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생활체육참가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종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가 지니는 사회적ㆍ심리적 효과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ㆍ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여부와 사회성 발달 차이, 둘째,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종목과 사회성 발달 차이, 셋째,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정도와 사회성 발달 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의정부의 5개 학교를 선정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446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SPSS Windows 10.0 Version을 사용하였고 통계 기법은 일원 변량 분석(oneway ANOVA), T-검증(t-test), 중다 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ys)이며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 집단이 비참가 집단보다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중학생이 생활체육에 참가하면 사회성이 발달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종목과 사회성의 차이는 각 종목별로 평균값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종목ㆍ대인종목보다 단체종목이 전체 사회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성 하위 요인인 책임성, 성취성, 우월성, 활동성, 안정성, 정서성에서 개인종목ㆍ대인종목보다 단체종목의 사회성 발달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종목의 사회성은 개인종목ㆍ대인종목보다 단체종목에 참가하면 사회성이 더욱 발달하며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종목과 사회성의 차이는 각 종목별로 평균값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종목ㆍ대인종목보다 단체종목이 전체 사회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성 하위 요인 중 자율성, 지배성, 사교성에서는 사회성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빈도와 사회성 발달의 관계를 보면 참가빈도는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활동성, 안정성 부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빈도의 사회성은 생활체육에 너무 잦은 빈도참여를 활용하면 사회성이 부정적으로 발달하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기간과 참가시간의 사회성 발달을 보면 참가기간은 사회성의 하위요인 성취성, 우월성, 지배성, 정서성에서 참가시간은 사회성의 하위요인 우월성, 활동성에서 긍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중학생의 생활체육 참가기간과 참가시간의 사회성은 생활체육에 오랜 기간의 참여와 시간을 활용하면 사회성이 더욱 발달하며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is research examines closely effec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gets in sociality development, there is the main purpose to supply data that is specific ㆍpractial more regarding social?psychological effec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ha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availability and sociality development difference,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item and sociality development difference, third, analyzed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degree and sociality development difference etc. Accordingly, result that execute question investigation after choose uijongbu's 5 schools in this research, used 446 goods to aid in a funeral questionnaires into analyst fare of this research all, and SPSS Windows 10.0 Versions to see effec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gets in sociality development and figure techniques is member fluent analysis (oneway ANOVA), T-verification (t-test), Jungda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ys) and level of existence established by 0.05.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 of something wrong, got conclusion such as that analyze collected data.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group showed affirmative difference in sociality development than misery A group. Therefore, if a middle school student attends in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sociality develops and exerts affirmative effect. Second, was expos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item and difference of sociality are variance of mean value by each item, and collective exercise appeared highest in whole sociality than individual exercise?adult exercise .Sociality development of collective exercise showed high than individual exercise?adult exercise that is sociality low rank factor, achieve, superiority, superiority, activeness, stability, affectivity. Therefore, if soci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item attends in collective exercise than individual exercise?adult exercise, sociality develops more and exerts more affirmative effect Third, was expos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item and difference of sociality are variance of mean value by each item, and collective exercise appeared highest in whole sociality than individual exercise?adult exercise. But, autonomy of sociality low rank factor,, sociality do not exert effect that keep in mind in sociality development. Fourth, if se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ociality development, participation frequency showed, autonomy, achieve, superiority, superiority, activeness, stability,, sociality, affectivity and contradictory difference that is low rank factor of sociality. Therefore, if soci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frequency utilizes so frequent frequency participation in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sociality develops and exerts contradictory effect contradictorily. Fifth, if se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period and sociality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time showed, autonomy, achieve, superiority, superiority, activeness, stability,, sociality, affectivity and affirmative difference that is low rank factor of sociality. Therefore, if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participation period and sociality of participation time take advantage of participation and time of long period in Living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sociality develops more and exerts more affirmative effect.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교사관계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김희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교사관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교사관계,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관계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 초4 패널 6차년도 자료(중3)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61명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교사관계,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교사관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세 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교사관계,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관계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을 높이는데 부모양육태도와 또래애착, 교사관계가 중요한 작용을 하며, 자아정체감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교사관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매개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와 또래애착, 교사관계를 형성하고, 자아정체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중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 증진을 위해서는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부모, 학교, 사회 등 여러 변인들을 고려해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법들을 개발하고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 중학생의 방과 후 일과 및 생활 양식에 관한 연구

