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미디어아트를 응용한 지하철역 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형건 경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오늘날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도시 지하철 공간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도시의 토지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도시의 지상 교통 압박을 완화하며 도시의 역사적 배경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하철역 공간은 도시 공공 공간의 중요한 부분이며 도시 경관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도시문화를 꽃피우고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는 역할도 맡고 있습니다. 뉴미디어 아트의 예술적 특성은 공간 기능에 대한 인간의 요구와도 일치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뉴미디어 아트를 기반으로 한 지하철역 공간 환경의 설계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뉴미디어 아트와 지하철역 공간의 특성을 탐색하여 새로운 설계 전략과 방법을 요약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하철 공간 설계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 글은 여섯 부분으로 나뉩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지하철역 공간에 대한 뉴미디어 아트 개입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제시합니다. 제2장은 이론연구부문에서 각각 뉴미디어아트, 지하철역 공간이론, 상황공간디자인과 관련된 이론학과를 정리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 제3장은 외국 지하철역의 공간이론 연구현황, 국내 지하철 연구현황 및 국내 지하철역 공간디자인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조사부문입니다. 4장은 사례 분석 부분입니다. 지하공간에 대한 승객의 만족도, 예술공간에 대한 욕구, 감정적 정립을 분석합니다. 등의 방법은 지하철 공간의 디지털 전환의 객관적인 요소를 과학적으로 도출합니다. 제5장은 실제 사례와 결합하여 지하철 공간 건설의 특성을 분석하고 지하철역 공간 건설의 모델과 전략을 추가로 요약하고 인간 공간과 대상 공간의 관점에서 모델 및 전략과 뉴미디어 지하철 공간 설계 방법을 통해 설명합니다. 제6장은 결론적으로 뉴미디어의 시각적 표현을 이용한 설계안을 형성하여 지하철역 공간 디자인에 뉴미디어 아트가 개입하는 포인트, 발전 전망 및 연구 한계를 도출합니다.

      • 지하철역 접근성이 소형과 중대형 아파트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남구·노원구·분당을 중심으로

        조정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특성감안가격기법을 활용하여 서울시 전체와 강남구․노원구․분당의 각기 다른 성격의 세 지역에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무엇보다 소형 아파트와 중대형 아파트로 분류한 결과 지하철 접근성이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초점이 되었다. 2003년 3월과 2008년 3월의 표본을 이용하여 지역별과 더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 부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추정결과는 세 지역에서 모두 물리적 특성과 단지 특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지만 접근적 특성에 대해서는 다르게 나타났다. 아파트 현관 출입방식은 복도식 아파트가 계단식 아파트에 비해 가격에서 열위를 보였고 경과연수가 높을수록 가격 하락이 나타났다.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한 접근적 특성에서는 역세권이라는 생활환경적 측면이 세 지역에서 각각 다른 의미로 해석되었고 아파트 가격에도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남구에서는 2003년에는 지하철로부터 거리가 아파트 가격과의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2008년에는 지하철역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노원구에서는 오히려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당에서도 지하철역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아파트가격이 상승하는 결과가 나타나 해당 지역의 도시민들의 교통수단 선택과 역세권을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소형아파트와 중대형 아파트를 비교한 부분에서 강남구의 경우는 2003년에 소형이 지하철역까지의 거리에 대해 민감한 가격영향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2008년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온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노원구에서는 지하철역과의 거리가 소형과 중대형 아파트의 차이에는 유의미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2003년과 2008이 동일하게 나타난 결과이다. 분당의 경우는 지하철역과의 거리가 소형 아파트와 중대형 아파트의 차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왔다. 소형 아파트의 경우 대형 아파트에 비해 지하철역에서 멀어질수록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분당 역시 2003년과 2008년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마다, 때로는 시간에 따라 소형 아파트와 중대형 아파트의 입주자의 지하철역 접근성에 대한 의식과 중요성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주택의 입지를 정할 때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결과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The study aims at analyzing the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the price of apartments in three distinct areas of Kangnamgu, Nowongu, and Bundang by utilizing Hedonic Price Model. Above all, the study is focused upon the effects of the subway accessibility on each of the price levels, based upon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subject matter into small-sized and medium-sized apartments among other factors. The author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according to areas and elapse of time by using the samples of March 2003 and 2008. The estim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re existed the similarities in all the physical features and most complex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areas surveyed,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erms of accessibility characteristics. The access method in the entrance of apartment housing showed inferiority in price level in case of corridor style apartments compared with stair style apartments, the drop in prices took place as the number of years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living environment aspect of subway station area in the accessibility characteristics