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

        이민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 Nutrition Support, Gastric Residual Volume and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Receiving Enteral Nutrition Feeding in ICU 간호학과 이 민 주 지도교수 강 지 연 본 연구는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에 대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소재 일 대학병원의 내과계, 외과계, 신경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52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6월 23일부터 9월 10일까지이다. 연구도구는 조사자가 개발한 조사지로 연구도구의 주요항목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영양지원, 위 잔여량, 영양상태 및 영양관련 특징이다. 영양지원 항목에는 1일 처방열량, 1일 공급열량, 처방률, 공급률이 포함된다. 1일 열량요구량은 Harris-Benedict 공식에 의한 기초대사량에 활동지수와 부상지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영양상태는 혈청 알부민과 총 림프구수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0.0 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맥네마 검정, 대응표본 T 검정, 독립표본 T 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법, 스피어만 단순상관분석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최초 경장영양 시작일은 평균 중환자실 입실 5.75 (±3.90)일이었다. 2.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정도는 평균 처방률이 51.6%, 평균 공급률 49.1%이었다. 경장영양 5일간 1일 열량요구량과 비교한 1일 처방 열량 및 1일 공급열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경장영양 5일 동안 기간에 따른 처방률과 공급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12.84, p=<.001/ F=13.13, p<.001). 3.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50%가 한 끼 이상의 영양공급 중단을 경험 하였다. 그 이유는 호흡기계 문제가 34.6%로 가장 많았고 검사 및 수술이 23%, 소화기계 문제가 11.5%, 임상상태 악화가 9.6%를 차지하였고 이어서 위 잔여량과 환자 거절이 각각 7.7%, 비위관 문제가 5.8%이었다. 4. 영양공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대상자의 특성은 최초 경장영양 시작일(t=-2.99, p=.004), 인공호흡기 사용(t=2.32, p=.024). 승압 제 사용(t=2.15, p=.042), 진정제 사용(t=2.97, p=.005), 영양공급 중단경험(t=2.20, p=.032)이었다. 5. 위 잔여량은 평균 1.76±10.12 cc이었고, 95%가 10cc 미만이었다. 6.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상태에 있어서 알부민은 중환자실 입실일에 비해 재원기간 평균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t=5.755, p=<.001), 총 림프구수도 중환자실 입실일에 비해 재원기간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2.147, p=.038). 7.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공급률과 알부민 변화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공급률과 총 림프구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7, p=.021).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은 그 시작이 늦으며 부족한 영양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 잔여량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양상태는 입실시와 비교하였을 때 불량해지고 있었다. 따라서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에 대한 바른 지식과 인식 향상 및 공급개선을 위한 활동과 교육이 필요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 영양지원, 위 잔여량, 영양상태

      •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정신증 경험

        김영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는 스트레스를 주는 낯선 환경에 있게 되는 동시에 중증 질환이라는 예기치 못한 상황적 위기를 맞이하게 됨으로써 심리적인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는데(이미숙, 1990) 이는 ‘중환자실정신증(ICU Psychosis)''이라 불리는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것은 중환자 간호의 중요한 부분이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환자실정신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정신증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험을 밝히고 서술하여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A대학 병원 중환자실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20명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는 직접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면담 내용에 대한 심층적인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1) 본 연구에 참여한 모든 간호사들은 일상의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중환자실정신증을 모두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근무 연한에 따라 중환자실정신증 발생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2) 중환자실정신증이 나타나는 환자 특성으로는 주로 중년이후의 나이에서 나타났으나 간호사마다 다르게 연령과 성별을 인식하고 있었다. 순환기 내과 환자, 의존적이고 예민한 성격, 지속적인 수면 장애, 질병의 급성기가 지나고 회복기로 접어드는 단계에 있는 환자에게서 중환자실정신증이 나타남을 경험하였다.3)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지속적 긴장을 조성하는 공포스러운 분위기, 죽음을 목격하는 장소, 중환자실에서의 퇴실 지연, 움직임 및 일상 활동 수행의 제한, 환자 권리의 위협과 같은 환경적 상황에서 환자들은 중환자실정신증을 경험한다고 하였다.4) 환자들은 환청보다는 환시를 더 많이 나타내는 감각지각장애, 지남력 상실을 나타내는 인지 장애, 언어적/ 비언어적 공격성, 심장박동수와 혈압의 변화와 관련된 활력증후의 변화, 불안을 나타내는 정서적 변화와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고 하였다.5) 환자들이 중환자실정신증을 나타날 때 간호사들의 느낌은 불안감, 당혹감, 무뎌짐, 미안함과 계속적인 경험에 의한 환자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다.6) 중환자실정신증이 나타났을 때 간호사의 대처로는 환자에게 설명과 인지제공, 억제대의 사용과 약물 제공의 직접간호, 의사에게 보고하거나 보호자를 불러주는 협력적 간호, 치료적 환경의 제공, 지지적 간호의 지지적 대처와 무시, 회피, 억압, 포기의 비지지적 대처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중환자실정신증에 대한 간호 중재의 장애요인은 중환자실 간호 인력의 부족, 간호사 자신의 무관심, 간호중재 우선순위에서의 차등화, 부적절한 중환자실의 치료적 환경, 중환자실정신증 관리 지침의 부재로 나타났다.위의 연구 결과는 중환자실정신증은 다양한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중환자실의 환경적 상황들이 이러한 문제를 가중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간호사들은 일상의 간호 현장에서 중환자실정신증 환자를 자주 접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간호 중재 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중환자실정신증에 대한 신규교육, 보수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할 뿐만 아니라 행정적 차원에서의 지지 즉, 중환자실정신증에 대한 프로토콜개발이 필요하리라 본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

