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로나 19 상황에서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일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김원세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이 겪는 일 경험의 실제를 파악하는 데 있다. 코로나 19 상황에서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일 경험이 다양한 사회관계 속에서 텍스트를 매개로 어떻게 조정되고, 정책이나 담론 등으로 조정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로시 스미스(Dorothy Smith)가 개발한 ‘제도적 문화기술지(Institutional Ethnography)’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0월∼2022년 4월까지 충남·세종지역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17명을 대상으로의 사회복지사의 일 지식과(work knowledge) 텍스트(texts)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입장에 서서, 그들의 복지서비스 실천은 거시적인 제도적 질서와 맞닿아 있다는 문제틀을 견지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일 과정에 개입된 다양한 텍스트들이 어떻게 그들의 일을 조정하게 되는지, 이들 텍스트 속에 담긴 상위적 담론은 무엇이며 사회복지사들의 일에 어떤 힘을 발휘하게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복지관의 일은 크게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에 관한 일’, 그리고 지역사회복지관 주요사업에 따라 ‘지역조직화 사업의 일’과 ‘사례관리 사업의 일’, 그리고 ‘서비스제공 사업의 일’로 세분화할 수 있으나 코로나 19라는 질병 재난 상황에서 사회복지사는 운영과 사업 이외에도 전염병 차단이라는 ‘방역 지원 업무’와 비대면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촬영, 편집, 교육, 홍보, 심리상담 및 예방 등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코로나 19이라는 질병 재난 상황에서 경험하는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일 조직화 양상과 이들 일 조직화 속에 담긴 상위 담론체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의 질병 재난 상황에서도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는 복지서비스를 중단해서는 안 된다. 둘째, 사회복지사는 ‘질병 재난 상황에서 복지서비스 제공’으로 인해 전염병 노출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가중되었다. 셋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등의 지침 일관성 문제로 ‘쉬고 있다’(놀고 있잖아!)라는 왜곡된 시선은 사회복지사 일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배경이 되었다. 연구 참여자인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자신이 코로나 19에 전염될 수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지속하여온 복지서비스를 중단할 수 없었으며, 비대면 서비스제공을 위한 사업 개발을 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위기 상황에서 사회복지사까지 외면할 수 없다는 사회복지사의 일에 대한 당위성 때문이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복지서비스 대상자들의 코로나 블루라는 심리적 소진과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사업도 병행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을 했음에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으로 바라보는 외부의 왜곡된 시선은 사회복지사 일을 더욱더 힘들게 하였다. 이러한 상황들은 사회복지사들의 심리적 소진과 스트레스로 작용하였으며, 평상시의 복지서비스 전달보다 재난 상황에서의 사회복지사들의 심리적 관리가 더욱 필요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비대면 서비스제공에 대한 경험 부재와 지역사회복지관이 질병 재난 상황에서 활동할 수 있는 법적 근거도 확실하지 않은 측면도 있다. 연구결과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질병 재난대비 법제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질병재난과 같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융통성 있는 지역사회복지 공동체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비대면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에 따른 중앙정부의 지원이다. 끝으로, 질병 재난 상황 시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역량 강화 및 소진 예방 프로그램이 더욱 필요하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코로나 19라는 질병 재난 상황에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업무를 제도적으로 조직화되는 활동으로 탐구함으로써 질병 재난 상황에 얽혀 있는 체계, 정책, 담론 등의 거시 구조를 밝히고 그로부터 조형되는 사회복지사의 ‘실제’를 들여다보았다는 데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재난은 언제 어떻게 다가올 것이라는 장담할 수 없기에 향후 다양한 재난 발생에서 사회복지시설과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법제 정비와 지침 마련을 위한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

        김기정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발전은 민간 기업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복지관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넷을 매개로 한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통해 클라이언트나 지역주민의 접근성이 높아졌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어져 편의성이 높아졌으며, 보다 신속․정확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통해 지역사회 복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이버 상담 같은 온라인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또한 정보공개 및 지역사회복지관과 클라이언트나 지역주민사이에 의사소통(E-mail, 게시판, 대화방 등을 통한)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의의는 온라인 상 또 하나의 지역사회복지관으로 클라이언트나 지역주민을 위한 고객 지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실제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방문해보면 상당수의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가 클라이언트나 지역주민을 위한 고객 지향적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는 지역사회복지관 홍보 등 지역사회복지관 중심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 고객지향성의 개념을 파악하고, 선정된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 고객지향성 평가지표와 평가항목을 실제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에 적용하여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 실태와 수준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평가연구를 위한 평가지표 선정은 선행연구에서 적용된 평가지표를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 측면으로 재분류하고 재구성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평가지표와 평가항목에는 편의성, 대응성, 신속정확성, 다양성, 의사소통의 개방성으로 총 5개 평가지표와 32개 평가항목이 있다. 평가지표와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각종 연구 자료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평가대상은 부산광역시 16개 지역 49개 지역사회복지관을 선정하였으며, 사용자 그룹으로 구성된 3명의 평가자가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없기에 더욱 의미가 있다. 