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매 당시 만족감을 지속시킬 수 있는 사이드 테이블 디자인 제안 : 60도 회전 움직임 요소를 중심으로

        조기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소비자는 제품을 선택할 때 외형적 특징을 중요시하며, 구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제품의 외형에 대한 감흥이 무뎌져 조형적 만족감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소비자가 구매할 때의 조형적 만족감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제품의 조형 변화를 통해 소비자가 구매 당시에 느꼈을 만족감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여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형 변화 요소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정리하고, 그 중에서 회전 움직임 요소를 통한 조형 변화가 조형적 만족감을 유지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45도, 60도, 90도 회전 움직임 요소 등을 탐색하였으나, 외형 변화의 경우의 수와 회전 단면의 형태, 조형적 안정감 등을 고려했을 때 60도 회전 움직임 요소가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이를 Sectional 모듈화와 Combinatorial 모듈화 방식과 함께 조합하여 최종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로테이블(Rotable)은 모듈 조합과 회전 방식, 공간 배치 방식 등에 따라 총 스물다섯 가지의 연출이 가능하다. 구매 이후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원하는 모듈 조합으로 변경해서 색상과 형태를 변경하거나 회전을 통해 높이와 각도, 테이블 상판 형태와 면적 크기 등을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특성은 제품 구매 시 소비자가 느꼈을 공감의 연장선을 경험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조형적 만족감을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모듈화 방식을 함께 조합하지 않고 오로지 회전 움직임 요소만을 활용하여 조형 변화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추가적으로 모색한다면, 단일 조형에서의 변화 가능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는 조형 연구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회전 단면은 동일하지만 외형이 다른 조형 파트를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지 않고 같은 방향의 회전축을 통해 반복 연출하는 방식 등으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모듈 조합에 대한 선택권으로 생기는 변화 대신 하나의 독립된 형태에서의 조형 변화의 폭을 최대한 넓히는 방향으로 조형을 연출하는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The modern consumer places importance on the aesthetic features when choosing a product, and over time, there is a tendency for the excitement about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to diminish, resulting in a decline in aesthetic satisfaction. To address the phenomenon of decreasing aesthetic satisfaction experienced by consumers when making a purchase, this paper aims to explore avenues to sustain the satisfaction through changes in product design. Various elements of formative change were organized, and among them, the role of rotational movement elements in maintaining aesthetic satisfaction was explored. Although 45, 60, and 90 degree rotational movement elements were searched, it was determined that the 60 degree rotational movement element is the most rational choice considering factors such as the variety of changes, the form of rotational sections, and formative stability. This element was combined with sectional and combinatorial modularization methods to propose the final design direction. The Rotable proposed in this study allows for a total of 25 presentations based on modular combinations, rotational methods, and spatial arrangements. Depending on the post-purchase usage environment, users can alter colors and shapes by changing desired module combinations or adjust height, angles, table surface forms, and area sizes through rotation. This design characteristic aims to sustain aesthetic satisfaction by experientially extending the empathy felt by consumers at the time of product purchase. Further exploration into utilizing only the rotational movement element without modularization to maximize the potential for formative change could emphasize variations in a single form. For example, conducting research on repeated presentations of forms with the same rotational axis but different appearances, without utilizing modular methods, could lead to a design that highlights a broader range of aesthetic changes in a single independent form, rather than introducing changes through modular combinations.

      • 입체조형 창의능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교육 방법연구

        박현선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에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디자인 분야도 세분화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디자인교육에서도 새로운 교육내용과 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매체가 다양해지고 발달함에 따라 3D 애니메이션이나 포장디자인, POP 등 입체를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작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입체창의능력도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대의 특징에 맞는 디자인교육의 중요성과 입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입체조형교육을 통하여 평면조형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디자인교육의 실천적인 방법으로 인간의 조형정보처리 구조를 기초로 창의성원리를 활용하여 입체조형 창의능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교육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인간의 조형정보처리 구조의 고찰을 통하여 입체조형교육의 구조체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조형정보처리 구조는 조형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길러주는 지각, 여러 가지 조형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조형 구성능력을 길러주는 생성,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하여 풍부한 표현능력을 길러주는 표현으로 나누어서 이론적 특성원리를 설명했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학교와 현장에서 적용하고 응용 가능한 입체조형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인간의 조형정보처리구조를 응용한 입체조형 교육방법으로 입체조형지각·입체조형생성·입체조형표현의 특성원리를 살펴보았고 창의성원리를 활용해서 입체조형 창의교육의 가능성을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입체조형 창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여 입체조형 창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인간의 조형정보처리구조를 응용한 입체조형 창의교육방법은 입체조형지각·입체조형생성·입체조형표현으로 나누어 각각에 해당하는 학습활동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입체조형능력을 향상시키고 마지막으로 입체조형지각·입체조형생성·입체조형표현을 향상시키는 학습활동에 창의성원리를 적용하여 입체조형 창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수업원리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평면중심 혹은 입체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평면교육과 입체교육이 서로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디자인에 필요한 조형능력과 감각을 길러줌으로써 현 시대에 맞는 디자이너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갖게 하기 위해 입체조형 창의능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교육 방법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With adv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design area becomes segmented, and its education also requires new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Plus, diversification and development of media have increased designs for cubic subjects, for example, 3D animation, packing design, and POP, and consequently creativity for 3D design is much required. According to this trend, education for both design and 3D is highly necessary. The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a method for design education to improve creativity for 3D design by compensating for the limit of plain plastic art through 3D design education and by applying creativity principle based on human's 3D data processing structure as a practical method of design education. Human's design data processing structure was reviewed to make a ground for 3D design education. Data processing structure of design was explained of theoretical principles into 3 segments; perception fo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design, creation for constructing ability through various design technique, and expression for rich expression ability through various expression technique. From this theoretical background, education method for 3D design applicable to school and field was suggested. Perception of 3D design, creation of 3D design, and expression of 3D design were identified of each characteristic principle, and the possibility of creativity education for 3D design was reviewed from the principle of creativity. From these theoretical works, direction of creativity education to improve creativity for 3D design was presented. The method of creativeness education of 3D design using design data processing structure of human was divided into 3D design perception, 3D design creation, and 3D design expression for purpose of presenting in detail the learning activities of each section to improve 3D design ability. In addition, creativeness principle was applied to learning activities of 3D design perception, 3D design creation, and 3D design expression in order to develop a class model with which creation ability of 3D design could be improved. Also subsequent class principle and direction were proposed. The study suggested a design education method for improving 3D design creativity and presented specific examples so that it could help to get out of such education for plain design only or 3D design only but rather complement the limit of each other, and to raise quality and ability for today's designer.

