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기 일부지역 중학생들의 영양지식수준 및 조리관심도가 식습관과 학교급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경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effect of increase in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of students and increase in the interest in cooking due to the recent chef fever to the eating habit and school meal satisfaction on students,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2nd to 29th, 2015 subjected to total of 250 middle school students in some Gyeonggi region.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of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showed slightly high level of 11.07 points in the average score among the total score of 15.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BMI, male students had lower average than female students (p<0.05), second grade had higher average than the third grade (p<0.05), and showed in the order of Normal weight > Overweight or more > Low weight (p<0.01). In the difference of interest in cooking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and BMI, male students showed lower average than the female students (p<0.01) and second grade had higher average than the third grade (p<0.05). This result is regarded to be for the reason of the third grade not having the Technology & Home Economics Class including the cooking practice, therefore, the average was lower than the second grade having the cooking practice class. For the BMI level, the result was shown in the order of overweight or more > low weight > normal weight (p<0.05), and students over the normal weight showed higher interest in cooking. In terms of difference in eating habit according to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an average of even eating habit was shown regardless of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and in the difference to the school meal satisfaction, the students with normal or higher nutritional knowledge level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the school meal. The difference in eating habit according to the interest level in cooking also showed overall even eating habit regardless of the interest level in cooking, and in the difference on school meal satisfaction, it was difficult to see that the satisfaction on school meal was high when the interest in cooking was high, and there was also no correlation. This is because of simply expressing interest in cooking and not on the interest level of students with experience in cooking, therefore, more detailed study will be required after identifying the experience of students in cooking. Therefore,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nutritional education through various cooking practice and experience will have effect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forming eating habit and also on the school meal satisfaction of students, so to enable continuous and systematic nutritional education, the required tools and methods must be provided not only from the school, but through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long with these supports, it is regarded that preferential participation from the parents and students will be required. 본 연구는 학생들의 영양지식수준과 최근 Chef열풍으로 인한 조리관심도 증가가 학생들의 식습관 및 학교급식의 만족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경기 일부지역 중학생 총 250명을 대상으로 2015년 12월 22일∼12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수준은 총 15점 만점 기준 평균점수가 11.07점으로 조금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성별,학년,BMI 수준에 따른 영양지식수준에 대한 차이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평균이 낮았고(p<0.05), 2학년이 3학년보다 평균이 높았으며(p<0.05), 정상> 과체중 이상> 저체중의 순으로 나타났다(p<0.01). 성별,학년,BMI 수준에 따른 조리관심도의 차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평균이 낮았고(p<0.01), 2학년이 3학년보다 평균이 높았으며(p<0.05), 이는 조리실습이 들어간 기술가정의 수업이 3학년은 없기 때문에 조리실습 수업이 있는 2학년보다는 평균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BMI 수준은 과체중 이상> 저체중> 정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p<0.05), 체중 이상의 학생들이 조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수준에 따른 식습관의 차이는 영양지식수준과 관계없이 평균적으로 고른 식습관의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학교급식 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영양지식수준이 보통 이상의 학생들의 학교급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리관심도에 따른 식습관의 차이도 조리관심도의 수준과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고른 식습관의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학교급식 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조리관심도가 높을 수록 학교급식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보기 어려우며 상관관계 또한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단순 조리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낸 것으로 조리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관심도가 아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조리경험의 유,무를 파악하여 좀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다양한 조리실습 및 경험을 통한 영양교육도 학생들의 영양지식 수준 및 식습관 형성, 더불어 학교급식 만족도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도구, 방법을 학교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행정적 지원을 마련해 줘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런 지원과 더불어 학부모와 학생들의 우선적 참여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일반계고등학교의 지식경영 수준 분석

        송덕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고등학교의 지식경영 수준을 분석하는 데 있다. 학교 수준에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제고하고, 학교개선의 역량을 갖추며,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미래의 학교로 재구조화하기 위해서 지식경영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견지에서 일반계고등학교의 지식경영 수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고등학교의 지식경영은 어느 수준에 있는가? 둘째, 일반계고등학교에서 지식경영을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일반계고등학교에서 지식경영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학교조직과 교사문화의 특성, 지식과 학습, 학습조직이론, 지식창조이론 및 지식경영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지식경영체제를 구안하고 설문지와 면담지를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지식경영 체제모형은 학습체제, 조직체제, 인적체제, 지식체제, 기술체제 등 다섯 개의 하위체제를 갖고 있다. 학습체제는 개인 수준의 학습과 사고모형의 변화로 구성되며, 조직체제는 조직학습의 수준, 조직학습의 문화와 구조, 조직내부의 관계로 구성되고, 인적체제는 학교내부의 관계와 학교외부의 관계로 구성되며, 지식체제는 지식의 획득, 생성, 저장, 전환, 활용되는 과정으로 구성되고, 기술체제는 정보기술학습과 업무에 활용되는 수준으로 구성된다. 일반계고등학교의 지식경영 수준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수준은 그리 높지도 낮지도 않은 보통 수준에 머물렀다. 하위체제 중에서는 학습체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체제와 인적체제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 보면, 성별의 경우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지식경영의 수준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교직경력의 경우, 기술체제를 제외한 전 하위체제에서 경력 30년 이상의 교사가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직위별로는 관리자의 경우 학습체제와 지식체제에서, 부장교사의 경우 조직체제와 인적체제에서 그 수준이 높았다. 담임 여부별로 보았을 때 학습체제, 조직체제, 인적체제, 지식체제에서 비담임교사의 수준이 높았으며, 담당과목별로는 예?