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와 도움행동 간의 관계 : 공감, 죄책감 및 감사를 중심으로

        한지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emotion and helping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cused on empathy, guilt and gratitud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First, do children and adolescents' moral emotion(empathy, guilt and gratitude) and helping behavior significantly vary by their general features (gender, grade and religion)? Second, how much relative influence does moral emotion(empathy, guilt and gratitud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on helping behavior? Third, what is the mediated effect of gratitude concerning the influe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mpathy on their helping behavior? Fourth, what is the mediated effect of gratitude concerning the influe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guilt on their on helping behavior? For this study, participants, comprising total 1,043 students of 4th, 5th, 7th, 8th, 10th and 11th grade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on empathy, guilt, gratitude and helping behavior. Of 1,043 copies of questionnaire, 938 valid sets were se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SPSS Win 12.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gender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general featur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pathy, guilt of moral emotions and helping behavior. In other words, compared to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marked by greater level of empathy, guilt and helping behavior. However, gender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gratitude. By the a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ll three moral emotions - empathy, guilt and gratitude - and helping behavior varied significantly. In case of moral emotions,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highest score on empathy, where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the highest score on guilt and gratitude. In case of helping behav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arked with the highest score. By religion, moral emotions of empathy and gratitude and helping behavior significantly vari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religion showed higher level of empathy and gratitude and helping behavior than those without religion. Secondly, the moral emotions(empathy, guilt and gratitud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helping behavior. To be more concrete, the effect on the help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in order of empathetic concern, gratitude, perspective taking and religion. The effect on the help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in order of guilt, perspective taking, fantasy, religion and empathetic concern. The effect on the help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in order of perspective taking, gratitude, guilt and fantasy. Thirdly, gratitude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ed effect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empathy on helping behavior. Fourth, gratitude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ed effect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guilt on helping behavior and had complete mediated effect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guilt on don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sympathy, guilt and helping behavior in moral emo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gender, grade and relig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ve influence of sympathy, guilt and gratitude in moral emotion that influence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helping behavior. This also has verified mediated effects of gratitude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sympathy and guilt influence the helping behavior. As a result, the sympathy, guilt and helping behavior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grade and religion, and sympathy, guilt and gratitude in moral emotion influenced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helping behavior. Also, gratitude was found to have mediated effect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empathy on helping behavior. Key words: moral emotion, empathy, guilt, gratitude, helping 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정서 중 공감, 죄책감 및 감사를 중심으로 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와 도움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과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종교유무)에 따라 도덕적 정서(공감, 죄책감, 감사)와 도움행동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공감, 죄책감, 감사)가 도움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아동과 청소년의 공감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감사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아동과 청소년의 죄책감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감사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생, 초등학교 5학년생, 중학교 1학년생, 중학교 2학년생, 고등학교 1학년생, 고등학교 2학년생 총 1,043명을 대상으로 공감, 죄책감, 감사, 도움행동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1,043부 