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개선점에 관한 연구
강난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본 연구는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가 현재 느끼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고 교사의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구체적인 직무스트레스 내용과 대처방안 및 개선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처우개선 및 보다 나은 장애유아에 대한 보육적서비스와 특수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개선점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에 소재한 10개의 장애전담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12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8개의 요인과 자유 기재형 문항으로 총 5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 분류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는 요인별로 보았을 경우, '교육활동(업무) 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아동 관련 스트레스', '개인 관련 스트레스', '학부모 관련 스트레스', '보상체제 관련 스트레스', '근무환경 관련 스트레스', '운영 관련 스트레스', '동료교사 관련 스트레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는 다음 과 같다. 첫째, 학력에 따른 전체적인 직무스트레스는 2년제 대졸이하 교사나 4년제 대졸 이상 교사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자격증에 따라서는 유아특수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교사가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보육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교사가 가장 낮았으며, 소지하고 있는 자격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육경력에 따른 전체 직무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보상체제 관련 스트레스'요인에서만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장애 정도에 따른 전체 직무스트레스는 학급 유아들의 장애 정도가 중등도인 교사가 가장 높았고, 경도인 교사가 중도인 교사보다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 환경 관련 스트레스', '개인 관련 스트레스'요인에서 중등도인 교사가 다른 장애 정도 교사보다 높았다.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구체적인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업무 관련 요인, 전문성 관련 요인, 아동 관련 요인, 학부모 관련 요인 순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대한 응답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증상관리 방법을 선택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통제방법을 사용하고, 아주 소수의 응답자들은 소극적인 방법인 회피방법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하고 있었다. 교사에게 모든 권한이 주어졌다고 가정한다면, 현재 느끼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개선 방법에 관해서는 업무부담 경감, 대화의 장 마련 및 휴식 공간 확충, 전문성 신장, 보조교사 배치와 직원 충원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job stress that a teacher of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and to inquire into which difference a teacher's job stress depending on a changing factor shows. Also, it examined which there are in the specific contents, measures and improvement points as to job stress, and studied on job stress and improvement points of a teacher for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aiming to improve treatment for a teacher of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and to offer better child-care service and specially educational service as to the disabled infant. This study targeted 125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10 Children's homes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made up total 59 items with 8 factors and free-recording items in terms of questionnaire used for the study, and carried out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depending on a study matter, in terms of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iven having seen the job stress by factor, 'stress 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y (duties)' was highest, and it was shown in order of 'stress related to a child', 'stress related to an individual', 'stress related to parents', 'stress related to a compensation system', 'stress related to working environment', 'stress related to operation' and 'stress related to a colleague teacher'. The following are the differences of job stress depending on a changing factor of a teacher for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First, the wholly job stress depending on an academic background, did not show the big difference between a teacher with junior-college graduate and a teacher with university graduate. Second, depending on qualification, a teacher with qualification of a special teacher for an infant, showed the highest job stress, and a teacher with qualification of a child-care teacher, showed lowes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qualification that is possessed.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ly job stres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areer for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charge of disorder,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 teacher with higher educational career, only as to a factor of 'stress related to compensation'. Fourth, the wholly job stres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isorder, was highest in a teacher with the moderately disorder level of the class infants, a teacher with slight degree was lower than a teacher with moderate degree, and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stress related to working environment' and 'stress related to an individual' a teacher with moderate degree was higher than a teacher with other disorder degree. As to specific factors of job stress of a teacher for Children's home exclusively in charge of disorder, it was responded to be receiving stress in order of a factor related duties, a factor related with specialty, a factor related a child, and a factor related to parents. In terms of a response to measures of job stress, most teachers selected a method of managing symptoms. Next, the controlmethod was used, and the minimum respondents were coping with job stress through an evasive method, which is a passive method. Given supposing that a teacher was given all rights, as to a method of improving job stress being now felt, it was responded in order of reducing the burden of duties, arranging for a place of conversation and expanding a resting place, strengthening speciality, posting an assistant teacher and recruiting the staff.
