이후로 구분하여 연구되었다. 따라서 이 두 시기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은 기존 타 연구와는 차별성이 있는 본연구만의 특징이라 하겠다.
PartⅠ Oral drug delivery system Solid dispersions of poorly water-soluble drug, sibutramine, were prepared with hydrophilic polymer, poly-N-vinylpyrrolidone (PVP),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PMC) and organic acid, citric acid, to improve the solubility of drug. Physicochemical variation and shape of microsphere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Microspheres containing additives showed more spherical shape than non additive microspheres. In vitro release behavior of microspheres presented at simulated gastric fluid (pH 1.2) and simulated intestinal fluid (pH 6.8). The solid dispersion form transformed the drug into an amorphous state and dramatically improved its dissolution rat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solid dispersion technique is an effective approach for developing the appetite depressant drug products and various pharmaceutical excipients are able to control the release behaviors. Part Ⅱ Local drug delivery system The PLGA microspheres can create an enviroment conductive to promising candidate as an injectable system for tissue engineered ap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emulsion formation and cell adhesion on the microsphere surface. BSA-loaded PLGA microsphere was fabricated using oil-in-water (O/W) and water-in-oil-in-water (W/O/W) solvent evaporation method. Also, sodium alginate was dissolved in water phase for the initial burst control and the lag time improvement caused by PLGA degradation. Morphology of cell attached on the microspheres was studi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Cellular proliferation behavior of the human disc cell cultivated with the PLGA microspheres was analyzed using MTT assay. MTT assay revealed that the cells could be attach and proliferate on the PLGA microsphere surface. In this results, BSA-loaded alginate/PLGA microspheres will be used as the injectable system for tissue engineered application. Part III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TDDS) was drug delivery system that could control drug permeation rate to target organ in accordance with body circulation. This TDDS had many advantage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oral and IV injection doses. In spite of advantages in TDDS, commercialized drugs such as nitroglycerin for the treatment of angina pectoris, clonidine for hypertension treatment, fentanly for pain management, estradiol-alone or in combination with norethindrone acetate-for the relief of osteoporosis, nicotine as an aid in smoking cessation, and testosterone for the treatment of hypogonadism are just a few. The low drug permeability of the outermost layer of skin, of due to barrier of stratum corneum, was the important reason. Thus, many researches made progress for enhanced drug permeation rate. As a result, the methods using chemical/lipid enhancer, iontophoresis and electrophoresis, ultrasonic or sonophoresis effect were developed. In spite of different mechanism, these methods made enough largely hole to pass in stratum corneum. We designed plane crown/triangle type microneedle system and roll type microneedle system with continuously processing for macromolecular drugs such as vaccine and protein into the body percutaneously. The roll type microneedle system was consisted of 3360 micro-needles and diameter of roll; 1.43 cm. Each needles consisted of width; 2.8 cm, height; 230 um. The plane triangle type microneedle system was consisted of 168 micro-needles and height of each needle was 588 um in area of 2.5 cm x 2.5 cm. The plane crown type microneedle system was consisted of 121 holes in area of 2.5 cm x 2.5 cm, each holes consisted 10 micro-needles and height of each needle was 250 um. We tried to conjugate bufexamac and FITC for calculation of penetration rate of bufexamac, bufexamac linked FITC was made hydrogel and applied on the treated skin surface. Fluorescent spectrophotometer was used to confirm the concentration of FITC linked bufexamac and microscope using fluorescent filter was used to capture the image about location of FITC linked bufexamac in the skin. In the results, we confirmed that permeation rate of bufexamac was increased in the treated skin group by microneedle and was increased by the increasing number treatment of microneedle.