체능과 교사들이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결과와 면담을 통해서 밝혀 낸 지식경영의 저해요인과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인문계고등학교에서 지식경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첫째, 지식공유 문화가 정착되지 않았고, 둘째, 교사들의 개인주의적 성향에 기인하는 바 크며, 셋째, 교과 간, 부서 간 이기주의도 한 몫을 하고 있었다. 넷째, 열악한 교직지원체제, 다섯째, 교사들의 수동적인 업무행태, 여섯째, 교사들이 업무 과다로 인해 시간적 여유를 가지지 못하는 데 있었다.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지식경영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학교 간, 혹은 지역 간 경쟁체제를 형성할 것, 둘째, 교원평가에 지식경영 항목을 삽입할 것, 셋째, 수석교사제나 연구년제 등의 도입으로 질 높은 수업을 구현토록 종용할 것, 넷째, 교장, 교감 등 관리자가 학교경영에 대해 인식을 전환할 것 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s of knowledge management in general high schools, supposing that the introd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is needed for uplifting schools'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for school improvement. There are a couple of researches on the levels of knowledge management i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ut this study is the first tryout to take the levels of knowledge management in just general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three research tasks as follows. First, to what level do general high schools rise in knowledge management? Second, what kind of factors are in the way of knowledge management in general high schools? Third, what measures can be drawn up to activate knowledge management in general high schools? To carry out these tasks, this study set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model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school organizations and teachers, knowledge and learning,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and knowledge management theory. With the help of major professors, this study made up a questionnaire and an interview questionnaire.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model this study constructed is classified into five subordinate systems, like the learning system, the structure system, the human network system, the knowledge system, and technical system.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dure above are substantially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knowledge management in general high schools are by and large normal. Among the subordinate systems, the learning system is on a higher level, and both the structure system and the human system rise to a relatively lower level. Second, in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knowledge management levels based upon demographic variables, five findings are issued in. As a starter, male teachers get higher grade than female teachers. Teachers with longer teaching experience over 30 years are on higher levels. Teachers in supervising positions reach higher levels. Non-homeroom teachers stand on higher levels. Last, teachers in charge of physical education and performing arts come up to higher levels. On the factors disturbing knowledge management in general high schools, results of interview questionnaires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absence of culture eager for knowledge sharing, second, teachers' rugged individualism, third, the selfishness among subjects and departments, fourth, poor backing systems, fifth, passive obedience of teachers in their work, sixth, daily chores of teachers. Most of teachers questioned responded as follows on ways to drum up knowledge management. First, general high schools should enter into competition to be renovated. Second, knowledge management should come under the head of teacher assessment. Third, all sorts of incentives should be given to teachers for instructions of good quality. Fourth, administrators should be awakened to a new leadership.

      • 초등교사의 과학 관련 활동과 과학 교과교육 지식수준에 따른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윤혜림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활동과 교과교육 지식수준에 따른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하여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과학수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바람직한 교사의 교수적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반초등학교 22개교의 초등교사 4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 과학 교과교육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과학 관련 활동에 따른 과학 교과교육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각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과학교과 활동’에 대한 일반적 설문은 과학 교과교육 지식수준(상, 하위)을 독립 변인으로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과학교과 활동에 대한 설문 반응을 종속변인으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변인간의 상호 관련성 정도를 검증해 보고자 평균, 비율, 유의 확률을 표시하는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활동은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과학 교과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의 일반 학급에서의 과학 교과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소극적이고 편향된 면이 존재함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과학 교과교육 지식 수준에 따른 차이가 검증되었다. 그러므로 일선 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과학 교과교육 지식수준을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넓게는 특수교육 교과 연수, 과학교과 관련 연수를 통한 지식 수준을 한 층 더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초등교사의 일반학급에서의 적극적인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과학교과 수업의지가 과학 교과교육 지식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 교과교육 지식수준이 향상된다면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과학교과 활동에 대한 인식 또한 개선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향상을 위한 교사 교육방안의 연구 필요성과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한 교사 개개인의 끊임없는 노력이 요구됨을 보여준다. 이로써 향후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과학 교과 학습이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접근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커피학습이 지식수준, 스페셜티커피 선택속성 및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대훈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offee education in the domestic coffee market growing up day by day and there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coffee education on coffee consumers' level of knowledge about coffee, and further, examine educated coffee consumers' selection attributes when consuming and purchasing the coffee in comparison with the non-educated consumers and their consumption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and thereupon,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in an effort to enhance the level of the reliability of this study. To be more specific, the researcher reviewed such literature relevant to this study as domestic and foreign books, academic journals, dissertations, other publications and statistics. Then,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bout domestic coffee