선정된 평가지표와 평가항목은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 실태와 수준을 분석할 때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복지관 홈페이지를 제작, 운영․관리할 때도 활용할 수 있다. The advance of the Internet based on web technology has huge impacts on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as well as private corporations. In fact, the homepage in the Internet makes clients and local people's approach convenient, free from restriction of time and place, rapid and accurate. The information on community welfare can be easily collected and on-line service like cyber counseling is available through the homepage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 Futhermore, disclosur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er and clients or local people can be increased by making use of e-mail, bulletin boards, chat rooms. In brief, the significance of the homepage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 lies in the customer-oriented service for clients and local people as an on-line social welfare center. However, when visiting homepages currently being run by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a good many of them are the social welfare center-oriented, not customer-oriented; in other words, they are used for public relations rather than service for clients and local peopl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customer orientation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will be understood;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level of a homepage will be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ex and evaluation items selected to existing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s. The evaluation index for this study was reclassified and reorganized from that of previous study in terms of customer orientation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The evaluation index selected includes convenience, correspondence, swiftness & accuracy, diversity, and openness of communication; and there are 32 evaluation items chosen. 49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of 16 regions in Busan were surveyed and their homepages are visited and evaluated by 3 appraisers composed of owners.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deal with the subject, customer orientation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It could be used not only whe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level of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should be analyzed but also when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homepage is produced, operated or managed.

      •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이용 및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임윤빈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이용 및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임윤빈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이용 및 참여실태를 통하여 지역주민들의 욕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지역사회복지관에 보다 많은 지역주민이 참여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전·충남에 위치한 지역사회복지관 30개소가 위치한 지역내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서비스 이용대상자 300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이용 및 참여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이용 및 참여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크게 응답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아동복지분야, 청소년복지분야, 장애인복지분야, 여성복지분야, 노인복지분야, 가정복지분야, 지역사회복지분야, 복지관에 대한 인식도 등 9가지 분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계분석은 SPSS WINDOWS 10.0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주로 활용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차분석( 검정)과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 test)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에 대한 홍보를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지역사회복지관이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종합복지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주민들이 사회복지관에 대한 인지도롤 높여야 한다. 본 연구 조사결과, 지역주민의 19.7%는 이름만 들어 보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전혀 모른다고 응답한 주민도 12.1%에 달했다. 그러나 지역주민의 지역사회참여가 높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이는 주민들의 욕구나 관심 부재라기보다는 지역사회복지관 차원에서의 홍보부족과 물리적인 접근성에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홍보방안을 강구하여 지역사회복지관이 지역주민들을 위한 복지센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지역사회의 주민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와 주민의 연대감을 조성하는 매체로써 지역주민들의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지역사회에 대한 주민의 대표적인 형태로 자원봉사와 후원활동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자원봉사와 후원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주민이 비교적 많았고, 참여하지 않은 지역주민도 자원봉사와 후원활동에 대한 욕구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방과 후 또는 주말프로그램에 77. 3%가 참여를 희망한 점을 감안해 볼 때, 지역주민들의 욕구를 꼼꼼하게 파악하여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들이 지역사회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주민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주민들이 원하고 있는 상담·취미·교양 등 프로그램은 아동, 청소년, 장애인, 여성, 노인 등에서 골고루 필요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원비의 상승으로 인한 사교육비 부담의 증가로 부모들이 아동 양육시와 가정복지분야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부모들이 안심하게 맡길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과 후 또는 주말 프로그램이 무엇보다도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지역주민이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사랑방 같은 휴식시설의 역할, 상담, 프로그램 순으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통하여 지역주민들의 문화 욕구를 충족시킬 뿐 아니라, 이를 통한 사회복지관의 주민참여를 유도하고 자원봉사와 후원대상자로 조직화한다면 지역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내의 중심기관으로 거듭날 것이다. 