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언어·학습·사회관계요인과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허운혁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of language, learning, and social relationships that affect college life adaptation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establishes a research model to determine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se factors, and verifies it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model of this paper is to test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cademic stress, and social networks have an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Chinese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while controlling for major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duration of study in Korea. As a model to test whether social support influence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cademic stress, social network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pecific hypotheses are as follows. Research hypothesis 1.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Chinese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Research hypothesis 2. The academic str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ill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Research hypothesis 3. The social network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Research hypothesis 4. The social support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Research hypothesis 5. Social support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Chinese students and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Research hypothesis 6. Social support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Research hypothesis 7. Social support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students' social network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data collection of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ducted with a surve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10 universities in Busan and Gyeongnam near Busan, and 151 valid questionnaires were finally recovered for analysis. As data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To summarize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research model,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ge, and period of study abroad. Second, Korean proficien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ird, academic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university life of international students. Fourth, the social network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Fifth, social support has a very important effe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Sixth,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had a very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bu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cademic stress, social network and college life adjustment. 본 논문은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학습 및 사회적 관계 요인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에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모형은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종속변수로 하고, 성, 연령, 한국 유학기간 등 주요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한국어 능력,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관계망의 독립변수가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적 지지가 독립변수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한국어 능력,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관계망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모형으로서,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1.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은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2. 중국인 유학생의 학업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3.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관계망은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4.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5. 사회적 지지는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조절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6. 사회적 지지는 중국인 유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조절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7. 사회적 지지는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관계망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조절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한 실증분석의 자료 수집은 부산 및 부산 인근 경남지역에 있는 10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조사에서 최종적으로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151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5.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 검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성별, 연령, 유학기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한국어능력은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업 스트레스는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관계망은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섯째,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은 매우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한국어능력,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관계망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조절적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Zhao, Na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The ultimate aim of the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support measures promoting increased life satisfaction in this population group. To this end, Chinese students enrolled across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Daegu or Gyeongbuk area were surveyed on-line as well as in person.