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域經濟 活性化를 위한 地方政府의 役割에 관한 硏究 : 지역산업육성정책을 중심으로

        김기덕 檀國大學校 行政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지난 35여년 동안 수출주도형 공업화라는 불균형성장전략과 특정지역을 집중적으로 개발하는 성장거점개발전략을 추진하여 고도의 성장을 이룩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특정지역으로 인구가 집중되고 산업이 편중화 되는 현상을 유발시킴으로써 지역간 격차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략의 하나가 지역산업 육성정책을 통한지역경제의 활성화이며, 완전한 지방자치제 하에서 지역경제활성화는 지방정부의 노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지역경제가 활성화되면 지역주민의 취업기회 확대 및 소득증대로 지역주민의 생활수준의 향상과 지방정부의 재정자립도의 확충 등의 효과를 발생시키며, 이는 사회간접자본의 투자와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연구는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해 연구함에 있어서 그 초점을 지방정부의 지역산업육성정책에 두었다. 지방정부는 지역특화산업의 육성, 지방중소기업의 육성, 그리고 첨단기술산업의 지방유치 및 육성을 통해서 지역경제활성화를 이룰 수 있다. 지방정부가 지역산업육성을 위해 수행해야 할 역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지역경제와 관련된 정책계획 및 집행권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와의 기능재배분이 요구된다. 둘째, 지역경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경제관련 행정조직의 기능을 강화하여야 하며, 전문인력을 확보 ·양성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산업육성을 위한 지원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넷째, 지역정보네트워크를 구축 및 산 ·학 ·연 공동연구기술개발 등을 통한 기술개발에 지원하여야 한다. 다섯째, 지방정부는 외국기업의 투자 및 기업유치에 노력하여야 한다. Korea has achieved a remarkable economic growth with the promotion of both the unbalanced growth aimed at the export-initiative industralization and the growth-intensive strategy of intensively developing the particular region for the past 35 years, in which process population has been concentration in the particular region and industries around the country. Owing to the occurrence of this phenomenon, the gap has taken place between regions.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ies is not only one strategy for solving this problem but also relation the value of it purpose in itself. It is not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rosperity of one region depends on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ies under the local autonomy system. Accordingly, local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activate local economies first of all era of localization. As the scheme for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ies, local government will have to support local industries(local small business, regional specialized industries, high-tech industries), that occupying the most important Portion of local economies as its subject and improve the living quality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expansion of employment opportunity and the increase of their income. As the local government scheme for the support of local industries, these are following : First, the role should be shared and redefined by government activity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econd, the organizational and personal function with relating to industry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intensified by the changing the environment. Third, the local small business support center, local service center and business incubator should be formed. Fourth, the local information the network and industrial-education-laboratorial linkage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Sixth, domestic firms and foreign firms should be attracted into the locality, and manpower should be provided for them.

      • 地域間産業連關からみた經濟空間構造の變容 : 地域經濟圈における産業の地域間ネットワ-クを中心として

        羅洲夢 Kyushu University 2002 해외박사

        RANK : 248703

        본논문은 1975년 중반이후부터 1980년에 걸쳐서 정보, 통신의 발전과 함께 기술진보에 의해 변용된 일본의 경제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간 산업관련이 경제공간구조를 어떻게 변용시켜왔는가를 이론, 실증적으로 논증하였다. 특히, 「새로운 공간경제학」에서 수확체중을 토대로한 공간집적형성의 메카니즘이 작동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지역간산업관련효과가 어떠한 형태로, 그리고 어느정도 기여해왔는지를 명시하고, 일본의 국내전체에 미치는 「지리적집중패턴」의 형성문제로써 산업의 지역간 링케지의 구조를 규명했다. 이러한 단계를 거처서 본연구는 이론적측면에서 지역간산업연관의 스필오버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역간 산업링케지모델을 제시하고, 이러한 모델을 이용하여, 지역간의 산업관련효과의 영향과 경로를 계량적,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종래에 지역산업연관과 공간집적에 관한 논의는 주로 산업이 주체가 되어 공간집적을 유발시키는 지역의 주도산업을 탐구하는데 중점이 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사회적 넷트워크의 상호의존이 강해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을 주체로 한 지역간 산업관련에 있어 공간집적과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공간구조의 측면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워져왔다고 말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은 지역을 주체로 한 지역시스템에 있어 지역간상호관계에 주목하고, 산업의 지역연관의 수요측면(지역간후방링케지)와 공급측면(지역간 전방링케지)의 입장에서 흐름공간에 주목하여 산업에 있어 지역간 링케지가 공간집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 경제공간구조가 변용했는가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논증하였다. 본논문은 1장(서론), 2∼5장(본론), 6장(결론)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우선 1장에서는,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지역간산업연관을 기존의 네트워크론과 흐름공간론등도 시야에 넣어, 종래의 지역간산업링케지 연구에 기초하여 정리하면서, 문제의식의 학문적 위치와 목적을 명확히 했다. 이론편에 해당하는 2장에서는 지역간산업 링케지모델중에서 미야자와 모델을 이용함에 있어 그 유효성과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역간 링케지추출방법에 기초한 다지역간상호의존을 분석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 의해, 전체지역시스템중 한지역에 있어 복수의 지역간 상호의존에 의해 발생한 경제적 외부효과라고 볼 수 있는 스필오버효과를 추출할 수 있었다. 