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에 관한 연구

        강선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367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에 관하여 조사함으로써 보육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는 보육서비스의 대상인 영유아의 발달을 위한 최적의 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목적은 어떠한가? 2.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3.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4.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의 강남구 5개소, 광진구 8개소, 성북구 9개소, 종로구 8개소, 중랑구 9개소 국공립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 300명이며, 연구도구는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문헌을 기초로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이다. 유아교육 전문가에게 질문지의 항목 구성과 문항별 내용 타당도를 검토받았으며, 국공립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하고 연구도구로서의 질문지를 최종 확정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에 대한 통계ㆍ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목적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 확대를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지역사회의 구성원과 상호작용하며 성장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하므로 나-가족-친구-이웃-지역사회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경험하면서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적응하며 공동체의식을 갖는데 두는 것을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해서는 모든 교사 들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필요한 이유에 대해 영유아의 환경은 부모, 어린이집, 이웃, 지역사회의 직ㆍ간접적 관계에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교사들이 많았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서 활용하는 자연적 자원으로는 공원ㆍ인근 산ㆍ들ㆍ하천ㆍ강 등의 자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 자원으로는 부모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적 자원으로는 종이상자 등의 재활용품을 지원받는 편의점이 가장 많았으며, 문화적 자원으로는 지역사회 주최 행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해서는 자연적 자원을 활용한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주된 활동유형으로 공원, 하천 등의 장소 및 자연물을 활용한 자연체험이 가장 많았고, 인적 자원은 부모의 협력으로 영유아의 보육 프로그램 진행에 도움을 제공받는 유형이 많았으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봉사활동은 지역사회의 환경보호를 위한 분리수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적자원은 상가의 가게들로부터 보육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종이상자 등의 재활용품 지원이 가장 많았으며, 문화적 자원은 지역사회에서 주최하는 행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사후활동 유형으로는 자연적ㆍ인적ㆍ물적ㆍ문화적 자원 모두 모든 영역의 통합활동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 횟수로는 자연적ㆍ인적 자원이 월 1회, 물적ㆍ문화적 자원은 회수에 관계 없이 주제에 따라서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 시간은 자연적ㆍ인적ㆍ문화적 자원이 '1~2시간 미만', 물적 자원은 '1시간 미만'으로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에서는 대체로 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운영의 중점 평가는 영유아에게 흥미있는 프로그램이었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는 영유아의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증진과 공동체의식을 갖는데 효과가 있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문제점은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및 활용의 어려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 방향은 포괄적이고 융통성이 있으며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교사들이 가장 많았다. 바람직한 영유아 발달은 가정과 보육시설,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여 이루어야 할 사회구성원 모두의 과업이므로 보육시설과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지역사회 연계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 활성화 : 국립 경찰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4367