Job ior the most people is not only important part of life but it serves as base of everyday Iivelyhood. Organizational Stress caused by and related to job, on the other hand, is a critical factor in the determination of employee's health and well-being. Organizational stress is known as having important influence ove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management of job stres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 in industrial organization. Based on following under-standings, this study was undertaken : 1. Mismanaged organizational stress can produce individual strain and distress which is detrimental to the well-being of an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The Damage may be caused to the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because of strain and distress. 2. When organizational stress is squarely managed, it can lead to the improved performance, worker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est the potential associations between selected organiz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 Exa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stress factors that explains organizational stress, 3.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a significant personnel factor in the organiz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ose point of view, this study is carried out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In literature research, it is taken steps to carry out systematization of job stress throughout previous research and studies. And empirical research i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financial agencies in Gwangju· Chonnam area. It is aimed to investigate job stressors what bring about job stres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o investigate the role of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as moder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ors and perceived job stress, and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managing job stress. Empirical research data is collected by questioaires that used Likert's 5 point scale. The ANOVA , T-TEST program in SPSSjPC i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ly and also reliability test is performed before anayzing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job stress is mainly caused by role factors. career development factors bring about job stress, too. 오늘날 사회가 복잡해지고 각종 문화의 충격이 커지며 경쟁이 격심해짐에 따라 직장에 대한 적응문제(adaptation problem)가 심각해지고 있다. 종업원들의 경우 자신에게 맡겨진 일이 적성에 맞지 않고, 일이 과중하게 느껴지며, 때로는 일이 단조로워서 지루함을 느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사의 관리방법이나, 사회의 정책, 동료들, 기타 회사의 분위기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심한 심리적 갈등(conflict)을 느낀다. 갈등 속에 빠지면 심리적으로 욕구좌절(frustration)속에서 헤어나지 못하며, 이것이 곧 정신건강을 해쳐 직장생활을 망치게 할 수도 있다. 이른바 부적응(maladjustment), 적응곤란(adaptation difficulty), 적응상실(adaptation lost)이라 부르는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개인은 정서적 혼란(emoti- onal disorders)을 가져오기도 한다. 직무스트레스(Job Stress)는 현대 조직체에서 흔히 나타나고 있는 문제로 산업발전이 고도화되고 직무환경과 직무내용이 복잡해질수록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과다한 스트레스는 개인의 건강문제와 심리적 불만족은 물론, 조직체에서 개인의 성과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므로, 스트레스에 대한 관리 내지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구성원의 능력개발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스트레스란 개인의 육체적 또는 심리적 불균형을 가져오는 내적상태로서 전통적으로 주로 의학분야에서만 연구되어 왔으나, 근래에 와서 조직체의 문제로 제기되기 시작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졌다. 스트레스는 환경, 조직체, 개인자신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하여 발생가능하지만, 이것이 실제 스트레스로 나타나는 데는 개인적 특성이 스트레스에 매개적 역할(moderating role)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그 개념을 분명히 하고, 현재 광주·전남지역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상태를 파악하여 그 관리와 대응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고, 다음으로는 실증적 연구로 이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 대상은 광주·전남지역에 소재한 금융기관의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조사 외에 스트레스 증세 진단부분과 요인별 질문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를 통하여 통계처리를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변수는 설문지에 의한 조사를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문항을 설정했다. (1) 개인적 요인 (2) 직무상 스트레스 요인 ⓵직무몰입도 ⓶직무애착도 ⓷스트레스의 정도 및 관리 앞에서 살펴본 요인별 변수들을 중심으로 조직내에서 발생하는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알아 보기위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삶의 의미, 일의 의미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 교수몰입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삶의 의미, 일의 의미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의 교수몰입과 교사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이며, 총 606명의 데이터가 탐색되었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의미추구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교사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음엔 의미발견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교사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와 교사효능감의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의 의미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교사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와 교사효능감의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이로써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데 효과적인 매개변인임이 밝혀졌으며, 의미발견과 일의 의미 또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유의하였다. 이는 학교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의 긍정적이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삶의 의미와 교사효능감의 향상이 효과적이므로 관련된 연수 및 상담 장면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of life, meaning of work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through the multiple-mediated effects of teaching flow and teacher efficacy. A total of 606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by Preacher and Hayes (2008) with a bias-corrected bootstrapping approa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the multiple-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and teacher efficacy in relation to search for meaning on job stress showed no significant, but it was a fully mediated by teacher efficacy. Next, the multiple-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and teacher efficacy in relation to the presence of meaning on job stress were not significan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direct effects by the presence of meaning on the teacher’s job stress. Likewise, the multiple-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and teacher efficacy in relation to the meaning of work and job stress were not significan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direct effects by the meaning of work on the teacher’s job stress. All indirect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bootstrapping approac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eacher efficacy is a very effective mediating variable for reducing the job stress of teachers. In addition, the presence of meaning and meaning of work are significant factors for reducing job stress of teachers. This implies the application of the training and counseling relating to improving teacher efficacy with meaning of life, and meaning of work for positive and healthy life for teachers.