        조인선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Patient safety incidents are on the rise for various reasons. The importance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s emphasized to prevent medical conflict when such incidents occur. The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s conducted by explanations, expressing empathy and regret to patients and families, promising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provide appropriate compensation if the cause is confirmed as a medical error.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nurses are concerned about negative results expected from disclosure of such incidents and that the actual performance rate of disclosure of these incidents is low. The intensive care unit (ICU) is a place where intensive treatment is performed, and patient safety incidents can prove fatal for the patients. Also,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and patients and families is not smoot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U. Honest and timely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re key principles i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erceptions of ICU nurses on the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disclosure of such incidents and communication barriers. A total of 110 ICU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were surveyed online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5, 2022. Perception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as scored between 1.0 and 4.0, with a higher score indicating a higher perception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core for perceptions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mong ICU nurses was 2.92±0.37 points. 2)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ICU nurses,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ccording to gender(t=-4.06, p<.001), age(F=3.72, p=.038), total work experience(F=4.17, p=.006), and ICU work experience(F=4.70, p=.003). 3) Communication barriers among ICU nurs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results as a sub-factor of perceptions o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r=-.272, p=.004). Ambiguity of position(r=-.205, p=.032), lack of confidence(r=-.219, p=.022), difference in perspective with patients, and inappropriate trust relationship(r=-.241, p=.011) as sub-factors of communication barrie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results as a sub-factor of perceptions of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conclusion, ICU nurses’ perceptions of the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the sub-factors related to communication barriers are negatively related to the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o improve ICU nurses’ perceptions of the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open and non-punitive circumstances, education for medical staff, practical guidelines, and support systems are needed. 환자안전사고는 다양한 이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환자안전사고 발생 시 의료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의료진이 환자 및 보호자에게 사고에 대한 설명, 공감과 유감을 표현하며 사고 원인 규명과 사고 원인이 의료 오류임이 밝혀지면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고 재발을 방지할 것을 약속하는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간호사는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로 예상되는 부정적인 결과를 우려하고 실제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 수행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은 집중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환자는 환자안전사고에 치명적이다. 또한 중환자실 특성 상 간호사와 환자 및 보호자 사이에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있어 정직하고 시기 적절한 소통, 환자와 가족들에 공감하는 것 등이 주요 원칙인 점을 보면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서 의사소통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 장애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는 일개 상급종합병원 11개 중환자실 간호사 110명을 대상으로 2022년 9월 14일부터 10월 5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의 점수는 평균 1점에서 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이 높음의 의미한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 점수는 2.92±0.37점이었다. 2) 중환자실 간호사의 특성 중 성별(t=-4.06, p<.001), 연령(F=3.72, p=.038), 총 근무경력(F=4.17, p=.006), 중환자실 근무경력(F=4.70, p=.003)에 따라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3)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장애는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 결과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272, p=.004), 의사소통 장애의 하위요인인 입장의 모호성(r=-.205, p=.032), 자신감 결여(r=-.219, p=.022), 환자와의 관점의 차이(r=-.280, p=.003), 부적합한 신뢰관계(r=-.241, p=.011)가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결과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고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의 부정적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는 의사소통 장애 하위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를 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비처벌적인 안전문화 조성, 실질적인 가이드라인 마련과 의료기관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지지 체계가 필요하며, 환자안전사고 소통하기에 대한 의료진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 중환자 가족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간호정보 템플릿 개발