박정수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오늘의 청소년들은 여러 가지 점에서 위기를 경험하며 불안과 초조가운데 인생의 항해를 계속하고 있다. 이들을 향하여 기성세대는 끊임없는 관심과 사랑과 관용과 애정을 기울여야 한다. 흔히들 청소년기를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비유하기도 한다. 청소년들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 특성에 비추어 보면 이 시기는 분명히 반항과 불만 그리고 충동적 행동이 가득한 부정적인 시기로 보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그러나 이 시기가 문제투성이의 시기만은 아니다. 청소년 시기는 이미 만들어진 기성품이기보다는 만들어져 가고 있는 미완성품의 시기란 점에서 오히려 숨겨진 잠재력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희망적인 시기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청소년 문제가 급속히 사회적인 문제로 발생하면서 국가에서는 짧은 기간 동안 청소년 문제를 해결해 왔으나 국가에서 시행하고 지원하고 있는 것만으로는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피상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감을 지울 수 없다. 우리는 단지 그동안 비행청소년이니 문제 학생이니 하는 식의 청소년의 위기상황만을 언급하며 안이하게 대처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우리말에‘전화위복’이라는 말이 있듯이 그러나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도 위기는 오히려 성장을 위한 기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종교의식이 발달하고 기존의 신앙생활에 대한 회의와 불신이 나타나는, 이들에게 능동적 회의를 갖게 함으로써 통합적인 인격체로 성숙한 신앙으로 인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들에게 창조주 하나님께서 고유한 독립적인 인격체로 창조한 것을 알아 가도록 가르쳐야 한다. 무엇보다 예수 그리스도의 용납과 인정을 근거로 저들에게 접근해야 하겠다. 교회는 저들을 온전한 신앙에로 인도할 수 있는 신앙공동체이며, 그들의 미래이기도 하지만 현재도 하나님의 백성이요, 교회의 중요한 일원이라고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회는 청소년들에게 교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의식과 더불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이 있다는 점을 강조해 줌으로써 교회 청소년들에 대한 기대, 평가, 인정을 높여야 한다. 교회는 청소년 문화 형성을 영성훈련이나 교회 공부와 더불어 청소년의 욕구와 충동을 충분히 발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오늘날 청소년의 위기 상황은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상태이다. 청소년들의 삶의 특성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목회학적 상담자로는 요구된다. 또한 청소년들의 문제에 대한 구체적이고 면밀한 조사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들의 문제가 아무리 심각하고 어렵다고 할지라도 목회학적 상담을 통해 청소년들을 어떤 틀에 맞추려고 하기보다는 복음의 능력 안에서 그들이 변화되고 성숙할 수 있다는 확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자기 평가의 많은 부분은 또래들 사이의 관계와 이성의 평가에 의해서 형성된다. 자신이 한 집단의 일원이며 다른 성원들로부터 필요한 존재라고 인정을 받고 있을 때에 안전감과 행복감을 가지게 된다.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소심한 반응과 신경질적인 움츠림, 그리고 고립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위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교회는 긍정적으로 대처해 나가고 성장하며 자기상을 형성시킬 수도 있도록 긍정적이고 상호 인격적인 교역의 역할을 해야만 한다. 하나님의 교역은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없이는 수행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상담하고자 하는 자는 상담기술 연마로서는 부족하고 신학의 지식을 충분히 배워 성경적인 기초와 신학적인 이해 그리고 교회 역사의 맥락을 이해하는 바탕 위에서 상담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청소년 목회학적 상담은 서로간의 신뢰가 있어야만 하며, 건전한 사랑을 주고받음으로 청소년의 마비된 힘을 회복시켜 주고, 하나님의 사랑이 헌신으로서 경험되는 교회 공동체가 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청소년들로 하여금 교회나 새로운 변화를 갈망하는 사회 속에서 새로움을 창조하는 변화의 주체 자가 되도록 도울 수 있는 기능을 한다고 확신한다. 교회는 청소년들에 대하여 긍정적이고도 적극적인 태도와 자세로 그들을 이해하는데 노력해야 하며, 그들이 교회 생활을 구심점으로 모든 삶을 엮어 갈 수 있는 목회적인 뒷받침을 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청소년 문제는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가정과 기독교가 함께 맡아서 해결해야할 문제임을 인식하고 성경적 상담을 통해 일차적으로 예수님을 영접하여 구원의 확신을 얻게 하고, 후로 교회의 목회자들이 상담자가 되어 청소년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한의학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량적 증례기록서 개발을 위한 연구 : 월경통 통증평가지표