건설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건설재해 발생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산업에 비해 높은 산업재해율을 보이고 있는 건설업의 현장 근무환경을 개선하고자 건설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건설재해 사고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 및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기초로 건설업 종사자들의 전반적인 스트레스가 건설재해 발생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한 설문을 대전, 세종, 충청에 소재한 10개 건설회사 종사자를 대상으로 배포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계 패키지(IBM SPSS 22)를 활용하여 기초 통계분석과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재해사고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에서 직장문화와 동료들 간의 관계갈등이 정(+)의 영향을 주고 조직체계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요구, 직무자율, 보상 부적절, 직무 불안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는 직장문화, 조직체계, 관계갈등 요인에 대해 집중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에서 직무요구,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요구가 보상 부적절보다 조금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직을 고려하게 만드는 요인으로는 존중, 내적동기, 기대 부적합 보다 책임감, 시간적 압박, 업무량 증가 등 과도한 직무부담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설업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직무요구 사항의 개선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넷째, 건설업 종사자들이 직무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운동 및 피로해소, 작업환경 관리, 타인에 대한 자신의 개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는 근로자들의 운동 및 피로해소 프로그램과 근로자와 감독자간의 소통과 친밀감 형성을 위한 작업환경관리시스템 구축이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설문대상 및 지역적 한계로 인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는 전국 규모의 조사를 통해 표본량을 증대시키고 건설재해 피해자가 가졌던 직무스트레스의 종류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급속히 유입되고 있는 고령의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와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비교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 3 담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박현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교육을 국가적인 사업으로 보고 국력을 비교함에 있어 교육수준을 준거로 삼을만큼 현대사회에서 교육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사명 또한 막중하고, 많은 연구결과에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사의 스트레스나 갈등은 교사 개인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학생 교육에 영향을 미쳐 교육력의 저하 및 학교조직의 효율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초·중학교 교사보다 고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크고, 대학진학을 중시하는 교육환경에서 고등학교 3학년 담임교사의 스트레스는 더욱 높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담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식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감소 대책 마련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원시와 안산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10개교의 3학년 담임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3년 3월 31일부터 4월 8 일까지 9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총 7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박태철(2001)과 탁진국(1999)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6개 하위요인 2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s α=.9022로 나타났다. 대처방식은 김정희(1987)의 도구를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4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s α=.9338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3.16점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 건강요인이 3.77점으로 가장 높고, 교육행정요인이 3.45점, 사회적 안정 요인이 3.15점, 학생지도 요인이 3.02점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차이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건강요인(M=4.18 SD=.60)과 교육행정 요인(M=3.54 SD=.77)에서 높게 나타났다(p=.012). 연령에서는 40대의 교사가 건강 요인(M=3.71 SD=.91), 교육 행정 요인(M=3.51 SD=.66), 사회적 안정 요인(M=3.27 SD=.62)에서 높게 나타났다(p=.049). 미혼교사가 기혼교사보다 학생지도요인(M=3.15 SD=.78)과 인간 관계 및 조직구조요인(M=2.93 SD=.79)에서, 교직경력 20년 미만의 교사들은 건강 요인, 교육행정 요인, 사회적 안정요인에서 스트레스를 크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학교 교사는 교육행정 요인(M=3.71 SD=.61)에서, 공립학교 교사는 건강요인(M=3.95 SD=.78)에서 스트레스를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대처방식에 있어서는 문제중심적 대처가 평균 2.54점, 사회적지지 추구가 평균 2.51점, 소망적 사고가 2.47점, 정서완화적 대처가 2.30점순으로 대처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처방식의 차이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대처방식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고, 30대 교사는 문제 중심적 대처(M=3.52 SD=.41)를, 교직경력 20년 이상인 교사는 소망적 사고(M=2.60 SD=.53)와 정서 완화적 대처(M=2.44 SD=.35)를(p=.026), 기혼교사는 문제중심적 대처(M=2.56 SD=.44)와 사회적지지 추구(M=2.52 SD=.51)를, 사립학교 교사는 문제 중심적 대처(M=2.61 SD=.40)와 정서완화적 대처(M=2.37 SD=.37)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정서 완화적 대처(r=.270 p=.011), 소망적 사고(r=.217 p=.01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볼 때, 교사들은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소극적인 대처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일부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실업계와 인문계 고등학교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2) 교사들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된다. In modern society,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has increased such that education is considered a national undertaking and the level of education is a cornerstone in comparing national powers. Accordingly, mission of teachers is also important and many findings show that the job stress perceived