질문지들 중 자료로서 유효한 938부 만을 가지고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 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중 공감, 죄책감과 도움행동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공감과 죄책감을 더 많이 느끼고, 도움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사성향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년에 따라 도덕적 정서 중 공감, 죄책감, 감사와 도움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감은 고등학생이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죄책감과 감사는 초등학생이 가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움행동은 초등학생이 가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유무에 따라 도덕적 정서 중 공감, 감사와 도움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종교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이 공감과 감사를 더 많이 느끼고, 더 많은 도움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중 공감, 죄책감, 감사는 도움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초등학생의 도움행동은 공감의 하위영역인 공감적 관심, 감사성향, 공감의 하위영역인 관점 취하기, 종교유무 순으로 설명되었다. 중학생의 도움행동은 죄책감, 공감의 하위영역인 관점 취하기, 공감의 하위영역인 상상하기, 종교유무, 공감의 하위영역인 공감적 관심 순으로 설명되었다. 고등학생의 도움행동은 공감의 하위영역인 관점 취하기, 감사성향, 죄책감, 공감의 하위영역인 상상하기 순으로 설명되었다. 셋째, 아동과 청소년의 공감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감사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과 청소년의 죄책감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감사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가지며 죄책감이 도움행동의 하위영역 중 증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감사가 완전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일반적인 특성(성별, 학년, 종교유무)에 따라 도덕적 정서 중 공감, 죄책감 및 감사와 도움행동에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과 청소년의 도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도덕적 정서 중 공감, 죄책감 및 감사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아동과 청소년의 공감과 죄책감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감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성별, 학년, 종교유무에 따라 공감, 죄책감 및 감사와 도움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덕적 정서 중 공감, 죄책감 및 감사는 아동과 청소년의 도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감과 죄책감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감사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도덕적 정서, 공감, 죄책감, 감사, 도움행동

      • 남편의 협력 및 어린이집 만족도가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영향

        정나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12개월~30개월의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남편의 협력과 어린이집 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S구에 거주하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수유방법에 따라 양육죄책감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양육죄책감에 대한 남편의 협력과 어린이집 만족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인숙(2001)이 개발한 양육죄책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 척도는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 중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 척도와 Mann과 Thornberg(1987)가 개발한 어머니 죄책감 척도(Maternal Guilt Scale)를 바탕으로 취업모와 미취업모의 특성을 감안한 문항을 첨가하여 제작하였다. 남편의 협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Abidin(1988)이 개발한 PAI(Parenting Alliance Inventory)를 Abidin과 Brunner(1995)가 수정한 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어린이집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희숙(2000) 최일섭(1998) 박장하(2007) 등이 제작한 어린이집 만족도 척도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총 21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원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증,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 공차한계 및 VIF 계수, Durbin Watson 지수 산출, Levene의 등분산 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는 보통 수준의 양육죄책감을 겪고 있으며, 돌봄에 대한 죄책감 수준이 가장 높았다. 또한, 어머니가 인식한 남편의 협력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어린이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은 만족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에서는 취업상태에 따라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과 돌봄에 대한 죄책감의 경우, 미취업모보다 취업모의 양육죄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유방법에 따른 양육죄책감의 차이에서는 모유수유, 모유분유혼용 수유, 분유수유를 한 어머니 순으로 양육죄책감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최종학력과 직업에 따른 양육죄책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남편과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어린이집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어머니일수록 양육죄책감을 덜 느끼고 있었으며, 어린이집 만족도와 주요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어린이집에 만족하는 수준이 높았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남편의 협력, 어린이집 만족도 순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남편의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어린이집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양육죄책감을 덜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남편의 협력과 어린이집의 만족도가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감소시키는데 중대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유방법에 따라 어머니가 양육죄책감을 느끼는데 영향이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였으며, 이는 모유수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정부적 차원의 모유수유에 대한 어머니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으로 인한 부정적 양육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편의 협력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남편의 영아기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을 갖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 및 아버지 교육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다. 