연구의 필요성: 최근 의학의 경향은 근거중심의학이다. 근거중심의학은 의학적 판단은 항상 근거에 기반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근거 중심 의학에서 높은 수준의 근거는 임상시험이나 메타 분석으로 도출된 근거이다. 하지만 맞춤 의학인 한의학의 특성 상 대규모 임상시험은 이루어지기 힘들다. 대부분의 임상 진료가 한의원에서 이루어지므로, 의원급의 한의원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정량적인 증례기록서를 개발한다면 추후 한의학의 근거 마련에 밑바탕이 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가임기 여성에서 유병률이 높고 한의학 치료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월경통을 목표 질환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표: 의원급의 한의원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정량적인 월경통 평가지표를 포함하는 증례기록서를 제안하는 것이 목표이다. 연구 방법: OASIS, KISS,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월경통 임상 연구 논문에서 쓰인 평가지표를 검색하였다. ISRCTN, clinicaltrials.gov에서 과거와 현재 진행되었거나 진행될 예정인 월경통 관련 임상시험을 검색하였다. 이후 자주 쓰이는 평가지표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임상시험 검색 결과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지표는 Visual Analogue Scale(VAS)와 MVRS, 진통제의 복용 정도와 활동 제한의 정도 등이다. 결론: 환자의 정보를 기록할 때에는 매 방문일 마다 전체적인 통증과 통증이 가장 심했을 때의 VAS값, MVRS, 진통제의 복용 정도 등을 기록한다. 한약은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기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월경 2주기 이상 치료 기간을 선정하기를 권한다. Purpose: Oriental Medicine has thousands years of history. But this era, every medical decision should b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at is evidence-based medicine(EBM). This study is to suggest quantitative case report form for dysmenorrhea that can be easily used in clinics. Methods: First, to search published papers in Korea and overseas, OASIS, KISS and NCBI(pubmed) database. Second, to search clinical trials in clinical trial register website, ISRCTN and clinicaltrials.gov. Results and Conclusion: The main scales for dysmenorrhea are Visual Analogue Scale(VAS), MVRS, pain-killer intake amount and restriction of daily life activities. So the CRF in appendix, these scales were all included. It should be recorded all visits. To measure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more than 2 menstrual cycle is recommended.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모델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문 요약 빅데이타 분석을 통한 수입축산물 공급사슬 자금조달모델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 정 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IT미디어융합전공 지도교수 박 재 천 우리나라 축산물 자급률은 2016년 기준하여 쇠고기 37.7%, 돼지고기 73.5%, 닭고기 77.7% 이다. 부족한 부분을 수입축산물이 충당하고 있는데,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쇠고기의 수입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축산물 수입에는 비교적 큰 자금이 필요하며,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고 운영할 것인가가 본 연구의 관심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입축산물 시장의 자금조달 모형을 다양한 방법과 시장의 해석, 그리고 빅데이터적 관점에서 사업경영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설명하였다. 우리나라는 2001년 쇠고기 수입이 자유화되면서 수입축산물 시장이 발전되어 왔다. 그 후 약 16년 동안 수많은 사건과 갈등조정을 거치며 하나의 경제적 시장단위로 성장한 것이다. 축산물 자체가 매일 우리 식탁에 올라 소비되는 매우 중요한 식자재이므로 국내산 축산물과 함께 수입축산물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축산물에 대한 일반적인 수요모형 연구가 많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을 통해 축산물시장수요는 역수요모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농수축산물 가격은 일정한 생산원가가 투입되어도 소비시장의 수요가 강하지 않으면 폭락하기도 하고, 반대로 수요가 강하면 가격이 폭등하기도 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수요특성을 역수요라고 하며 일정기간 내에 공급된 공급량은 반드시 소비되어야 하므로 가격조정이 일어난다. 수입축산물 도매시장은 주식시장과 유사한 점이 많다. 어떤 품목을 구매해야 수익이 날 것인가 예측하고 매입에 나서는 것은 우리가 주식시장에서 수익이 날 종목을 선택하기 위해 모든 정보를 동원하고 판단을 하는 행위와 동일하다. 단지 주식과 축산물을 제약조건이 다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식시장의 주식투자 알고리즘을 수입축산물 투자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수입축산물 투자의 제약조건들에 대해 검토하고, 도매시장투자의 투자모형과 수입오퍼시장의 투자모형을 만들어 실제 적용하였다. 수입축산물 시장참여자들은 온건 투자자도 있지만 많은 투자자가 투기적 특성을 보인다. 이 사업의 가장 핵심은 구매이다. 구매는 도매시장에서의 구매와 오퍼시장에서의 선물구매이다. 시장참여자는 구매력, 구매권을 유지하기 위해 구매행위를 계속하게 되고 두 시장에서 구매행위를 계속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자금을 조달해야하는 상황에 들어가게 된다. 이는 오퍼시장에서 계속 오퍼정보를 받을 수 있는 권리와 기회의 획득인 동시에 큰 손실을 볼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 부분에서 수입자는 구매에 대한 딜레마에 빠지게 되고 자금은 계속 필요하게 된다.
