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駐車管理의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光州直轄市를 中心으로

        조호윤 全南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total number of parking facilities in Kwangju reaches 2,112 place as of march, 1994. The parking facilities cover only 59,917 cars at one time. Accordingly, it couldn't come up to the present parking demand, 166,682 spaces. Total capacity of 7,246 spaces in from on-street parking zone, but it will be diminished gradually to make the road-transportation smooth. Furthermere, almost private -owned and off- road parking zones are temporal ones making use of public rest areas. So we expect most of these parking zones will be transfered for other purpose. Then it can bring on failure in supplying the parking facilities as well as regional disparity of parking capacities. 73.5 Percentages of the total parking facilities is located inside a building, which will offers only to the users of the building. in addition, a good many buildings change the parking facilities into other uses illegally. They are avoiding investment in parking facilities because the high price of downtown area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secure the parking zone. The parking problem becomes more serious. Under the unfavorable condition Kwangju City has made a diversified efforts to solve this serious parking problem.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use present parking facilities more practically and effectively but also to find the present management problem in parking facilities. First, we have to expand parking zones. This is for securing parking spaces; On-street parking zone and public or private one. Second, differentiation and realization of a parking feel are necessary. It can be one way of a survey of parking demand data, which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revealed demand at the present time and latent demand for the future. Third, it needs to improve the parking policy. it is necessary to mark parking management better and to introduce parking area-certificate system and parking-meter system. Finally, to solve the basic parking problem, public officials of Kwangju city in charge of parking affairs should make an analysis of parking supply and demand enough to establish systematic plans. We have to hand down a well established parking policy to our next generation. When Kwangju citizens have the sense of public order parking policy will be set better.

      • 光州市 都心駐車特性과 駐車管理方案에 關한 硏究

        김미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도시내의 각종기능이 집중되어 있는 도심에서의 교통문제 중 주차문제는 승용차보급율의 증대와 통행량의 과다집중으로 아주 심각한 상태에 도달해 있다. 광주의 주차문제는 주로 주차수요가 특정지역과 특정시간대에 집중되는데 비해 이를 수용할 주차시설의 지역적 편중과 비효율적 관리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주차시설의 이용자의 주차행태와 관리자의 관리실태를 파악하여 기존의 주차장 이용율을 높이기 위한 주차관리대책을 제시하는 데 있다. 주차행태와 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광주시 도심지역내 주차장 형태별로 40군데를 선정하여 주차장 이용자와 관리자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주차행태와 주차관리 실태를 분석한 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주차관리 및 주차장 이용율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 발견된 주요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주요한 문제점으로는 첫째, 주차장의 비접근성으로 불법주차가 성행되고 있다. 둘째, 노상주차를 선호하는 습성이 강하다. 셋째, 천변주차장처럼 공영주차장이면서도 쇼핑, 사교목적의 단시간 주차목적 이외의 목적으로는 이용되는 이용율이 낮다. 넷째, 주차장 형태가 건축물부설 주차장인 경우 개방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주요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쩨, 주차장의 위치, 용량, 만차율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주차장 안내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주차회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차요금을 형태별, 시간별, 점유시간별로 차별적으로 부과해야 한다. 셋째, 주차관리 시스템의 도입으로 주차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Vrbon Parking problems have emerged as one of serious urban problems to be solved urgently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sing number of motor vehicles. The parking problems in civic area are mainly resulted from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BD area in terms of activity concentration. It is assumed that parking problems in Kwangju CBD can be attributed parter to the inbalance between parking requirements and facilites and partly to the inefficient management of existing parking lo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civic parking in order to find the proper improvement measures of existing parking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attitude survey to the user and the manager of parkings lots. Major parking chacracteristics or problems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1. Illegal parking is mainly resulted from the inaccessibility of existing parking lots in civic area. 2. The preference of on-street parking lots is higher than the off-street owing to easy access to the lots. 3. Private owned parking lots are more actively used than the public-owned parking lots such as "chun-byun (stream side)" which located in the fringe area of Kwangju CBD. It is, therefore, following policy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parking lot management in KwangJu CBD. 1. The parking fee should be differently imposed by type, time, duration, etc. to improve the turn-over rate. 2. The introduction of parking guidance system is required to provide easy access to the parking lots. 3. Improved parking management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arking management. 4. The activity of public-facility is required.