앞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서비스의 실천기관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 이욤 및 참여 실태에 대한 결론은 지역사회복지관의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홍보를 통하여 지역주민에게 지역사회복지관의 인지도를 높이고, 지역사회주민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또한 지역주민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들 수 있었다. ABSTRACT A Study on the Residents' Usage and Participation Realities state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 In Daejeon City and Chungcheongnam-do - Yun-Bin I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Wook-Hyueon Baek)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classified by the residency type(metropolis, middle/small town) on social welfare program that is currently practiced among the residents at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in Daejeon·Chungcheongnam-do through the study on usage status and participation plan of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study of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we classified into children, teenagers, handicapped, elderly people, family, local society, and understanding of welfare center. After looking at the satisfaction and problems of the residents, we could get these 3 results on participation plan of local social welfare center. 1. The prior task is to develop a new program to satisfy various demands of the residents. 2. They need to advertise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more systematically for better acknowledgement of the residents. 3. They need to develop network of social welfare service within the local society, such as development of volunteered service program, and support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as an organization that practices local social welfare service should put much effort to offer better quality service.

      •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의 개선에 관한 연구

        이방춘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해 종합복지센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도출하여 보다 효을적이고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은 1970년대까지 주로 외국의 선교사나 외원기관들에 의해 운영되어 오다가 1983년 개정된 사회사업법을 토대로 제6,7차 경제 개발계획과 1989년 저소득충 영구임대아파트 건립시 일정규모의 사회복지관을 짓도록 하는 정책, 그리고 1991년부터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된 이후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지방자치단체가 관심을 가짐에 따라 1989년 39개소에 불과하던 사회복지관수가 2000년에 이르러 343개소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팽창은 주로 정치적인 의도에 따라 이루어 졌기 때문에 질적인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되었다. 먼저 사회복지관이 주로 도시지역 위주로 편중되어 있어 농촌주민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높고, 복지관 재정의 80%를 지원하게 되어 있는 정부의 재정지원이 복지관 종사자의 인건비에토 못미치는 35.6%밖에 지원되지 않고 있어 복지관 근무여건이 열악하고 전문가도 제대로 채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의식부족으로 인하여 자원봉사자나 후원자를 확보하고 관리하기도 힘든 실정이다. 또한 사회복지관 운영주체 중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사회복지 설립요건과 절차가 「허가주의」 를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설립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변칙적인 운영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사회 및 감사운영에 있어서도 정부의 과도한 규제와 관리소홀로 사회복지법인의 부실화가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사회복지관 운영의 성패를 좌우한다고도 볼 수 있는 재정부족문제는 사회복지관의 비전문화, 기피 직종화,변칙 운영화를 부채질하고 있어 정부의 확고한 재정지원 없이는 사회복지관의 존립자체가 유명무실 해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복지관 운영에 대한 평가결과에 따라 정부예산을 차등지원하게됨에 따라 객관적인 평가기준 및 방법이 하루빨리 마련되어야 하겠으며, 지역의 특성을 무시한 동일한 프로그램운영 및 주민참여 기피로 지역주민의 무관심 속에 복지관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 ·농촌별로 지역특성에 맞도록 사회복지관 운영방식을 개선 하고 특히 농촌지역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유치노력이 있어야 하겠으며, 복 지관 운영예산을 규정에 따라 80%를 정부가 지원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사고의 전환이 있어야만 시대에 걸맞는 복지관의 전문화, 다양화, 내실화가 가능하리 라고 본다. 또한 복지관의 전문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직원 최저배치기준과 자격기준을 부활시켜야 하겠으며, 복지프로그램토 그 지역여건에 맞고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조사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복지범 인 설립요건에서 「허가주의」 를 법를에 정한 기준을 충족하면 법인을 설립할 수 있는 「준칙주의」로 개선하고 이사회와 감사의 전문성도 보장할 수 있는 강제조항도 신설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객관적으로 복지관 운영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 을 개발 하여 시행하고 지방화 시대에 맞추어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하며, 지역주민의 참여가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 기 때문에 지역주민이 필요로 하는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는 복지관이라는 인식이 들수 있도록 홍보활동과 아울러 적절한 정책 및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한다면 '주민을 위한' '주민에 의한' '주민의 복지관'으로서 명실상부하게 지역주민의 복지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복지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대안적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 확립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강정아 서남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사업은 과거 요보호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용시설 중심의 사업들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도시의 빈민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복지관과 같은 이용시설 중심의 사회복지사업이 활성화되었다. 정부는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해 80년대 후반부터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와 같은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을 설립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365개의 사회복지관이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특별히 지방화시대가 본격화되고 사회복지분야에서도 지방화와 사회복지의 보편화가 진행되면서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최일선의 이용시설로서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은 점점 중요해 지고 있다. 지역사회복지관은 1880년대 영국과 미국의 인보관 운동으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1906년 외국인 선교사에 의해 처음 도입된 후 100여 년 동안 태동기와 형성기, 확대기를 거쳐 정착기에 들어 와 있는 상황이다. 발전과정에서 보면 우리나라 사회복지관 초기에는 여성과 빈민계층을 위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주로 사회계몽과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성격이 강하였다. 형성기를 지나 확대기에는 정부의 지원으로 양적 팽창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복지관의 운영에 관련 된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또한 형성기에는 정부의 지원이 시작됨과 동시에 재정의 열악성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사회복지관이 정부 지원에 의존적이게 되었다. 