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for the survey had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A total of 296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es, which included a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performed with the SPSS 21.0 version. Based on the analyses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are presented. First, cultural adaptation(β=.390, p<.001),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β=.223, p<.001), and social support(β=.517, p<.001) exert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nese students’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highlights the need to provide these students with a variety of opportunities that can facilitate participation in leisurely activities and cultural adaptation and to support them in cultivating a strong social network in Korea. Second, although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between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β=.188, p<.001), its mediating role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β=-.096, p=n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s not consistent among the Chinese students, and that the degree of intervention targeting increased social suppor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For instance, in a university where services promoting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re sparse, measures targeting increased social support must be put in place. Third, although the mediating role of peer support(a social support subsc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β=.203, p<.01), its mediating role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β=-.103, p=ns). The result highlights the need to help Chinese students cultivate supportive peer relationships. Similarly, mentoring programs that run through social welfare agencies or a Korean–Chinese buddy program at each university department would be beneficial. Fourth,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support(a social support subsc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between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whereas family support mediated positively between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β=.265, p<.001), it was found to play the opposite role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β=-.157, p< .05). Such a result, in which Chinese students’families are separate rather than integrated, is in line with Berry’s model examined previously. Therefore, the family approach must entail encouraging the students’ families to support thei rchildren’s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while retaining their homeculture. Fifth, the mediating role of faculty support(a social support subscal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between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Faculty support was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life satisfaction, which suggests that student-faculty relationships function outside the realm of the students’acculturation and leisure activities. Results pertaining to the three social support subscales also indicated that, in terms of Chinese students’life satisfaction in Korea, cultural adaptation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re separate activities. Therefore,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need to provide designated interventions targeting leisure activities and cultural adaptation separately, in order to promote increase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Chinese students. Despite efforts to scientifically analyze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adaptation,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universities, the present study has some limitations, which include the limited scope in sample selection and the lack of in-depth analysis regarding the factors affecting family and faculty support.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회적 관계망과 관련된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문화적응과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 ․ 경북의 세 곳의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방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중국어 설문지로 번역하여 제공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응답은 296명이였으며, SPSS 21.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와 실천적 ․ 정책적 함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β=.390, p<.001), 여가활동 참여도(β=.223, p<.001),사회적 지지(β=.517, p<.001)는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유학생에게 문화적응과 여가활동 참여를 위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줄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관계망을 잘 형성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여가활동 참여도가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β=.188, p<.001), 문화적응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β=-.096, p=ns). 이 결과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일관된 효과를 가지는 것이 아니며 개입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고려가 달라져야 함을 보여준다. 대학에서 여가 활동 참여를 위한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울 때는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친구의 지지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β=.203, p<.01), 문화적응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구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β=-.103, p=ns). 중국유학생이 친구와 지지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여가활동을 함께 하도록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학과마다 ‘ 한 · 중국친구 도움이 ’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문화적응과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의 지지 조절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가족의 지지는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조절하는 반면(β=.265, p<.001), 문화적응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부적으로 조절하였다(β=-.157, p<.05). 본 연구결과는 앞서 살펴본 Berry의 문화적응 모델에서 가족과의 관계는 중국유학생이 통합시키지 못하고 분리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가족이 모국문화를 유지하고 현지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가족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문화적응과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교수의 지지 조절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지지는 대학생활 만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교수와의 관계는 중국유학생의 생활범위에서 문화적응과 여가활동 참여보다는 그 외의 영역에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세 하위요인의 결과는 문화적응과 여가활동 참여의 관계는 대학생활 만족도의 측면에서 분리된 활동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학과 지역에서는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여가활동과 문화적응에 각각 개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상을 제한한 점과 가족의 지지 및 교수의 지지 원인을 심층적 분석이 부족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 중국유학생의 우울과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Person-In-The-Rain)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고정윤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validates usability of the PITR(Person-In-The-Rain) test as a psychological tool that diagnoses level of depression and acculturative stres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by