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상지질혈증 유무에 따른 식생활요인 비교 분석 :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정민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actors and dyslipidemia, which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easily neglected due to the fact that the symptoms do not usually appear, although the prevalence rate is steadily increasing compared to other diseases among chronic diseases that occur more frequently due to changes in dietary environment. To this end, it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factors, and meal frequency factors according to subjects with or without dyslipidemia, and subjects classified by blood lipid level as the criteria for dyslipidemia in 2,431 adults over the age of 19 with valid data for the study factors, based on the data from the health survey,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Ⅶ-3). Then, it analyzed the difference in intake of representative food groups in subjects classifi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factors, and meal frequency factors, and subjects with or without dyslipidemia, and subjects classified by blood lipid level as the criteria for dyslipidemia. Also, subjects without dyslipidemia and subjects with dyslipidemia were separa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intake by representative food grou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lipid profiles of subjects with or without dyslipidemia, an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were confirmed to be significant as the criteria for dyslipidemi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level of lipids used as the criteria for dyslipidemia was found to be triglyceride in men and HDL cholesterol in women, and because when looking at men and women, and overall, HDL cholesterol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triglycerides, the management of triglycerides in men, HDL in women, and overall, 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found to be important. Also, the older you get, the more you need to be careful about managing these lipids, and as the more obese you are, the higher the rate of the total cholesterol level 'high' group, the triglycerides level ' high' and 'very high' group, the HDL cholesterol level 'low' group, and the LDL cholesterol level 'boundary' group tends to increase, obesity management was found to be important in managing lipids used as the criteria for dyslipidemia. In addition, overall, in the intake of each food group according to each factor, it was vegetables that were related the most, and meat was the least related to the factor. In particular, there was a difference in cereal&grain intake in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yslipidemia, and the cereal&grain intake in women with dyslipidemia was higher. In 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egetables and fruits according to HDL cholesterol level. The higher the HDL cholesterol level, the higher the vegetable intake and the lower the fruit intake. In addition, compared to those without dyslipidemia, grain and fruit intake in subjects with dyslipidemia tended to decrease, and vegetable intake increa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attempted to find implications by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yslipidemia and dietary factors. Also, as the importance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as a criteria of dyslipidemia is understood,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dietary habits to manage them i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intake by food group, so it can be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for dietary and nutrition education for the management of blood lipids used as the criteria for dyslipidemia and the prevention of dyslipidemia by correct dietary factors. 본 연구는 식생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만성질환 중에서, 다른 질환에 비해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소에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소홀하기 쉬운 이상지질혈증에 대하여 식생활요인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7기 3차년도(2018)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설문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반 및 건강 요인, 식사빈도 요인과 이상지질혈증 유무 및 혈중 지질농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유효한 데이터를 가진 만 19세 이상 성인 2,43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이들 요인에 따른 대표 식품군별 식품섭취량에 대한 집단별 차이 분석을 수행하고, 추가로 이상지질혈증이 없는 집단과 있는 집단을 따로 구분하여 식품군별 섭취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상지질혈증 유무와 이상지질혈증 기준 혈중 지질농도가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이 이상지질혈증의 기준 지질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반 및 건강 요인, 식사빈도 요인과 이상지질혈증 기준 혈중 지질농도 수준과의 유의한 연관성은 남자의 경우 중성지방이, 여자의 경우 HDL 콜레스테롤이, 남자와 여자와 전체를 통틀어 보면 HDL 콜레스테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중성지방인 것으로 나타나, 남자는 중성지방, 여자는 HDL 콜레스테롤, 전체적으로는 H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나이가 들수록 이들 지질관리에 더 유의해야 하며, 비만할수록 총콜레스테롤 수준 높음, 중성지방 수준 높음과 매우높음, HDL 콜레스테롤 수준 낮음, LDL 콜레스테롤 수준 경계 군의 비율은 점점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므로 이상지질혈증 기준 지질의 관리에 있어서 비만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 및 건강 요인, 식사빈도 요인에 따른 식품군별 섭취량의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요인에서 나타나는 것은 채소류이고, 가장 적은 요인에서 나타나는 것은 육류였다. 특별히, 여자에서 이상지질혈증 유무에 따라 곡류 섭취량의 차이가 있고,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여자의 곡류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에서 HDL 콜레스테롤 수준에 따라 채소류와 과일류의 유의한 차이가 있고, HDL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을수록 채소류 섭취량은 많고, 과일류 섭취량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상지질혈증이 없는 집단에 비해,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집단의 곡류와 과일류 섭취량은 줄어들고 채소류 섭취량은 늘어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상지질혈증 유무와 기준 혈중 지질농도를 중심으로 일반 및 건강 요인, 식사빈도 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식품군별 섭취량의 차이 분석을 통해 각 요인 간의 관계와 차이점을 파악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이상지질혈증과 식생활요인의 연관성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상지질혈증의 기준으로서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하고, 식품군별 섭취량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해 식습관 개선 방향을 파악하여 올바른 식생활요인에 의해 이상지질혈증 기준 지질을 관리하고 이를 통해 이상지질혈증 예방을 위한 식생활과 영양교육의 중요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공간통계 기법에 의한 대심도 해저 지질구조선 분석

        권오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Subsea tunnel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globally, and in Korea a link from the mainland to Jeju Island is gaining attention. Safe tunneling requires identifica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a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including faults; however, unlike when tunneling on l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structural data during marine geological surveys. This study addresses such difficulties by developing technology to identify automatically geological lineaments on the deep seabed using echo sounding data. When investigating a potential site for a deep subsea tunnel, there are technical and economic limitations to borehole inspection and geophysical surveys. However, echo sounding data are easily obtainable and provide more reliable information than borehole inspection and geophysical surveys. This study develops an algorithm for large-scale geostatistical identification of geological lineaments on the seabed. The work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opographic features indicate geological structure. The algorithm’s basic concept is outlined as follows: (1) convert the seabed