        유진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의 청소년들은 과연 어떠한 모습으로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지를 조명해 보고자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청소년들을 올바로 이해하고 청소년들의 세계를 미시적으로 접근해 봄으로써 청소년 지도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인천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중학생 50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법에 의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자유로운 응답을 요구하는 문항이 않았고, 보다 구체적인 조사를 위해 4점 척도 문항과 5점 척도 문항을 병행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통해 통계 처리되었고,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 분석과 분산분석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는 크게 다섯 가지의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주중 방과 후의 일과와 주말 증 일요일의 일과를 조사한 결과는 상당수의 학생이 주중 방과 후 대부분의 시간을 학원에서 보내고 있었으며, 남는 여가 시간에는 주로 TV를 시청하거나 컴퓨터를 했다. 일요일에는 거의 대부분 TV를 시청하였으며, 남학생의 경우는 인터넷을 하는 경우가 더 않았다. 둘째, 중학생이 주로 하는 활동과 이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 주로 하는 활동으로는 친구들과의 운동 경기, 독서, 쇼핑, 가족과의 대화, 학원 수강, 숙제나 예습, 복습 등 공부, 만화책 읽기, 인터넷, 친구와의 교제, TV시청, 라디오 청취 및 음악 감상, 집안 일 돕기, 간식 먹기 등으로 나타났다. 주로 하는 활동 중에서 중학생에게 가장 만족을 주는 활동으로 주증과 주말 모두 남학생은 인터넷을, 여학생은 독서를 꼽았다. 주중에 하는 활동 중 가장 즐거움을 주는 활동으로 남 여학생 모두 인터넷을 들었는데, 응답 비율면에서는 남학생이 좀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주말에 하는 활동 증 가장 즐거움을 주는 활동으로 남학생은 인터넷 게임을, 여학생은 쇼핑을 들었다. 셋째, 방과 후에 중학생이 많이 하고 있는 활동 가운데 네가지 활동 즉, 학원 수강, 특기·적성 교육 활동에의 참여, TV시청, 인터넷의 이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네가지 활동 모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에게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학원에 다니고 있는 학생은 50%를 넘고 있었으며 학원 수강에 따른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으나, 대체적으로 학원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이에 반해 특기·적성 교육을 받는 학생은 실제 조사 결과 10%가 안되는 학생이 참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참여하는 학생들은 특기·적성 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거의 모든 학생이 TV를 시청하고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었는데 그에 대해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중학생의 현계 當에 대한 만족도와 불만, 하고 싶은 활동에 대한 조사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행복하다고 응답하였다. 1학년에 비해 3학년이 행복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낮았으며, 생활 수준이 낮을수록 행복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낮았다. 현재의 불만으로 학업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았고 학원 수강으로 인한 시간 부족도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가장 해보고 싶은 활동으로 여학생은 음악이나 연극, 영화관람 등의 문화 생활을, 남학생의 경우에는 스포츠 활동을 들었다. 다섯째, 중학생들이 선호하는 장래 희망과 그에 따른 노력에 대한 결과는 여전히 공무원이나 전문직이 많았으나, 여학생은 디자이너나 연예인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은 운동 선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다. 그에 따른 노력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느 정도의 노력들은 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학원을 다니며 노력하는 학생들도 다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생의 생활 모습에서 성별, 학년별 그리고 생활 정도에 따라 의의있는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들의 생활에 많은 문제들과 함께 희망도 발견할 수 있음을 알았다. 각각의 학생이 갖는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지도가 필요하며, 그들의 생활 상에서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려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변해가는 청소년들의 욕구와 상황을 교육 제도 안에 잘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지도를 해나가야 할 것이다. 앞으로 청소년들의 생활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후속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 features and the life attitude of the youth in rapidly changing contemporary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the basic data for adolescent guidance by understanding the youth correctly and analyzing the world of the youth microscopically. Major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urvey on After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survey, mo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pend most time attending institute. and their spare time watching TV or Playing computer. This result was same even Sunday. For male students, 'playing computer' was more frequent answer. Second, Survey on Leisure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atisfaction of those activities. The result of this survey shows that the leisure activities which middle school student prefers are playing sports with friends, reading, shopping, having a conversation with family, attending institute, doing homework, preparing or reviewing the lessons, reading a comic books, playing computer, having a time with friends, watching tv, listening to the radio or music, helping one's parents with chores and eating between meals etc. Among these activities, Male students chose 'Playing computer' and Female students did 'reading' as the most satisfactory leisure activity in both weekdays and weekends. Also, regardless of sex, 'playing computer' was the most satisfactory leisure activity on weekdays. The response rate of the male students was higher. Male students chose' playing computer' and Female students did shopping as the most satisfactory leisure activity on weekends. Third, Focus on the most common leisure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stitute-attending, participating in the specialty and aptitude training, watching TV, computer-aided activities.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spend their spare time attending institute. a few students expressed dissatisfaction at institute. but Most respondents have a positive notion of the contents of educational effect of the institutes. As a result of survey, on the contrary, Only less than 10 percents of th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specialty and aptitude training. but Most students participating are satisfied. Almost all students spend watching TV, playing computer. and have much satisfaction too. Fourth, Survey on the lif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ishing activity. The response frequency for this question was 'happy'. To be concrete, the results shows that the 7th grade students were happier than the 9th grade students. Also,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The lower parent income is, the less happy they are. Most common problem which they have was studying matter. 'Not having enough time' was the second. Also, In response to what kind of activities students prefer, in case of female students, 'cultural activities' such as viewing music, movie and play formed most parts of responses. while Male students chose ' playing sports'. Fifth, Survey on Dream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 and their efforts to come true. Still, A Public service worker and profession had the many support of the students. An entertainer and a designer had the preference by many female students. while an athlete had the preference by many male students. most of them make an effort in a kind.