영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들의 소통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남편의 협력을 자연스럽고 보편적 양육태도로 발전시켜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간구해야 한다. 그리고 어린이집과 가정의 더욱 원활한 소통을 위한 가정연계 프로그램 및 지속적인 정부의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변인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및 수유방법에 따른 양육죄책감을 느끼게 되는 변인을 세분화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guilt of mothers using preschool with infants of 12 months to 30 months. According to 300 mothers in Seoul, change in maternal guilt to sociological population factor and feeding method and relative impact of husband support and preschool satisfaction on maternal guilt were analyzed. To measure maternal guilt, Maternal Guilt Scale developed by Jang, In Suk(2001) was used, and this scale was based on non–maternal care guilt scale in Parenting Stress scale by Kim, Ki Hyun and Kang, Hee Kyung(1997) and Maternal Guilt Scale by Mann and Thornberg(1987) to add characteristics of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To measure husband support, PAI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developed by Abidin(1988) and edited by Abidin and Brunner(1995), was translated to be used, and for preschool satisfaction, satisfactory scale of preschool developed by Park, Hee Suk(2000), Choi, Il Sup(1998) Park, Jang Ha(2007) and many other scholars were revised into 21 questions to be used. Obtain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One-Way ANOVA, independent samp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 tolerance limit and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coefficient, Durbin Watson Index Computation, Levene’s test, Hierarchical Analysis.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mothers faced an average level of maternal guilt, and guilt regarding care was highest. Moreover, husband support recognized by mothers was higher than average, and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preschool was more than satisfied. Second, mothers’ sociological population characteristic difference showed that employment status had an impact on non-maternal care and guilt on care of working mother having higher guilt. Guilt related to feeding method showed differences by feeding methods, in ascending order from breast feeding, mixed-feeding, and artificial feeding. On the other hand, mother’s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did not demonstr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guilt. Third, as more husband cooperates well and the mother is satisfied with preschool, mothers felt less maternal guilt. Moreover, having higher monthly income led to having higher satisfactory in preschool. Fourth, independent factors around maternal guilt turned out to be related to husband support and preschool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if the mother is satisfied with preschool while husband supports well, mother feels less maternal guil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husband support and preschool satisfaction can be expected to result in a significant decline in maternal guilt. Moreover, influence of feeding method on maternal guilt was confirmed, meaning that there should be a government policy to correct wrong perceptions on breast feeding. Furthermore, to prevent negative parenting behaviour with the decline of maternal guilt, husband suppor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and to do this, husband education is needed to teach how to spend time with infants. Methods to offer a communication hub for husbands to share support will make husband support more natural and generalized leading to decrease in maternal guilt. Consistent government support will be needed to allow more communications between families and preschools. Following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methods to decrease maternal guilt of a mother, and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focused on outside influence of maternal guilt. Having researched mother’s sociological population factor and feeding method related maternal guilt lies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 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방성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수치심과 죄책감을 목회상담학적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수치심과 죄책감을 형성하는 양육태도와 수치심과 죄책감의 이 질성에 대한 심리학적, 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수치심과 죄책감의 치유적 접근 을 연구하였다. 이는 양육태도가 수치심과 죄책감 형성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끼치는지와 두 정서의 이질성을 바탕으로 수치심과 죄책감의 치유적 접근을 어 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본 논문은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This thesis comprehensively considered shame and guilt from the perspective of a pastoral counseling point.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based on the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parenting attitudes and differences between shame and guilt, healing approaches to shame and guilt were studied. This is to find how differently parenting attitudes affect shame and guilt, and to seek a way of possibility of how healing approaches to shame and guilt can be made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shame and guilt. This thesis is segmented into 5 chapters for this purpose.