        최근의 박물관은 그 개념과 역할이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다양한 박물관의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다. 초기의 박물관의 기능과 비교하였을 때 박물관에서 점차 교육에 대한 기능이 강조되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지방자치제도의 시행이후 지역 내 문화예술기관, 즉 박물관의 수적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박물관 육성 정책 등으로 2011년까지 인구 9만 명당 1개 수준으로 박물관을 육성하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사실상 지금 그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한 셈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는 이렇게 우후죽순으로 등장한 많은 지역박물관들이 사실상 모두 내실까지 튼실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지역박물관들을 통해 지역민들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그 지역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으며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박물관으로서는 지역민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문화를 형성 시키고 발달시키는데 적극 참여 할 수 있다. 곧 지역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은 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역박물관의 수적인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박물관들은 내적으로는 전문인력의 부재, 소장유물의 부실, 시설의 열악함, 예산의 부족 등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당면해 있다. 이러한 요인을 보완하기 위해 지역박물관은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한 파트너십 구축이 시급하며 지역민을 활용한 인적자원 지원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네트워크 구축사례, 지역사회 연계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해 평가지표를 구축하여 그에 따라 특수한 컨텐츠로서 지역민과 소통하기위해 노력하는 지역박물관의 예를 전쟁기념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국립등대박물관 관세박물관 등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박물관들은 지역의 컨텐츠를 적극 활용하거나 컨텐츠를 목표로 하여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서 이용객들을 적극 유치하며 지역 내 기관과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박물관의 상당한 수가 지역 박물관 발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모니터링 미구축,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해 축소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지역민과 연계한 사업 비활성화 등 현실적인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곧 이용객의 감소, 그리고 박물관의 존폐 위기에 까지 놓이게 하였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 국립이면서 동시에 종로에 위치한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국립 경찰박물관을 사례로 들어 현재 운영하고 있는 현황을 분석한 후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경찰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운영 추진방향을 제안할 것이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상황을 침해하지 않은 채 활용할 수 있는 ‘경찰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운영전략과 방향’, ‘연구, 전시를 기반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관람객 확보와 지역연계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역의 정착과 인지도 확보를 위한 마케팅’ 네 가지의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 결과 경찰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세분화 다양화 시키게 되었고, 지역과 전시를 연계로 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었다. 또한 가장 중요한 경찰박물관의 지역성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안에서 박물관과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이 내실을 다질 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편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The general idea and role of a museum have recently shown a tendency to expand, which have brought about a variety of museums. Compared to the function of early museums, today's museums are focusing more on their educational function and the whole society is emphs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municipality, the region's culture and art center, namely museums, remarkably increased in numbers. The Korean government is pushing ahead with policies to increase the number of museums up to the level of one for 90,000 persons by 2011 in order to enlarge the people's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and art, and to foster the museum at the national level, of which the goal is actually accomplished to some ext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roblem is that a number of local museums, popping up here and there, often lack in substance. The local museums help residents experience the region's culture in the neighborhood and take part in their educational programs. In addition, the local museums can also actively participate in forming and developing the local culture by running such educational programs in connection with local people and community. That means those programs are playing a vital role in building a region's cultural identity. However, each local museum is internally facing realistic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professionals, shortage of museum pieces, poor facilities, budget deficiency, etc., despite its numerical increase. In order to make up for them, it is urgent for local museums to establish partnership with the community and to take advantage of human resources of the residents. Therefore, the thesis established evaluation indices and applied them to different cases of the region's well-run museums, including The War Memorial of Korea, National Maritime Museum, The National lighthouse Museum, Korea Customs Museum so as to evalu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ir educational programs,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Such museums were found to actively attract visiters by runn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aking advantage of or aiming at regional contents, and to make efforts to establish partnership with the regional institutions. Yet, many of these local museums were confronted with realistic problems such as a failure