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ve various life features and life attitude by students' sex, grade and family income. and this study has shown that a life of the youth has not negative side but also Positive side. Now, Guidance teachers are needed to provide discriminative guidance by considering students' marked individuality. and they should be qualified as a teacher to solve students' problems together. Finally, They should try to provide the efficient educational way to satisfy varied needs of the youth. In future, More profound studies on the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실태 및 효과적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문성헌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인터넷사용의 다양한 행위 주체자인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의 문제점과 효과적인 이용방안에 대해 연구하여 학교헌장에서 학생지도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정보화 사회의 주역인 청소년들의 건전한 인터넷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울산지역 중학생들의 인터넷 사용 실태는 어떠한가? 나. 울산지역 중학생들의 음란물 접촉실태는 어떠한가? 다. 울산지역 중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의 문제점과 효과적인 이용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설문지로서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설문지를 직접 제작하여, 지역, 학년, 성을 고러하여 울산광역시 소재 중학교 학생78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내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중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실태와 음란물 접촉실태, 인터넷 이용의 문제점과 효과적 이용방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 경증을 실시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실태를 보면, 사용장소는 주로 집이었다. PC방 이용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집에서 사용 시 인터넷은 본인의 방보다는 거실에 좀더 많이 설치되어 있었다. 하루 이용시간은 1-2시간, 3시간이상, 2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접속 시 남학생은 게임 여학생은 채팅을 주로 하였다. 인터넷을 활용해 학습과제를 해결하는 학생은 성별로는 여학생이, 학년에서는 2학년 학생이 많았으나, 선생님이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은 적은 미미하게 나타났다. 모르는 사람과의 채팅은 성별로는 남학생이 학년별로는 2, 3학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인터넷 이용 시간은 오후4∼6시가 가장 많았다. 둘째, 중학생들의 음란물 접촉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2학년이 1, 3학년보다 많았고, 처음 접한 시기는 초등학교 5-6학년이 가장 많아 음란물을 접하는 시기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최근 들어 정보통신윤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중학생들은 채팅 시 익명사용이나 바르지 못한 언어사용이 언어규칙성을 파괴하고 문법의식을 약하게 만든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이 인터넷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컴퓨터는 가족이 함께 공유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방과 후 해야하는 일들을 먼저 생각하고 컴퓨터를 켤 수 있도록 하며 하루에 사용하는 시간을 미리 계획하도록 한다. 둘째, 학습이나 과제 해결에 인터넷을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료 사이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유해정보로 의심되는 매일은 열지 말고 바로 지우고 청소년 유해사이트는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습관을 가진다. 넷째, 인터넷 이외에 다른 취미생활이나 운동을 통해 여가시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다섯째, 인터넷 활용이나 네티켓에 관계된 학교, 지역사회 교육활동에 참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as anything wrong with the use of the Internet by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one of the primary Internet users, and to discuss how they could take good advantage of that. It's basically attempted to help school provide better guidance and to encourage adolescents who were the mainstay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o make the best use of the ne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o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utilize the Internet? 2. How do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gain access to indecent online materials? 3. What are the problems with their use of the net? And how could they take good advantage of that? After earlier studies and relevant theories were reviewed,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y this research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86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in the city of Ulsa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Chi-square) test was employed to identify how much they gained access to the Internet and indecent online materials, what problems they faced, and how that could be better utilized. Besid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ir use of the Internet, they logged onto that mainly at their houses, and Internet cafes were more visited by the boy students than by the girls. The computers were installed at living rooms rather than at their own rooms, and the most common daily period of 6me of contacting the net was one to two hours, followed by three hours or more and two to three hours. The boy students mainly played games over the Internet, while the girls mostly chatted. Those who were girls and second graders did their homework over the Internet more, but few were helped by their teachers or experts. Those who were boys and second and third graders had a higher tendency to chat with strangers, and the largest group of the students logged onto the net at 4 to 6 p.m. Second, the boys and second graders contacted more indecent online materials than the girls and first and third graders did. The largest group of them gained access to them for the first time when they were in their fifth or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ich showed younger students were exposed to indecent materials. Third,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drew grooving public attention lately,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felt that anonymous chatting and incorrect language use resulted in deteriorating language and making people less conscious of grammar. They felt the high nee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Based ti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to encourage middle school students to make a good use of the Internet: First, computers should be installed at a space shared by every family member, and they should be taught to organize their ideas about what to do after school before using computers. Besides, they should make a plan about how many hours they should spend logging onto the net a day. Second, educational sites should be utilized as a way to study or do homework, and relevant information should be shared with friends. Third, e-mail that is supposed to carry hazardous information should immediately be eliminated, and they should report harmful sites for youth. Fourth, they should make a good use of their free time by exercising or doing something good for pleasure. Fifth, they should receive education provided by school or local community about the use of the Internet or Netiquette.

