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언어장애가 있는 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박은경 동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 Korea have fewer opportunities of social experiences and self-development through such experiences due to being either overly protected or alienated by other people's stereotypes or distorted attitudes. Therefore,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how a significant growing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non-intellectually disabled in areas such as intelligence, verbal communication, and social adaptive ability etc. and this can later develop into emotional problem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ho belong to the school-going age group may be able to lead a stable life both physically and emotionally within the protected environment of a school but after graduation in most cases have to attend a rehabilitation center that provides training to prepare them for their return to society and in the course of adapting to a new environment more psychological problems usually appear. Such mal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enhances the defense mechanisms against other people and makes it more difficult to control one's emotion which can appear in various types of problematic behaviors such as showing tension, aggressive behavior, anxiety, and a propensity for theft. Art therapy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verbal or behavioral expression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by providing a venue of expressing oneself in a free and adequate manner and thus overcoming psychological problem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tried to help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express themselves through art therap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re usually the individuals who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and attending the job rehabilitation center show symptoms such as pulling one's hair, shaking one's hands and feet, pinching other people's back of the hand, kneeling down with both hands up, stealing other people's possessions, and harming oneself due to the anxiety of encountering a new environment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This study also tried to examine how the intellectually disabled changed their patterns in expressing themselves and modifying their maladjustive behavior. The art therapy of the present study tri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at the greatest extent the intellectual capacity and behavioral features of a participant and aimed at letting the participant choose the material freely and voluntarily participate while freely expressing oneself with nonverbal art as a medium. The present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which carried out interviews beforehand with the manager of the job rehabilitation center, a client, and the primary care giver of the client and focused on the documentation of observation of each therapy session. Therapy sessions were carried out two times a week from March to May, 2008, total 23 times and the present study was a case study which documented the observation of the participant for each therapy session with the primary care giver's cons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self expression through an art medium the negative emotion toward a family member was expressed through tearing up pictures of the family, forming violent clay images, or creating images of family members that lack any interaction, while the love and interest toward friends was expressed by writing down their friends' name or repetitively reenacting concrete images such as the laughing faces of their friends. With the freedom of choosing various colors and methods such as graffiti and paint spraying, the client was able to focus and become interested in painting and thus gradually achieved emotional stability . Secondly, in the initial stage of the therapy session the client expressed agitation with maladjustive behavior but with the support of the researcher and the freedom that was given in choosing various art mediums and methods of work maladjustive behaviors such as pulling one's hair, shaking one's hands and feet, pinching one's back of hand, and kneeling down and holding ones hands up gradually disappeared toward the latter part of the session and the client was able to establish stable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s and friends indicating that the participant has established confidence through art therap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at helping an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 enhance his understanding toward himself and express his emotions voluntarily by means of non-indicative art therapy. Furthermore, this research has contributed in helping the intellectually disabled form a positive self-image by eliminating mal-adjustive behavior and enabling a more positive self-expression. 우리나라 지적장애인의 경우 일반인들의 편견과 왜곡된 태도로 과잉보호를 받거나 소외를 당하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사회적 경험과 이를 통한 자기 발달의 기회가 줄어든다. 그러므로 지적 능력이나, 언어소통능력, 사회적응 능력 등에서 점점 일반인들과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되고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의 정서적 문제로 발전될 수 있다. 학령기의 지적장애인은 학교라는 보호된 울타리 안에서 신체적, 정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지만 졸업 후에는 대부분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센터로 가게 되며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은 심리적인 문제들을 표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부적응은 타인에 대한 방어를 강화시키고 감정의 통제가 어려워지며 긴장 및 공격적 행동, 불안, 도벽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미술치료는 지적장애인들이 갖고 있는 언어적 표현이나 행동 표현의 제한을 보완하여 자유롭고, 적절하게 자신을 드러내는 자기표현의 한 방법으로 심리적인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고등부 졸업 후 직업재활센터로 옮기면서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불안과 의사소통의 부재로 머리카락 뜯기, 손 발 떨기, 상대방 손등 꼬집기, 무릎 끓고 손들기, 도벽, 자해행동 등을 나타내는 언어장애를 가진 지적장애 성인에게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표현을 돕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 사례에 나타나는 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과 부적응행동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미술치료는 지적능력과 행동특성을 최대한 수용하여 자유로운 재료선택과 자발적인 참여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비언어적 미술표현으로 자유롭게 표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사례는 직업재활센터 담당자, 내담자, 보호자와 사전 면담을 하였으며, 회기별 관찰 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회기는 2008년 3월부터 5월까지 주 2회, 총 23회기로 진행되었으며 개인사례로 보호자의 동의하에 매회기 작품 관찰 기록을 분석하였다. 