examining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test. And it is significant for providing baseline data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otal 230 subjects who ar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universities which are located in city A and B, were recruited randomly. The survey and PITR(Person-In-The-Rain) test were conducted for seven weeks from May 16, 2017 to June 29, 2017. A total of 216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analyzed except for 14 questionnaires which were omitted of the survey and were difficult to grade of the PITR(Person-In-The-Rain) test. As a measurement test,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which was developed by the Beck(1967) and adapted by Lee Yong-ho, Song Jong-yong and ASSIS(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the scale of a cultural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by Sandhud and Asraba(1994) were used. Also PITR(Person-In-The-Rain) test as a PITR-SRC which was developed by Heidi, S. Lack(1996) and adapted by Son Mu-kyung(2004)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tests, one - way ANOVA, and Scheffe were used as a post validati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ITR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i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re as follow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 zones indicated in the PIT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ain Contact’(p<.01), ‘Get Wet’(p<.001), ‘Wind’(p<.001),‘Be in a puddle’(p<.05), ‘Precipitation of Rainfall and Snowfall’(p<.01), ‘Lightning’(p<.05) and ‘Cloud’(p<.01) categories.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coping resour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ave protection’(p<.001), ‘Have an umbrella’(p<.05), ‘A suitably sized piece of protection’(p<.001), ‘Perfect protection’(p<.001), ‘Clothes’(p<.05), ‘Smile’(p<.01), and ‘Elimination of body parts’(p<.01) categories. Second, the PITR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re as foll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the 'Heavy rain'(p<.05) categ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ults in stress zones responding to PITR.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coping resour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mile’(p<.05) and ‘Elimination of body parts’(p<.05) catego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ird, the PITR response characteristics indicated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re as follows : The results in stress zon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ITR according to gend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ave no rain’( p<.05), ‘Form of rain’(p<.01) categories.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coping resource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showing more responses than men in ‘Smile’(p<.01) and ‘Quality of lines’ (p<.05) categories. The results in stress zon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ITR according to a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groups in ‘Heavy rain’(p<.01), ‘Get wet’(p<.01), ‘Lightening’(p<.01), ‘Lightening strike’(p<.05) categories. And differences i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coping resour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Holding an umbrellas’(p<.05), ‘Smile’(p<.05), ‘A central figure’(p<.05) categories. Differences in stress zon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ITR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ay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ain contact’(p<.05) and ‘Get wet’(p<.01) categories and the differences i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coping resour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Have Protection’(p<.05) category. Differences in stress zon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ITR according to a curriculu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ain contact’(p<.05) and ‘Get wet’(p<.01) categories. A group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a language institute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responses than a group studying in universities or graduate courses. Putting together these results, people under age of 20, group of people studying in language course institute, and people with the clinical borderline in depression level seem to experience more emotional difficulties in common. On the other hand, people aged 25 years or older, group of people studying in university and graduate courses, people who have normal depression level and low stress level seem to have more coping ability than the comparison group due to the use of appropriate resource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PITR ha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cculturative stres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 PITR(Person-In-The-Rain) test could be used as a tool for screen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experience depression and acculturative stress. Thu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PITR(Person-In-The-Rain) test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to express emotional states, reduce defenses and express psychological status in the forms of drawings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in Korean rather than intervening them verbally. By examining the PITR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cculturative stress, the emotional condition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ile studying in Korea can be estima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sychological support to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의 우울 수준과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Person-In-The-Rain)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유학생의 우울과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진단하는 도구로써 활용성을 검증하고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유학생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A시와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서 유학하고 있는 중국유학생 230명을 무선 표집하여 2017년 5월16일 부터 6월 29일까지 7주간 설문조사와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설문지 답변이 누락되거나, 빗속의 사람 그림 채점이 어려운 14부를 제외하고 총 216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로는 이영호와 송종용(1991)이 번안한Beck(1967)의 우울 척도인 BDI(Beck Depression Inventory)이며, 문화적응스트레스는 Sandhud와 Asraba(1994)가 개발한 외국인 유학생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인 ASSIS(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를 사용하였다. 