      • 한국 주차산업의 현대화 추진방향 및 경제적 효과 : 서울특별시 공영주차장 현대화 사업 수행방향을 중심으로

        성순효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자동차 증가추세에 맞추어 서울특별시에서는 최소한의 주차시설을 확충하면서 주차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합리적인 주차수요 관리 및 억제정책을 병행하여 나가는 것을 주차정책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주차장의 설치와 폐지, 그리고 관리는 다른 교통정책과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종합적인 차원에서 계획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서울특별시에서 공영주차장관리 현대화·민영화를 과감하게 추진할 수 있었던 것도 주차문제의 해결이 교통 운영개선책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을 찾는 가장 근본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특별시 공영주차장 민영화 사업 관리운영 실태 및 동향을 점검해 보고, 선진 각국의 주차 교통정책을 비교 검토하여 주차장 운영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상황에 적절한 선진 주차·교통문화 정착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주차장 관리의 무인화 사업에 대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무인주차관리 시스템"구축에 있어 운영관리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추가적인 예상 문제점의 발생을 도출하여 향후 주차정책 전개 방향에 대한 안으로 제시하였다. 여기에 전개된 이러한 사항을 중심으로 주차장의 민영화·현대화를 통하여 운영관리에 있어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법으로 사회적 비용감소 효과를 가져왔음이 분석되어 졌다. 선진 주차문화의 정착에 있어서 초기 투자비용의 일시적인 증가로 고도의 경영효율성이 필요하였으며, 외자도입 및 합작법인 형태의 공동운영방식이 채택되기도 하였다. 또한 생산성 향상에 따른 경제적 가치창출 및 재정수입도 증대시킬 수 있었다. 현대화에 따른 핵심 기술력 확보와 기술력 향상으로 핵심 인력에 대한 고용 재창출 및 경제적 파급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현재 서울특별시의 민영사업자별 이원화되어 있는 주차관리시스템을 통합하여 주차문제와 교통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접근방식을 택하고자 한다. 기존 주차장 관련 인프라를 활용하고, 교통과 관련한 추가적인 비용투입 문제만 선결된다면 지능형 종합교통 시스템의 구축이 완성되어 질 수 있다고 분석되어 졌다. As the automobiles are increasing explosively, the basic goal of Seoul metropolitan administration i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parking demands and supplies, while maintaining a minimum level of parking facilities, and thereby, manage and control the parking demands in a reasonable way. It is deemed necessary to manage, establish or abolish parking lots in association with other traffic policies. In other words, it is required of Seoul city administration to plan and operate the parking facilitie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if necessary, rearrange them in a reasonable and systematic way. It is perceived that Seoul city administration has been able to modernize and privatize the public parking facilities drastically, because they have been aware of the fact that the solution to parking problems is most essential to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e traffic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the public parking facilities have been modernized and privatized by Seoul city administration, and thereupon, compare their parking/traffic policies with those of advanced nations to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involving management of the parking facilities, and thereby, suggest the ways to establish an advanced parking and traffic culture suitable to our conditions. For this purpose,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re reviewed to identify its possible problems and suggest it as an alternative for future parking management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costs could be saved in a scientific and reasonable way through privatization and modernization of the public parking facilities. Since the initial investment cost was large for establishment of the advanced parking culture, it was required of the city administration to manage the parking facilities efficiently, while introducing foreign capitals or adopting a joint management method, namely a joint venture for management of the public parking facilities. Thus, the city administration could improve the traffic productivity, while increasing its fiscal revenues. In addition, Seoul city administration could secure some core technologies through modernization of the public parking facilities as well as create job opportunities for technology -intensive manpower and spread its economic effects across other sectors. However, it is required of Seoul city administration to integrate the current private parking management systems to solve parking and traffic problems simultaneously. To this end, it is deemed necessary to use the existing parking infrastructures and invest more in traffic-related sectors, and thereby, construct a general intelligent traffic system.