더욱이 지역간의 상호의존관계를 해석하는 틀로써 계층적피드벡분석에 관해서도 논의하고, 이 모델을 기본으로 한 분석에 의거하여 지역간산업연관의 피드벡의 영향도와 경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더욱이 본논문에서는 산업연관을 지역의 수요측면으로부터 본 후방링케지효과와 산업연관을 지역의 공급측면으로 부터 본 전방링케지효과의 양면을 이용해 계층적 피드벡루프분석을 시도하여 이론의 정밀화를 도모하였다. 3장과 4장은 이론 모델의 실증적인 부분이다. 우선 3장에서는 1985년에 있어 8지역경제권의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기초로 한 횡단면분석을 실시하는 것으로 산업의 지역간전방, 후방링케지효과를 얻었다. 그 결과를 이용하여 계층적 피드벡분석을 적용하고 영향의 정도와 경로를 구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로부터 대도시권을 핵으로하는 계층적 경제공간을 발견해 냈다. 게다가 후방, 전방링케지 쌍방을 이용한 결과로부터 지역간의 상호의존관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지역경제의 성장이 증진된다는 점도 규명했다. 3장의 지역간계층구조에 주목한 횡단면분석과는 달리 4장에서는 3장에서 이용한 데이타를 계층적피드벡루프분석을 적용시켜, 1980년대의 시계별분석을 실시하는 것으로 1980년이후의 경제공간구조의 변용을 명확히 했다. 그 결과 지역간산업연관의 강점과 경로에 관해 대도시권간에 강한 상호의존관계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해명하는 한편, 일본의 관동지역을 중심으로 정방향(프라스)피드백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부터 관동지역을 정점으로 한 계층적인 경제공간구조가 강화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더욱이 전방, 후방링케지에 관한 분석결과로 부터 전방링케지가 상품의 다양화를 가속화시키는 한편, 후방링케지가 중간재의 다양화를 촉진시키는 것에 의해, 관동지역에 있어서 공간집적이 증폭되고 있다는 것도 해명했다. 3, 4장에서는 프로(흐름)에 관한 분석을 실시했지만, 5장에서는 스톡의 관점에서 지역경제에 관한 검토를 덧붙이고 있다. 여기에서는 3, 4장의 분석결과에서 큰 차이를 보인 대도시권과 지방권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의 성장모델을 이용한 양권역에 있어 스톡의 영향을 음미하고 있다. 덧붙여서 지역경제에 있어 스톡의 영향을 지역횡단적으로 분석하는 수법으로써, DPG(비례성장으로부터의 괴리)분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수법에 의해, 대도시권(관동지역)과 지방권(구주 지역)을 대상으로, 양지역의 산업구조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지역의 성장격차를 해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지역의 성장모델을 이용한 분석결과에서는 1970년 중반기이후의 일본경제가 자본과 노동뿐만 아니라 기술진보에 의해 성장한 것을 밝혀냈다. 더욱이 대도시권과 지방권에서 경제 성장격차의 패턴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대도시권에 있어서 지역간성장격차가 확대하는 경향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한편, 지방권에 있어서 공공자본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그다지 기여하지 않고, 성장격차가 축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관동지역과 구주지역을 대상으로 한 DPG분석결과에 의해 양지역의 산업구조가 중간재서비스의 지역간 「이출, 이입」, 즉 지역간 재화와 서비스의 프로(흐름)가 지역의 성장격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관동지역(제조업, 지식집약형서비스)와 구주지역(1차산업, 일반형 서비스업)의 산업격차는 지역의 "연결의 경제"의 유발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추정하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실증연구의 결과를 거쳐, 6장에서는 지역간상호작용에 의해 지역간연관효과가 산출되는 것과 지역간산업연관효과의 강점과 경로의 차이에 의해 공간집적으로의 기여도가 다르다는 것으로 결론짓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결론에 기초하여 Krugman등이 제창한 "새로운 공간경제학" 내에서 제시된 「산업집적모델」을 산업의 지역간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정밀화하고 덧붙여 산업의 지역간링케지가 공간집적형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해명했다. "새로운 공간경제학"에서는 추상적인 공간을 대상으로 모델에 기초한 경제 공간의 이론을 제시한 것에 반해, 본논문은 지역경제학, 경제지리학의 입장에서 종래의 산업연관모델을 정밀화하는 공간경제이론을 심층화하여, 실증적 연구에 기초한 경제공간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간집적형성메카니즘에 관한 새로운 견지를 제시하고, 공간집적연구에 있어 이론, 실증에 있어 양쪽에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spatial economic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regional linkage of industry at spatial agglomeration process of reg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linkage and spatial agglomeration, it has applied regional linkage extraction method to the study effect of backward linkage and forward linkage in interregional relations at spatial agglomeration process of Japan in the 1980s. Ultimately the study would shed light on transformation of spatial economic structure in which regional linkages with particular focus on demand side and supply side in interregional linkage of industry system has an important role to prompt regional growth in economic system of interdependenc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model are interpreted and they are presented in the issue of agglomeration economies and interregional linkage structure in Japan. Major concluding remark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nopolar Japanese urban system has developed spatial agglomeration process by the increasing returns resulting from externalities through product varieties and consumption varieties during the 1980s. In the case of agglomeration process of Kanto region the role of regional linkages (backward linkages and forward linkage) had an important role to promote regional growth in economic system of interdependence. (2) Metropolitan areas, (namely Kanto, Kinki and Chubu regions) had stronger of regional linkages than the other region. This absolute figures in eight region increases steadily during 1980s. Furthermore, effect of interregional feedbacks as the dependence of regional economy is the same thing as regional linkage in Metropolitan areas. (3) Regional linkage relates to labor productivity in region. Especially, variety of intermediate goods in spatial agglomeration process may increas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bor productivity and backward linkages. (4) Further work will be needed to explore the degree to which trend of regional linkages in 1980 are characterized in the other period.