relating to subway stations was interpreted in a different way among the three areas. And the aspect had an impact on the apartment prices differently among the area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farther from subway station meant the lower level of apartment price in Kangnamgu, whereas the farther from subway station meant the higher level in Nowongu. Moreover, in Bundang, the farther from subway station meant the higher level, which explained that the residents in the area had a different view on subway station area as well as a different type of choice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 Meanwhile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mall-sized and medium-sized apartments, small-sized apartment was found to have a less sensitive price factor to the distance from subway station in case of Seoul. In case of Nowongu, the difference between small-sized and medium-sized apartments was insignificant as the distance to subway station was insignificant. The results appeared to be equivalent both in 2003 and 2008.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mall-sized and medium-sized apartments, small-sized apartment was found to have a more sensitive price factor to the distance from subway station in case of Bundang. The results explain that the perception and importance of subway accessibility are different between the residents of small-sized and medium-sized apartments in the three areas. The study therefore has an implication that the regional feature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location for housing is determined.

      • 이용자 중심의 지하철 환승역 안내표지판의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 NAS의 Wayfinding and Signing Guideline에 기초하여

        최영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서울지하철은 점점 증가하는 수도권의 인구로 인한 도시교통의 수요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1974년 지하철1호선이 개통된 이후 현재는 9개의 지하철 노선과 공항철도, 경인선 등 많은 노선이 운행중이다. 계속되어온 지하철 노선의 증설은 지역 간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이동 시간을 단축시켰으며, 노선이 많아지는 만큼 다양한 대중교통수단과 환승도 가능해졌다. 한곳에서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환승역은 늘어나는 지하철 노선 수만큼 점점 많아지고 규모도 커지고 있다. 다양한 목적과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한 공간에 밀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용자들의 동선이 엉키게 되어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다양한 노선의 환승으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있는 환승역의 경우 안내표지판은 이용자들의 정확한 경로 탐색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외부 환경에서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는 지상 공간과 달리 한정된 정보로 경로 탐색을 해야하는 실내라는 공간에서 안내표지판이 가지는 중요도는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5호선, 9호선, 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 등 4개의 노선의 환승이 가능한 수도권 서부권역의 핵심 환승역이라 할 수 있는 김포공항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김포공항역은 환승역의 역할 뿐만 아니라 복합쇼핑몰, 국내선 및 국제선을 이용할 수 있는 공항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간으로 다양한 목적지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 이에 김포공항역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안내표지판의 현황을 파악하고 우리나라보다 앞서 대중교통이 발달한 미국의 대표적인 교통터미널 시설인 공항터미널의 사인시스템 가이드라인(NAS : Wayfinding and Signing Guidelines for Terminals and Landside)에 기반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Seoul subway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public transportation due to the growing popul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Since the opening of Subway Line 1 in 1974, there are currently nine subway lines, arex and many other subway lines are now operating. The continued expansion of subway lines made it easier to move between regions and shortened travel time, and as the number of routes increased, various public transportation and transfers became possible. In the case of transfer subway stations, where the structure is becoming complicated due to transfers on various routes to many subway lines, the information signsystem helps users explore the exact route for wayfinding system. The importance of signsystem is very high in an indoor space where route search is required with limited information. In this study, Gimpo Airport Station, which is a key transfer station in the western Seoul metropolitan area where four routes, including Subway Line 5, Line 9, Airport Railroad, and Gimpo Gold Line, can be transferred, was selected as the target site. Gimpo Airport Station is also various roles such as a complex shopping mall, an airport whe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erminal can be used, and requires guidance on various destinations. Therefore, tried to analyze the status of information signsystem currently used at Gimpo Airport St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problem based on the Wayfinding and Signing Guidelines for Airport Terminals and Landside by NAS , a representative transportation terminal facility in the United States.