topography to grid data using echo sounding data, (2) apply a moving window of optimal size to the grid data, (3) estimate the spatial statistics of the grid data in the window area, (4) set the quantile cut-off value for spatial statistics, (5) display values satisfying the cut-off value standard on a map, (6) visualize the geological lineament on the map. Important elements in this study include the optimal spacing of the data grid, the size of the moving window, the kinds of optimal local statistics, and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quantile cut-off value standard. To optimize these elements, numerous sim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real bathymetric data. For ease of simulation, a user program based on R was developed using the geological lineament analysis algorithm. R is an open source software package and is mostly commonly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user program was designed to identify variations of the various spatial statistics. It expedites analysis of the geological structure, based on variations in spatial statistics, by arranging the spatial statistics by type and percentile standard. The main factors of the algorithm applicable to the seabed were determined by generalizing the process of automatic derivation of geological lineaments on land and carrying out various analyses using geophysical data of a virtual subsea tunnel. The first stage of the algorithm extracts relevant seabed topographic data from multi-beam echo soundings at a grid interval of 50 m. In the second step, the extracted data are based on a rectangular area, and the area without data is defined as N/A. In the third step, a 5 × 5 moving window is applied, and moving dispersion statistics are calculated for each area. The fourth step visualizes the map with a higher quantile cut-off standard of 10% of the moving dispersion statistics. In the fifth step, the optimal geological lineament is determined using the finally visualized results of the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ally, sustained sediment deposition can smooth the terrain and obscure the underlying geological structure. To overcome this problem, a method is proposed to identify and analyze geological lineaments using acoustic basement data,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results by using seabed topographic data from multi-beam echo soundings.

      • 산란계의 지방간출혈증후군 발생 억제를 위한 지질 및 에스트로겐 대사 조절에 관한 연구

        이보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산란계를 대상으로 에스트라디올 처리가 간 내 지질 축적 정도와 체내 생리적, 대사적 변화 및 에스트로겐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항지방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영양소 및 생리활성물질들을 간 내 지질축적이 가속화되는 산란 후기의 닭에게 추가 급여하여 간 내 지질축적의 완화 정도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및 에스트로겐 대사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향후 지방간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연구에 유용한 실험적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1은 산란계를 공시하여 에스트라디올을 수준별로 처리함으로서 간 내 지질 축적 정도, 생리적 변화 및 지질 대사와 에스트로겐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의 mRNA 발현량의 차이를 관찰하여 에스트로겐이 FLHS의 진행과 이와 관련한 지질 대사 및 에스트로겐 대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간의 상대적 중량은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한 모든 처리구에서 에스트라디올을 처리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하여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간 내 손상지표인 GOT 및 GPT 활성은 에스트라디올 처리구가 옥수수유를 처리한 대조구에 비하여 에스트라디올 처리수준에 비례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혈장 내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옥수수유를 처리한 대조구에 비하여 에스트라디올 처리구에서 처리수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혈장 내 VLDL 농도 또한 대조구에 비하여 에스트라디올 처리구에서 처리수준에 비례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간 내 중성지방의 농도는 에스트라디올의 처리에 의하여 약 3배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MDA 농도도 역시 에스트라디올 처리에 의하여 증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에스트라디올을 처리구의 간 내 FAS, apoB, PPARγ, ACLY 및 CYP3A37의 mRNA 발현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4에서 23배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항지방간 영양소인 메치오닌, 콜린, 토코페롤, 바이오틴 및 판토텐산을 산란 후기사료에 추가 급여하여 간 내 지질 축적 정도와 기타 생리적 변화 그리고 간 내 지질대사 및 에스트로겐 대사와 관련된 mRNA 발현량 변화를 조사함으로서 항지방간 영양소들의 효과를 재검증하고 항지방간 영양소가 닭의 체내에서 어떠한 원리로 간 내 지질축적을 완화하는지를 규명하기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저에너지구에서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산란율은 유의하게 높은 반면 난중은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일산란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고에너지구에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첨가급여한 처리구의 경우 산란율 및 일산란량에서 다른 모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관찰되었으며, 난중은 저에너지구에 비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고에너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관찰되었다. 고에너지구에 바이오틴 및 판토텐산을 첨가급여한 처리구에서는 산란율과 일산란량은 고에너지구 및 저에너지구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난중에서는 모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관찰되었다. 간의 상대적 중량은 고에너지구에 판토텐산 및 바이오틴을 첨가급여한 처리구는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저에너지구 및 고에너지구에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첨가급여한 처리구는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복강지방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저에너지구는 다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고에너지구에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첨가급여한 처리구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으나, 고에너지구에 판토텐산 및 바이오틴을 첨가급여한 처리구에서는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장 내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저에너지구와 고에너지구에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첨가급여한 처리구에서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관찰되었다. 간 내 중성지방 농도에는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저에너지구와 고에너지구에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추가 급여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관찰되었다. 지질 과산화물인 MDA 농도는 다른 모든 처리구에 비하여 고에너지구에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추가 급여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관찰되었다. 간 내 PPARα mRNA 발현량은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고에너지구에 판토텐산 및 바이오틴을 첨가급여한 처리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저에너지구 및 고에너지구에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첨가급여한 처리구에서는 약 2.3배 유의하게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지방대사 관련 유전자에 있어서는 apoB mRNA 발현량에서만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고에너지구에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첨가급여한 처리구에서만 약 2배가량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CYP3A37 mRNA 발현량에서는 저에너지구 및 고에너지구에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첨가급여한 처리구에서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실험 3에서는 MSM, 실리마린 및 lysolecithin을 산란 후기사료에 추가 급여하여 간 내 지질 축적 정도와 기타 생리적 변화 그리고 간 내 지질대사 및 에스트로겐 대사와 관련된 mRNA 발현량 변화를 조사함으로서 이들 물질들의 효과를 검증하고 항지방간 영양소가 닭의 체내에서 어떠한 원리로 간 내 지질축적을 완화하는지를 규명하기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사료섭취량, 산란율 및 난중에서는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장 내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저에너지구와 실리마린 처리구에서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관찰되었고, 간 내 중성지방 농도에서는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사료 내 에너지 함량을 낮추어 준 저에너지구와 MSM 및 실리마린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지방 대사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량에서는 PPARα mRNA 발현량은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저에너지구, MSM 및 실리마린 처리구에서 약 2.5에서 3.5배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FAS mRNA 발현량은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저에너지구, MSM 및 실리마린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ACC mRNA 발현량에서는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저에너지구 및 MSM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나 역시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ApoB의 mRNA 발현량은 MSM 및 실리마린 처리구에서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약 2배가량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CYP3A37 mRNA 발현량에서 저에너지구 및 MSM 처리구의 발현량이 고에너지구에 비하여 약 1.5배가량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산란계의 간 내 지질 축적에 있어 에스트로겐이 주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사료 내 에너지를 낮추어 주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사료 내 메치오닌, 콜린 및 토코페롤을 추가 급여하거나 MSM 및 실리마린을 첨가급여하였을 때 간에서의 지질 분해 및 지질 분비의 촉진에 의하여 간 내 지질 축적을 완화하여 주었으며, 혈 중 에스트라디올 수준이 이러한 작용과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CYP3A37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에 미루어 이러한 반응이 에스트로겐 대사의 촉진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된다. 