      • 스마트그리드산업의 지역고용유발효과 분석

        성진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녹색산업의 확대와 이를 통한 경제성장 및 고용 확대가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에너지효율산업으로 등장한 스마트그리드산업이 지역일자리 창출과 고용구조변화에 얼마만큼의 파급효과를 가지고 올 것인가에 대한 의문점에서 시작되었다. 스마트그리드산업의 고용효과를 살펴보기에 앞서, 스마트그리드가 과연 지속가능한 형태의 전력망인지 살펴보기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이 산업을 통해 창출될 수 있는 일자리의 종류와 특성도 살펴보았다. 지역별 고용파급효과 예측을 위해서는 한국은행에서 제공한 지역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전국 16개 지역의 스마트그리드산업 고용계수를 도출하였으며, 지역 내의 고용효과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자기지역 및 타 지역 고용계수를 도출하였다. 선행연구 검토결과 지속가능한 전력체계의 관점에서 스마트그리드는 환경,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이버 보안 및 정보 유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연령·성별·교육수준 등에 따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이 상이하여 다양한 계층이 동일한 혜택을 누리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스마트그리드 산업부문의 일자리는 네 가지 경로를 통해 창출·전환·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첫 번째는 이전에는 없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는 경우, 두 번째는 기존 관련 산업의 수요확대에 따라 일자리 증가하는 경우, 세 번째는 기존일자리의 직무 녹색화로 인한 일자리 전환·대체되는 경우, 네 번째는 기존 전통적 방식의 전력망 수요 감소로 인해 일자리가 소멸되는 경우이다. 이렇게 창출된 스마트그리드 관련 일자리가 괜찮은(decent) 일자리인지 살펴보는 것도 중요한데, 미국 노동청의 녹색일자리 통계자료를 검토한 결과 해당 산업은 연봉수준은 미국평균수준을 감안했을 때 비교적 안정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역시 일부 환경산업이 가지고 있는 낮은 근로조건과 고용이 불안한 단순노무직의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그리드산업의 지역별 고용파급효과를 추정한 결과, 산업 부문별로는 5개 산업(전력망 산업, 소비자 산업, 운송 산업, 신재생 산업, 서비스산업) 중 서비스 산업에서 고용이 크게 창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별로는 제조업, 기술 산업 등 기반산업이 잘 구축된 지역일수록 취업계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적은 노동력으로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타 지역 취업유발효과를 분석에서는 수도권, 경남권, 충청권 등 타 지역의 의존도가 높은 지역에서 타 지역 취업 취업유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스마트그리드산업이 환경-경제성장-고용창출의 선순환 구조를 지닌 산업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발생 가능한 사회적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단위 및 지자체 단위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며, 일자리 규모 확대뿐만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고용의 지속가능성을 증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취업계수 및 타 지역 취업유발계수는 스마트그리드산업 확대를 위한 지역정책을 수립할 때 지역별 가용인구 및 고용창출효과 예측에 사용될 수 있으며, 지자체별 특성에 맞는 인재 육성방안 및 재교육 방안을 마련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외국인 전용 카지노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R을 이용한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윤민철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해 외국인 전용 카지노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고 국내 외국인전용 카지노 16개사 중 8개사가 운영되고 있는 제주지역 카지노산업과 내륙의 8개사 국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분석하여 외국인 전용 카지노 관광산업을 재조명하고 한국의 외국인 전용 카지노의 경쟁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산업을 카지노가 포함된 6개 부문으로 세분화하고 전체 산업을 34개의 산업부문으로 통합하였다. 그리고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5가지의 승수(생산, 소득, 부가가치, 간접세, 취업)를 지역 내와 지역 간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고, 2018년도 카지노 매출액과 외국인 관광객의 1인당 평균 관광지출액을 이용하여 외국인 전용 카지노이용객의 비게이밍 지출액을 구하였다. 이 2가지의 금액을 최종수요로 고려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를 기준으로 구한 생산파급액은 1조 3,278억 원, 소득파급액은 3,854억 원, 간접세파급액은 519억 원, 부가가치파급액은 9,168억 원, 취업파급자수는 26,966명으로 나타났다. 내륙을 기준으로 구한 생산파급액은 8조 3,340억 원, 소득파급액은 1조 5,550억 원, 간접세파급액은 1,178억 원, 부가가치파급액은 3조 6,466억 원, 취업파급자수는 85,267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도와 내륙의 승수비교를 통하여 경제적으로 주고받는 영향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알아본 결과 제주도의 수요로 인하여 내륙지역으로 파급되는 경제적 효과는 크게 나타났으며 내륙의 수요로 인하여 제주도로 파급되는 경제적 효과도 상당부분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역내 고용파급효과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나누어 본 결과 제주도의 경우 기타 운수업이 관광산업으로 인하여 파급되는 간접효과를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제주도의 관광산업과 교통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내륙의 경우 같은 관광산업들이 서로 간접적 영향력을 많이 주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measures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foreigner-only casino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by using the regional industry association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foreigner-only casino tourism industry and to find out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foreigner-only casinos. In this study, the tourism industry was subdivided into six categories including casinos and the entire industry was integrated into 34 industrial sectors. In addition, five multipliers (production, income, value added, indirect tax, employment) were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regions and regions using the local casino sales in 2018 and the average tourism expenditure per foreign tourist were used to obtain non-gaming expenditures for foreigners-only casino users. The economic ripple effect was analyzed by considering the two amounts as final dem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output amount obtained based on Jeju Island was 1.327 trillion won, while the income amount was 385.4 billion won, the indirect tax amount was 51.9 billion won, the value-added spread was 916.8 billion won and the number of job-seekers was 26,966. Based on the inland, the production ripple amounted to 8.3 trillion won, the income ripple amounted to 1.5 trillion 55 billion won, the indirect tax spill amounted to 1178 billion won, the value added ripple amounted to 3.66 trillion won, and the number of employment ripple workers reached 85,267. appear.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fluences of economic exchanges through multiplier comparison between Jeju and Inland, the economic effect spread to the inland area due to the demand of Jeju Island was large. It was confirmed that a substantial amount of effects exist. Lastly, as the result of dividing the employment ripple effect in the region into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Jeju Island showed that the other transportation industry receives the most indirect effect caused by the tourism industry, indicating that the transportation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tourism industry of Jeju Island. In the case of inland, the same tourism industry has been influencing each other indirectly.

