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

        김미정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주목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의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이 어떤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절을 위해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을 높임으로써 보육교사의 질적인 능력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영유아에게 보다 안정감 있는 환경에서 전인적인 발달과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직장어린이집의 보육교사 426명으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 및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WIN 24.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공감능력에도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즉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더욱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더 많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사이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공감능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보육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안녕감 증진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공감능력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이는 보육교사가 전문성 발달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교사 스스로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작용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보육교사는 자신의 심리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함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보육교사의 질적인 능력과 전문성을 향상 시키므로 공감능력의 인식 수준을 높이고, 더 나아가 영유아에게는 보다 안정감 있는 환경에서 전인적인 발달과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he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oddlers, which are the main variables that affect the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The goal is to provide young childre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athy in a more stable environment, providing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control, so that they can improve the qualifications and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in a more stable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426 daycare teachers from public, corporate, private, workplace and home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using tools to measure work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empathy, and teacher-toddler interaction. SPSS WIN 24.0 and AMOS 24.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affects the quality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empathy abilit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athy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the more positive the job stress is. Third, th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athy abi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athy ability, the more positive interaction will appear. Fourth, psychological well-being was verifie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greates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ffects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ffects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the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hereas the empathy ability is appeared to have no effec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affects the job stress of teachers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And, although empath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it is thought that the childcare teacher's continued interes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teacher's efforts to improve their own professionalism acted. Therefore, childcare teachers increas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y checking and managing their own psychological state, and by improving the quality and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they raise the level of awareness of empathy ability, and furthermor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holistic development and development in a more stable environment. To provide quality childcare services.

      • 호텔 조리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주방유형과 외향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경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호텔산업의 증가는 호텔 기업 간의 경쟁 심화를 동반하였다. 따라서 호텔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업 환경의 변화 및 조직혁신을 이루는 과정에서 조직원에게 과다한 직무를 요구함에 따라 직무에 대한 불안감과 스트레스의 증가를 초래 하게 되었다. 최근 호텔 레스토랑은 기존의 폐쇄되어있던 주방을 오픈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늘어가는 오픈주방 이라는 새로운 근무환경변화로 조리종사원들이 이제는 밖으로 나와서 고객을 대면하게 됨으로서, 늘 서비스를 대면해 왔던 홀 종사원과는 다르게 심리적인 부담과 나아가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방유형으로 인한 대면이라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조리사의 직무스트레스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해가는 호텔산업과 그로 인한 조리사의 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 몰입 등에 미치는 주방유형과 더불어 조리사의 외향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향후 호텔 레스토랑 주방유형에 따른 조리사의 근무환경 개선과 호텔 인적서비스관리에 정책적․제도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서울 특1급인 호텔(워커힐호텔, 그랜드하얏트호텔, 파크하얏트호텔, 포시즌스호텔, 콘래드호텔, JW메리어트호텔, 롯데호텔, 조선호텔) 레스토랑에 근무하는 조리사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여 총 5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t=-2.137, p>001)와 내부(상사, 동료, 부하) 대인관계스트레스(t=-2.202 p>0.001)는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t=7.30, p<0.001)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방유형중 오픈주방에서 근무하는 조리사의 경우 직무관련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클로즈주방에 근무하는 조리사의 경우 모두 조절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향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외부(고객)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직무만족사이 관계에서 조절효과에 유의한 부의 방향으로 나타났고, 외향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모두 조절효과에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내부, 외부)스트레스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경로를 각각 구분하여 연구하였으며, 기존의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였다. 