박물관 수장고 내부 마감재의 조습성능에 관한 연구 : 천연목재와 인공조습재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정수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인류의 문화유산은 선조로부터 현재의 우리에게 전해진 문화적인 유산인 동시에 과거에서 현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남기고 전해야 할 귀중한 인류의 메세지이다. 그것은 단순히 선조의 문화를 알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인류의 미래를 창조하는 밑거름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문화재를 보존하고 이것을 가치 있게 활용하는 것은 바로 새로운 문화 창조의 힘을 키우는 것이다. 이처럼 소중한 문화유산을 잘 보존하여 후대에 온전히 물려주기 위해서는 보존과학에 기초한 보존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문화유산은 여러 가지 손상 및 도난 등의 유해요인들로부터 안전하게 보존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박물관․미술관 등의 특수한 보존시설에 해당하는 수장고(收藏庫)라는 보존환경이 구축된 장소에서 전시 등을 위한 이동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러나 시설의 양적인 측면의 증가와 전시실 등 눈에 보이는 시설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지만, 정작 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수장시설(收藏施設)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미흡한 실정이다. 유물의 보존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습도조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습재료(調濕材料)의 사용과 관련하여 천연재료와 인공재료의 흡․방습력(吸․放濕力) 및 습도변동에 대한 반응속도의 정도 등 조습 성능 및 특성에 관한 명확한 데이터의 구축이 미흡하여 조습재료의 선택에 있어서 과학적인 방법이 아닌 경험에 의한 선택으로 인류문화유산의 보존에 있어 문제점의 소지를 안고 있으며, 조습성능의 입증에 있어서도 다소의 왜곡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수장고 내부 마감재로 사용되는 조습재료의 조습성능에 대하여 유물의 안전한 보존환경 구축에 초점을 두어 연구가 진행되었다.첫 번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박물관 수장고의 근본적인 의미를 분석하였고, 특수한 건축물로서 수장고의 요구성능 및 보존환경 조건을 기술하였다. 수장고의 기본개념과 더불어 우리 선조의 전통적 보존시설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조습재료의 의미에 대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정의하였으며, 수장고용 조습재료에 대한 필요성 및 조습성․친환경성․항균성․항충성 등 구비조건을 분명히 하였고, 국내 및 해외 적용사례를 조사하였다. 수장고용 조습재료의 종류별 특성 및 장․단점을 분석하여 재료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세 번째, 수장고용 조습재료의 조습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합리적 실험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 우선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하여 기존 실험방법을 분석하고, 흡습범위(30%)와 방습범위(20%)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흡․방습실험 결과의 편차에 대한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흡습실험을 위한 고습범위(30%)와 방습실험을 위한 저습범위(30%)가 동일한 실험방법을 모델링하였다.네 번째, 본 실험방법에 의하여 재료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여 재료별 흡습 및 방습량 값을 측정하여, 재료 상호간 흡․방습력 및 반응속도 등 조습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여 조습재료의 선택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실험 시료는 최근 박물관 수장고에 조습성 마감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완제품으로 하였다. 실험결과는, 수장고에서 설정습도보다 상하(上下)로의 습도변동에 대한 습도조절은 최대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수장품의 보존환경에 있어서 최대 관건이므로 단기인 24시간을 기준으로 흡습능력(吸濕能力)이 큰 순서로 보면 무기질계조습패널A(#2), 무기질계조습패널B(#3), 목질계조습패널(#1), 삼나무A(#6), 무기질계조습패널C(#4), 중밀도섬유판(#8), 삼나무B(#7), 오동나무(#5), 석고보드(#9) 순으로 나타났으며, 방습능력(放濕能力)이 큰 순서로 보면 목질계조습패널(#1), 삼나무A(#6), 무기질계조습패널A(#2), 삼나무B(#7), 중밀도섬유판(#8), 오동나무(#5), 무기질계조습패널C(#4), 무기질계조습패널B(#3), 석고보드(#9) 순으로 나타났다. 단기 24시간 경과를 기준으로 볼 때, 목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목재, 목질계조습패널, 중밀도섬유판(M.D.F.)은 설정습도(55%RH)보다 고습(85%RH)으로의 변동에 대한 흡습과 저습(25%RH)으로의 변동에 대한 방습에서 그 값이 비슷한 안정된 흡․방습 특성을 나타냈으나, 인공조습재료인 무기질계조습패널 종류는 설정습도(55%RH)보다 고습(85%RH)으로 변동 시 흡습량은 우수하나, 설정습도(55%RH)보다 저습(25%RH)으로 변동 시 방습량은 흡습량보다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나, 흡습능(吸濕能)은 좋으나, 방습능(放濕能)이 저조한 불안정한 특성을 보였다.박물관과 같이 보존환경이 필요한 시설에서의 수장고가 가지는 의미와 역할은 매우 중대하다. 수장고의 보존환경 최적화라는 명제에서 볼 때 급격한 습도변동에 대하여 조습재료에 의한 자율적인 습도조절은 매우 큰 의미가 있으며, 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 측면에서도 이 시대의 건축의 목표인 친환경건축에 부합하는 것이기도 하다. 유해요인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존되어야 하는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수장고는 경험적인 이해보다는 수장품의 입장과 보존과학적 견지에서 계획되고, 건축되며, 관리되어야 한다.