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육상 투척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대한 방법적 지식의 구조화

        신성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69

        국문초록 이 연구는 육상 투척선수에서 내재되어 있는 방법적 지식의 요인들을 추출하고, 구조화 하고자 하였다. 방법적 지식은 주관적이고 해석적이며, 말이나 글로써 표현이 어렵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떤 전제나 주관적인 선입관을 배제하고 모든 현상에 대한 근원과 본질을 파악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방향에 맞게 S체육고등학교 육상 투척부 소속으로 재학 중인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지정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방법적 지식의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방법적 지식의 요인은 어떻게 형성되어 구조화 되는가?로 설정하여 연구목적 달성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상술한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상 투척선수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방법적 지식의 요인은 완전체, 이상향, 공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상 투척선수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방법적 지식의 요인인 완전체, 이상향, 공간을 완전체의 형성, 이상향의 체험, 체화된 지식의 분출구로서의 공간으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보면, 선수의 경기력은 개별적인 체험을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육상 투척종목에서 이루어지는 훈련 과정을 살펴보면 과학적인 훈련법만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해결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육상 투척선수의 개별적 상황과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경기력 향상에 대해 과학화 된 훈련 프로그램이나 명제로서 제시된 객관적인 데이터로만 접근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의 접근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육상 투척종목에 포함된 네 가지 각 종목(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창던지기)에 대해 보다 더 세부적이고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육상 투척종목의 지도자들은 선수들의 훈련에 있어서 선수 중심으로도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한다. 이에 따라 경기력 향상에 대해 다각도에서 접근하고, 과학적인 훈련법과 선수 중심의 훈련법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로서 보다 더 원활한 경기력 향상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주요어 : 육상투척, 경기력, 방법적지식, 엘리트스포츠, 체육

      • 한국형 엘리트의 탄생 : 동남아시아인 한국(어)학 전공 대학원생의 유학 경험을 중심으로

        김수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3225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knowledge mobility in western-centric globalized academia, based on a qualitative survey of the experiences of Southeast Asia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t Korea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tudents’ scholar/researcher identity within Korean society and at their universities, rather than the policy aspect of Korea that involves attracting more foreign students and expanding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f Southeast Asian students to study abroad in Korea is a compromise of their semi-global dreams. The mo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usually focuses on the US/West, the perceived center of economy and academics. Choosing Korea as the location for higher education and jobs and trying to achieve the dream of becoming a knowledge elite through Korea not only requires compromises and rationalization but also affects students’ elite identity and attitude after studying abroad. Second, this thesis clarifies how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void discrimination through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responses by intertwining their identity as a university student in Seoul with their identity as a Southeast Asian, which, on its own, often evokes low status connotations in Korean society. They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people of their country of origin by emphasizing their personal value and abilities and sometimes resort to agreeing with the assertions of discrimination in order to ingratiate themselves with Koreans. At the same time, their experience of neglect and alienation within the academic setting of Korean Studies (or language) is an element that contributes to the imperfection of the elite identity they pursue. Third, this thesis presents their elite identity as that of a “Koreanized elite.” This term implies an imperfect elite identity created b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Korean academia that they have acquired while studying in Korea, in conjunction with the economic dependency rooted in the ongoing master-disciple relations and research grants affecting them even after they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While they are professors of Korean Studies (and/or language) at their local universities, they are not fully recognized as Korean Studies scholars within the realm of educational and academic activities. As both beneficiaries and co-conspirators of Korea's national promotion, these Southeast Asian scholars maintain multifaceted and complex feelings for Korea. This thesis highlights knowledge mobility from the periphery to Korea, which has not been widely studied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In particular, rather than simply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s thesis analyzes how these Southeast Asian students, whose aim is upward class mobility by studying abroa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lites, and how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 continues to affect their elite identities beyond their periods of academic ex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