둘째, 직무관련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각각의 경로별로 주방유형과, 외향성의 조절변수를 적용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 새로운 요인들을 이론적 모형을 통해 확장시켰다. 셋째, 서울 소재 특1급 호텔에서 일하고 있는 조리사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일반적인 소비자 인식을 활용하여 호텔 레스토랑 산업의 영업이익과 전략적 마케팅 방안수립에 활용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호텔 조리사들이 주방유형과 외향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 밝혀냈으며 개념들을 정의 하였다. 이 정보는 정책적, 교육적으로 호텔 조리사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긍정적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향상을 돕는 정보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외식산업의 조리사가 아닌 서울 소재 특1급 호텔 레스토랑에서 근무하는 조리사를 연구대상으로 규정하여 일반화의 한계점이 있다. 둘째, 변화해가는 호텔 주방과 조리사의 다양한 외향성에 대한 국내외 연구에서 주방유형과 외향성을 세분화 하여 구분지어 적용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다양한 성격 유형 분류를 고려해야 함이 있다. The increase in the hotel industry was accompanied by increased competition among hotel businesses. Therefore, the hotel caused an increase in job insecurity and stress as it requested an organization member to perform excessive task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innovation to enhance competitiveness. Recently, more and more hotel restaurants are opening their previously closed kitchens. The shift in working conditions in the growing open kitchen now puts cookers out and face customers, making it more stressful than it always is when it comes to service. Moreover, through marketing communications, facing the kitchen type, job stress for chefs will als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analysis of the future impact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the cook and cook's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of the changing hotel industry,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technician's extroversion on the future For the demonstration, I conducted a feasibility study on 5 hotels (Walkerhill Hotel, Grand Hyatt Hotel, Park Hotel, the Four Seasons Hotel, the JW Marriott Hotel, and the Chosun Hotel) and conducted a feasibility study at 262 restau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sk stress (t = - 2.137, p > 001) and internal (boss, colleague, load) interpersonal stress (t = - 2.20 p > 0.001) negatively affected task satisf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t = 7.30, p < 0.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issue immersion. Third, job related stress is controlled to job satisfaction for chefs who work in open kitchens among kitchen typ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not all chefs at the close kitche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djustment effect. Fourth, the less outgoing groups showed a negative direction to control effects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ustomer)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not in the more outgoing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sk stress, interpersonal stress (internal and external) was studied separately for the path of tas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mmersion, and the existing theoretical model was validated. Second, new factors were extended through theoretical models by identifying the impact relationship by applying the kitchen type and the control parameters of extroversion to each path of task-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ird, it could help establish strategic marketing plans and operating profit for the hotel restaurant industry by utiliz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eneral consumer awareness of chefs who work at five-star hotels in Seoul. Fourth, an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revealed whether the hotel chefs were affected by kitchen type and extroversion and defined concepts. This information will help reduce the stress of the hotel cook in a policy and educational way, improve positi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as the research subjects specify that cooks who work at five-star hotel restaurants in Seoul, not those in the overall restaurant industry, are to blame. Secondly,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y of the various extrovercities of changing hotel kitchens and chefs found that further studies found that the purpose of classifying kitchen type and extroversibility was rather unreasonable.

      • 제주지역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허영근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제주지역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제주지역 직장인들이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조직문화 개선을 통한 직장인들이 조직몰입에 집중 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4월 13일부터 5월 15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일반행정 공공기관, 경찰기관,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 경찰관, 사회복지종사자 등 총 29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하였으며 배부된 설문지 31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된 16부를 제외하고 294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제주지역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는 연령, 최종학력, 직장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대는 30대, 최종학력은 대학원재학 이상, 직장유형은 공공행정기관이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조직문화는 연령과 직장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대는 50대 이상, 직장유형은 사회복지기관이 조직문화 차이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몰입은 연령과 직장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대는 50대 이상, 직장유형은 경찰기관이 조직몰입 유형별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제주지역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문화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성미 외(2020)와 