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은 앞선 세대에서, 현 세대를 거쳐, 다음 세대에 계승하여야 할 물적 대상 이상의 의미로서, 후세들이 길이 간직하여야 할 선조들의 찬란한 정신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The cultural assets of mankind are the cultural heritages handed down to us living today and at the same time the valuable messages of mankind succeeded from past to present, and from present to future. They are not just the materials about our ancestors'' culture but base manures for creating of mankind''s future. It is, therefore, required to preserve our cultural assets and use them effectively to nurture the for creation of new culture. In order to preserve such valuable cultural assets well and hand down them to our offsprings,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preserve them based on conservation science.Cultural assets remain most of time in the spaces with a special preservation environment called ''collection storage'' except when they need to be moved for exhibition, if they should be kept safely from various damages, theft or other harmful factors. It is required to use the effective humidity control materials to solve the most important problem or humidity control for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Nevertheless, humidity absorption and discharge performances and properties of natural and artificial materials have not well been documented, and thus, humidity control materials are selected according to experiences, not scientific theories, exposing the valuable cultural assets of mankind to the risk of damages. Moreover, constructors seem to be more or less miss-informed of performances of these materials.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humidity control performances of some finish materials for insides of collection storage and constructing a safe environment for safe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First,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analyze the fundamental implications of museum collection storages and describe the performances and environment required of the collection storages as special buildings. Then, basic concepts of collection storage were examined and then, our ancestors'' conceptions of the traditional preservation facilities were reviewed.Second, th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understand what the humidity control materials mean, and thereby, determine such requisites for humidity control materials as moisture control,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ti-bacteria property and anti-insect property, and thereupon, survey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applying them. Then, features and advantagesdisadvantages of each humidity control material for collection storage were analyzed to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material.Third, in order to suggest a reasonable test model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humidity control materials for collection storag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thereupon,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ventional test method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eviations among humidity control tests due to different scopes of moisture absorption (30%) and discharge (20%), a test method with two scopes same (30%) was used for its modelling.Fourth, the modelled test method was used to test the materials and measure their moisture absorption and discharge capacity and then, compare the materials in terms of moisture absorption performance, moisture discharge performance and response time to provide for some basic data for selection of optimal humidity control materials for collection storage.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key in a collection preservation environment is to control the humidity as quickly as possible against rise and fall humidity variations rather than set an ideal humidity level. When the moisture absorption performances of materials were tested for 24 hours, the highest moisture absorbing material was inorganic material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A (#2), followed by inorganic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B (#3), timber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1), cedar A (#6), inorganic material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C (#4), mid-density fiber board (#8), cedar B (#7), paulownia tree (#5) and gypsum board (#9) in their order.