        양정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Background: When a patient i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 (ICU), various needs occur from his or her family. In particular, as the need for information increases, appropriate information about ICU patients should be provided in an effective and friendly way to meet their information needs. Recently,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are used in the healthcare field and research on how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ICU patients, using mobile devices has been increased.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eeds of nursing information from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and develop a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based on their needs. Methods: This is a methodological research to develop a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The needs for nursing information wer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with ICU nurses and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Based on the information needs, the items of nursing information were organized. The final items of nursing information were selected through content validity index by experts. After a tablet PC-based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was drafted, it’s content, design and strategy was assessed by conducting a survey with nurses. The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was finalized, on the basis of the assessed items. Results: Among 13 nursing information items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11 items were finalized based on CVI of 0.80 or above. The template was organized to be available on a table PC and its draft for nursing information was developed and easy terms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families with ICU patients. The initially developed template was evaluated by 20 ICU nurses and a total score was 4.13 of 5 points. In particular, scores of contents (4.30± 0.56) and strategies (4.18± 0.79) were high and a score of template design was 3.90. Based on nurse’s evaluation, the font size was increased and duplicate information was merged. Conclusion: The nursing information template,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tool to satisfy the information needs of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Moreover, it is expected to promote participation of families in patient care and improve in an effective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ICU nurses and families. 본 연구는 중환자 가족의 간호정보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간호정보 템플릿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이 템플릿의 사용으로 중환자 가족의 눈높이에 맞추어 간호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중환자 가족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중환자 간호에 가족이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중환자 가족의 정보요구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토대로 치료, 환자상태, 일일계획, 안위수준, 가족참여 5개의 영역으로 분류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환자 가족의 간호정보 요구 조사를 위한 반 구조화된 질문을 구성하였다. 2016년 4월 15일부터 5월 10일 까지 서울 소재의 일개 대학 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10인과 중환자 가족 10인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요구도 50%이상인 13개의 예비 간호정보 제공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해 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파악하여 CVI 0.80 이상인 간호정보 제공 항목을 선정하였고,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항목의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11개의 간호정보 제공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항목에 대해 간호정보 제공을 위한 태블릿 PC 기반의 템플릿 초안을 개발하였다. 초안에 대해 중환자실 간호사 20인에게 간호정보 템플릿의 내용, 설계, 전략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결과 간호정보 제공을 위한 템플릿 초안의 총 평가는 5점 만점에 평균 4.13점이었고, 하부 항목인 내용은 평균 4.30점, 설계는 평균 3.90점, 전략은 평균 4.18점으로 평가되었다. 중복되는 정보는 하나로 통합하면 좋겠다는 의견과 글자의 크기가 작다는 등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 하는 단계를 거쳐 최종 간호정보 템플릿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정보 템플릿은 실제 임상에서 적용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른 그날의 간호정보를 제공하여 중환자 가족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더불어 중환자실 간호사와 중환자 가족의 의사소통 어려움을 개선하며, 환자 치료에 가족참여를 유도하여 궁극적으로는 중환자 가족의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증상 경감과 중환자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정노동 및 소진 : .

