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양만 부유성 난 자치어의 종조성 및 초기 섭식생태

        박광재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8700

        광양만 부유성 난 자치어의 종조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유성 난 자치어의 채집은 1990, 1993, 1995년에 이루어졌다. 1990년에는 2월부터 12월까지 격월로 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1993년에는 1월과 5, 6, 7, 8월, 그리고 10월까지 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1995년에는 5월 22일부터 8월 3일까지 격주로 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초기 섭식생태에 사용된 시료는 1990년과 1995년에 채집되었다. 본 연구기간 동안 우점종은 주둥치, 망둑어과, 보구치, 풀반지속, 멸치, 전어였다. 1983년부터 1995년 사이에 망둑어과와 전어는 종조성이 변하지 않았으나, 주둥치, 보구치, 풀반지속은 종조성이 증가하였고, 멸치는 감소하였다. 먹이생물은 19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유종섬모충류의 Tintinnopsis spp., Codonellopsis sp., 요각류의 난, nauplius 유생, 이매패류의 veliger 유생이 88.0% 를 차지하며 우점하였다. 주둥치는 유종섬모충류의 Tintinnopsis spp.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둑어과는 요각류 nauplius 유생과 유종섬모충류의 Codonellopsis sp.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구치, 멸치, 전어는 요각류의 난과 nauplius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풀반지속은 요각류 nauplius 유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색장의 증가에 따른 입의 폭은 보구치와 풀반지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둥치와 멸치는 느리게 나타났다. 요각류 nauplius 유생은 먹이경쟁이 가장 치열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보구치와 풀반지속은 멸치에 비하여 먹이경쟁에 유리하여 1990년대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지만 우점종이 되었다. 반대로 멸치는 경쟁에 불리하여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둥치는 먹이경쟁을 피하여 다른 어류가 선호하지 않는 유종섬모충류의 Tintinnopsis spp.를 선택하기 때문에 종조성이 증가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망둑어과와 전어는 어떤 특정한 먹이에 강한 선호도를 보이지 않고 유종섬모충류와 요각류를 골고루 섭식하기 때문에 1983년 이후 종조성이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To study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ichthyoplankton in Kwangyang Bay, Korea, ichthyoplankton were sampled bimonthly from February to December 1990, 6 times in January, May, June, July, August and October 1993, and biweekly from 22 May to 3 August 1995. The samples collected in 1990 and 1995 were used for the study of feeding ecology of early stage. Leiognathus nuchalis, Gobiidae, Argyrosomus argentatus, Engraulis japonicus, and Konosirus punctatus were dominant species during the studying period. The species compositions of Gobiidae and K. punctatus were not varied from 1983 to 1995, whereas those of L. nuchalis, A. argentatus, and Thrissa spp. increased, and that of E. japonicus decreased. Tintinnopsis spp., Codonellopsis sp., copepod nauplii, copepod eggs, and bivalve veliger were dominant taxa among 19 taxa of microzooplankton. L. nuchalis larvae preferred Tintinnopsis spp. for food; Gobiidae larvae preferred copepod nauplii and Codonellopsis sp. for food; A. argentatus, E. japonicus, and K. punctatus larvae preferred copepod eggs and copepod nauplii for food; Thrissa spp. preferred copepod nauplii for food. Relations between mouth width and notochord length showed A. argentatus and Thrissa spp. were faster than L. nuchalis and E. japonicus. Competition of feeding for copepod nauplii is very severe among fish larvae. As A. argentatus and Thrissa spp. have more advantages for feeding copepod nauplii than E. japonicus, A. argentatus and Thrissa spp. started to occur from 1990 and became a dominant species. I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 of E. japonicus decreased since 1990. L. nuchalis chooses Tintinnopsis spp. that other fishes did not prefer for food. The composition of L. nuchalis increased by avoiding food competition. Gobiidae and K. punctatus do not show any preference for food items and eat both tintinnids and copepods therefore their composition was not varied since 1983.