education and its level, knowledge about coffee, selection of coffee brands, and satisfaction with the coffee, the researcher reviewed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reby, developed a research model, induced the model of research and developed a questionnaire survey. Then,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reb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thus, suggested the results of the survey based on the quantitative data values. The questionnaire survey used the self-reported method. The researcher sampled the people aged 10~60 living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3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304 ones deemed effective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data collected thus were processed for frequency analysis about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bout subjects' learning about coffee and level of knowledge, validity and confidence tests about their selective attributes of speciality coffee,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onsump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about their coffee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onsumption of coffee, and la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3-stag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ication of the hypothese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es, it was found that the coffee education would have some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s' level of knowledge, and the level of knowledge would significantly affect subjects' selective attributes of the specialty coffe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offee.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subjects' selective attributes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and the satisfaction with consumption of coffee parti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bove confirm that the education on coffee would have some effects on subjects' level of knowledge, selective attributes, and satisfaction with the consumption of coffee, which verifies that education would be required and important. So, it is judged that such coffee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schools, professional institutes (academy, etc.,) and coffee businesses should be designed, focusing on coffeeing map and recognition of the notes. Moreover, it is deemed necessary to unify the contents of learning. Besides, the coffee businesses are deemed obliged to simplify the product information so that the consumers not educated on coffee may well understand it when selecting the coffee commodities.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coffee education over consumers' level of knowledge, their attributes of selecting the specialty coffee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onsumption, it was judged that what is more important than consumers' level of knowledge and learning methods would be the selection befitting their tastes and life styles and their uses of coffee. So, it is judged necessary for the coffee businesses to indicate on their commodities the relevant information more easily and simple. Keywords : coffee education, level of knoweldge, selective attributes of the special coffee, satisfaction with the consumption 본 연구는 나날이 성장하는 국내 커피 시장에서 국내 커피 교육의 현 상황과 커피학습이 지식수준에 대해 얼마만큼의 영향을 끼치고, 단순히 소비자 입장에서 봤을 때에, 학습경험이 있는 소비자와, 학습경험이 없는 소비자가 커피를 음용하거나 상품 구매 시 선택속성과 그에 따른 소비만족도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목적을 수행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문헌적 연구 방법과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문헌적 연구에서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국내⋅외 서적, 학술지, 연구논문, 기타간행물과 통계 등을 중심으로 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국내 커피교육 기관현황과, 커피교육수준, 커피지식, 선택속성과 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배경의 재조명 및 연구의 모형과 연구가설 도출, 실증연구를 위한 설문지 개발에 이용하여 작성된 설문지를 통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계량적 데이터 값을 토대로 하여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직접 작성하는 자기기입법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은 최근 서울,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10~60세 이상 남녀 구분 없이 실제 커피 소비자라고 판단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정하여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된 유효표본 304부를 연구자료 분석에 사용 하였으며, 데이터의 자료 처리와 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유효표본의 일반적 툭성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 하였고, 커피학습과 지식수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스페셜티커피 선택속성, 소비만족도 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하였고, 커피학습과 지식수준, 스페셜티커피 선택속성 및 소비만족도에 대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끝으로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 커피학습은 지식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피학습을 통한 지식수준은 스페셜티커피 선택속성과 소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택속성은 커피학습을 통한 지식수준이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는 커피학습이 지식수준, 스페셜티커피 선택속성, 소비만족도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게 되며, 학습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나타낸 결과라 볼 수 있으며, 커피학습을 제공 하는 평생교육원, 학교, 전문기관(아카데미 등), 업체 등에서 진행 하는 커피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습내용을 커핑 맵, 노트 인지에 중점을 두고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내용을 통일하여 편성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하며, 제품의 판매자는 판매하는 제품의 정보를 커피학습을 하지 않은 소비자도 쉽게 알 수 있도록 단순화 시키거나 의무적으로 표기를 하도록 하여 모든 커피소비자가 상품 선택에 있어 도움을 주어야 된다고 판단 한다. 끝으로 커피학습이 지식수준, 스페셜티커피 선택속성,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 결과를 살펴본바 지식수준의 정도와 학습방법을 떠나 소비자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특성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고, 어떻게 잘 활용 되는지 쓰임새 또한 중요하다고 판단 되며, 소비자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상품의 표기사항이 더욱 쉽고 간결하게 표기하는 것이 필요 하다고 판단 된다. 주요어 : 커피학습, 지식수준, 스페셜티커피 선택속성, 소비만족도