      • 중학생의 스트레스, 정신건강 및 신체증상에 관한 조사 연구

        한상영 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감수성이 풍부한 중학생들에게 진로에 대한 부담, 정서적 불안감, 시험에 대한 중압감, 갈등, 좌절 등은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스트레스가 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중학생의 정신과 행동장애, 각종비행,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유발시킨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트레스, 신체중상 및 정신건강을 확인하여 중학생의 스트레스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간호중재 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강원도 D시에 위치한 남·여 중학교 4개교를 임의 선택하여 1학년, 2학년, 3학년 각 학년별 및 성별로 균등 할당한 총 381명으로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 1일부터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스트레스의 연구도구는 신이미(2003)가 중학생을 대상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정신건강의 연구도구는 이훈구(1986)가 재구성한 측정도구를 사용했으며, 신체증상의 연구도구는 문경숙(2002)이 사용한 측정도구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pc win ver.10.0)를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평점 3.33±.72점으로 나왔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학교생활이 평균3.56±.76점, 학생자신이 평균3.25±.93점, 가정생활이 평균3.09±.95점, 대인관계가 평균3.37±.8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중학생의 정신건강 및 신체증상 정도는 각각 평균평점 1.89±.64점과 평균평점 1.94±.67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는 성별(t=-2.56, p=.010), 학년별(F=10.67, p=.000), 생활수준(F=2.897, p=.02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는 학년별(F=3.68, p=.026), 아버지 학력(F=2.48, p=.03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증상의 차이는 성별(t=-2.06, p=.040), 학년별(F=7.25,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스트레스와 정신건강(r=.394, p=.000)간, 스트레스와 신체증상(r=.321, p=.000)간, 정신건강과 신체증상(r=.774, p=.000)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보면, 중학생의 스트레스는 학교생활에서 학업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왔는데 이것은 진학에 대한 입시부담을 안고 있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현실을 대변해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스트레스, 정신건강, 신체증상간의 유의한 상관성은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는 정신건강, 신체증상의 지속적 관찰과 사정이 요구된다.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the burden for future career, emotional instability, pressure from examinations, mental conflicts, and frustration have become stresses that increase the emotional burden of middle-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susceptibility. These stresses can induce ment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various juvenile delinquencies, and several physical and mental disease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nursing intervention necessary for the stress prevention and management by examining stress, mental health and physical symptoms. Subjects for the study were conveniently selected among boys and girls middle schools located in D city of Gangwon-do. A total of 381 students were selected including lst grade, 2nd grade, and 3rd grad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30, 2004. Research tool for stress was used what Shin(2003) reconstructed for middle students; for mental health, the measurement tool made by Lee(1986) was used for physical symptoms, the measurement tool was used by Moon(2002).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pc win ver. 10.0) and thus calculating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 degree of str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was mean 3.33±.72 for the total average. For average values in subcategories, school life(mean 3.56±.76), student self(mean 3.37±.86), family life(mean 3.25±.93), and personal relations(mean 3.09±.95) were observed. 2) The total averages of the degree of mental health and physical symptoms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ean 1.89±.64, mean 1.94±.67 respectively. 3) The degree of stress i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t=-2.56, p=.010), grade(F=10.67, p=.000) and living standard(F=2.897, p=.022). 4) For the mental health by general characteristics, grade(F=3.68, p=.026), paternal education(F=2.48, p=.03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5) For the physical symptoms by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t=-2.06, p=.040), grade(F=7.25,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6)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r=.394, p=.000), stress and physical symptoms(r=.321, p=.000), mental health and physical symptoms(r=.774, p=.000). From these results, the stress of middle-school students largely came from academic problems in school life, which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reality of Korean middle-school students who have the burden of entrance examination for universities.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tress, mental health, and physical symptoms suggested that continuous observation and assessment are required for the stress management of middle-school students.