빗속의 사람(Person-In-The-Rain) 그림검사는 Heidi, S. Lack(1996)의 PITR-SRC로 손무경(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통계 검증을 위해 기술 통계분석, t-test, one-way ANOVA, Scheffe 사후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유학생의 우울 수준에 따른 PITR 반응특성은 다음과 같다. 우울 수준에 따른 PITR 검사에 나타난 스트레스 영역의 반응특성 분석 결과, ‘비의 접촉’(p<.01), ‘젖다’(p<.001), ‘바람’(p<.001), ‘웅덩이에 서있다’(p<.05), ‘강수강설’(p<.01), ‘번개’(p<.05), ‘구름’(p<.01) 항목에서 우울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처자원 영역의 반응특성은 ‘보호물 있다’(p<.001), ‘우산 있다’(p<.05), ‘적절한 크기 보호물’(p<.001), ‘완전무결한 보호물’(p<.001), ‘옷’(p<.05), ‘미소’(p<.01), ‘신체부위 생략’(p<.01)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PITR 반응특성은 다음과 같다.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PITR 검사에 나타난 스트레스 영역 반응특성의 분석 결과, ‘많은 비(p<.05)’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처자원 영역의 반응특성은 ‘미소’(p<.05)와 ‘신체부위 생략’(p<.05) 항목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중국유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나타난 PITR 반응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PITR 검사의 스트레스 영역 반응특성 차이는 ‘비 없다’( p<.05), ‘비의 형태’(p<.01)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처자원 영역의 반응특성 차이에서는 ‘미소’(p<.01)와 ‘선의 질’ 항목(p<.05)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반응을 보인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PITR 검사의 스트레스 영역 반응특성 차이는 ‘많은 비’(p<.01), ‘젖다’(p<.01), ‘번개’(p<.01), ‘번개강타’(p<.05) 항목에서 연령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처자원 영역의 반응특성 차이 검증 결과, ‘들고 있는 우산’(p<.05), ‘미소’(p<.05), ‘중앙에 있는 인물’(p<.05)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류기간에 따른 PITR 검사의 스트레스 영역 반응특성 차이는 ‘비의 접촉’(p<.05)과 ‘젖다’(p<.01) 항목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처자원 영역의 반응특성 분석 결과 ‘보호물 있다’(p<.05) 항목에서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따른 PITR 검사의 스트레스 영역 반응특성 차이는 ‘비의 접촉’(p<.01), ‘젖다’(p<.05) 항목에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어학원 과정으로 유학 중인 집단에서 대학 및 대학원 과정으로 유학 중인 집단보다 반응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20세 이하의 연령, 교육과정 어학원 집단, 우울 수준 임상적 경계선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정서적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와는 상반되게 25세 이상 연령,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 하집단,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의 집단, 우울 수준 정상 집단에서 비교 집단보다 적절한 대처자원의 활용으로 대처능력도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과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반응특성의 부분이 유의미함을 나타냄으로써 빗속의 사람(PITR) 그림을 통해 우울 성향과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유학생을 선별해 볼 수 있는 그림검사로써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이 PITR 투사검사가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데 부담을 느끼고, 직접적인 표현이 어려운 중국유학생들에게 언어적으로 개입하는 것보다 자유롭게 그림의 형식으로 현재의 감정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부담감을 줄이고, 방어를 낮추어 심리적인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들의 우울 수준과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PITR 반응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중국유학생들이 유학생활을 하는 동안 경험하는 정서 상태를 가늠할 수 있었으며 중국유학생들의 심리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데 의의가 있다.

      • 재한 중국유학생의 한국어능력과 비교과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빈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재한 중국유학생의 한국어능력과 비교과활동이 문화적응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유학생의 한국어능력과 비교과활동은 문화적응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양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국유학생의 한국어능력과 비교과활동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문화적응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교의 정규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 250명에게 한국어능력 척도, 비교과활동 참여 척도, 문화적응 척도, 진로성숙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비교과활동 참여, 문화적응, 진로성숙도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유학생의 한국어능력과 비교과활동이 문화적응의 하위 요인인 통합과 동화에 유의한 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응 하위 요인인 분리와 주변화에 유의한 부적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한 중국유학생의 한국어능력과 비교과활동이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인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재한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은 한국어능력과 비교과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Korean proficiency,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areer maturity for Chines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Korea. By providing basic data concerning the significant roles which Chinese students’ Korean proficienc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play in terms of their cultural adaptation and career maturit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Chines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in Korea. Accordingly, the influence that these students’ Korean proficienc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cultural adaptation and career maturity was examined. In addition, whether cultural adaptation has a medication effect between the relationship in which Korean proficienc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fect career maturity was explore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50 Chines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degree-seeking programs in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investigate the measures of Korean proficiency,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areer maturity. To find if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tudent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cultural adaptation, and career maturity were examin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one-way ANOVA while the post hoc Duncan’s test was carried out in addition. Furthermore,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o verify the hypothesis, lastly,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major outcom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proficienc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factors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whereas the two variables of Korean proficienc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he sub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Second, Chinese students’ Korean proficienc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decisiveness, sense of purpose, conviction, preparedness, and independence, which are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Third, the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mediated the influence which Korean proficiency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career maturit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e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중국인유학생들의 여가스포츠 활동참여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중국인유학생들의 국내 학교생활에 있어서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여 중국인유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 중국인유학생들의 지속적인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대한 목적을 두고, 서울시에 위치한 K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유학생들 324명에게 비확율 표본추출법 가운데 편의표본 추출방법으로 표집하였다. 