      • 와인학습이 지식수준과 와인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Abstract The Influence of Wine Learning on the Knowledge and Wine Consumption Satisfaction Kim Hee-Jin Department of Hotel &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wine education level and knowledge level of wine consumers. The research hopes to predic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wine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wine label interpretation skills and establishing a correlation between wine knowledge and wine consumption satisfaction. This study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wine education in the growing wine market in Korea. In terms of education and market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for customers to select wines that suit their individual taste and preference, and to guide future wine education and marketing direc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precedent study to review the wince concepts was done, and the survey was based on this precedent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customers who have purchased or drank wine in the last three months and 289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rvey consisted of wine education level, knowledge level, consumption satisfaction, education statu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ne drinking,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in the survey group. The survey wa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the respondents, and the distribution and withdrawal was carried out using an online survey system. SPSS 18.0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dat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was done last. As a result of the Main Factor Analysis, there were three factors of wine education which were 'Wine concept learning', 'Wine experience learning', and 'Personal exchange'. Wine knowledge level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were done by One Factor Analysis and each of them are the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ine concept learning’ had the strongest effect on the knowledge level and the ‘Personal exchange’ had the lowest.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ed in the knowledge level of the wine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satisfaction.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ne concept learning’ and ‘Wine experience learning’ had great effects on consumption satisfaction among three wine education factors while the ‘Personal exchange’ had the smallest effect.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ing how knowledge level would affect consumption satisfaction, the knowledge level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satisfaction in the case of ‘Wine concept learning’, which shows that knowledge level has a total mediating effect. However, as a result of Mediation Analysis, the case of ‘Wine experience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satisfaction. Therefore, knowledge level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onsumption satisfaction. Lastly, according to the analysis ‘Personal exchange’ does not influence consumption satisfaction, which demonstrates that the knowledge level have no mediating effect. This result show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wine education. This shows the necessity to organize the curriculum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wine labels during wine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businesses, and work places. It is also important to include how to read wine labels in wine books or magazines so the public can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wine labels easier. The curriculum operated by a wine education institute is generally divided into basic course and expert course. For example, their lectures on wine basics teach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wine, such as color, style, sweetness, country of origin, region and variety. These topics, while basic, can still be difficult to wine beginners. Prior to this in-depth education, there is use in creating a label-based education curriculum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access and purchase wine. From a marketing standpoint, it means a practical marketing proposal is needed so customers can be still satisfied even when they do not know much about wine by giving them chances to learn like wine purchasing, tasting, opportunities to win special wines, and activities to expand wine knowled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strategic marketing to advertise promotions such as wine tasting through using viral marketing on SNS. Wine discount promotions that are encountered every second in department stores are not enough to attract consumers anymore. If retailers give customers a brief explanation of wine's sweetness, characteristics, and matching food, rather than just giving them the price, it would help them choose wine by increasing the attractiveness of the product to the them through an increase in knowledg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enefits of wine education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Wine education leads to successful wine sales by helping consumers determine their preference in wines, and the education increases consumer satisfaction by suggesting good wines that match delicious foods, also known as “Mariage” or “pairing”. Keywords: wine education, knowledge level, consumption satisfaction, wine learning, wine label, satisfaction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점점 커지는 와인시장에서 성장을 지속하는 국내 와인교육 상황과 현 시점을 반영하여 와인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와인학습과 지식수준에 대해 파악하고, 지식수준의 척도라고 할 수 있는 와인레이블 해석 능력이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와인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예측하고, 교육적 측면과 마케팅적 측면에서 소비자로 하여금 개인의 스타일에 맞는 와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와인레이블 해석능력을 손쉽게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앞으로의 와인교육과 마케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이론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최근 3개월 이내에 와인을 구매하였거나, 와인을 음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을 표본으로 설정하여 유효표본 289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의 구성은 와인학습, 지식수준, 소비만족도, 교육유무, 와인음용 형태적 특성,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특성으로 나누어 유효표본 289부를 본 연구의 자료로서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법으로 하였고 설문지의 배포와 회수는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을 활용하였으며, 설문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와인학습, 지식수준, 소비만족도의 문항에 대한 신뢰성 검증,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가설검증을 위하여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요인분석을 한 결과 와인학습은 ‘와인이론학습’, ‘와인체험학습’, ‘인적교류’ 3개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수준과 소비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은 각각 단일요인으로 도출 하였다. 