      • 地方自治團體의 地域特化産業 推進實態와 地域社會發展과의 關係 硏究 : 原州 醫療器機 産業을 中心으로

        이상범 延世大學校 政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방자치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역특화산업이 지역사회발전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주시에서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의료기기 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식산업시대를 맞이하여 국가간의 경쟁보다는 지방자치단체간 경쟁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가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는 열악한 지방재정으로 중앙정부의 지원 없이는 지역특화산업을 육성시킬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지역의 자본과 기술을 이용하여 중앙정부로 하여금 지원 받을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여야 되며, 이를 위해서 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 큰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지역특화산업의 육성은 단순히 지역의 특화정도에 따라 산업을 분류하고 육성해서는 안되며, 보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고 다양한 정책개발과 판로확대 등을 통해야만 지역경제가 회생하며 소득이 증대될 수 있다. 지역특화산업과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특화산업의 성공은 지역경제활성화는 물론 지역 이미지상승으로 이어져 부가적 효과가 매우 높다고 조사되었다. 원주시의 경우 의료기기 산업단지 입주업체의 지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거의 모든 항목에 불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각종지원을 더욱더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 부서를 대폭 강화하여 입주기업의 애로사항을 상담하고 해결해 주는데 전념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타 자치단체에 비교우위의 성공을 거두기 위하여 원주시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고객(기업)을 유인하고, 입주한 기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종사원들에게 제공되는 복지시설을 첨단산업단지에 어울리도록 보완, 확충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식당 및 매점, 휴게실, 체육시설 등 종사원들의 생산성 향상과 연관되는 공동이용시설의 투자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 행정 및 경영관련 서비스 제공이 원활히 이루어 져야 한다. 창업 초기 성공에 대한 의지를 전문가에 의해 확고히 심어주어야 한다. 각종 행정적인 정보, 신고, 허가 등 각 기업들에게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정 및 경영서비스 지원이 원활해야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인식되어 많은 기업이 이전해 올 것이다. 셋째, 정기적으로 국내외 의료기기 시장 정보를 조사하고 정확한 정보를 입주기업에 제공하여 기업들이 시장감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또한 각 기업의 판매 마케팅을 위한 홍보, 전문전시회 참가 등을 적극 지원하고, 판매업체와의 연계 및 수출입 절차정보 및 대행도 지원해야 한다. 넷째, 창업기업의 취약부분인 재무, 회계, 법률분야에서 기업이 요구하기 전에 전문가가 찾아서 상담해 주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지역특화산업이 제한된 자원으로 성공하기 위한 약자의 전략은 집중화밖에 없다고 하겠다. 비교우위에 입각한 우선 순위별 선택과 집중으로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핵심분야를 선택 지원대상을 분명히 하고 집중 지원하여야 한다. 또한 정기적인 평가와 강력한 기술검증시스템을 통하여 "선택과 집중"을 원칙으로 옥석을 가려 지원을 하여야한다. 다섯째, 첨단의료기기기술혁신센터(TIC)에 보유하고 있는 연구장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원주지역에 입주한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거나, 이동이 가능한 장비는 배달 대여, 또는 정기적으로 이동차량을 이용한 장비활용 등으로 고가의 장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활성화하여야 한다. 여섯째, 의료기기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들과 외부업체와 연계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하고, 금융기관 및 연구기관 그리고 관련단체와도 교류하여 상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네트워킹 서비스도 활발히 제공되어야 한다. 일곱째, 지역특화산업의 성패는 자치단체와 협력대학의 높은 관심과 지원에 달려 있다. 조성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문지원팀을 강화하고, 전문매니저를 확보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함은 물론 재정적 지원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결국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하여 많은 전문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원주시와 연세대학교가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는 의료기기 산업은 지역내의 인력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역특성을 살림으로써 타 자치단체의 우수성공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따라서 관련된 원주시와 연세대학교에서는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그 결과 군사도시의 이미지에서 세계적인 의료기기 산업도시로 발전할 것이다. 연세대학교의 이미지 또한 크게 상승될 것이며 국가의 전략적 산업으로 도약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how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which each local government has carried out for many years, can have effect on the local community growth and economy. In compliance with this research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y is selected as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in Wonju. At the moment of the so-called knowledge industry age, the reality has shown us that the competitions among the local government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s. So a local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the self-competitiveness for the national growth Except some local governments,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n financial difficulties and without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no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can be promoted. So a local government should use it's capital and technology to show it's vision which could be suppo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addition, Both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and the local council make a lot of concern and effort for this. The specialized local industry should not simply be classified nor be raised on the degrees of the specialization,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local economy should be revived and the local income should be increased through the application to the new technology, the diversified policy improvement, and the extension of the sales distribution channel. From the survey of the specialized local industry, the success of this industry can result in its economic growth, the improvement of its image, and the value added effect. This survey shows that Wonju authority concerned should improve their support because many occupied companies in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ial park have complained of the poor supports. The organization, which consists of some special advisors, would be extended and pay close attention to find a solution to the difficulti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kinds of difficulties and to win the comparative advantage with the other local governments,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y in Wonju should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ttract many companies and to help them succeed, the supplementary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offered in this latest industrial park. Especially to increase productivity of all employees in the park, the investment of the public facilities such as booths, cafeterias, resting place and the sports facilities should be made up. Second, services such as the business and administrative affairs should be smoothly offered. In starting an enterprise the secure way to success should be given by special counselors in the park. If these kinds of services including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reporting, and permission are