본 사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매체를 통해 나타나는 자기표현에서는 가족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가족그림을 찢거나, 과격한 점토반죽 도형, 상호작용이 없는 가족형상 등이 표현되었고, 친구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친구의 이름표기, 친구의 웃는 얼굴을 구체적 이미지로 반복, 재현하였으며 다양한 색의 선택과 난화, 물감뿌리기 작업으로 그림그리기에 집중하고 흥미를 느끼면서 점차 내담자의 심리적인 안정을 찾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회기 초기엔 자신의 감정 및 부적응행동으로 흥분된 모습을 보였으나 자율적인 재료선택과 다양한 매체의 활용으로 자유롭게 작업을 하면서 연구자의 지지 아래 회기 후반으로 갈수록 머리카락 뜯기, 손 발 떨기, 상대방 손등 꼬집기, 무릎을 꿇고 손을 드는 부적응 행동들이 없어지고 기관의 선생님, 친구들과 관계형성을 하였는데 이는 미술치료를 통해 내담자의 자신감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장애를 가진 지적장애 성인이 비지시적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자율적으로 표현하여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수용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통해 부적응행동을 소거함으로써 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을 통해 긍정적 자아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 지적장애자녀를 위한 부모의 평생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서울 경기도 지적장애 부모를 중심으로

        서남숙 성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적장애자녀를 보호하고 있는 부모가 질병이나, 사망 등으로 더 이상 장애자녀를 돌볼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계획하는 평생계획의 수립 수준은 어떠하고, 장애자녀와 가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어떠하며, 평생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장애자녀를 보호하는 부모의 평생계획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의 장애인 종합복지관과 사설교육기관을 이용하는 초, 중, 고등학교에 다니는 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12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장애 부모가 자녀의 평생계획을 수립하는 정도는 32%로 낮은 편이었으며, 법률계획에 대한 수립정도가 18%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재정계획 및 주거계획의 순이었다. 지적장애자녀의 부모가 선호하는 주거시설은 공동생활가정이며, 평생계획을 위하여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서비스 는 장애인연금제도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의한 평생계획의 차이를 보면, 장애자녀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재정계획이 높아졌으며, 자녀의 장애가 경미 할수록 주거계획 수립빈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법률계획 수립빈도가 높아지고, 가족의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평생계획(평생계획, 재정계획, 법률계획) 빈도도 높게 나타났다. 평생계획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적지지, 가족수입, 개인능력임파워먼트, 자기결정임파워먼트, 보호자연령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정보적지지, 자기결정임파워먼트, 장애자녀연령, 개인능력임파워먼트, 보호자의 연령순이었다. 재정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호자연령, 부모의 개인능력임파워먼트와 장애자녀연령이었으며, 법률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경제적 만족도, 자기결정임파워먼트, 보호자연령, IADL, 집단의식임파워먼트의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의 해석을 근거로 연구자는 지적장애자녀를 위한 부모의 평생계획 수립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자녀의 평생계획에 관련된 재정계획과 법률계획을 위한 정보가 원활히 제공될 수 있도록 장애자녀의 평생계획에 관련된 사회복지 전문 상담사를 양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평생계획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사회복지 전문가를 장애자녀의 부모들이 접하기 쉬운 장소에 배치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평생계획이 잘 수립 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전문가, 장애부모 등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측면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장애가족의 수입이 적더라도 부모가 평생계획을 안정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장애수당이나 장애연금제도 등을 현실화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평생계획을 보조해 주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장애자녀 부모의 자조모임을 구성하고 활성화하도록 장애복지관련 기관이나 시설에서 이를 시행 할 수 있는 ‘장애자녀 부모 자조모임회’를 조직화에 필요한 재정적, 인력 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적장애자녀를 위한 부모의 평생계획 수립을 위하여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제공 서비스로 부모들이 선호하는 시설인 지역사회내의 공동생활 가정시설 등을 확충해 줄 필요가 있다.본 연구는 지적장애자녀를 보호하고 있는 부모가 질병이나, 사망 등으로 더 이상 장애자녀를 돌볼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계획하는 평생계획의 수립 수준은 어떠하고, 장애자녀와 가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어떠하며, 평생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장애자녀를 보호하는 부모의 평생계획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의 장애인 종합복지관과 사설교육기관을 이용하는 초, 중, 고등학교에 다니는 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12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장애 부모가 자녀의 평생계획을 수립하는 정도는 32%로 낮은 편이었으며, 법률계획에 대한 수립정도가 18%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재정계획 및 주거계획의 순이었다. 지적장애자녀의 부모가 선호하는 주거시설은 공동생활가정이며, 평생계획을 위하여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서비스 는 장애인연금제도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의한 평생계획의 차이를 보면, 장애자녀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재정계획이 높아졌으며, 자녀의 장애가 경미 할수록 주거계획 수립빈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법률계획 수립빈도가 높아지고, 가족의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평생계획(평생계획, 재정계획, 법률계획) 빈도도 높게 나타났다. 평생계획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ermanency planning of the parents whose child had cognitive disorder in case of parents' sickness or death,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manency planning between families of children with cognitive disorder and families of general children, and factors affecting the permanency planning.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ought to help patents of children with cognitive disorder create their permanency plan. This study surveyed 150 parents who uses social welfare agencies or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area.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version 12 using sta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nly 32% of the parents of the child with cognitive disorder created a permanency planning. Among their categories of the plan, plan related legal issues were created the lowest level, which only 18% of the parents created followed by financial plan and residential plan.