to build the monitoring system closely affecting their development, reduced educational programs due to lack of professionals, devitalized projects connected with local people. Such problems shortly ended up with a decrease in visitors and a crisis of the museums' existence. To overcome such problems, the last part of the thesis made an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operating the Korean National Police Heritage Museum, at once run by the government and located in Jongro,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they are, and then presented several solutions, which can fall into use without affec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ts operation, by categorizing them into three parts, that is exhibition, educational program and publicity for its revitalization as the region's museum. Lastly, the study is expected to actively used as one of the good means for museums and their educational programs to enrich the substance within the community.

      •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초등교과연계형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 자아존중감과 환경감수성을 중심으로

        정후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34367

        This research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o develop a lifecycle elementary school link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restore their environmental sensitivity. It is found that there are not man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and are linked to the curriculum. In addition, field trips that have resumed after COVID-19 are struggling with safety issues. Therefore, this research need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linked to elementary school subjects using community resources. This research aimed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restore their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period of this research was from July 2022 to November 2022. Pre- and pro-program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November 2022 to January 2023. The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 in City Y's second, third, and fif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measurement tools were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Recovery and Self-Esteem Survey. The data analysis were verified using IBM SPSS ver. 27 statistical program with pre- and post- T-test result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using community resources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It was reviewed the literature related to community resources and elementary education and surveyed the needs of elementary education fields to establish the need for research and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Based on this, the program’s draft was formulated, and through the process of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linked to elementary school using community resources was developed.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linked to elementary school using community resourc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very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the lower elementary grades. Third, the community resour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upper elementary students.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lementary school-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was effective in restor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moting self-esteem.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is program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ctiv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link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본 연구는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생애주기 초등교과연계형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로서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환경감수성 회복을 중심으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하였다. 교육현장에서 실제 활용가능하고 교과와 연계한 환경교육프로그램은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COVID-19 이후 재개된 현장체험학습이 안전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여 초등 교과와 연계한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필요성이다. 이를 통해서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환경감수성을 회복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22년 7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연구되었다. 프로그램 사전. 사후 설문지는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Y시의 초등 2학년, 3학년, 5학년 학생이다. 측정 도구는 환경감수성 회복과 자아존중감 측정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ver. 27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과 사후의 결과를 통해 T 검증하였다. 첫째,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초등교과연계 환경교육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지역사회자원과 초등 교과와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고 초등교육 현장의 요구도를 조사하여 연구의 필요성과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 분야별 전문가 협의를 통해 수정과 보완 과정을 거쳐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초등교과연계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초등교과연계형 환경교육프로그램은 초등저학년의 환경감수성 회복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초등교과연계형 환경교육프로그램은 초등고학년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초등교과연계형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환경감수성 회복 증진에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초등교과연계로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 保育施設의 地域社會 連繫 프로그램 實態와 要求分析