      •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안선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하는가? 둘째,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P시에 소재한 C중학교 301명 학생들에게 외모만족도, 학교생활 적응,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관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하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둘째로,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면,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을 더 잘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선 중학생의 외모만족도는 학교생활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크게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학생이 외모만족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역시 더 높아져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강화가 필요하다.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 학생들이 자신의 외모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 내적으로는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심리치료나 활동, 상담 프로그램 등이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과 함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나 개인 및 집단 상담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상담적 개입도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중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영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아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학교 영어 수업은 전통적 대면 교육 방식과 더불어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방식이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2020년부터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원격 수업이 일반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면 및 비대면 수업을 포괄하여 영어 수업에 참여한 중학생의 자기주도성이 학습 성과로서 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영어 학습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자기주도성 요인을 확인하고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구체적 설계와 실행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자기주도성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자기주도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자기주도성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자기주도성이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80명으로 1학년 59명, 2학년 86명, 3학년 3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2021년 4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해 자기주도성(개방성, 자아개념, 독립성, 책임감, 문제해결력, 열의, 창의성, 미래지향성) 척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학습성과 측정을 위해 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학습참여도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수집된 자료를 통해 평균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1.0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중학생 176명의 응답을 분석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β=.304, p<.01), 독립성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β=.164, p<.05), 책임감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90, P<.05). 즉 중학생의 자기주도성으로서 자아개념, 독립성, 책임감이 영어학습 성과로서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90, p<.001). 즉 중학생의 자기주도성으로서 자아개념이 영어학습 성과로서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중학생의 개방성이 학습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β=-.192, p<.05), 참의성이 학습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42, p<.05). 즉 중학생의 자기주도성으로서 개방성, 창의성이 영어학습 성과로서 학습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의 자기주도성으로서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영어학습 성과로서 인지된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학생의 자기주도성으로서 독립성과 책임성이 높을수록 영어학습 성과로서 인지된 학업성취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중학생의 자기주도성으로서 개방성이 높을수록 영어학습 성과로서 학습참여도가 낮아지고, 창의성이 높을수록 영어학습 성과로서 학습참여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directed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English class encompassing both of face-to-face and untact remote classes on learning performance factors of recognized academic achievemen as learning performancet, learn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and learning participation. This analysis of self-directedness with positive effects on English learning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specific design of teaching instruction and learning activities can be implemented in English class. There are four discussion points in the situation of English class in middle school. First, the effects of self-directedness on recognized academic achievement as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s of self-directedness on learning satisfaction. Third, the effects of self-directedness on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Four, the effects of self-directedness on learning particip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st 180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S city in April 2021. The students were composed of 59 people in the first grade, 86 people in the second grade, and 39 people in the third grade. The measurement of self-directedness (openness, self-concept, independence, sense of responsi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enthusiasm, creativity, future orientation) and the measurement of learning performance (the measuring tools of recognized academic achievement as learning performance, learning satisfaction , intention to continue and learning, learning participation) are implemented for survey. SPSS 21.0 package program was appli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of mea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of analyzing total collected replies for 176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ness factor of self-concept, independenc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re conside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cognized academic achievement as learning performance. Second, self-directedness factor of self-concept resulte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ird, self-directedness factors of openness and creativ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participation. In conclusion, the study has shown the significant effects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learning performa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self-directedness of self-concept, show high level of recognized academic achievement as learning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independenc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have high level on recognized academic achievement as learning purpormance. Lastly,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openness, show low level on learning participation while high level of creativity shows high level of learning participation.

      •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 및 구조 분석