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cognitive disorder preferred group homes the most for their children's residential service, and thought that the pension system for disabled was mostly needed for permanency planning. The differences in creating permanency planning showed according to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s follows: The higher the age of the children with cognitive disorder, the higher the permanency planning level; the less severe of the disorder symptoms, the higher the residential planning level; the higher the age of the parents, the higher the legal planning level; and the higher the family income, the higher the permanency planning, financial planning, and legal planning level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creation of permanency planning were revealed as the levels of informational support, family income, personal capability empowerment, self-determination empowerment, and the age of the parent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creation of residential planning were the levels of informational support, personal capability empowerment, self-determination empowerment, and the age of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creation of financial planning were revealed as the age and the level of personal capability empowerment of the parents, and the age of the childre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creation of legal planning were the levels of satisfaction regarding their financial situations, self-determination empowerment, the age of the parents, IADL, and the level of group consciousness empowerme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made. Firstly, social workers should be trained who can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financial and legal planning for the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mental disorder. Secondly, the social workers are needed to be placed at the locations where the parents with mental disorder can easily assess. Thirdly, policy supports are needed for developing empowerment programs for social workers and parents with mental disorders. Fourthly, disability benefits or the pension system for disabled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help low incom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Fifthly,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for developing self-help groups for parent of disabled children. Lastly, community based group homes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offer high quality services to the parents.

      • 비장애 청소년의 또래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태도 연구

        노수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past, Korean people were very reluctant to talk about the topics related to ‘sex’ publicly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And such an ideological effect had made people accept sexual abuse occurred in an individual as a wrongdoing committed by the individual directly involved in that unfortunate incident. As a result, the scars of sexual abuse had remained as a burden which had to be dealt with by a victim of the sexual abuse alone. Along with development of diverse media including mass media, however, the fact that sexual abuse is a prevalent problem in every society regardless of religion, race, culture, and so on has been known to the public, so that people have begun to recognize sexual abuse as a social issue that the entire society should assume the responsibility. But despite such changes of recognition in sexual abuse, the perception on the physically challenged, especially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mong them still has not been changed. Those parents and teachers who raise and support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dmit their sexual rights, however, they frown on sexual education for intellectually disabled juveniles not knowing how to do it correctly, and parents and teachers hope that the intellectually disabled juveniles would not be sexually matured. Also, the police officers and prosecutors concerned who deal with sexual abuse cases do not have right understandings about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sexual issue correctly, so then often times they find the accused of sexual abuse not guilty or some sexual abuse cases are not accepted nor reported as a criminal case. Furthermore, the non-disabled youths who live together with the intellectually disabled under school environments take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s the subject to test their sexual curiosity that arises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Likewise, due to the misunderstanding and ignorance about the sexual issue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shown by the support systems around, more sexual abuse cases related to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re concealed, rather than being revealed. Meanwhile, the researcher has closely reviewed the studies on the sexual issue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done up until now, and found that most of works were only related to the support system after occurrence of sexual abuse in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or were concerned about sexual education targeting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cordingly the works had not intervened in the topic targeting the support system surrounding the intellectually disabled. That is to say, researches on the method for passive intervention in the topic targeting individual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conducted, but there was no active intervention in the topic targeting the support systems surrounding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In line with this, based on the facts that attitude is not formed for a moment of time, rather it is affected by the type of education a person has received during the period of his or her attitude formation; and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young people about same age as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who are living with them now, and will live together with them in the future should assum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exual issues for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er