      • 광양만의 어류 종조성 및 군집구조 변화

        吳星現 麗水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8685

        As a part of resource biological research on fish appearing on the shore of Kwangyang Bay in Jollanam-d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composition of floating eggs, larvae and fish caught with bonggo net between 1998 and 2002, analyzed the seasonal fluctuation in the abundance of these species and the community structure of larvae and fish, and examined the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of major species of fish. The survey on the water environment of Kwangyang Bay reveals that the mouth of Seomjin River with the great inflow of flesh water has the lowest level of water temperature and salt. The vertex 8 between Yeosu and Namhae islands turned out to be the most stabilized and highest place. The general level of pH turned out to be lowest inside Kwangyang Bay with the general standards of sea water being graded more than III and DO accounting 6.0 - 10.9mg/ f , whereas the vertex of the mouth of Seomjin River turned out to be highest. The research reveals that COD increases gradually year by year. In particular, the vertex in the neighborhood of the industrial complex inside Kwangyang Bay exceeds rank III in terms of the quality of sea water, which indicates that the quality of water is getting worse and worse. A total of 13 taxa eggs appeared in all seasons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y were divided into the eggs of Engraulis japonicas, Konosirus punctatus, Maurolisuc muelleri, Leiognathus nuchalis, Sillago japonica, Repomucenus sp. Argyrosomus argentatus, Platycephalus indicus, Callionycus sp. Cynoglossus sp. Soleoidei sp. Paralichthys oliuaceus and other eggs. Fall had a high frequency of egg appearance, whereas winter and spring had the lowest level of egg appearance. The research showed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at larvae had a total of 7 orders, 22 families, 29 species, and 39 taxa, indicating that Perciformes fish had the most frequent appearance with 12 families, 15 species, and 16 taxa. In summer, 6 orders, 20 families, 26 taxa appeared most, and the survey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Leiognathus nuchalis appearance accounted for 68.5%, being maximum dominant. The survey on changes in the yearly species composition revealed that the number of appearing species decreased gradually. This seems to be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migratory fish caused by physical and chemical stimulus and changes in artificial environment in Kwangyang Bay. The survey on species composition reveals that the number of appearance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little by little, showing that the dominant index of the eggs of Leiognathus nuchalis, which increas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artificial environment, increases step by step. Fish gathered by otter trawls in Kwangyang Bay in the period ranging from 1998 to 2002 accounted for 12 orders, 50 families, 111 species and 59,895 individuals, the wet weight of which was 703,623.3g. Yearly species composition tended to gradually decrease in terms of the number of appearing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And the dominance index of Gobiidae fish or Leiognathus nuchalis with a strong power to stand environmental changes tended to increase. The yearly species diversity index(H') of larvae caught in Kwangyang Bay between 1998 and 2002 ranged between 1.75811.8246. It was the lowest in 2001, and the highest in 2000. The dominance index ranged between 0.5831--0.6994, highest in 2002 and lowest in 1999. It showed a pattern similar to that of the evenness index. With regard to the yearly similarity of communities, the relative distance difference was 0.0080 between 1999 and 2002, and 0.0403 between 1999 and 2000. This suggests that the community structures tend to be relatively similar. The yearly species diversity index (H') of fish caught in the coastal waters in Kwangyang Bay between 1998 and 2002 ranged between 0.6887-2.8261. It was the lowest in 1998, and the highest in 2002. The dominance index ranged between 0.3500-0.9126. It was the highest in 1998 and the lowest in 2002, contrary to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ith regard to the yearly similarity of communities, the relative distance difference was the smallest at 0.0120, between 1999 and 2002. Thus the community structures were the most similar between the two years. The survey shows that Kwangyang Bay was greatest in terms of seasonal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nd salt and there was a tendency for fish to be reduced due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water environment and for Gobiidae fish or Leiognathus nuchalis, which tend to increase according to changes in artificial environment to increase in terms of dominant index. The research on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reveals that larvae didn't show a clear tendency between vertexes, and that their species composition tended to change according to seasons. And it is found out that th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based on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sea area didn't show little difference between vertex and that the whole bay showed changes.