일치하여 제주지역 직장인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령대에서는 30대, 최종학력은 대학원 재학 이상, 직장유형에서는 민원업무가 많은 공공기관인 도청과 시청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조직적인 차원의 관리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조직몰입에 나타났으며 이는 조직의 창조성과 변화가 요구되는 혁신문화와 직장유형에서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결과 조직문화 유형은 종속변인인 혁신문화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직접효과로 나타나 조직문화 인식 수준이 증가 할 경우 조직몰입 수준도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주지역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낮추기 위해서 직무와 관련 있는 내・외부적 환경요인 해소, 상・하간 인간관계 소통이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는 것이 우선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조직문화에서 조직 내 위계문화는 지양하고 혁신문화가 조직몰입를 높이는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조직문화를 개선으로 조직몰입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lutions of making local Jeju employees to attached to their organization with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releasing Job stress and improving organizational culture. 294 personal survey cases have answered by worker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dministrations, Police officers and local social workers from 13th April 2020 to 15th May 2020. Out of 310 survey results, 294 cases are summarized except 16 untrustworthy case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d ANOVA(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pplied to survey result via SPSS 25. program. The resul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Educational attainments and Occupational group. The job stress are found higher to those with age of 30s, over Graduate school attendees and Public administration workers. The differenc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re found significant depend on age and occupational group. It shows higher gaps on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those age of over 50s and Social workers. Further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on age and occupational group as well. Those over 50s and working as police officers are found having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ir group.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individual’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defined as negative among Jeju local employees. This study corresponds with the result of Sungmi Jeon(2020) and it establishes the result of current study. The survey found higher level of job stress on their 30s, over Graduate school attendees and Public workers who work at Jeju province office or Jeju city office. Thus, the result proved that Job stress is affecting negative resul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 level of plan to reduce employees job stress are required to prevent nega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ulture shows significant positive resul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 leads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culture and occupational which require organization’s creativity and frequent changes.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mediator effects between each variables,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significant result to increas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ase of innovative culture, dependent variable of organization culture, effect directly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defined that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improvement, frequent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are priority tasks to reduce Jeju local employees job stress. Moreover, rejecting hierarchy culture and valuing innovative culture is important roles to improve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will assist to reduce job stress and renovate organizational culture.

      • 보건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가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은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order to provide ways to improve work environment for health managers it was investigated about effect of duty stress, social psychological stress and duty satisfaction of health managers on duty affection. A questionnaire was circulated to 50 persons of health managers in industrial business and 200 persons of industrial health managers association. 166 questionnaires answered sincerely were analyzed. Duty stress (JCQ) was evaluated by using a health manager Koreans duty stress measurement tool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and PWI-SF was used for a social psychological stress level evaluation. Duty stress included self-confidence of a present duty, duty satisfaction, duty compensation, fellow feeling, excellence of superior, and excellence of working condition. Organized affection evaluated loyalty, compensation, welfare, duty immersion, external employment opportunity, total agreement with employer and personal ability development. By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orkplace characteristics, duty stress, and social psychological stress organized affection was affected by sex, age, duty demand, and compensation charm paragraph. Specially, man was more organized than women and organized affection was high as age was old. When duty demand was high, organized affection was high. Also organized affection was high as duty satisfaction was high. Organization showed to high things when compensation is to be enough. Because duty stress cause Cardiac and Vascular diseases,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mental overload diseases, it can provide mental and physical peace to health managers and improv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workplace to prevent and manage duty stress of health managers.