was to investigate what attitude do the young people assume toward the sexual issu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of the same age, and what kind of factor would affect such attitude. As to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the sexual issue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the researcher selected gender and the grade of school as demographic factors; social distance in relation to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disability related factor; and general sexual attitude as sexual factor. And through these, the researcher tried to seek a positive intervention method to prevent sexual abus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To conduct a survey, 38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six schools in Gyeonggi-do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total 353 questionnaire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gather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means of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17.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analysis revealed that respondents’ attitude toward the sexual issue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as more or less positive. As to the responses according to the sub items, general attitude toward sexual issues relating to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was most positive, and the responses to the sexual desire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 were most negative. Most of all, the students responded against marriage and pregnancy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s persons in a fairly negative manner. Therefore, the researcher was able to learn that the young people agreed on sexual development of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owever, they assumed negative attitudes toward exhibition of sexual behavior b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nd revealing their sexual desires. Second, the results from independent sample t-test revealed that gender, the grade of school, and general attitude toward sex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the attitude assumed by non-disabled youths toward sex issue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nd that only social dista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results from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correlations in gender, the grade of school, and general attitude toward sex, and that there was weak correlation only in social distance.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attitude assumed by the young people to 과거 우리나라는 유교의 영향을 받아 성(性)이라는 주제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꺼려왔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적 영향은 어느 개인에게 발생한 성폭력을 그 개인의 잘못으로, 그렇기 때문에 개인이 감당해야 할 몫으로 받아들이게 만들었다. 하지만 대중매체 등 다양한 매체가 발달해감에 따라 성폭력은 종교, 인종, 문화 등에 상관없이 온 사회에 만연한 문제라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성폭력을 사회적인 문제로, 그렇기 때문에 사회 전체가 책임져야 할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폭력에 대한 인식 변화에도 불구하고 성폭력에 취약한 장애인, 그 중에서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변화하지 않고 있다. 지적장애인을 양육, 교육하는 부모, 교사는 지적장애인의 성(性)적인 권리는 인정 하지만, 이들에게 어떻게 성교육을 실시해야 할 지에 대해 난색을 표하며 이들이 성(性)적으로 성숙하지 않기를 바란다. 또 성폭력 사건을 다루는 경찰, 검찰 관계자들은 지적장애인에 대해, 이들의 성(性)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지 못해 이들에게 발생한 성폭력 사건을 무죄 처리하거나, 제대로 사건 접수조차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과 학교 환경에서 함께 생활하는 비장애인 청소년들은 청소년기에 생기는 성(性)적인 호기심을 실험하는 대상으로 지적장애인을 삼곤 한다. 이렇게 주변 지지체계들이 가지는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오해와 무지로 인해 지적장애인의 성폭력은 드러나지 않은 채 가려지는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루어진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지적장애인의 성폭력 발생 후 지원 체계에 관한 연구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에 관한 것이 대부분일 뿐, 이들을 둘러싼 지지체계를 대상으로 개입하고 있지는 못하다. 즉, 지적장애인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소극적 개입방법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있지만, 지적장애인을 둘러싼 주변의 지지체계를 대상으로 하는 적극적인 개입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태도는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태도 형성 시기에 어떤 교육을 받는지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 그리고 지적장애인과 현재 그리고 미래에 함께 살아갈 또래가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기초로 하여 청소년이 또래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는지, 그리고 그 태도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관련 요인, 성(性)적 요인을 비장애인 청소년이 또래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를 형성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통해 지적장애인의 성폭력 예방을 위한 적극적 개입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내 6개 중․고등학교 재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35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1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T-test),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는 중앙치인 1.5보다 다소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문항별 응답으로는 지적장애인의 일반적인 성(性)에 대한 태도가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지적장애인의 성(性)적 욕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지적장애인이 결혼을 하고 임신을 한다는 것에 있어 상당히 부정적으로 응답해 청소년들은 지적장애인도 성(性)적인 발달을 하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지적장애인이 성(性) 행동을 나타내고, 성(性) 욕구를 드러내는 것에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와 성별, 학교급, 일반적 성(性)태도는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만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나타났다. 또, 상관관계 분석 결과 역시 성별, 학교급, 일반적인 성태도와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는 상관관계를 거의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만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와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는 성별, 학교급, 일반적인 성에 대한 태도와는 달리 어떤 새로운 변수로 작용함을 짐작케 하는 결과였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별, 학교급, 일반적 성태도는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만이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가지는 또래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는 성별, 학교급, 그리고 그들이 가지는 일반적인 성태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들이 가지는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만이 영향을 받고 있었다.