      •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사회적 지지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연옥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사회적 지지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사회적 지지 및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의 경향성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사회적 지지 및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사회적지지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구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20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한 성정원(2011)의 척도를 유경희(2013)가 재수정한 어머니 양육죄책감 척도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임희수가(2012)의 어머니 사회적 지지 척도가 사용되었고, 김선화(2011)가 김호인(2010)의 도구를 수정․보완한 유아 사회정서발달 척도가 사용되었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을 거쳐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은 ‘보통이다’ 수준이며, 사회적 지지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은 ‘비교적 높다’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사회적 지지는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전체와 정적 상관성이 각각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는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죄책감과 사회적지지 및 유아의 연령순으로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guilty and social support and on their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enrolled in th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of Gyeounggi-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Window 18.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mean score of mothers' parenting guilty was 'average', the levels of mean score of mothers' social support and their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were 'over average' respectivel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guilty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respectivel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young children's age(b=.058, t=2.741, p<.01) mothers' social support(b=.096, t=3.544, p<.001)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b=.114, t=2.931, p<.01) on the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 죄책감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 멜라니 클라인 이론을 중심으로

        오자연 한신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죄책감은 우리 삶의 하나의 현실이고, 우리 모두가 겪는 정상적인 경험 가운데 하나다. 우리가 죄를 지었을 때, 다시 말해서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입혔다는 사실을 알거나, 우리가 확신하고 있는 어떤 가치체계에 위배되는 행동을 했을 때, 우리는 죄책감을 경험한다. 이렇게 죄책감을 느낀다는 것은 정신 건강의 한 차원이다. 그러나 이러한 죄책감은 우리를 반복적으로 정죄하고 자책(자기연민, 감상주의, 자기비난과 학대에의 탐닉 등)하는 경우와 구분되어야 한다. 그런 상황에서의 죄책감은 우리에게 도움이 되기보다는 해가 된다. 이런 사람들은 모든 문제를 자기 탓으로 돌리고, 끊임없이 자신을 비판하거나 비난한다. 그들은 여러 가지 판단 기준을 가지고 자신을 묶어둔다. 그리고 그것은 다른 사람에게도 똑같이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자신에게 가하는 비난은 타인을 향해서도 나가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어적 죄책감 이면에는 진정한 의미의 고통의 느낌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저 습관처럼 반복되어 죄책감이 자신을 괴롭힐 뿐 실제 삶의 변화와 책임을 수반하지 못한다. 또한 아동이나 성인들 가운데 죄책감이 전혀 없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도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것은 끔찍한 범죄행동 등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경우는 물론 드물지만, 부분적으로만 건강하게 발달했거나 어느 정도 죄책감 또는 후회감을 갖지 않는 사람들을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리고 그와 같이 죄책감이 없는 것은 지적인 능력이나 무능력과는 별로 상관이 없다. 물론 여기에는 기질적인 요인도 결코 무시할 수는 없지만, 이 무능력을 체질적인 요인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분명히 하나의 유혹이다. 또한 이렇게 표현되거나 의식되지 않고 억압되어서 죄책감이 무의식적 죄책감이 되면 반복적으로 죄를 지어 자신에게 처벌을 끌어들이기도 한다. 이런 사람들이 죄책감을 갖는 것은 범죄를 저질렀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그들의 범죄는 죄책감의 결과이다. 여기서 죄책감은 범죄의 의도 안에 속해 있는 것이다. 사회에서 드러나는 사회병리의 문제는 정치, 경제, 사회의 윤리적, 도덕적 문제일 뿐 아니라 정신건강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생에 대한 의미와 가치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한, 그래서 자신의 정신적 질곡으로 인해서 고통 받고 있는 사람에게 윤리 도덕은 맥을 못 추기 때문이다. 사회 상황을 살펴보면 개인과 집단, 내면세계와 외부현실 간에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의 끈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의 행동은 바로 내면세계를 알 수 있게 만든다. 이처럼 죄와 죄책감의 문제는 매우 복잡한 문제이며, 우리들의 삶에서 피하기 어려운 본질적인 문제이다. 특히 기독교인들은 죄라는 신앙적 개념으로 인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까지 그러한 잣대를 들이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율법주의적인 신앙에 사로잡히기 쉽다. 또한 죄책감 속에 끊임없이 반복하여 회개기도를 드리지만 삶에는 진정한 변화가 없는 사람들이 있다. 왜 그런 것일까? 진정한 의미의 죄책감은 무엇이며, 그것은 병리적인 죄책감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죄책감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과연 죄책감은 문화와 사회 안에서 형성된 가치관과 도덕성에서 오는 것일까? 아니면 실존적인 또는 영적인 것인가? 그것은 우리 삶에서 어떤 느낌으로 어떻게 드러나는가? 병리적인 죄책감의 폐해는 무엇인가? 또 죄책감이 없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진정한 죄책감을 통해 우리는 어떤 새로운 길로 나아갈 수 있는가? 인간의 정신과 영혼의 치유에 관심하는 목회상담은 이러한 물음에 깊고도 진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관심아래 본 논문은 목회상담에 있어서 죄책감에 대한 정신의 심층적인 이해를 추구하고자 한다. 목회와 상담은 사람들의 삶 속에 나타나는 문제에 대해 단지 표면적인 이해만으로는 그 문제의 근본 원인에 접근할 수가 없다. 이에 대해 인간의 무의식을 탐구해온 정신분석학에서의 죄책감 이해가 목회상담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신학과 정신분석학 모두는 인간사와 그것들이 우리에게 가지는 심원한 의미와 실제로 우리의 중심적인 의미의 경험을 이루는 그 무엇에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우리가 정신을 가지고 있음으로 해서 우리에게 발생하는 모든 것은 심리적인 이해와 관련 된다. 그러므로 이 두 분야는 서로 깊은 연관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 둘은 접근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으나, 공통의 관심사 안에서 차이점을 넘어서 형식과 기술, 그리고 절차가 함께 섞이는 데로 나아가게 된다.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관련 변인