well prepared, this industrial park would be recognized as the most favorable place for the starting companies. And this will keep on attracting much interest for the moving-in companies. Third, the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analysis should be periodically given for the companies to comprehend their market trend. In addition, the positive support for the companies such as their promotion, participation in the exhibition, and the sales agency services including export/ import should be available. Fourth, every company in the start line would face the weak points such as finance, accounting, and legal solutions. Advices for them should be presented before the companies try to ask for. There is nothing but focus as small companies with the limited resources can take its first strategy for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Selection and focus in consideration with the comparative advantages should be used as the first strategy for supporting the core technology area. Selection and Focus should be the main principle. That is, the periodical valuation and the accurate technical verification system should be followed for the differentiation between which company is good and which is not. Fifth, there should be the supporting systems that the R&D instrument (equipment) in 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would be prepared for the best use. That is, a lot of incentives and the lease of the movable equipment should be set up for the companies in the industrial park in Wonju. Sixth, services connecting the companies with financial institutes, R&D institutes, and the other institutes to share their information should be consistently presented in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ial park. Seventh, the key factor of the success in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is up to the great concern and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from the cooperated colleges. The specialized advising team, which can utilize the built-up infrastructures and give the financial support to the companies, should be extended because lots of advisors are needed for the success. The medical appliances industry which Wonju has cooperated with Yonsei University has maximized its local human resources and has highly evaluated as a success case in the locally specialized industries. As a result, Wonju and Yonsei University will concentrate on the support to that industry. The image of Wonju will be changed form the military base to the worldwide medical appliances industrial city through all these efforts. And also the image of Yonsei University will be improved so that this industry can be the take-off as the national strategic industry.

      • 도시생활권 산업군집특성이 지역 내 총생산에 미치는 공간적 영향연구 : 광주광역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역산업연계를 중심으로

        문창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은 1980년~2000년대 국토의 균형개발과 지속가능한 개발에서 2010년대는 사람과 장소중심의 도시재생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하여 정부는 2013년에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2017년 문재인 정부는 기존 도시재생 정책의 계획 편향적, 낮은 체감도, 정부지원 제약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시재생뉴딜사업을 도입하여 공적투자와 공공지원 확대, 지역·주민 주도와 사회통합형 사업추진, 도시재생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에 역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6년~2019년 선정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추진실적 평가에 따르면 전체 317곳 중 양호한 사업대상지는 59곳, 주의 183곳, 부진 75곳으로 나타났으며, 부진사유는 부지확보 미흡, 계획의 구체성 미흡 등으로 선정 전 사전 준비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간과 공공이 함께 참여하여 쇠퇴한 도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도시혁신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산업에 대한 고려 없는 공간생산, 사업추진과정에서 창출되는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의 일자리 창출은 현재 도시재생정책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민간자본유치와 공공인프라 확충에 있어 지역산업을 활용한 도시재생정책 마련이 시급하며, 쇠퇴지역을 재생하기 위한 도심기능의 영향범위 설정과 재생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지역산업에 대한 조사가 시급하다. 이러한 현재 도시재생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제 도심기능을 반영한 도시재생계획의 공간범위 설정과 쇠퇴지역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지역연계산업을 도출을 통한 도시재생계획 수립 방향 제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생활권 내 지역 총 생산에 공간적 영향을 미치는 산업군집특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도입기능이 필요한 도시재생지역에 지역연계 산업군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기존도심기능과 지역산업이 연계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도시생활권 설정, 산업군집특성과 지역 내 총생산의 측정, 그리고 각 변수들 간의 공간적 영향관계분석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생활권을 광역도시 내 중심지(CBD기능)와 배후지역의 행정동 군집단위로, 자치구 경계를 넘어 상호 외부경제효과와 기능적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생활권 도시지역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생활권 설정을 위한 분석방법으로 행정동 간 목적통행PA자료(가정·비가정 업무, 쇼핑, 기타)를 활용한 사회네트워크분석(응집구조, 클러스터)을 사용하였다. 2016년 광주광역권 목적통행 PA자료(국가교통DB)를 활용하여 광주전남의 읍면동(171개)간 통행 OD자료를 광주광역시 행정동(95개) 간 통행량OD자료만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사회네트워크 분석은 전문 SNA 분석 도구인 NetMiner 4를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응집구조(Cohesion Structure)를 분석하여 1차 도시생활권(3권역)을 추출하였다. 2차적으로 가정과 비가정기반의 업무·쇼핑·기타 목적의 PA자료를 통해 도출된 3개의 도시생활권인 A도시생활권, B도시생활권, C도시생활권을 대상으로 각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위세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을 분석하여 도시생활권의 위세중심성이 큰 지역과 2030 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체계(2도심, 3부도심)의 지역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광주광역시 도시생활권을 명명·설정하였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 도시생활권 3권역은 상무신도심-송정부도심 서부생활권(A), 원도심-백운부도심 남부생활권(B), 첨단부도심 북부생활권(C)이다. 두 번째, 설정된 도시생활권의 산업군집특성과 지역 내 총생산을 측정하였다. 도시생활권 산업군집특성이 지역 내 총생산에 미치는 공간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Cobb-Douglas 생산함수 [Q=f(K, L, T, U, D, S)]을 활용하였다. 생산함수를 토대로 공간회귀분석을 위해 각 변수를 설정하였다. 종속변수인 Q 지역 내 총생산은 기초자치단체 경제활동별 GRDP(2016)를 활용하여 산업대분류(16개)의 종사자수 비중을 통해 행정동의 부가가치를 추계하여 대리변수로 사용하였다. 통제변수는 L 노동요소(종사자수/사업체수), K 자본요소(1인당 지방세액×생산인구), T기술(집적)요소((종사자수/인구)/(사업체수/면적)), 집적지수(CI), S 형태적·기능적 도시공간요소(1/HHI, 커뮤니티지수)이다. 독립변수는 선행연구를 통해 산업군집특성을 “지역화경제(규모의 외부경제)에 따른 동종산업의 특화, 도시화경제(범위의 외부경제)에 따른 이종산업의 다양화로 나타나는 집적외부경제의 산업분포특성”으로 정의하고 D 지역화경제요소(LQ)와 U 도시화경제요소(DI)로 설정하였다. 기존 도심기능과 지역산업을 연계한 도시재생계획 수립 방향 제시를 위해 전 산업의 산업군집특성을 측정하고자 측정산업군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대분류 19개, 산업 중분류 99개 산업분류체계를 산업구조와 산업분류관계를 기준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각 중분류의 산업분류를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이나 산업발전시행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특정산업세세분류를 포함하는 분류체계 중심으로 최종 6개 산업군으로 재분류하였다. 측정 6개 산업군은 주력기간제조업(10종), 지식기반 제조업(14종), 인프라산업(4종), 지식서비스산업(21종), 유통서비스산업(11종), 공공 및 사회서비스산업(6종)이다. 세 번째, 도시생활권 지역 내 총생산과 산업군집특성의 공간적 영향관계분석이다. 