다만 이러한 반응이 CYP의 발현 증가에 의한 혈 중 에스트로겐 감소에 의한 지질축적 억제작용인지 기타 다른 원리에 의한 부수적인 작용인지의 규명 및 에스트로겐 합성단계에서의 조절기전에 대해서도 좀 더 심도있는 추후연구를 통하여 조사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laying hens at the late stage of egg productio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stradiol (E2) upon hepatic lipid accumulation, the effects of dietary lipotropic factors and bioactive substances on hepatic lipid and estrogen metabolism. In Exp. 1, investigations were made into the effects of E2 administration into laying hens on lipid and estrogen metabolism. A total of thirty 60-wee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fed commercial diets for 3 weeks. The hens were intramuscularly injected with E2 on daily basis for 3 weeks. The dosages were 0, 0.5 and 1.0 mg/kg body weight, with corn oil injections used as a control. Production performance and egg qua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liver weights of hens treated with E2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increments of liver weigh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rum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GPT) activities and plasma E2 concentration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plasma E2 concentration increasing from 6,900 pg/mL to 19,000 pg/mL.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e cholesterol and phospholipids were observed in the liver,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hepatic triacylglycerol levels by E2 treatment. The E2 injection showed an increased expression of mRNA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γ (23-fold) but not for PPARα.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fatty acid synthase (FAS), apolipoprotein B (ApoB) and ATP citrate lyase (ACLY) but not in acetyl CoA carboxylase (ACC), apolipoprotein VLDL-II (ApoVLDL-II),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port protein (MTP) and malic enzyme (ME). Among proteins involved in the oxidation of E2, only cytochrome P450 (CYP) 3A37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ment by the E2 treatment. In Exp. 2, examinations were made on the effects of dietary lipotropic factors (LF) on hepatic lipid and estrogen metabolism. A total of one- hundred and sixty, 60-wee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ed each experimental diet (HE, high energy; LE, low energy; HE + LF1, high energy with additional methionine, choline and vitamin E; HE + LF2, high energy with additional biotin and pantothenic acid) for 6 weeks. The fee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ietary treatments. The egg production of HE + LF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LE and HE + LF2. However, HE was lowest in the laying performance among the group. The egg weight of LE, HE + LF1 and HE + LF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E. The egg mass in hens fed the HE + LF1 die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shell strength, eggshell thickness and Haugh unit among the groups. The relative weights of liver in LE and HE + LF1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abdominal fat of HE + LF1 weighed least, but those of HE and HE + LF2 did most. The levels of GOT, GPT and VLDL in the blood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ietary treatments. The E2 concentrations in the blood of LE and HE + LF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HE. The hepatic triacylglycerol contents in LE and HE + LF1 groups were grea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HE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RNA expressions of PPARγ, SREBP1, FAS, ACC, apoVLDL-II, MTP, ACLY and ME were observed, bu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PARα and apoB mRNA expressions of the HE + LF1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CYP3A37 mRNA expression of LE and HE + LF1 group as compared with the HE group but not in ERα, CYP1A1 and CYP1B1. In Exp. 3, the effects of dietary bioactive substances on hepatic lipid and estrogen metabolism were studied by the use of methylsulfonylmethane (MSM), silymarin and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 total of two-hundred 60-wee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fed each experimental diet (HE, high energy; LE, low energy; MSM, high energy with methylsulfonylmethane; Silymarin, high energy with silymarin; LPC, high energy with lysophosphatidylcholine) for 6 weeks. The measurements of laying performance such as feed intake,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daily egg mass were not influenced by the dietary treatm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ither egg qualities (eggshell strength, eggshell thickness and Haugh unit) or the relative weights of measured organs (liver, spleen, abdominal fat) among the groups. The significantly lower R.C.F. (yolk color) of LE seemed to be attributed to the low inclusion of corn gluten meal in the LE diet. The blood levels of GOT, GPT and VLDL were similar among the dietary treatment groups. The E2 concentrations in the blood of Low energy and Silymarin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High energy group. The hepatic triacylglycerol contents in LE, MSM and Silymarin group were great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HE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RNA ecpressions of PPARγ, SREBP1, FAS, ACC, apoVLDL-II, MTP, ACLY and ME were observed, but there were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PARα and apoB mRNA expressions of the MSM and Silymari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RNA expressions of ERα, CYP1A1, CYP1B1 and CYP3A37. In conclusion, the results presented here confirmed that E2 administration induced lipid accumulation in the liver of laying hens in a dose-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E2 up-regulate the fatty acids and triacylglycerol synthesis and the hepatic lipid accumulation by increasing mRNA expression related to lipid metabolism such as PPARγ, ACLY, FAS and ApoB. And also an excess of E2 in blood leads to activate E2 catabolic metabolism related mRNA expressions. Dietary supplementation of additional lipotropic factors such as methionine, choline, tocopherol, and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MSM and Silymarin reduc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by increasing mRNA expression related to lipid metabolism (lipolysis, β-oxidation and lipoprotein secretion from liver) such as PPARα, ApoB and estrogen metabolism (CYP3A37). These findings provide basic data to be used for further research to alleviate the lesion of FLHS of laying hens caused by circulating estrogen.