      • 서남해안 갯벌의 저서돌말류 종조성 및 생물량

        공세훈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는 서남해안 갯벌중 유부도, 곰소만, 임자도, 여자만 갯벌의 저서돌말류 종조성 및 생물량을 알아보기 위해 2016년 8월과 9월에 조사가 실시되었다. 유부도 갯벌에서 48속 181종, 곰소만 갯벌에서 51속 194종, 임자도 갯벌에서 64속 224종, 여자만 갯벌에서 56속 188종이 출현 하였으며, 총 70속 274종이 출현하였다. 중심돌말목보다 우상돌말목이 다양하게 출현하였고 Paralia sulcata가 우점 하였다. 유부도 갯벌의 생물량은 18.8~136.1 mg/m2, 곰소만 갯벌 31.9~215.7 mg/m2, 임자도 갯벌 2.9~120.2 mg/m2, 여자만 갯벌 10.1~147.7 mg/m2, 4개 지역의 총 생물량 범위는 2.9~215.7 mg/m2였다. Chlorophyll-a의 분해 산물인 phaeopigment 농도로는 유부도 갯벌에서 1.7~470.8 mg/m2, 곰소만 갯벌에서 52.3~277.2 mg/m2, 임자도 갯벌에서 0.6~78.9 mg/m2, 여자만 갯벌에서 39.1~346.3 mg/m2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과 국내․외 갯벌에서 보고된 결과와 비교하면, 조사시기, 조사횟수, 분석방법 및 지리․기후적 환경차이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비교, 평가는 할 수 없지만, 조사 대상지역의 종 다양성과 생물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ugust and September 2016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benthic dolphins in Yubu island, Gomso bay, Imja island, and Yeoja bay tidal flat of West- South coast. There were 181 species of 48 genera in Yubu island tidal flats, 194 species of 51 genera in Gomso bay tidal flats, 224 species in 64 genera in Imja island tidal flats and 188 species in 56 genera in Yeoja bay tidal flats. A total of 274 species of 70 genera appeared. Pennales appeared more widely than Centrales and also dominated by Paralia sulcata. Biomass of Yubu island tidal flat ranged from 18.8~136.1 mg/m2, 31.9~215.7 mg/m2 in Gomso bay, 2.9~120.2 mg/m2 in Imja island and 10.1 ~147.7 mg/m2 in Yeoja bay. The total biomass range from 4 areas is 2.9~215.7 mg/m2. The concentration of phaeopigment, and degradation product of chlorophyll a, was 1.7~470.8 mg/m2 in Yubu island tidal flat, 52.3~277.2 mg/m2 in Gomso bay, 0.6~78.9 mg/m2 in Imja island and 39.1~346.3 mg/m2 in Yeoja bay. Compared with the results reported in this study area and the domestic and overseas tidal flats, it can not be directly compared and evaluat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iming of the survey, the frequency of the survey, the analysis method and geography, Species diversity and biomass showed high tendency.