        주연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양육죄책감을 갖는 요인은 무엇이며, 양육죄책감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자녀가치관, 그리고 어머니와 관련한 변인(취업유무, 연령)과 자녀 관련 변인(월령, 출생순위)과의 차이 및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완벽주의 성향, 자녀가치관은 어머니 개인 변인(연령, 취업유무), 자녀 변인(월령,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완벽주의 성향, 자녀가치관, 어머니 개인 변인(연령, 취업유무), 자녀 변인(월령, 출생순위)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 개인 변인(연령, 취업유무), 자녀 변인(월령,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녀가치관이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7곳의 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는 영아(0~36개월 미만)와 유아(36~60개월 미만)를 둔 어머니 31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용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성정원(2011)이 수정,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은 조복희 외(2000)가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녀가치관은 이삼식 외(2005)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중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어머니의 연령에서 35세 이하인 경우, 36개월 미만인 자녀를 두고 자녀의 출생순위가 첫째인 경우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서 미취업모와 자녀의 출생 순위에서는 첫째인 경우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자녀의 출생 순위에서만 첫째인 경우에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에서는 높은 기준 설정에 있어서만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차이가 났으나 자녀가치관에서는 아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양육죄책감의 3가지 하위요인인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과 어머니․자녀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은 자녀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 자녀의 가치관 중 정서적 가치관과 상관이 있었다. 즉, 자녀의 출생순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가치관이 정서적 가치관일수록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은 어머니의 연령, 자녀의 월령, 자녀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 자녀가치관의 두 하위변인인 정서적 가치 및 도구적 가치와 상관이 있었다. 즉,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자녀의 월령이 낮을수록, 자녀의 출생순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이 높을수록, 자녀가치관이 정서적 가치관과 도구적 가치관일수록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자녀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실수 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완벽성, 자녀가치관 중 도구적 가치관과 상관이 있었다. 즉, 자녀의 출생순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실수 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완벽성이 높을수록, 자녀가치관 중 도구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어머니, 자녀 관련 변인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녀가치관 중 정서적 가치, 자녀의 출생순위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은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달랐다. 특히 자녀의 출생순위와 자녀의 가치관은 양육죄책감에 영향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관한 이해에 이론적인 기여를 했다고 본다. 또한 어머니가 가진 자녀가치관 인식과 자녀의 출생순위가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규명함으로써 어머니들이 갖는 양육죄책감을 비롯한 심리적인 부담감의 경감을 위한 방안을 시사하였다는데 실용적 의의가 있다. The main focus of the research study was to look at variables regarding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related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12 mothers of infants (0~36months) and toddlers (36~60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mother's parenting guilt, mother's perfectionism, mother's value of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Differences appeared in mother's parenting guilt in accordance with each subfactor. However, as for mother's perfectionism, there was differences in only choosing high standard and over whether they're employed or no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ther's value of children. Second,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mother's parenting guilt and mother-children related variable factor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y each subfactor. Third, Analyzing comparative influences that mother-children related variable factors affect mother's parenting guilt, emotional value and birth order influenced in order of children of mother's value of children. Fourth, As for mother's parenting guilt, variable factors that affect in accordance with subfactors differed. Particularly, children's birth order and children's value influenced mother's parenting guilt. This present research has identified that factors predictive of mother's parenting guilt differentiates depending on the mother's has further contribute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other's parenting guilt. It also has established mother's recognition of their value of children, child's birth order as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parenting guilt, and therefore has practical significance to inform a plan to reduce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or psychological burdens.