      • 노인요양병원 간병인의 직무스트레스가 환자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장미애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병인들의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측정하고, 이를 간병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근무 환경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직무스트레스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또한 환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대구와 경북 구미지역의 12개의 노인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병인 140명을 대상으로 2008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병인들의 노인환자들과의 친밀도는 학력 면에서 고졸이하가, 종교면 에서는 종교를 가지고 있는 그룹에서 친밀도가 높았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1). 간병 일을 시작한 계기는 이 일을 배우고 싶어서, 봉사하고 싶어서, 여가 및 사회활동으로, 소득 수입 순이었다(p<0.05). 2. 근무환경별로 노인환자들과의 친밀도는 환자분류 면에서 일반노인환자 그룹이 중환자노인보다 높게 친밀도가 나타났고, 담당 환자 수는 7명 미만을 담당하는 그룹에서는 14명 이상을 담당하는 그룹보다 환자와의 관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일일 근무형태, 월평균 근무기간, 간병인으로서의 총 기간, 간병교육수료여부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간병인들이 직무상 얻게 되는 스트레스는 환자들의 욕설, 담당환자의 수 등 환자관련부분에서 평균 스트레스 점수가 가장 높았다. 4. 간병인의 인구학적 특성별로 직무스트레스는 학력에서 전문대졸 이상이 스트레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월 소득 100만원 이상 그룹에서 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종교에 따라서는 비슷한 수준의 스트레스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5. 간병인들의 근무 환경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월평균 근무기간에서 14일 미만이 가장 낮았고, 현병원에서 근무기간에 따라서는 4년 이상 그룹에서 스트레스 점수가 가장 낮았다(p<0.05). 담당환자수별로는 7명 미만그룹이 가장 높았고, 간병교육을 받은 그룹이 받지 않은 그룹보다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6. 간병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서비스로 선택한 것은 친절, 성실, 건강, 협조 , 예의, 복장, 교양의 순으로 나타났다. 7. 환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50∼54세 그룹에서 서비스 점수가 가장 높았고, 종교에서는 불교, 천주교, 기독교 순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8. 근무환경조건에 따라 간병인이 환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질을 월평균 근무기간에 따라서 한 달 평균 14일 미만의 단기 간병인들의 서비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병원에서의 근무기간에서는 3∼4년 미만의 경력자들, 4년 이상, 1년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p<0.01). 9. 노인환자의 간병에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와 환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연령(r=.203)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환자관련 스트레스(r=-.194), 업무관련 스트레스(r=-.177), 대인 관계 스트레스(r=-.275), 경제적 문제 관련 스트레스(r=-.217) 및 심리적 스트레스(r=-.190)와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종합적인 전체 스트레스와 환자서비스와의 관계는 상관계수가 r=-.302로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1). 10. 간병인의 환자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를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스트레스(β=-.201)가 많을수록 환자서비스는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 종교유무, 연령, 담당환자수,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하고 환자서비스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설명력이 0.198이었고 종교(β=.178), 직무스트레스(β=-.295)가 환자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related stress of caregivers working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s. The relationship of their demographic and work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o job stress. And the quality of caregiving service provided by the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intimacy between the caregivers investigated and patients, the caregivers who received high school or lower education and who were religious were on closer terms with elderly patients, and the gaps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The most common motivation that they started to serve as a caregiver was that they wanted to learn how to take care of others. The second largest group hoped to serve others, and the third most dominant reason was to make the good use of leisure time and do something in society. The fourth most prevalent reason was to earn an income(p<0.05). 2.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working environments and intimacy with elderly patients, they were in more friendly relations with patients who suffered from mild or moderate diseases than those with severe illnesses. By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the caregivers who were responsible for less than seven patients fared less with the patients than those who were in charge of 14 or more. 3. The most stress of caregivers by working was patient' part like curses of patients and number of patients. 4. Concerning link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cademic credential and job stress, the caregivers who received junior college or higher education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job stress. They got similar marks regardless of religio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job stress. 5. As to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environ- ments including the monthly mean number of working days and job stress, the caregivers who worked for less than 14 days faced the least job pressure. By the length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s, those who worked for four years or more were under the least stress(p<0.05). By the number of patients, the caregivers who were responsible for less than seven were most stressed out, and those who received education on caregiving were under more pressure than the others who didn't. 6. Top priority for the service for patients, caregivers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kind, followed by sincerity, health, cooperation, manners, style of dress, culture. 7. Score of service for patients was high in age 50~54. By the religion, Buddhist group had highly score, followed by Catholic group, Christianity group. 8. In regard to connections between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the monthly mean number of working days and the quality of caregiving service, the caregivers who worked for less than 14 days a month on average scored higher on the quality of service. By the length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s, those who worked for less than three to four years ranked highest, followed by those with four-year or more career, and the caregivers who spent less than a year in their current work- places ranked lowest(p<0.01). 9. As to the correlation among job stress and caregiving service for patients,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attitude to service was age(r=.203). But stress for patients(r=-.194), stress for job(r=-.177), stress for relationship among peoples(r=-.275), stress for economy(r=-.217), and stress for mental(r=-.190) had the reverse correlation. Overall, there was a significant reverse correlation between total stress and caregiving service(r=-.302)(p<0.01). 10.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ubdividing stress that affected caregiving service, and it's found that more interpersonal stress(β=-.201) was concomitant with worse caregiving service. After gender, religion, age,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and job stres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caregiving service was checked. And the variables made a 0.198 prediction of caregiving service. Out of the variables, religion(β=.178) and job stress(β=.-295) had an impact on caregiving service.