      • 지질유산의 정량적 가치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박준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번 연구는 국내 지질유산의 가치를 보다 종합적인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정량적 가치평가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사례 적용연구를 통해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질유산의 주요 가치를 과학적 가치(Vsc), 사회-관광학적 가치(Vst), 보호 제도적 가치(Vpr), 심미적 가치(Vae)로 구분하고, 총 22개의 세부항목으로 세분화하여, 평가등급을 0점에서 4점까지 총 5단계로 정량화 하였다. 설정된 세부항목은 구체적으로 과학적 가치의 경우 출판물(vsc.1), 연대 측정 현황(vsc.2), 지질학적 특성(vsc.3), 희귀성(vsc.4), 대표성(vsc.5), 보존상태(vsc.6) 항목으로 6개의 항목을 설정하였으며, 사회-관광학적 가치의 경우 접근성(vst.1), 교육적 잠재성(vst.2), 설명 표지판(vst.3), 기반시설(vst.4), 주변 자연유산(vst.5), 주변 문화유산(vst.6), 연평균 방문자 수(vst.7) 항목으로 7개의 항목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보호 제도적 가치는 법적 보호제도(vpr.1), 물리적 보호시설(vpr.2), 훼손 가능성(vpr.3) 항목으로 3개의 항목, 심미적 가치의 경우 가시성(vae.1), 관찰지점(vae.2), 규모(vae.3), 색 대비(vae.4), 형상화(vae.5), 전설 혹은 민담(vae.6) 항목으로 6개의 항목을 설정하였다. 개발된 평가항목의 가중치 설정을 위하여 전문가 22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신뢰도 분석과 계층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를 지질학전문가 집단과 비지질전문가 집단으로 분류하여 세부항목 별 중요도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지질유산의 가치를 보다 다양하고 종합적인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이자, 평가항목의 가중치가 적합하게 설정된 것으로 해석된다. 개발된 가치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영월의 고씨굴, 문곡리 스트로마톨라이트, 한반도 지형, 태백의 구문소, 삼척의 통리협곡 (미인폭포), 환선굴에 사례 적용연구를 실시하였다. 종합적 가치평가 결과, 고씨굴은 71.462점, 문곡리 스트로마톨라이트는 57.469점, 한반도 지형은 53.192점, 구문소는 75.971점, 통리협곡은 44.122점, 환선굴은 80.165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가치평가 모델의 객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제3의 전문평가자 1명을 지정, 동일한 가치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같은 대상의 지질유산 사례에 대한 평가를 의뢰하여, 저자에 의한 사례 적용연구 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세부항목 평가등급에 1점의 근소한 차이가 있기는 하였으나, 종합적 가치 평가등급의 순위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세부항목의 평가등급에 차이가 발생한 것은 해당 항목의 등급별 내용을 설정함에 있어서 정성적인 요소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질유산의 정량적 가치평가 모델은 앞으로 나아갈 국내 지질유산의 평가 및 관리체계 수립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평가방법론적인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앞으로 조성될 국가지질공원과 관련하여, 지질공원을 구성하는 주요 지질장소를 보다 정량적이고 다양한 가치 측면의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선정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평가 당시 지질유산이 가지는 관리적 측면에서의 취약점을 정확히 진단하여, 향후 지질유산의 관리‧유지 및 활용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for comprehensive and objective evaluation of various geoheritages, and to verify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specific cases in Korea. This model contains 4 main-criteria for evaluating geoheritages: scientific value(Vsc), Socio-tourism value(Vst), Protection value(Vpr) and Aesthetic value(Vae). And sub-criteria are subdivided into 22 items represented as 0 to 4 in numeric scale. The sub-criteria are: publication(vsc.1), dating methods(vsc.2), geological feature(vsc.3), rarity(vsc.4), representativeness(vsc.5) and integrity(vsc.6) of Vsc, Accessibility(vst.1), tourist and educational potential(vst.2), information sign system(vst.3), infrastructure(vst.4), nearby other natural heritages(vst.5), nearby cultural heritage(vst.6) and number of annual visitors(vst.7) of Vst, legal protection degree(vpr.1), physical protection(vpr.2) and possibility of damage(vpr.3) of Vpr and visibility(vae.1), view point(vae.2), scale(vae.3), color contrast(vae.4), figuration or metaphor(vae.5) and legend or folk tale(vae.6) of Vae. The weight value for each sub-criteria was assigned based on the responses of questionnaire surveys from 22 domestic geoheritage experts using likert scale about importance. Also, reliability analysis and AHP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urvey results. The score of each main-criteria is the sum of each weigh value of sub-criteria, and the score of total value is the sum of each weight value of main-criteria. In addition, evaluating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applicability of the model using several Korean geoheritage sites. The geoheriges are Gossi Cave, Mungokri Stromatolite and Hanbando topography in Yeongwol-gun, Gumunso in Taebaek-si and Tongri Canyon and Hwanseon Cave in Samcheok-si, all which are located in Gangwon Province, Korea. The result of evaluation of the geoheritage sites in Gangwon Province, Korea by the model is as following: Gossi Cave(71.462), Mungokri Stromatolite(57.469), Hanbando topography(53.192), Gumunso(75.971), Tongri Canyon(44.122) and Hwanseon Cave(80.165). In conclusion, the developed quantitative model for evaluating geoheritages has been reasonably well functioned and can be further used for future analysis of geoheritage sites which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in many aspects.