        김남돈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366

        國 文 抄 錄 현대사회에서 영유아의 성장과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의 역할은 매우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지역과 기관의 유형에 따라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실태와 요구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특성에 알맞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구체적인 대안이 부족하고 지역사회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시설 종사자 2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보육시설과 지역사회의 효과적 연계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였으며, 질문지의 내용은 보육시설의 전반적인 사항, 종사자의 일반적 배경,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실태 및 요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총 350부의 질문지를 보육시설에 직접 전달하여 응답을 받은 후 회수하였으며, 그 중 244부가 회수되어 69.7%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된 질문지를 기초로 각 문항별로 백분율과 빈도를 산출하였으며,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 평균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별 실태는 어떠한가?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별 실시 현황은 전체 보육시설 종사자의 3분의 1정도가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나머지 3분의 2는 실시하지 않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의정부시가 서울시 노원구에 보다 6.4% 더 많은 보육시설에서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서 연⋅월⋅주간 교육계획안을 통해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보육시설 종사자는 전체 응답자 77명 중에서 55명인 71% 이었다. 지역별로는 노원구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의정부에 비해 연⋅월⋅주간 교육계획안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더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된 동기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노원구의 경우에는 보육시설 자체의 필요성에 의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의정부의 경우에는 행정기관의 요구나 지역사회의 요구에 따라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주체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노원구의 경우에는 담임교사나 주임교사와 같이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와 함께 활동하고 있는 보육교사가 직접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었으나, 의정부의 경우에는 시설장이나 지역사회 관련기관이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와 함께 활동하고 있는 담임교사가 계획하는 경우는 한 곳도 없었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내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노원구와 의정부시 모두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하기, 지역사회에 대해 알기, 지역사회에 대한 공동체 의식 향상하기, 지역사회 문제 인식 및 해결하기의 순으로 동일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내용은 지역별로 차이가 없었다. 보육시설이 연계하는 지역사회기관은 노인경로당, 종합사회복지관과 같은 복지관련 기관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소방서, 구청⋅동사무소, 경찰서, 보건소와 같은 공공기관, 그 다음으로 상업시설이 많았으며 문화시설⋅문화유적지⋅박물관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보육시설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보육시설이 활용하는 참고자료는 두 지역 모두 지역사회 관련 서적, 유아교육 관련 잡지가 대부분이었으며,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공급받는 방법은 시청⋅구청지원이 가장 많았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이 보육서비스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노원구의 경우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대부분의 보육시설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 반면, 의정부의 경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보육시설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보육시설 보다 더 많았다. 둘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교육 참여의사에 대한 응답은 전체 보육시설종사자 대부분이 참석한다고 하였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살펴보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주체에 대한 응답은 노원구의 경우 지역사회 관련 기관으로서 사회복지기관이나 행정기관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주체가 되어주기를 가장 많이 희망했고, 의정부의 경우에는 시설장이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주체가 되어주기를 가장 많이 희망했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응답은 두 지역 모두 지역사회와 관계 형성하기가 가장 많았고, 지역사회에 대해 알기, 지역사회에 대한 공동체 의식 향상하기, 지역사회 문제 인식 및 해결하기 순이었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이 어떠한 방법으로 개발⋅공급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응답은 노원구의 경우 각 보육시설의 자율에 따라 개발⋅공급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원하고 있었으며, 의정부의 경우에는 보육정보센타에서 개발⋅공급해주는 방법을 가장 많이 원하고 있었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교육활동과 직접 관련된 유아에게 소개할 만한 장소 부족, 지역사회를 소개하는 교육자료 또는 교구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활동을 실시할 시간이 부족함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 및 정책은 전담 인력배치 및 종사자 처우개선 등 정부재정지원과 정부의 제도적 노력과 같은 행정체계의 적극적인 개입을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관련 정보제공, 지역사회의 이해와 협조 등 실제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방법과 정책을 제시하고 있었다.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은 현장학습을 위한 기관이나 시설확충, 발달수준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과 같은 가장 기초적인 인프라의 구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기관과의 협조체제 구축, 교사교육과 부모교육 등을 통한 인식의 변화를 개선 방안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보육시설이 추구하는 공동의 목표가 있어야 한다. 둘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계획⋅운영하는데 있어 보육시설과 지역사회 기관이 상호 협조 하에 논의하여야 하겠다. 셋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내용이 다양화되어야 한다. 넷째, 보육시설 종사자를 위한 교사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인프라의 구축되어야 한다.