와인학습이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와인이론학습이 지식수준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이고 인적교류는 지식수준에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와인학습이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와인학습요인 중 와인이론학습과 와인체험학습은 소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적교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와인학습이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식수준은 매개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와인이론학습의 경우에는 지식수준이 소비만족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수준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분석에서 와인체험학습은 소비만족도에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으므로 지식수준은 소비만족도에 대해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적교류는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지식수준이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교육적 측면에서 와인학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 업체, 직장 등에서 진행하는 와인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커리큘럼을 와인레이블 중심으로 구성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와인서적이나 관련 잡지 등에서도 와인레이블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와인레이블 읽는 법 등의 내용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와인교육기관에서 운영 중인 커리큘럼은 기초과정과 전문가과정으로 나뉘는데, 예를 들어 아카데미의 와인 기초강의를 들어보면, 와인의 기본적인 특성인 색상, 스타일, 당도, 생산국, 생산지역, 품종의 중요성을 먼저 교육한다. 이것은 와인의 기초과정이며 동시에 심도 있는 교육의 시작이지만, 이 전에 먼저 소비자로 하여금 와인을 손쉽게 접하고, 흥미를 유발하며 구매할 수 있도록 와인레이블 중심의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 필요가 있다. 마케팅적 입장에서 볼 때, 이는 와인과 관련된 구매활동이나 시음회, 특별한 와인을 소장할 수 있는 기회, 체험을 통한 지식확장 등 와인 관련 체험을 제공하여 와인지식이 없는 경우에도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실직적인 마케팅 제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관련 업체에서는 SNS를 활용한 바이럴 마케팅을 통하여 와인 테이스팅 프로모션 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적 마케팅을 구상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에 백화점이나 마트에서 접할 수 있는 와인 할인 프로모션은 신규 와인소비자를 유치하기에 한계가 있다. 판매처에서는 소비자로 하여금 간략하며 적당한 설명을 보고 와인을 구매 할 수 있도록 진열대의 가격만을 명시하는 것보다는 가격과 함께 와인의 당도나 특징적 스타일, 어울리는 음식 등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을 곁들인다면 와인교육을 받지 않은 소비자도 와인을 고를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끝으로 소비자의 관점에서 와인학습의 필요성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와인학습은 개개인의 스타일과 특성에 맞는 와인을 선택하여 성공적인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는 맛있는 음식과 와인을 매칭하여 최고의 마리아쥬(와인과 음식의 조화;결혼이라는 뜻)를 얻음으로써 소비에 대한 만족도가 증대될 수 있다. 주요어 :와인학습, 지식수준, 소비만족도, 와인교육, 와인레이블, 만족도

      • 소비자 지식수준 및 제품속성에 따른 인터넷 광고 메시지 유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윤종효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선행연구들이 진행해 왔던 소비자 지식, 제품속성에 따른 메시지 유형간의 관계 연구들을 근간으로 매체의 특성이 다른 인터넷상에서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제품특성에 따른 인터넷 광고의 메시지 유형에 관한 효과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소비자의 지식수준은 집단별로 세가지 분류 즉,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low), 중간집단 (moderate), 높은 집단(high)으로 측정하였고, 제품의 특성은 경험재와 탐색재로 구분하여 이러한 변수들에 어떤 광고유형이 보다 적합한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세가지의 광고 메시지를 웹 디자이너의 도움을 받아 제작하여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제품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조사를 거쳐 설문지를 작성하여 실시하였고, 해당 광고물의 제품은 스포츠 제품, 백신 프로그램, 자동차, 검색엔진을 대상으로 각 기업의 제품에 대한 전문가 집단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피험자의 대상은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 한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검증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지식수준과 인터넷 광고 메시지 선호도는 통계처리를 통하여 부분 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았다. 각 집단별로 메시지 세가지 유형중에서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이미지제시형 광고를 선호했고, 지식수준이 중간인 집단은 정보 제시형 메시지를 선호했고,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 역시 정보제시형 메시지를 선호했다. 이러한 사실은 기존 매체를 통해서 연구된 결과와 비록 인터넷이라는 매체 환경이 다르지만, 유사한 형태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제품속성에 따라 선호되는 메시지 유형에도 역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험재의 경우 이미지 제시형 광고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고, 탐색재의 경우는 정보제시형 메시지 유형을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첫번째 가설에서 지식수준이 중간인 집단의 메시지 선호가 정보제시형으로 인센티브 제시형을 더 선호하였던 기존의 연구와 차이가 났던 이유는 인터넷 이용자들의 광고에 대한 또 다른 성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라 하겠다. 즉, 광고 오디언스에게 주는 인센티브 혹은 무료 제공을 통한 광고에 대한 동기부여는 누구에게 어떠한 것을 제공하느냐 하는 문제와 제공되어지는 인센티브가 도대체 자신에게 적합 하고 원하는 것이었는지에 따라 광고에 대한 반응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인터넷상에서 구현되는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였으므로 광고에 대한 처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인터넷상에서 진행되어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하지 못하였고, 단 1회의 광고노출을 통하였으므로 광고에 대한 효과를 실증하는 데는 여러가지 한계점을 드러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시장 세분화에 따른 소비자들의 지식수준에 맞춰 보다 효과적인 광고 메시지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기존 매체가 접근했던 것과는 보다 새로운 방향과 시각으로의 접근이 이뤄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internet advertising depends on different product attributes and different consumer knowledge.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ior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message and consumer knowledge and product attributes. There are 3 different groups of consumer according to consumer knowledge, they are low, moderate and high. And there are two different product attributes, which are experienced goods, search goods. Having these measurments, this research has studied about the most effective advertising methods. I have three different types of advertising created by a web designer for this study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knowledge and product attributes. The survey has made for the research with pre-test and consulting with the respective professional groups. Three advertisings are about sports products, vaccine programs, and automobiles. Survey receptance are chosen among whom have used internet or internet user now. The conclusion for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it has been partly proved that consumer knowledge influenced the preference of Internet advertising methods. In other words, the lowgroup prefers image advertising, moderate and high groups prefer informative advertising. This result is similar to what has been studi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in other media. Second, it has been also proved that the preference of advertising methods are different depends on what attributes of products. image advertising is chosen with the experienced goods and informative advertising is chosen with the search goods. On conclusion, the result that moderate group prefers informative, incentive advertising is different from present study result and that shows the character of Internet users In other words, the consumer reaction about the advertising is depends on what kinds of incentive or presents would be given and the need for the incentive to the consumer. There is limitation with this study, which is that the examination has been done only one time and was not conducted on-line examination even though it should be done on-line.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new metrology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is needed.