      • 지하철역별 실제 수요와 예측된 수요 간의 차이에 대한 분석

        민하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막대한 재원과 오랜 건설 기간이 투입되는 국내 도시철도 사업의 수요예측 정확도가 낮아서 비효율성을 초래한다는 강도 높은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기본계획 단계에서 수요예측을 과대·소하게 추정하는데다 철도사업의 사업성 검증이나 수요예측의 정확성 여부는 5년에서 10년 후가 되어서야 비로소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하지만 이 부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어떤 요인이 실제 수요와 예측 수요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하나의 노선이라 할지라도 역별로 수요예측 정확도에 큰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역별 예측치의 정확도를 높여서 전체 노선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동안 수요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지하철 이용 수요와 토지 이용 용도, 개발밀도, 버스를 비롯한 환승 교통 체계, 인구·경제·사회 요인을 포함한 다양한 역세권 특성들 대표하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추진되어 왔으나, 전철역 역세권 및 역세권 특성이 예측된 수요와 실제 수요 간의 차이와 수요 증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역세권 특성이 순수요와 수요실현율, 그리고 수요증감율(월별 파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향후 교통사업과 지하철 수요예측에 정확도를 향상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토지이용 유형 중 공업시설, 환승체계 주요 척도인 버스정류장, 인구사회지표 중 종사자 수와 사업체 수 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때, 환승역과 급행역 여부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함으로, 환승역과 급행역 여부를 고려하여 역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토지이용패턴 변수와 인구사회적 요인이 월별 파동과 갖는 상관관계가 유의함으로 월별 파동을 참고하여 점 예측 대신 수요 예측의 범위를 제시하는 것이 권장된다. Arguably, the construction and inauguration of a subway station, requiring astronomical cost and long construction periods, reflect low demand forecast accuracy and therefore are consistently subject to sharp criticism. The overprediction or underprediction of the travel demand occurs firstly due to the misestimation during the initial planning stage and secondly because such evaluation can only take place five to ten years after the inauguration of a station. But the lack of studies in identifying th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actual demand signal the need for a greater understanding and analysis within the field of urban transportation.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whole subway line by taking each station into account because the differences in inaccuracy stem from the individual st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that were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ion influence area and land use patterns, development density, urban transit, and socioeconomic factors, not many studies discuss the influences the station influence area and its characteristics have on the gap between the prediction and the actual figure as well as on the growth of demand over time. Thus, this paper is aimed to identify how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tation influence area affect demand, demand growth 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actual demand of the urban rail transit. With the hope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uracy of demand forecast in future transport-related projects, this study discovers that, for better forecasting, we must consider industrial land use, the number of bus station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within the 500m radius of the station. While the stations with transfer and express properties have shown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the demand,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se variables are weighted according to their significance.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land use and socioeconomic variables with the fluctuation of the monthly demand suggests that interval estimates should be considered over point estimates when predicting travel demand.

      • 지역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공간디자인 : 광저우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오수휘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지하철 공간은 지하 교통기능을 담당하는 공간으로 도시의 기타 공공 기관과 비교해 보면 독특한 구조와 공간 형식을 갖고 있다. 지역문화를 표현할 때 주로 지하 공간 내 각 요소에 의존하게 되며 서로 공간 요소 는 다른 디자인적 특성을 갖고 있다. 승강장, 역사, 벽면, 바닥, 천장, 기 둥, 공공예술, 공공시설 등 지하철역 공간을 통해 문화예술의 매력을 마 음껏 전시할 수 있다. 지하철역 공간을 통해 지역문화를 표현하는 과정 에 그림, 조형물, 유적, 문물, 문헌, 전설, 음악, 민요 등 해당 지역의 문 화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요소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한 것은 시대적 내용을 파악해야 하며 이러한 문화적 요소를 지하철역에 운용함과 동시 에 계승 및 발전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지하철역의 시각 시스템 디자인을 중심으로 지역문화 전파 에 입각하여 우선 연구 배경, 연구목적, 연구범위, 연구방법과 주제 선정 의 의의를 서술하고 국내외 관련된 선행연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였다. 