정착기에 들어선 지역사회복지관은 그 동안 민간 전달체계로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성과와 운영에 대한 평가를 받기 시작하였고 2000년에 처음으로 실시되었던 전국 사회복지관 평가는 확대기를 지나 지역사회복지관이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자극이 되었다. 지역사회복지관은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한 기능과 역할을 가지고 있다. 첫 째, 문제를 지닌 개인이나 가정에 대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과 사회화 또는 발달적 욕구충족을 위한 서비스센터로서의 역할, 특수한 문제나 욕구에 부응하여 구체적 서비스나 정보제공 및 의뢰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종합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기능이 그것이다. 둘 째,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참여의 중심체로서의 역할과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주민 또는 기관간의 공동계획 및 조정의 역할, 그리고 특정집단의 이익대변 및 사회행동센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 및 조직화의 기능이다.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관은 정착기에 들어 선 최근까지 종합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기능에 집중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요보호 대상자와 저소득층에 대해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민간복지전달체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나 사회복지의 지방화와 보편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복지 욕구와 급변하는 사회복지환경에 대한 대응으로 앞으로는 지역사회문제 해결과 조직화의 기능이 더욱 요구되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실태를 통해 사회복지관 내부적인 문제점들을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다. 인력상의 문제점에서는 사회복지관의 전문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적정인력이 채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다른 전문직종과 비교할 때 열악한 처우와 근무환경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재정상의 문제점으로서는 비현실적인 정부지원과 유료사업에 대한 의존성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 동원의 부진 등을 들 수 있겠다. 프로그램상의 문제로는 프로그램의 계획성이나 수행과정은 전문화 되어있으나 평가의 체계성과 피드백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특성을 고려하고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특화사업이 부족하였다. 또한 교육·문화사업분야에서는 유료화 된 사회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어 사회복지관의 학원화와 관련 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지역사회복지관 내부적인 개선방안으로 첫 번째, 인력상의 개선방안은 전문인력의 확보와 교육·훈련의 강화, 종사자의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 지역사회의 인력활용을 제시할 수 있겠으며, 두 번째는 재정상의 개선방안으로 정부지원금 확대의 필요성과 복지관 자원동원노력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상의 개선방안으로는 프로그램의 책임성과 전문성 확보의 노력과 프로그램 관리의 필요성,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시할 수 있겠다. 급변하는 사회복지 환경 속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운영 실태와 그 개선방안을 통해 내부적인 여건 개선에 대하여 논하였다. 연구의 결론을 맺으며 연구자는 이제 사회복지관 외부적인 환경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먼저 정부와의 관계설정이다. 2004년 7월 시범사회복지사무소가 전국 9개 지역에서 문을 열게 된다. 참여정부 시작과 함께 공공부조에 관한 예산은 증가하였으나 실제 국민의 사회복지 체감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 공적복지전달체계의 비효율성과 비전문성, 사회복지욕구에 대해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해왔던 공적복지전달체계가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역사회에서 대표적인 민간복지전달체계로서 역할을 수행해 왔던 지역사회복지관은 정부의 지도 감독으로부터 보다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사회복지사업 수행으로 정부와의 대등한 협력관계를 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진보적인 시민단체나 종교단체들의 사회복지 참여에 대해서도 경쟁적인 시각을 갖기보다는 시민단체의 자율성과 운동성 그리고 진보성을 전달받음으로서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에 대한 옹호와 사회 개혁적인 성격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제 지역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사회복지관은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다양한 복지 욕구에 대응하고 지역공동체와 연대감을 조성할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 바로 그 곳에 지역사회복지관이 있어야 할 것이다. Previously, Korean social welfare was centered on the accommodation facility objectifying the persons who needed shelters. But, in 1880s, the policy changed into the social welfare centered on the facility for utilization lik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entered on the poor zones in the urban . The government began to establish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entering on the poor zones like the permanent apartment area for lease from the latter half of 1980s so that it can promote citizen's welfare residing in the regional society and the regional citizens. As a result, 365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distributed in Korea. As the regional age begins in earnest and region-oriented progress and social welfare goes in the sphere of social welfare,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the regional welfare facility as the most essential facility for promotion of regional citizen's welfare are getting more important. Community welfare center originates from English and American Human Rights Protection Movement in 1880s. In Korea it was induced by the foreign missionary in 1906, and it experienced the beginning age, formative age, and expansive age for about 100 years, and now, it is in the process of fixation age. As for the developmental course, at the beginning, the Korean Community welfare center operates social education program for the woman and the poor class, and it has the traits, mostly, of social enlightenment and the organization of social education After the formative age, when in the expansive age, the governmental support made community welfare center increase in quality, and in these situations opera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egan to have problems. In addition, in the formative age, the government began to support the center, and the most community welfare centers poor in finance were dependent on the government's suppor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he fixation age began to be appreciated about the results and operation, the communicative