여가만족과 생활만족도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작성하여 269부의 유효 표본을 얻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주요 구성 지표는 중국인유학생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와 비참여자로 나누며, 여가스포츠 참여에 관한 1개 문항, 여가스포츠 활동에 관한 1개 문항, 비 참여에 관한 2개 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5개 문항, 여가만족도에 관한 24개 문항, 생활만족도에 관한 5개 문항 등 총 3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도구 여가만족도 설문지는 Beard& Ragheb(1980)이 개발하고 이종길(1992)에 의해 번안 사용된 여가만족척도(Leisure Satisfaction Scale: LSS)를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요인적재량이 0.5이하인 것은 제외하고 본 연구와 부합된 20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 하위 요인들의 Cronbach's ⍺계수를 산출한 결과 0.907~0.693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생활만족도의 측정을 위하여 국내에서 최성재, 이종길(1992)에 의하여 번안된 생활만족척도를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총 5개 문항이고 Cronbach's ⍺계수를 산출한 결과 0.814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을 위해 이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처리 방법은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을 토대로 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유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도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유학생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유무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유학생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과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leisure sports influence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atisfaction on leisure and life in terms of their school life in Korea. The aim is to help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quality of life and to help maintain their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Data was collected from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from 324 students by usi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s for the questionnaire for satisfaction with leisure and satisfaction with life self-administration method was used and this 269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respondents. The major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in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those wh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ctivity and those who do not participate. This research organized the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35 items including one item for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1 item for leisure sports activity; 2 items for non-participation; 5 items for demographical properties; 24 items for satisfaction with leisure and 5 items for satisfaction with life. As for the questionnaire for satisfaction with leisure as a research tool, this research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Leisure Satisfaction Scale[LSS], which was first developed by Beard & Ragheb[1980], and later was adapted and used by Lee, Jong-kil[1992], and used it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selected 20 items from LSS, which correspond wi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ith the exclusion of the items whose factor loading is less than 0.5. The result of working out Cronbach's ⍺ coefficient of their sub-factors was found to be 0.907 ~ 0.69. In addition, to mea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used the life satisfaction scale adapted by Choi, Seong-je, Lee, Jong-kil[1992]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5 items in total so that they can me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esult of working out Cronbach's ⍺ coefficient was found to be 0.814. The statistical treatment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e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concrete results on the basis of th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partial difference was visible in satisfaction with leisure and life based on the demographical properti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econd,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tivity and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atisfaction with leisure and life. Third,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leisure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have some influence on one another.

      • 재한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와 문화적응에 대한 질적연구

        LUO JUNJI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화와 고등교육의 국제화가 끊임없이 발전하는 가운데 전통적인 이주 집단(노동 이주,결혼 이주)과 달리 유학생 집단은 새로운 국제 이주집단(교육 이주)으로 빠른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그 중에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도 증가하면서 이들의 문제가 학교 내부 교육현장에서 주요 문제로 부상할 뿐만 아니라 학교 외에도 한국 생활 적응문제 때문에 종종 사회 이슈가 되고 있다. 그리고 한국대학 국제화전략과 한국 다문화사회의 발전에도 점차 영향을 끼쳤다. 기존의 한국에 있는 중국 유학생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은 연구 초기에 재한 중국유학생의 유학동기에 대한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후에 대부분 연구는 비슷하게 주로 ‘한류열풍’에 의한 한국 문화영향의확대, 미국이나 영국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유학비용, 지리적 근접성과 역사 문화적 동질성 및 취업 경쟁력 등의 이유로 한국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 다루고 있다. 최근 학계에서는 주로 중국유학생의 생활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들은 한국어교육에 대한 연구와 생활실태조사 연구에서 최근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로 집중되고 있다. 선행연구 중의 연구대상은 대부분 1980, 90년대 초반 출생의 중국인 유학생이다. 그러나 지금 한국에서 어학당과 학부 다니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은 주로 90년대 후반, 2000년대 이후 출생이다. 중국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시대적 차이는 더욱 뚜렷해졌다. 