      • 직무스트레스,공감피로,사회적지지,자기연민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공감피로, 사회적지지, 자기연민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20년 1월 20일부터 2020년 1월 31일까지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에 동의한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각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와 각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t-test, 일원배치 분산(One 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의 평균점수는 28.71±4.44점으로 나타났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평균 64.74±11.22점, 공감피로는 평균 27.79±5.05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 28.09±4.21점, 자기연민은 평균 82.69±13.20점으로 나타났다. 자기연민의 긍정적, 부정적 요인별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긍정적 자기연민은 38.93±7.18점, 부정적 자기연민은 43.77±9.40점으로 나타났다.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에서는 결혼 여부(t=2.11, p=.036), 최종 학력(t=3.87, p<.001), 직위(t=3.09, p=.002)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공감피로, 사회적지지, 자기연민과 소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소진은 직무스트레스(r=.42, p<.001), 공감피로(r=.57, p<.001), 부정적 자기연민(r=.52, p<.001)과 양의 상관관계, 사회적 지지(r=-.24, p=.003), 긍정적 자기연민(r=-.31, p<.001)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긍정적 자기연민은 공감피로(r=-.21, p=.012)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부정적 자기연민은 직무스트레스(r=.46, p<.001), 공감피로(r=.52, p<.001)와 양의 상관관계, 긍정적 자기연민(r=-.25, p=.002)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 변수들 중 미혼, 학사 이하, 일반 간호사를 더미 처리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직무스트레스(β=.14, p=.030), 공감피로(β=.35, p<.001), 사회적지지(β=-.16, p=.007), 긍정적 자기연민(β=-.14, p=.019), 부정적 자기연민(β=.22, p=.003)과 일반적 특성 중 최종학력(β=-.22, p=.003)인 것으로 나타났고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5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26.88,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은 직무스트레스, 공감피로, 사회적지지, 자기연민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소진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공감피로를 낮추고 사회적지지, 자기연민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가 입사하는 시점에서부터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stress, compassion fatigue, social support, and self compassion on burnout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survey of 155 nurses who agreed with the study o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January 20, 2020 to January 31, 2020.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i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burnout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was 28.71±4.44 points. The average job stress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was 64.74±11.22 points, compassion fatigue was average 27.79±5.05 points, social support was average 28.09±4.21 points, and self compassion was average 82.69±13.20 points. Looking at the average score of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of self compassion, positive self compassion was 38.93±7.18, and negative self compassion was 43.77±9.40. 2. In the difference in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marital status (t=2.11, p=.036), final education (t=3.87, p<.001), job title (t=3.09, p=.002).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compassion fatigue, social support, self-compassion and burnout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burnout was found to be job stress (r=.42, p<.001), compassion fatigue (r=.57, p<.001), negative self compassion (r=.52, p<.001) positive correlation, and social support (r=-.24, p=.003), positive self compassion(r=-.31, p<.001) showed negative correlation. Positive self compa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passion fatigue (r=-.21, p=.012), and negative self compassion was job stress (r=.46, p<.001), compassion fatigue (r=.52, p<.001), and positive self-compassion (r=-.25, p=.002). 4.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burnou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dummy processing of single, Bachelor's or lower, and staff nurse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burnout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were job stress (β=.14, p=.030), compassion fatigue (β=.35, p<.001), social support (β =-.16, p=.007), positive self compassion (β=-.14, p=.019), negative self compassion (β=.22, p=.003) and final educatio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β=-.22, p=.003).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analys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51% (F=26.88, p<.001).