      •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진단 후 신체활동을 통한 개선효과

        한정화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ealth behavior and the degree of its improvement according to a socioeconomic level after the diagnosis of dyslipidemia. Methods : The subjects include 16,060 individuals that were aged 40 or older, received a checkup both in 2009 and 2015, and were diagnosed with dyslipidemia in 2009.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yslipidemia included gender, age, insurance premium quintile, obesity,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ies. Data was put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improvement of dyslipidemia patients and their premium quintile and also to the Kruskal-Wallis test to examine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scores among the four premium quintile groups. Results : The improvement rate of dyslipidemia increased according to the higher premium quintile in 16,060 dyslipidemia patients, and its model fitness was confirmed in a multiple logistic analysis(p<0.001). There were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remium quintile with higher physical activity scores in the higher quintile grade, which was confirmed in a trend test(p<0.001). Of 16,060 patients, a total of 7,438(46.3%) showed an improvement in dyslipidemia. Of them, the improvement rate of LDL cholesterol was the highest at 82%. The improvement rate was lower according to the higher premium quintile grade as a socioeconomic indicator.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2009-2015 after the diagnosis of dyslipidemia in 2009 according to the premium quintile as a socioeconomic indicator and found that the improvement rate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emium quintile (p<0.017). The improvement rate of dyslipidemia also increased according to the higher scores of continuity and intensity in physical activities (p<0.023). The improvement rate through physical activities was higher according to the higher premium quintile grade(p<0.022).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physical activities make a very important method of correction in dyslipidemia. There were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premium quintile as a socioeconomic level. The practice rate of physical activities after the diagnosis of dyslipidemia increased according to the higher premium quintile grade as a socioeconomic level. The resulting improvement effects also increased according to the higher premium quintile grade. Key words: socioeconomic level, dyslipidemia, health behavior, physical activity 목적 :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진단 후 이후 건강행태와 개선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만 40세 이상 2009년, 2015년 2개년 모두 건강검진 받은 수검자로 2009년 이상지질혈증을 진단받은 16,060명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상지질혈증의 유병 및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 나이, 보험료분위, 비만, 흡연, 음주, 신체활동을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이상지질혈증 유병자의 개선이 보험료 분위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보험료 분위수 4개 그룹 간 신체활동 점수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이상지질혈증 16,060명 중 보험료분위별 이상지질혈증 개선율은 분위가 높아질수록 증가 되었고 이는 다중로지스틱분석을 통하여 모델 적합도를 확인 하였다(p<0.001). 보험료 분위별로 신체활동의 차이를 보였으며, 분위가 높아질수록 신체활동의 점수가 높았다. 이는 추세검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p<0.001). 이상지질혈증 유병자 16,060명 중 개선된 대상자는 총 7,438명으로 46.3%가 개선이 되었다. 그중 높은 저밀도콜레스테롤혈증 유병자의 개선율이 82%로 가장 높았다. 사회경제적지표인 보험료 분위별로 분위가 높아질수록 개선율이 낮았다. 사회경제적 지표인 보험료 분위에 따라 2009년에 이상지질혈증을 진단 이후 2009-2015년 개선의 정도의 차이는 보험료분위가 높아질수록 이상지질혈증 개선율이 증가 하였다(p<0.017). 또한, 신체활동 연속성과 강도에 따른 점수가 높아질수록 이상지질혈증의 개선율이 높아졌다(p<0.023). 보험료분위가 높아질수록 신체활동을 통한 개선율이 높았다 (p<0.022). 결론 : 이상지질혈증에 신체 활동은 매우 중요한 교정 방법임이 본 연구에서 확인 되었다. 또한 사회경제적 수준인 보험료 분위별로 신체활동 건강행태의 차이를 보였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이상지질혈증 진단 이후 신체활동은 보험료 분위가 높을수록 실천율이 높았으며, 이에 따른 개선효과 또한 분위가 높을수록 개선효과가 높았다. 주제어 : 사회경제적수준, 이상지질혈증, 건강행태, 신체활동

      •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 일대의 지질구조 및 지질모델링

        이승규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구지역은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과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일대이고, 연구지역의 지질은 전기 고생대의 조선누층군의 두위봉형에 해당된다. 캠브리아기의 장산층, 묘봉층, 풍촌층, 화절층과 오르도비스기의 동점층, 두무동층, 막동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부정합으로 피복하고 있는 충적층으로 구성된다. 이중 산업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고생대 캠브리아기에 해당하는 풍촌층은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에 의해 명명되어 있으며 암상에 따라 풍촌층 상부 석회암대, 풍촌층 하부 석회암대로 세분하였다. 연구지역의 지층 분포는 크게 동-서로 발달하는 백운산 향사대의 남쪽날개에 해당되며 동점단층과 이에 파생된 남-북 방향의 2개의 좌수향 주향이동단층과 북동-남서 방향의 드러스트에 의해서 규제되며 노두규모의 소습곡 등이 인지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MOVE 2017 프로그램을 통한 연구지역내에 3D 지질학적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한 가지 지표를 세우고 시험, 정의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의 3D 지질 모델링은 두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연구지역의 DEM(digital elevation model)과 수치지형도 1/5,000 축척의 지질도 완성본을 결합해서 DEM 과 지질도의 합본인 2.5-D 지질학적 모델을 생성하였고 2.5-D 지질 모델은 전통방식의 2-D 지질도보다 지형적 요소와 지층의 선후 관계 및 지질구조를 이해하는 데 더욱 용이하다. 두 번째로 기존 야외지질조사 자료와 최신의 방식의 자료를 이용 하여 지하 및 지층의 지질구조를 보다 더 잘 형상화 되어있다는 점이다. 3D 모델링을 통해 지층 및 지질구조에 대해 보게 된다면, 2D 단면도 상에서 보는 것보다 이해가 쉽게 되고, 연구지역내에 동점단층과 그에 파생된 좌수향 주향이동단층과 습곡의 모습을 보는 것이 더욱 쉬워질 것이다. 이를 통해 연구지역내에 변형사를 알고 쉽게 이해하게 된다면, 산업에서 유용광물로 쓰이는 풍촌층 상부 고품위 석회암 개발이 정확하고 쉽게 될 것이 분명하다. 주요어 : 지질모델링, 3D모델링, 주향이동단층, 습곡, 변형사, 동점단층, 백운산향사대