by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very high. Their stress or conflict does not remain in their personal problems but does affect education of students, causing reduction of educational performance and lowering of efficiency in school system. Assuming that the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would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 stress of third-grade class teachers in high school would be further high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values university entrance highly, this study is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ors of job stress and response to it of third-grade class teachers in academic high school and to find suitable nursing intervention for providing these as basic information for preparing stress reduction plans. For subjects of this study, 137 third-grade class teachers of 10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in Suwon City and Ansan City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over 9 days from Mar. 31, 2003 to Apr. 8, 2003. Such measure tool was composed of total 76 questions. For the factors of job stress, a preliminary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tool used in the studies of Park Tae-Cheol (2001) and Tak Jin-Guk(l999), and then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in 22 questions with 6 sub-factors. It was shown that reliability was Cronbach's a=.9022. For the response to job stress, a preliminary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tool of Kim Jeong-Heui (1987), and then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with 49 questions. It was revealed that reliability was Cronbach's a=.9338. With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eal number, percentage, mea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was shown that job stress of the subjects was mean 3.16 points and they experienced job stress highly. Among factors, health factor was highest (3.77 points), then came educational administration factor (3.45 points), social stability factor (3.15 points), and student instruction factor (3.02 points) in order. 2) For difference in job stress factors by the subjects' general features, it was shown that female teachers were higher in health factor (M=4.18 SD=.60), educational administration factor (M=3.54 SD=.77) and student instruction factor (M=3.30 SD=.66) than male teachers (p=.012). With respect to age, it was shown that teachers in their forties were high in health factor (M=3.71 SD=.91), educational administration factor (M=3.5 1 SD=.66), and social stability factor (M=3.27 SD=.62)(p=.049). It was found that unmarried teachers were higher in student instruction factor (M=3.15 SD=.78) and human relation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factor (M=2.93 SD=.79) than married teachers, and teachers experienced in the teaching profession under 20 years perceived stress highly in health fact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factor, and social stability factor. It was found that private school teachers perceived hither stres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factor (M=3.7 1 SD=.61), and public school teachers perceived higher stress in health factor (M=3.95 SD=.78). 3) Concerning the response to job stress for subjects, it was revealed that problem-focused response (mean 2.54 points) was utilized highly, then came social support pursuit (mean 2.51 points), desirous thought (2.47 points), and emotional relief (2.30 points) in order. 4) For difference of the response to job stress by the subjects' general features, it was found that female teachers applied more various response than male teachers, teachers in their thirties used problem-focused response (M=3.52 SD=.41), teachers experienced in the teaching profession over 20 years utilized desirous thought (M=2.60 SD=.53) and emotional relief(M=2.44 SD=.35) (p=.026), married teachers applied problem-focused response (M=2.56 SD=.44) and social support pursuit (M=2.52 SD=.51), and private school teachers utilized problem-focused response (M=2.61 SD=.40) and emotional relief (M=2.37 SD=.37) mainly. 5)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factors and response to job stress of teacher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job stress factors, emotional relief (r=.270 p=.01l), and desirous thought (r=.217 p=.011). Therefore, the higher teachers perceived job stress, the more passively they have responded to their job stres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ird-grade class teachers of academic high schools in some locations, so comparative studies should be performed for technical high schools and academic high schools. 2) Nursing intervention for stress reduction as well as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조직 내 구성원의 직무과부하와 나르시시즘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 및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narcissism on work engagement through job stress, targeti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by introducing job autonomy, work overload, grit, narcissism, job stress,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JD-R model.