따라서 이런 세대 특징을 반영해 새로운 분석이 필요한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주 이론을 이용하여 재한 중국 유학생의 유학 동기와 문화 적응 상황에 대한 부분을 종합적으로고찰하고 1)중국유학생들이 한국으로 유학을 선택하게 된 동기에는 기존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점이 있는지, 어떤 요인으로 나타나는지? 2) 중국유학생의 한국 문화적응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어떤 요인으로 나타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유학동기에 대한 분석은 세 가지 결과로 개괄했다. 첫번째, 외국문화에 대한 궁금증과 관심, 다문화 체험과 국제적인 시야 확보를 위해 , 개인의 자질과 취업 경쟁력을 높이기 때문에 유학을 선택했다. 두번째, 인터뷰 결과 한류문화 때문에 한국에 유학 오는 연구참여자가 예상과 다르게 적은 수를 차지하였다. 한류문화 중국에 대한 영향력이 예전보다 약해지는 원인은 중국정부의 '문화적 자신감' 전략, 그리고 중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중국 내 '국학(國學)'에 대한 홍보, 또는 사드사태 이후 민간 차원의 '한한령(限韓令)' 운동을 볼 수 있다. 이부분에도 중국학생들이 geopolitical power를 가진 중국의 사회문화에 대한자신감을 보여 줄 수 있다. 세번째, 기존 연구에서 언급된 많은 중국 유학이 한국에 오기 전까지 한국 학교에 대한 정보를 전혀 몰랐던 것에비해 중국 유학생들이 귀국함에 따라 특히 한국 유학생들의 귀국에 따라 중국 유학생 또래 집단 사회 네트워크의정보 공유 , 여론이나 유학생 또래 집단이 서구 나라 안전에 대한 우려감 등 면에서 이제 교학 국가 선택할 때 사회네트워크 영향의 강화를 볼 수 있다. 문화적응 부분을 분석한 결과은 어학당 시절에 재한 중국 유학생 유학 과정의 '첫 방문'으로 전체 유학 과정에 큰 역할을 하고 이 시기는 중국 유학생의 한국어 실력과 학교 진학 차원은 물론 한국유학 생활 전반에 대한 기본기조가 마련돼 후속 유학 생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아쉽게도 현재 한국에 있는 중국 유학생의 어학당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다. 그래서 이 부분은 따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어학당 시절에 모든 중국인 유학생들이 적극적인 문화 체험자의 태도를 보였다. 학업적응부분은 선행연구들에서 언급한 것처럼 전공수업의 어려움, 한국인 친구 교류의 한계 , 그리고 교수, 학교와의 거리감있는 관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실증되었다. 또한 코로나 때문에 비대면 수업 방식이 오히려 대부분 연구참여자의 호응을 받는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비대면 수업은 교수님이 강의를 더 필기를 통해 표현을 명확화게 전달해주시고 영상 수업 같은 경우는 반복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공부하는 효과가 더 좋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노력해도 대부분 중국인 유학생이 한국 학생들에 비해 학습력이 뒤쳐진다고 느끼고 있었다. 마지막 교외(校外)생활 적응부분은 먼저 중국인 커뮤니티의 양면적 효과가 더욱 뚜렷해진다. 연구 참여자들은 중국인 커뮤니티가 한국 유학생활에 큰 편의를 제공하지만, 다문화 체험, 문화적 충돌에 따른 시야의 넓힘, 독립성 단련 등 유학 동기부분 언급한 자신의 유학을 선택한 초심(初心)과는 거리가 멀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교외 생활 과정 중의 외로움과 우울, 그리고 극복과 아르바이트 경험을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가지는 이해와 동시에 자신의 민족 정체성과 학생 정체성의 반성, 재사고 과정이 되는 계기가 된다. While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re constantly developing, the international student group is rapidly expanding into a new international migration group (educational migration), unlike the traditional migrant group (labor migration, marriage migration). Among them, as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increases, their problems not only emerge as a major problem in the educational field inside schools, but also become a social issue due to the problem of adjusting to life in Korea outside of school. It also gradually influenced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of Korean universities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Existing studies on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the study motives of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After that, most of the research similarly deals with the selection of Korea for reasons such as the expansion of influence on Korean culture due to the ‘Korean Wave’, the relatively lower cost of studying abroad than the United States or the United Kingdom, geographical proximity, historical and cultural homogeneity, and job competitiveness. In recent years, academic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life proc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Research on this has been focused on cultural adaptation in recent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search on living conditions. Most of the subjects of previous research ar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born in the 1980s and early 1990s. However, the majorit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language schools and undergraduates in Korea were born in the late 1990s or 2000s. As China develops rapidly, this time difference has become more pronounced. Therefore, a new analysis is needed to reflect thes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This thesis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motivations for studying abroad and the cultural adaptation situ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using migration theory. After studying whether or not it appears, I would like to study what the difficulti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ing to Korean culture are and what factors appear. The analysis of study abroad motivation was summarized in three results. First, I chose to study abroad because I wanted to enhance my personal qualifications and employment competitiveness to gain curiosity and interest in foreign cultures, to experience multiculturalism and to secur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Secon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the number of study participants who came to study in Korea because of Hallyu culture was unexpectedly small. The cause of Hallyu culture's weakening influence on China is the Chinese government's 'cultural confidence' strategy and the rapid growth of China's entertainment industry, promoting 'national studies' in China, or private-level 'after the THAAD incident'. You can see the 'Han Han-ryeong' movement. In this part, Chinese students can also show confidence in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China with geopolitical power. Third, a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many Chinese studying abroad did not know any information about Korean schools until they came to Korea, but as Chinese students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especially as Korean students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information sharing of Chinese students’ peer group social networks, public opinion, Our international peers can now see an intensifying social network influence when choosing their country of study, including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Western countries. In terms of cultural adaptation, it was found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wanted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more actively while studying at a Korean language institute than when they were enrolled in undergraduate studies. It is believed that this is the period when the initial intention of choosing to study abroad in Korea for