      • 광양시 내수면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장채선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광양시 내수면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2018년 6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섬진강, 수어천, 광양 동천, 광양 서천 5개 정점에서 투망 및 족대를 사용하여 매월 채집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광양시 내수면 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7목 15과 50종이었고, 갈겨니(Zacco temminckii), 피라미(Zacco platypus), 돌고기(Pungtungia herzi)가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섬진강에서는 6목 13과 40종이 채집되었고, 피라미,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갈겨니가 우점하였다. 수어천에서는 3목 5과 19종이 채집되었고,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피라미, 납자루(Acheilognathus lanceolat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광양 동천에서는 3목 7과 20종이 채집되었고, 갈겨니, 각시붕어(Rhodeus uyekii), 몰개(Squalidus japonicus coreanus)가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광양 서천에서는 5목 7과 17종이 채집되었고, 송사리(Oryzias latipes), 갈겨니, 몰개가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어류의 개체수는 섬진강에서 2,468개체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수어천에서 1,208개체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풍부도 지수는 섬진강에서 4.99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광양 서천에서 2.1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균등도 지수는 광양 서천에서 0.93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광양 동천에서 0.8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양도 지수는 섬진강에서 3.43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광양 동천에서 2.59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우점도 지수는 광양 동천에서 광양 동천에서 29.3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섬진강에서 15.4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기간 중 채집된 어류의 출현 종수와 개체수에 근거한 유사도에서는 동천과 서천이 53.35%의 유사성을 보였고, 섬진강과 수어천에서 51.58%의 유사성을 보였다. 광양 내수면에 있는 하천과 지류는 다양한 담수 어류의 산란지, 성육지 및 서식지 역할을 하고, 나아가 광양만에 영양염류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과거와 현재 어류 종조성 변화는 국토개발의 명분 아래 하천이 하나의 개발도구로 인식되어 하천 공사, 인공화, 직강화, 수질오염 및 유량변화로 인한 환경압이 작용하여 어류의 서식환경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생각되어, 추후 광양에 위치한 하천에서 지속적인 어류의 종조성 연구를 통해 국내 담수 어류의 자원보호 및 생태계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rivers of Gwangyang, Korea, we collected monthly from the five stations of Seomjin river, Sueo stream, Dong stream, and Seo stream from June 2018 to May 2019. During the study period, 50 species, 15 familes, and 7 orders were collected from the inland waters in Gwangyang, and Zacco temminckii, Zacco platypus, and Pungtungia herzi were dominant species. In Seomjin river, 40 species, 13 families, and 6 orders were collected, and Zacco platypus, Plecoglossus altivelis, and Zacco temminckii were dominant species. In Sueo stream, 19 species, 5 families, and 3 orders were collected,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Zacco platypus, and Acheilognathus lanceolata were dominant species. In Dong stream, 20 species, 7 familes, and 3 orders were collected, Zacco temminckii, Rhodesu uyekii, and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were dominant species. In Seo stream, 17 specis, 7 families, and 5 orders were collected, Oryzias latipes, Zacco temminckii,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were dominant species. The number of collected fishes was the highest in Seomjin river and the lowest in Sueo stream. Rich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Seomjin river and the lowest in Seo stream.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Seo stream and the lowest in Dong stream.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in Seomjin river and the lowest in Dong stream.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Dong stream and the lowest in Seomjin river. Similarity based on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showed similarity of 53.35% between Dong and Seo stream, and similarity of 51.58% between Seomjin river and Sueo stream. The rivers and tributaries in Gwangyang inland water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various nutrients to Gwangyang bay as well as play a role in spawning, breeding and habitat of various freshwater fish. The changes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past and present have been at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habitat environment due to the environmental pressure caused by the river construction, artificialization, straightening, and water pollution. The conservation and ecosystem management of domestic freshwater fishes will be needed through continuous species composition studies in the inland waters in Gwangyang, Korea.

      • 여수 연안에서 자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오성재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여수 연안 해역에서 자망을 이용하여 2009년 10월, 2010년 1월, 5월, 8월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 채집된 어류는 1강 6목 16과 25종 1,529개체 183,840g 으로서 그 중 농어목이 7과 9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가자미목이 3과 5종, 쏨뱅이목이 2과 5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3목이 포함된 어류가 총 19종으로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종수의 전체 개체수의 81.10%를 차지하였으며,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에서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쥐노래미로 총 189개체로 전체 출현량의 12.36%를 차지하여 여수 연안에서 가장 우점한 종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농어가 165개체로 10.79%, 노래미가 153개체로 10.01%를 차지하였다. 월별 군집 구조의 종 다양도 지수(H')는 2.088∼2.663 범위로 나타났고, 균등도 지수(J) 0.840∼0.889, 우점도 지수(D) 2.024∼3.138 범위로 나타났으며, 정점별로 조사한 종 다양도 지수는(H')는 2.467∼2.657 범위로 나타났고, 균등도 지수(J)는 0.837∼0.902, 우점도 지수(D)는 2.992∼3.372로 나타났다. 월별 군집의 유사도를 보면 2010년 8월은 5월과 2009년 10월과 출현한 종이 거의 흡사하였으며, 2010년 1월은 큰 유사성을 보이지 않아 독립된 출현 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2009년 10월과 2010년 5월 8월, 2010년 1월로 크게 2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Monthly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by gill net in Coastal Waters of Yeosu from October, 2009 and January, May, August , 2010. The collected fishes were 1,529 individuals (183,849g) of the total, identifeid into 6 orders, 16 families and 25 species. The most dominant order fish was Perciformes comprising 9 species, 7 families, followed Pleuronectiformes comprising 5 species, 3 familes, Scorpaeniformes comprising 5 species, 2 families. These 3 orders consituted 81.10% of the total collected fish. During the study, most dominant species was Hexagrammos otakii accounted for 189 individuals (12.36%) of the total, followed by Lateolabrax japonicus 165 individuals (10.79%), Hexagrammos agrammus 153 individuals (10.01%). The fish collected by a gill net in Coastal Waters of Yeosu from October, 2009 and January, May, August , 2010, the diversity index of the fishes was 2.088∼2.663, which was the highest in August, 2010 and the lowest in January, 2010. The eveness index of them was 0.840∼0.889, which was the highest in August, 2010 and the lowest in January, 2010 and the richness index of them was 2.0240∼3.138, which was the highest in October, 2009 and the lowest in January, 2010. The analyzed species diversity index by the each stations was 2.467∼2.657 and the evenness index was 0.838∼0.902 and the richness index 2.992∼3.372. The similarity of community structure per season was very high which was the least in Spring and Fall. In addition, the community structure was very similar in state 3 and 2 out of each stations.