system between citizens, and the national appreciation abou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egan in 2000 for the first time experienced the expansion age. It stimulated the expertise of the program and the quality of servic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the important functions and roles as followings. Firstly, it has the function as the transferor of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service which plays a role of offering supportive service to the persons or homes which have problems, which plays a role as the service center for socialization or satisfaction of developmental need, and which plays a role of offering concrete service or information as well as requested service. Secondly, it has the function as the solver of the regional problems and organization where citizens participate to solve regional problems as the central body, which makes a plan together with citizens and other organization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which solves the regional problems and speaks by proxy for a confined group or which plays a part as the center for social behavi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concentrated on the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service till the recent time of fixation age, and played the role as the representative system which transferred the civil welfare offering comprehensive and expert service to the persons who needed protection and poor classes. But, in the future, when it has to cope with various needs of social welfare and rapidly changing social welfare circumstances, the function to solve the regional problems and to organize was demanded more. The internal problem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this thesis analyse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re as followings. As for the problems in the aspect of human power, the communty welfare center doesn't adapt the needful human power to propel the expert business, and, compared with other expert kind of job, it has had inferior treatment for the manpower and working circumstances. The financial problems are unrealistic governmental support, dependence on the government at the time of propelling the business with expenses, and insufficient mobilization of the regional resources. Problem of program is that planning of program and the course of conduct are expert, but systemization and feedback of appreciation is not reasonable. In addition, the specialized business which demands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itizen's requests was not sufficient. As for the sphere of educational and cultural business, the social education program which demanded expenses was activated, which exerted action on issues related to making community welfare centers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played an action negatively. The internal way to improv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s, firstly, that the expert human power should be recruited,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strengthened, employee's circumstances to work and treatment for them should be improved, and the human power residing in the region should be utilized. Secondly, the way to improve its finance is that the supported money from the government should be increased(actual governmental support in finance) and the hardship to mobilize the source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should be essential. In the end, as for the way to improve program, the program should be operated with liability, the expertise should be secured, the program should be managed, and the program for the region should be developed. This thesis discussed on the operational actuality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he circumstances of social welfare and the internal conditions through the ways to improve them. In conclusion this thesis, this thesis intends to propose some ways to cope with the other circumstances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y. Firstly, the social welfare facility should establish the relation with the government. In July, 2004, the exemplary social welfare offices open in nine regions. When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began, the budget for public cooperation increased. But people didn't feel it so good. The public welfare transfer system which has not coped with ineffectiveness and non-expertise of the public welfare system, and needs to the social welfare tries to change. In this point of tim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has played a role as the representative civic welfare transfer system in the region should have equal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by conducting autonomous and independent social welfare program from the governmental supervision. In addition, the personnels concerned with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should endeavor to accept the poor class residing in the region and to have social reformational traits by accepting civic groups' spontaneity, movement, and advancement, not by having a comparative views to the participation of progressive civic group or religious group. In the en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he field of practicing welfare of the region is required to conduct new function and role. The regional welfare should be in the field of practicing the regional welfare where personnel concerned with social welfare can cope with needs of welfare of the regional citizen residing in the region, and establish feelings of solidity.