      • 한지의 조형을 통한 내면적 이미지의 표현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명주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ontemporary expressivity of Korean rice paper, a completely natural support that embodies Korean tradition and history. The research looks at my own work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rice paper and its plastic qualities into a new art genre that fits in with the contemporary art scene. Artworks whose support is Korean rice paper are developing a new aesthetic that is fresh and natural. More than just a new expressive medium, however, Korean rice paper is a sensitive material that expresses the spirit of the times. Today's abstract art expresses utter freedom, including the artist's freedom to make something that is simple and easy. It has become natural for artists to express their inner selves freely, without hindrance from outside objects. When the artist looks at an object, she doesn't accept it as it is but adds new meaning to it, something that only she feels and projects from within herself, a mental image that is not the work's ultimate meaning in her representation of the real object. Instead, she expresses her own spiritual world, thus providing important meaning to the work of rendering the object. The new kind of plasticity that I'm trying to represent through the use of Korean rice paper is not only a way to express a spiritual world but also an effort to modernize it. Artists, since the dawn of humankind, have been creating meaningful objects for the spirit of its times through a process of continual reinterpretations and artistic feeling inherent in a consciousness of the self. The artist's work is to reinterpret everything that has already been interpreted by means of a wide range of personal perspectives inspired by her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Her work expresses the whole of human thought based on her artistic passion and her spiritual action that is also the basis of all of her other activities. Art finally becomes artwork by crossing over into all the acts that are inspired from one's own life experiences. In this context, my most important goal has been to create art that, through an utterly subjective analysis of the self, expresses our desires and unconscious. My work tries to rediscover true meaning through works that have been influenced by the outside world. Since art has always succeeded in its essential role of expressing our existence, it has a unique life, one that is linked to the artist's soul. And since in the artwork the expressive method and intuition of the artist are free to correspond with the unconscious, and the essence of the object is understood, one could say that art consists of a system of inner forms and feelings that are spiritual and concrete. I have tried to express our unconscious instincts and desires by looking at the particularities of Korean rice paper and comparing them in the works of the Korean painters Jun Kwang-young, Kwon Young-woo, and Won Moon-ja, as well as the works of the Japanese painter Horiki Eriko and the American painter Therese Zemlin. My conclusion is that although they all use the same support, because of each artist's rich style, the character and particularities of each artist reveal themselves in unique ways. As for my own work, I have confirmed that its plastic use of Korean rice paper has a strong foundation and spiritual harmony that express inner experiences in a concrete way. In the future, when I create compositions using canvas as a support, I will have to develop a new plasticity and expressive style. Art is not only a representation of what one sees, but also an expression and reinterpretation of what one feels. Art moves the viewer by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feelings and one's own feelings in a different way. I think that meaning should be found through the eyes of the artist and the construction of reality that has yet to exist in the artwork, a reality that reveals itself in lines, colors, forms, and composition, all of which must lead to a feeling experienced by others. 본 연구는 현대미술의 여러 표현 양식을 바탕으로, 자연적이면서 우리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는 재료인 한지를 이용해 현대에 맞는 새로운 조형예술로 발전시키는 한지조형의 현대적 상황과 이에 비추어 본 본인의 작업에 대한 분석이다. 한지가 가진 독특한 특성을 이용한 작품들은 독창적인 조형미와 자연적인 미를 갖는 새로운 미를 추구하며 단순한 표현방식의 작품뿐 아니라, 그 시대의 정신을 표현할 수 있는 감각적(感覺的) 재료라고 생각한다. 오늘날 추상미술은 다양한 전개를 보이고 있는데, 전반적으로는 무한한 표현의 자유와 평이함, 단순함 등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외적 대상에 구애되지 않고 자기 내면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일이 작가들에게는 자연스러운 일이 되어 버렸다. 또한 예술가는 어떤 대상을 바라볼 때,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어떤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거기서 다른 사람들은 느낄 수 없는 요소를 발견하거나, 내면적 심상을 (그곳에) 투사하고, 궁극적인 목표를 현실적 대상의 재현에 두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정신세계를 표출하고 그것을 대상화시키는 작업에 주된 의미를 두고 있다. 본인이 한지를 통하여 시도한 새로운 조형성은 이와 같은 정신세계의 표출하기 위한 수단임은 물론 그것을 현대화하기 위한 노력이기도 하다. 예술은 그 역사가 시작된 이후로 끊임없는 재해석과 자신의 의식 속에 내재된 예술적 감정을 통하여 그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의미 있는 조형물을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예술 활동은 시대적, 사회적, 개인적인 것에서 이미 존재했던 모든 상황들을 여러 각도에서 재해석하는 일이며, 또한 다른 모든 활동의 근거를 이루는 최초의 기본적인 정신활동으로 예술적 자발성을 통한 인간사고의 전체를 표명하는 표현의 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예술은 자기 삶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모든 행위들의 내면을 거쳐 비로소 예술 작품이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인은 좀더 주관적인 의미의‘자아 파악을 위해 무의식과 인간 욕망에 관심을 두어 작품 창작에 동기를 부여하였다. 