      • 젊은 남녀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관련성

        유경열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대기업 제조회사 근로자의 일반검진과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남녀별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상태, 업무관련 특성,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경기도 내 한 전자 회사의 2008년 4월 2일부터 5월 31일까지 일반 건강검진에 참여한 3284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단면 연구이다. 건강검진과 동시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는 개인적 특성, 업무관련특성,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직무스트레스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SS-SF)을,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사회심리적 건강 측정도구 단축형(PWI-SF)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였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관련요인 평가는 카이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연령, 성별, 학력, 음주, 흡연, 운동을 보정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특성,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은 남자 327명(17.1%), 여자 619명(46.9%)이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전국 중위수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총점이 높은 군이 남자는 438명(23.0%), 여자는 574명(43.5%)이었다. 건강상태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직무특성 영역을 보았을 때 근무시간은 많을수록, 교대근무는 여자 근로자에게만 교대근무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의 위험도를 증가시켰다. 직무스트레스는 모든 하부영역에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의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남녀 모두 직장문화와 보상부적절영역이 가장 관련성이 높았으며, 조직체계,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직무자율 순이었다. 결론: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직장문화나 보상부적절면에서 그 중요성이 높았다. 직원들에게 있어서 근무외의 강압적인 회식문화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보상면에서도 금전적인 면뿐만 아니라 동기 유발, 존중 등의 정신적인 보상도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여자 생산직 근로자들의 경우 나이의 증가와 결혼에 따른 고용불안 정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교대 근무 시 남녀의 차이를 인정하여 여자 근로자에 대한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Objectives: To evaluate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status, job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in young male and female manufacture worker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f 3284 employees of a large manufacture company in Gyeonggi Province who participated in annual medical check-up. Medical check-up and questionnai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was carried out. We evaluate job stress by KOSS-SF and psychosocial stress by PWI-SF. First, we evaluate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Second, the investig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relation factor was performed by chi-square test. Finall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control for age, sex, education,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Results: The high 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was male 327(17.1%), and female 619(46.9%) in study subject. The high risk group of job stress(reference group was median of nationwide) was male 438(23.0%), and female 574(43.5%). Health status was not related to psychosocial stress significantly. More working hours and female shift work was higher risk of the high 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Job stress was higher risk of the high 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in all subscales. occupational climates and lack of reward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stress. And organization system, job demand,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insufficient job control was high risk for psychosocial stress in ordinal order. conclusions: Job stress was strong risk factor to determine psychosocial stress. And the strong association was occupational climate and lack of reward. It is necessary for the employees not to join dining culture coercively after work. It is important for the employees to be rewarded with not only money, but also mental factors like self-esteem and motivation. Job insecurity in female labor workers according to age and marriage should be solved. We should design additional measures to solve female shift workers problems.