다음 지하철 기호의 언어구조 및 식별 시스템을 디자인하는 과정에 ‘형 태’, ‘색채’의 특징 및 의의,’도형’, ‘문자’의 시각적 기호 특징, 기능과 이 미지 표현에 대해 서술하였다. 또한 지하철역 공간에 표현된 지역문화와 관련된 이론 및 지하철 공간 시각디자인에 있어 지역문화의 활용 원칙과 요점을 서술하였다. 지하철 공간에서의 지역문화 시각디자인에 있어 지 역의 자연환경 특징, 지역의 인문환경 등에 적합한 표현방식과 관련하여 시각디자인의 다양한 형태를 연결시킬 수 있다. 광저우 지역문화 중 영 남문화의 건축요소를 예로 들어 광저우 동역(지하철역)의 공간 시각디자 인과 결부하여 실제 응용에 대해 논술하고 마지막에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도시 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발굴하고 적절하게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지하철 교통을 발전시킴에 있어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바로 어떻게 하면 지역문화를 출발점으로 하여 지역적 특징, 시대적 특징에 적합하고 표현이 적절한지, 그리고 지역문화 특색이 있는 지하철 공간을 시각적으로 디자인할지에 대해 검토하고 특색을 잃은 지하도시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함에 있어 사 고 방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도시 지하철 역사 내 공간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도시가 갖고 있는 지역문화의 차별성을 보여주기 위한 그 목적이다. 연구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특색을 반영한 지하철 공간의 시각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이다. 지하철역 공간의 시각디자인에 있어 지역문 화를 차별화 있게 표현하는 이론적 구조를 구축하였다. 지하철역 공간의 시각디자인에 지역문화를 나타내는 데 전체적, 전반적인 시점을 가지고 기술적 기능, 사람 중심 원칙, 정신문화적 기능을 실현하는 시스템이 필 요하다. 이와 관련한 이론적 구조는 세 가지의 착안점, 두 가지의 디자인 시점 및 세 가지의 측면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지화에서 출발해 위치감을 강조하는 것과 즉각적인 심미성에서 출발해 시각 인지성을 부 각시키는 것 및 공공성에서 출발해 도시의 특색을 나타내는 것이 착안점 이다. 디자인 시점이란 공간 분위기를 조성하고 예술적 특징을 나타내는 공간 설계와 지역 특색을 부각시키고 유대감을 형성시키는 포인트인 시 각 예술을 말하는 것이다. 세 가지의 측면은 지하철의 교통 기능에 맞는 예술적 분위기를 나타내는 표층적 공간 이미지, 지하철역 소재 도시의 자연환경, 역사 맥락과 어울리는 문화적 풍모인 중간적 공간 이미지 및 대중들의 심미적, 심리적 인식에 부합하는 시대정신인 심층적 환경 이미 지를 의미한다. 이들은 지하철 교통 공간의 다양하고 온전한 가치 체제 를 구성하였다. 둘째, 지역 특색의 표현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출한 디자인 방법 이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 중의 하나는 지하철역 공간의 시각디자 인에 지역 특색을 나타내는 디자인 방법이다. 자연환경과의 조화, 문화 관념과의 일치, 공간 높이의 증가 및 조명의 예술화이다. 기능 중심으로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지하철역 공간의 시각디자인에 지역문화의 특 징을 반영하는 원칙이며 지역 특유 이미지를 이용하고 현대적인 방식으 로 풀어내야 한다. 또 다른 하나의 결론은 시각예술적 관점에서 지하철 역에서 지역문화를 표현하는 디자인 방법이다. 지하철 공간에서 시각예 술적으로 문화를 표현할 때 지켜야 할 주요 원칙은 기능 중심, 감성성, 안전성, 내구성 겸비, 수리의 편리성 및 좋은 시각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지역문화 표현의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이다. 지하철역 공간의 시각디자인에 지역문화를 표현하는 데 의거할 ‘조성 패 러다임’들이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들은 지하철역의 시각디자인에서의 지역문화 표현의 현황, 논리 및 방식을 정리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데 동질화-표준화된 패러다임 및 개성화-공간 예술이 일체화된 패러다임으 로 나눌 수 있는 것으로 도출하였다. Subway space bears the function of underground transportation and has a special structure and space form compared with other urban public Spaces. Regional cultural expression is mainly dependent on various elements of subway space, and there are different design features in different spatial elements. Platforms, station halls, walls, floors, ceilings, beams and columns, public art and public facilities, etc, can all display the charm of culture and art. Regional culture in the process of the expression in the subway station is not only to seize the painting, sculpture, historic sites, cultural relics, legends, literature, music and folk songs, such as the most can represe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elements, more to hold times connotation, realize the contemporary urban growing up pace and full of vigor and vitality formed in the era of image, and a new era of cultural factors, Both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he use of cultural elements in the subway st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ual system design of subway and is based on the spread of regional culture. Firstly, it summarizes the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purpose, research scope, research method and significance of the topic, and briefly expounds the previous research at home and abroad. Then from the subway symbol space, subway symbol construction and identification design of "shape", "color" characteristics and meaning, "image", "text" visual symbol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image expression. This paper expounds the analysis of related theories of metro station regional culture and the application principles and key points of regional culture in