      • 대도시 주차관리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여근 배재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growing number of cars in recent years has made our everyday lives more convenient, but the institutional parking management and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explosive increase in parking demand are need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some improvement in parking management policy by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parking policies and analyzing all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m. First, I examined the causes of illegal parking and domestic and foreign policy practices in urban areas. In the modern world, parking order is one of the most basic public orders, but it has been often neglected on account of several factors. Among the causes of illegal parking, there are 1) the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and the scarcity of parking spaces, 2) the lack of citizenship on parking order, and 3) the cursory crackdown and punishment. Secondly, I examined the domestic parking policy on the urbun areas such as Seoul city, Busan city, Incheon city, Kyungki province, and analyzed the cases of foreign parking polic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Britain, Japan to obtain implications for effective parking management. Parking policies of foreign countries has shown some similar trends. 1) They discriminate between urbun areas and residential areas, and then put emphasis on halting traffic in the former, and on reserving parking spaces in the latter. 2) Also they aim to construct an integrated patrol system against illegal parking, and show a tendency towards contracting-out.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I suggest several desirable ways to improve urban parking management policy in this thesis. Firstly, there are some ways to expand and improve parking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s ; installing a parking lot in their own house for using the side streets as living space ; expanding the residential-parking-first zone and making the parking stall in the side streets within no invasion of privacy ; allowing the overnight parking at trunk roads within no obstruction to traffic ; inducing the greater openness of parking lots in large-sized buildings at night ; implementing the public parking lots as a fundamental solution. Then there are some measures to do the same in commercial areas ; enforcing the installation of parking lot in commercial and official buildings ; securi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 by laying more parking stalls ; simplifying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to make parking facilities ; Using part of parking stalls as the luggage-handling area to ease the freight traffic. The way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facilities are as follows ; promoting the use of parking facilities by managing parking needs in non-residential areas ; providing the practical and regular education on parking orders to ordinary citizens ; improving the system to make it easy for users to get the imformation of parking facilities. Lastly, there are some ways to make illegal parking disappearing ; tightening up on illegal parking by expanding patrol force ; authorizing private contractors to crack down on illegal parking to secure a coherent policy ; inflicting severe punishment on those who commit illegal parking habitually. Through this study, I look forward to make illegal parking disappearing, parking management more efficient, and Daejeon city more comfortable living space. 자동차의 보유대수가 증가하면서 일상생활에서는 편리함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주차문제에 대한 정책 및 관련제도의 미흡으로 인하여 증가하는 주차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다 보니 효율적인 주차관리는 향후에도 현안과제의 하나로 다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주차관리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도시 주차관리 정책 개선방안에는 무엇이 있는지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주차관리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해 주차관리 정책의 기본방향, 주차시설 관리․운영, 불법 주차에 대한 조치, 국내 도시지역 주차정책 사례 및 외국 주차정책 사례를 살펴보았다. 국내 도시지역 주차정책 사례로는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경기도, 인천광역시를 살펴보고 외국의 주차정책 사례를 분석하여 주차질서 제고를 위한 대안모색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미국, 영국, 일본의 주차정책 사례를 살펴보았다. 외국의 주차정책은 효율적인 주차관리를 위하여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정책방향에서는 주거지역과 도심지역을 구분하여 주거지역은 주차 공간 확보를 그리고 도심지역은 진입억제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불법주차의 단속주체는 일원화를 목표로 하되, 민간위탁의 활용을 확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바람직한 대도시 주차관리정책 개선방안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주차시설 확충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주거지역의 경우 적은비용으로 이면도로의 주차문제를 크게 완화시켜 이면도로 본래의 목적인 생활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집주차장 설치 사업, 주차문제가 심각한 지역에서는 생활환경 침해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면도로에 주차구획선 설치 및 거주자 우선주차 구역 확대 설치, 교통소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간선도로 야간주차를 허용하되 가급적 건축물 부설주차장의 야간개방 유도, 주택가 주차문제를 근본적 해결을 위해 공동주차장 건설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며, 상업지역의 경우에는 개별 건축물의 주차장 확보가 미비하므로 상업․업무시설의 설치를 강화하고, 주차구획선 설치를 통해 합법적인 주차공간을 확보해 주차질서를 개선하며, 주차장 건설에 따른 행정절차를 가급적 최소화 하고, 화물운송의 원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주차구획선 일부를 조업주차공간으로 배정해야 한다. 주차장 관리․운영의 개선방안으로는 주차구획선 정비 및 주거이외에 시설에서 유발되는 주차수요를 관리하여 주차문제를 완화하고, 주차장 이용을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며, 주차문화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전환을 위해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주차장 안내체계를 개선하여 이용자들이 주차장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불법주차 단속 개선방안은 불법주차 단속을 철저히 하여 주차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단속인력을 보강해야 하며, 행정기관에서 주차단속을 수행할 경우 인력의 한계, 형평성 결여, 지속적 단속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단속권한을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춘 민간기업에게 위탁하여 철저한 단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불법주차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여 불법주차를 상습적으로 자행하는 사람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불법주차가 사라지고, 쾌적한 시민생활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효율적인 주차관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아파트 駐車管理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束草市 富榮 아파트를 事例로