      •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청북도 내 공연예술단체 종사자를 중심으로

        이문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culture of the future is an important industry of the society as well as essential element of everyday life. Performing Arts is playing a fundamental role in public interest and participation for the creation and culture. Due to these job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it is set the hypothesis that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will appear different unlike other areas. In order to measure the impact of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due to the abovementioned job characteristics, this study performed th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job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and also performed that data obtaining from the questionnaire were statistically treated by the SPSS 18.0 computer program. Job characteristics in the theory of organizational behavior is significantly developed by the Maslow hierarchy of needs theory and Herzberg's motivation-hygiene theory, but it is based on the expectancy theory of motivation. Job stress approaches to the interactive perspective, response to the job stress in the job environment may occur differently in person. in addition, job commitment is that job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it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performing is based on a theoretical basis which is stronger motivation than by an external incentive compens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signified that the expertise and creativity of the job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effected by the artistic practitioners. Job stress which is conflict arising from the business between organizations and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s the biggest factor. And also, it is shown that preparation of performance and job commitment is developed in maximum. This factor is the source of Performing Arts identity, its importance for the workers is a significant recognition is a testament. These results, professionalism and expertise of the show, and artistic knowledge to younger successors, and factor analysis have been fed. It is shown on the study that Performing Arts Workers as artists must be accompanied by motivational policies which are for increasing pride in the artistry. Thus, it needs that the need for training and professional skills and identity, to strengthen the government's support, the improvement of wage system, the improvement of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artists will be recognized the social value of respect and strengthen the institutions and the need to communicate with as political factors. 문화예술 분야는 일상의 필수적 요소일 뿐만 아니라 미래의 국가의 중요산업이 되고 있다. 특히, 공연예술은 창조와 문화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참여의 근원적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연예술의 직무특성으로 인하여 타 분야와 달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의 몰입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는 공연예술종사자의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직무특성․직무스트레스․직무몰입을 통하여 실증 분석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직무특성은 조직행동이론에서 Maslow의 욕구계층이론과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에 크게 힘입었으나 동기의 기대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직무스트레스는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접근하며, 직무환경에서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반응은 개인마다 달리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직무몰입은 직무가 몰입의 특징을 가지게 되며, 이는 수행을 위한 내적 동기가 외적 보상에 의한 것보다 강한 동기를 부여한다는 이론적 기초를 토대로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공연예술종사자는 직무특성으로 전문성과 독창성이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직무 스트레스는 조직과 조직 구성원으로 부터 업무상 발생하는 갈등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에 대한 직무의 몰입도가 최대로 상승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요인이 공연예술의 정체성의 근원이며, 그 중요성에 대하여 종사자가 크게 인식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성, 공연의 노하우, 예술적 지식이 후임과 후배에게 피드백 되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공연예술종사자는 공연예술인으로서 직무에 대한 예술성의 고양과 자긍심의 고취를 위한 동기부여 정책이 수반되어야 함을 연구에서 논의하고 있다. 따라서, 정책적 요인으로 소양 및 정체성 교육의 필요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임금제도의 개선, 업무환경의 개선 그리고 예술인이 사회적 존중과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의 강화와 소통을 필요로 하고 있다. 【주제어 】 직무특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충청북도, 공연예술. 공연예술단체

      • IT보안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 관계 분석

        이장호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공공기관과 기업들은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업무를 처리하기 때문에 항상 정보보안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나, 매년 크고 작은 정보유출에 대한 보안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가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 시행, 전자금융감독규정 개정, 사이버사령부 확대 등 정보보호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공공기관과 기업들도 정보보호에 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보호를 담당하고 있는 IT보안업무 종사자의 경우 늘어나는 업무량과 정보유출에 대한 부담감으로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다. 직무스트레스 심화는 개인적 측면과 조직적 측면에서 볼 때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개인적 측면에서 보면 직무수행 능력의 저하와 불만족, 소외감 등의 심리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들의 건강까지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조직적 측면에서 보면 구성원들이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생산성이 낮아지고 조직몰입이 저하되어 이직률이나 결근율이 높아져 업무성과가 저하된다. IT보안업무 종사자의 경우 침해사고 대응과 보안사고 예방을 위해 최신 보안기술 습득으로 대응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고 적절한 보상과 지원이 주어질 때 자신이 속한 보안조직에 몰입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IT보안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을 통합할 수 있은 일반시스템이론의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대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IT보안업무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관계 모델을 Y(직무만족) = -.515X1(직무스트레스)와 같이 제시하였으며, 직무만족 요인에 따라 Y1(능력발휘) = -.598X1(직무스트레스), Y2(업무여건) = -.371X1(직무스트레스), Y3(직무수행) = -.221X1(직무스트레스)로 세분화 하였다. 