      • 예비중등체육교사의 응급처치지식수준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서연주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연구는 예비중등체육교사의 응급처치지식수준 및 인식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및 수도권 소재 사범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체육관련학과 교직과정, 그리고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재학생을 편의표본표집법으로 선정하여 218부를 분석․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한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중등체육교사의 성별에 따른 응급처치지식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응급처치지식수준이 높았으며, 예비중등체육교사의 나이에 따른 응급처치지식수준은 만22세~25세의 예비중등체육교사가 만21세 이하, 만26세 이상의 예비중등체육교사보다 응급처치지식수준이 높았다. 예비중등체육교사의 소속에 따른 응급처치지식수준은 교육대학원 예비중등체육교사가 사범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체육관련학과 교직과정 예비중등체육교사보다 응급처치지식수준이 높았으며, 마지막으로 예비중등체육교사의 학년에 따른 응급처치지식수준은 3학년이 1학년, 2학년, 4학년, 1학기, 2학기, 3학기, 4학기, 5학기보다 응급처치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중등체육교사의 응급처치법 교육에 대한 인식은 응급처치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예비중등체육교사의 응급처치 교육 시간으로는 받은 적이 없다, 보통이다, 충분하다, 불충분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응급처치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사고예방, 주변사람, 상식, 기타순으로 나타났고, 응급처치 교육 시 대처교육방법으로는 운동 상해, 물리적, 화학적, 교통사고 응급상황, 저, 고 체온, 화재, 유독가스, 붕괴 순으로 나타났다. 응급처치 교육에 필요한 내용으로는 위급상황 시 행동요령, 구조호흡, 골절, 탈구, 염좌, 충격, 구조 및 운반, 흔히 일어나는 급한 병, 열과 냉에 의한 손상, 중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응급 처치 교육의 적당한 시기로는 중등학교, 고등학교, 초등학교, 대학교, 유치원, 군대,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살펴보면, 예비중등체육교사들은 교사가 되기 전 습득하게 되는 전공 교육과정에서 체육수업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응급상황에 대한 지식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응급처치 프로그램의 개발을 실시하고, 반복적으로 습득하여 응급상황이 발생 했을 시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and awareness of firs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18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colleges, those who were tak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those who majoring Physical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who were sampl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in this manner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knowledge level about first aid, that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Regarding the knowledge level about first aid in accordance with age, that of prospective teachers between 22~25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younger than 21 or older than 26. Regarding the knowledge level about first aid according to where they belonged, that of the prospective teacher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belonged to the PE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or those who were taking teacher training course. Regarding the knowledge level about first aid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that of year 3 was higher than year 1, 2, 4, term 1,2,3,4, and 5. Second, regarding the prospective teachers’ awareness of first aid, all of respondents felt a necessity of first education. Regarding whether they received an education about first aid, their replies were in the order of normal, Sufficient, Insufficient. Regarding the reason why an first aid education is necessary, the replies were in the order of responding to emergency, Accident prevention, Recommendation from the people around them, Common sense and Other reasons. Regarding the responses to the emergency during first aid education, their replies were in the order of Injuries, Physical and Chemical injuries, Car accidents, low, high temperature, Fire, Toxic gas and Collapse. Regarding the contents for first aid education, the relies were in the order of Emergency actions, R&R, Fractures, Dislocations, Sprains, Shock, Rescue and transport, Acute sickness, Damages by heat or coldness and Poisoning. Regarding the appropriate timing for first aid education, the replies were in the order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Elementary Schools, Colleges, Preschools and Military. Taken together, to increase the prospective teachers’s knowledge about first aid which might be necessary in Physical education educations during major courses, it is essential for Physical education students to develop the first aid programs and practice them repeatedly so they become able to respond to the emergency situations immediately and promptly.

      • 고등학생의 쓰기 지식 수준에 따른 쓰기 능력 차이의 분석

        서현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1

        학생들의 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은 더 이상 언급할 필요가 없을 만큼 논의가 되었지만, 학생 필자들의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는 끊임없는 제안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쓰기 능력 신장과 관련하여 쓰기 능력과 관련된 여러 변인들을 탐색하는 연구는 쓰기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연구하는 과정이며 또 필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여러 변인들 중에서 학생 필자들이 가진 쓰기에 대한 지식 수준과 쓰기 능력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쓰기 교육의 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들의 지식 수준을 현행 대학 수학능력 시험 쓰기 영역의 문제를 바탕으로 측정하였고, 논술 문제를 제시하고 평가하여 쓰기 능력을 측정한 후 쓰기 지식과 쓰기 능력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쓰기 교육과 관련된 이론이 변하는 것은 크게 쓰기 교육에 관한 패러다임이 변하는 것이지만 그 기저에는 교육 대상들의 상황 변화 또는 상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형식주의 쓰기 이론에서 인지주의적 관점의 쓰기 이론으로, 그리고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으로 쓰기의 패러다임이 변화한 이면에는 교육의 대상인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전제되어 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도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 학습자 중심의 쓰기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새로운 교육 이론의 패러다임을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학생 필자들의 쓰기에 관한 지식 수준과 쓰기 능력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학생들의 쓰기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 중에서 쓰기에 관한 간접적 지식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쓰기 교육의 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계 H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쓰기 지식 수준과 쓰기 능력을 검사지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쓰기 능력과 쓰기 지식의 남녀 차이 검증에는 t-검증을, 지식 수준에 따른 쓰기 능력의 검증에는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이 쓰기의 전반적 지식 및 능력이 우수하다는 기존의 이론을 증명하지 못하였다. 이는 쓰기 수행 능력에 성차가 존재하지만 그 요인이 쓰기에 관한 남녀의 지식 수준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쓰기 능력의 성별 능력의 차이에는 성별 요인만이 아닌 다른 요인이 있음을 알려 준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차이, 글 성격의 차이 등이 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쓰기 지식 수준별 능력 및 능력 요인별 차이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지만, 쓰기 지식과 쓰기 능력 요인 가운데 어법력, 논증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쓰기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지식 수준 가운데 어법과 논증 능력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즉 쓰기 지식을 전달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어법과 논증에 관한 능력과 관련된 지식의 전달이 중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고등학생의 쓰기 지식 수준과 쓰기 능력 간에는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쓰기에 관한 간접적 지식을 교육하는 것이 종래의 결과 중심의 교육, 즉 쓰기 결과물을 중시하는 형식주의적 관점의 쓰기 교육 이론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면서 쓰기 지식이 끊임없이 개입되는 과정 중심의 교육이 지니는 장점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쓰기 지식 수준별로, 쓰기 지식과 쓰기 능력 요인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쓰기 지식 상위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고, 쓰기 지식 중위 수준의 학생들은 이해력과 논증력에서 쓰기 지식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쓰기 지식 하위 수준에서는 쓰기 지식과 쓰기 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쓰기 능력이 아주 뛰어나거나, 쓰기 능력이 모자라는 학생들에게는 지식의 차이가 그리 크게 수행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위 수준의 학생들에겐 쓰기 지식의 교육 정도에 따라 그 수행 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교육 방법이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여러 학생 층위 중에서도 중위 수준의 학생들에 대한 쓰기 지식의 교육이 다른 수준의 학생들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의 수준에 따른 지도 방법을 달리하는 것이 학생들을 차별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준별 교수 학습의 방법이 달라야 함은 분명하다. The importance of student’s writing ability has been discussed a lot, as it does not need to be mentioned.