측정변수인 산업군집특성(LQ지수, DI지수), 통제변수인 기술·자본요소, 규모경제(산업집적 CI지수), 형태와 기능적 도시공간요소(1/HHI, 커뮤니티 중심성지수)의 실증데이터와 행정동 공간데이터를 결합(QGIS)하여 최종 공간회귀분석(GeoDa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행정동 간 목적통행량(PA)을 활용한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선행하였기 때문에, 공간회귀분석을 위한 공간가중행렬 구축은 GeoDa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ISTANCE WEIGHT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시생활권 공간회귀분석은 GeoDa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형회귀모델(OLS), 공간시차모델(Spatial lag), 공간오차모델(Spatial error)을 분석하고 유의성이 높은 공간오차모델(Spatial error)모형으로 최종 공간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상무신도심-송정부도심 서부생활권의 지역생산에 정(+)영향을 미치는 산업군집특성은 인프라산업군, 유통서비스업군, 공공·사회서비스업군의 특화된 군집분포와 지식제조업군의 다양한 군집분포이다. 원도심-백운부도심 남부생활권의 지역생산에 정(+)영향을 미치는 산업군집특성은 지식기반제조업군, 지식기반서비스업군, 유통서비스업군의 다양한 군집분포이다. 첨단부도심 북부생활권의 지역생산에 정(+)영향을 미치는 산업군집 특성은 산업대분류, 기간조제업군, 지식서비스업군, 유통서비스업군의 다양한 군집분포이다. 도시생활권 지역 내 총생산에 미치는 산업군집특성을 기반하여 도시재생계획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신도심지역의 산업단지재생사업은 다양한 지식제조업이 입지할 수 있도록 거점시설조성과 인력양성프로그램이 도시재생계획에 반영되어야 한다. 광역교통중심의 도시재생사업은 유통서비스업이 특화되고 집적될 수 있도록 교통인프라의 확충과 복합개발이 계획에 반영되어야 한다. 원도심지역 도시재생사업은 다양한 지식기반의 제조·서비스업의 육성을 위해 도심형산업이 도시재생계획수립에 반영되어야 하며, 상권활성화를 위해 유통서비스군이 다양하게 입지할 수 있도록 도시재생계획을 정비해야 한다. 첨단산업단지 도시재생사업은 다양한 기간제조업과 유통서비스업이 상호 네트워크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민관협력을 통한 지역산업 연계방안이 도시재생계획에 담겨야 한다. 지역대학과 연계한 도시재생사업은 다양한 지식서비스업분야의 창업이 일어날 수 있도록 거점시설조성과 지원프로그램이 도시재생계획에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도시재생계획 수립의 내실화를 위한 정주인구의 생활·활동 기반의 도시생활권 설정과, 도시재생사업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 지역생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지역산업군 도출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지방정부의 도시재생정책에 있어 도시생활권의 지역산업연계형 도시재생계획 수립 방향 제시한 것이다. The paradigm of urban policy in South Korea has been changed from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1980s ~2000s to the era of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people and places. Based on the paradigm shift, the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ACT ON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in 2013. In 2017, the Moon government of South Korea introduced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to overcome the plan-biased, low sensory level, and limitations of government support. The government is pursuing projects with a strong emphasis on expanding public investment and public support, leading local and residents, promoting socially integrated projects, and creating jobs through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elected from 2016 to 2019, 59 of the 317 in good , 183 in the state, and 75 in depression The reason for the depression was lack of preliminary preparations before selection due to insufficient site securing and lack of specificity in planning. Although it is an urban innovation project aimed at revitalizing a declined urban area with public-private participation, the creation of space without considering local industries consideration and of job foster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created in the process of business show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urban regeneration polic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t is urgent to establish an urban regeneration policy using local industries for attracting private capital and expanding public infrastructure. It is also necessary to fix the scope of influence of urban functions to regenerate the declined urban area and to research local industries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 it is necessary to propose an urban regeneration plan by establishing the spatial scope of the urban regeneration plan that reflects the actual urban function and deriving the regional-connected industry for revitalizing the declined a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n urban revitalization plan connected with existing urban functions and regional industries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that have a spatial effect on the total production in the urban living zone, and deriving regional-connected industrial groups in urban regeneration area that require new introduction functions, This study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parts: setting up the urban living zone,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and gross production in the region, and analyzing the spatial impact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urban living zone was defined as the central area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within the metropolitan cit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clustering unit in the hinter land, and the urban zone of the living sharing the mutual external economic effect and functional network across the borough boundary. In this context, social network analysis (aggregation structure, cluster)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for establishing the urban living zone, using the traffic PA data(Production zone and Attraction zone based traffic;home and non-homebased trip work, shopping, etc.). In 2016, the traffic PA data between Eup·Myeon·Dong (171) in Gwangju and Jeonnam were processed and used only for traffic volume PA data between Gwangju Metropolitan City Dong(95) using Gwangju Metropolitan Area Purpose Traffic PA data (National Transportation DB). For social network analysis, the primary urban living zone (3 areas) was extracted by analyzing the cohesion structure of the network using NetMiner 4, a specialized SNA analysis tool. Second, for each of the three urban living zones, A urban living zone, B urban living zone, and C urban living zone, derived from PA data for home, non-home based work, shopping, and other purposes, each of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We analyzed them and compared the higher Eigenvector Centrality area with great centrality of urban life zones to the centers of the 2030 Urban Basic Plan (2 city centers, 3 city centers), and finally named and set Gwangju Metropolitan City Urban Living Zones. As a result, Gwangju Metropolitan City Urban Living Zone 3 is Sangmu new-CBD-Songjeong sub-CBD(A), Old CBD-Baekwoon sub CBD(B), Chumdan sub CBD northen living zone (C). Second, the industrial cluster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living zone and the gross domestic product were measured.