      •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지원에 따른 사회통합 방안 연구

        김영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lans of community inclusion followed by psychological support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oncret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t was to make close inquiry to approach for psychological support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t was to find plans of community inclusion and professional of teac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it was to find plans of community inclusion and professional of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offered theoretical foundation and methodological approach contents of plans for substantial community inclus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analyzing and investigating various domestic/overseas literatures related to psychological support of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 multilateral psychological conflicts by particularity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lives. Though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conflict is individual and relative, it is an aspect of experience which parents can show universally. Namely, they express an emotional environment of denial, projecting blame, fear, guilt, grief and mourning, withdrawal, rejection, searching for a cause, acceptance". Therefore, a family support program to encourage a stable psychological environment should be made by realizing family participation through cooperation between families and schools. Also, a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families and the family support program to support the environment, namely measures for particularity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xt of ecological approach to the families. To satisfy demands of the families and to strengthen their ability, the ecological approach that family?school?community interact in the united system should be applied necessarily to support of the families.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families on particularity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 necessary factor for adaption in the side of quality in life and should be settled for educational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sychological adaption of the families has an effect on deciding educational contents?methods?environment which can be considered to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become a basic foundation to raise quality in life expressing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Therefore, to raise quality in life of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sychological adaption for particularity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settled essentially in advance. To settle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schools should make approach of community realized easily through a positive connection with the families. Namely, the schools should practice educa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family-ecological approach. The education can be embodied by community-centered school operation, construction of cooperative system with itinerant teachers belonged to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strengthening of integration?exchange education, revitalization of culture life and on-the-spot learning space, legal?systematic support and spreading of practical volition. Through the above, difficulties i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can be settled by strengthening their parents' empowerment and communicating with teachers and various resources of community. It raises the importance of family-centered education. Second, to get an efficient effect in quality of life including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families by the family-centered education, parents and teachers should be kept?developed to cooperative relations. Teachers' specialized performance cannot help being required since it is to secure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families in the level of education. Therefore, parents' empowerment?particip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various educational plans should be realized to raise specialty by referring to CEC (Specialized ability of special teachers: Knowledge and Skills) standard emphasizing importance of family and cooperation of family?schools?community in the context of ecology and by abstracting implications from the CEC standard. Strengthening of training activities in family consulting education, installment of family support centers within school agencies under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universalization of itinerant education program, strengthening of community-centered integrated?exchange education and consciousness of practical paradigm of family-centered education by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al welfare as social investment should be supported in the level of encouraging teachers' performance so that community inclusion may be spread from the category of teachers' professionals. Finally, parents' professional can be proposed as a part of 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in family-centered character for community inclusion. For,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realized at the time of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quality in life including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families by establishing the operating system with parents' authority and specialty in composition of active connection?unity of family?school?community. The inclusion formed by family-friendly elements is educational activities practiced by securing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based on demands of the families and is results embodied by unity of reality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study basically raised the psychological adaption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amily?school?community should settle first in the scope of quality in life and education by examining the necessity that the subject and the scope of educational performance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nlarged to families. The study places a large meaning in establishing the possibility of plans of their application in a frame of educational activities. We cannot anticipate a true educational performance in the absence of support structure that educational consideration of families' psychological adaption and strengthening of empowerment by a positive participation of families are presupposed. 