      • 울진 연안 기선저인망에서 채집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송교정 여수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68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연안에서 2002년 1월, 4월, 7월, 10월에 계절별로 저인망을 이용하여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9목 30과 40속 44종 943개체가 출현하였다. 이들 중 농어목, 쏨뱅이목, 어류가 29종으로 전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종수의 65.90%로 우점한 반면, 과별로는 청어과, 양볼락과, 쥐노래미과 및 가자미과 어류가 각각 3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총 44종의 어류 중 개체수는 멸치가 총 출현 개체수의 9.23%를 나타내어 우점 하였고, 다음으로 쥐노래미가 7.53%, 노래미가 5.94%, 흰줄망둑이 5.83%, 도루묵이 5.41%, 망상어가 5.09%의 순으로 출현하여 이들 6종의 어류가 전체의 39.03%를 차지하는 주요 종들로 나타났다. 계절별 출현종수는 여름철에 26종 394개체가 채집되어 조사기간 중 총 개체수의 41.78%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봄철에는 36종 156개체가 나타나 전 조사기간 개체수의 16.54%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어종의 계절변동을 보면, 수온이 상승하는 봄부터 연안 정착성 어종인 노래미, 쥐노래미등의 출현이 증가하였고, 회유성 및 난류성인 멸치, 산란기를 맞은 조피볼락, 보리멸, 망상어, 자리돔 및 문치가자미등을 비롯한 연안성 어류가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여름에 최대 출현량을 기록하였다. 수온이 하강하기 시작한는 가을에는 멸치, 노래미, 쥐노래미, 흰줄망둑등의 출현량이 감소하여 겨울에는 출현량의 최저값을 나타내 산란을 위해 연안으로 이동해 온 어종들이 수온이 높거나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반면, 한류성 어종으로 산란기를 맞은 청어, 대구, 도룩묵 및 기름가자미와 수심 50m이상 되는 바다 밑에 서식하는 빨간횟대 및 대구횟대 등이 연안으로 이동하여 출현하였다. 출현 개체수는 수온이 낮은 겨울에 가장 낮은 출현개체수를 보였고, 여름과 가을에 가장 많은 출현개체수를 나타내어 수온이 높은 시기에 출현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계절별 종다양도 지수와 균등도를 보면, 2.729~3.157과 0.838~0.896로 여름에 가장 낮았고 겨울에 높았으며, 정점별로 볼 때 종다양도 지수와 균등도는 2.309~2.797과 0.747~0.880로 정점 3에서 가장 낮았으며, 정점 1과 2에서는 종다양도 지수와 균등도가 높았으며, 출현종수, 개체수의 변화와는 다른양상을 보였다. 연중 출현한 종은 붕장어, 볼락, 개볼락, 조피볼락, 노래미, 쥐노래미, 보리멸, 감성돔, 벵에돔, 돌돔, 망상어, 자리돔, 용치놀래기, 베도라치, 넙치, 문치가자미 및 복섬으로 본 해역에 주된 연안 정착성 주거종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에만 출현한 종은 전어, 정어리와 황어가 있었다. Seasonal fluctu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its abundance was investigated based on samples collected by steamship trawl fishery in the Uljin from January to October, 2002. A total of 943 fishes was collected and identified into 44 species, 40 genus, 30 families and 9 orders. Of then Perciformes and Scorpaeniformes accounted for 65.90%. Clupeidae, Scorpaenidae, Hexagrammidae and Pleuronectidae fishes were dominant, representing 3 species. A total of 44 species, Engraulis japonicus, Hexagrammos otakii, Hexagrammos agrammus, Pterogobius zonoleucus, Arctoscopus japonicus and Ditrema temmincki accounted for 39.03% in number. In July, 26 species and 394 individuals appeared most, and spring had 36 species and 156 individuals appeared lowest. When it sees a season fluctuation, from the spring when the water temperature rises the appearance of coastal sedentary fish Hexagrammos agrammus and Hexagrammos otakii increases, coastal migratory fish species who Engraulis japonicus, Sebastes schlegeli, Sillago sihama, Ditrema temmincki, Chromis notatus and Pleuronectes yokohamae inflows to be started, it recorded the maximum appearance quantity at summer. The water temperature falls, it started to autumn appearance quantity of Engraulis japonicus , Hexagrammos agrammus, Hexagrammos otakii and Pterogobius zonoleucus to diminish, to winter it showed the lowest price of appearance quantity. This findings indicate that spawning fish species moves coast who water temperature is high or move with the place where depth is deep. The other side, cold water fish was Clupea pallasii, Gadus macroephalus, Arctoscopus japonicu, Glyptocephalus stelleri and depth is 50m form Alcichthys alcicornis and Gymnocanthus herzensteini moved in the costal. The results suggest that fish fauna in number were higher in July and October, than other in January.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in January (H'=3.15) and the lowest in July (H'=2.72). The species were Conger myriaster, Sebastes inermis, Sebastes pashycephalus, Sebastes schlegeli, Hexagrammos agrammus, Hexagrammos otakii, Sillago sihama, Acanthopagrus schlegeli, Girella punctata, Oplegnathus fasciatus, Ditrema temmincki, Chromis notatus, Halichoeres poecilopterus, Pholis nebulosa, Paralichthys olivaceus, Limanda yokohamae, Takifugu niphobles.