      • 공적 자원 활용에 따른 경로당 활성화 방안

        한상호 위덕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practical solutions to boost utility of the "Hall for the elderly"(Hereinafter called 'the hall') from a local government's point of view. After all, this study have an object to provide social workers in public in charge of the hall work, fundamental knowledge of how to make a good use of public resources to boost using of the hall through analysis of management and running condition of i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surveyed 33 public officer belongs to the Pohang City government, who are in charge of social welfare work related to the hall for the elderly with the questionnaire, composed with open questions. And the result of the survey, which was carried out one to one deep interview way, are as follow ; First, Pohang city government have twice more female public officers than male officers in charge of the hall work, and almost 7 to 8 persons among 10(75.8%) have graduated college, which means most of them are social workers in public. Second, all of the interviewees' answer to the necessity of the hall for the elderly were in the affirmative. Among total 507 halls, 15 halls per one officer were administered on average. And most of officers were visiting or having a meeting with the hall leader by the call from the hall not by their own free will. Third, from the financial aspect, the public institutions' support for operating costs and heating costs was the main mean, and a membership fee was also one of the main means of their finance. But in the rural districts, a membership fee from the few members is absolutely not enough to run the hall, so the halls in the rural districts are having lots of financial problems. Fourth, unfortunately, no hall was running their own program for the elderly among 507 registered halls in Pohang City. But there were five halls running their own characteristic programs connected with community resources. Fifth, sectionally, at the dong-district area, the hall was using not only for the elderly people but also opened to the residents and using as a place for the neighborhood meeting, diverse ceremonies or as the accommodations of the suffers from a sudden disaster. But, still most of halls were less used by local residents with lack of their own space, own programs and the stereotype view of the hall as the space only for the elderly people. The 41.6 percent of the halls were having a connection with community resources, and they strongly wanted to have a connection, especially in the financial and program area. From the financial aspect, the local hall was allied with private associations, benefactors, entrepreneurs and local leaders and getting a financial support. From the program aspect, the local hall was running regular programs with local welfare centers and private associations, and they wanted those supports to be continued as long as. Most of interviewees in charge of social work pointed out that new program development is the first step to boost using of the hall for the elderly, and they answered that they must find out solutions and methods related to the community resources for the even distribution of public resources. Therefore, I'd like to suggest several methods of using public resources to boost using of the hall for the elderly as follow; First, the local government must divide city area into several parts and station the public officers and provide a financial support in the rural districts, where no social welfare infrastructure exist, because officers are overloaded with social welfare works so forcing them to do all the works at the same time including the management of the halls is unreasonable. Second, most of programs, running by the each of halls were within the confines of leisure program, and only five halls, which are having a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were operating their own characteristic programs. And it is obvious that standardization of the hall works and its programs must be completed first to boost utility of the hall for the elderly. Third, there is a certain limit local governments to obtain a finance and workforce in a short period. And for the even distribution of public resources, social workers in public need to be a resource mediator connecting community resources. Which means that we must find out how to connect the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for running the hall and creative programs through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resources. I would like to leave the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all works and its program to boost utility of the hall for the elderly as follow task.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관점에서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경로당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공급자 측면에서 경로당의 관리, 운영현황 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로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공적자원 활용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경상북도 포항시청 소속의 경로당업무 담당공무원 33명을 대상으로 개방식 질문으로 구성된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중심으로 1:1 심층면접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당 업무 담당공무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2배로 많았고, 10명중 7-8명은(75.8%) 대졸이상으로 이들은 모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 나타나 업무의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경로당의 관리운영 현황에서 경로당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관내 507개의 경로당에 대한 공무원 1인의 관리 수는 평균 15개소로 나타났다. 또한 담당공무원의 대부분은 자발적 의지보다는 대부분 경로당 측의 요청에 의해 경로당을 방문하거나 회장과의 면담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당의 재정은 공공기관의 운영비와 난방비 지원이 가장 중요한 재원확보의 수단으로 나타났으며, 이밖에 회원의 회비로도 경로당 재정을 충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도시의 경우보다 농촌의 경우는 회원의 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 전반적으로 경로당의 재정의 안정성이 낮은 가운데, 농촌지역의 경로당이 재정의 불완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운영 실태로는 우리시에 등록된 507개 경로당 중 독자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경로당은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러나 지역사회자원과 연계한 지역별 특성화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는 곳이 5개소가 있었다. 다섯째, 경로당시설은 일부 동지역에서는 마을총회나 반상회, 각종 경·조사 시 주민들이 함께 이용을 하거나 재해, 재난 시 이재민 수용시설로 개방되는 등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용공간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설이 지역사회로 개방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분 경로당 시설은 자체 공간 부족과 프로그램의 부재 및 노인 분들만이 이용하는 공간이라는 인식과, 상시 거주로 인한 활용시간대의 부적절 순으로 지역주민이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당의 41.6%가 지역사회자원과 결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재정부분과 프로그램 부분에서의 결연희망정도가 높았다. 재정적인 측면에서는 민간단체, 독지가, 기업가, 출향인사 등과의 결연으로 경로당 운영의 보충적 차원에서 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아울러 프로그램 측면에서도 지역사회의 사회복지관이나 민간단체와의 연계로 정기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희망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경로당 활성화의 선결과제로 프로그램 개발을 들었으며, 공적자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함의를 바탕으로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공적자원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는 여러 업무가 중복되어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경로당업무 관리자로 배치하기에는 업무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어 먼저, 포항지역을 권역별로 묶어 사회복지인프라가 전무한 농촌단위에 우선적으로 경로당 업무를 담당할 인력과 재정지원이 있어야겠다. 둘째, 경로당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여가 프로그램에 국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은 지역사회와 연계한 5곳에 불과해 경로당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로당 업무의 표준화와 동시에 프로그램의 표준화 작업이 선결되어야 한다. 셋째, 지방정부에서 경로당 운영을 위한 재정과 인력의 확보를 단시간에 해소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공적자원의 사각지대를 메우기 위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지역사회자원을 연계하는 자원조정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지역사회내의 자원 활용을 극대화해 경로당 운영을 위한 인적, 재정적인 자원은 물론 경로당 활성화의 선결과제인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도모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경로당 업무와 프로그램 표준화를 위한 연구는 후속과제로 둔다.

      • 창작스튜디오의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이경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18