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oncrete methods of developing students’ writing ability. Many of these methods are also applied to the field. To develop students’ writing ability, studies about variables of writing ability are needed and desirable to the writing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one the variabl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writing knowledge and ability. For this investigation and analysis,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knowledge level was measured by answering questions from the currently-applied Scholastic Aptitude Assessment for University Admission. Essay questions were also applied and evaluated to assess students’ writing ability.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se investigatio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writing knowledge and ability were analyzed. Though the theories of writing vary with a paradigm of writing education, they reflect the changes of students’ situ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anged situation. Therefore, the theories in writing education shift from formalism to cognitivism and to constructivism. This shift requires the constant effort for students to raise their writing ability. Regarding this, current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cess-oriented and learner-centered writing education. All of these are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new paradigm of writing education. This study does not build a new paradigm, but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writing knowledge and their ability, which was not considered much in previous stud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e of the ways of teaching writing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indirect knowledge of writing to the writing ability. For this study, third year students at H high school in Incheon were tested with exam sheets for assessing their writing knowledge and ability.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verification was used to inspect the gender difference in writing ability and knowledge. The unitary variable analysis was applied to verify the writing ability which was influenced by writing knowled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his research and analysis. First, the existing belief that girl students are better in writing and have more writing knowledge was not proven in this study. This means that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writing performance, but the difference is not related to the level of writing knowledge of each gender. The major causes of difference are from the level of students, lik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the kinds or characteristics of their writing. Second, it was difficult to find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writing ability according to knowledge level and the writing ability factors.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table correlation between the writing knowledge and ability. Especially, in terms of grammar competence and demonstration skills. This means that the grammar competence and demonstration skills are the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 the writing performance. This finding also implies that teachers, as messengers of knowledge, should value the delivery of knowledge related to the grammar and demonstration skills. Third, there was a distinct and stable correlation between the high school students’writing knowledge and their ability. This result shows the limitations of product-centered writing approach which focus on writing products in the perspectives of formalism. Moreover, this finding allows us to confirm the benefits of process-centered approach which permits the continuous intervention of writing knowledge. Fourth, when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knowledge and ability factors, according to the knowledge level,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ose factors in the advanced level. However, there was a distinct and stable correlation in the comprehension ability and demonstration skills for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Furthermore, there were no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writing knowledge and ability in the low level students. Thus, the level or the amount of writing knowledge does not affect students who have high performance ability in writing or who lack writing ability.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writing knowledge in their writing performance. This also implies that different methodologies should be applied to different student levels. Especially,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teaching of writing knowledge to intermediate level students is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other levels of students. In consideration, it is not discriminative to adjust different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It is valid to teach different student levels with methods that are suitable to their own level.

      •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수준과 수행정도

        정명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감염예방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수준과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지식수준과 간호활동 수행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감염관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로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신생아집중치료실의 감염 및 감염관리에 관련된 참고문헌과 관계논문을 근거로 작성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9문항, 감염관리 지식수준 46문항, 감염관리 수행정도를 묻는 질문 4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Cronbach's α는 .8224로 나타났다. 자료수집은 2002년 3월 25일부터 4월 1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신생아집중치료실이 신생아실과 분리되어 운영되는 서울에 위치한 5개 병원과 경기도에 위치한 1개 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16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백분율, 산술평균,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연령은 25세∼30세 미만이 49.7%로 가장 많았으며, 최종학력은 4년제 간호학과 졸업 또는 재학 중이 62.6%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5년∼10년 미만이 36.3%로 가장 많았고, 신생아집중치료실 경력은 1년∼3년 미만이 32.5%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83.4%였으며, 99.4%가 감염관리 교육경험이 있었고, 71.2%에서 최근 1년 이내 감염관리 교육을 받았다. 2. 감염관리 지식수준은 100점 만점에서 평균 74.6점을 나타냈으며, 항목별로는 손씻기에 관한 지식이 평균 9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공호흡기에 관한 지식은 65.