      • 한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자치어의 군집구조와 계절적 동태

        김지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68

        한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자치어의 분포특성과 조석주기에 따른 출현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강 하구역을 대표하는 3개의 수로에서 2007년 5월, 8월 11월, 2008년 2월, 5월, 8월까지 1조석 주기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연속 관측하였다. 조사 결과, 조사해역의 물리환경은 춘계, 하계에 고온·저염과 추계, 동계에 저온·고염의 하구역의 전형적인 해양환경을 보였다. 염분은 염하<석모<장봉 수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유물질 농도는 장봉<석모<염하 수로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염류는 대부분 염하수로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엽록소 a 농도는 염하<장봉<석모 수로 순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강 하구역의 수환경 특성은 한강, 예성강, 임진강에서 유입되는 담수 유입량에 의해 수괴의 물리적 변화가 수질 환경 요인의 대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간 동안 자치어는 총 14개 분류군 총 3,647 ind./1,000㎥가 출현하였고, 웅어속(Coilia spp.)어류가 48.8%로 가장 우점 하였다. 해역별로 살펴보면 장봉수로에서 총 11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다양한 종조성을 보였고, 출현량에 있어서는 석모수로에서 총 2,430 ind./1,0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하수로 및 석모수로는 대부분 기수종 중심의 군집구조를 보이고 장봉수로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물리적 환경을 보이면서 연안성 어류, 연안 회유성 어류, 연안정착성 어류 등 다양한 어종이 출현하고 있어 하구역의 중요한 성육장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석주기에 따른 자치어의 종조성 및 출현량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통해 조사한 결과, 조석 변화에 따라 전체적인 출현 종조성과 출현량에 미치는 영향은 없지만, 특정 종(Coilia spp.)의 출현량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체장에 따라 그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한강 하구역에서의 자치어와 환경요인과의 연관성은 종마다 다르게 나타났고, 상관분석에서 주요 어종과 가장 강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 요인은 수온과 엽록소 a로 분석되었으며, 염분에 따라 주요 자치어는 2개의 그룹(염하 석모수로, 장봉수로)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자치어의 분포특성은 염하·석모수로와 장봉수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고, 염하·석모수로는 비슷한 환경, 장봉수로와는 환경적으로 차이가 있어 종조성이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석의 영향은 미약한 것으로 보이며, 염하수로와 석모수로에서는 담수유입이, 장봉수로에서는 수온이 자치어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조석차에 의한 조류의 흐름 즉 물의 흐름에 따라 생기는 염분 구배에 의해 군집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석주기의 영향에 관한 분석은 주간에 12~13시간 1조석 주기 동안 표층에서 채집하였기 때문에, 채집시기와 채집 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자치어의 분포는 조석에 따라 자치어의 종조성 및 출현량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한반도 야생차나무 식물사회의 종조성과 분포특성