        본 연구는 창작스튜디오가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조사이다. 국내외 창작스튜디오 중에서 지역사회관련 프로그램이 비교적 다양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창작스튜디오를 선정하여 지역사회와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여 보고 지역문화발전을 위해 창작스튜디오의 활용방안을 도출해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창작스튜디오라는 공간을 선정한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의 창작스튜디오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서 새로운 문화공간을 신축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였고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예술 관련 사업이 증가하면서 문화예술 관련 예산을 증액시키고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정책 방향과 주민의 요구가 자연스럽게 맞물려 있는 시점에서 지역문화시설로서 주목할 만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창작스튜디오의 형성과 발전은 정부의 예술문화정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정부의 예술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정책적 차원에서 창작스튜디오 지원방안도 함께 알아보았다. 창작스튜디오는 다양한 예술가들이 입주하여 창작활동을 하는 창작 공간이면서 작가와 예술관계자 간의 교류와 소통의 장, 국제교류의 장, 지역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작스튜디오가 지역문화공간으로서 지역주민의 문화예술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각종 지역사회관련 활동을 통해서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는데 그 의의를 둔다. 창작스튜디오의 지역사회관련 활동은 오픈스튜디오,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 지역 축제 참가활동, 지역주민 교육프로그램 등이 있다. 그동안의 창작스튜디오는 입주 작가들에게 창작공간을 제공한다는 초기의 설립목적에 충실하게 운영되었으나 최근에는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문화예술공간으로서 창작스튜디오의 역할에 주목하고 중앙 중심의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 시스템에서 벗어나 각 지역사회가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는 대안 공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문헌 연구와 국내 창작스튜디오를 방문하고 면담하는 등 사례연구 방법이 함께 이루어졌다. 국내 창작스튜디오의 사례 연구는 비교적 모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창작스튜디오를 선별하여 이루어졌으며 국외의 경우는 P.S.1, 아트 오마이, 쌩카르티에, 아트뱅크1929 등을 조사하였다. 국내외 창작스튜디오의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창작스튜디오는 작가들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창작공간인 동시에 지역 주민의 문화예술교육기관으로서 지역문화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창작스튜디오를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이 모색되었다. 첫째, 문화정책적인 측면에서 창작스튜디오 활동을 지원하는 방안, 둘째, 다양한 지역사회관련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한 활성화 방안, 마지막으로 국내외 문화교류활동을 통하여 지역문화를 발전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우리나라 창작스튜디오는 전국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각 창작스튜디오가 지역의 지리적․역사적․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지역문화예술발전의 거점으로서 지역 주민의 문화예술인식의 고양과 지역문화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도심지역과 농어촌지역의 경로당 특성에 비교연구 : 부산진구와 기장군을 중심으로

        김해정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03

        Busanjin-gu, Busan, Haeundae-gu area of ​​senior centers prior survey of secondary data analysis, this study is the result. Problems with survey results derived common community welfare for the elderly leisure facilities as senior centers, the situ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usanjin-gu and gijanggun response if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education, were Second, Haeundae-gu, compared to about a senior center facility gijanggun of 'very clean' is called if the relatively high distribution shows, and showed that many cases gijanggun If you answered 'antiquities'. Third, it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region registered members. Fourth, if the monthly fee Jingu of senior centers and pay a lot more on average tha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usanjin-gu, the Regional Liaison Program and the daily Participants, on averag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appears. Sixth, senior centers enable businesses of both area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eventh awareness to senior centers, showing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the items that appear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gram provides a place as‘ Eighth, 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urgency associated with the senior center improvement.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the sum of the region according to the urgency of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senior centers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Main target layer in senior centers in the region, as the program provides appropriate place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ole. Prepare a management system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enior center to raise and support measures of the incentive type, there is an urgent need. Third, the senior center area is the need to build a community connection. 본 연구는 부산시의 부산진구와 해운대구 지역의 경로당 선행조사의 2차 자료분석 결과이다. 조사결과 공통적으로 도출된 지역사회 노인복지 여가시설로서 경로당이 가지는 문제 상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부산진구와 기장군의 응답 경우 연령과 학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로당 시설상태에 대해서 해운대구에 비해서 기장군의 경우가 ‘매우 깨끗’하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낡음’으로 응답한 경우도 기장군의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별 등록회원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월회비의 경우는 진구의 경로당이 평균에 있어서 더 많이 납부하고 있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별 연계프로그램의 수와 일일참여인원의 경우 부산진구가 평균적으로 높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섯째, 경로당활성화사업의 경우 그 성과가 두 지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경로당에 대한 인식으로 가장 큰 분포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항목은 ‘프로그램 제공장소’로서의 인식의 차이로 나타났다. 여덟째, 경로당 문제이 개선 시급성과 관련된 분석결과이다. 지역에 따른 시급성의 총합평균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경로당의 발전을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당의 지역별 주요 대상층에 대한 적합한 프로그램 제공 장소로서 역할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경로당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관리시스템 마련과 인센티브 형식의 지원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경로당 지역사회연계 구축의 필요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