이런 점에서 본인의 작업은 본인을 둘러싼 외부세계의 여러 영향을 작품을 통해 진정한 의미를 찾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예술은 인간의 존재를 표현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수행해왔고, 그 때문에 예술은 고유한 생명을 지니는 것이며, 그 생명은 예술가의 영혼과 이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작품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고 직관과 무의식이 맞물려 자유로운 작가의 표현기법이 표현된다면 예술은 내면적, 정신적, 주체적인 것의 형식적, 감성적, 형상화라고 할 수 있다.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무의식과 관련된 내면적 욕망과 본능을 한지라는 재료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을 이해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다양한 기법을 통해 내면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고, 한국의 전광영, 권영우, 원문자 그리고 호리키 에리코(일본)와 T. 젬린(미국)과의 작품과 비교한 결과, 같은 재료라 할지라도 개인적인 특성과 개성에 따라 그 표현 방식 또한 다양함으로 인하여 실제 표현은 더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인의 경우에는 조형재료로서의 한지와의 만남을 통해 내적 체험을 구체화하여 정신적 조화와 균형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화면구성에 있어서 다각적 이용 방법과 새로운 표현 가능성과 조형적 탐구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예술은 보이는 것을 다시 그대로 재현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느낀 것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표현하고 감상자에게 감동을 주어야 하며 내면의 감정들을 솔직하게 표현하여 자아나 자신의 감정을 또 다르게 표현하는 것이다. 예술가의 시선을 통해 의미를 찾아내고 작품 안에 아직 존재한 적이 없는 리얼리티를 수립하여 선으로, 다양한 색채로, 적절한 화면 구성으로, 형태로 표현되며 이 느낌을 타인도 느끼고 경험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입체조형 교육을 위한 재료의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김순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디자인은 사전에 계획되는 조형으로서 여러 가지 요소들의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디자인은 결코 우연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는 디자인이 사전에 주어진 조건 가운데 계획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디자인은 주어진 조건과 시간 안에 최상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창조활동으로 디자이너라면 반드시 이성적인 작업을 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디자이너는 표현물에 의미를 담은 메시지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은 사람들에 의해서 재해석되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결국 디자이너는 표현물에 내제된 조형언어를 통하여 그들과 의사소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조형언어란 디자이너가 표현하고자하는 의미, 즉 이미지를 디자인물에 부여하고 또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자인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입체조형 교육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조형제작 과정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조형능력과 감각을 길러줌으로써 디자이너로서의 기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게 해준다. 입체조형 과정에서 각각의 요소는 조형원리에 의해 전개되어 형태를 이루고, 이러한 형태적 표현은 그 작품만이 가지는 이미지를 창출하게 된다. 그러나 형태는 다양한 재료의 사용에 의해서 가능해지므로 재료에 관한 이해와 연구 없이는 효과적인 조형물의 제작이 불가능하며 결국 조형 이미지는 재료와 불가분의 관계가 된다. 재료는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그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를 나타내게 되므로 조형물 역시 재료를 통해 이미지를 창출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재료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의도하는 조형물의 이미지를 극대화시키고 작품의 완성도 역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입체조형의 필수요소인 재료를 좀 더 효율적인 방향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형제작에 사용되는 각 재료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디자인교육의 기초가 되는 입체조형 교육에서 입체조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재료의 다양한 특성을 활용한 입체화과정이며, 의도하는 방향으로 조형물에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야말로 입체조형 교육의 목표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조형물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재료의 의미를 다시한번 되짚어보고, 현재 입체조형 교육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중심으로 각 재료가 갖는 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입체조형 교육을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입체조형 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문헌조사를 통해 입체조형에서 이미지 전달의 중요성과 재료에 의한 이미지 전달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재료의 이미지 특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입체조형 재료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재료의 분류에 따른 일반적인 이미지와 가공형태에 따른 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여 입체조형재료의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금속이 가지는 이미지 특성은 '무거운, 탁한, 강인한, 매끄러운, 딱딱한, 인공적인, 도시적인, 시원한, 정적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딱딱하고 정적인 이미지가 가장 특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또 플라스틱은 '가벼운, 연약한, 매끄러운, 딱딱한 인공적인, 도시적인'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인공적이고 도시적인 이미지가 가장 특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점토는 '무거운, 맑은, 연약한, 매끄러운, 부드러운, 자연적인, 전원적인, 따뜻한' 이미지로 나타났고 이 중, 무겁고 연약한 이미지가 가장 특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유리는 '가벼운, 맑은, 연약한, 매끄러운, 딱딱한, 인공적인, 도시적인, 시원한, 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시원한 이미지가 가장 특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그리고 목재는 '무거운, 탁한, 강인한, 거친, 딱딱한, 자연적인, 전원적인, 따뜻한' 이미지로 나타났고, 섬유는 '가벼운, 연약한 부드러운, 자연적인 전원적인, 따뜻한, 동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이는 '가벼운, 연약한, 매끄러운, 부드러운, 자연적인, 전원적인, 따뜻한' 이미지로 나타났고 목재와 섬유, 그리고 종이는 9가지 이미지 특성 중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미지는 없었다. 