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as conducted online using a Google questionnaire for a total of 8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6, 2022. Of the 547 responses collected, a total of 528 copies (96.5% valid data rat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2.0 program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variables and basic statistic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4.1 program.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presen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Second, job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narcissism and work engegeme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as a mediator of job stres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mployees who recognized work overload and employees with a high level of narcissism strengthened job stress, resulting in a decrease in work engage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via job stress, when job autonomy is low, all groups (low, medium, and high) of grit show that their relationship is further strengthen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work engagement via job stress, it was found that job autonomy and grit did not control their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ual framework presented in the extended JD-R model was not empirically verifi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ching hypothesis that stress or burnout is alleviated when resources of the same level as demand are applied does not apply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Next, practical implication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duce work overload.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autonomy and grit for the job so that employees' job stress can be lowered and work engagement can be increased. Third, considering that job stress acts as a factor that lowers work engage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oles that match the work ability of employees rather than work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과부하와 나르시시즘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그릿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JD-R모형을 기반으로 직무자율성, 직무과부하, 그릿, 나르시시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을 투입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로 선정하였으며, 2022년 10월 18일부터 10월 26일까지 총 8일 간 Google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수집된 547개의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528부(유효자료율 96.5%)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정규성 검정, 상관관계 분석 등 기초통계와 연구변인 간 구조적 관계,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과부하, 나르시시즘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직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과부하를 인식하는 구성원과 나르시시즘 수준이 높은 구성원은 직무스트레스를 강화시켜 결과적으로 직무몰입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이 낮을 때 그릿의 모든 집단(저집단, 중집단, 고집단)에서 이들의 관계를 더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르시시즘이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그릿은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시사점으로 첫째, 확장된 JD-R모형에서 제시한 개념적 틀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요구와 동일한 차원의 자원이 투입되었을 경우 스트레스나 소진을 완화시킨다는 매칭가설이 개인특성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천적 시사점은 첫째, 직무과부하 상황을 감소할 수 있는 조직문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낮추고 직무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에 대한 자율성과 그릿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려할 때, 업무결과보다는 구성원들의 업무능력과 맞는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임상시험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방안
송화선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인류의 기대 수명은 길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기후변화와 급변하는 환경에서 인류가 예측하기 어려운 새로운 질병들과 재난들로 신약개발과 임상시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미국의 임상시험에 대한 수요는 지난 15년 동안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신약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된 것은 불과 10년 정도에 불가하다. 임상시험 건수의 증가는 지난 5년 동안 급증하였고 그에 따른 제약회사의 임상시험 외주 비용의 증가로 임상시험수탁기관 시장도 급성장하였다. 우리나라의 신약개발이 늘어나면서 임상시험 산업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인력 수급 문제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작적 정의의 임상시험종사자(임상시험운영관리, 데이터 메니지먼트, 통계분석)를 대상으로 CRO를 포함한 임상 업계에서 임상시험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상시험종사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특성 및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직무 특성 요인의 성별, 최종학력, 계약상태, 근무형태, 한달 평균 수입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직무, 현재 근무지, 총 근무연한과 이직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임상시험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조직문화갈등, 보상부적절, 직무요구도, 조직관리체계, 직무불안정 영역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경직성, 관계갈등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직문화갈등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으므로 조직의 목표와 방향성에 맞는 일관된 업무지시와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더 노력을 기울인다면 가장 효과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개선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하겠다.