        엄병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3

        차나무는 식물사회학적으로 동북아시아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을 대표하는 동백나무군강, 가시나무군집의 주요 진단종 가운데 하나이다. 한반도에서 야생하는 차나무는 동북아시아의 동백나무군강의 지리적 북방한계 분포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야생차나무 개체군으로 규정된 식분에 대한 식물사회의 종조성과 서식처 특이성을 포함한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규명하는 최초 연구이다. 야생차나무에 대한 생태학적 범위를 규정하였고, Z.-M. 학파의 전통군락분류법에 따라 획득된 38개의 식생조사자료와 총 240종의 출현종이 분석되었다. 야생차나무 식물사회는 왕대우점림, 상록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의 식생형 속에서 발달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 분류된 식생유형의 종조성, 군락구조, 생태식물상, 입지특성 등이 분석되었다. 한반도의 야생차나무 식물사회는 내동성이 강한 일부 난온대성 종과 냉온대성 종이 혼생하고 있었으며, 동백나무군강 표징종의 높은 기여도로 특징짓는 일본의 차나무 식물사회와 명백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야생차나무 식물사회는 일년생 식물종의 출현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비교적 안정된 서식처에 분포하고 있었다. 야생차나무 식물사회는 주로 온난한 남동사면에서 서사면의 범위 내에서만 분포하고 있었다. 수직적으로 아까시나무군락에서 최고 해발 분포 개체군(대구시 팔공산: 36° 03′ 33″ N, 해발고도 390m; 비교 - 일본 오쓰키시: 느티나무-단풍나무군집, 35° 39′ N, 해발고도 680m)이 기재되었고, 수평적으로 졸참나무군락에서 최고 위도 분포 개체군(익산시 함라산: 36° 03′ 33″ N, 해발 147m; 비교 - 일본 시바타시: 졸참나무-オクチョウジザクラ군집, 37° 57′ N, 해발고도 20m)이 기재되었다. 이와 같은 한일 간에 야생 차나무 개체군의 최북단 한계 분포의 지리적 위치의 상이성은 동북아 지역의 식생지리학적 대륙도(大陸度, continentality)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반도 내에서 야생차나무 개체군의 북한계 분포는 미소서식처(microhabitat)의 동절기 동안의 수분이용 조건(온도와 수분 환경의 조화, 즉 대륙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난온대 식생의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장기생태연구와 차나무 잠재 재배지에 대한 미래 연구의 기반 정보를 제공한다. Phytosociologically, Thea sinensis L. is a major diagnostic species for the Quercetum myrsinaefoliae of the Camellietea japonicae representative to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The northern limit distribution of T. sinensis in the northeast Asia is found in southernmo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im of current study is to describe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populations of T. sinensis in terms of species composition and habitat peculiarity. A total of 38 site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a strictly-defined natural phytocoenosis of T. sinensis. The phytosociological data composed of 240 species were analyzed by the Zü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Phytocoenosis of T. sinensis were largely identified into three physiognomic types: Phyllostachys bambusoides dominant forests, summergreen broad-leaved forests, and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These types were described by using affinity of species composition, eco-floristic character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habitats. T. sinensis phytocoenosis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characterized merely by a few species of warm-temperate evergreens presenting high frost resistance and mostly by a lot species of cool-temperate summergreens. This fact indicates that Korean phytocoenosis have been different from the Japanese vicariant communities showing high contribution degree (NCD value) of character species of the Camellietea japonicae. T. sinensis phytocoenosis are composed by the least occurrence rate(%) of therophytes, which reflects stable condition of their habitats. T. sinensis phytocoenosis have been developed at the southeastern and western slope only. Locations of northernmost distribution were recorded at horizontally 36° 03′ 33″ north latitude (126° 53′ 34″ east longitude, 147 m a.s.l., Mt. Hamra-san in Iksan county) of Quercus serrata dominant stand and at altitudinally 390 m a.s.l. (36° 03′ 33″ N, 128° 43′ 26″ E, Mt. Palgong-san in Daegu County). These distributional figures are clearly different from Japanese ones (680 m a.s.l in Otsuki-shi and 37° 57′ N in Shibata-shi) due to syngeographical continentality. Particularly it is remarkable that summergreen broad-leaved forests, e.g.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in the southern∙submontane cool-temperate vegetation zone have supported the northern expansion of T. sinensis popul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Microhabitat conditions of such northern limit distribution sites in Korean peninsula were characterized by mild temperature and humid moisture during winter season. Following researches such as long-term monitoring against global warming and potential sites of tea plantation were suggested.