이 연구는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지원에 따른 사회통합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접근 방법을 탐색하고, 둘째, 지적장애아동 교사의 전문성과 사회통합 방안을 탐색하고, 셋째, 지적장애아동 부모의 전문성과 사회통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지원과 관련된 국내외 여러 문헌 분석·탐색하여 사회통합 방안에 관한 이론적인 토대와 방법론적 접근 내용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접근 방법은 가족의 심리적 적응이 가정 뿐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환경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기에 가족 생태학적 접근에 의해 구안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가족의 심리적 지원은 포괄적인 위치와 역할내용으로 교육활동의 최대 목적인 사회통합을 위한 여러 교육적 함의와 내용, 방법에 이르는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지원이 보다 구체화된 교육적인 관점에서 사회통합으로 직결되기 위해서는 지적장애아동 교사의 전문성이 실제적 방안으로 제고되어야 한다. 즉, 가족의 심리적 지원과 사회통합에 대한 접점과 향방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학교의 태생이 가정과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현상을 여러 교육프로그램과 방법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는 객관·보편화된 가족 친화적 교사의 수행능력 기준이 요구된다. 셋째, 현행의 특수교육법은 특수교육 정의(제2조)에서 교육과정과 관련서비스(가족지원)를 동등한 범주로 확립함에 따라 교육성과의 주체와 범위를 가족에게까지 확대시키고 있다. 즉, 심리적 역량을 비롯한 가족중심의 실제에서 특수교육 분야의 최대 목적인 사회통합을 위해 부모의 전문성에 따라 교육활동을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준다. 이러한 관점은 사회통합에 역점을 두는 통합교육이 가족의 심리적 지원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운영체제를 확립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앞으로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측면과 사회통합에 대한 관계성에 따른 교육 성과의 여부를 밝히는 실증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가족의 심리적 지원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교육적 함의를 통해 사회통합에 실제적인 교육활동이 계획·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지원에 따라 통합교육이나 전환교육이 결과중심의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사회통합 체계를 확립·실행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방법이 객관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수업참여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안혜준 창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교육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표현력과 수업참여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지적장애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사회적응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관련 서적과 학위 논문, 학술지, 연구 논문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해 이론적인 논의를 하였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 공통 교육과정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주제를 추출하여 스토리텔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장애 특성 및 수준,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 흥미와 적성, 다양한 교육 자료 등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을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들이 결과물을 인터넷 카페나 SNS를 이용해 공유하면서 상호 작용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첫 번째 종속변인인 자기표현력과 두 번째 종속변인인 수업참여도의 경우는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subjects)를 적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의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그리고 목표행동이 한번이라도 발생하면 기록하는 부분 간격 기록법(partial-interval recording)을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자기표현력의 경우 Rakos와 Schroeder(1980)의 척도를 변창진, 김성희(1980)이 번안하고, 한영숙(2005)이 이를 재구성하여 만들어진 자기표현능력척도를 활용하였고, 수업참여도의 경우 권효진(2012)의 수업참여도 평가 척도와 김철(2002)의 수업집중도 검사도구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유지의 측정은 30회기의 중재가 종료된 후 2주간의 휴지기를 거쳐 3번의 유지 검사를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종속 변인인 자아존중감의 경우는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아존중감 평가척도를 이현주(1990)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평가 척도를 이용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이 지적장애 학생임을 고려하여 검사 문항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었고, 학생과 부모, 또래의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자기표현력과 수업참여도가 기초선 기간보다 높아졌으며, 이는 중재 후에도 유지되어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교육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표현력과 수업참여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교수전략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사후검사 결과가 사전검사보다 높아졌으며, 주변 사람들의 면담 결과로도 학생의 달라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으로 지적장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셋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였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표현력과 수업참여도를 높이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교수전략이며,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그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특수교육에서는 비교적 접목되지 않은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미디어를 함께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수업을 하였으므로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기 어렵고, 자아존중감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대상자가 4명인 준실험설계의 방법을 이용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고, 실제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에 활용도와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분석

        최정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의 수준과 양상, 배경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들의 배경변인(근무지, 연령, 학력, 전공, 근무 기간, 초중고 재학시절 통합학급경험, 특수교육 연수 시간, 장애인 대상 자원봉사 경험)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경도 지적장애학생과 중도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들의 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을 위해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났고, 하위 태도 영역에서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태도 순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배경 변인 중 근무지, 연령, 학력, 근무 기간, 통합학급경험 유무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경 변인 중 전공, 특수교육 연수 시간과 장애인 대상 자원봉사 경험은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이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보다 전체 태도, 인지적, 행동적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대졸 사회복무요원의 행동적 태도가 고졸 사회복무요원의 행동적 태도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의 근무 기간이 길수록 전체 태도와 인지적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통합학급경험이 없는 사회복무요원보다 통합학급경험이 있는 사회복무요원의 전체 태도와 인지적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은 경도 지적장애학생에 대해 중도 지적장애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났고, 하위 태도 영역에서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태도 순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활동지원 사회복무요원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근무지, 연령, 학력, 근무 기간, 통합학급경험 유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도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가 중도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적장애 성인의 고립행동 감소와 자기 표현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박경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고립행동 감소와 자기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00광역시 00장애인복지관의 복지사의 의뢰로 고립행동을 보이고 자기 표현력이 부족해 복지관 내에서 생활이 원만하지 않은 지적장애 성인 2명으로 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사례연구설계인 AB 설계법을 적용하였으며, 대상자의 고립행동과 자기표현 행동은 매 회기 관찰하는 표적 행동 목록표를 만들어 사건 기록법으로 직접 행동관찰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는 지적장애 성인의 고립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명의 대상자 모두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중재는 고립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고립행동 감소와 자기 표현력 향상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사회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가 2명인 단일사례연구로 효과성을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지적장애 성인의 고립행동 감소와 자기표현을 향상시키는 것에만 초점을 두었으나 앞으로는 이것을 기반으로 지적장애 성인들이 사회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미술치료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사례기반 추론을 적용한 성찰활동 설계의 효과