그러나 각 분류에 해당하는 조형재료라 하더라도 가공형태에 따라 이미지특성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한 분류에 해당하는 조형재료 중 가장 먼저 떠올린 가공형태의 이미지와 그 재료의 상위개념에 해당하는 재료의 이미지는 일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의 결과로 얻어진 재료의 다양한 이미지 특성을 입체조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은 입체조형 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써 의미를 지니며, 디자인 교육에서 재료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이 논리적인 사고방식으로 입체조형을 전개시켜 나가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Design is a kind of figurative arts that is planned in advance with the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Design cannot be produced by chance at all, because it is made as planned under the given conditions. In other words, design is a creative activity to draw out the best solution within the given time and conditions. So, designers must deal with design in a reasonable way. In the course of such activities, designers try to include meaningful messages into their works, which are destined to be reinterpreted by other people. After all, designers come to communicate with people by formative language embedded in their works. In this context, the formative language refers to the meaning that designers intend to express through their works, that is to say, by giving and delivering images to their design products. The three-dimensional design education, which serves as the basis for design education, aims to foster students to have more capacity and sense for design through the molding courses using various materials. By doing so, it intends to help students cultivate the basic ability as designer. Each element of three-dimensional design course develops to make a certain form in accordance with molding principles, and such formal expression may create unique images of the target work. However, what should be noted here is that such forms are made by a variety of materials in the first plac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produce formative works effectively without understanding and study about materials. In other words, the molding image is inseparable from materials. Materials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take on various images accordingly thereby letting designers create various formative images. Further, designers can maximize their intended images and enhance the quality of works depending on materials chosen. It is in this regard that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three-dimensional design built on in-depth analysis of each material image is crucial for effective use of materials as the essential element for molding. In other words, when it comes to the three-dimensional design education as the basis for the whole design educ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to improve the formative skills is to help students form materials in a three-dimensional aspect by making full use of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the objective of the three-dimensional design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ability to present images to their works as originally intended.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materials as the source of all the formative works and present appropriate materials for three-dimensional educa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images of materials used in current three-dimensional education. To that end, the following four steps were taken. The first wa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ree-dimensional education through documentary survey. The second was to look into the importance of image conveyance and the possibility of image conveyance by means of materials through documentary survey. The third step was to conduct a survey on molding materials currently used in high schools to extract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The fourth step was to extract the distinctive images of molding materials after examining and analyzing the general images of materials according to material classifications and the particular images by processing types. As a result of survey, metal has a variety of images, such as heavy, muddy, strong, smooth, hard, artificial, urban, cool, static. Among them "hard" and "static" images were the most impressive metal images taken by the respondents. In case of plastic, the images were light, weak, smooth, hard, artificial, urban. The most characteristic images were artificial and urban. Ceramic carried out heavy, clean, weak, smooth, soft, natural, rural, warm images, and heavy and weak images were most frequently pointed out. The images of glass were light, clean, weak, smooth, hard, artificial, urban, cool, static, and "cool" was the representative image. When it comes to wood, the images were heavy, muddy, strong, rough, hard, natural, rural, warm, and those of fabric were light, weak, soft, natural, rural, warm and dynamic. Paper had such images as light, weak, smooth, soft, natural, rural and warm. The representative images of wood, fabric and paper were not verified in the survey. It is concluded that even the same materials can produce a variety of im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ow they were processed. In general, the image of representative one out of categorized molding materials often corresponds to that of materials classified into the higher level of concept. It is worth taking a new measure for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images resulted from this study to the three-dimensional design education. And such efforts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material uses in the design education thereby encouraging students to develop the three-dimensional molding in a logical way of thinking.