        문광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the constructs and its structur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e in expository writing. Because the nature of writing competence is in writing process, the study on the constructs to improve writing competence is important. This is because contents and the method of writing instruc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structs of writing competence. Nevertheless, this is not studied well. Furthermore, there is no study showing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of writing competence.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of writing competence based on the response of 283 teachers and 412 students and analyzes the structure among factors. For practical application, this study is constraint to expository writing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given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found 29 factors based on the response of teacher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e. Among these, it is shown that the subject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here, handwriting and spacing words factors are excluded to evalu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e. It is also shown that the willing and effort among affective factors are important factors to complete writing. The characteristic of expository writing is that various expressions of the sentence are less important factor and proper contents and explanation of the object are much important factors compared to other factors. Second, this study has found 6 factors for the constructions of writing competence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teachers. The factors consist of constructions and expressions, contents, writing plan and process, corrections, reading and thinking, and writing affective factor. The important factors of writing competence contain the conventional important factors with respect to the product evaluation and process approach. Furthermore, this study has found that reading and thinking, and writing affection are also important factors for writing competence. Third, by analyzing the respons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score of the utilization of the metacognitive strategy, which inspects and evaluates writing process, is low. Furthermore, this study also has found that the score of the evaluation knowledge and writing process knowledge is relatively low, and the competence for performing writing process is insufficient. Especially, the score of the organization aspect in writing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low. This is because the competence's composition factor with respect to organization, such as the score of the metacognitive strategy usage related to organization, the paragraph knowledge closely related to the organization aspect, the expression efficacy containing the confidence for contents organization, is low. Fourth,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itory writing and factors of writing competence, this study has found that major factors such as knowledge, affection, reading, and strategy explain writing competence about 40%(37.6%). The relative influence to writing competence is in the decreasing order of knowledge, affection, reading, and strategy. Fifth,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factors for the competence of expository writing, writing knowledge is the greatest effects to writing performance. Affection and reading factors are related to writing performance by mediating writing knowledge and strategy. However, the utilization of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y does not affect to writing performance. Sixth, by group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for writing competence, writing competence is not improved according to the grade. The score for writing knowledge, reading, and affective factor except the strategy for boy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or girls. Furthermore, groups categorized by the level of writing performance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for all writing competence factor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re is no difference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s but statistically, there exist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categorized by the grade and the level of writing performance.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becau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ponse of teachers working in the school, development aspect and authentic are considered to obtain factors of writing competence, and the structural model among factors of the constructs of writing competence is proposed. This study is also practically meaningful because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conventional important factors such as strategy and knowledge, and additionally, affection, thinking, and read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competence and the structural model among factors for the constructs of writing competence is found to provide the actual information for discussing contents and the method of writing instruction. 이 연구는 쓰기 교육 현장의 실증적 자료에 근거하여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탐색하고 요인 간의 구조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쓰기 능력의 본질은 쓰기 과정에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쓰기 과정에서 요구되는 쓰기 능력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에 근거하여 마련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 쓰기 수행을 위한 과정의 관점에서 쓰기 능력을 구성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전면에 내세워 논의되지 못하였다. 쓰기 능력의 개념을 결과물에 두었기에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논하더라도 결과물을 통해서 평면적으로 살피거나, 쓰기 교육을 논하는 중에 연구자가 기존 이론에 기대어 소략히 제시하는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필자의 능력을 이루는 요인의 다면적인 특징을 종합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 역시 찾기 힘들다. 이러한 상황을 놓고 볼 때에, 이제는 쓰기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학생 필자의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본격적으로 논하고 이들 요인을 종합적으로 다룸으로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면서 우리 교육의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실증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탐색해야 할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실증적인 방법을 동원한다는 것은 곧 실제성 반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탐색할 글의 유형을 정하고 연구 대상을 제한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글의 유형을 설명문으로 구체화하였으며, 중학생을 대상으로 탐색하기로 하였다. 먼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문헌 탐색을 병행하되, 현장 지도 전문가인 교사의 반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탐색하기로 하였다. 이에 학생들을 오랫동안 경험해 온 교사의 의견을 단계별로 반영하고 분석하여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설정하였다. 그런 다음,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쓰기 능력을 구성하는 요인과 설명문 쓰기 수행을 측정하고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기로 연구의 방향을 정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틀을 요약하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두 연구가 종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첫째는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직접적으로 논하기 위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현장 지도 전문가의 반응을 반영한 실천적 국면에서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설정하는 것이고, 둘째는 실제 중학생의 자료에 근거하여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룬 각 장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논의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쓰기 행위의 본질에 비추어 쓰기 능력의 개념을 살피고, 쓰기 능력을 분절화 하는 관점, 그리고 쓰기 능력의 범위와 특성을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선행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온 필자 요인을 전략, 지식, 정의 요인으로 나누어 살폈으며, 관련된 필자 요인과 쓰기 수행의 관련성을 실증적인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한 연구 절차와 연구 방법을 진술하였다. 