        조영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경험을 통한 학습은 효과적인 학습 지원 방법이다. 경험이 가지는 구체성과 맥락적인 특징들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에서의 곤란함을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경험을 통한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신의 경험을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성찰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사례기반 추론(이하 CBR)은 인간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사고과정을 나타내는 인지적 모형이다. CBR은 이전의 사례를 바탕으로 맞닥뜨린 새로운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추론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학습이론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성찰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찰을 지원하기 위해 CBR을 적용한 성찰활동을 설계하고 그 효과로서 지적장애 학생들의 과제 수행 능력과 성찰내용의 변화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복된 경험중심 과제 수행 활동에서 지적장애 학생들의 수행능력은 증진되었는가? 둘째, 반복된 경험중심 과제 수행 활동에서 지적장애 학생들의 CBR 기반 성찰내용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과제 수행 능력과 성찰내용의 변화를 탐구하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를 채택하였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동해시 M중학교 특수학급의 중학교 2학년 학생 2명이며, 학생 개개인을 각각 하나의 사례로 설정하였다. 실험 기간은 9월 4주부터 2 주간이며, 총 6차시의 학습활동을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제공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지적장애 학생들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구체적인 학습경험을 형성하고, 이어지는 CBR 기반 성찰활동을 통해 이전 단계에서 형성한 학습경험을 반복적으로 성찰하였다. 지적장애 학생들의 과제 수행 능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 차시의 종료 직후 스마트폰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 활용 수행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미시적인 과제 수행 장면을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 화면 녹화 동영상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성찰내용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지적장애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 보고서의 내용을 수집하였으며, 성찰내용을 맥락적인 내용요소와 CBR 처리과정을 기준으로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장애 학생들의 수행평가 점수는 최초 측정 시기의 점수에 비해 최종 측정 시기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화면 녹화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 학생들은 실험이 진행될수록 수행을 개선하고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양상을 나타냈다.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찰내용의 맥락적인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내용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 학생들은 성찰활동이 반복될수록 성찰내용에 보다 풍성한 맥락적인 내용요소를 포함시키고 있었다. 또한 지적장애 학생들은 점진적으로 자신의 학습경험을 과제 수행 중심적으로 설명하려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CBR 처리과정을 기준으로 성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찰내용은 실험이 진행될수록 CBR 처리과정을 성찰내용에 명확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CBR 처리과정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찰내용에서 꾸준히 유지되고 반복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지적장애 학생들을 위한 CBR 기반 성찰활동의 교수설계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CBR 기반 성찰활동을 설계할 때 성찰의 대상이 되는 학습경험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경험이 되어야 한다. 둘째, CBR 기반 성찰활동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경험을 성찰하는 방법을 숙달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CBR 기반 성찰활동은 학습경험에서 색인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하는 활동을 포함해야 한다. 넷째, 지적장애 학생들의 인지적 ․ 정의적 특성을 고려한 성찰활동의 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 터치벨 타악기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주의집중, 과제수행하기, 지시 따르기에 미치는 영향

        박은빈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ouch bell activities on attention, task performance, and instructional behavior among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ee boy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ending A special school in Jeju Island, where researcher work by convenience purpose sampling, conducted arbitration programs using touch bells five times a week and each session took 40 minute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touch bell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l three subjects showed an increase i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behavior and maintained the intervention effect. Among the subjects, the changes in concentration of attention in subjects 1 and 3 were significant, and subject 2 showed fewer changes. Second, the touch bell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ask performance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l three subjects showed increased task performance behavior and maintained intervention effect. Among the subjects, the changes in task performance in subjects 1 and 3 were significant, and subject 2 showed fewer changes. Third, the touch bell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rective following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l three subjects showed increased directive following behavior and maintained intervention effect. Among the subjects, the changes in directive following in the subjects 1 and 3 were significant, and the subject 2 showed fewer changes. 본 연구는 터치벨 타악기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주의집중과 과제수행하기 및 지시 따르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편의목적표집에 의해 연구자가 근무하는 제주도 A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남학생 3명에게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로 터치벨을 활용한 중재프로그램을 주 5회씩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 당 소요 시간은 40분이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터치벨 타악기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대상 3명 모두 주의집중이 증가하였으며, 중재효과가 유지되었다. 둘째, 터치벨 타악기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과제수행하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대상 3명 모두 과제수행하기가 증가하였으며, 중재효과가 유지되었다. 셋째, 터치벨 타악기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지시 따르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대상 3명 모두 지시 따르기가 증가하였으며, 중재효과가 유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터치벨 타악기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주의집중과 과제수행하기 및 지시 따르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주 실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터치벨 타악기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주의집중과 과제수행하기 및 지시 따르기에 효과적인 전략임을 시사하고 있다.