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Q=f(K, L, T, U, D, S)] was used to analyze the spatial effect of industrial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urban areas on the total production in the region. Each variable was set for spati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duction function. Gross production in the Q reg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as used as a proxy variable by estimating the added valu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rough the share of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industry (16) by using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GRDP, 2016) by economic activity of the basic municipality. Control variables include L labor factor (number of employees/number of employees), K capital factor (local tax per capita × production population), T technology (integration) factor ((number of employees/population)/(number of employees/area)), integrated index (CI), S is a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urban spatial element (1/HHI, community index, HHI;Herfindal-Hirshman index)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industr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integrated external econom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pecialization of the same industry according to the localization economy (scale external economy)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heterogeneous industry according to the urbanization economy (external economy of scope). ”And set them as D Localization Economic Element (LQ) and U Urbanization Economic Element (DI). The measurement industry group was selected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of all industries in order to provid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n urban regeneration plan that links existing urban functions with local industries. To this end, 19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s and 99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s are classified into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based o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industrial classification relations. Reclassified into the final 6 industries by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that includes the specific industry tax classification. The six industries of measurement are the main period manufacturing industry(10 types),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y(14 types), infrastructure industry(4 types), knowledge service industry(21 types),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11 types), public and social service industries( 6 types) Third, it is an analysis of the spatial impact relationship between gross production and industrial cluster characteristics in urban living zones. Empirical data of industrial cluster characteristics (LQ index, DI index) as measured variables, technology and capital factors as control variables, economies of scale (industrial cluster CI index), form and functional urban spatial factors (1/HHI, community centrality index) Spatial regression analysis (GeoDa program) was conducted by combining spatial data of administrative buildings (QGIS). Sinc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the objective traffic volume (PA) during the administrative period was preceded,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weighting matrix for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ISTANCE WEIGHT method using the GeoDa program. The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urban living zone uses the GeoDa program to analyze the linear regression model (OLS), spatial lag model (spatial lag), and spatial error model (spatial error) and final space as a highly significant spatial error mod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production in the western living zone of Sangmu new-CBD-Songjeong sub-CBD western living zone are the specialized infrastructure industry, specialized distribution and service industry, specialized public and social service industry and various distributions of the knowledge manufacturing industry.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production in the Old CBD-Baekwoon sub CBD southern living zone are the various cluster distributions of the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y,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that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gional production in the Chumdan sub CBD northen living zone are the various cluster distributions of the industry classification, key manufacturing industry, knowledge service industry,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affecting total production in urban living zone,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planning was suggested. The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in the new downtown area should be reflect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lan to establish base facilities and manpower training program so that various knowledge manufacturing industries can be located. In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center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expans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complex development should be reflected in the plan so that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can be specialized and integrat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r the old town area , The urban industry should be involv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lan establishment in order to foster various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the urban regeneration plan should be reorganized so that distribution service groups can be variously positioned to revitalize commercial area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the high-tech industrial complex, the plan to link regional industries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should be includ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lan so that various networks of various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ies can actively occu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connection with a local university should be accompanied by an urban regeneration plan in order to create base facilities and support programs so that start-ups in various fields of knowledge service can take place.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urban living zone based on the life and activity of the settled population for the internaliz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lan, and to derive regional industrial group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production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Korea,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urban regeneration plan related to the regional industry in the urban living zone in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of the local government was suggested.