      •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연천 지역의 '자기 안내식 해설' 매체를 통한 스스로 이해 가능 정도 : 이독성과 교육과정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민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cience’ emphasizes interest and curiosity in science through various inquiry-oriented learning and scientific inquiry in real life. ‘Earth science’ has a variety of spatio-temporal scales, so there are limits to learning based on geoscience inquiry at school sites, but geoscience inquiry can be conducted by conducting outdoor learning in a geopark. Through the observation and experience of earth science phenomena in the geopark, i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students. In order for visitors to the Geopark to improve their interest in and basic knowledge of Earth science through viewing of the geologic heritage, specialized content related to geology must be conveyed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Self-guided’ media should be easy to understand and tailored to the visitor’s level of background knowledge to convey professional content to the visitor and enable the visitor to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the geo-heritag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degree to which visitors to Geopark can read and understand the self-guided media text, the level of 'reada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graphics, and the level of curriculum are investigated. In the Hantangang River Geopark, on-site surveys and analyzes were conducted on 48 ‘self-guided commentary’ media such as information boards, booklets, leaflets, and internet websites that exist in 9 geological attractions in the Yeoncheon area with high geological diversity. The site was visited twice to investigate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board and to take pictures. Leaflets and booklets were collected, and data presented on the Internet homepage were collected online. Analysis criteria were developed and modifi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factors and graphic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board readability and the degree of inclusion in the curriculum through related prior research and data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commentary media,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tent of commentary media. As for the type of commentary media, information boards were the most common (39.6%), followed by homepages (37.5%), leaflets (16.7%), and booklets (6.3%). Information boards exist near most of the geosites, so you can get information on the geosites, but there are also geosites where it is difficult to obtain related information because there are no information boards. As for the contents of the commentary media, geosite information (70.83%)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comprehensive information (31.25%) and story information (18.75%). Effective geology education can be provided by using a comprehensive guide that can contextually understand the individual geosites formed in a geopark and a story guide that can increase the interest of visitors. Second, among the quantitative factors of comprehension, the quantity is higher than the number of letters that adults can read in 60 seconds, the number of letters included in a sentence is 49.37, and the number of words is 15.67, which is higher than the 12th grade level as a result of previous research in science textbooks. If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a sentence increases, comprehension is lower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various meanings to understand a sentence. For the lexical analysis, the vocabulary grade of 'Vocabul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Level' (Kim Gwang-hae, 2003) was used. The average grade by vocabulary level was analyzed as 50.68% for grade 1, 14.52% for grade 2, 14.52% for grade 3, 9.25% for grade 4, and 11.03% for grade 4. The average vocabulary level was 2.15, which was similar to the vocabulary level of the 11th grade science textbook. Since the ratio of complex sentences is higher than that of short sentences, it is possible to improve comprehension by modifying complex sentences to short sentences and changing them to lower grade words that have the same meaning as higher grade words. Third, for graphics, photos (81.15%)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drawings (12.3%), maps (4.92%), and tables (1.54%). As for the graphic function, illustrative function (76.23%) was used the most, followed by explanatory function (14.75%) and supplementary function (9.02%). The information board had the largest number of photos used as illustrative features, so it was easy to recognize by designating the target of the geosite, and the homepage had explanations above the photos, so it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visitor education. Multiple structure graphic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Hantan River according to the flow. Graphics should be used to help understand the text. As the individual graphic area occupies 5% of the total area on averag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picture and correct the damaged graphic. Finally, among the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commentary media, 86.31% of the scientific terms included in the 2015 Science Curriculum ‘Solid Earth’ area, and 13.69% are not included in the curriculum, so a glossary is required for visitors’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grade, 4th grade terms were the most common (34.98%), followed by 11th grade terms (26.62%). There were many terms in the optional curriculum, 11th grade (Earth Science I), making it difficult for general visitors to understand.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elect geological attractions and interpretation media suitable for the level of visitors and to use them for effective geological education. Interpretive media of geoparks should be made for visitors who can read and understand them.