      • 종이조형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표현 지도 방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강신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종이조형은 평면적인 종이를 이용해서 기하학적으로 접거나 말아서 수백가지의 다른 모양을 만드는 시각적 공간적 형태의 조형예술이다. 종이조형을 활용한 미술표현은 비교적 손쉽고 사실적 회화에 비해 실패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아동의 느낌과 생각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은 자칫 미술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잃기 쉬운 시기로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표현해내지 못하는 부분에서 표현에 자신감을 잃고 시도해보지도 않은 상태에서 표현을 포기하기도 한다. 종이조형은 사실적인 표현기능의 부담이 적기 때문에 아동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보다 자유롭게 가시적인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표현 과정에서 나타나는 새롭고 재미있는 효과를 경험하고 의도된 계획에 의해서, 또는 우연성에 의한 결과로 창의적인 산출물을 얻을 수 있고 이는 아동에게 조형능력과 표현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종이를 활용한 조작활동은 비교적 자유로운 형태의 작품들을 실험, 탐구할 수 있어 다양한 표현기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한적인 표현기법에서 벗어나 이차원적인 특성과 공간적 특성을 잘 이용하여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최소한의 도구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해 조형효과가 좋은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에게 조형활동의 매재로서 종이의 특성과 다양한 가능성 및 재질의 표현성을 최대한 발견하게 하고 종이조형활동을 통해 표현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능동적인 표현활동을 하기 위해 종이조형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표현지도에 관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종이에 대한 이해를 위해 여러 가지 문헌연구와 학술지 및 인터넷자료 검색을 통해 종이의 역사, 종이의 종류와 특성, 종이의 제조과정에 대해 조사하고 표현재로서의 종이와 종이조형의 특징 및 종이조형기법과 종이조형이 갖고 있는 교육적인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표현지도를 하기 위해 선행해서 알아야 할 초등학교 고학년 미술표현의 발달단계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고학년 아동에게 창의적인 미술표현지도를 위한 접근과 창의성 지도에 대한 방안을 연구자가 생각하는 방안과 문헌을 중심으로 조사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미술표현지도를 위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검인정된 미술교과서 여섯종류의 내용을 종이조형기법의 활용과 연계성에 관해 분석하고 종이조형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표현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접기, 자르기, 붙이기, 엮기, 감기, 펄핑 등 여섯가지 종이조형 기법을 활용한 미술표현지도 수업을 계획했다. Ⅴ장에서는 종이조형기법을 활용한 수업지도의 실제로 창의적인 미술표현지도를 위해 종이조형기법을 활용해 여섯가지 기법별로 수업주제를 정해 수업을 하면서 아동 반응을 작품을 중심으로 알아 보았고 수업후에 느낀 생각과 소감을 정리하였다. 수업주제는 첫째, 종이접기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로 간단한 포장 및 다양한 용기 만들기>, 둘째, 종이자르기기법을 활용한 <건축물 모형 만들기>, 셋째, 종이붙이기기법을 활용한<교실 환경 꾸미기> 넷째. 종이엮기기법을 활용한 <수공예로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 다섯째, 종이감기기법을 활용한 <이야기의 내용 표현하기>, 여섯째, 종이펄핑기법을 활용한<펄핑기법으로 공예품 만들기>이다. 이러한 종이조형기법을 활용한 미술표현지도를 통해 첫째, 다양한 표현기법의 접근으로 아동들이 미술표현에 대한 기대감과 흥미 및 관심을 적극 높일 수 있었고 둘째, 새로운 표현방법을 탐색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발상이 다양하게 나왔고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새로운 표현기법을 통해 창의적 표현으로 이어졌다. 셋째, 수업주제가 생활과 연관돼 있어 아동들이 생활과 미술을 연계 짓는 계기가 되었고 넷째, 재료의 활용이 기존 용도와는 다르게 변화 및 응용한 부분이 있어서 기존의 고정관념을 벗어나 생각의 전환과 사고의 확대를 가져오는 계기가 됐다. 다섯째, 전통 공예품과 생활용품 표현으로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조상들의 지혜를 느낄 수 있었다. 여섯째, 표현결과를 예측해 꼼꼼하게 계획을 세워야 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자기주도적으로 조형활동을 하는 모습을 갖게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언할 점은 미술교과서에서 종이조형을 이용한 표현작품의 확대 및 표현활동에 대한 안내와 직접 손으로 보여주고 지도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의 조형기능 연수의 필요성과 함께 조형기법외에 또 다른 기법과 다양한 표현지도를 찾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종이조형 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제작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이하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종이조형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손의 활동이 활발한 조형작업으로 이는 두뇌 활동 촉진과 관계가 깊다. 종이조형 교육은 학습자의 창의력 신장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계와의 접근성으로 응용될 수 있는 조형 활동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종이조형 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제작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종이조형 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종이조형 교육을 위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종이조형의 개념 및 기법을 이해하여 종이조형의 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을 제작하는 프로그램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개인의 창의적 사고를 발달시키고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해 전인적 인간 육성 교육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역량 중 창의적 표현 능력을 근거하여 조형 교육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역량과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제 2장에서는 종이조형과 인테리어 소품의 이해를 위해 각각의 개념, 특성, 유형 등을 알아보고 종이조형 기반의 인테리어 소품 제작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종이조형과 인테리어 소품 제작 수업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교과서 분석과 현직 미술 교사와 학습자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 현장에서 종이조형 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제작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종이조형 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제작 프로그램’의 세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종이접기 기법을 활용한 종이 조명등 제작 프로그램’, ‘종이 감기를 활용한 점토 화병 제작 프로그램’, ‘종이 조각 기법을 활용한 PLA 모빌 제작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기존에 인지하고 있던 종이조형 개념에 대한 오류를 수정 및 보완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 재료를 탐색하여 작업 과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본 프로그램을 통해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생들은 학습 주제에 맞는 아이디어를 탐색하여 해결방법을 모색 및 적용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가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다. 제 4장에서는 학생들에게 ‘종이조형의 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제작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성질을 이용한 조형요소와 원리를 이해하였다. 둘째, 조형적 표현 능력 및 입체 감각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인테리어 소품 제작을 통한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이 함양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적 효과에 따라 ‘종이조형 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제작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제시 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매체를 통한 종이조형 건축디자인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둘째, 미술과 정보컴퓨터 교과와의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한다. 본 논문의 도출한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바탕으로 ‘종이조형 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제작 프로그램’은 미술 교육적 의의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활용하여 미술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창의적인 표현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를 바란다.