또한, IT보안업무 종사자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모델을 Z(조직몰입) = .567Y(직무만족) - .515X1(직무스트레스) = .567Y(직무만족) - .598Y1(능력발휘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 .371Y2(업무여건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 .221Y3(직무수행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관계 모델에서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기술관련 요인은 직무만족의 요소인 능력발휘, 업무여건, 직무수행에 공통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IT보안업무 종사자의 기술에 대한 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퍼스낼리티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의 조직체 내에서 조직원들이 스트레스로 인해서 생기는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스트레스로 인하여 생기는 개인의 건강문제뿐 아니라 그것이 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용으로 계산해 본다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건강과 관련된 비용이 GNP(국민총소득)의 10%를 초과하고 있으며 이러한 손실의 상당한 부분이 직무스트레스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이 되어 있다. 그러한 가운데 1978년 미국의 '국립직업안전 및 건강 연구소'의 조사에 의하면 비서직은 130개 직업 가운데 두번 째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업이라고 밝혀졌다. 이러한 상황아래에서 우리나라의 비서직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더욱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으로 알려진 퍼스낼리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요인 가운데 조직적 요인과 개인적요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조직의 일원으로서 비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수 많은 갈등을 겪게 된다. 이러한 갈등과 업무상 급격한 환경의 변화는 비서에게 직무스트레스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때 비서가 받게 되는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업무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업무성과에 반영이 된다. 거의 모든 조직원이 조직 내에서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직무스트레스를 받지만 비서는 그 업무 특성상 더욱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우리나라의 비서직은 대부분이 여성으로서 그들이 맡고 있는 업무는 최고경영자를 보좌하는 역할이다. 비서직에서는 업무수행시 역할의 모호함, 갈등, 과중 등의 이유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된다. 같은 스트레스요인이라도 퍼스낼리티의 특성에 따라서 직무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나 반응은 다르다. 어떠한 사람은 스트레스의 요인에 의해서 심각한 육체적 정신적인 손상이 올 수 도 있지만 어떤 사람은 긍정적으로 받아 들여서 도리어 적극적인 반응으로 업무에 좋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낼리티가 조직적인 직무스트레스의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그것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 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직무스트레스의 요인 중에서 역할요인이 주는 직무스트레스가 퍼스낼리티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에 대한 연구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조직 유효성의 면에서 관계를 현재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고찰하기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실증연구를 위한 문헌연구와 이를 기초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가설을 설정한 다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직 내에서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및 역할과중과 같은 조직적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며, 조직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퍼스낼리티에 따라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끝으로 직무스트레스가 퍼스낼리티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때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자료의 통계분석에는 기본적으로 빈도분석과 신뢰도분석, 그리고 요인분석을 이용하였다. 가설의 검증 및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역할요인과 직무스트레스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역할갈등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고 역할모호성, 역할과중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역할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보면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은 직무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요인중에서 역할과중과 퍼스낼리티는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퍼스낼리티별 직무스트레스를 보면 개인별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이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또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교육수준과 조직몰입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서직과 사무직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으나 통계상의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스트레스는 조직 내에서 조직원에게 명확한 업무방법과 역할을 제시해야 하며, 조직을 구성하는 것은 조직원 개인이기 때문에 개인의 차이를 인식하여 조직생활에 반영하면 높은 업무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research stage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job stress. In the first stage, theoretical studies of job stress were survey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texts and documents. The concept of job stress is defined as "a state of physical and mental tension caused by the disharmony between a worker and his/her workshop." Several stressors(a stressor is a factor of inducing stress) were researched in order to find out major factors and minor factor. The major factor was the role factors and they are defined a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The minor factor was the personality variables and they are defined as Type A and Type B Person. In the second second stage, 17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find out the effect of job stress related to job stressors such a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role overload and personality type. Research o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was also conducted. To measure organizational efficiency, this study was used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nvolvement. As a result of this empirical study, two role factors-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are strongly related to job stress. Role overload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In Oneway ANOVA analysis, the personality type was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ype A and Type B Person,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were two factors which affected job stress. Role overload and personality did not show relevant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nvolvement. As to demographic factors, only educational background and organization involv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role factor such as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was still a major problem to employees. Although personality type was shown difference in job stress, it did not have relationship between role factors and job stress. To reduce job stress is recommended to have specific job order and method. Al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pecial program for protecting and managing job stress in order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