metro space visual design. The diversified forms of visual design of metro regional culture are extended based on the expressions of regional natur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humanistic environment suitable for regional culture and metro spatial visual design. Taking LingNan cultural architectural elements in GuangZhou regional culture as an example, this paper discusse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patial visual design of GuangZhou Metro East Station (subway station), and finally draws a conclusion. Therefore, this study believes that excava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s and carrying out appropriate artistic expression is an important part that cannot be ignored in the development of subway transpor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local culture as a starting point, region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suitable performance is appropriate, as well as th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way space in the visual design is lo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hentic poetry to overcome the crisis facing, to provide idea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overall image of urban subway station space and reflect the regional cultural differences of the cit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lusion is drawn from th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spatial visual design of metro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visual design of subway station space, a theoretical structure reflecting regional cultural differentiation is constructed. To reflect regional culture in the visual design of subway station space, it is necessary to have a holistic and holistic perspective to realize the system of technical function, human-centered principle, and spiritual and cultural function. The related theoretical structure can be summarized as three focus points, two design viewpoints and three aspects. From the local, emphasizing the sense of location and immediate aesthetic, emphasizing visual recognition and publicit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is aimed at this. Design point of view is to create a space atmosphere, reflect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design and portra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formation of a sense of bond of focus - visual art. On the one hand, the transportation function of subway shows the surface space image in line with the artistic atmosphere,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ity where the subway station is located,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cultural style in the middle of the space image, and the aesthetic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masses in line with the spirit of The Times. They constitute a diversified and complete value system of subway transportation space. Second, through the stud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 method. One of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is the design method of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visual design of subway station space.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consistent with cultural concepts, the increase of space height and lighting art. Function-oriented artistic expression is the principle of reflecting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visual design of the subway station space, which should be interpreted in a modern way by using the unique image of the region. Another conclusion is the design method of expressing regional culture in subway s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art. The main principles to be followed when visual art is used to express culture in subway space are function center, sensibility, safety, durability, convenience of repair and good visual effect. Thirdly, this is a conclusion drawn through the study of regional cultural expression patterns. In the visual design of subway station space, there is a "construction mode" that relies on the expression of regional culture. These paradigms are the experience of sorting out the status quo, logic, and ways of regional cultural expression in the visual design of subway stations and derive the homogenization standardization paradigm and the individualization space art integration paradigm.