      • 포스트모더니즘의 표현적 특성을 이용한 조형장신구 연구 : A Study of Ornamental Model Using Postmodern Expressive Characteristics

        안나연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산업화로 인해 대량생산체제가 도입됨으로써 기능성과 실용성을 새로운 조형 원칙으로 삼으면서 조형성에 대한 비중은 크게 감소되었었다. 이러한 현대의 경향은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로 접어들면서 기능위주의 모더니즘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반규범적 현상과 파격적 양식의 디자인이 나타났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포스트구조주의의 영향으로, 예술계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사실주의와 모더니즘의 반발 작용으로 일어났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두 영역에서 서로 추구했던 점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외형적 성격으론 일률적인 것을 거부하고 다양성을 강조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기존장신구의 완벽성, 일관성, 확실성에 의문을 던지며 조형장신구 공간 안에 새로운 긴장감을 주는 미완성적 형태를 추구하려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표현적 특성을 이용한 조형장신구 연구에 있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다. 첫 번째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작품에 나타난 구조적인 특성을 조형적 요소로 분석 하고 외형적인 성격으로 비대칭적, 비 리듬성과 불확실성을 추구하며 기능주의적인 디자인을 배제한 작업을 시도하였다. 두 번째 로는 비 기하학적 형태와 패턴의 다양성을 이용하여 포스트모더니즘 형태의 변환과 변성의 이미지를 전달 하고자 하였다. 미완성적인 철골구조의 형태를 모티브로, 투각을 통해 장신구의 내부, 외부 경계를 파괴하고, 그 안에서 이뤄지는 명함 대비를 통해 형태적 변화를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조형물과 장신구가 독립된 작품으로 의미를 가지며 결합되어지는 조화로운 작품을 시도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표현하여 그 기능을 다함과 동시에 복합조형이라는 하나의 목적을 이루어 표현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기존의 상식적인 방법과 장신구 형태에서 탈피해 공감각적이고 입체적인 조형장신구를 제작하고 일관적인 기능해체를 통해 장신구의 새로운 착용 방법과 조형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조형물과 장신구가 독립된 작품으로 의미를 가지고 결합되어지는 조형장신구의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현대조형으로서의 독립된 의미의 조형물과 장신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The importance of moulding has dramatically decreased since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is becoming the new principle of moulding by the introduction of mass production due to industrialization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se tendencies of modern era displayed unstandard phenomenon and unconventional design that can not be explained with function-oriented modernism since we move into postmodernism from modernism. Postmodernism is generally regarded as created by realism and resistance to modernism in arts due to the influence of post-strucuralism but both areas are seeking similar points. Postmodernism appears to focus diversity while denying uniformity. Therefore, I question the perfectness, uniformity, certainty of existing ornaments and intend to seek unfinished shape providing new tension to moulded ornaments. This study researched in the following ways in studying moulded ornaments using the features of postmodernism expression. First, structural features displayed in works influenced by postmodernism with moulded elements were analyzed and sought asymmetry, un-rhythm and uncertainty for external features and attempted function-oriented design. Second, I intended to express transformation to postmodernism and images of denaturalization using non-geometric shapes and diversity of patterns. I attempted changes in shape by contrasting brightness within by destroying boundaries of interior and exterior of ornaments through bratticing with unfinished steel structure as a motive. Lastly, I intended to express a goal of composite mould at the same time and displaying its functions by attempting works combining sculptures and ornaments as independent work and expressing them independently. As a result, this paper presented new ways for wearing ornaments and moulding by cancelling uniformed functions and by producing synesthesias and solid moulded ornaments by eliminating existing normal methods and shapes. Therefore, the paper established a new concept for moulded ornaments that combines sculptures and ornaments as independent works. I hope that sculptures and ornaments will be developed continuously with independent meaning as modern sculpture.

      • 반복행위를 통한 도자 조형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심혜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humanity has pursued the art of forms throughout its histor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leading to creation of various cultures and civilizations in the lives of human beings. It can be found that the form has served as a basis for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various three-dimensional formative artistic features since the emergence of art in the prehistoric times. In addition,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which origin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has been developed into a means for revealing the human intention to make expression. Such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most universal behavior of human to convey their thoughts and ideas. In the ancient times, the formative art principles, centered around the repetition, were often incorporated into architecture, fine art, and particularly, crafts. Those principles of formative art include the repetition, balance, contrast, proportion, uniformity and variation, among which the repetition is divided into the repetitions, such as the repetition of same expression, repetition as repetitive behavior, and repetition copying the originals.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tudy on ceramic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rendered through repetitive actions which reflected the principle of repetitive formative art, and through that, intended to create various ceramic formative arts. Moreov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broaden the scope of ceramic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by conducting various researches based on repetitive actions, while allowing more flexible forms to be created, compared to existing modes of formative art, by u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for ceramic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In this study, firstly, theoretical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 art actions of human and repetition was examined based on understanding of formative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 principle, revealed in arts as found in multiple literatures, were summarized. Seco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petition were classified in this study, and various techniques and formative artistic features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rendered through repetitive actions, were specified and described. Third, the process of art creation based on artists' repetitive actions, along with expressive techniques, were described in the case study on related art works. Through that, it was found that the repetitive actions had important meaning in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s. The ceramic formative arts, expanded through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of 'piling, twisting, tearing, and rolling', defined by this researcher, were investigated. Fourth, the repetitive actions of this researcher were classified into 4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s, i.e., piling, twisting, tearing, and rolling, which were applied to the art creation process. Thus, the ceramic formative art works were created based on repetitive actions. Such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made this study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on ceramic formative art as the focus was placed on the behavioral elements of this researcher. Fifth, based on production and analyses of the work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was used as the themes in the studies on various formative arts rendered through repetitive actions. In this study, the repetitive actions were classified into 4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i.e., piling, twisting, tearing, and rolling. This study, which investigated the ceramic formative art rendered through those repetitive actions, re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could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and created an opportunity for expanding into creativ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basis for the succeeding studies of which results can be applied to creativ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in the field of studies on various formative arts. 인류가 형(形)을 추구한 역사는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긴 시간에 거쳐 인간의 삶에서 다양한 문화와 문명을 이룩해왔으며, 선사시대의 원시미술에서부터 다양한 조형 원리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형 표현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서부터 시작되어 인간의 표현 의지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러한 조형 표현은 인간의 가장 보편적인 의사전달 행위라고 설명 할 수 있다. 고대에는 건축이나 미술, 특히 공예 분야에 반복의 조형 원리가 즐겨 사용되어졌다. 이러한 조형 원리에는 반복, 균형, 대비, 비례, 통일, 변화가 있으며, 그 중 반복은 같은 표현을 되풀이하는 동어 반복, 행위로서의 반복, 다른 이의 원작을 복제하여 반복하는 것 등이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반복의 조형 원리를 바탕으로 반복행위를 통한 도자 조형 표현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도자 조형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도자 조형 표현에 있어서 흙의 물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조형 방식에서 보다 유연한 형태 제작을 가능하게 하였고, 반복행위를 통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여 도자 조형 표현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조형의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의 조형 행위와 반복의 관계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다수의 문헌을 근거로 예술에서 나타난 조형 원리의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반복의 개념과 특징을 분류하고 반복행위를 통한 다양한 기법과 조형미에 대해 연구하고, 반복행위를 통한 조형 표현을 구체화하여 서술하였다. 셋째, 작품 사례 연구에는 작가의 반복행위를 통해 제작된 작품의 제작과정과 표현기법을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조형 표현에서 반복행위가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연구자의 ‘쌓기, 꼬기, 찢기, 말기’의 조형 표현을 통해 확장된 도자 조형 연구를 진행하였다. 넷째, 본 연구자의 반복행위를 ‘쌓기, 꼬기, 찢기, 말기’의 4가지 조형 표현으로 분류하고, 이를 작품 제작과정에 적용하여 반복행위를 통한 도자 조형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조형 표현은 본 연구자의 행위적 요소를 중심으로 타 도자 조형 연구와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의 작품 제작 및 해석을 통해 반복행위를 통한 조형표현이 다양한 조형 연구 분야에서 주제가 되어왔음을 확인하고, 본 연구자의 작품에 표현한 반복행위를 중심으로 도자 조형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행위를 ‘쌓기, 꼬기, 찢기, 말기’의 4가지 조형 표현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자에게 이러한 반복행위를 통한 도자 조형 연구는 물성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재조명하고 창의적인 조형 표현으로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결과물들이 다양한 조형 연구 분야에서 창조적 조형 표현으로 활용되어지기를 바란다.