cultural experience comes into play, and at that time, there was a lot of free time without academic stress. When adjusting to their studies,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had a perception that they were inferior due to language barriers, limitations in socializing and interacting with Korean friends, a sense of distance from professors, and unfamiliarity with the school. If we look at the causes, the difference in language requirements between the language school and the faculty, the confrontation between students created by the politics and public opin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romance of an equal priestly relationship like a Western friend, and the estranged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tudents and professo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It was found to b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n and free way of managing students in China and the way of intensive management of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ies. Lastly, problems such as failure to blend into the social and cultural life of local Koreans when adapting to suburban life, feeling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while living on their own, neglect and discrimination when working part-time, and rethinking about national policy emerged. The cause can be seen as the two-sided effect of the Chinese community, lack of self-reliance, and the gap between Chinese students' confidence in Chinese social culture, which has geopolitical power, and the treatment they receive in Korean societ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손교교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국제사회에 있어서 인적교류의 필요성은 세계화로 인해 점점 증가되고 있다. 전 세계의 글로벌화의 추세에 따라서 한국에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이 와있으며, 특히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내용은 언어적응과 대학생활적응 양방면으로 나누었으며 중국인 유학생의 적응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 · 충청 지역에 위치한 H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어학연수생, 학부생 및 대학원생 93명을 대상으로 언어적응 설문과 대학생활적응 설문(SACQ)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언어적응의 정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언어적응과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도출해 낸 구체적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은 언어적응에 있어서 한국어수업 듣기 측면이 가장 강하고 한국어문장 쓰기가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언어적응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습과정, 체류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언어적응에 더 잘 하고, 연령이 많을수록, 학습과정이 높을수록, 체류기간이 길수록 한국어를 더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수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 중 대학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습과정, 체류기간, 경제수준에 따라 각 집단 간에 약간 차이가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언어적응도와 대학생활적응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언어적응과 학업적 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언어적응도가 높을수록 학업적 적응을 더 잘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 적응은 언어적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한 한국어능력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적응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중국인유학생의 여가제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장성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o specify leisure constraint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provide basic material for leisure program plan and leisure welfare plan of foreign students by studying the relations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hinese student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Hallym University located at Chuncheon-si Gangwon-do were set up as a population and 192 surveys out of 220 were analyz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 Cronbach'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lso,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and AMOS18.0. Through above procedure, the relations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were analyzed and concluded as following. At first, leisure constraints in sex according to population sociological variables was higher for women than men in immanent constraints which is low level of leisure constraints. In leisure constraints according to part time activity, students with part time job activity showed lower immanent constraints and structural constraints than those without part time job activity, and interpersonal constraints was shown higher for students with part time job activity. At second, it showed that i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population sociological variables, academic adjustment and personal emotion adjustment which are low level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became lower as stay in Korea was longer. At third, the difference i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participation decision for leisure showed significantly in academic adjustment which is low level of leisure constraints, and liesure participating students showed lower academic adjustment. At fourth, the relations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showed that structural constraints statically affects on social adjustment, personal emotion adjustment and college environment adjustment which are lower level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Chinese students in Korea experienced much stress on study and had structural constraints. However, such structural constraints resulted in statically affecting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leisure constraints resulted in not greatly affecting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From the results, it could be known that the main target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is study and graduation and they are not significantly consider leisure constraints. It is necessary to try in various aspects for changes in leisure cognizance and comfortable college life through leisure.