      • 驛勢圈內 公共業務施設이 있는 地下鐵驛의 空間計劃에 關한 硏究 : 果川 地下鐵驛 計劃案 提案을 中心으로

        노혜경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2

        기존 한국의 地下鐵驛 硏究는 주로 시공방법가 구조계산에 관한 硏究로 치우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國內 技術이 蓄積되면서 사람들의 生活空間인 地下鐵驛 空間에 대한 建築的 空間側面에서의 硏究가 要求되어지고 있다. 이에 本 硏究는 역세권(500M)내 公共業務施設이 있는 旣存 地下鐵驛 計劃의 事例로부터 역사의 특성에 따른 공간계획상 고려되어야 할 事項및 空間의 特性과 問題點을 糾明하고, 더 나아가 內部 環境施設의 合理的인 配置計劃과 改善方案을 提示함을 基本 目的으로 하였다. 이에 本 硏究의 進行過程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역에 대한 一般的 考察을 하였다. 둘째; 기존 지하철역 중 1차 역세권(500M)내에 공공업무시설이 있는 역을 事例 硏究對象으로 삼아 調査, 現況을 把握하였다. 세째; 分析을 통하여 共通點, 特異性및 問題點을 把握하였다. 네째; 實際 對象地를 果川驛 計劃地로 選定하여 구체적인 地下鐵驛 空間計劃案을 提示함으로써, 하나의 例를 提示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流出하였다. 우선, 一般 地下鐵驛 空間計劃의 提案으로는 다음과 같다. 1) 空間的 側面으로는 에스컬레이터와 移動步道를 階段과 함께 地下鐵 入口에서부터 竝行 設置하며, 곳곳에 開放(Opening)을 하여 垂直的 連繫性을 갖도록 한다. 또한 지하철역의 天井을 높이고 動線의 결절점에는 開放을 하거나 썬쿤 플라자(Sunken Plaza)등의 計劃을 한다. 다양한 休憩施設을 마련하기 위하여 커피숍, 街路公園, 舞臺(Stage)및 가벽 등을 計劃한다. 2) 計劃的 側面으로는 出入口를 周邊建物內및 空地에 設置하며, 橫斷步道의 機能과 役務機能및 乘·下車 機能의 空間을 分離한다. 賣票所와 改·集票所의 待機空間을 적정규모로 산출하고 他 交通手段과 連結을 꾀한다. 또한 지하내 연계성을 부여하기 위한 일환으로 周邊建物의 地下層과 地下鐵驛 空間을 連結시킨다. 3) 內部 環境的 側面으로는 內部 環境施設物을 群으로 配置하며 동선의 결절점이나 중요한 곳의 天井, 壁과 바닥의 패턴을 달리 計劃한다. 또한 지하에도 自然的 要素, 가벽, 기둥, 街路燈 등을 配置하며 일률적 조명보다는 重要한 施設物들에는 局部照明을 한다. 특히, 驛勢圈內 公共業務施設이 있는 地下鐵驛의 計劃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提案을 提示한다. 1) 公共業務施設과 關聯된 商街를 配置한다. 2) 플라자(Plaza)나 情報센타를 마련한다. 3) 民願室과 같은 業務代行 서비스 場所를 마련한다. The existing study of the subway station have the tendency that it is mainly about execution method and structural calculation. But, as accumulating domestic technique it is required too study subway space as life space of people in the view of architectural space. So,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examine closely matters to consider in planning of space under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tation which is revealed from examples of plans of existing subway stations. In addition, it is the aim to present reasonable plan and improvement layout plan about interior enviornmental facilitie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The general study about subway station. The second: Examination of the existing subway stations that have governmental office buildings within the first sphere of it's influence(500M) The third: Understanding common element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by analysis. The forth: This study presented concrete plan about subway station space by selecting Kwa-Chun where is planning it's station as actual object. This study reached a conclusion as follows: At first, suggestion on space planning of the general subway station is like that. 1) In space aspect, escalator and moving path-way should be set up with stair at entrance and the ceiling of the subway station should be lifted high. And also, in the node point of flow line, it's space should be opened vertically and horizentally, or sunken plaza should be planned. For various rest space, it should have coffee-shop, street park, stage and spurious wall. 2) In the aspect of planning, entrance should be set up inside circumferential building or vacant ground. And space of a pedestrians' crossing should be □ from spaces of service and getting on and off subway. And also, waitting place such as ticket window and tichetting gate should be calculated in resonable volume and we should consider linking to other means of transporation. And as a means for linking of underground, space of subway station should be linked with basement floor of circumferential buildings. 3) in the aspect of interior enviornment, interior environmental facilities should be layed out gregariously and the patterns of the ceiling, wall and floor of node point of flow line or important place are designed in distinction from the others. And we should set natural element, column. street light in the subway and the undergroud. At the important facilities, we should set local lighting than general lighting. Especially, in planning of the subway station which have governmental office building within the sphere of it's influenc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1) Commercial district concerned with governmental business building should be layed out. 2) Plaza or information center should be planned. 3) We should plan service place such as a window.