      • 역량강화적 접근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의 자립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윤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9727

        역량강화적 접근은 전문적 원조 관계에서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가 되고 역량강화를 통해 나타난 변화가 개인내적 변화에서 대인적, 사회정치적 수준으로 연계되는 것에 관심을 가지는 실천방법이다. 따라서 환경의 변화를 강조하고 지역중심의 실천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최근 사회복지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역량강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지역복지실천 현장에서 역량강화적 접근의 적용 현황과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역량강화적 접근과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와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량강화적 실천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근거로 연구모형과 연구문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량강화적 실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화된 설문지와,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소재 30개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와 프로그램 이용자이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사회복지사가 응답한 30개 자료와 이용자 392명의 응답자료였다.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역량강화적 접근의 수준은 100점을 기준으로 할 때 평균 59.1로 나타나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역량강화 실천을 구성하는 하위 차원 중 조직문화와 리더쉽과 관련된 복지관 운영체계의 점수가 다른 하위차원에 비해 낮은 평균점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점수를 보인 것은 사회복지사의 실천전략 차원이었다. 둘째,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를 측정한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요인분석의 결과 역량강화적 변화의 차원은 6개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① 자립의식, ② 권리의식, ③ 정보력, ④ 대처기술, ⑤ 도움요청능력, ⑥ 사회의식. 이는 선행연구에서 역량강화적 변화의 차원을 ① 개인 내적 변화, ② 개인적 변화, ③ 사회정치적 변화 등의 세 가지로 구분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하지만 변화의 차원 중 자립의식과 권리의식의 경우에는 개인 내적 변화로, 정보력, 대처기술, 도움요청능력은 대인적 변화로, 사회의식은 사회정치적 변화로 묶어볼 수 있기 때문에 선행연구의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셋째, 이용자의 전체 역량강화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복지관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의 정도도 높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복지관의 역량강화 실천의 수준과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를 세가지 하위차원으로 나누어 검증했을 때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복지관의 역량강화실천 수준에 따라 가장 큰 변화의 차이를 보이는 차원은 사회정치적 변화였다. 넷째, 이용자의 전체 역량강화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역량강화적 접근의 실천요소 중 복지관 운영체계가 유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사회복지관, 프로그램 담당 사회복지사, 프로그램 이용자의 특성을 통제했을 때도 같게 나타났다. 이용자의 사회정치적 변화가 종속변인이 된 경우에는 복지관 운영체계뿐 아니라 프로그램 원칙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역량강화적 실천요소의 영향력이 이용자의 사회정치적 변화의 차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이다. 다섯째,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의 하위차원을 요인분석의 결과에 따라 6가지 하위요소로 다시 세분화하여 영향요인을 검토한 결과, 각 하위요소별로 차이를 보였다. 개인 내적 변화의 하위요소인 권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전문인력비율, 사회복지사 실천전략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복지관 이용자가 서비스를 수혜라기보다는 권리로 인식하도록 하는데는 사회복지전문인력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것이다. 사회정치적 변화의 하위요소인 사회의식의 경우 복지관 운영방침, 프로그램원칙과 복지관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복지관이 영구임대지역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 이용자의 사회의식의 변화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상대적으로 취약계층이 밀집되어 있는 영구임대지역에 역량강화적 접근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우리 나라 지역사회복지관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주민참여의 확대를 위해서 지역복지실천에서 역량강화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제안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역량강화적 접근의 확대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변화를 시도해야할 부분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체계, 즉, 조직문화와 관리자의 리더십 부분이다. 현재 강화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평가의 내용에 이러한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복지관 관리자에 대한 보수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이용자의 사회정치적 변화, 즉 사회의식의 개선이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에서 중요한 요소로 파악되었다. 지역사회복지관 사례를 살펴본 바에 따르면 다양한 집단활동이 사회정치적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지역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에 이용자의 사회의식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집단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의 역량강화에 대한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나 질적연구를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양한 분야와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적 접근의 효과성 검증과 역량강화적 실천과 대상자의 역량강화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empowerment approach is to maximize an ability of a client in the professional helping relation. The empowerment approach is the practice method which gives thought to the idea that the changes appeared through empowerment are connected with from the level of personal changes to that of interpersonal and sociopolitical changes. Therefore emvironmental factors and community centered practice are emphasized.