      • 오감체험을 통한 조형놀이 미술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고정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question in this paper is to examine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figure of its application depending on different manual training class teachers in junior high school. Among the 3,051 junior high schools in the nation, I choose 95 schools based on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s the test schools and sent out surveys to the manual training class teachers. Adopting the SPSS WIN program, I analyzed the 112 surveys that were returned from the 65 schools. In order to find out how well teachers understood about the performance assessment, I set the level of significance at 5% and I have done X² verifica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of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assessment was applied, I have done Xz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sts implemented and the level of its reflection. I also have used cross analysis to figure out the evaluation units and the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understood about the defini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92%, character of it 83.9%, need for it 71.4%,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 assessment from other evaluations 90.2%. Second, in regard to the forms, the teachers had understandings on 'self-evaluation checklist' 87.5%, 'characters of self-evaluation checklist' 75%, 'portfolio' 81.3%, 'characters of portfolio' 74.1%, 'evaluation of finished product' 86.6% 'characters of the finished product' 71.4%, 'counseling' 67%, 'characters of counseling' 68.8%, 'observation' 73.2%, and 'characters of observation' 61.6%. Third, compared to 69.8%, 21∼30% of teachers had performance assessment at least twice a year. Compared to 66.7%, 21∼30% of teachers had performance assessment at least four times a year. Regarding to units for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types of the assessment, 65% of the 7th grade teachers used the unit of 'Reading and Drawing the Floor Plans' and 52.3% of the 7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s. 55.5% of the 8th grade teachers used the unit of 'Product Design and Making' and 50.7% of the 8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s. 55.6% of the 9th grade teachers used the unit of 'Making Electronic Products' and 32.5% of the 9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amination finished examination and 25% of the 9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s. 어린이들은 생활 자체가 놀이이다. 놀이를 통하여 세상과 소통하며 깨닫고 배워간다. 이러한 놀이의 유희적 요소는 조형 활동을 하는데 효과적인 매개체이다. 이러한 조형놀이 방법을 인간이 늘 사용하는 다섯 가지 감각을 이용하여 더욱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도록 하고, 보다 높은 창의적 표현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초등미술에서 오감체험을 통하여 조형놀이를 하는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한다. 고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미술에서의 조형놀이 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조형놀이와 오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효율적인 학습 방법 모색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여 오감을 체험했을 때의 조형놀이 수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과정으로 먼저 조형놀이의 개념을 파악하고 조형놀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다섯 가지 감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조형놀이와 오감과의 밀접한 관계에 대하여 정리하여 봄으로써 교육적 의의를 모색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조형놀이가 어느 정도 반영이 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양국의 조형놀이 프로그램 수를 비교해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의 조형놀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장에 적용하기 용이한 오감체험을 통한 조형놀이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오감별로 시각중심, 청각중심, 촉각중심, 후각중심, 미각중심으로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다섯 가지 감각을 섞어 표현할 수 있는 통합감각을 제시하였다. 사물을 인지할 때 종합적으로 사용되는 감각이므로 중심 감각을 사용함에 있어서 다른 감각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중심 감각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주로 사용하는 감각을 제시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여섯 가지 방향에 의하여 활동 주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학습 방법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시각중심 조형놀이 : 구술이 춤을 춰요. 끼리끼리 모여요. ․청각중심 조형놀이 : 내 앞에 있어요. 소리가 보여요. ․촉각중심 조형놀이 : 손으로 느껴요. 말랑말랑 오물조물 ․후각중심 조형놀이 : 꽃잎으로 꾸며요, 향기가 보여요. ․미각중심 조형놀이 : 상상 속의 과일. 뻥과자 모빌이예요. ․통합감각 조형놀이 : 둥실둥실 알록달록. 나도 붓이 되고 싶어 이러한 과정으로 살펴본 초등미술에서의 오감체험을 통한 조형놀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유희적 놀이가 조형 활동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인식하고 학교 현장의 미술 수업이 생동감 있고 효과적인 조형 활동이 될 수 있도록 교사들의 관심이 요구되는 바이다. Living itself is play for children. They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learn and understand it through the play. The recreational factors of such play is effective midium in formative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idea that such formative play could be more interesting and displayed higher creative expression through human five senses, I sought for program of formative play through five senses workable in the elementary school. Accordingly, this research put its purpose to prepare a basis for the need of a guidance for formative play in elementary art, and preparing effective