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여가제약과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중국 유학생이 받는 여가제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본국을 떠나 타국에서 생활하는 중국유학생들이 보다 더 나은 대학생활에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강원대학교와 한림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표본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2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192부를 실제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𝛼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독립 t-test,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n)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제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여가제약은 성별에 따라서 여가제약의 하위 요인인 내재적 제약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활동에 따라서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학생이 하지 않는 학생에 비하여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적 제약은 아르바이트 활동을 하는 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은 유학기간에 따라서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응과 개인정서 적응이 유학기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 참여여부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여가제약의 하위요인인 학업적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에 참여하는 학생이 학업적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제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는 구조적 제약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응, 개인정서 적응, 대학환경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의존성이 높고 신체활동량이 적기 때문에 내재적 제약을 더 많이 받고 있으며 아르바이트를 통하여 한국에서의 자신감을 배양하고 경제적인 부분을 해소시켜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기간이 길어질수록 학업적응과 개인정서 적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인 유학생들이 취업과 졸업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해 학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정서적으로 불안함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업에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중국인유학생들은 구조적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조적 제약을 받는 중국인유학생이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중국유학생들의 가장 큰 목적은 학업과 졸업에 있으며 여가와 관련된 제약요인은 구조적 제약을 제외한 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인식은 우리나라 대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중국인유학생들과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해주는 결과로 향후 중국인 유학생들의 여가인식의 변화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의 변화는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중국인유학생들의 여가활동과 대학생활적응간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중국유학생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손신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9년 한국의 여러 대학에 외국유학생 인구가 6만 명을 넘어섰다. 즉 한국의 외국유학생 인구가 2003년에 12,314명이었으나 5년 동안 유학생인구가 5배나 증가하였다. 국적을 보면 한국의 외국유학생의 대부분이 아시아에서 왔다. 한국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중국유학생이 44,746명 있고 70%를 차지했다. 중국인 유학생이 증가하는 요인은 중국에서의 요인과 한국에서의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국에서의 요인으로는 중국의 경제 성장과 중국의 미래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추진하는 중국의 개혁개발정책, 중국에 몰아친'한류'의 영향, 지리적 인접성 그리고 중국에서 한국어 능력이 취업에 유리한 점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의 요인으로는 한국 경제의 눈부신 성장과 더불어 세계화를 향한 정부의 끊임없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의 스트레스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스트레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드러난 변인들 간의적·간접적인 영향력을 파악하여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증진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예측적 조사연구이다. 200명의 중국유학생에게 스트레스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한국에서의 중국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각 가정환경, 생활환경, 거주특성, 학교현황 등에 대한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빈도 분석, 다중응답분석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중국유학생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중 개인적 요인으로는 아르바이트유무, 성별,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중국유학생들이 유학생활 중에 받는 스트레스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유학 전 유학생활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세부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통한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유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 교육 등의 환경 제공을 통하여 편안하고 즐겁게 유학생활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those who are studying at universities in Korea has been exceeded sixteen thousands in 2009.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has increased fivefold in the last 5 years: In 2003, the number has recorded 12,314. Most foreign students in Korea are from Asia. According to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statistical data, the number of the foreign students from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44,746. It is 70% in the total of foreign students. The increase of the foreign students from China is caused by two primary factors. One is derived from China and other is from Korea. The factors in China: the economic growth in China, the reform of educational and development policy in China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future,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in China,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advantage to get a job with the ability to use Korean language. The factors in Korea: The distinguished Economic growth in Korea and the government of Korea's continual policy to make Korea globalization. This study purposes to turn out the data to get rid the foreign students from China of the stress and to promote the welfare for them by means of the inquiry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tress and the cause of it.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imative research for the welfare of Chinese foreign students. This research, above all, is based on the questions to 200 students from China about the stress. The answers offer the features of the demographic sociology on foreign students from china to illuminate their home background, life environment, residential characteristic and the condition of college. In addition, this research carries out a device for the improvement by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the analysis of the multi-answ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rsonal causes influence to the stress the Chinese students receive such as getting employed or not, sex distinction and sense of self-respect. Meanwhile, the social cause influence to it such as social support. The result demands to investigate deeply into the stress that Chinese students have and to development the particular programs for the studying abroad. Moreover, the development and study on the devices is needed to get rid the foreign students of stress by offering the conditions such as counsel an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