      • 죄책감이 강박증상에 미치는 영향 : NJREs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수지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특질죄책감과 상태죄책감이 강박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때 ‘딱 맞지 않는 경험’(Not just right experiences: 이하 NJREs)을 매개변인으로 가정하여 죄책감이 강박증상으로 연결되는 기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죄책감과 NJREs가 각각 강박증상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배경들을 축적해왔다. 그러나 죄책감은 무엇인가 딱 맞지 않은 느낌을 양산하기 때문에 이것이 강박증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죄책감과 NJREs, 강박증상을 함께 살핀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질죄책감과 상태죄책감, 상태NJREs, 그리고 강박증상을 한 모형에서 그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 190명(남성 82명, 여성 10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해 특질죄책감을 측정하였다. 이후 참가자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죄책감 유발집단과 중립정서 유발집단으로 무선배정하여 정서를 유발한 후 질문지를 통해 상태죄책감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재배열 과제를 시행 한 뒤 상태NJREs를 질문지로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강박증상을 질문지로 자기보고 하게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특질죄책감이 높을수록 강박증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 관계는 상태NJREs에 의해 매개되었다. 죄책감 유발집단의 강박증상은 중립정서 유발집단의 강박증상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정서유발 조건은 강박증상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정서유발의 조작점검 결과 죄책감 유발집단은 중립정서 집단에 비해 상태죄책감 수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추가적으로 상태죄책감 점수를 분석에 포함하여 강박증상을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태죄책감이 높을수록 강박증상이 더 나타났으며, 이 관계는 상태NJREs에 의해 매개되었다. 그러나 강박증상을 예측함에 있어 우울의 영향을 통제하였을 때 상태죄책감의 설명력은 사라졌으며, 불안의 영향을 통제하였을 때에는 특질죄책감과 상태죄책감의 설명력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비교 : 심리적 특성과 상황적 변인에 따른 차이

        송수민 한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개인의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심리적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검토하였고,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에 따라 나타나는 이질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사건뿐만 아니라 긍정적 사건에 대해서도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에 따라 정서적 반응이나 인지적 해석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치심과 죄책감의 차이를 개인내적인 차원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에서 벗어나, 상황적 변인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수치심과 죄책감의 본질을 다각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인지적, 동기적, 적응적 변인들과 서로 상이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알아 본 연구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의 수치심경향성은 반추적 반응양식, 과일반화, 사회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성취동기와 적응 변인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죄책감경향성은 반성적 반응양식과 성취동기와 같은 긍정적 요인들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부정적 문제를 처리해 나가는 과정적 변인인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을 때, 개인의 수치심경향성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반추적 반응양식이, 죄책감경향성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반성적 반응양식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적응과 관련성을 갖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연구 2는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부정적 사건뿐만 아니라 긍정적 사건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나 인지적 해석에 있어서도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치심경향성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 사건 경험 후에도 심리적 만족이나 정서적 반응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치심경향성이 높은 사람은 죄책감경향성이 높은 사람보다 부정적 사건에 대해 이를 자신에 대한 개인적 성향(낮은 합의성, 낮은 독특성, 높은 일관성)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에, 긍정적 사건에 대해서는 자신의 개인적 성향으로 귀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치심경향성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 사건을, 죄책감경향성이 높은 사람은 부정적인 사건을 안정적으로 귀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죄책감경향성이 높은 사람은 수치심경향성이 높은 사람보다 부정, 긍정 사건 모두에서 자신이 통제성을 가지고 있다고 지각함으로써 보다 긍정적인 귀인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부정적 사건뿐만 아니라 긍정적 사건으로 문제영역을 확장하여 살펴보았을 때에도 수치심경향성이 높은 사람은 죄책감경향성이 높은 사람보다 긍정적 경험에 대해 덜 개방적이고 부정적인 귀인을 하는 것과 관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3에서는 수치심과 죄책감의 차이를 가져오는 상황적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험한 부정적 사건의 종류에 따라 살펴보면, 도덕과 무관한 자신의 무능함이 노출되는 상황에서는 수치심경향성이, 도덕과 관련된 위반 행동이 노출되는 상황에서는 죄책감경향성이 개인의 심리적 고통정도와 관련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능함이 노출되는 상황에서는 관찰자가 많고 소원할수록 수치심을 많이 느꼈으며, 특히 관찰자가 적은 경우가 많은 경우보다 관찰자의 심리적 거리에 따라 수치심을 느끼는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위반행동이 노출되는 상황에서는 관찰자가 많을수록 죄책감을 많이 느꼈으며, 관찰자의 심리적 거리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수치심과 죄책감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부정적 문제의 종류나 관찰자의 특성 등 다양한 상황적 인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개인의 성향적 특성으로서의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차이를 인지적, 동기적, 적응적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이들 정서적 경향성이 적응과 관련이 되는 과정에서 내부초점적 반응양식(반추적, 반성적 반응양식)의 설명력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둘째, 부정적 사건뿐만 아니라 긍정적 사건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수치심과 죄책감의 본질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수치심과 죄책감관련 연구에서 이제까지 간과되어 온 상황적 요인의 중요성을 재강조하고 이를 통해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by identify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on adaptation-mechanism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on affective