      • 지하철역 입지가 주변지역의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동균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7

        도시가 확장되고 발전됨과 동시에 교통문제가 심각해지는데, 이러한 자동차로 인해 발생되는 제반 문제를 경감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하철이 등장하게 되었다. 오늘날의 지하철은 현대의 복잡한 도시에서 가장 신속하고 대중적인 교통수단이 되었다. 서울시를 비롯한 수도권에도 현재 8개의 노선과 국철로 약 40%의 수송분담율을 차지하면서 가장 중요한 기반시설 중의 하나가 되었다. 서울 외에 부산, 대구, 인천에 지하철이 개통이 되었고, 대전, 광주 등도 건설이 이루어지는 등 그 규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고 수송분담율 또한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러한 지하철은 노선이 개통되고 복잡하게 발전함에 따라 도시공간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특히 주변지역의 상권, 지가, 주택가격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주택가격에 있어 일반적으로 지하철역에 인접해 있으면 그 가격이 높을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철 입지가 주변지역의 주택가격에 얼마의 영향력을 가지는지, 또한 실제로 영향을 많이 미치는 가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이 가지는 입지가 아파트가격산정에 있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 그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90년 이후 입주한 서울시내의 아파트를 대상으로 삼았고 SAS 프로그램을 활용한 통계적 분석방법을 사용해 지하철역의 요소와 아파트가격과의 관계를 도출한 결과 아파트 단지에서 지하철역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아파트의 가격이 하락하는 결과가 나왔지만 상관분석에 있어서 약 -0.3의 상관계수를 가져 가격과 거리간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회귀분석한 결과 실질적으로 거리요소가 가격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과 강북의 두 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을 때 강북지역이 강남지역보다 더 큰 상관성을 가졌으며, 이를 다시 강북은 3개 권역, 강남은 2개 권역으로 세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심이라 할 수 있는 종로, 강남, 영등포 등을 가지고 있는 중앙지역, 남서지역, 남동지역에서는 거리와 가격간의 상관성이 다른 권역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준시가와 실거래가에 대한 상관관계에서 두 지표간에 매우 높은 상관성을 가졌으나 2003년 기준시가 정기고시 이후에 본 대상 아파트들의 기준시가가 실거래가의 75% 수준으로 아직 기준시가가 실거래가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였다. 거리요소 외에 아파트의 물리적 특성, 즉 평형수, 세대수, 주동수 등을 가격과의 상관성 검토, 회귀성분석을 한 결과 주동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격이 증가하였고 평형과도 상관성을 가졌으나 세대수는 가격과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주동수가 늘어나면 가격이 증가하는 결과와 상반되게 나타났다. 지하철의 요소에 대한 가격과의 분산분석 결과 노선별로 봤을 때 3호선에 근접한 아파트들의 평균가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환승역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역보다 평균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지하철의 이용인구 역시 아파트 가격과는 상관성이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하철역 주변의 이용만족도 분석을 통한 보행환경 개선방안

        배인숙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지하철역 주변을 중심으로 보행환경의 구성요소를 도출하며, 이용률이 높은 10개역을 선정하여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고, 그 중 지하철역 주변으로 특징적인 보행환경을 가지고 있는 5개역을 대상으로 보행환경 이용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여 지하철역 주변을 중심으로 보행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시민들의 해당 가로의 보행환경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지하철역 주변을 중심으로 한 보행환경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연구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보행환경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서 보행공간의 여러 가지 기능과 지하철역이 가지는 보행로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행환경 만족도 구성요소를 크게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보행환경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제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도출한 보행환경 만족도 구성요소들을 통해 실제 대상지에서 물리적 환경 조사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지하철역 주변을 중심으로 보행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시민들의 해당 가로의 보행환경에 대한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환경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24개중에서 설명력이 높은 18개의 변수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8개 변수를 요인분석을 통해 5개군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들 5가지 요인을 통한 회귀분석 결과 보행자의 보행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을 정리하면, 휴게 및 녹지에 대한 만족도, 가로시설물에 대한 만족도, 안전성에 대한 만족도, 지하철 출입구 환경에 대한 만족도,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행환경의 개선은 이들의 변수의 중요도에 따라 그 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제Ⅴ장에서는 Ⅱ장에서 제시한 가설 검증으로 보행환경 이용만족도에 안전성이 중요한 영향을 주는 변수(보도폭에 대한 만족, 노점이나 가로시설물로 인한 보행지장에 대한 만족, 차량진입이나 보도상 차량주차로 인한 안전성에 대한 만족)로 확인되었다. 또한 보행환경 이용만족도에 편리성이 중요한 영향을 주는 변수(환승체계에 대한 만족, 지하철 타기까지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로 확인되었다. 보행환경 이용만족도에 쾌적성이 중요한 영향을 주는 변수(가로시설물 - 벤치, 파고라, 휴지통에 대한 만족, 가로수의 녹음에 대한 만족, 가로시설물 - 플랜터, 가로수에 대한 만족)로 확인되었다. 