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moisture discharge material was timber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1), followed by cedar A (#6), inorganic material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A (#2), cedar B (#7), mid-density fiber board (#8), paulownia tree (#5), inorganic material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C (#4), inorganic material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B (#3) and gypsum board (#9) in their order. In terms of 24-hour performance, natural timber, timber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and mid-density fiber board (M.D.F) were found to have similar stable performances of absorbing the moisture varying towards high level of humidity (85%RH) or lower one (25%RH) rather than maintaining a pre-set humidity level (55%RH). In contrast, such artificial humidity control materials as inorganic family humidity control panel had a high performance of absorbing the moisture varying towards a high level of humidity (85%RH) rather than maintaining a pre-set humidity (55%RH), but had a far lower performance of discharging the moisture varying towards a lower level of humidity (25%RH) than a pre-set level (55%RH). In a nut-shell, these artificial materials are good at absorbing moisture but unstably poor at discharging moisture.Functions and roles of collection storage are very important to preserve the cultural assets for museums. If it is urgent to optimize the environment for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it is very significant to allow the materials to control the humidity autonomously against the rapidly changing humidity levels as well as meet the goals of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 or energy saving. The collection storage intended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cultural assets required to be kept safely from harmful factors should be planned, constructed and managed for scientific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rather than according to experiences. The invaluable cultural assets of mankind are more than just historic remains and therefore, are inheri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amely, they harbor our ancestors'' brilliant spirit kept by us and our offsprings.
남녀의 유산소성과 저항성 운동 순서가 EPOC, RER 및 대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박정수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남녀의 유산소성과 저항성 운동실시순서에 따른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과 호흡교환율 및 대사적 변인을 비교함으로써 남성과 여성 각각의 효율적인 운동순서를 제시하는데 있다. 실험 참여 대상자는 인천시내의 I대학교 대학생 남성과 여성 각각 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는 네가지 운동형태인 유산소성 운동(A), 저항성 운동(R), 유산소성 운동 후 저항성 운동(AR), 저항성 운동 후 유산소성 운동(RA)을 무선할당하여 실시하였다. 유산소성 운동은 25분간 65% VO₂_(max)의 강도에서 실시되었으며, 5분 간격으로 산소섭취량(ml/kg/min), 심박수(HR), 운동자각도(RPE), 호흡교환율(RER)을 측정하였고, 저항성 운동은 벤치프레스, 스쿼트, 랫풀다운, 레그컬, 암컬, 트라이셉스이스텐션, 숄더 프레스의 7가지 운동을 10회 3세트, 105초의 휴식시간으로 서키트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마지막 HR과 RPE를 측정하였다. 또한 혼합운동은 5분간의 휴식시간을 둔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운동 후 반응으로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EPOC), RER을 측정하였고, 혈액변인으로는 FFA, Glucose, 말초와 정맥의 젖산, Hct, 그리고 기타변인으로는 체온,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등을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RA의 유산소성 운동중의 VO₂, HR, RPE는 A와 AR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RER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시기에 따른 VO₂, HR, RPE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고, 남성의 RER은 AR에서는 초기에 증가하였다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RA에서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AR과 RA의 RER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R 운동 후 HR과 RPE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AR 운동이 R 운동과 RA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EPOC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혼합운동에서는 RA 운동이 AR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단일 운동에서는 R 운동이 A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RER은 