responses and cognitive interpretations in the positive situation as well as the negative situation. Finally,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the function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in the relation of contingent situations. The results of Study 1, which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on cognitive, motivational, and adaptive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while guilt-prone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reflective response style and achievement-motivation, shame-prone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ruminative response style, over-generalization, and social anxiety, and negatively related with achievement-motivation and adaptation. Second, while the relation between guilt-proneness and adaptation was mediated by reflective response styl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proneness and adaptation was mediated by ruminative response style.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were operated by different psychological mechanisms. The results of Study 2, which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on affective responses and cognitive interpretations in the positive situation as well as the negative situation, are as follows. First, shame-proneness was not related with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affective response in positive situation. Second, in negative situation,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er shame-proneness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the results to their personal traits (i.e., low-level consensus, low-level distinctiveness, and high-level consistency) than those who had higher guilt-proneness. In contrast, in positive situation,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er shame-proneness did not tend to attribute the results to the personal traits. Third,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 scores on guilt-proneness more likely reported higher scores on control variable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tuation than those who had high scores on shame-pronenes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 scores on guilt-proneness tend to be more positively attributed to the specific situation than those who had high scores on shame-prone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er shame-proneness had less open to the positive experience and tend to be more negatively attributed to the specific situation than those who had higher guilt-proneness. The results from Study 3, which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situational variables in relation to shame and guilt, are as follows. Considering on the types of negative situations, shame-prone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pain on the nonmoral situation (e.g., incompetence situation), while the guilt-prone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pain on the moral situation (e.g., transgression situation). In nonmoral situation, the participants reported higher shame scores when more observers and the less intimate observers were involved. On the other hand, in moral situation, the participants reported higher guilt scores only when many observers invol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on shame and guilt needs to be further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the various situation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e significant outcomes from three studies. In Study 1, the one important psychological variable, self-focused response style (ruminative, reflective response style), was identified to explain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on adaptation-mechanisms. In Study 2, by examin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on affective responses and cognitive interpretations in the positive situation as well as the negative situation, this study extended the knowledge on the essential property of two self-conscious concepts (i.e.,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In Study 3, it showed to bring the importance of situational variables into light in understanding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 대인 관계 상황에서의 죄책감, 수치감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연구 :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의비교를 중심으로

        류설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실지로 경험하는 수치심과 죄책감 상황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대인관계 정서로서의 수치심과 죄책감이 심리적 증상(분노, 우울, 불안)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두 정서가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에게 있어 심리적 증상과 어떻게 다르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비행 청소년 집단의 정서적인 특징과 효과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을 소재의 남녀 일반 고등학생과 경기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소년원에 수용되어 있는 남녀 비행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먼저 청소년들이 실지로 경험하는 수치심과 죄책감을 조사하기 위해 남녀 일반 고등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최종 질문지 작성을 위한 예비 조사를 위해 남녀 일반 고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예비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시에는 남녀 일반 고등학생 200명과 경기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113명의 남녀 소년원생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기 인식 정서로 분류되는 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한 측정은 Tangney 등(1989,1990, 1991b)이 개발한 TOSCA-C, TOSCA-Adol, TOSCA를 번안, 수정하여 새로이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노 측정은 김계현 등(1995)이 개발한 분노 척도 중 일부(심리적 요인)를 사용하였으며, 우을 측정을 위해서는 Beck의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1979)를, 불안 측정은 Spielberg의 STAI(State-Trait Anxiety Iventory,1978) 중 특성 불안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상관 분석, 준부분 상관 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다변량 분석, Cronbach´s α계수 등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 집단과 비행 집단의 죄책감, 수치심과 심리적 증상(분노, 우울, 불안)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일반 집단의 경우,죄책감은 심리적 증상과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은 반면, 수치심은 정적 상관을 가졌다. 