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empowerment was defin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empowerment approach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e user's empowerment change was tried to verify experimently.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hypotheses: 1) the empowerment approach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an effect on the user's empowerment change, 2) the empowerment approach has an effect on the user's personal change which is a dimension of empowerment changes, 3) the empowerment approach has an effect on the user's interpersonal change which is a dimension of empowerment changes, 4) the empowerment approach has an effect on the user's sociopolitical change which is a dimension of empowerment changes.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interviewing with social workers and self support program users of 30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final sample was consisted of social worker's 30 answers and program users' 392 answ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ll hypotheses were accepted. We have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pproach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e program users' empowerment changes. The factor affecting program user's empowerment changes was the management system of community welfare center. Especially sociopolitical change was affected by program principle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s well as management system. This result showed that sociopolitical change has relatively stronger relation with the empowerment approach of community welfare cente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empowerment approach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creases the program users' empowerment changes. And it can be suggested that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empowerment approach should be reinforced to enlarge user's empowerment changes and user's participation which are the important purpose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이전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교육프로그램의 실태와 구체적인 목적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사회교육이 그 목적을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사회교육의 개념을 파악하고, 사회교육과 지역사회복지관 사회교육프로그램과의 관련성을 고찰하였으며, 전국 사회복지관의 백서와 전라북도 14개 지역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익사업 및 사설학원화라는 지적에 대한 원인분석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업비 현황 및 사회교육 사업비를 분석하여 사회교육프로그램 수입이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파악하였으며, 또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사회복지관 운영 원칙을 활용하여 사회교육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목적과 기능에 맞게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는가를 분석·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회교육프로그램은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등 지역주민들에게 다양한 사회교육문화의 기회를 무료 또는 실비로 제공함으로서 지역사회교육센터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고 아동과 청소년들의 유해환경에 대한 예방적 대안문화 창조와 인성교육, 성인과 노인의 재사회화를 목적으로 하며 각종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사회복지서비스와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서 평생교육의 기반을 확충하고 문화결핍과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전라북도 지역의 지역사회복지관은 시설과 인력, 재정 등에서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교육 프로그램현황을 살펴 본 결과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실시하고 있었으며 지역사회복지관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고자, 저소득층 및 일반주민들에게 삶의 질 향상 및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교육을 통한 복지서비스 실시에 힘쓰고 있었다. 셋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실비사업비와 무료사업비를 합하면 175,214천원으로 73.24%를 차지하여 지역사회복지관 운영비중에서 사업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실비사업비와 무료사업비의 비중에 있어서도 무료사업비의 비중이 12.68%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비중 국고 및 지방비 보조금 지원금이 종사자 인건비에도 못 미치는 열악한 정부의 운영비 지원수준과 사회복지관의 만성적인 재정난으로 인해 사업수행과 기관운영의 여러 가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재 언급하지 않아도 너무나 공감하고 있는 형편이다.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이용료가 발생하는 일부 사회교육사업의 수익성에 대한 편견과 논란이 있기는 하나 운영의 현실적인 측면에서 다른 대안이 모색되지 않는다면 불가피하게 자체재원 확보 방안으로 활용될 수밖에 없으며 외부에서 보기에 수익사업이니 사설학원화라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본다. 