teaching metho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formative play with five senses with which to raise the efficiency more of a study on formative play. For the research, I sought the concept of formative play first, and its traits. With it, to make the five senses understood. easily, I groped for educational meaning by arranging the close relation between formative play and five senses. Besides, I analyzed the scope of reaction of formative play on the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and by comparing the program numbers of formative play of both countries to realize the need of formative play at school. site and. then submitted formative play program through five senses which is easy to apply to the school site. I classified the five senses as visual, auditory, tactile sense, olfactory sense, taste-oriented and then submitted the program, and lastly, proposed the integrated sense which could be expressed five mixed senses. As it's synthetically used senses in recognizing things, the center sense can't exclude other senses, and I named the mainly using sense as the center sense. I set up the activity topics based on the six courses proposed above, and developed a concrete study method as below. ·Visual-oriented formative play : beads are dancing. they gather together in group. ·Auditory-oriented formative play : it's before me. I can see the sound. ·Tactile sense-oriented formative play : feel it with hands. soft, wrigglingly. ·Olfactory sense-or : decorate it with petals. I see the fragrance. ·Taste-oriented formative play : imaginary fruits. popped cookies mobile ·Integrated sense formative play : floating buoyantly mottled dappled, I want to be a brush myself. Trough the research course of formative play program development through five senses in the elementary school, I recognized that the children's recreational play is effective method on formative activities, which needs teachers' interest to make the art class to be full of life and to be effective formative activities.

      • 고려·송대 청자의 조형 분석을 통한 현대 도자 연구

        천모위안 전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사람들의 생활수준과 미의식을 추구하는 욕구에 따라 도자예술에 대한 중요성과 그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도자기 문화가 성립되었고, 이는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한국과 중국은 유구한 도자기 역사와 문화를 가진 국가로 청자의 발전에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청자는 양국의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문화의 가치를 인정받는데 중요한 발판으로 작용하고 있다. 오늘날 민족적 특징뿐만 아니라 개인 중시형의 예술 양식을 중요시하는 현대도예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 중에 청자는 전통적인 조형요소와 더불어 새로운 개념을 수용하는 공예미술로, 다원적인 성격을 가진 현대도예를 표현하게 되었다. 이처럼 현대청자 창작에 있어서 전통 청자의 조형적 특징을 계승하는 민족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적인 요소를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한·중 양국의 청자에도 크게 기여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현대 도예가들은 청자의 디자인적 요소 등을 모색하는 것과 함께 과거의 역사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고려와 송대 청자의 조형적 특징을 살리는 동시에 기능적 장점 등을 접목시켜 앞으로 현대 청자의 발전적 방향을 찾아 양국 청자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서 깊이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 전통청자를 바탕으로 현대청자의 창작을 위한 작품을 연구하고자 하며, 현대적인 요소를 활용하는 것과 전통적인 조형요소를 살리는데 주안점을 두고 작품에 나타난 전통적 제작기법을 유지·계승하여 장식 표현기법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감기법과 조각기법이 주를 이루는 제작기법을 연구하여 현대 도자예술의 표현 양식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에서 창의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작가의 이념과 관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자의 발전이 전성기를 맞은 고려와 송대 청자의 발전 현황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기초로 하여, 동 시대 속에서 고려와 송대는 다양한 문화와 함께 도자문화 교류가 확대됨으로서 청자 발전에 미친 영향이 지대함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조사 자료를 통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려청자와 송대 청자의 조형성 변화에 관한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독특한 유색, 문양, 형태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현대청자의 조형특징을 통한 현대도예 작품에 표현된 작가의 의도 및 특징 등을 고찰·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연구는 고려청자, 송대 청자와 관련된 국내·외 문헌, 선행연구의 고찰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사례연구는 고려와 송대 청자에 나타난 유색, 문양, 형태 등의 조형요소를 고찰하였고, 한국과 중국의 현대 청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또한 현대도예의 형성과 전개, 한·중 양국의 현대도예의 성립과 전개의 과정 및 현대 청자의 조형성 표현을 연구하여 청자의 제작기법과 문양 장식기법을 통해서 양국 현대 청자 도예가들의 창작 이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 조형요소를 응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작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고, 청자에 있어서 새로운 도자의 미적· 관념적 인식을 통해 작가적 개인 취향으로 반영하게 되었다. 또한 한·중 양국의 현대청자는 전통청자에서 얻은 영감의 소재들을 심미적인 요소와 정신적인 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본 연구자는 중국 유학생으로서 상감기법을 중심으로 한 고려청자의 조형적 특징을 연구함으로써 중국으로 돌아가서 이 기법을 후학에게 알려주고 앞으로도 청자를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할 중요한 조형적 미감의 한 단서를 제공받았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현대청자를 발전하는데 상감기법을 작품에 접목함으로써 민족 문화가 갖고 있는 역사성을 현대적 요소로 창작 발전시켜 한·중 양국의 청자 문화교류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고자 한다. 그리고 앞으로 현대 청자를 어떻게 새로운 개념으로 재해석하고 제작할 것인가 하는 관점 하에서 역사, 문화에 대한 긍지를 강화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보며, 더 나아가 한국과 중국 도자기가 서로에 영향을 미친 사례들을 보다 많은 영역으로 확장해서 연구함으로써 한국과 중국, 그리고 아시아 지역은 물론 인류 도자기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