        권미나 아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정노동 및 소진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증진하고 감정노동과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상급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65명을 대상으로, 2013년 2월 1일부터 2013년 2월 15일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은 허경호(2003)가 개발한 포괄적 대인커뮤니케이션 능력 척도 GICC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Scale)를 사용하였고, 감정노동은 Morris 와 Feldman (1996)이 개발한 감정노동 도구를 김민주 (1998)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소진은 Kristen, Borritz, Villadsen와 Christensen (2005)이 개발한 CBI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도구를 함미정(2011)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상관계수, t-test와 ANOVA, Scheffé 사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은 평균평점 3.37±0.36점으로 나타났다. 2.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평균평점 3.24±0.53점으로, 감정노동 하부 영역별로 보면 감정표현의 빈도 3.56±0.57점, 감정표현의 주의성 3.36±0.57점, 감정적 부조화 2.81±0.77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은 평균평점 2.98±0.75점으로, 소진의 하부영역별로 보면 개인적 소진이 3.13±0.84점, 직무관련 소진 2.96±0.73점, 환자관련 소진 2.85±0.90점 순으로 나타났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r=-.207, p=.008), 감정노동과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76, p=<.001).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은 근무부서(t=2.99, p=.03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신생아계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다른부서 간호사보다 점수가 높았다. 6.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은 31세 이상의 연령(t=3.223, p=.042), 현부서 근무 기간이 10년 이상(F=3.13, p=.027), 근무부서는 신경계 중환자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74, p=.012). 본 연구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소진, 감정노동과 소진과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소진은 감소되고, 감정노동 정도가 높을수록 소진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므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 훈련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정도를 낮추어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구강간호 프로토콜 개발

        안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최신의 근거에 기반한 효율적인 구강간호를 수행하는데 지침이 되는 표준화된 구강 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 진행 방법은 먼저, 중환자 구강간호 관련 국내외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와 임상지침 또는 프로토콜 등의 분석을 토대로 프로토콜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토콜 초안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중환자실 경력 5년 이상 전문가 25명의 내용 타당도 검증 및 실제 프로토콜을 사용할 중환자실 경력 1~10년의 간호사 4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프로토콜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최종 프로토콜은 중환자 구강간호의 필요성, 구강간호 준비, 구강 사정, 구강간호 중재, 정리 및 기록을 주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헌검색 과정을 통해 국내외 중환자 구강간호 관련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 9편과 프로토콜 연구 5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의 분석을 통해 구강간호 중재 방법에서 치태 제거 및 구강내 균 발생 예방을 위한 화학적 방법으로 클로르헥시딘 용액이, 구강내 치태 제거를 위한 기계적 방법으로는 칫솔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2. 중환자의 구강간호를 위한 프로토콜 초안의 항목은 구강간호 관련 문헌의 내용을 기초로 선정하고 각 항목에 포함된 모든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토콜 초안을 구성하였다. 프로토콜은 중환자실 입원환자 구강간호의 필요성, 구강간호 준비, 구강 사정, 구강간호 중재, 정리 및 기록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3.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구강간호를 위한 프로토콜 초안은 25명의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구강건조 예방을 위해 2시간 마다 또는 사정결과에 따라 필요할 때마다 물을 면봉 또는 거즈에 적셔 구강 점막에 적용 한다’ 항목을 제외하고 다른 항목 모두 CVI 지수 0.80 이상이 산출되었다. 4. 내용 타당도를 검증한 프로토콜 초안은 전문가의 제언을 토대로 수정한 후, Y 대학병원 심장내과 중환자실의 경력 1~10년 간호사 4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프로토콜을 적용한 구강간호의 평균 소요 시간은 8분 30초 이었으며, 프로토콜의 흐름과 수행과정 및 사정내용의 기록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5.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과 사용자 타당도 검증을 통해 프로토콜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토콜을 완성하였다. 최종 프로토콜은 5 단계로 이루어지며 중환자실 구강간호의 필요성, 구강간호 준비와 구강 사정, 간호 중재, 기록 및 평가 항목으로 구성된다. 각 단계별 내용은 구강간호의 필요성 단계에서는 구강간호의 중요성과 목적에 관한 내용으로, 구강간호 준비 단계는 물품 준비, 자세, 손 씻기, 장갑 끼기, 환자에게 절차 설명, 칫솔질시 주의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구강 사정 단계는 BRUSHED-Teeth 구강 사정 도구를 이용한 구강사정과 구강 통증 사정 및 의식 수준 사정, 간호 중재 단계에서는 기관내 삽관 여부에 따라 칫솔질과 0.1% hibisol적용, 구강 점막 건조 예방을 위해 물의 적용, 입술에 바세린 적용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리 및 기록 단계에서는 물품 정리, 장갑 벗고 손 씻기 및 수행 내용 기록하기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구강간호 프로토콜은 구강간호를 위한 간호 교육의 한 방법으로, 중환자실 환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합병증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최신 근거에 기반한 표준화된 간호 중재를 제공하고 평가하여 중환자의 구강 문제와 주요한 합병증인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발생률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중환자실 가족면회 시간 연장의 효과