남성의 경우 복합운동에서 RA 운동이 AR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단일 운동에서는 A 운동이 R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여성에 있어서는 복합운동에서 남성과 다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혈중의 FFA의 경우 혼합운동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 RA 운동이 AR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단일 운동에서는 A 운동이 R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운동에 따른 기타반응에서 체온반응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혼합운동에서는 RA 운동이 AR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단일운동에서는 A 운동이 R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운동에 따른 혈압반응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 복합운동에서 RA 운동이 AR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단일 운동에서는 R 운동이 A 운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RA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칼로리 소비적인 측면에서는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지방산화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나 RA 운동은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는 보다 깊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 of sequence on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in males and females by comparing excess post-exercise oxidation consumption, respiratory exchange ratio and metabolic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experiment were 8 male and 8 female participants from Inha University in In-cheon. And they did randomed order of 4 type of exercises (Aerobic(A), Resistance(R), Aerobic-Resistance(AR), Resistance-Aerobic exercise(RA)). As the aerobic exercise, running on the treadmill was used 65% VO₂max during 25 minutes and measured oxidation consumption, heart rate(HR), rating of perceived exertion(RPE) and respiratory exchange ratio(RER) by 5 minutes interval. Resistance exercise involved 7 exercises (bench-press, squat, lat-pulldown, legcurl, armcurl, tricepsextension, shoulder-press) by circuit exercise(10 reps, 3 set, 105s rest). Heart rate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measured in last repetition of last set of each exercises. EPOC, RER, and blood variables(free fat acid(FFA), glucose, finger lactate, hematocrit) are measured 4 times(base line post exercise, 30min, 1hr). The other variables are temperatur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results are as flows; 1. Both of males and females, RA's oxidation consumption, heart rate, RPE were found higher comparing to AR. However, RER was not higher. And oxidation consumption, heart rate, and RPE were increased when time passed. But males's RER was increased in early stage and decreased and increased again. And post resistance exercise, RER was present tend to gradually increase. However, female's RER after AR and RA was tend to continuous increase. HR and RPE after resistance exercise of AR is higher than aerobic exercise after resistance exercise in both male and female. But it was not presented statistically different. 2. EPOC compare to mixed exercise AR and RA, EPOC of RA is higher than EPOC of AR. And single exercise A and R were R, which is higher than A. In the case of male participants, in post exercise, RER found higher in RA than in AR. And A was higher than R in single exercise. But female present different result comparing to male. However, in the case of FFA, in mixed exercise, RA exercise was found higher than AR exercise both in male and female and in single exercise, A exercise found higher than R excercise. And lactate was high after resistance exercise. 3. Temperature According to exercise order RA mixed exercise was higher than AR. and A was higher than R of Single exercise in both male and female. And blood pressure was RA high than AR in mixed exercise both gender. And R was higher than A in single exercise. To conclud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A is efficient in calories and fat oxidation. And blood pressure patient are careful when they do RA mixed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