업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사지원과 학습민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자원이론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직무요구에 대응하는 직무자원과 개인자원의 효과를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요구-자원이론의 매칭가설 관점에서 업무과부하, 상사지원, 학습민첩성을 투입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업무과부하는 양적과부하와 질적과부하로 구분하여 동질적 차원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상사지원), 개인자원(학습민첩성)의 대응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중소기업기본법에서 규정하는 중소기업 종사자를 제외한 국내기업 근로자수 300인 이상의 수도권 소재 중견기업과 대기업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이다. 국내 중견기업 이상의 사무직 근로자의 전체 모집단 규모를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관계로 본 연구에서는 목표 모집단을 선정하여 비확률표집방법 중 편의표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14일부터 4월 22일까지 총 9일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496부 중 불성실 응답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462부(유효자료율 93.1%)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정규성 검정, 상관관계 분석 등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업무과부하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업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학습민첩성이 조절하는 완충효과를 실증하였다. 셋째, 업무과부하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하는데 이 매개효과의 크기는 학습민첩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학습민첩성의 수준에 따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달라지는지 조건부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학습민첩성의 모든 수준에서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달라지고 있으며, 학습민첩성 수준이 높은 그룹일수록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적 간접효과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첫째, 학습민첩성이 신규 개인자원으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매칭가설 관점에서 학습민첩성의 개인자원이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완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매칭가설이란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결과변수가 동일 차원으로 대응되는 경우, 즉 양적요구에는 양적자원을, 질적요구에는 질적자원이 투입될 경우 가장 강력한 조절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으로 업무현장의 맥락과 상황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넷째,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경로에 가장 큰 영항을 주는 것은 직무스트레스이고, 양적과부하와 질적과부하 모두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직무요구-자원이론 차원에서 새로운 자원들의 발굴과 함께 직무자원과 개인자원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보다 구체적인 경험적 증거를 규명해 나가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구-자원이론을 HRD 관점에서 이론적 확장이 필요하다. HRD 관점에서는 조직차원의 직무자원 뿐 아니라 개인차원의 자원 발굴 필요성에 더욱 초점을 맞출 수 있고, 직무자원과 개인자원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조직개발 및 개인개발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둘째, 그동안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의 경우 유사성에 따라 분류한 것처럼 개인자원 또한 동질적 차원의 분류작업으로 직무요구-자원이론의 정교화가 필요하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방법론으로 직무요구-자원이론의 실증분석을 위한 고도화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실천적 시사점은 첫째, 조직 구성원이 본인의 직무요구 상황에 적합한 개인자원을 활용하고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조직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업무효과성 제고를 위해 직무자원 및 개인자원의 HRD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과 그에 따른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개인자원으로서 학습민첩성의 추가 실증이 필요하다. 학습민첩성은 신규 개인자원일 뿐 아니라 측정도구 또한 실증 결과가 희소하고, 매칭가설 관점에서 어떤 직무요구에 대응하는 자원인지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개인자원 실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직무요구-자원이론의 틀 내에서 자원으로서 가능성이 높은 변인들을 탐색하고 실험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다양한 조직유효성 변인들을 직무요구-자원이론의 틀 안에서 경험적 연구를 시도하고 적합한 자원으로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은 의미있는 시도라고 판단된다.