        이영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는 질병 뿐 아니라 가족과 분리되어 낯선 환경에서 지낸다는 사실 때문에도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는 환자 결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가족면회 시간의 연장이 환자의 불안과 가족의 만족도, 중환자실 병원감염건수 및 간호제공자들의 반응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인 유사실험 연구이며, 연구 대상은 대학병원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와 보호자 168명(대조군 42쌍, 실험군 42쌍)과 중환자실 간호제공자 30명이었다. 환자의 불안은 Spielberger (1975)의 상태불안 척도(STAI)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표준화 시킨 도구로 측정하였고, 가족의 만족도는 Molter (1979)가 개발한 CCFNI(Critical Care Family Needs Inventory)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의 문항을 만족 정도를 묻는 문항으로 바꾸어 측정하였다. 대조군에게는 규정된 대로 하루 2회(총 1시간)의 면회를 적용하였고, 실험군에게는 하루 4회(총 2시간)로 면회 시간과 횟수를 연장하여 적용하였다. 환자의 상태불안은 중환자실 입실 당일과 3일째 되는 날 측정하였고, 가족의 만족도는 3일째 되는 날 측정하였다. 중환자실 병원감염건수는 실험군 자료수집기간과 대조군 자료수집기간 동안 감염관리실에 보고된 공식적인 병원감염 발생건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가족면회 시간 연장이 간호제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개방적인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변수의 특성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χ²-test 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의 상태불안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입실 당일보다 입실 3일째에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의 불안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더 유의하게 감소하 였다(t=2.903 p=.005). 2. 가족의 만족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t=-2.573, p=.012), 정보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실험군 가족의 만족도가 대조군 가족에 비해 높았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료수집 기간 동안 해당 중환자에 발생한 병원감 염 발생건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χ²=0.72 p=.157) 4. 간호제공자들은 가족면회 시간 연장이 환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추가 면 회 신청이 줄어들었고 의료인과 환자, 가족 간의 신뢰관계 형성에 도움 이 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업무인계에 방해가 되고, 업무가 늘었다는 측면에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환자실 가족면회 시간 연장은 환자의 불안을 낮추고, 가족의 만족도를 높이면서도 중환자실 병원감염건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간호업무 측면에서 제기된 몇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여 가족면회 시간 연장을 실무에 적용한다면 중환자간호의 질 향상과 함께 환자와 가족 측면의 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임상수행능력

        김영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환자 치료자로서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는 중환자실의 특수한 의료 상황 속에서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울러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표준을 선정하여 실무기준을 작성하고, 실행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 간호업무를 평가해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 수행능력을 자가 평가함으로써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업무수행에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임상 실무능력 향상과 중환자 간호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위함이다.연구방법은 서울 소재 5개 종합병원과 경기 소재 1개의 종합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153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31일간이었으며 설문지 회수율은 85% 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와 ANOVA 로 분석하였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은 4개의 영역과 23개의 업무수행능력, 169개의 문항으로 평가되었는데, 각 영역을 통합한 대상자 전체의 임상수행능력은 4점 만점에 3.35(±.40)점으로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수행능력을 살펴보면, 환자사정 영역 임상수행능력은 평균 3.38(±.40)점, 임상/전문기술 영역은 평균 3.52(±.39)점, 의사소통 영역 평균 3.39(±.47)점, 문서화 영역 평균 3.11(±.65)점으로 수행정도는 전반적으로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 각 하부 영역별 임상수행능력 정도를 살펴보면, 환자 사정영역에서 근골격계 평가 3.50(±.50)점, 신장/신진대사 시스템 평가 3.50(±.50)점으로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장관계 평가는 3.10(±.59)점으로 가장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임상/전문기술 영역에서는 수액요법이 3.77(±.38)점, 인공호흡기장치 시스템이 3.71(±.40)점으로 가장 높은 수행능력을 나타내었고, 말초 IV/동맥혈관 드레싱 3.51(±.52)점, 혈역학적 모니터링은 3.10(±.64)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병동활동과 동료와의 의사소통’이 3.50(±.46)점으로 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문서화 영역은 간호중재 기록이 3.34(±.52)점으로 수행능력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수행 영역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면 환자 사정 영역에서는 수행능력 점수가 낮은 폐질환계와 위장관계 평가부분이 134명(87.6%)으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가장 높은 교육 요구도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임상/전문 기술 영역에서도 수행능력정도가 가장 낮은 혈역학적 모니터링이 128명(83.7%)으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50%이상이 모든 영역에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전반적으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은 연령,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 중환자 간호과정 교육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연령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 점수는 36세 이상인 군이 3.72(±.24)점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7.629, p=.000), 결혼 상태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점수도 기혼이 3.53(±.34)점으로 미혼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069, p=.003).총 임상경력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 점수는 7년 이상 군이 3.64(±.26)점 으로 가장 높고, 3년 이하인 군이 3.24(±.40)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2.218, p=.000). 중환자실 경력에 따른 임상수행능력도 평균 점수 7년 이상 군이 3.62(±.26)점, 3년 이하 군이 3.26(±.42)점 순으로 총 임상경력과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9.197, p=.000). 직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점수는 책임간호사 군이 3.67(±.26)점, 일반 간호사 군이 3.38(±.3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F=-3.844, p=.000), 중환자 간호과정 교육수료 여부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 점수도 교육 수료 경험이 있는 군이 3.44(±.35)점, 교육 수료 경험이 없 는 군은 3.26(±.4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3.085, p=.002).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업무에 대한 교육의 필요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연령과 학력, 경력, 결혼 유무, 중환자 간호과정 교육 유, 무였다. 따라서 임상수행능력이 낮은 영역 대한 교육 프로그램마련과 교육기회 제공을 증대해 전문적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가진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통한 중환자 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 장애와 임종간호 수행