      •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에 서식하는 어류의 계절별 종조성 및 군집구조

        김민석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3

        (국문초록) 여수 시범바다목장 내 안도주변 해역의 4개 정점에 석탑형다기능 인공어초를 설치하고 2007년 1월부터 10월까지 수질환경, 어류의 종 조성, 양적변동 및 군집구조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계절별 수온 변화는 11.1~24.1℃로 나타났으며, 염분 변화는 30.90~34.42 pus의 범위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어류는 총 4목 16과 24종이었으며 총 6,465개체가 관찰되었다. 이중 농어목의 어류가 11과 1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쏨뱅이목이 2과 5종, 복어목이 1과 3종, 가자미목이 2과 2종으로 나타났다. 줄도화돔이 3,600개체로 전체의 55.7%, 볼락이 2,186개체로 33.8% 차지하여 이들 두 우점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89.5%에 달하였다. 종 다양도 지수(H)는 0.2635~1.1582 범위로 겨울철인 1월에 가장 낮았으며, 여름철인 7월에 가장 높았다. 한편, 균등도 지수는 0.1471~0.4924 범위로 봄철인 4월에 가장 높았으며, 겨울에 가장 낮았다. 우점도 지수는 0.8070~0.9830 범위로 겨울철에 가장 높았으며, 여름철에 가장 낮았다. 정점별 종 다양도 지수는 0.8401~1.8945 범위로 정점별 편차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으며, 정점 3에서 가장 높았고 정점 2에서 가장 낮았다. 균등도 지수는 0.3334~0.6690 범위로 정점 4에서 가장 높았고 정점 1에서 가장 낮았다. 우점도 지수는 0.6049~0.9031 범위로 정점 2에서 가장 높았으며 정점 3에서 가장 낮았다. 주요 어종의 출현빈도 조사 결과, 연중 출현하는 어종은 암초 정착성이 강한 볼락이 가장 출현빈도가 높은 종으로 나타났다. 수산어종으로는 돌돔, 조피볼락, 볼락, 쥐노래미, 능성어, 쥐치, 감성돔 및 가자미과와 넙치과 어류 등 다양한 어종들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 석탑형다기능 인공어초는 어류 위집에 효과가 높은 어초이며, 우리나라 남해안 다도해 해역의 어패류 자원조성용 인공어초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었다. (Abstrack) Studies on the seasonal and spacial changes of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fish community were carried out in 2007 in order to evaluate the fish aggregation effect of multi-functional stone pagoda type artificial reefs. The experimental reefs placed in the vicinities of Ando, Yeosu. Four sampling stations where selected, and changes of species composition, evenness,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similarity among stations were compared. Sea water temperature fluctuated between 11.1℃ and 24.1℃ while salinity varied between 30.90 psu and 34.42 psu. In contrast to the highest water temperature in summer, the lowest salinity was observed in summer. A total of 6,435 fishes which comprised 4 orders, 16 families and 24 species were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them, Order Perciformes which was consisted by 11 families and 14 species was the most of abundant group and followed by Oder Scorpaeniformes which comprised 1 family 3 species. The most and the next dominant species were Apogon Semilineatus and Sebastes inermis. The former and the latter represented 55.7% and 33.8% of the total fishes respectively. Seasonal changes of species diversity (H) was ranged between 0.2635 and 1.1582 while variation of evenness and dominance indices were 0.1471~0.4924 and 0.8070~0.9830, respectively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index were recorded in summer, spring and winte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spacial changes, the variation ranges of ecological indices were higher than those of seasonal changes. The variation ranges of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index were 0.8401~1.8945, 0.3334~0.6690 and 0.6049~0.9031, respectively. Based on this study, it seems that the multi-functional stone pagoda reef is one of the effective artificial reefs for fish gathering, and will be a promising artificial reef for resources propagations in at the coart of South sea of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