M사 기업교육 아웃소싱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박진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오늘날 기업은 이윤추구와 성과달성을 위해 여러 가지 경영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아웃소싱을 통해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려고 한다. 그런데, 아웃소싱 근로자는 일반회사 근로자와 달리 소속회사가 아닌 고객회사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업무자체가 고객회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을 수 밖에 없다. 이런 특수한 근무환경은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연구들에서 근무경력이 길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무경력을 통제변수로 설정한 후 소속회사와 근무회사가 다른 특수한 근무형태에서 일하고 있는 기업교육 아웃소싱 업무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M사에서 기업교육 아웃소싱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Google) 설문조사 방법을 실시하였고 유효설문지를 연구목적에 맞도록 분석하기 위하여 WindowS용 SPSS 22.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요인분석과 Cronbach' α 계수를 분석하였으며, 주요변인의 기초통계를 확인하고자 기술통계 분석을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독립변인인 직무스트레스와 그 하위변인들, 그리고 종속변인인 직무만족과 그 하위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제변인인 근무경력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근무경력을 통제한 후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와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근무경력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업교육 아웃소싱 종사자의 근무경력을 통제변인으로, 직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무경력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경력을 통제한 후, 기업교육 아웃소싱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근무경력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무경력이 통제된 상황에서도 기업교육 아웃소싱 종사자가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흥채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다른 직종과 비교 및 요인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380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고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남녀 성비율로 본 직무스트레스의 측정에 있어서 남자보다 여자가 전반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으며, 남녀 모두 직무요구가 높은 수치에 있었고 전국치와 비교시 남녀 모두 상위 50%이상의 범위에 해당되었다. 반면에 직무자율에 있어서는 전국치와 비교시 직무자율이 상위 25%이상의 범위에 해당되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상사의 지지, 동료의 지지, 가족의 지지모구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물리적 환경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이동성, 공간유용성, 쾌적성, 편의성, 조절성, 실외특성이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조절성이 가장 큰 관계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조절성이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이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예측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의 순수한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특성, 물리적 환경, 사회적 지지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개인적 특성은 성별이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특성에는 이직의 유무, 휴가의 자율성, 외부교육의 횟수휴가가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물리적 환경에서는 조절성이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에서는 상사의 지지와 동료의 지지가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물리적 환경, 사회적 지지의 전체요인의 직무스트레스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없었으며, 조직특성에 있어서 급여만족, 근무시간, 휴가 자율성이, 물리적 환경에서는 조절성, 사회적지지에서는 상사와 동료의 지지가 통계적으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만을 제시한다. 첫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측정치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조직적 관리가(휴가의 자율성, 근무시간, 급여, 물리적 환경의 조절성, 상사 및 동료의 지지) 필요하다. 둘째, 조직적 관리에서 상사의 지지가 중요한 직무스트레스 예측요인 이라는 것을 재교육화 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job stress of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 and compared their job stress level with that of workers in other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380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ment of the job stress of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 by gender ratio found that women were largely more exposed to job stress than men. In addition, both male and female social workers gained high scores in job demand, with both belonging to the highest 50% of professions nationwide. As for job autonomy, on the other hand, social workers belonged to the highest 25% of professions nationwide. Second, there exis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e boss's support, colleague's support and family's support all had negati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job stress. This indicates that as social support becomes weaker, the workers' job stress gets higher.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job stress, the sub-factor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mobility, space availability, pleasantness, convenience, adjustability and outside features had negati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job stress. Of the sub-factor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djustability was related to job stress the most. This indicates that as adjustability gets lower, job stress gets higher. Fourt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at factors predicted job stress. In order to examine the prediction ability of variables, socio-demographic features,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factors were set. To begin with, of socio-demographic features, individual feature, gender, and organizational features, whether or not a worker has ever changed a job, autonomy in taking a vacation, the number of external education turned out to predict job stress. In addition, of the sub-factor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djustability was found to predict job stress. Of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e boss's support and colleagues' support turned out to predict job 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factors of socio-demographic features,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individual features, which aimed at finding whether they predicated job stress, none of the factors of individual features displaye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However, satisfaction with wage, working hours, and autonomy in taking a vacation under organizational feature, adjustability under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boss's support and colleagues' support under social support turned out to predict changes in the job stress of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effectively control the job stress of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First, in order to prevent and lower the job stress of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 systematic control (autonomy in taking a vacation, working hours, adjustability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boss's support and colleagues' support) are required. Second, job stress should be reduced by reeducating that the boss's support is the important prediction factor of job stress in organizational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