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adable quantitative factors, graphics, and scientific terminology, there were factors that made it difficult for visitors to understand by themselves depending on the geosite and commentary media, and supplementation and correction methods were proposed.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dentify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explanatory medium, and use it to create an explanatory medium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visitors to revitalize geological resource education and expect development in the geology field.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는 다양한 탐구 중심 학습과 실생활 속 과학적 탐구를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가질 것을 강조하고 있다. ‘지구과학’은 시공간적 규모가 다양해 학교 현장의 지구과학 탐구 중심 학습에 한계가 있으나 지질공원에서 야외학습을 진행한다면 지구과학적 탐구를 할 수 있다. 지질공원에서 지구과학 현상 관찰, 경험을 통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질공원 방문객이 지질유산 관람을 통해 지구과학에 관한 관심과 기본 소양을 향상하기 위해 지질학과 관련된 전문적 내용을 방문객이 이해하기 쉽게 전달해야 한다. 방문객에게 전문적 내용을 전달하고 방문객이 지질유산과 상호 작용하며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자기 안내식 해설(self-guided)’ 매체는 방문객이 이해하기 쉽고 방문객의 배경 지식수준에 맞춰 작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질공원 방문객이 자기 안내식 해설 매체 텍스트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독성(readability)’ 수준과 그래픽의 특성, 교육과정 수준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탄강 지질공원에서 지질 다양성이 높은 연천 지역의 지질명소 9곳에 존재하는 ‘자기 안내식 해설’ 매체인 안내판, 소책자, 리플릿, 인터넷 홈페이지 48개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 및 분석을 시행하였다. 두 차례 현장을 방문하여 안내판의 위치를 조사하고 사진 촬영을 하였다. 리플릿과 소책자를 수집하고, 인터넷 홈페이지에 제시된 된 자료는 온라인으로 수집하였다. 관련 사전 연구와 자료 검토를 통해 안내판 이독성의 양적 요인과 그래픽 특성 그리고 교육과정 포함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준거를 개발 및 수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설 매체 현황 파악을 위해 해설 매체 종류와 내용에 따라 분류하였다. 해설 매체 종류는 안내판이 가장 많고(39.6%), 홈페이지(37.5%), 리플릿(16.7%), 소책자(6.3%) 순이었다. 대부분 지질명소 근처에 안내판이 존재하여 지질명소에 대한 안내를 얻을 수 있지만, 안내판이 존재하지 않아 관련 정보를 얻기 어려운 지질명소도 존재하였다. 해설 매체 내용은 지질명소 안내(70.83%)가 가장 많았으며, 종합 안내(31.25%), 스토리 안내(18.75%) 순이었다. 하나의 지질공원에서 형성된 개별 지질명소를 맥락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종합 안내와 방문객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스토리 안내를 사용한다면 효과적인 지질 교육을 할 수 있다. 둘째, 이독성의 양적 요인 중 분량은 성인이 60초 동안 읽을 수 있는 글자 수보다 많고 한 문장에 포함된 글자 수는 49.37개이며 어절 수는 15.67개로 과학 교과서 선행 연구 비교 결과 12학년 수준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한 문장에 포함된 어절의 개수가 많아지면, 한 문장을 이해하는데 다양한 뜻을 해석해야 하므로 이독성이 낮아진다. 어휘 분석을 위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김광해, 2003)의 어휘 등급을 사용하였다. 어휘 등급별 평균 등급은 1등급 50.68%, 2등급 14.52%, 3등급 14.52%, 4등급 9.25%, 등급 외 11.03%로 분석되었다. 평균 어휘 등급은 2.15로 11학년 과학 교과서 수준의 어휘 등급과 유사했다. 단문보다 복문 비율이 높으므로 복문을 단문으로 수정하고, 등급이 높은 어휘와 같은 뜻을 가진 등급이 낮은 어휘로 변경을 통해 이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모든 항목에서 안내판보다 홈페이지 이독성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그래픽은 사진(81.15%)이 가장 많고 그림(12.3%), 지도(4.92%), 표(1.54%) 순이었다. 그래픽 기능은 예시적 기능(76.23%)이 가장 많고, 설명적 기능(14.75%), 보충적 기능(9.02%)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안내판에는 예시적 기능으로 사용된 사진이 가장 많아 지질명소 대상을 지정하여 쉽게 알아볼 수 있었고, 홈페이지에는 사진 위에 설명이 있어 방문객 교육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다중 구조 그래픽이 사용되어 한탄강 형성과정을 흐름에 따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래픽은 텍스트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사용되어야 한다. 그래픽 개별 면적이 평균 전체 면적의 5%를 차지하고 있어 그림의 크기를 키우고, 훼손된 그래픽은 수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해설 매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과학 용어 중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고체지구’영역 포함된 과학용어는 86.31%이며, 13.69%는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방문객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 해설이 필요하다. 학년별 분석 결과 4학년 수준의 용어가 가장 많고(34.98%), 두 번째로는 11학년 수준의 용어(26.62%)가 많았다. 선택 교육과정인 11학년(지구과학Ⅰ)의 용어가 많아 일반 방문객의 이해가 어려우며, 지질명소별로 학년 수준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안내판보다 홈페이지에 사용된 용어 수준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방문객 수준에 적합한 지질명소와 해설 매체를 선택할 수 있고 효과적인 지질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지질공원의 해설 매체는 읽고 이해하는 방문객을 위해 만들어져야 한다. 이독성 양적 요인, 그래픽, 과학 용어 분석 결과 지질명소와 해설 매체에 따라 방문객 스스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요인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 및 수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설 매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방문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해설 매체를 작성하여 일반 관람객의 지질자원 교육을 활성화하고 지질학 분야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 백서를 이용한 잣기름과 산초기름의 지질대사 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태우 강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현대사회는 경제성장 및 식생활의 서구화 경향으로 동물성 식품과 지방섭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만과 고지혈증, 동맥경화 및 심근경색 등의 순환기계 질환이 유발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2013년 보건복지부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고중성지방혈증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고중성지방혈증과 같은 지질대사 유발에는 유전적인 요인, 간질환, 신장질환, 당뇨병 및 내분비질환 등의 1차적 발병요인과 운동부족, 노화 및 환경 인자와 식습관 등의 2차적 발병요인이 알려져 있으며 지질대사 이상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해서는 식사요법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단순조리용으로만 이용되던 식용유지가 well-being, anti-trans fats의 마케팅 개념과 연계되어 건강 지향적 이미지가 부각되었고 올리브유, 해바라기씨유, 카놀라유, 포도씨유, 쌀눈유와 같은 건강 지향적 식용유지의 판매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식물성 유지자원에는 중성지방, 불포화지방산뿐만 아니라 phytosterols, flavonoids, 지용성 비타민류 등이 함유되어 있어 비만, 고혈압, 지질대사 이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는 식용유지의 주를 이루던 대두유를 대체할 수 있는 건강 지향적 식용유지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건강 지향적 기능을 가진 식용유지의 개발 전망은 밝으며 강원도 대표 유지자원인 잣과 산초를 전통적으로 소염, 건위, 천식, 