교사와 학생 두 방향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순차적으로 진행되었기에 연구 절차와 방법을 두 개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자료 수집의 과정을 밝혔다. 실제를 반영한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 41명을 대상으로 1차적으로 면담 및 개방형 설문을 하였고, 문항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 평정을 거쳤으며, 실증적 자료에 근거한 요인 탐색을 위해 전국의 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는 것을 서술하였다. 다음으로, 교사 반응을 통해 탐색된 요인을 반영하여 실제 중학생을 대상으로 쓰기 능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과정을 서술하였다. 지역 및 학교 수준을 고려하여 중학생 412명을 선정하였다는 것, 설명문 쓰기 능력 요인과 쓰기 수행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의 선정 과정과 측정 과정, 그리고 쓰기 수행을 평가한 과정을 밝혔다. 그런 다음 연구의 대상인 교사와 학생 표집 현황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교사와 학생 반응 검사 도구를 각각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논하였다.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선별하기 위한 중요도 평정 결과와 요인 분석의 결과를 먼저 제시하였으며, 1차 자료인 교사의 면담 자료를 분석하면서 교사 반응을 통해 탐색된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해석하고 논하였다. 다음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논하였다. 먼저 중학생의 쓰기 능력 구성 요인과 설명문 쓰기 수행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이때 집단별로 구분하여 점수의 경향성을 살피고 그 차이도 확인하였다. 그런 다음 쓰기 능력 요인과 쓰기 수행과의 관련성을 살폈으며, 최종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반응 자료에 근거하여 추출한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 주요 요소의 중요도를 판정한 결과, 총 29개의 요소 중에서 과제 분석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 중 손글씨 쓰기와 띄어쓰기 요소는 중학생의 쓰기 능력 요소로는 제외되었으며, 정의 요인 중 글 완성에 대한 의지와 노력이 미숙한 중학생 필자에게 중요하게 요구되는 요소로 평정되었다. 설명문의 특징은 구체적인 요소 점수에서 확인되는데, 다양한 문장 표현법은 설명문 쓰기 능력 요소로는 덜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적절한 내용 선정, 설명 대상에 대한 자신만의 해석력과 같이 내용과 관련한 능력이 다른 요소에 비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둘째, 교사의 반응 자료를 수집하여 탐색해 낸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은 26개 요소를 포함하였으며 6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에는 구성 및 표현, 내용, 쓰기 계획 및 과정, 수정하기, 읽기 및 사고, 정의 요인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존의 결과 평가의 관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요인과 과정적 관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요인을 모두 포함한다는 것, 그리고 그간 부각되지 못하였던 읽기와 사고 요인, 그리고 정의 요인이 중요한 쓰기 능력 요인으로 포함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반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쓰기 과정의 주요 요소를 점검&#8228;평가하는 상위인지 전략 사용 수준이 전반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평가 지식과 쓰기 과정 지식도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전반적으로 쓰기 과정 진행에 요구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쓰기 수행에서 조직 영역의 점수가 현저히 낮았는데, 이는 조직과 관련한 상위인지 전략 활용 수준, 조직 영역과 밀접한 문단 지식, 내용 조직에 대한 자신감을 포함하는 표현 효능감 등 조직 영역과 관련한 능력 구성 요인이 두루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설명문 쓰기 수행과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상위인지 전략을 제외한 지식, 정의, 읽기 요인이 쓰기 능력을 약 40%(37.6%)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쓰기 지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읽기, 정의, 상위인지 전략 요인의 순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쓰기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이 가장 큰 것은 쓰기 지식이었다. 그리고 정의 요인과 읽기 요인은 쓰기 지식이나 전략을 매개하여 쓰기 수행과 관련을 맺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현재 중학생들의 쓰기 상위인지 전략 활용 수준은 쓰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집단을 구분하여 쓰기 능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년에 비례하여 쓰기 능력이 향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상위인지 전략을 제외한, 일부 쓰기 지식, 읽기, 정의 요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집단 간에는 모든 쓰기 능력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집단 차이가 구조 방정식 모형에서도 유의한지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집단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학년과 수행 수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쓰기 지도 현장 전문가인 교사의 반응에 근거함으로써 실제성을 반영한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을 총체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 실제 중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여 쓰기 능력 구성 요인에 대한 수준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이들 요인 간의 직&#8228;간접적인 구조를 모형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그간 부각되지 못하였던 정의 요인, 사고 및 읽기 요인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 쓰기 수행에는 여러 능력 요인이 총체적으로 관여하므로 쓰기 지도 시 이들 요인을 두루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 등 현재 중학생의 쓰기 능력의 수준과 이들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바탕으로 쓰기 교육 내용과 방법을 논하기 위한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내역 분석

        안세지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을 내용분석하여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이론적 학문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공통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분석절차를 결정하였다. 분석의 절차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를 형성하고 선정기준에 따라 연구대상을 선별하였다. 이에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선별된 대상연구의 수는 131편이었고, 활동 내용분석을 위해 선별된 대상연구의 수는 67편이었다. 그 중 20편을 먼저 요약정리를 통해 분석의 기초가 되는 활동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나머지 프로그램을 모두 목표에 따라 요약 정리하여 결정된 활동의 수는 42개이다. 결정된 활동은 활동의 내용과 선행연구에서 자주 쓰인 활동명으로 통일하여 조작적 명칭을 부여하였다. 상담심리전공 박사이상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하고 선행연구의 범주를 참고로 결정된 19개의 하위범주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를 구성요소 5가지 자아이해, 일과 직업의 세계,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습관 형성, 일과 학습, 진로계획에 따라 분류하여 각 요소에 따른 활용빈도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SPSS 18.0을 통해 빈도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을 요약 정리한 데이터를 토대로 각 활동들이 활용된 회기를 빈도분석하여 주된 활용회기를 확인하였다. 또한,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년도, 학년, 성별, 집단원 수, 회기 수, 시간을 형식적 분석을 통해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 수는 점차 줄어들고 특정주제를 활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진행은 중학생의 수업시간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직업세계체험과 같은 학교 외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의 접근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아이해, 진로계획, 일과 직업의 세계, 일과 직업에 대한 습관형성, 일과 학습 순서로 비중을 두고 연구되고 있었다. 상급학교로의 진학탐색을 위한 활동비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은 주로 활용된 회기가 뚜렷한 활동과 연구의 목적에 따라 유연성 있게 활용되고 있는 활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적, 신체적 발달과 진로발달과업을 고려하여 개발되고 있으나 진학탐색을 위한 활동이 전반적으로는 부족함을 반영한다. 