        김숙경 강릉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우리 사회는 그 동안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속도로 자동차 보유대수의 증가를 보여왔다. 자동차 수의 증가는 도로 상의 교통혼잡은 물론이고 차량을 주차시킬 공간의 부족으로 야기되는 주차혼잡의 원인이기도 하다. 특히, 주거지의 경우 주차혼잡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주차공급을 확충하도록 권장하는 추세이다. 또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주택건설촉진법에 의거 증가하는 차량 대수만큼 단지내 주차장 확보를 원칙으로 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주차장 확보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차량의 수를 수용하기에 역부족일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단지 내 녹지와 공공시설의 감소를 가져와 주거환경의 질을 저하시킨다는 지적도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공급확보와 부족되는 부분은 주차관리 및 운영 개선으로 보완해야 할 시점이 온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지역인 속초시 부영 아파트 단지의 주차장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건설초기에 결정되어지는 아파트 단지내의 법정 공급주차장 면수가 입주자 및 방문객의 주차수요와 불균형을 이루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속초시 부영 아파트 주차장 운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차장 수요·공급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운영 및 제도적 보완점을 제안하고 지역적 특성에 맞는 주차관리 세부적용방안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속초시 부영 아파트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주차관리 방안으로 주차구역 재배정, 일련번호 부여 및 등록제, 주차구획선 재 도색, 외부 주차차량 진입차단, 주차유료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또한, 본 논문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확인한 사항은 주택건설사업승인 시건축심의나 기타 관련법 적용에 있어 주차면 수 확보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효율적인 차량동선 및 보행동선도 고려하여 주차장을 배치하여야만 주차활동에 관한 질적 제고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이다. 공동주택 보급에 있어 주차장의 공급문제는 근시안적인 접근보다는 장기적인 차원에서 정책을 펼쳐나가는 것이 시급함은 물론이고 법규상에 ‘사후 주차관리 및 운영’에 관한 세부적인 심의 내지 평가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ur society has shown the increasing of the vehicle possession in step with fast economic growth. The Increasing of the vehicle possession is the cause of parking confusion to be happened with traffic congestion and shortage of parking space. Specially, In case of parking confusion of residential, we solve this problem to expand the supply of parking-lot. Also, it is a rule that parking-lot was expanded by keeping pace with increasing of apartment-tenants. But, parking-lot security of apartment is wanting in ability in accepting the vehicle which continuously increases and deteriorates the quality of dwell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estimanted that it is the time to improve with parking management and operation improvement that security of parking space. A problem of parking-lot of Booyoung apartment complex in Sokcho city, the study object region of this thesis is out of balance between the area of parkig-lot which was decided at the early stage of construction and the demand of tenants and visito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at analyzes parking lot operating problem of Booyoung apartment complex in Sokcho city and keep 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parking. It drew the parking management improvement that application was possible in local a few characteristic of Booyoung apartment complex in Sokcho city by the results of this paper. Also, security of a parking space is for elevation about parking activity in quality to have had to consist more in parking related legal application matter confirmed through this paper. The parking-lot supply problem of apartment complex had to be not only approached in long-term dimension but also set a new standard related 'after parking management and improvement plan' in law.