        정운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환자실은 높은 중증도와 사망률에 따라 임종간호 요구가 높은 곳인데 반해, 다양한 이유로 임종간호의 중요성이 간과되기 쉽다. 임종간호란 죽음을 앞둔 환자에게 제공되는 치료뿐만 아니라, 환자 가족들에게 제공되는 지원을 포함하며, 중환자실에서 질 높은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가족 중심 접근법이 강력하게 권고되고 있다. 중환자실에서 임종간호를 제공하는 동안 가족 중심 접근의 핵심 요소는 가족과의 정보 공유로서 가족과 간호사 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가 환자 가족 또한 임종간호 대상자임을 인식하고, 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중환자실에서 효과적으로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가족을 돌봄 대상자로 포함한 임종간호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확인하고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2년 3월 4일부터 3월 31일까지 서울에 소재한 1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 장애, 임종간호 중요도, 수행도, 일반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124부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Spearman correlation,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 장애는 5점 만점에 평균 3.60±0.49점이었고, 가족 영역의 의사소통 장애 점수가 평균 3.73±0.5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임종간호 중요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06±0.40점이었으며, 임종간호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50±0.48점이었다. 임종간호 중요도 점수가 가장 높은 영역은 정보 설명 및 제공 영역으로 평균 4.37±0.48점 이었으며, 임종간호 수행도 점수가 가장 높은 영역은 증상관리와 안위 간호 활동으로 평균 4.21±0.52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교육 여부에 따라 임종간호 중요도(t=2.661, p=.009) 및 수행도(t=3.114, p=.00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 장애정도와 임종간호 중요도(r=.38, p<.001) 및 수행도(r=.21, p=.017)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종간호 중요도와 수행도(r=.45,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환자실에서 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중재 방법 개발이 필요하며, 환자 가족을 대상자로 포함하는 통합적인 임종간호에 대한 인식 강화와 간호사와 환자 가족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포함한 임종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hile intensive care units have high demands for end-of-life care depending on high severity and mortality, the importance of end-of-life care is likely to be overlooked for various reasons. End-of-life care includes treatment provided to dying patients, as well as support provided to patients’ families. A patient-family-centered approach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ovide high-quality end-of-life care in intensive care. During the provision of end-of-lif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key element of the family-centered approach is sharing information with the family and open communication between the family and the nurse is essential. Therefore, it is important in providing end-of-lif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at recognizing that the patient's families are subject to end-of-life care and identifying communication barriers with the patient's famil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the patient's families recognized by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including the family as a care target,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intensive care unit nurses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rom March 4 to March 31, 2022. The measurements in the study were communication barriers with the patient's families recognized by intensive care nurse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practices, and a total of 124 survey data were analyzed. sing the SPSS statistics 25 program, it was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Spearman correl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the importance of end-of-life care practices recognized by intensive care nurses was 4.06±0.40 out of 5, and the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practices was 3.50±0.48 out of 5. 2) The scale with the highest score of the importance of end-of-life care practices was ‘explain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and the mean score was 4.37±0.48. The scale with the highest score of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practices was ‘symptom management and comfort care’, with an mean score of 4.21±0.52. 3) The importance of end-of-life care practices(t=2.661, p=.009) and the performance(t=3.114, p=.002) were differed significantly by end-of-life care education. 4) The communication barriers with the patient's famil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mportance of end-of-life care practices(r=.38 p<.001) and the performance(r=.21 and p=.017). The importance of end-of-life care practic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practices(r=.45, p<.001)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barriers with patient's families in intensive care units and end-of-life care education programs to raise awareness of comprehensive end-of-life care and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nurses and patient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