그리고 주로 학교에서 학기 중에 실시되는 것과 재량활동시간 및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함으로써 생기는 제한점을 보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발 · 실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된 활동의 회기 내 활용비중과 활용회기는 앞으로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수정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여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the degre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areer values, and career maturit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by mak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values as influence factors includi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s an object of 400 male and female students at the third grade of 4 middle schools located in D city and K city, this researcher explained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questionnaire, etc. in detail to the teachers in charge of career by visiting the middle schools. This study was to use a method that the teachers in charge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during class and collect them prepared by the students. As a result, this study was to use total 316 copies of questionnaires except for the improper materials among the collected materials as final analysis materials. As to the data processing, the reliability was calculated by using SPSS WIN 21.0 program. Furthermore, it calculated the mean, frequency analysis, and standard deviation by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areer values, and career maturity was marked as 4.03, 3.33, and 3.83 in order. This study has shown over three points as mean score from five points in Likert's scale. Taking a look at gender,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or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3.79 and 4.20 each, the career values 3.39 and 3.39 each, and the career maturity 3.72 and 3.91 each. Consequently,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maturity for the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general.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areer values,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was difference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form of gender and school.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reer values by gender and object area, and in the career maturity by existence of parents' employment, average monthly income, and level of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executing Pearson correlation among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areer values, and career matur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values on the career maturity, this study has shown the positive correlation. Fourth,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method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value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areer maturit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mothers' employment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in the stage three wer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Fifth, when the independency as sub-variable of career maturity was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amily area, sub-variabl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y gender and region as socio-demographic variable, and the explanation power was total 29.2%. Six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values on the career maturity, the male students were affected by the mothers' employment, fathers' level of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region, and mothers' employment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o conclude, as to the factors affect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mothers' employment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ffected the career maturity. When the family area as sub-factor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high, the male students had high explanation power of attitude for the work as sub-factor of career maturity.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had the highest high explanation power for the independency. Accordingly,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ith the family area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uld be important variable which affected the career maturity. For this reason, it needs to combine with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career values as well as to inspire the continuous and variou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practic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family and social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und their future career. To achieve this, it requires the activation of healthy and right career choice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industry-academic education system for the career prepar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program, and customized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suited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 진로성숙도 정도가 어느 정도이며, 또한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포함하여 양성평등의식과 직업가치관을 영향요인으로 하여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은 D시, K시에 소재하는 4개 중학교의 3학년 남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중학교를 방문하여 진로담당교사에게 연구의 취지와 설문지 조사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한 후, 담당교사가 수업 시간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나누어 주고 학생들이 설문지를 작성한 후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중 부적절한 자료를 제외한 총 316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평균, 빈도분석,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 t-검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 진로성숙도 정도는 각각 4.03, 3.33, 3.83으로서, 5점 Likert 척도의 평균 점수인 3점 이상으로 나타났고,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남학생과 여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각각 3.79, 4.20, 직업가치관은 각각 3.39, 3.39, 진로성숙도는 각각 3.72, 3.91로서 전반적으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양성평등의식,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 진로성숙도의 차이검증 결과, 성별, 학교형태에서 양성평등의식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업가치관은 성별과 대상지역별, 진로성숙도는 부모의 취업유무, 월평균 수입, 학력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양성평등의식과 직업가치관, 진로성숙도 간의 pearson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중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한 결과, 3단계에서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어머니의 취업과 양성평등의식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인 계획성, 자기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을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인,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한 결과, 계획성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서 아버지 학력과 양성평등의식, 자기이해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서 학교형태와 양성평등의식, 일에 대한 태도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서 어머니의 취업과 양성평등의식, 독립성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서 지역과 양성평등의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학생의 남녀성별로 본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남학생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어머니의 취업, 아버지의 학력, 양성평등의식이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지역, 어머니의 취업과 양성평등의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의 취업과 양성평등의식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요인인 가정영역이 높을 때 남학생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일에 대한 태도에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독립성이 가장 높은 설명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에게 있어서 가정영역에서 가지는 양성평등의식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중학생들이 장래의 직업을 찾아가는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의 실천과 학교 및 사회교육을 통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양성평등의식 고취와 더불어 직업가치관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겸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진로교육과 진로상담프로그램의 개발, 중학생에 맞는 맞춤형 진로상담과 교육을 통하여 중학생들이 건강하고 바른 진로선택과 진로 준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산학의 교육제도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