      • 부산 광고 산업 활성화 과제와 실행 방안

        김현석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pportunity factor and alternative plan for the revitalization of Busan advertisement industry which is going through a long-term depress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study, an in-depth interview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argeting advertisers of Busan region. Based on perception and experience toward advertisement industry of practical workers who are running on their feet at the work in the field, it was focused on presenting the specific strategy and practical plan to driv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which is the base of advertisement industry. For this, the depression factors of Busan advertisement industry by dividing into external factors of advertisement industry such as change of media and management circumstances based on the Busan advertisement industry and economy trend data as well as internal factors such as lack of capacity by advertisement companies. Through this process, the growth of local economy, building marketing basis of local business, building general marketing basis of advertisement industry, development of talents, promotion of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innovation business have been set up as 6 types of projects for prior settlement and promotion for the activation of advertisement industry. Then the plans that can have positive effect on Busan advertisement industry have been deriv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investigation and the detailed execution plans by 6 types of promotion projects have been presented. First, the research on local business and economic information were improved by the leadership of advertisement industry while proposing organization of conference body and extension of exchange between key industry of the region for the local economic growth. Second, the perception toward a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was improved and the advertisement publicity education targeting CEO was proposed in order to build an advertisement publicity infrastructure for marketing promotion of local business. Third, the improvement of speciality in advertisement industry, culture marketing and consolidation of ability in CSR section were emphasized based on a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as an advertisement industry innovation plan to cope with change of environment. Fourth,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curriculum for raising integrated marketing professionals, raising advertisement professionals through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extended employment in corporate MPR section of graduates related to advertisement publicity and extended advertisement education of corporate MPR workers have been proposed for improving speciality of advertisement industry by raising talents. And fifth, the organization of local IMC conference body, improvement of culture industry exchange and improvement of local contact-style strategy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consolidate communication and network between related industries. Finally,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advertisement industry would participate as a key role of strategic industry in Busan by participating actively in the local innovation bus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적으로 침체를 겪고 있는 부산 광고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회 요인과 대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지역의 광고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업에서 발로 뛰고 있는 실무자들의 광고 산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토대로, 부산 광고 산업과, 광고 산업의 터전인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과 실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부산 광고 산업 및 경제 동향 자료를 근거로 미디어 및 경영 환경 변화와 같은 광고 산업 외부적 요인과 광고 회사의 역량 부족과 같은 내부적 요인으로 나뉘어 부산 광고 산업 침체 요인을 분석했다. 이 과정을 통해 광고 산업 활성화를 위한 6가지 선결 및 추진 과제로 지역 경제 성장, 지역 기업의 마케팅 기반 구축, 광고 산업 통합적 마케팅 기반 구축, 인재 개발, 산업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지역 혁신 사업 참여를 설정했다. 그리고 이 6가지 요소들이 부산 광고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는 방안들을 심층 면접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6가지 추진 과제별 세부 실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지역 경제 성장을 위해, 광고 산업 주도로 지역 기업 및 경제 정보 리서치를 강화하고 지역 핵심 산업간 협의체 구성과 교류 확대를 제안했다. 두 번째, 지역 기업의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광고홍보 인프라 구축을 위해,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기업 내 MPR 조직 기반 구축 및 최고 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홍보 교육을 제안했다. 세 번째,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광고 산업 혁신 방안으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기반 한, 광고 산업 전문성 향상과 문화 마케팅 및 CSR 부문 역량 강화를 강조했다. 네 번째, 인재 육성을 통한 광고 산업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 통합 마케팅 전문가 양성을 위한 대학 커리큘럼 개선, 산학협력을 통한 광고 전문가 양성, 그리고 광고 홍보 관련 졸업생의 기업 MPR 부문 취업 확대, 기업 MPR 종사자 광고 교육 확대를 제안했다. 그리고 다섯 번째, 연관산업간 커뮤니케이션 및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지역 IMC 협의체 구성 및 문화 산업 교류 강화, 지역 밀착형 전략 강화를 제안했으며, 마지막으로 광고산업이 지역 혁신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 부산 전략 산업의 핵심 역할로 참여할 것을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