제Ⅵ에서는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법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보행환경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를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어떠한 요소들로 인해서 보행자가 만족도를 느끼는 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보행환경 개선에 있어서 몇 가지 지표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할 수 있겠다. This search has come up with multiple elements consist of pedestrian environment around subway stations and also has analyze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10 most commonly used stations. Through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on the 5 selected stations that have remarkable features out of the 10 stations, a study has been made to analyze the co-relation between the various elements consist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its actual impact on users satisfaction degree. Based on the study, the article has focused to list problem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near the subway stations and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environment. The articles contents are as follows. The chapter one proposed the articles background & purpose, the range of the search and methodologies of the search. The chapter two looked the general feature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the searching old literatures regarding pedestrian environment, and also considering the multiple functions of the walking space and special features of pedestrian road belongs to the subways station, consisting elements influencing in satisfac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were claimed largely as its SAFETY, CONVENIENCE and AMENITY. Through this, a hypothesis regarding the element which are greatly influencing in the users satisfaction degree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were established. The chapter three found problems through an investigation analysi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actual target area in terns of the elements influencing in satisfac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which have been picked in the chapter two. The chapter four made the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0.0 program to find the co-relation between the multiple elements consist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near the subway stations and its influences on users satisfaction on the targeted roa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reviewing the most expressive 18 variables influence on the users satisfaction among the 24 variable which are deemed to influence in the satisfac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e most powerful variables which influence in the SAFETY were the order of the satisfaction on the width of sidewalk. the satisfaction toward the shops and facilities hindering the pedestrians and the satisfaction on the safety against car entrance and parking cars along the pedestrian road. Regarding the variables that highly influence in the CONVENIENCE are descending f개m the satisfaction against the transferring system of the subway, the satisfaction of easy access for boarding and the satisfaction on the accommodations. Regarding the variables which greatly influence in the AMENITY are also descending from the street furniture satisfaction for benches, pagora and litter boxes, satisfaction on the amount of trees of the boulevard, street furniture planter, satisfaction on the type of trees, street facilities traffic sign boards, satisfaction on the traffic information center, street furniture satisfaction on the bus & taxi stops and the bicycle parking lots, satisfaction on the obstacles in the entrance, satisfaction on the wall height of the entrance, street facilities maps illustrating near area, daily life information stands, satisfaction for the bus information boards, satisfaction for the rest & green space, facilities subway ventilation, the electronic switch boxes, satisfaction on the cooling tower, satisfaction on the design of the entrance, facilities traffic control equipment, signal control equipment. Second, 5 group factor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for the 18 variables. The first factors as the satisfaction on the street furniture, the second factors as the satisfaction on the rest & green area, the third factors as satisfaction on the subway entrance environment, the forth factors as the satisfaction toward the convenience, the fifth as the satisfaction on the safety respectively named. If a powerful elements influencing in its satisfac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e studied through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ose 5 factors, most powerful element expressed by the study was the satisfaction on the rest & green space, then the satisfaction on the street furniture, then the satisfaction on the safety, the Satisfaction on the subway entrance environment and finally the satisfaction on the convenience. Thus, the improvement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has to seek the solution from the variables order of the importance. The chapter five verified the hypothesis proposed in the chapter two through the result of the chapter four. The chapter six suggested the legal regulations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lso described indexes which are important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search by what elements the pedestrian feels the satisfaction, this article may have its meaning by being one of the milestone study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