      • 기능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지적장애아동의 성교육 효과

        전인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기능중심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직접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지적장애 아동의 성교육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사례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알맞은 성교육을 구안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현장의 교사에게 성교육의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기능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의 성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2)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기능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의 성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이 연구를 위해 먼저 A시에 위치한 공립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 두 명을 선정하였다. 두 명의 학생은 2010년 3월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하였으나, 조기교육의 경험이 없고 실제 생활 연령은 10세이다. 연구에 사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은 먼저 선행 논문 고찰 및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만들어졌다. 그 후 동료 교사와 토론하여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예비평가를 통해 아동에게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 매체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동료 교사와의 수업 협의 과정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정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프로그램은 성교육을 크게 4개의 대 영역으로 구분하고, 11개의 단원을 설정하였다. 수업은 2010년 3월 22일부터 2010년 5월 24일까지 총 10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수업은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성교육 내용과 관련된 교과가 있는 경우 관련 교과 내용과 연계하였으며 교과 시간을 이용했다. 수업 방식은 이야기 나누기, 역할놀이, 그림설명, 그림책 읽기, 퀴즈, 체험학습, NIE 활용교육, 만들기, 비디오 시청, 음악활동으로 이루어 졌다.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성지식 및 성적행동을 측정하는 사전・실시 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자연스러운 상황에서의 평가를 위하여 수업시간 및 일상생활에서 아동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성지식 평가는 총 38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OX형태와 단답형의 질문하는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단원별, 아동별로 사전・실시 후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성적 행동 평가는 총 18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상생활에서의 아동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 하여 행동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전공 관련 석사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7년의 교육경력을 가진 특수교사와 함께 실시하였으며, 평가 전 프로그램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사전 연수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절차에 따라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중심의 성교육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아동의 성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기능중심의 성교육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아동의 성적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기능중심의 성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 아동을 지도하는 교사가 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 특성에 맞는 성교육을 계획하고 지도하는데 이 연구의 사례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functional sexuality education program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xuality education o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direc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 case for this study is to create a sexuality education appropriate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help the teachers who are wanting to utilize the education method in the field as resources for sexuality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hat effect did the functional sexuality educa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on the knowledge on sex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Sexual education program centered around feature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what effect on the sexual action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tw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ttending a public special school located in the A city. Both students entered 1st grade in March of 2010 but they didn't have any early education experience, and their actual ages are 10 years old. Th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created by previously written papers and related literature review. Afterwards through discussions with colleague teachers, it went through the revision process and through preliminary inspection, the appropriate teaching - learning method and educational media were selected. This program divided the sexuality education into 4 large sections and 11 chapters were established. From March 22, 2010 to May 24, 2010, through total of 10 week program, the class was taught by the researcher herself. When there was curriculum related to sexuality education, curriculum was in conjunction with relevant information and used the curriculum time. The class methods included talking to each other, role play, explanation of pictures, reading picture books, experimental learning, NIE literacy education, making, watching videos, and music activitie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 of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assessment measuring sexual knowledge and sexual behavior was conducted prior to the class and after the class was conducted but in order to assess their skills at a natural situation, the actions of the children were observed and recorded through out the class time and during their daily lives. The sexual knowledge assessment had total number of 38 questions and it was conducted in a O/X answer typ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ld and at a natural setting. Then it was compared them according to chapters, per child, and pre-post evaluation results. The sexual action assessment had total number of 18 questions and the change in actions of the children were continuously observed and evaluated in everyday life setting. The results of the mentioned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functional sexual education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xual knowledge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functional sexual education can be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on chang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shown that the functional sexual education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teachers who are teach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xual education and have this study to help the teachers to plan and teach sexu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