      • 울산대 캠퍼스 주차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배종수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우리나라의 주차수요는 해마다 20% 이상 증가하교 있는데, 울산대학교 캠퍼스도 교직원은 물론 대학원생과 학부생까지 승용차를 이용하여 출·퇴근 또는 등·하교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주차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울산대학교의 향후 급증하는 주차수요에 대비하기 위하여 현재의 주차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장래의 캠퍼스 주차개선을 위한 방안을 검토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내 총 주차면수는 1,179면으로 피크시 주차대수인 1,526대를 해결하기에는 주차변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주차면수의 추가확보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변 주차구획선 형식의 변경이나 새로운 전용주차장 부지 확보가 필요하다. 2. 캠퍼스의 주차시간 도심의 평균 주차시간보다 다소 길며, 특히 활동인구의 구성원별 주차시간을 살펴보면 교직원이 학생 및 방문객보다 비교적 장기 주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쾌적한 캠퍼스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주차시간을 최소화 해야 할 것이다. 3. 캠퍼스의 주차패턴은 대학의 학사운영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수업의 분산과 같은 효율적인 학사운영으로 주차가 특정시간대에 집중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4. 교수 및 교직원의 주차수교만을 수용할 경우에는 구역별로 주차시설이 남아도는 곳이 있는가 하면, 주차시설이 부족하여 증설이 요구되는 곳도 있다. 주차시설이 부족한 구역의 경우, 주차시설에 여유가 있는 구역으로 분산 수용하는 방안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올 때는 공동주차장의 설치 운영이 필요하다. 5. 현재와 같이 교수, 교직원(조교 포함) 및 일부 대학원생의 주차수요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많은 구역에서 주차시설의 공급이 수요에 역부족임을 알 수 있었다. 주차시설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역간 주차설치 가능용지를 확보하여 구역공동주차장의 건설이 필요하다. 6. 교수 및 교직원, 대학원생의 주차수요를 전부 수용하려면 현재와 같은 방법으로는 교내 여건상 해결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경사지인 교내 가용지를 활용하여 지하주차장을 건설하거나 주차장전용건물을 건설하여 주차수요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7. 합리적인 주차관리를 위해서는 주차수요의 억제방안과 더불어 효율적인 주차관리를 위한 관련 규정의 제정이 필요하며, 주차시설의 지속적인 공급확대 방안도 검토되어야 한다. In proportion to the highly increasing demand of parking lots in Korea, the campus of University of Ulsan (UOU) experiences rapidly extending requirement of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growth rate of its faculties, students and staffs who own cars. This study aims to prepare improved alternatives for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of the UOU campus. For that purpose, present issues of the system is also considered carefully.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1. Overall 1,179 parking lots in UOU campus is not enough for the 1,526 cars at the peak time. However, extra parking space is practically limited, so that another approaches such as arranging the parking line are required. 2. The average parking time in UOU campus is longer than the other sites in the city center, so that the efforts for minimizing the parking time are also required. 3. Parking pattern in campus is deeply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academic affairs, so that more efficient academic administration such as rearranging the lectures is required. 4. Imbalance of parking requirement causes in efficiency, so that more careful considerations of the compulsory allocation of parking system are required. 5. In the present circumstances, almost half of the colleges are beyond their parking capacities, so that the establishment of common-parking lots is required. 6. The extra parking space is not available in the present UOU campus, so that more practical methods such as the slope-used parking, the parking tower and the underground parking are required. 7. For more reasonable parking management, the UOU campus parking regulations are required with the policies for the decrease of parking requirements and the continuous supply of the campus parking facilities.

      • 우리나라 中小都市의 駐車需要管理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江陵市를 事例로

        신익선 강릉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devices to improve the parking demand management in medium and small cities in Korea.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clarifies the concept of the parking demand management, introduces parking policies in some foreign cities, analyzes the problems of current parking policies in medium and small Korean cities, and then finally draws up some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arking demand management based on three main issues, i.e., the increased supply of parking lots, the control of parking demand, and the system of parking management. The method of this study largely depends on Literature review for the theoretical debates of parking demand management and parking policies in some foreign cities on one hand, and an imperical study of Kangnung for an actual analysis on the other hand.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study clarifies the concept of the parking demand management and its major factors. Then it analyzes the practical management system of other foreign cities in the U. S. A., Europe, and Asia in order to get some appicable ideas. 2. The characteristics of parking demand are analyzed by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practical parking system between Kangnung and other cities. The shortage of parking lots reaches around 40-50 percent on average in other cities, and 48 percent in Kangung. Parking demand in cities is countinuously increasing, but there are little management devices for the establishment of garages, the operation of street parking, the support for private parking lots, and the use of parking lots attached to buildings. The structure of most cites are becoming more complicated but there is no control system of the parking demand and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parking lots. It is also noticed that the illegal parking in medium and small cities occupies over 70 percent in total, whereas it represents 30 percent in Seoul. 3. This study makes the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parking system by comparing large cities in Korea with those in foreign contries in terms of parking policies, and then suggests concrete parking demand management improvement tactics. The plan for the increase of parking lots is not necessarily restricted to the increase in its total size. It shuld be related to general traffic plans of a city. The flexible use of roadside parking lots, a parking system to allow residents to park, the enlargement of underground parking lots to make use of public-owned land such as school, road, square and park, and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to eastablish the plan for the revision of parking system are required to improve the parking system. To control the parking demand, making new parking lots in city should be repressed, illegal parking should be restrained intensively, parking fares should be differently char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citizens recongnition about illegal parking should be changed. To improve the parking menagement, regulations on the eastablishment of parking lots attached to buildings should be relaxed and the standard to facilitate public parking lots should be enacted. It is necessary to eastablish special accounting for parking system which can ensure the costs for parking management, to find the resource of taxes to found the department which takes an exclusive responsibility of parking management, to recruit experts, and to eastablish general information system of parking.