일반 청소년의 고유한 죄책감과 고유한 수치심이 심리적 증상과 각각 어떤 상관을 가지는 알아본 준부분 상관 결과, 고유한 죄책감은 심리적 증상과 의미있는 부적 상관을, 고유한 수치심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따라서 두 정서는 구분된 정서로, 심리적인 증상인 분노, 우울, 불안과 각각 다르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비행 청소년의 경우, 죄책감과 수치심 모두 심리적 증상과 어떠한 상관도 나타내지 않았고, 준부분 상관 결과, 죄책감과 우울의 부적 상관 외에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다. 2. 개인차 변인에 따른, 죄책감, 수치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반 집단에서 기독교 집단이 비기독교 집단보다 죄책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비행 여부와 성별에 따른 죄책감, 수치심, 심리적 증상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죄책감은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일반 집단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비행 집단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죄책감 점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일반 여자 청소년으로, 죄책감 점수가 가장 낮은 집단은 비행 여자 청소년으로 밝혀졌다. 수치심도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분노는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일반 집단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비행 집단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분노 점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비행 여자 청소년으로, 분노 점수가 가장 낮은 집단은 일반 여자 청소년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여학생의 경우, 일반 집단과 비행 집단의 점수차가 컸으나, 남학생의 경우, 일반 집단과 비행 집단의 점수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은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여학생의 경우, 일반 집단이 비행 집단에 비해 불안 점수가 낮은 반면, 남학생의 경우, 일반 집단이 비행집단 보다 높은 불안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죄책감과 수치심 점수는 낮은 반면, 분노, 우울, 불안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행 집단 중 여학생의 경우, 죄책감과 수치심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분노, 우울, 불안에서는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심리적 취약성을 가장 많이 가진 집단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as interpersonal emotion to psychological symptom(anger,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 differences of shame, guilt and psychological symptom in normal high school students and juvenile delinquents to suggest foregoing effective treatment. To find out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psychological symptom, correlation and semi-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nd to find out the diffences of shame and guilt and psychological symptom in normal high school students and juvenile delinquents,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and analysis of variance adapted with Bonferroni, was used. Before the main study, to compose the TOSCA-Adol for Korean adolescents, the shame and guilt experiencing in Korea was investigated. 200 adolescent write their shame experience and guilt experience each three. Then, basing this information, preliminary inventory was composed and 12 best scenarios was selected. Finally 200 adolescents attending 1fs high school and 113 juvenile delinquent imprisoning in school type jail was out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ed of BDI, of STAI, Psychological Anger Inventory and TOSCA-Adol.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In normal high school students, the cor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only on shame but, the semi partial correlation of shame and guilt correlation of shame to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semi partial correlation and the semi partial correlation of guilt to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juvenile delinquents, the cor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ly on guilt and depression. 2. In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e difference of guilt was significant only in normal high school students at religion. Christian was less guilt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non-Christian. 3. The diffences of shame, guilt, and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at sex, juvenile and the interaction of sex and juvenile. Guilt was higher at normal group than at delinquent group and guilt was the highest at normal-woman group and the lowest at delinquent-woman group. Shame was higher at normal group. Anger was higher at delinquent group and anger was the highest at delinquent-woman group. And the lowest at normal-woman group. Depression was higher at delinquent group. The difference of score in woman was larger than man. Anxiety was higher at woman group. In woman, anxiety was higher at delinquent group than normal group, but in man, anxiety was higher at normal group than delinquent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