넷째, 지역사회복지관은 시설과 장비측면에서의 전문성은 어느 정도 만족할 만한 수준을 갖추고 있지만, 인적자원에 있어서의 전문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역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서비스의 실천기관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기능을 다하기 위해 몇 가지 차원에서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교육문화센터로서의 기능 강화, 지역사회복지관의 위상 강화 및 사회교육프로그램의 차별화된 정체성확립, 지역주민에 대한 개방성 확대, 프로그램 개발 및 예산 지원 확대 등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d the social education program's aims and its achievement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t reavealed social education's conception and also considered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educ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social education program by study of bibliography. this study include that whole nation's issues and Jeonbuk-province's 14 community welfare senters. It also analysed its profitable work and its working expenses for improving. It also took advantage of a fact about region community walfare senters and analysed social education program's function and purpose. Then it is evaluated its proper technical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its duties. Firstly, The social education program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s supplying opportunity for local residents to meet variable social education culture on charge or free charge. So, they are enforcing the faculty as a social welfare education center. In the meantime, they are cultivating alternative culture to prevent children and teenagers from harmful environment and they also, are educating human nature. For adults and aged people, they are helping their re-socialization. Supplying all kinds of integrated education culture program by social welfare service, they can upgrade peoples life and establish the foundation of eternal education escaped from the lack of culture. Secondly,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Jeonlabuk-Do Province have serious difficulties in its facilities, welfare workers and their finance.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they are applying the actual social education program variably To achieve the purpose and the target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y are trying to supply welfare service through some educations. Namely, they are educating mainly low-income brackets and residential people to make them being sound citizens. Thirdly, Calculating both actual working expenses and no working charg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t amounts 175,214won, which is 73.24% of the total working expense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Namely, working expenses is given much weight in the total estimate. In addition, comparing the actual expenses and no charge, the priority of no charge is 12.68% higher. Therefore, this numbers proves that it is not reasonable to blame that social education program is profit business or private institutes. Fourthly, although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general social welfares has somewhat professional level, in the aspect of human resources, it is until being lack of professional level.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o reinforce faculty of social education program community welfare centers, 2) to reinforce quality and profession of social education program 3) to establish indentity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social education program 4) to enlarge alternative on social education to residential people 5) to develop variable program 6) to enlarge financial supports of government.

      • 지역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인천지역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영수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사례관리와 관련된 선행연구에 기초하면서, 구체적이며 실증적인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의 운영현황과 장애요인을 기관 당사자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지역사회복지관은 개인과 지역사회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사회복지실천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은 사례관리기관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사회의 변화와 복지정책의 변화, 지역사회의 욕구의 변화 등으로 새로운 역할 및 기능재정립의 요구에 직면해 있다. 사례관리는 보호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서비스의 통합성을 확보한다. 아울러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사회적 책임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사례관리가 발달한 배경은 탈시설화, 복잡하고 분산된 서비스체계,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에게 부과되는 과중한 책임, 다양한 문제와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증가, 사회적 지지체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심화, 늘어나는 서비스 비용을 절감해야할 필요성 등이다. 사례관리는 클라이언트, 사회자원, 사례관리자, 사례관리 기관으로 구성되며, 접수, 사정, 서비스 계획, 개입, 점검 및 재사정, 평가 및 종결의 6단계로 구성된다. 인천지역 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복지관은 사례관리 실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며, 사례관리기관의 운영체계가 가지는 영향력은 매우 크고, 사례관리는 복지관의 현장성과 진정성, 적극적인 사회자원 연계체계를 강화시킴과 동시에, 사회복지사들의 적극성, 책임성, 자존감을 높이며, 사례관리를 통해 기관 중심· 서비스 제공 중심의 사회복지 실천의 방향이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충족을 위한 과제 중심으로 옮겨지고, 서비스의 개별화· 특성화를 촉진한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사례관리 실천과정 측면에서는 우선 팀 차원의 사례관리가 필요하며, 정례화된 사례회의가 있어야하며, 팀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기관 전체나,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사례회의도 필요하고, 사례관리는 최소한 3년 이상의 기간을 두고 수행되어야 하며, 지역사회복지관의 폐쇄적이며, 관료적 운영체계를 개선해야 하고, 지역자원의 연계를 위해서는 우선 사례관리자 중심의 현장 네트웍이 구축되어야 하며, 사례관리를 위해서는 면접과 계획 수립과 관련된 경험과 기술, 서비스와 자원에 관련한 정보, 삶의 가치와 인간 대한 이해를 위한 인문학적 소양이 요청되며 이러한 점에서 사회복지사 양성과정에 임상적인 경험과 인문학적 소양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