      • 도심 주차관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천안시의 사례를 중심으로(the Case of Cheonan City)

        황인석 단국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2

        현대사회는 자동차 중심의 사회라 할 수 있을 만큼 이제 교통수단인 자동차는 인간의 기본생활 요소인 의 ·식 ·주와 더불어 중요한 생활수단의 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이처럼 교통은 인간생활 뿐만 아니라 인류문명에도 큰 비중을 차지하여 왔으나, 근래에 와서는 생산적 발전수단의 견인차 역할을 하던 교통수단이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지난 60년대 성장지향적 경제정책들이 추진된 이래 높은 경제성장률과 함께 빠른 도시화로 인한 도시인구의 증가로 도시의 교통문제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가장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로 노출된 교통문제 중 주차문제는 그 동안 한정된 재원으로 인하여 동적 교통시설인 도로확충에만 급급한 나머지 등한시되어왔다. 그 중에서도 도심지역의 주차난은 갈수록 심화되어 교통소통은 물론 도심의 균형발전에도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다. 천안시의 주차문제도 단지 주차부문만의 문제라기보다는 급속한 도시성장 및 발전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토지이용, 도시개발, 도시의 물리적 구조변화 등에 연유한 보다 본질적인 문제에서 비롯된다 하」R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문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단편적이고 일시적인 주차정책에서 탈피하여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해결방안의 정립이 필요하다. 천안시와 같은 중소도시의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주차시설공급확대방안, 주차수요 억제방안, 주차관리운영 개선방안 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천안시가 안고 있는 주차관리상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차시설 면적의 절대적인 부족과 주차시설의 지역적 편재, 유형별 불균형 등으로 계속 늘어나는 주차수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부족한 주차시설의 정비 확충과 병행하여 도심의 주차수요를 적극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방안이 시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대중교통체계 정비, 승용차의 도심진입 억제 등과 같은 주차수요 관리방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주차관리 운영상 문제점으로 건축물 부설주차장의 설치기준이 용도별로 세분화되었으나, 지역별 구분 없이 획일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심 교통억제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없지 않다. 천안시 사례연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공공용지를 활용하거나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을 강화하여 주차시설 공급을 확대하는 한편, 도시구조를 다핵화하여 그 기능을 분산시킴으로써 도심으로의 교통량을 줄이는 주차수요 억제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노상주차장의 신축적 운영 및 과학적 관리, 지속적이고 강력한 주차단속 등 주차관리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특히 이 같은 개선방안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천안시의 지역여건 및 특성에 맞는 도심주차관리방안이 도입되어야 하고, 행정기관의 개선의지 가 필요함은 물론 시민들이 주차문제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시민의식을 고양하는 등 교통문화를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 Recently, most cities in Korea experience enormous changes due to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As a result, they are facing with numerous urban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in downtown area due to the shortage of parking spaces and mismanagement of parking facilities. The city of Cheonan represents many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which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parking problems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since the rapid increase in the ownership of private vehicles during 1990s. The parking and traffic problems of Cheonan city were worsened by the lack of comprehensive planning and the lack of appropriate policy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n parking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better policy measures for parking management in the city of Cheonan by reviewing the previous policies of city government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parking facilities. The thesis consists of 5 chapters. The first chapter of the thesis discusses the purpose and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ories and previous empirical studies on the parking management in downtown area. In the following chapter, the current conditions of parking facilities and the previous policy measures of parking management in Cheonan city is analyzed. Chapter 4 describes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s in the several developed nations. Finally, the last chapter present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the city of Cheonan suffers from an increasing imbalance between the demand of downtown parking and the supply of parking spaces. Second, the city does not have any comprehensive parking management plan. Therefore, the provision of more parking spaces in the downtown induces people to bring more cars into the city center. Third, the current planning law does not stipulate the building standard for parking facilities according to zoning area. Last, the management of parking space on the main roads needs to be impoved and the illegal parking on the street should be enforced continuously. Most of these problems demand the voluntary awareness of the drivers and the observance of traffic law by the citizen.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city government such as the adoption of an improved parking management plans is necessary to solve the parking and traffic problem of Cheonan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