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감염관리 간호활동 수행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75점으로 나타났으며, 항목별로는 손씻기가 3.7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접간호에 관한 수행정도는 3.6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지식수준과 수행정도의 차이를 보면 연령(F=4.826, p=.003)과 최종학력(F=2.90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호활동 수행정도는 연령(F=3.045, p=.031), 총 임상경력(F=3.241, p=.014), 신생아집중치료실 경력(F=3.328, p=.012), 직위(F=4.030, p=.046)와 병원(F=8.626,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감염관리와 수행정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r=.177, p<0.05) 상관관계가 있었다. 6. 감염관리 간호활동 수행시의 미수행 원인으로는 시간부족이 7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염관리 간호수행을 위해 가장 필요로 되는 지식으로 58.3%가 신생아, 미숙아와 관련된 기초지식이라고 응답하였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에게 최근 1년 이내 가장 많이 이루어진 감염관리교육은 병동자체 교육으로 49.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식수준은 감염관리수행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수행에는 지식외에 다른 많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수준 및 수행정도의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신생아 및 미숙아의 기본특성에 대한 간호사들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적극적인 병원감염 예방을 위한 적정인력의 산정을 위한 연구 및 접근, 그리고 높은 지식수준을 나타낸 신생아집중치료실 경력 간호사를 많이 보유할 수 있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로 되어진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work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The 46 items test to assess knowledge of NICU nurses on infection control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 separate questionnaire containing 40 items was developed to assess perform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in the NICU. The Cronbach's alpha score for both the test and questionnaire is 0.8224.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5th to April 10th in 2002 from the 163 nurses working at the NICU from 5 hospitals with maintain separate NICU from the normal newborn nursery. Four hospitals are located in metropolitan Seoul and one in Gyung gi Province. The researcher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in same day.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re; close to 50% were 25-30 years of age. Sixty three percent had BSN degree or currently enrolled in RN/BSN program. Thirty six percent had 5 - 10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32 percent had 1 - 3 years of NICU experience. Majority was staff nurses and almost all of the nurses had some type of education on infection control. 2.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test was 74.6. When it was further analyzed, hand washing category showed the highest score of 95.5 and ventilator care category showed the lowest score of 65.1. 3. The average score of the nurse performance level of the infection control was 3.75 points out of maximum of 4 points.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erformance scores of the participants (r=0.177, p<0.05). 5. The length of experience in the NICU (F=1.594, p=0.033) and hospital settings (F=1.590, p=0.03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scores. 6. Almost 75 percent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lack of time as the main reason for not performing infection control task. 7. Close to 60 percent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basic knowledge on care of newborns and premature infants were most critical for NICU nurses. The study showed that knowledge is important but other factors are important in increasing performance of nursing tasks in infection control in the NICU. Therefore, while implementing more training programs for the nurses to increase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improve nurse-patient ratio, develop concrete manual, and change the unit structure and policies on infection control.

      • 한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지식수준에 따른 영어문법에 대한 신념 비교분석

        권지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1

        한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지식수준에 따른 영어문법에 대한 신념 비교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EFL 학습자의 영문법 지식수준에 따른 17개의 문법 구조의 습득 차이를 비교하고, 문법에 대한 학습자 신념이 학습자의 문법 지식수준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여 실효성 높은 문법학습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에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EFL 학습자는 영문법 지식수준(상·중·하)에 따라 17개 영어 문법 구조 습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국인 EFL 학습자는 영문법 지식수준(상·중·하)에 따라 문법의 중요성·효용성·정확성·의사소통 면에서 신념의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영문법 성적과 문법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는가? 위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인 EFL 학습자 95명을 대상으로 문법 지식 검사와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 연구 도구인 문법 지식 검사 도구는 Ellis(2005)가 만든 시간제한 없는 문법성 판단 검사(Untimed GJT)와 메타언어 지식 검사(MKT) 도구를 수정하여 참여자의 문법 지식을 측정하는데 사용했다. 다음으로 문법에 대한 학습자 신념을 조사하고자 사용한 설문지는 문법 수업에 대한 학습자 신념을 연구한 Loewen 등(2009)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37개 문항에서 문법의 중요성, 효용성, 정확성, 의사소통과의 관련성 항목과 관련된 문항 7개를 차용하고, Ellis(2006)의 문법 수업에 대한 논쟁점의 내용을 반영해 만든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로부터 도출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결과 세 집단 간 문법 지식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문법 구조는 동사보문, 부가의문문, 부정관사, 능격동사, 소유격′s 이고 나머지 문법 구조에서는 상하위 집단과 중하위 집단 사이에서만 문법 지식 점수 차이가 유의했다. 둘째, 문법이 영어 학습에 있어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생각은 문법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편이었으나, 문법과 의사소통의 관련성에 대한 신념과 문법학습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문법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특정 문법 구조 항목에 대해 습득 정도가 유사하면 학습자 지식수준에 상관없이 습득 발달 단계가 유사한 문법 구조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문법학습에 대한 중요도, 실제 의사소통에서 문법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문법 학습 지도 방안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Investigating Relationship of L2 Grammatical Knowledge and their Beliefs on English Grammar: A case of Korean EFL Learne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Korean EFL learners' L2 grammatical knowledge and their beliefs on English grammar. This study (1)investigates what extent Korean EFL learners have developed L2 grammatical knowledge with regard to seventeen grammatical structures, and (2)examines relationship of L2 grammatical knowledge and their beliefs on importance, efficacy, and accuracy of English grammar. For this, 95 Korean EFL learners participated in an Untimed Grammticality Test and a Metalinguistic Knowledge Test to measure the learners' L2 grammatical knowledge. Also, they we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in which asks about learners' beliefs on learning and using English grammar on 6-point Likert scale. The participants were informed that their responses would be used only for the sake of research.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at (1)grammatical structures such as an indefinite article, ergative verbs are particularly difficult for Korean EFL learners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L2 grammatical knowledge, and that (2)their beliefs on importance and efficiency of English grammar predict their L2 grammatical competence but not on the importance of English grammar in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