자양강장, 기관지염 등에 사용되는 약용자원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는 동물실험과 in vitro 실험을 통해 지질대사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을 유발한 백서에 잣기름과 산초기름을 각각 7%, 15% 섭취시킨 후 혈액분석, 동맥경화지수, fatty streak area, TBARS 및 PON activity를 측정하였고 HUVECs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통해 잣기름의 항동맥경화 효과를 규명하고 3T3-L1 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통해 산초기름의 혈액내 지질개선 기전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항동맥경화 기능검증 실험결과 동맥경화가 유도된 백서에 잣기름을 급여하여 혈액내 지질분석, 동맥내 지질침착, TBARS, PON activity, fatty streak area를 분석한 결과 유의적인 항동맥경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in vitro 실험결과 ICAM-1, VCAM-1 mRNA의 발현, ICAM-1, VCAM-1 단백질 발현 및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액내 지질개선 기능검증 실험결과 이상지질혈증이 유도된 백서에 산초기름을 급여하여 혈액내 지질분석, 동맥경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고환지방의 무게 감소, LPL의 단백질 발현 증가, leptin 단백질 발현 감소의 결과를 통해 산초기름의 급여가 혈액내 지질 개선뿐만 아니라 세포내 지방축적 억제에도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T3-L1 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실험결과 동물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LPL 단백질 발현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방 세포내 축적된 지방의 분해에 관여하는 HSL이 PKA에 의한 인산화경로를 통해 HSL의 563번째 Serine이 인산화 됨으로써 활성화되어 축적된 지방을 glycerol과 fatty acid로 분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잣기름과 산초기름이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할 수 있는 건강 지향적 식용유지로써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산업적 대량 생산시스템이 갖추어진다면 산업적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economic growth and westernization of dietary trends. The increasing consumption of animal products and fat has consequently led to an increased incidence of obesity, hyperlipidemia, atherosclerosis, and myocardial infarction-induced circulatory diseases. According to data from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3 and the National Health Statistics, cases of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triglyceridemia disease are increasing annually. Causes of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triglyceridemia include genetic factors, liver and kidney disease, diabetes, and endocrine disorders. In addition, these conditions are influenced by secondary factors such as lack of exercise, environment, and poor diet. Diet therapy has been shown to prevent and improve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lipid metabolism abnormalities. Recentl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health communities have expressed interest in research examining soybean oil as a functional edible oil. This plant resource contains triglycerides, fatty acids, as well as phytosterol, flavonoids, and fat-soluble vitamins, and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against obesity,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In this study, we analyzed Pinus koraiensis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for their efficacy in preventing atherosclerosis, obesity, and dyslipidermia. Two varieties of plants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treat lipid metabolism abnormalities. For the experimental methods, HUVECs were used to verify anti-atherogenic efficacy and the 3T3-L1 cell was used to evaluate their effects on lipid metabolism in vitro. In the case of high cholesterol and hyperlipidemia, vegetable oils of 7% and 15% were mixed and fed to SD-rats. This was followed by blood analysis for the atherogenic index, fatty streak area, TBARS, and PON activity. In addition, the selected vegetable oils were analyz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a fatty acid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unctional verification of the anti-atherosclerotic effects of these oils revealed that Pinus korainensis oil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CAM-1 and VCAM-1. In the in vitro test, it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of ICAM-1 and VCAM-1 and cell proliferation. The test was grafted in animal study. In the high fat/high cholesterol test, the atherosclerosis-induced SD-rat was used. Arterial lipid deposition, TBARS, PON activity, and fatty streak area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oils on atherosclerosis. The condition was found to be improved by Pinus korainensis oil. Therefore, Pinus korainensis oil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atherosclerosis. In studies on dyslipidemia induced SD-rats, blood lipid analysis revealed that LPL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by Zanthoxylum schinifolium oil. In addition, it 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on dyslipidemia as confirmed by the blood lipid analysis and atherogenic index. After administration of varying amoun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oil, we measured the expression levels of leptin and LPL by weighing and analyzing epididymal fat. By decreasing epididymal fat content, increasing LPL protein expression, and decreasing leptin protein expression, dyslipidemia induced SD-rats treated with Zanthoxylum schinifolium oil not only experienced improved blood lipid profiles, but also a positive effect on fat accumulation in cells. To confirm the lipolysis mechanism, cellular level in vitro tests were conducted. In fat cells, the measured lipolysis involved with HSL through the phosphorylation pathway confirmed that Zanthoxylum schinifolium oil increased protein expression and degraded fat to glycerol and fatty acids. Thus, Pinus korainensis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oils could serve as domestic oil resources and viable replacements for soybean oil in the treatment of lipid metabolic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